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4509B1 - 디텐트레버 어셈블리 자동화 생산장치 - Google Patents

디텐트레버 어셈블리 자동화 생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4509B1
KR101734509B1 KR1020160178336A KR20160178336A KR101734509B1 KR 101734509 B1 KR101734509 B1 KR 101734509B1 KR 1020160178336 A KR1020160178336 A KR 1020160178336A KR 20160178336 A KR20160178336 A KR 20160178336A KR 101734509 B1 KR101734509 B1 KR 101734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assembly
detent lever
unit
demagnetizing
de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8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용호
최만호
Original Assignee
(주) 청호열처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청호열처리 filed Critical (주) 청호열처리
Priority to KR1020160178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45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509B1/ko
Priority to JP2018517600A priority patent/JP6595709B2/ja
Priority to PCT/KR2017/005176 priority patent/WO201811734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8Det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Abstract

디텐트레버 어셈블리 자동화 생산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디텐트레버 어셈블리 자동화 생산장치는: 디텐트 플레이트에 샤프트가 가결합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를 공급하는 로딩부와, 로딩부를 통해 이송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의 안착이 이루어지는 장착부와 장착부를 지지하며 회전되는 회전판을 구비하는 제품이송부와, 제품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의 샤프트를 코킹하여 디텐트 플레이트에 샤프트를 고정시키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코킹부와, 코킹이 완료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의 자성을 제거하는 탈자부 및 탈자부를 통과하며 자성이 제거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를 후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언로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텐트레버 어셈블리 자동화 생산장치{AUTOMATED PRODUCTION APPARATUS FOR DETENT LEVER ASSEMBLY}
본 발명은 디텐트레버 어셈블리 자동화 생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변속기에 사용되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의 생산이 자동화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 자동화 생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변속기에 의한 변속단수의 정확한 위치 결정을 위해 디텐트레버 어셈블리(DETENT LEVER ASSEMBLY)가 구비된다. 이러한 자동변속기의 변속에 따른 단수 선택은 디텐트레버 어셈블리라는 부품의 홈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디텐트레버 어셈블리는 회전축이 되는 샤프트가 조립된 상태로 자동변속기에 장착되며, 기존의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의 경우 디텐트 플레이트에 샤프트를 끼운 뒤 나사를 체결하고 핀으로 고정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높은 내구성을 요구하는 자동변속기의 특성상 정확한 변속과 내구성 향상을 위해 리베팅 방식을 이용하여 디텐트 플레이트와 샤프트를 결합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종래에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의 제작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051390호(2005.06.01 공개, 발명의 명칭: 디텐트 레버 조립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변속기에 사용되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의 생산이 자동화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 자동화 생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텐트레버 어셈블리 자동화 생산장치는: 디텐트 플레이트에 샤프트가 가결합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를 공급하는 로딩부와, 로딩부를 통해 이송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의 안착이 이루어지는 장착부와 장착부를 지지하며 회전되는 회전판을 구비하는 제품이송부와, 제품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의 샤프트를 코킹하여 디텐트 플레이트에 샤프트를 고정시키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코킹부와, 코킹이 완료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의 자성을 제거하는 탈자부 및 탈자부를 통과하며 자성이 제거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를 후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언로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언로딩부를 통과하며 디텐트레버 어셈블리가 제거된 장착부로 취출기체를 공급하여 장착부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품이송부는,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품이송모터와, 제품이송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변속이 이루어지며 회전판의 회전중심에 연결되어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회전기어부 및 회전판의 하측 테두리부를 지지하는 회전지지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코킹부는, 모터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스핀들부의 동작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헤드부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디텐트 플레이트에 결합된 샤프트의 상단을 코킹하는 가압툴부 및 가압툴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장착부의 내측에서 디텐트 플레이트에 결합된 샤프트를 지지하는 코킹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탈자부는, 가압툴부에 의해 코킹되며 자성을 갖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의 자력을 제거하며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의 상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탈자기와, 탈자기에 연결되는 이송브라켓을 수평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탈자이송부와, 탈자이송부를 지지하는 탈자프레임부와, 탈자프레임부에 고정되며 탈자프레임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탈자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탈자가이드부 및 탈자가이드부의 관통이 이루어지며 탈자가이드부와 탈자기를 연결하는 탈자홀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언로딩부는, 탈자부를 통과하며 자성이 제거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를 진공 압착하는 진공홀더부와, 진공홀더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언로딩구동부 및 제1언로딩구동부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언로딩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클리닝부는, 언로딩부를 통과한 장착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장착부를 향하여 취출기체를 분사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분사노즐 및 분사노즐로 취출기체를 공급하는 관로를 형성하는 공급관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텐트레버 어셈블리 자동화 생산장치는, 로딩부를 통해 공급된 디텐트 플레이트와 샤프트가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코킹부에서 자동으로 코킹되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킹이 완료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가 탈자부를 거치면서 자동으로 자성이 제거되므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의 탈자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탈자가 완료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가 언로딩부에 의해 후공정으로 이송되는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텐트레버 어셈블리 자동화 생산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딩부와 언로딩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코킹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코킹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부와 