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8309U - 손톱깎기 - Google Patents

손톱깎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8309U
KR20100008309U KR2020090001550U KR20090001550U KR20100008309U KR 20100008309 U KR20100008309 U KR 20100008309U KR 2020090001550 U KR2020090001550 U KR 2020090001550U KR 20090001550 U KR20090001550 U KR 20090001550U KR 20100008309 U KR20100008309 U KR 201000083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il
cutter
cut
nails
cli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15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병열
Original Assignee
공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병열 filed Critical 공병열
Priority to KR20200900015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8309U/ko
Publication of KR201000083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30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2Nail clippers or cutters

Landscapes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편리하고 안전하면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손톱깎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손톱을 바른 모양으로 자르고 가꿀 수 있도록 하고, 손톱을 자를 때 손가락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동시에 일회의 동작으로 빠른 시간에 자를 수 있으며, 누구나 손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여러 개의 손톱삽입부를 형성하여 사용자 손톱에 맞는 크기의 손톱삽입부에 손톱을 밀어 넣어 편리하게 손톱을 자를 수 있으며, 자른 손톱의 처리에 있어서 별도로 손톱을 수거하는 불편이 없도록 하고, 손톱이나 손가락 손상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손톱깎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손톱깎기는, 손톱깎기 몸체와, 손톱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된 두 개 이상의 손톱삽입부와, 상기 손톱삽입부를 중심으로 설치되고 상기 손톱삽입부를 통과한 손톱에 대하여 횡단 절단력을 가하여 손톱이 잘려지게 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커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손톱깎기, 네일커터, 손톱다듬기

Description

손톱깎기{A nail clipper}
본 고안은 편리하고 안전하면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손톱깎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손톱을 바른 모양으로 자르고 가꿀 수 있도록 하고, 손톱을 자를 때 손가락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동시에 일회의 동작으로 빠른 시간에 자를 수 있으며, 누구나 손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여러 개의 손톱삽입부를 형성하여 사용자 손톱에 맞는 크기의 손톱삽입부에 손톱을 밀어 넣어 편리하게 손톱을 자를 수 있으며, 자른 손톱의 처리에 있어서 별도로 손톱을 수거하는 불편이 없도록 하고, 손톱이나 손가락 손상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손톱깎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흔히 사용하는 손톱깎기는 커터날 사이에 손톱을 넣고 커터를 누르고 그 누름압력으로 손톱이 전단되도록 작동되는 것을 사용한다.
일반적인 손톱깎기 구조는 탄성이 있는 금속철판을 프레스 가공 등의 방법으로 일단에 커터를 구비하는 손톱깎기 본체 형상을 반가공 한 후, 여기에 누름압력을 지렛대 원리로 전달할 수 있는 작동대(지렛대)를 조합한 것이다.
종래 손톱깎기(10)의 커터(11) 모양은 도 1과 같은 초승달 모양이 대표적이 다. 커터(11)는 몸체(12)의 끝단에 위치하여 방해받지 않고 손톱을 커터(11) 사이에 집어넣을 수 있게 몸체(12)의 탄성으로 상시 탄력을 받아 누르지 않으면 벌어져 있는 상태이고, 커터(11)의 날은 서로 대응되도록 수직으로 마주보는 대칭형으로서 누름력이 전달되면 날카로운 날이 직접 서로 닿아 전단력을 발생시킨다.
몸체(12)는 위와 같은 커터(11)를 직접 일단에 구비하는 부분으로서, 작동대(13)의 누름압력에 따라 커터(11)에 전단력이 생기게 하고 누름압력이 없어지면 몸체(12) 자체 탄력 반발로 커터(11)를 벌어지게 하여 전단력이 없게 한다.
작동대(13)는 위 몸체(12)와 핀(14)을 축으로 결합되어 있고, 끝에는 몸체(12)의 커터(11)를 누를 수 있는 돌기가 있으며, 안쪽에는 손발톱을 갈거나 다듬을 수 있는 다듬판(15)이 있다.
