KR101736090B1 - 채가위 - Google Patents

채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6090B1
KR101736090B1 KR1020150009769A KR20150009769A KR101736090B1 KR 101736090 B1 KR101736090 B1 KR 101736090B1 KR 1020150009769 A KR1020150009769 A KR 1020150009769A KR 20150009769 A KR20150009769 A KR 20150009769A KR 101736090 B1 KR101736090 B1 KR 101736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mchi
blade
cutting
scissors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0025A (ko
Inventor
손라성
Original Assignee
손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라성 filed Critical 손라성
Priority to KR1020150009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090B1/ko
Publication of KR20160090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0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6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 B26B13/08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with cutting edges wavy or toothed in the plane of the bla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12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2Hand shears; Scissors combined with auxiliary implements, e.g. with cigar cutter, with manicure instru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채가위가 개시된다. 개시된 채가위는 선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1홈이 형성된 제1날부가 구비되고, 후단부에 제1손잡이가 형성된 제1가위편; 선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1홈과 마주하는 제2홈이 형성된 제1날부를 구비하고, 후단에 제2손잡이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가위편과 교차되어 힌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가위편; 및, 상기 제1홈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홈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김치커팅날; 상기 제2홈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2홈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2김치커팅날;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김치커팅날과 상기 복수의 제2김치커팅날 각각은 상기 제1날부과 상기 제2날부가 서로 오므려진 상태에서, 서로 만나서 소정길이 겹쳐 교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1김치커팅날과 상기 복수의 제2김치커팅날 각각이 서로 만나서 상기 김치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김치의 일측단을 상기 제1날부와 상기 제2날부의 측방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김치가 상기 제1김치커팅날 및 상기 복수의 제2김치커팅날에 의해 김치의 길이방향대로 여러조각으로 잘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채가위{SCISSORS FOR SHREDDING}
본 발명은 김치를 길이방향을 잘라, 채썬 형태로 자를 수 있는 채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위는 두개의 가위편을 "X"형태로 형성하고, 교차점이 힌지되도록 구성하여, 이 두개의 가위편을 교차시킴으로서 옷감, 종이, 머리털 등을 베는 기구이다. 최근에는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도마를 이용하지 않고 식품을 자르는 용도의 주방용 가위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김치를 잘라 먹을 때는, 통상적으로는 칼이나 가위를 이용해 포기김치의 길이방향에 대해 소정간격으로 잘라서 먹게 된다.
다만, 고구마나 보쌈등의 음식을 먹을 때에 곁들여 먹는 김치는 김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즉, 배추결 방향을 따라 잘라서 길게 잘라서 먹는게 제맛이다.
이렇게 김치를 길이방향으로 길게 잘라서 먹기 위해서는 칼을 이용해 자르거나 양손을 직접 김치결대로 찢는 작업이 필요하였다.
종래의 가위로도 김치를 길이방향으로 일일히 자를 수는 있으나, 한조각 한조각씩 일일히 길이방향으로 잘라야 하는 등 번거로움이 많았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2940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143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26583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한번의 동작에 의해 김치를 길이방향(줄기결방향)대로 여러조각으로 자를 수 있도록 개선된 형태의 채가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채가위는 선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1홈이 형성된 제1날부가 구비되고, 후단부에 제1손잡이가 형성된 제1가위편; 선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1홈과 마주하는 제2홈이 형성된 제1날부를 구비하고, 후단에 제2손잡이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가위편과 교차되어 힌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가위편; 및, 상기 제1홈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홈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김치커팅날; 상기 제2홈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2홈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2김치커팅날;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김치커팅날과 상기 복수의 제2김치커팅날 각각은 상기 제1날부과 상기 제2날부가 서로 오므려진 상태에서, 서로 만나서 소정길이 겹쳐 교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1김치커팅날과 상기 복수의 제2김치커팅날 각각이 서로 만나서 상기 김치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김치의 일측단을 상기 제1날부와 상기 제2날부의 측방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김치가 상기 제1김치커팅날 및 상기 복수의 제2김치커팅날에 의해 김치의 길이방향대로 여러조각으로 잘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제1김치커팅날과 상기 복수의 제2김치커팅날은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날이 서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김치커팅날은 상기 