이동프레임부를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코킹부에서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툴부가 디텐트레버 어셈블리를 가압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툴부가 디텐트레버 어셈블리를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텐트레버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킹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킹지지부의 주요 구성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가압부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로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자부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이송부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이송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텐트레버 어셈블리 자동화 생산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텐트레버 어셈블리 자동화 생산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딩부와 언로딩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코킹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코킹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부와 이동프레임부를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코킹부에서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툴부가 디텐트레버 어셈블리를 가압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툴부가 디텐트레버 어셈블리를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텐트레버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킹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킹지지부의 주요 구성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가압부의 절개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로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자부의 측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이송부의 정면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이송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텐트레버 어셈블리 자동화 생산장치(200)는, 디텐트 플레이트(3)에 샤프트(5)가 가결합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를 공급하는 로딩부(210)와, 로딩부(210)를 통해 이송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의 안착이 이루어지는 장착부(230)와 장착부(230)를 지지하며 회전되는 회전판(222)을 구비하는 제품이송부(220)와, 제품이송부(220)를 통해 이송된 디테트레버 어셈블리(2)의 샤프트(5)를 코킹하여 디텐트 플레이트(3)에 샤프트(5)를 고정시키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코킹부(1)와, 코킹이 완료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의 자성을 제거하는 탈자부(250)와, 탈자부(250)를 통과하며 자성이 제거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를 후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언로딩부(270) 및 언로딩부(270)를 통과하며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가 제거된 장착부(230)로 취출기체를 공급하여 장착부(230)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부(2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에 따른 단수 선택에 사용되는 부품으로, 디텐트 플레이트(3)에 샤프트(5)가 리벳으로 결합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부(205)는 선반 형상으로 형성되며, 메인프레임부(205)의 상측에 제품이송부(220)가 설치된다. 또한 메인프레임부(205)에 로딩부(210)와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코킹부(1)와 탈자부(250)와 언로딩부(270)와 클리닝부(280)가 연결되거나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2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딩부(210)는 디텐트 플레이트(3)에 샤프트(5)가 가결합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를 제품이송부(220)의 장착부(230)로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용한 종류의 이송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로딩부(210)는, 파지유닛(212)과 제1로딩구동부(214)와 제2로딩구동부(216)와 로딩프레임(218)을 포함한다.
파지유닛(212)은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를 들어올려 제품이송부(220)의 장착부(230)로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유닛(212)으로 에어척이 사용된다. 2개의 돌출돌기가 가운데로 모여지면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의 샤프트(5)를 파지하여 이송한다.
제1로딩구동부(214)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파지유닛(212)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로딩구동부(214)로 실린더가 사용되며,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제1로딩구동부(214)의 하측으로 돌출된 로드에는 프크브라켓이 고정되므로, 로드의 상하 이동에 따라 파지유닛(212)도 상하로 이동된다.
제2로딩구동부(216)는 제1로딩구동부(214)의 상측에 위치하며, 수평방향으로 동작된다. 제2로딩구동부(216)는 실린더 또는 리니어모터 등 직선방향으로 동작되는 액츄에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제2로딩구동부(216)에 제1로딩구동부(214)가 연결되며, 제2로딩구동부(216)의 동작으로 제1로딩구동부(214)와 파지유닛(212)은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
제2로딩구동부(216)를 지지하는 로딩프레임(218)은 메인프레임부(205)에 고정되며, 제1로딩구동부(214)의 상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제2로딩구동부(216)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2, 도 3, 도 17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이송부(220)는 로딩부(210)를 통해 이송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를 원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이송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이송부(220)는, 회전판(222)과 장착부(230)와 회전판(222)과 제품이송모터(240)와 회전기어부(242)와 회전지지롤러부(244)를 포함한다.
회전판(222)은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의 안착이 이루어지는 장착부(230)를 지지하며 회전되는 원형의 판 형상이다.
제품이송모터(240)는 회전판(222)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며, 회전판(222)의 하측에 위치한다. 제품이송모터(240)는 회전판(222)의 하측에 위치한 메인프레임부(205)에 고정된다.
회전기어부(242)는 제품이송모터(240)의 동력을 전달받아 변속이 이루어지며, 회전판(222)의 회전중심에 연결되어 회전판(222)을 회전시킨다. 회전기어부(242)는 회전판(222)의 회전중심에 연결되며, 회전기어부(242)의 동작으로 회전판(222)이 설정된 각도로 회전된다.
회전지지롤러부(244)는 회전판(222)의 하측 테두리부를 지지하므로 회전판(222)의 회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지지롤러부(244)의 하측은 메인프레임부(205)에 고정되며, 회전지지롤러부(244)의 상측에는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지지롤러부(244)의 상측은 회전판(222)의 하측에 접하며 회전하므로, 회전판(222)의 회전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지지롤러부(244)는 회전판(222)의 하측에 위치하며,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로 설치된다.
회전판(222)에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장착부(230)가 복수로 설치된다. 디텐트 플레이트(3)와 샤프트(5)를 조립하기 위해 디텐트 플레이트(3)와 샤프트(5)의 이동을 구속하는 금형인 장착부(230)는 회전판(222)에 고정되므로 회전판(222)과 함께 회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230)는, 디텐트 플레이트(3)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홈을 형성하는 장착금형부(232) 및 장착금형부(232)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장착금형부(232)에 적재되는 디텐트 플레이트(3)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되는 위치조정핀부재(234)를 포함한다.
장착부(230)는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되는 회전판(222)에 고정되므로 회전판(222)과 함께 회전된다. 또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코킹부(1)가 설치된 곳에서는 회전판(222)의 하측에 코킹지지부(90)가 위치한다.