일반적인 손톱깎기(10)의 사용 불편이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개량된 손톱깎기에 대한 기술이 알려져 있는데, 공통적으로 위에서 열거한 커터(11) 및 몸체(12)의 상호 관계에 의한 기본 구조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작동대(13)를 누를 때 드는 힘을 덜기 위한 것, 또는 작동이나 조작을 보다 편하게 하기 위하여 몸체(12)의 형상과 작동대(13)의 조합 변경에 관한 것 등과 같이 부분적 조합 개량에 관한 것이고, 주변적으로는 손톱을 채집할 수 있게 한 것, 또는 다목적 다기능화 되도록 한 것 등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손톱깎기(10)는 작동대(13)를 눌러서 전단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므로 사용이 어렵고 불편했으며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사용이 어려우며 안전하지도 못하다. 작동대(13)를 눌러야 하므로 사용이 어 렵고 잘못 사용하면 손톱이 깊게 잘릴 수 있어 안전하지 않다.
자를 때 육안으로 대강 전단 부위를 예상하고 조작하므로 잘려지는 길이나 희망하는 모양으로 정확히 조정하기 어렵고 바른 모양으로도 자를 수 없다. 작동대(13)를 강하게 눌러서 자르게 되므로 취급자에 따라 제대로 자를 수 있고 그렇지 못할 수 도 있어 누구나 손쉽게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유아는 사용하지 못한다.
손톱 끝은 통상 둥그렇게 자르게 된다. 커터(11)의 모양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형성되지만 실제로 한번에 둥그런 모양으로 손톱을 자를 수 없어 여러 번 반복하여 자르게 되므로 시간이 많이 걸린다.
손톱 모양을 원하는 데로 자유롭게 자르기 어려우며, 잘린 손톱이 외부로 튀게 되어 채집 기능이 있는 것을 사용하거나 아니면 다시 모아 버려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은 편리하고 안전하면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손톱깎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손톱 바른 모양으로 자르고 가꿀 수 있는 손톱깎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손톱을 자를 때 손톱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동시에 일회의 동작으로 빠른 시간에 손톱을 자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누구나 손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손톱의 회수 처리가 가능하며, 손톱이나 손가락 손상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손톱깎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손톱깎기는,
손톱깎기 몸체와,
손톱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된 두 개 이상의 손톱삽입부와,
상기 손톱삽입부를 중심으로 설치되고 상기 손톱삽입부를 통과한 손톱에 대하여 횡단 절단력을 가하여 손톱이 잘려지게 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커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는 분리 결합 가능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의 측면상에 서로 다른 크기의 손톱삽입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터는, 상기 몸체에 지지 고정되는 고정판이 있으며, 그 고정판의 일부면은 손톱을 절단하는 날면을 갖는 커터날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터는, 상기 몸체에 지지 고정되는 고정판이 있으며, 그 고정판의 일부가 절결된 틈으로 이루어지고, 그 절결된 틈의 면부는 손톱이 절단되도록 하는 날면을 갖는 커터날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터는, 상기 손톱삽입부를 기준으로 측면 어느 한쪽 방향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터는, 상기 손톱삽입부를 기준으로 측면 양쪽 방향에 대칭적으로 장 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손톱삽입부는 손가락의 접촉을 유도하기 위하여 선단면 표면이 안쪽으로 둥근 라운드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손톱깎기는, 편리하고 안전하면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손톱의 바르게 자르고 가꿀 수 있도록 하면서도 손톱 절단에서 손톱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동시에 일회의 동작으로 빠른 시간에 손톱 전단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하여 취급자나 사용자 구분 없이 누구나 손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손톱의 회수 처리에 있어서 별도로 손톱을 수거하는 불편이 없도록 하고, 손톱이나 손가락 손상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톱깎기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톱깎기의 배면 사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톱깎기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톱깎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식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식형 커터로서, (a)는 단식 라운드 날면 커터, (b)는 단식 라운드 날면 커터, (c)는 단식 직선 날 면 커터의 예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틈이 형성된 단식형 커터로서, (a)는 단식 라운드 날면 커터, (b)는 단식 라운드 날면 커터, (c)는 단식 직선 날면 커터의 예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복식형 커터로서, (a)는 복식 라운드 날면 대응형 커터, (b)는 복식 라운드 날면 대응형 커터, (c)는 복식 직선 날면 대응형 커터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터의 장착 예로서, (a)는 커터의 좌측 배치상태, (b)는 커터의 우측 배치상태, (c)는 커터의 좌우측 배치상태 이다.