제1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2김치커팅날은 상기 제2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김치가 잘려지는 폭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위편은 상기 힌지와 상기 제1손잡이 사이에 제1파커팅날이 설치되고, 상기 제2가위편은 상기 힌지와 상기 제2손잡이 사이에 제2파커팅날이 형성되어, 상기 제1손잡이 및 상기 제2손잡이 사이에 대파를 두고 쥔 상태에서, 상기 대파를 측방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대파가 제1파커팅날과 상기 제2파커팅날에 의해 파채형태로 잘려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채가위는 선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1홈이 형성된 제1날부가 구비되고, 후단부에 제1손잡이가 형성된 제1가위편; 선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1홈과 마주하는 제2홈이 형성된 제1날부를 구비하고, 후단에 제2손잡이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가위편과 교차되어 힌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가위편; 및, 상기 제1홈으로부터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홈을 따라 형성되는 제1김치커팅용 치차; 상기 제2홈로부터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2홈을 따라 형성되는 제2김치커팅용 치차;를 포함하며, 상기 제1김치커팅용 치차의 산과 상기 제2김치커팅용 치차의 산은 상기 제1날부과 상기 제2날부가 서로 오므려진 상태에서, 서로 만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김치커팅용 치차의 산과 상기 제2김치커팅용 치차의 산이 서로 만나서 상기 김치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김치의 일측단을 상기 제1날부와 상기 제2날부의 측방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김치가 상기 제1김치커팅용 치차및 상기 제2김치커팅용 치차에 의해 김치의 길이방향대로 여러조각으로 잘려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날부와 제2날부 사이에 김치를 두고 오므려진 상태에서 김치를 측방으로 잡아당기기만 하면 제1김치커팅날과 제2김치커팅날에 의해 김치가 길이방향대로 여러조각으로 잘리게 되는 형태로서, 사용자가 간편한 조작에 의해 김치를 길이방향으로 채썬 형태로 잘라 먹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제1김치커팅날과 제2김치커팅날의 사이간격을 조정할 수 있어, 길게 잘려지는 김치폭을 조정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폭대로 김치를 자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손잡이와 제2손잡이에 제1및제2파커팅날이 형성되어 있어, 대파를 넣고 잡아당기면 파채형태로 잘려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손쉽게 파채를 만들어 먹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채가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채가위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채가위가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김치커팅날의 횡단면 형상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김치커팅날을 측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채가위의 사용예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김치커팅날의 다른 설치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채가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채가위의 사용예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채가위를 설명한다.
제 1 실시 예의 채가위(1)는 제1가위편(10), 제2가위편(20), 제1김치커팅날(30), 제2김치커팅날(40)을 포함한다.
제1가위편(10)과 제2가위편(20)은 "X"형태로 교차되도록 구성되며, 교차부분에에 힌지(h)가 설치되어, 제1가위편(10)과 제2가위편(20)은 서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1가위편(10)은 선단부에 제1날부(11)가 구비되고, 후단부에는 제1손가락삽입구(13a)를 구비한 제1손잡이(13)가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가위편(20)은 선단부에 제2날부(21)가 구비되고, 후단부에는 제2손가락삽입구(23a)를 구비한 제2손잡이(23)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및제2손잡이(13,23)를 벌리거나 쥐는 조작에 의해 제1날부(11)와 제2날부(21)가 벌어졌다가 오므려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날부(11)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개방된 사각형 형태의 제1홈(12)이 형성되며, 이 제1홈(12)은 제1날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2날부(21)의 상단에는 상방으로 개방된 사각형형태의 제2홈(22)이 형성되며, 이 제2홈(22)은 제2날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1홈(12)과 제2홈(22)은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며, 서로 동일한 크기로 구성되어, 제1날부(11)와 제2날부(21)가 도 1과 같이 오므려진 경우, 제1홈(12)과 제2홈(22)은 사각형태의 구멍이 형성된다.
제1김치커팅날(30)은 소정길이를 갖는 스틱형태로 형성되며, 제1홈(12)으로부터 일체로 하방으로 연장형성된다. 또한, 제1김치커팅날(30)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제1홈(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형성되며, 제1김치커팅날(30)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일측방향으로 날(31)이 서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2김치커팅날(40)는 소정길이를 갖는 스틱형태로 형성되며, 제2홈(22)으로부터 일체로 상방으로 연장형성된다. 또한, 제2김치커팅날(40)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제2홈(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형성되며, 제2김치커팅날(40)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일측방향으로 날(41)이 서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제1김치커팅날(30)과 제2김치커팅날(40)의 각각의 날(31,41)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제1날부(11)과 제2날부(21)의 측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제1김치커팅날(30)과 제2김치커팅날(40)은 서로 동일한 간격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제1김치커팅날(30)과 제2김치커팅날(40)은 제1날부(11)와 제2날부(21)가 오므려진 상태에서 일대일로 대응되어 서로의 끝단이 만나도록 배치되며, 이때, 제1김치커팅날(30)과 제2김치커팅날(40)의 각각은 도 4와 같이, 상호 끝단이 소정높이 겹쳐 교차하도록 형성된다.
