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2945A - 감자껍질 대패형 반구 나이프 - Google Patents

감자껍질 대패형 반구 나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2945A
KR20190062945A KR1020170161640A KR20170161640A KR20190062945A KR 20190062945 A KR20190062945 A KR 20190062945A KR 1020170161640 A KR1020170161640 A KR 1020170161640A KR 20170161640 A KR20170161640 A KR 20170161640A KR 20190062945 A KR20190062945 A KR 20190062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fe
potato
hemispherical
peel
sphe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삼훈
Original Assignee
배삼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삼훈 filed Critical 배삼훈
Priority to KR1020170161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2945A/ko
Publication of KR20190062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9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3Household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3/00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 B26B3/03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off slices one by 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9/00Blades for hand knives
    • B26B9/02Blades for hand kniv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ing edge, e.g. wav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자 및 고구마,무,당근,등의 껍질 제피용 톱니 날이 이중으로 구성되어 껍질만 얇게 제거하는 대패형 반구의 나이프로서,
상세하게는, 곡면의 울퉁불퉁한 감자 또는 고구마를 한손에 쥐고.
한손으로는 이중을 평면각과 톱니 날이 구성된 반구형의 나이프로 긁어대는 동작만으로 감자 및 고구마 껍질만을 얇게 제거할 수 있고, 별도의 칼,도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감자,고구마의 움푹파인 부분도 제거할 수 있는 2개의 이중 라인으로 평면각과 톱니 날이 구성된 껍질만을 벗기는 제피용 기구이다.
특히, 일정한 거리를 두고 조직적으로 2중으로 구성된 평면각의 대패형 날과 톱니 날이 껍질 표면에 닿는순간, 손의 가압력에 의해 톱니 날과 평면각 날이 감자,고구마의 껍질은 벗기지만 감자,고구마 속으로 톱니 날이 파고들 수 없는 빗금과 반구의 구조로써, 감자의 속살을 베어낼수 없다.
감자,고구마,당근,무의 속살 낭비와 영양가 손실없이 신속하게 껍질만 얇게 벗기는 대패형 반구 나이프이다.
색인어
껍질,빗금,절단면,평면각,톱니 날

Description

감자껍질 대패형 반구 나이프{omitted}
본 발명은 감자,고구마 ,당근,무,껍질 제거용 금속 및 세라믹,합성수지 나무재질의 빗금형 V자 형 톱니 날 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감자는 일반 가정,식당에서 찌개,국,볶음에 사용되는 식재료로써,
그러나,가정,식당에서 껍질을 벗겨내는 과정이 가장 어렵고 힘든 식재료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감자를 한손에 쥐고,또다른 한손으로, 2개 라인의 톱니날이 일체형의 제피기로 구성되어, 감자표피를 문지르고,볏겨내는 동작으로 감자껍질을 제피할 수 있고, 별도의 칼 및 도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움푹파인 홈부분의 감자싹 및 썩은부위를 용이하게 도려낼수 있는 홈파기를 겸용하는 칼날형상의 평면각과 톱니 날이 다수가 구조되어 울퉁불퉁한 감자표면에 골고루 마찰을 발생시켜 껍질을 제피하는 2개의 톱니 라인이 하나로 구성된 대패형 반구(半球)의 나이프(knife)에 관한 것이다.