장착금형부(232)의 내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장착내측홈부(236)가 형성된다. 샤프트(5)가 삽입되는 홈부를 형성하는 장착내측홈부(236)는 장착금형부(232)의 내측에 구비되며, 장착내측홈부(236)의 하측에는 장착받침부재(238)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장착받침부재(238)의 상측에는 샤프트(5)의 하단이 위치하며, 코킹지지부(90)의 지지가압부(100) 동작으로 장착받침부재(238)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샤프트(5)의 하단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또는 장착받침부재(238)의 구성 없이 코킹지지부(90)의 지지가압부(100)가 직접 샤프트(5)의 하단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회전판(222)의 하측에는 장착부(2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샤프트(5)의 하단을 상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실린더(239)가 설치된다. 가압실린더(239)는 로딩부(210)의 하측과 언로딩부(270)의 하측에 각각 설치된다.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코킹부(1)는 제품이송부(220)를 통해 이송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의 샤프트(5)를 코킹하여 디텐트 플레이트(3)에 샤프트(5)를 고정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코킹부(1)는, 스핀들부(10)와 모터부(16)와 헤드부(18)와 지지몸체부(19)와 고정프레임부(20)와 가압툴부(30)와 이동프레임부(40)와 가이드부(50)와 탄성가압부(60)와 리벳안내부(70)와 코킹지지부(90)를 포함한다.
스핀들부(10)는 스핀들몸체(12)와 스핀들로드(14)로 구성되며, 스핀들몸체(12)는 모터부(16)의 하측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스핀들몸체(12)의 하측으로 이동되는 스핀들로드(14)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스핀들로드(14)에 고정프레임부(20)가 고정되며, 스핀들로드(14)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된다. 일 실시에에 따른 스핀들부(10)는 유압실린더 방식으로 동작되며, 스핀들몸체(12)의 하단에 스핀들로드(14)가 설치되어 장착부(230)가 설치된 하측을 향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로드(14)는 모터부(16)의 하측에서 연장되어 스핀들몸체(12)를 관통하여 스핀들몸체(12)의 하측으로 연장된다.
모터부(16)는 스핀들부(10)의 상측에 고정되며, 가압툴부(3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공급한다. 헤드부(18)는 스핀들로드(14)의 하측에 연결되며 스핀들로드(14)와 함께 상하로 이동되며, 모터부(16)의 동력 공급에 의해 가압툴부(30)와 함께 회전한다.
지지몸체부(19)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지지몸체부(19)의 측방향으로 돌출된 프레임에 스핀들부(10)와 장착부(230)가 고정된다.
고정프레임부(20)는 스핀들부(10)의 스핀들로드(14) 하측에 고정되며, 스핀들로드(14)의 양측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부(20)는 고정프레임몸체(22)와 고정날개부(26)를 포함한다.
고정프레임몸체(22)는 스핀들부(10)의 스핀들로드(14)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링 형상의 프레임이다. 이러한 고정프레임몸체(22)는 고정날개부(26)와 연결되며 스핀들로드(14)의 일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1고정프레임부재(23)와, 스핀들로드(14)의 타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제1고정프레임부재(23)에 체결되는 제1고정프레임부재(23)를 포함한다. 고정프레임몸체(22)는 스핀들로드(14)에 고정되며, 고정프레임몸체(22)의 양측에 고정날개부(26)가 연결된다.
고정날개부(26)는 고정프레임몸체(22)의 양측으로 연장되며, 가이드부(50)가 관통되는 구멍을 양측에 구비한다.
가압툴부(30)는 모터부(16)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스핀들부(10)의 동작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헤드부(18)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디텐트 플레이트(3)에 결합된 샤프트(5)의 상단을 코킹한다. 가압툴부(30)는 수직 가상선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모터부(16)의 동력에 의해 회전될 때 샤프트(5)의 상단을 코킹할 수 있다. 가압툴부(30)가 모터부(16)에 의해 회전되는 구성 및 스핀들부(10)의 동작은 코킹 머신을 설계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공지된 구성이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동프레임부(40)는 가압툴부(30)의 관통이 이루어지는 중앙홀부(43)를 구비하며 고정프레임부(20)와 마주하는 하측에 위치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프레임부(40)는, 중앙홀부(43)가 가운데 형성되는 이동프레임몸체(42) 및 이동프레임몸체(42)의 양측으로 연장되며 가이드부(50)의 하측이 고정되는 구멍을 구비하는 이동날개부(45)를 포함한다.
이동프레임몸체(42)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이며, 이동프레임몸체(42)의 가운데에는 중앙홀부(43)가 설치된다. 따라서 가압툴부(30)는 중앙홀부(43)를 관통하여 하측으로 설치된다.
가이드부(50)는 이동프레임부(40)의 양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고정프레임부(20)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50)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측은 이동날개부(45)에 고정되며 상측은 고정날개부(26)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50)는 가이드바(52)와 가이드고정부재(54)를 포함한다.
가이드바(52)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고정날개부(26)와 이동날개부(45)를 관통하며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다. 가이드바(52)의 하단은 이동날개부(45)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볼트 형상의 가이드고정부재(54)에 체결된다. 가이드고정부재(54)의 머리는 이동날개부(45)에 형성된 구멍보다 크므로, 가이드바(52)의 하단이 이동날개부(45)의 상측으로 이동됨이 차단된다. 가이드바(52)의 상측은 고정날개부(26)에 구비된 구멍보다 큰 걸림부의 형상이 구비되므로 가이드바(52)의 상측은 고정날개부(26)에 걸린다.
탄성가압부(60)는 가이드부(50)의 외측에 권선된 형상으로 설치되며, 이동프레임부(40)를 설정된 가압력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가압부(60)는, 가이드부(50)의 외측에 설치된 코일스프링이며, 탄성가압부(60)의 상측은 고정날개부(26)에 접하며 탄성가압부(60)의 하측은 이동날개부(45)에 접하며 이동날개부(45)를 하측으로 가압한다.