본 고안에 따른, 손톱깎기(20)는,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손톱깎기 몸체(21)와, 손톱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된 두 개 이상의 손톱삽입부(22)와, 상기 손톱삽입부(22)를 중심으로 설치되고 상기 손톱삽입부(22)를 통과한 손톱에 대하여 횡단 절단력을 가하여 손톱이 잘려지게 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21)에 구비되는 커터(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손톱깎기 몸체(21)는 분리 결합 가능한 상부케이스(23)와 하부케이스(24)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21)의 측면상에 서로 다른 크기의 손톱삽입부(22)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부케이스(23)와 하부케이스(24)의 결합은,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일반적인 케이스 조립 방법에 따른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조립이 가능하고, 또한 서로 결합되는 부분에 후크를 형성하고 대응되는 위치에 단턱을 만들어 후크가 탄력적으로 단턱에 맞물려 조립되는 구조의 적용도 가능하다.
상기 손톱삽입부(22)는 도 5에 도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21)가 사 각형인 경우 각 측면을 활용하여 최소한 4개소(A/B/C/D)에 각각 구성할 수 있으며, 그 크기는 서로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몸체(21)에 형성되는 손톱삽입부(22)는 손가락의 접촉을 유도하기 위하여 선단면 표면이 안쪽으로 둥근 라운드형으로 구성하는 경우 손톱을 보다 안전하고 바르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21)에는 다듬판(25)을 부착할 수 있고, 축출구멍(26)을 뚫어 몸체(21)의 내부측 커터(30)에서 잘려진 손톱이 바로 외부로 축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커터(30)는, 도 6과 같이, 상기 몸체(21)에 지지 고정되는 고정판(31)이 있으며, 그 고정판(31)의 일부면은 손톱을 절단하는 날면(33)을 갖는 커터날부(34)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커터(30)는, 도 7과 같이, 상기 몸체(21)에 지지 고정되는 고정판(31)이 있으며, 그 고정판(31)의 일부가 절결된 틈(32)으로 이루어지고, 그 절결된 틈(32)의 면부는 손톱이 절단되도록 하는 날면(33)을 갖는 커터날부(34)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커터(30)는 도 8과 같이, 고정판(31)을 서로 중첩시켜 상부측 날면(33)과 하부측 날면(33)으로 형성되는 복식형 커터로 구성할 수 있으며, 날면(33)은 직선형이나 곡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터(30)는, 도 9의 (a)(b)와 같이, 상기 손톱삽입부(22)를 기준으로 측면 어느 한쪽 방향에 장착될 수 있고, 도 9의 (c)와 같이, 상기 손톱삽입부(22)를 기준으로 측면 양쪽 방향에 대칭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손톱삽입부(22) 간격은 손톱 두께보다 약간 두꺼운 약 5mm 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톱삽입부(22)가 형성되는 몸체(21)는 손가락 끝부분이 자연스럽게 접촉되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을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커터(30)는, 하나의 고정판(31)에 날면(33)을 갖는 커터날부(34)를 형성한 단식형(도 6 및 도 7)과 커터(30)의 