선등록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절첩식 감자깎이"
(20-0314295)본 고안은 감자 껍질을 깎기 위해 사용하는 절첩식 감자깎이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칼이 연결·설치되어 있는 연결부재와,상부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개구된 칼날이 서로 대칭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고, 일측 단부에는 썩은 부위를 도려내기 위한 홈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절첩식 감자깎이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칼날이 구성된 공간이 협소하여 감자가 깍이는 부위가 좁고,칼날이 일직선으로 되어 감자표피와 맞닿는 면적이 극히 협소하여 오랜시간 감자의 껍질을 제피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또한,선등록된 "감자 칼"(20-0181079)에 있어서는,
이 고안의 요지는 손잡이 끝 두 갈래 가지에 절삭 프레임 양단 축을 장착하고, 절삭 프레임에 밀착판과 평행한 절삭칼과 함께 톱니를 긁개로 활용할 수 있게 한 감자칼로서,
그러나,절삭칼이 직선으로 구성되어 울퉁불퉁한 구형의 감자표피에 닿지아니하여 껍질을 제피할 수 없고,
동시에 감자표면에 날카로운 톱자국이 남아 감자 제피용으로는 많은 불편함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주방에서 감자,고구마,당근,무의 껍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칼을 사용하여 껍질을 제거하거나,
손잡이가 달린 도구 등을 이용하여 껍질을 제거하게 되는데, 칼이나 손잡이가 달린 커터기를 사용하게 되면
감자 표면의 굴국진 부분과 독성이 있는 감자싹과 움푹파인 홈부분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고,시간이 오래걸리고,
가정주부가 주방에서 반복적으로 가장 힘든일 중에 하나가 감자껍질 깍이가 차지한다.
또한,감자 껍질층을 칼로 두껍게 깍아내어 감자의 손실이 크며,
특히,두꺼운 껍질속에는 감자 영양소의 70%이상이 포함되어있어, 영양가의 손실이 크다고 공지되어있다.
따라서, 감자 속살을 베어내는 칼이나 손잡이가 달린 커터기를 사용하지 않고,감자의 재료낭비와 영양가 손실을 방지하고,
감자의 살속으로 칼날이 침투되지않고,감자껍질 만을 얇게 제피하고,
누구나 한손으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칼날에 의한 손에 상처를 방지하는 안전하게 감자껍질을 얇게 제거할수있는 톱니 날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한 간격을 갖는 2개 라인의 다수개의 톱니 날이 동시에 작동되어 감자,고구마, 껍질을 문지르는(대패질)동작만으로 껍질을 신속하게 얇게 제피할수있으며,
감자,고구마의 속살을 낭비하지않고,영양가를 손실없이 보존 할수있으며,
독성이 있는 감자싹과 움푹파인 홈을 청결하게 제거하며,
감자,고구마,당근,무의 표피에 닿는 부위에서 마찰력이 증진되어 손쇱게 껍질만 벗겨지는 대패 기능을 갖는겄을 목적으로 한다.
2개 라인의 V형의 톱니 날과 평면각 날이 일직선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구성되며,2개라인은 일체가 되어 하나로 통합되고,
껍질을 벗기는 손동작에 2개의 톱니 날과 평면각이 동시 작동되어 ,껍질 벗기는 능률이 배가되며,
V자형의 홈이 빗금으로 구성된 톱니와 평면각가 경사지게 규칙적으로 반복 형성되어 칼,톱날처럼 감자,고구마의 속살을 베어내거나, 표피에 상처를 낼 수 없게 하며, 절단면을 곡선으로 구성하여 감자와의 밀착되는 부위를 넓혀 껍질을 빠르게 벗기는 겄,과
껍질벗기는 손동작시 반복되는 손목회전에 의한 근육 과부하로 손목의 피로감을 감소시키며,
벗겨진 껍질이 신속하게 배출되게 반구형의 공간부를 구성하는겄,과
독성이 있는 감자싹과 썩은 부위를 도려내는 홈파기 기능과,
엄지와 검지가 쥐는 면적은 좁고 손바닥쪽은 면적이 넓은 유선형 또는 나무의 원통형으로 구성하여 손에서 이탈을 방지하는겄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금속또는 합성수지 톱니 날이 감자,고구마의 표면에 닿는순간에 2개 라인의 저면에 빗금으로 다수가 경사지게 구성된 V지형 톱니 날과 날카로운 평면각이 동시에 하나로 작동되어,
감자,고구마 표피를 긁어대는 "대패"같은 마찰기능이 배가되어, 손에 쥐고 표피를 문지르는 "대패질" 동작만으로 짧은 시간내에 껍질을 얇게 제피할수 있으며, 앞과 뒤로 반복적으로 작업되는 손목의 과부하에 의한 통증을 예방하고,감자,고구마,당근,무,의 속살 낭비와 영양소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반구 나이프의 평면 및 톱니 날의 상세도.