리벳안내부(70)는 이동프레임부(40)의 중앙홀부(43) 하측에 고정되며, 가압툴부(30)가 관통되는 구멍을 중앙에 형성하며 이동프레임부(40)와 함께 이동된다. 또한 리벳안내부(70)는 이동프레임부(40)와 함께 하측으로 이동되어 디텐트 플레이트(3)의 상측에 접하며 하측 이동이 구속되므로, 이동프레임부(40)도 하측 이동이 구속된다. 리벳안내부(70)는 우레탄 또는 고무 재질로 성형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탄성을 갖는 재질로 성형될 수도 있다.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킹지지부(90)는 가압툴부(30)의 하측에 위치하며, 장착부(230)의 내측에서 디텐트 플레이트(3)에 결합된 샤프트(5)를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코킹지지부(90)는 가압툴부(30)의 하측에 위치하며, 디텐트 플레이트(3)에 결합된 샤프트(5)의 하부를 지지하므로 코킹 작업이 이루어지는 샤프트(5)의 하측 이동 및 흔들림을 구속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코킹지지부(90)는, 지지구동부(92)와 수평이동부(96)와 지지가압부(100)와 지지가이드부(105)와 탄성복귀부(107)와 지지스토퍼(120)와 이동감지센서부(125)를 포함한다.
지지구동부(92)는 장착부(230)의 하측에 위치하며, 수평방향으로 동력을 공급하여 수평이동부(96)를 이동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구동부(92)는 유압 또는 공압으로 동작되는 지지구동몸체(93)와, 지지구동몸체(93)에서 돌출되어 수평이동부(96)에 연결되는 지지구동로드(94)를 포함한다. 지지구동로드(94)의 이동에 의해 수평이동부(96)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며 지지가압부(100)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수평이동부(96)는 지지구동부(92)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며, 이동경사면(97)을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이동부(96)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지구동부(92)의 동작으로 수평 이동되어 지지가압부(100)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지지가압부(100)의 하측과 마주하는 수평이동부(96)의 상측에는 이동경사면(97)이 구비되어 지지가압부(100)의 하부를 지지한다. 따라서 수평이동부(96)의 좌우 이동만으로 지지가압부(100)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수평이동부(96)와 지지가압부(100)가 경사지게 접하므로, 지지가압부(100)를 지지하는 수평이동부(96)의 위치에 따라 지지가압부(100)의 돌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지지가압부(100)는 수평이동부(96)의 이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며, 디텐트 플레이트(3)에 결합된 샤프트(5)의 하단을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가압부(100)는 지지가압로드(101)와 지지가압몸체(102)와 하부경사면(103)을 포함한다. 지지가압로드(101)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지지가압로드(101)의 하측에는 지지가압몸체(102)가 연결된다.직육면체 형상의 지지가압몸체(102)의 하측에는 수평이동부(96)의 이동경사면(97)에 대응하는 경사로 기울어지게 설치된 하부경사면(103)이 설치된다. 하부경사면(103)과 이동경사면(97)은 면접촉을 하며, 이동경사면(97)의 수평방향 이동에 의해 하부경사면(103)이 밀려서 지지가압로드(101)는 상하로 이동된다.
지지가압부(10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지지가이드부(105)는 내측에 중공을 구비한 프레임 형상이다. 사각틀 형상의 지지가이드부(105)의 내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통공된 구멍이 구비되며, 구멍의 횡단면 형상은 사각형이므로 지지가압몸체(102)의 회전을 구속한다.
탄성복귀부(107)는 지지가이드부(105)와 지지가압부(100)를 연결하며, 외력이 제거된 상태의 지지가압부(100)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복귀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복귀부(107)는, 복귀가이드바(108)와 복귀탄성부재(109)와 지지브라켓(110)과 결합브라켓(112)을 포함한다.
복귀가이드바(108)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봉 형상의 복귀가이드바(108)의 하측은 볼트의 머리와 같이 돌출된 돌기 부분이 구비된다.
지지브라켓(110)은 지지가이드부(105)의 측면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지지가이드부(105)의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브라켓(110)을 관통하여 복귀가이드바(108)가 설치되며, 복귀가이드바(108)의 하측은 지지브라켓(110)에 걸려서 상측 이동이 구속된다.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복귀탄성부재(109)는 복귀가이드바(108)의 외측에 권선된 형태로 설치된다. 복귀탄성부재(109)의 상측은 지지브라켓(110)의 하측에 접하며 복귀탄성부재(109)의 하측은 복귀가이드바(108)의 하측 돌기에 걸린다.
결합브라켓(112)은 지지가압몸체(102)의 상측에 고정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을 형성한다. 복귀가이드바(108)의 상측은 지지브라켓(110)을 관통하여 결합브라켓(112)에 고정된다. 따라서 결합브라켓(112)은 지지가압부(100)와 함께 상하로 이동되며, 결합브라켓(112)에 상단이 고정된 복귀가이드바(108)도 상하로 이동된다.
수평이동부(96)가 설정된 거리 이동됨을 구속하는 지지스토퍼(120)는 스톱브라켓(122)과 조절나사(123)를 포함한다. 수평이동부(96)의 이동경로에 고정되는 스톱브라켓(122)은 수평이동부(96)와 마주하는 위치에 고정된다. 지지가압부(100)를 상측으로 이동시킨 수평이동부(96)가 추가 이동됨을 구속하기 위해 스톱브라켓(122)이 수평이동부(96)의 이동경로에 설치된다. 스톱브라켓(122)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며 설치되는 조절나사(123)는 나사산을 구비하며 스톱브라켓(122)에 체결된다. 조절나사(123)를 돌리는 작업으로 스톱브라켓(122)에서 돌출된 조절나사(123)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조절나사(123)의 회전으로 수평이동부(96)의 멈춤 위치를 정밀하게 세팅할 수 있다.