도 2와 같이, 사용자가 손잡이(13,23)가 서로 닿도록 손잡이(13,23)를 완전히 쥘 경우, 제1날부(11)와 제2날부(21)는 오므려진 상태가 되며, 이때, 복수의 제1김치커팅날(30)과 복수의 제2김치커팅날(40)은 끝단이 서로 만나 소정높이 겹치도록 교차하게 됨으로써, 제1김치커팅날(30)과 제2김치커팅날(40) 사이에는 복수의 김치배출채널(s)이 형성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채가위의 사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자가 손잡이(13,23)를 벌려, 제1날부(11)와 제2날부(21)를 도 3과 같이 벌린 후, 제1날부(11)와 제2날부(21) 사이에 김치(k)를 놓은 다음 손잡이(13,23)를 완전히 쥐면, 제1날부(11)와 제2날부(21)가 오므려지고, 이에 따라, 복수의 제1김치커팅날(30)과 복수의 제2김치커팅날(40)이 서로 만나 겹쳐지면서 김치(k)를 관통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김치(k)의 일측부를 잡고 제1날부(11)와 제2날부(21)에 대해 측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도 6과 같이, 김치가 제1김치커팅날(30)과 제2김치커팅날(40)의 날(31,41)에 의해 김치의 길이방향 즉 김치결을 따라, 다수의 조각으로 길게 잘려지면서 김치배출채널(s)을 통해 빠져나오게 된다. 이때, 김치(k)는 복수의 제1김치커팅날(30)과 복수의 제2김치커팅날(40)의 간격으로 잘리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본 발명은 제1김치커팅날(30) 및 제2김치커팅날(40)이 제1홈(12)과 제2홈(22)에 일체로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므로, 김치가 잘려지는 폭간격을 조정할 수 없는 구성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제1김치커팅날(30)과 복수의 제2김치커팅날(40)은 각각 제1홈(12)과 제2홈(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홈(12) 및 제2홈(22) 각각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1및제2가이드레일홈(15,25, 도 7참조)이 형성되고, 복수의 제1김치커팅날(30)과 복수의 제2김치커팅날(40) 각각에는 상기 제1및제2가이드레일홈(15,25)에 안내되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돌기(33,43, 도7참조)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각각의 제1김치커팅날(30)과 각각의 제2김치커팅날(40)을 움직여 제1홈(12) 및 제2홈(22)에서의 위치를 조정해줌으로써, 김치의 잘려지는 폭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제1날부(11)의 선단부(11a)와 제2날부(21)의 선단부(21a)에는 홈(13,23)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제1날부(11)와 제2날부(21)가 오므려진 상태에서 제1날부(11)의 선단부(11a)와 제2날부(21)의 선단부(21a)가 서로 교차됨으로써, 범용가위의 커팅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가위편(10)은 힌지(h)와 제1손가락삽입구(13a) 사이에 치차 형태의 복수의 제1파커팅날(51)이 형성되고, 제2가위편(20)은 힌지(h)과 제2손가락삽입구(23a)에 제2파커팅날(53)과 대응되게 제2파커팅날(43)이 형성된다. 제1파커팅날(51)과 제2파커팅날(53)은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제1손잡이(13)와 제2손잡이(23)를 벌린 상태에서, 제1파커팅날(51)과 제2파커팅날(53) 사이에 대파(q)를 넣고, 손잡이(13,23)를 쥐면, 제1파커팅날(51)과 제2파커팅날(53)이 대파(q)로 침투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대파의 일측을 손잡이(13,23)의 측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도 6과 같이, 제1파커팅날(51)과 제2파커팅날(53)에 의해 대파(q)가 여러갈래로 길이방향을 잘라져 파채(q)가 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제1파커팅날(51) 및 제2파커팅날(53)이 도 2와 같이, 치차형태로 형성되어, 도 6과 같이 손잡이(13,23)를 쥐어서, 제1파커팅날(51)과 제2파커팅날(53)이 대파에 침투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대파를 측방으로 잡아당겨 파채형태로 잘려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파커팅날(51)과 제2파커팅날(53)은 치차 형태가 아니라 제1김치커팅날(30)과 제2김치커팅날(40)과 같이 일측방으로 날이 서있고, 소정길이를 스틱형상을 갖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채가위(2)를 설명한다.