고정판(34)을 서로 맞대응 되도록 배치하여 상부측 날면(33)과 하부측 날면(33)을 각각 형성하여 조합하는 복식형(도 8)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6의 (a)(b)(c)는 단식형 커터(30)로서, 고정판(31)의 한쪽 면을 날면(33)으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며, 도 7의 (a)(b)(c)는 또 다른 단식형 커터(30)를 나타낸 것으로, 고정판(31)의 일부를 절결하여 그 절결된 틈(32)으로 손톱이 지나가도록 하여 손톱을 절단하는 날면(33)을 갖는 커터날부(34)로 구성한 것이고, 도 8은 두 개의 커터(30)를 서로 중첩시켜 상부측 날면(33)과 하부측 날면(33)을 각각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커터날부(34)는, 도 6과 같이, 고정판(31)의 한쪽면을 직접 날면(33)으로 형성하거나, 도 7과 같이, 고정판(31)의 한쪽 방향이 트여진 절결된 틈(32)으로 형성되어 날면(33)을 형성할 수 있으며, 도 8과 같이, 고정판(31)을 서로 중첩시켜 상부측 날면(33)과 하부측 날면(33)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날면(33)은 직선형이나 곡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날면(33)은 직선형의 경우 5ㅀ~ 175ㅀ및 185ㅀ~ 355ㅀ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터(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손톱삽입부(22)를 기준으로 측면 어느 한쪽 방향에 장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손톱삽입부(22)를 기준으로 측면 양쪽 방향에 대칭적이거나 비대칭적으로 장착할 수 있고, 두 개의 커터(30)를 손톱입구부(22)를 중심으로 상부측과 하부측에 각각 장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손톱깎기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손톱깎기(20)는, 몸체(21)에 여러 개의 손톱삽입부(22)가 형성되어 있어, 어느 한 곳에 손톱을 밀어 넣고 일방향으로 밀면 손톱삽입부(22)에 장착된 커터(30)에 의해 손톱이 잘려진다.
하나의 몸체(21)에 여러 개의 손톱삽입부(22)를 구성하되 손톱삽입부(22)의 크기를 달리하면 사용자가 적절히 자신에게 맞는 손톱삽입부(22)를 찾아 간단하게 손톱을 자를 수 있으므로 손톱삽입부(22)의 크기가 작아 손톱이 들어가지 않아 자를 수 없다던가 또는 지나치게 커서 손톱이 흔들려 바르게 잘라지지 않는 등의 문제 없이 몸체(21)에 여러 개 구성된 적당한 크기의 손톱삽입부(22)를 찾아서 손톱을 넣어 자를 수 있다.
몸체(21)에는 손톱이 진입할 수 있는 손톱삽입부(22)가 형성되어 있어 이곳을 통하여 손톱을 집어 넣고 한쪽 방향으로 미는 방법으로 이동시키면 손톱이 커터(30)의 예리한 날면(33)에 의해 잘리게 되고, 손가락은 손톱삽입부(22)를 통과하 지 못하므로 안전하게 손톱을 자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지렛대나 작동대를 동작시켜 누름 전단력으로 손톱을 자르는 통상의 손톱깎기와 달리 본 고안에 따른 손톱깎기는 손톱을 몸체(21)의 손톱삽입부(22)에 넣고 손가락만을 이동시켜 손톱을 절단할 수 있으므로 통상의 조작방법에 의한 구조에서와 같은 지렛대 또는 작동대 조작에 따르는 여러 조작을 하지 않아도 된다.
본 고안을 구성하는 손톱깎기(20)의 주요 부분은 몸체(21)와 한 개 이상의 손톱삽입부(22), 커터(30)로 되어 있다.
손톱삽입부(22)는 몸체(21)에 손톱을 넣을 수 있게 유도하기 위한 부분이며, 그 형상은 손톱의 끝부분 진입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손톱삽입부(22)의 형상을 손톱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하면 손톱삽입부(22)를 통해 쉽게 손톱을 넣을 수 있다.