이동감지센서부(125)는 수평이동부(96)의 이동경로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수평이동부(96)의 위치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감지센서부(125)는 수평이동부(96)와 마주하는 측면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센서브라켓(126)과 센서브라켓(126)을 관통하여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수평이동부(96)가 지지가압부(100)를 밀어올리기 전 위치와 지지가압부(100)를 밀어 올리며 지지스토퍼(120)에 접한 위치를 각각 측정하는 감지센서(127)를 포함한다.
감지센서(127)는 스톱브라켓(122)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광의 조사로 수평이동부(96)의 이동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한다.
도 1,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자부(250)는 코킹이 완료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의 자성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탈자부(250)는, 탈자기(252)와 이송브라켓(254)과 탈자이송부(256)와 탈자프레임부(258)와 탈자가이드부(260)와 탈자홀더부(262)를 포함한다.
탈자기(252)는 가압툴부에 의해 코킹되며 자성을 갖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의 자력을 제거하며,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의 상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와 같은 강재를 가공하는 작업 중에,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에 자성이 부가되면 먼지 및 금속가루 등을 끌어당겨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의 오염, 부식 및 손상 등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가공작업 전에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의 자성을 제거하는 탈자작업이 이루어진다.
강재인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는 각각의 강재 원자의 자극 방향이 일정하지 않게 배열되었을 때 자성을 지니지 않고, 각각의 강재 원자의 자극 방향이 특정한 방향으로 배열되었을 때 자성을 지닐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자기(252)는, 자성을 지닌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의 원자 자극 방향이 일정하지 않게 배열시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의 자성을 제거할 수 있다. 탈자기(252)로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점차로 줄여가며 자계의 방향을 주기적으로 전환하는 작업으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의 탈자를 유도할 수 있다.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의 형상 및 자성 크기에 따라, 탈자기(252)가 자계를 유지시키는 시간과 자계의 방향을 변화시키는 주기는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탈자기(252)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품이송부(220)의 상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탈자이송부(256)는 탈자기(252)에 연결되는 이송브라켓(254)을 수평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구동장치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탈자이송부(256)는 실린더를 사용하며,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탈자이송부(256)의 로드에는 탈자기(252)와 연결된 이송브라켓(254)이 연결된다. 따라서 탈자이송부(256)의 동작에 의해 탈자기(252)는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며, 장착부(230)에 있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의 자력을 제거한다.
탈자프레임부(258)는 메인프레임부(205)의 상측으로 연장되거나 메인프레임부(205)의 근처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탈자프레임부(258)는 탈자이송부(256)와 탈자가이드부(260)를 지지한다.
탈자가이드부(260)는 탈자프레임부(258)에 고정되며, 탈자프레임부(258)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탈자기(252)의 이동을 안내한다. 탈자프레임부(258)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판이 다리에 의해 지지되며, 탈자프레임부(258)의 상측에는 수평방향으로 탈자이송부(256)가 설치되며, 탈자프레임부(258)의 하측에는 수평방향으로 탈자가이드부(260)가 설치된다. 탈자가이드부(260)는 봉 형상이며, 탈자기(252)의 상측에 2개가 한 쌍을 이루며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탈자홀더부(262)는 탈자가이드부(260)의 관통이 이루어지며, 탈자가이드부(260)와 탈자기(252)를 연결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탈자홀더부(262)는 탈자기(252)의 상측에 연결되어 탈자기(252)와 함께 이동되며, 탈자가이드부(260)가 측면을 관통하며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도 2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로딩부(270)는 탈자부(250)를 통과하며 자성이 제거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를 후공정으로 이송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이송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언로딩부(270)는, 진공홀더부(272)와 제1언로딩구동부(274)와 제2언로딩구동부(276)를 포함한다.
탈자부(250)를 통과하며 자성이 제거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를 진공 압착하는 진공홀더부(272)는 흡착판을 구비하며 진공압에 의해 흡입력을 구비한다. 따라서 진공홀더부(272)가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에 접한 상태에서 진공압이 발생되면 디텐트 데러버는 진공홀더부(272)에 압착된 상태에서 이동이 이루어진다.
제1언로딩구동부(274)는 진공홀더부(272)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제1언로딩구동부(274)는 실린더를 사용하며, 진공홀더부(272)의 상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제1언로딩구동부(274)의 하측에는 별도의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회전구동부가 설치되어 진공홀더부(272)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2언로딩구동부(276)는 제1언로딩구동부(274)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언로딩구동부(276)는 제1언로딩구동부(274)의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리니어실린더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직선 구동장치가 제2언로딩구동부(276)로 사용될 수 있다.
제2언로딩구동부(276)와 제1언로딩구동부(274)는 이동브라켓(278)에 의해 연결되며, 이러한 이동브라켓(278)은 레일을 따라 이동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리닝부(280)는 언로딩부(270)를 통과하며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가 제거된 장착부(230)로 취출기체를 공급하여 장착부(230)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부(280)는, 언로딩부(270)를 통과한 장착부(230)의 상측에 위치하며 장착부(230)를 향하여 취출기체를 분사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분사노즐(282) 및 분사노즐(282)로 취출기체를 공급하는 관로를 형성하는 공급관로부(284)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텐트레버 어셈블리 자동화 생산장치(200)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디텐트 플레이트(3)에 샤프트(5)가 가조립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는 로딩부(210)를 통해 제품이송부(220)로 이동된다.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는 파지유닛(212)에 들린 상태에서, 제1로딩구동부(214)와 제2로딩구동부(216)의 동작으로 로딩부(210)의 하측에 위치한 장착부(230)에 안착된다.