도 2는 본 발명의 반구 나이프 저면의 빗금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반구 나이프와 손잡이부 결합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반구 나이프 6: 톱니 날 11:결합구
2: 손잡이 7: 홈파기 12:곡선각
3: 절단면 8: 통공부 13:천공
4: 빗금 9: 공간부
5: 평면각 10: 결착홈
본발명의 구성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유선형 손잡이(2)와, 일단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반이 절개되어 좌,우에 2개의 절단면(3)이 각각 일자형으로 구성되고 손잡이와 결합되어 일체화된 겄으로,
2개의 절단면 라인에 각각 껍질을 벗겨내는 다수개의 V자 홈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빗금(4)으로 경사지고, 90°각의 평면각(5)과 톱니 날(6)이 구조된 "대패"기능의 반구(半球)의 나이프(knife)(1)와 손잡이로 구성된다.
2개의 절단면이 합쳐지는 일단에는 상하거나,썩은부위를 파낼 수 있는 뾰족한 홈파기(7)가 구조되고,
손잡이부 앞부위는 엄지와 검지로 쥐고, 동시에 손바닥으로 움켜쥘수 있는, 면적이 넓고 볼록한 유선형또는 원통형으로 통공부(8)가 구성된 손잡이로 구성된다.
특히, 감자,고구마,당근,무,에 있어서,대표적으로 둥글고 울퉁불퉁한 감자를 속살의 손실없이 껍질만을 얇게 벗겨내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왼손은 감자를 쥐고, 오른손은 반구나이프의 손잡이를 쥐고 손힘(가압력)을 감자껍질에 가하는 동시에, 손목을 좌,우로 비틀면서,감자껍질를 전,후로 긁어내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하여,
2개 라인의 절단면(3)에 다수개의 빗금으로 구조된 V자 홈의 사선으로 구성된 대패형상의 날카로운 평면각(5)과 뾰족한 톱니 날(6)에 감자표피를 벗겨내는 "대패"기능이 발생되고,
빗금의 V자로 구조된 다수개의 평면각과 톱니 날이 감자표피를 동시 다발적으로 긁어냄으로써 감자 껍질을 얇게 벗겨낼수 있다.
평면각이란, 절단면에 빗금으로 V자 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면서,
사선으로 구조된 직각(90°)의 평면이 날카로운 각(角)을 형성하여,
절단면이 전체적으로 "대패" 날처럼 감자껍질을 깍아내며,
톱니 날은 V자 홈의 앞 부위에 돌출된 뾰족한 부위로써, 껍질을 찢는 역할을 하여,표면의 껍질을 찢고 깍아내는 역할이 평면각과 톱니에서 동시에 순간적으로 발생한다.
껍질을 벗기기위한 반복적인 손놀림에 감자표피에 가압력이 발생되면서 VVV 형상의 연속적으로 구조된 V자 홈의 좌,우에 형성된 90°로 각(角)진 빗금(사선)의 평면각과 톱니 날이 "대패"로 사용되어,
울퉁불퉁한 감자 곡면을 손힘으로 반구의 나이프를 반복적으로 앞으로 긁거나, 뒤로 밀쳐낼 때,사선으로 구조된 V자의 좌,우 평면각과 톱니날의 "대패"기능에 감자 껍질이 빗금의 사선으로 밀려나면서 벗겨진다.
2개 라인의 절단면에 빗금으로 구조된 다수(50~320개)의 평면각과 톱니 날이 동시에 감자표피를 무작위로 전,후로 긁어냄으로써, 신속하게 감자껍질(표피)을 얇게 벗길 수 있다.
2개 라인의 절단면에 빗금으로 구조되는 V자 홈은 각각 1개 라인에 25~160개가 바람직하며,빗금이 구조된 절단면의 길이는 60~120mm이고, 반구나이프의 높이는 4~12mm,폭(넓이)은 5~15mm이며, 외형상으로는 일단이 뾰족하고 길게 반구로 절개된 형상 이다.