손톱삽입부(22)를 구성하는 상하부면을 손톱 모양에 대응되도록 서로 대칭적인 둥근 라운드면으로 형성하면 손톱을 쉽게 손톱삽입부(22)로 넣을 수 있고, 손톱삽입부(22)의 사이즈를 충분히 확보하면 수평 상태로 하여도 손톱을 넣는데 어려움이 없다.
몸체(21)에 형성되는 손톱삽입부(22)는 손가락 끝부분이 자연스럽게 접촉되도록 유도한다.
커터(30)는 몸체(21) 내부에 고정되며, 상부케이스(23)와 하부케이스(24)가 분리 조합 가능한 구조에서는 상부케이스(23)와 하부케이스(24)를 분해한 상태에서 커터(30)를 자유롭게 교체 가능하여 커터(30)의 날면(33)이 무뎌지면 새것으로 교 체 가능하다.
커터(30)는 도 6과 같이, 고정판(31)의 단부를 날면(33)으로 가공한 것을 사용하여도 되며, 도 7과 같이, 고정판(31)의 일부를 절결하여 그 절결된 틈(32)으로 손톱이 지나가도록 하여 손톱을 절단하는 날면(33)을 갖는 커터날부(34)로 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8과 같이, 두 개의 커터(30)를 서로 중첩시켜 상부 날면(33)과 하부 날면(33)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여 사용하여도 된다. 날면(33)은 직선형이나 곡면형으로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몸체(21)의 손톱삽입부(22)를 중심으로 장착되는 커터(30)는, 도 9의 (a)(b)(c)와 같이, 손톱삽입부(22)를 기준으로 측면 어느 한쪽 방향에 장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손톱삽입부(22)를 기준으로 측면 양쪽 방향에 대칭적이거나 비대칭적으로 장착할 수 있고, 또한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두 개의 커터(30)를 손톱입구부(22)를 중심으로 커터고정블럭(41)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각각 장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별도의 작동대나 지렛대를 이용하지 않고 바로 손톱삽입부(22)에 집어 넣어 커터(30)에 손톱을 접촉시켜 자를 수 있으므로 편리하면서도 손톱이 깊게 잘리지 않으며, 손가락은 손톱삽입부(22)의 표면에만 접촉하여 손가락은 커터(30)에 접촉하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손톱을 자를 때에는 육안으로 대강 손톱을 자를 부위를 예상하고 자신에게 맞는 손톱삽입부(22)의 크기를 선택한 후 손톱을 손톱삽입부(22)에 넣을 수 있으므로 손톱 크기와 손톱삽입부(22)의 크기가 일치하지 않아서 손톱을 자르지 못하는 문제 없이 잘려지는 길이나 희망하는 모양으로 정확하게 조정하면서 자를 수 있다.
또한 작동대를 눌러서 손톱을 자르는 통상의 손톱깎기와는 달리 손톱을 손톱삽입부(22)에 밀어 넣어 자르기 때문에 남녀노소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자를 수 있다.