이때 로딩부(210)의 하측에 있는 가압실린더(239)가 동작되어 가압실린더(239)의 로드가 장착부(230)의 하측으로 삽입된 샤프트(5)의 하단을 지지하므로 디텐트 플레이트(3)와 샤프트(5)가 가결합된 상태로 장착금형부(232)의 내측에 위치한다. 위치조정핀부재(234)가 디텐트 플레이트(3)를 관통하여 설치되므로 디텐트 플레이트(3)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품이송모터(240)의 동력이 회전기어부(242)를 통해 회전판(222)으로 전달되므로, 회전판(222)은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된다. 따라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의 안착이 이루어진 장착부(230)는 회전판(222)과 함께 이동되어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코킹부(1)로 이동한다.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코킹부(1)에 의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의 코킹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스핀들부(10)가 동작되어 스핀들로드(14)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스핀들로드(14)에 장착된 고정프레임부(20)도 하측으로 이동하므로 가이드부(50)와 이동프레임부(40)와 리벳안내부(70)도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모터부(16)의 동작으로 하측으로 이동되는 가압툴부(30)는 회전을 하고 있는 상태이다.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는 리벳안내부(70)가 디텐트 플레이트(3)의 상측에 접하면서 하측 이동이 구속된다. 또한 리벳안내부(70)에 의해 상측이 가압되는 디텐트 플레이트(3)도 장착금형부(232)의 내측에서 이동이 구속된다.
또한 코킹지지부(90)가 동작되어 장착부(230)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된 샤프트(5)의 하측을 지지하여 샤프트(5)가 설정된 위치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코킹지지부(90)는 실린더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디텐트 플레이트(3)에 결합된 샤프트(5)의 하단을 지지하므로, 코킹 작업을 수행하는 중에 샤프트(5)의 이동을 구속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지지구동부(92)가 동작되어 지지구동로드(94)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며 수평이동부(96)를 지지스토퍼(12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동경사면(97)에 접하고 있는 지지가압부(100)는 지지가이드부(105)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고, 지지가압로드(101)는 샤프트(5)의 하단을 직접 지지하거나, 장착받침부재(238)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코킹 작업을 하기 전 샤프트(5)의 하단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지지구동로드(94)가 다시 지지구동몸체(93)를 향하여 복귀하면, 탄성복귀부(107)의 동작에 의해 지지가압부(100)도 하측으로 이동되는 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수평이동부(96)의 이동은 이동감지센서부(125)에 의해 측정되어 제어부로 측정값이 전달된다.
한편 샤프트(5)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취출가압로드(101)의 높낮이를 조절할 경우, 조절나사(123)를 회전시켜 수평이동부(96)의 정지위치를 조절하므로 취출가압로드(101)의 돌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코킹지지부(90)의 동작으로 샤프트(5)의 하단이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가압툴부(30)는 디텐트 플레이트(3)에 가결합된 샤프트(5)의 상단을 코킹한다. 가압툴부(30)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 리벳안내부(70)의 내측을 회전하므로 샤프트(5)의 코킹 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리벳안내부(70)는 이동프레임부(40)와 함께 하측 이동이 구속되며, 고정프레임부(20)는 스핀들로드(14)와 함께 하측으로 이동되어 설정된 위치에서 이동이 정지된다. 이때 고정프레임부(20)와 이동프레임부(40) 사이의 거리는 샤프트(5)를 코킹하는 작업시 감소되므로, 이에 따라 가이드바(52)는 고정프레임부(20)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탄성가압부(60)는 압축된다.
가이드부(50)와 탄성가압부(60)의 동작으로 이동프레임부(40)와 리벳안내부(70)가 탄성가압부(60)의 동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가압툴부(30)의 코킹 작업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코킹이 이루어지는 샤프트(5)의 상단에서 크랙발생을 감소시킨다.
매립형 금형인 장착부(230)의 내측에 디텐트 플레이트(3)가 설치되며, 위치조정핀부재(234)가 디텐트 플레이트(3)를 관통하여 설치되므로, 코킹 작업시 디텐트 플레이트(3)와 샤프트(5)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따라서 샤프트(5)가 디텐트 플레이트(3)와 직각을 이루며 결합되므로 제품의 불량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코킹 작업이 완료된 후 스핀들로드(14)가 상측으로 이동되므로 고정프레임부(20)와 이동프레임부(40) 및 가압툴부(30)는 디텐트 플레이트(3)의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탄성가압부(60)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프레임부(40)는 하측으로 이동되므로, 고정프레임부(20)와 이동프레임부(40)의 거리는 초기 상태의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코킹부(1)에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의 코킹 작업이 완료된 이후, 다시 회전판(222)과 함께 장착부(230)가 소정 각도만큼 회전되어 탈자부(250)에서 정지한다. 탈자이송부(256)의 이동으로 탈자기(252)가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가 장착된 장착부(230)의 상측으로 이동되며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의 자력을 제거한다.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의 탈자가 이루어진 후 다시 탈자이송부(256)의 이동으로 탈자기(252)가 장착부(230)와 멀어지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탈자부(250)의 동작이 완료되면, 회전판(222)과 함께 장착부(230)가 소정 각도만큼 회전되어 언로딩부(270)에서 정지한다. 언로딩부(270)의 하측에 있는 가압실린더(239)가 동작되어 장착부(230)에 있는 샤프트(5)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며, 이와 함께 진공홀더부(272)가 동작되어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를 흡착한다. 그리고, 제1언로딩구동부(274)와 제2언로딩구동부(276)의 동작으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는 후공정으로 이송된다.