제 2 실시 예에 따른 채가위(2)는 제 1 실시 예에 비해, 제1커팅날(30)과 제2커팅날(40)의 형태에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채가위(2)는 제1날부(11)의 하단에 제1산(16a)과 제1골(16b)을 갖는 제1김치커팅용 치차(16)가 형성되며, 제2날부(21)의 상단에는 제2산(26a)과 제2골(16b)을 갖는 제2김치커팅용 치차(26)가 형성된다.
이때, 제1치차(16)와 제2치차(26)는 손잡이(13,23)가 완전히 쥐어져 제1날부(11)와 제2날부(21)가 오므려진 상태에서 제1치차(16)의 제1산(16a)이 제2치차(26)의 제2산(26a)과 서로 만나고 서로의 끝단이 접촉되거나 약간 겹쳐 교차되도록 형성되고, 제1치차(16)와 제2치차(26)의 사이에 김치배출채널(s1)이 형성된다. 이때, 제1산(16a)과 제2산(26a)이 약간 겹치도록 구성될 경우, 겹치는 부분은 2mm 이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손잡이(13,23)를 벌리고 제1날부(11)와 제2날부(21) 사이에 김치(k)를 놓고 손잡이(13,23)를 완전히 쥐면, 도 9와 같이, 제1산과(16a)과 제2산(26a)이 서로 만나 닿거나 약간 겹치면서 김치(k)가 관통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김치(k)의 일측부를 제1날부(11)와 제2날부(21)의 측방으로 잡아당기면 김치가 김치의 길이방향 즉 김치결을 따라 여러조각으로 잘려 김치배출채널(s1)로 배출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제1가위편
11...제1날부
13...제1손잡이
20...제2가위편
21...제2날부
23...제2손잡이
30...제1김치커팅날
40...제2김치커팅날
51...제1파커팅날
53...제2파커팅날

Claims (5)

  1. 선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1홈(12)이 형성된 제1날부(11)가 구비되고, 후단부에 제1손잡이(13)가 형성된 제1가위편(10);
    선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1홈(12)과 마주하는 제2홈(22)이 형성된 제2날부(21)를 구비하고, 후단에 제2손잡이(23)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가위편(10)과 교차되어 힌지(h)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가위편(20); 및,
    상기 제1홈(12)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홈(12)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김치커팅날(30);
    상기 제2홈(22)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2홈(22)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2김치커팅날(40);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김치커팅날(30)과 상기 복수의 제2김치커팅날(40) 각각은 상기 제1날부(11)과 상기 제2날부(21)가 서로 오므려진 상태에서, 서로 만나서 소정길이 겹쳐 교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1김치커팅날(30)과 상기 복수의 제2김치커팅날(40) 각각이 서로 만나서 김치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김치의 일측단을 상기 제1날부(11)와 상기 제2날부(21)의 측방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김치가 상기 제1김치커팅날(30) 및 상기 복수의 제2김치커팅날(40)에 의해 김치의 길이방향대로 여러조각으로 잘려지며,
    상기 제1가위편(10)은 상기 힌지(h)와 상기 제1손잡이(13) 사이에 제1파커팅날(51)이 형성되고, 상기 제2가위편(20)은 상기 힌지(h)와 상기 제2손잡이(23) 사이에 제2파커팅날(53)이 형성되어, 상기 제1손잡이(13) 및 상기 제2손잡이(23) 사이에 대파를 두고 쥔 상태에서, 상기 대파를 측방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대파가 제1파커팅날(51)과 상기 제2파커팅날(53)에 의해 파채형태로 잘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가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김치커팅날(30)과 상기 복수의 제2김치커팅날(40)은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날이 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가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김치커팅날(30)은 상기 제1홈(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2김치커팅날(40)은 상기 제2홈(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김치가 잘려지는 폭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가위.