또한,반구(半球)의 나이프(knife)내측에,2개의 절단면 라인의 중심부에 구성된 반구의 공간부(9)는,
손으로 반구 나이프의 손잡이를 쥐고 감자의 울퉁불퉁한 곡면의 껍질을 돌려가며 벗겨낼 때, 감자의 곡면 경사각은 수시로 변한다.
따라서,껍질을 앞으로 긁어내는 반구 나이프의 경사각, 껍질을 뒤로 밀쳐내면서 벗기는 짧은 순간에 빗금의 평면각과 톱니가 구성된 2개 라인의 절단면을 번갈아 가면서 임의로 감자표피에 앞으로 긁거나,뒤로 밀쳐내거나 하여, 껍질에 최상의 "대패"력을 순간,순간 조절할수 있어야 하며,
빗금의 2개 절단면 두께는 각각의 두께는 0.5~2mm으로써,
2개 라인의 절단면과 공간부가 구성된 반구나이프의 저면은 외형상으로 평면을 이룬다.
공간부는 벗겨진 감자껍질을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벗겨지는 감자껍질의 폐기물을 즉시 배출을 위하여 공간부의 중심부를 장방형으로 천공(13)시켜 껍질이 공간부에 적체되는겄을 방지할수 있다.
손의 가압력으로, 반구 나이프가 처음 닿는 감자표면을 제외한 감자의 좌,우는 울퉁불퉁하거나,급경사진 곡면의 허공임으로,
반구 나이프가 직선으로 구조되면, 감자의 급경사된 곡면에 감자 껍질과의 마찰(대패질)이 않됨으로 일자형의 절단면에 구조된 대패질의 평면각과 톱니날은 대부분 허공에 뜬다.
따라서,다수개의 V자 홈이 규칙적으로 연속된 2개의 절단면 라인은 중심부가 다소간의 곡선을 구성하여, 절단면의 평면각과 톱니 라인과 구(球)형의 감자와 닿는 곡면을 확장시켜 벗겨지는 껍질의 량을 증량시킬 수 있다.
2개의 절단면 라인은 각각 3~10°의 곡선각(12)을 이루는겄이 바람직하며, V자 홈은 U자 홈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이때,2개 라인의 절단면을 따라 규칙적으로 구성된 빗금(사선)의 평면각과 톱니의 날은 날카로운 칼의 기능을 할수없음으로 감자의 속살을 베어낼 수 없고,감자의 표피만 얇게 벗기는 "대패" 같은 역할을 한다.
또한,유선형또는 원통형 손잡이에 손힘을 가하여 감자를 앞으로 긁거나,뒤로 밀쳐내면서 긁을 때 손목에 많은 힘을 주게된다.
곡면의 감자부위에 손의 가압력을 직접가하는 2개의 절단면의 평면각과 톱니 날이 2개 라인으로 구성된 반구 나이프는 좁고,반구형으로 길며, 손으로 움켜쥐는 손잡이는 유선형 또는 원통형으로 볼록하게 구성되어야 손의 가압력이 평면각과 톱니 날에 골고루 전달되어 빠르게 감자 껍질을 벗겨낼수있다.
동시에, 볼록하고 두툼한 손잡이가 손바닥에 밀착되어 반복적으로 감자를 전방위로 긁어낼 때 손목에 가해지는 피로중의 과부하을 감소시켜 손목통증을 예방한다.
반구 니이프와 손잡이의 재질은 금속,세라믹,합성수지,나무,중에서 선택되며, 반구 나이프의 결착홈(10)과 손잡이의 결합구(11)가 겹합되어 일체형으로 사용된다.
또는,제조상의 필요에 의해서,반구나이프와 손잡이가 금속 또는 합성수지,나무의 같은 재질로 일체형으로 제조되고,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평면각과 톱니 날이 반구나이프에 부착되어 감자껍질 대패질용으로 사용될수 있다.