언로딩부(270)의 동작이 완료되면, 회전판(222)과 함께 장착부(230)가 소정 각도만큼 회전되어 클리닝부(280)에서 정지한다.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가 언로딩 된 상태의 장착부(230)는 비어 있으나, 이물질이 있을 수 있으므로 취출기체를 분사하여 장착부(230)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공급관로부(284)를 통해 이동된 취출기체는 분사노즐(282)을 통해 장착부(230)의 내측으로 분사되어 장착부(230)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클리닝부(280)의 동작이 완료되면, 회전판(222)과 함께 장착부(230)가 소정 각도만큼 회전되어 다시 로딩부(210)에서 정지하여 가조립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를 공급받는다.
회전판(222)에는 복수의 장착부(230)가 설정된 각도로 설치되므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의 공급과 코킹과 탈자와 반출 및 청소 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로딩부(210)를 통해 공급된 디텐트 플레이트(3)와 샤프트(5)가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코킹부(1)에서 자동으로 코킹되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코킹이 완료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가 탈자부(250)를 거치면서 자동으로 자성이 제거되므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의 탈자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탈자가 완료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가 언로딩부(270)에 의해 후공정으로 이송되는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장착금형부(232)에 디텐트 플레이트(3)를 삽입한 후 샤프트(5)를 삽입하여 코킹 작업을 하므로 디텐트 플레이트(3)의 이동을 구속하여 제품의 불량율을 감소시키며,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의 샤프트(5)를 디텐트 플레이트(3)에 자동으로 조립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코킹지지부(90)의 동작으로 장착금형부(232)의 내측에 위치하는 샤프트(5)의 하측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샤프트(5)의 코킹 작업시 샤프트(5)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디텐트 플레이트(3)와 샤프트(5)의 직각도를 유지할 수 있어서 제품의 불량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자동변속기에 사용되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의 샤프트(5)를 디텐트 플레이트(3)에 자동으로 조립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샤프트(5)를 가압하는 가압툴부(30)가 이동프레임부(40)에 장착된 리벳안내부(70)를 관통하여 설치되므로 가압툴부(30)의 코킹 작업이 안내되어 샤프트(5)의 코킹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 불량율을 감소시키며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코킹부
2: 디텐트레버 어셈블리 3: 디텐트 플레이트 5: 샤프트
10: 스핀들부 12: 스핀들몸체 14: 스핀들로드 16: 모터부 18: 헤드부 19: 지지몸체부
20: 고정프레임부 22: 고정프레임몸체 23: 제1고정프레임부재 24: 제2고정프레임부재 26: 고정날개부 30: 가압툴부
40: 이동프레임부 42: 이동프레임몸체43: 중앙홀부 45: 이동날개부
50: 가이드부 52: 가이드바 54: 가이드고정부재
60: 탄성가압부 70: 리벳안내부
90: 코킹지지부 92: 지지구동부 93: 지지구동몸체 94: 지지구동로드 96: 수평이동부 97: 이동경사면 100: 지지가압부 101: 지지가압로드 102: 지지가압몸체 103: 하부경사면 105: 지지가이드부 107: 탄성복귀부 108: 복귀가이드바 109: 복귀탄성부재 110: 지지브라켓 112: 결합브라켓 120: 지지스토퍼 122: 스톱브라켓 123: 조절나사 125: 이동감지센서부 126: 센서브라켓 127: 감지센서
200: 디텐트레버 어셈블리 자동화 생산장치 205: 메인프레임부
210: 로딩부 212: 파지유닛 214: 제1로딩구동부 216: 제2로딩구동부 218: 로딩프레임
220: 제품이송부 222: 회전판 230: 장착부 232: 장착금형부 234: 위치조정핀부재 236: 장착내측홈부 238: 장착받침부재 239: 가압실린더
240: 제품이송모터 242: 회전기어부 244: 회전지지롤러부
250: 탈자부 252: 탈자기 254: 이송브라켓 256: 탈자이송부 258: 탈자프레임부 260: 탈자가이드부 262: 탈자홀더부
270: 언로딩부 272: 진공홀더부 274: 제1언로딩구동부 276: 제2언로딩구동부 278: 이동브라켓
280: 클리닝부 282: 분사노즐 284: 공급관로부

Claims (7)

  1. 디텐트 플레이트에 샤프트가 가결합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를 공급하는 로딩부;
    상기 로딩부를 통해 이송된 상기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의 안착이 이루어지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를 지지하며 회전되는 회전판을 구비하는 제품이송부;
    상기 제품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상기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의 샤프트를 코킹하여 상기 디텐트 플레이트에 상기 샤프트를 고정시키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코킹부;
    코킹이 완료된 상기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의 자성을 제거하는 탈자부;
    상기 탈자부를 통과하며 자성이 제거된 상기 디텐트레버 어셈블리를 후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언로딩부; 및
    상기 언로딩부를 통과하며 상기 디텐트레버 어셈블리가 제거된 상기 장착부로 취출기체를 공급하여 상기 장착부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품이송부는,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품이송모터;
    상기 제품이송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변속이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판의 회전중심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회전기어부; 및
    상기 회전판의 하측 테두리부를 지지하는 회전지지롤러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코킹부는, 모터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스핀들부의 동작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헤드부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디텐트 플레이트에 결합된 상기 샤프트의 상단을 코킹하는 가압툴부; 및
    상기 가압툴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장착부의 내측에서 상기 디텐트 플레이트에 결합된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코킹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탈자부는, 상기 가압툴부에 의해 코킹되며 자성을 갖는 상기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의 자력을 제거하며, 상기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의 상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탈자기;
    상기 탈자기에 연결되는 이송브라켓을 수평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탈자이송부;
    상기 탈자이송부를 지지하는 탈자프레임부;
    상기 탈자프레임부에 고정되며, 상기 탈자프레임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탈자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탈자가이드부; 및
    상기 탈자가이드부의 관통이 이루어지며 상기 탈자가이드부와 상기 탈자기를 연결하는 탈자홀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 자동화 생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딩부는, 상기 탈자부를 통과하며 자성이 제거된 상기 디텐트레버 어셈블리를 진공 압착하는 진공홀더부;
    상기 진공홀더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언로딩구동부; 및
    상기 제1언로딩구동부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언로딩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 자동화 생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부는, 상기 언로딩부를 통과한 상기 장착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장착부를 향하여 취출기체를 분사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분사노즐; 및
    상기 분사노즐로 취출기체를 공급하는 관로를 형성하는 공급관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 자동화 생산장치.