또한 손톱을 손톱삽입부(22)에 밀어 넣고 손가락을 작은 힘으로 한쪽 방향으로 밀어 한번에 자를 수 있으므로 손톱을 자르는 시간이 단축되고 잘려진 손톱은 별도의 채집장치나 부가장치 없이 몸체(21)에 형성된 축출구멍(26)을 통해 간단히 축출하여 회수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 되었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극히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손톱깎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톱깎기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톱깎기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톱깎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톱깎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식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식형 커터로서, (a)는 단식 라운드 날면 커터, (b)는 단식 라운드 날면 커터, (c)는 단식 직선 날면 커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틈이 형성된 단식형 커터로서, (a)는 단식 라운드 날면 커터, (b)는 단식 라운드 날면 커터, (c)는 단식 직선 날면 커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복식형 커터로서, (a)는 복식 라운드 날면 대응형 커터, (b)는 복식 라운드 날면 대응형 커터, (c)는 복식 직선 날면 대응형 커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터의 장착 예로서, (a)는 커터의 좌측 배치상태, (b)는 커터의 우측 배치상태, (c)는 커터의 좌우측 배치상태.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손톱깎기
21: 몸체
22: 손톱삽입부
23: 상부케이스
24: 하부케이스
25: 다듬판
26: 축출구멍
30: 커터
31: 고정판
32: 틈
33: 날면
34: 커터날부

Claims (8)

  1. 손톱깎기 몸체와,
    손톱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된 두 개 이상의 손톱삽입부와,
    상기 손톱삽입부를 중심으로 설치되고 상기 손톱삽입부를 통과한 손톱에 대하여 횡단 절단력을 가하여 손톱이 잘려지게 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커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깎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분리 결합 가능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의 측면 상에 서로 다른 크기의 손톱삽입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깎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손톱삽입부는 손가락의 접촉을 유도하기 위하여 선단면 표면이 안쪽으로 둥근 라운드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깎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상기 몸체에 지지 고정되는 고정판이 있으며, 그 고정판의 일부 면은 손톱을 절단하는 날면을 갖는 커터날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깎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상기 몸체에 지지 고정되는 고정판이 있으며, 그 고정판의 일부가 절결된 틈으로 이루어지고, 그 절결된 틈의 면부는 손톱이 절단되도록 하는 날면을 갖는 커터날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깎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상기 손톱삽입부를 기준으로 측면 어느 한쪽 방향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깎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상기 손톱삽입부를 기준으로 측면 양쪽 방향에 대칭적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깎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손톱삽입부는 손가락의 접촉을 유도하기 위하여 선단면 표면이 안쪽으로 둥근 라운드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깎기.
KR2020090001550U 2009-02-12 2009-02-12 손톱깎기 KR2010000830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550U KR20100008309U (ko) 2009-02-12 2009-02-12 손톱깎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550U KR20100008309U (ko) 2009-02-12 2009-02-12 손톱깎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309U true KR20100008309U (ko) 2010-08-20

Family

ID=44453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1550U KR20100008309U (ko) 2009-02-12 2009-02-12 손톱깎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830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8799A1 (ko) * 2012-09-07 2014-03-13 Kong Boung Yul 손톱 깎기
KR101950251B1 (ko) 2018-11-13 2019-02-21 (주)쁘띠엘린 아기울타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8799A1 (ko) * 2012-09-07 2014-03-13 Kong Boung Yul 손톱 깎기
KR101950251B1 (ko) 2018-11-13 2019-02-21 (주)쁘띠엘린 아기울타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84144A3 (en) Shaving razor and blade unit with improved guard
PL1708855T3 (pl) Dwukierunkowe urządzenie do golenia
MY140128A (en) Shaving razor with trimming blade
EP3787857B1 (en) A hair cutting system
US20070209214A1 (en) Hybrid scissor and razor
US20110219619A1 (en) Nail clippers
KR200460910Y1 (ko) 손톱깎기
KR20100008309U (ko) 손톱깎기
KR100913457B1 (ko) 손톱깎기
CN203062818U (zh) 一种带有锁定装置的可拆卸刀头的毛发剪
KR100920095B1 (ko) 손톱깎기
CN205040879U (zh) 指甲剪
KR101350392B1 (ko) 손톱 깎기
KR20100006801U (ko) 휴대용 엑셀파이프 절단기
KR20100084878A (ko) 손톱깎기
CN202129802U (zh) 一种安全裁纸刀具
KR102544773B1 (ko) 마이크로 커터를 갖는 각질제거판 및 이를 채용한 각질제거기
JP3151055U (ja) 押し切り安全手動刃物
KR20110002740U (ko) 손톱깎기
KR20110002741U (ko) 손톱깎기
CN205660758U (zh) 一种改进型西瓜刀
KR20200068330A (ko) 손톱깎기
JP3111266U (ja) 包丁用スライスガード
KR101908592B1 (ko) 절삭물 부착방지 홈이 구비된 가위
CN204712078U (zh) 双刀式刀具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