Claims (3)

  1. 2개의 절단면 라인에 껍질을 벗겨내는 다수개의 V자 홈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빗금(4)으로 90°각의 날카로운 평면각(5)과 뾰족한 톱니 날(6)이 구조되는겄,과
    2개의 절단면(3)이 합쳐지는 일단에 썩은부위를 파낼 수 있는 홈파기(7)가 구조되고,
    통공부(8)가 구조된 손잡이(2)가 유선형 또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는겄을 포함하여,
    2개의 절단면 라인은 각각 3~10°의 곡선각(12)을 이루는겄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껍질 대패형 반구 나이프.
  2. 반구 나이프(1)내측에 2개 라인의 절단면에 빗금으로 다수개의 평면각과 톱니 날 이 구조된 겄,과
    2개 절단면의 두께는 각각 0.5~2mm으로 구성되고,
    빗금이 구조된 절단면의 길이는 60~120mm이며,
    반구나이프의 높이는 4~12mm,폭(넓이)은 5~15mm으로써,
    공간부(9)가 반구형으로 길게 구조되는겄,과 공간부 중앙에 장방형의 천공(13)을 구성하여 껍질을 빠르게 배출하는겄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껍질 대패형 반구 나이프.
  3. 반구 니이프와 손잡이의 재질은 금속,세라믹,합성수지,나무,중에서 하나가 선택되고,
    반구 나이프의 결착홈(10)과 손잡이의 결합구(11)가 겹합되어 일체형으로 사용되며,
    또는,반구나이프와 손잡이가 같은 재질로 일체형으로 제조되고, 금속또는 합성수지,재질의 평면각과 톱니날이 반구나이프에 부착되어 일체형으로 사용되는겄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껍질 대패형 반구 나이프.
KR1020170161640A 2017-11-29 2017-11-29 감자껍질 대패형 반구 나이프 KR201900629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640A KR20190062945A (ko) 2017-11-29 2017-11-29 감자껍질 대패형 반구 나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640A KR20190062945A (ko) 2017-11-29 2017-11-29 감자껍질 대패형 반구 나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945A true KR20190062945A (ko) 2019-06-07

Family

ID=66849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640A KR20190062945A (ko) 2017-11-29 2017-11-29 감자껍질 대패형 반구 나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29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0477A (ko) * 2020-02-06 2021-08-1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랩절단부를 구비한 나무젓가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0477A (ko) * 2020-02-06 2021-08-1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랩절단부를 구비한 나무젓가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1770A (en) Tomato knife
US5572794A (en) Double-edged knife
US8959776B2 (en) Knife safety apparatus
WO2016080267A1 (ja) 調理器具
US20080047149A1 (en) Hand-Holdable Utensils for Food Preparation
WO2016181573A1 (ja) ジグザク形状の刃を備える調理器具、調理方法、食材
KR20190062945A (ko) 감자껍질 대패형 반구 나이프
JP5891338B1 (ja) ジグザク形状の刃を備える調理器具、調理方法、食材
JP2010057870A (ja) 柑橘類の皮剥き器
CN110653851B (zh) 多用途剪刀
JP3189679U (ja) 切込み刃を備えた調理器具
JP3190072U (ja) 切込み刃を備えた調理器具
JP5613355B1 (ja) 切込み刃を備えた調理器具
US414908A (en) Tool for peeling or scraping vegetables
US20230098552A1 (en) Hand-held multi-purpose kitchen tool
US20130036613A1 (en) Deseeder and vegetable peeler
JP3105520U (ja) 皮剥き器
JP6209701B2 (ja) 切込み刃を備えた調理器具
KR200482461Y1 (ko) 기능성 식칼
JPH0637824Y2 (ja) 切削除皮装置
JP6174062B2 (ja) 切込み刃を備えた調理器具
JP6833219B2 (ja) 手で握って使用される道具
KR200350202Y1 (ko) 기능형 식칼
JP2989817B1 (ja) 皮剥具
JP3189680U (ja) 切込み刃を備えた調理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