KR1020160178336A 2016-12-23 2016-12-23 디텐트레버 어셈블리 자동화 생산장치 KR101734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336A KR101734509B1 (ko) 2016-12-23 2016-12-23 디텐트레버 어셈블리 자동화 생산장치
JP2018517600A JP6595709B2 (ja) 2016-12-23 2017-05-18 ディテントレバーアセンブリー自動化生産装置
PCT/KR2017/005176 WO2018117347A1 (ko) 2016-12-23 2017-05-18 디텐트레버 어셈블리 자동화 생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336A KR101734509B1 (ko) 2016-12-23 2016-12-23 디텐트레버 어셈블리 자동화 생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4509B1 true KR101734509B1 (ko) 2017-05-11

Family

ID=58742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8336A KR101734509B1 (ko) 2016-12-23 2016-12-23 디텐트레버 어셈블리 자동화 생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595709B2 (ko)
KR (1) KR101734509B1 (ko)
WO (1) WO20181173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42210B (zh) * 2018-07-22 2019-09-24 泉州开云网络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哨片修正器自动组装方法
CN108942211B (zh) * 2018-07-22 2019-08-30 蔡海强 一种哨片修正器自动组装线
CN110560568B (zh) * 2019-09-25 2020-09-11 温州崎芳新能源有限公司 一种冲裁模具
CN112621153B (zh) * 2020-12-17 2022-06-21 江苏科伯瑞工业技术有限公司 一种汽车手柄档位块压装注油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83009A1 (en) * 2005-06-16 2006-12-21 Dong-Woo Shin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including a demagnetiz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1000270B1 (ko) * 2010-08-11 2010-12-10 한화테크엠주식회사 유성기어세트 조립장치
KR101184748B1 (ko) * 2012-03-09 2012-10-02 (주) 청호열처리 디텐트 레버 자동 조립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67207A (ja) * 1987-08-21 1989-10-25 Masao Matsumoto コンベヤ−装置のクリ−ニングシステム
JPH0724908B2 (ja) * 1990-07-02 1995-03-22 吉川鉄工株式会社 かしめ機に於ける鋲検知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83009A1 (en) * 2005-06-16 2006-12-21 Dong-Woo Shin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including a demagnetiz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1000270B1 (ko) * 2010-08-11 2010-12-10 한화테크엠주식회사 유성기어세트 조립장치
KR101184748B1 (ko) * 2012-03-09 2012-10-02 (주) 청호열처리 디텐트 레버 자동 조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03872A (ja) 2019-02-14
JP6595709B2 (ja) 2019-10-23
WO2018117347A1 (ko) 2018-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4509B1 (ko) 디텐트레버 어셈블리 자동화 생산장치
CN103737318B (zh) 配件自动组装设备
CN106068685B (zh) 带式供料器
US10160068B2 (en) Device for positioning and supplying fixing elements
KR102032118B1 (ko) 스핀들 유닛용 너트 자동공급장치
WO2004037480A1 (en) Apparatus for tightening threaded member
KR101582506B1 (ko) 인서트 사출기용 너트 자동공급장치
CN109877582B (zh) 一种锁扣总成装配设备
JP5629342B2 (ja) リベット挿入装置
KR200417726Y1 (ko) 자동 이송장치를 갖는 리벳팅 머시인
KR101725726B1 (ko) 차량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장치
KR101076347B1 (ko) 단추 자동 공급기용 단추 정열대
CN107708941B (zh) 物品保持具、搬送机器人、及物品搬送方法
KR101889311B1 (ko)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가조립 장치
KR20130024234A (ko) 필러넥파이프의 위치결정장치 및 방법
KR101472418B1 (ko) 센터링 기능을 갖는 인서트 자동 공급 장치
CN217143029U (zh) 一种座椅托盘调节机构的自动装配设备
KR101871627B1 (ko) 공작기계용 공구 이송장치
KR101888574B1 (ko)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소재 공급장치
CN214393135U (zh) 一种自动螺丝锁付机
CN107901083B (zh) 一种螺帽自动装配机及其装配方法
CN114571224A (zh) 一种座椅托盘调节机构的自动装配设备
KR101855882B1 (ko) 디텐트 레버용 코킹 장치
KR101146516B1 (ko) 튜브용 쇼트피닝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452144B2 (ja) 電子回路部品装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