  4. 삭제
  5. 선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1홈(12)이 형성된 제1날부(11)가 구비되고, 후단부에 제1손잡이(13)가 형성된 제1가위편(10);
    선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1홈(12)과 마주하는 제2홈(22)이 형성된 제2날부(21)를 구비하고, 후단에 제2손잡이(23)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가위편(10)과 교차되어 힌지(h)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가위편(20); 및,
    상기 제1홈(12)으로부터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홈(12)을 따라 형성되는 제1김치커팅용 치차(16);
    상기 제2홈(22)로부터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2홈(22)을 따라 형성되는 제2김치커팅용 치차(26);를 포함하며
    상기 제1김치커팅용 치차(16)의 산(16a)과 상기 제2김치커팅용 치차(26)의 산(26a)은 상기 제1날부(11)과 상기 제2날부(21)가 서로 오므려진 상태에서, 서로 만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김치커팅용 치차(16)의 산(16a)과 상기 제2김치커팅용 치차(26)의 산(26a)이 서로 만나서 김치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김치의 일측단을 상기 제1날부(11)와 상기 제2날부(21)의 측방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김치가 상기 제1김치커팅용 치차(16)및 상기 제2김치커팅용 치차(26)에 의해 김치의 길이방향대로 여러조각으로 잘려지며,
    상기 제1가위편(10)은 상기 힌지(h)와 상기 제1손잡이(13) 사이에 제1파커팅날(51)이 형성되고, 상기 제2가위편(20)은 상기 힌지(h)와 상기 제2손잡이(23) 사이에 제2파커팅날(53)이 형성되어, 상기 제1손잡이(13) 및 상기 제2손잡이(23) 사이에 대파를 두고 쥔 상태에서, 상기 대파를 측방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대파가 제1파커팅날(51)과 상기 제2파커팅날(53)에 의해 파채형태로 잘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가위.
KR1020150009769A 2015-01-21 2015-01-21 채가위 KR101736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769A KR101736090B1 (ko) 2015-01-21 2015-01-21 채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769A KR101736090B1 (ko) 2015-01-21 2015-01-21 채가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025A KR20160090025A (ko) 2016-07-29
KR101736090B1 true KR101736090B1 (ko) 2017-05-29

Family

ID=56617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769A KR101736090B1 (ko) 2015-01-21 2015-01-21 채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60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04367A (ko) 2022-12-28 2024-07-05 대구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양한 형상의 모양칼날을 호환 구비할 수 있는 모양 가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8900B1 (ko) * 2018-06-29 2018-12-10 박재익 다용도 가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437Y1 (ko) 2001-10-26 2002-01-23 강용환 주방용 가위
KR200402940Y1 (ko) 2005-09-06 2005-12-09 박재익 주방용 가위
KR100726583B1 (ko) 2006-10-20 2007-06-11 임성규 절곡가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04367A (ko) 2022-12-28 2024-07-05 대구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양한 형상의 모양칼날을 호환 구비할 수 있는 모양 가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025A (ko) 2016-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6090B1 (ko) 채가위
KR101747808B1 (ko) 야채가위
WO2016080302A1 (ja) 波刃を備える調理器具、調理方法、食材
JP3189679U (ja) 切込み刃を備えた調理器具
JP3180909U (ja) 皮むき器
JP3190072U (ja) 切込み刃を備えた調理器具
JP5613355B1 (ja) 切込み刃を備えた調理器具
KR100726583B1 (ko) 절곡가위
JP5968515B1 (ja) 波刃を備える調理器具
KR20100008309U (ko) 손톱깎기
US2886889A (en) Device to form and shape butter or substances of a similar consistency or nature into ribbon-like or ball-like portions
JP4392703B2 (ja) 千切り器に用いる被処理食材筋入れ体の製造方法
JP6209701B2 (ja) 切込み刃を備えた調理器具
JP3191820U (ja) パン切用ナイフ
JP6174062B2 (ja) 切込み刃を備えた調理器具
JP3111266U (ja) 包丁用スライスガード
JP3189680U (ja) 切込み刃を備えた調理器具
KR20190062945A (ko) 감자껍질 대패형 반구 나이프
JP3219083U (ja) 二段峰四徳包丁
KR200443620Y1 (ko) 구근류 국수가락 제조용 커터기
JPH02131898A (ja) 野菜保持具
KR101908592B1 (ko) 절삭물 부착방지 홈이 구비된 가위
JP3207150U (ja) パン切り包丁
KR20160079225A (ko) 칼 가이드가 달린 도마
US1072243A (en) Fruit-knif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