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311B1 -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가조립 장치 - Google Patents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가조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311B1
KR101889311B1 KR1020160179295A KR20160179295A KR101889311B1 KR 101889311 B1 KR101889311 B1 KR 101889311B1 KR 1020160179295 A KR1020160179295 A KR 1020160179295A KR 20160179295 A KR20160179295 A KR 20160179295A KR 101889311 B1 KR101889311 B1 KR 101889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haft
unloading
gripping
lev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9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5757A (ko
Inventor
남용호
김태우
Original Assignee
(주)청호열처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호열처리 filed Critical (주)청호열처리
Priority to KR1020160179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311B1/ko
Publication of KR20180075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5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25/00Uniting components to form integral members, e.g. turbine wheels and shafts, caulks with inserts, with or without shaping of th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27/00Handling devices, e.g. for feeding, aligning, discharging, Cutting-off means;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01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 B23P19/002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orientating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01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 B23P19/003Escapement mechanisms used therewi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8De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7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the articles being treated, e.g. manufactured, repaired, assembled, connected or other operations covered in the subgroups
    • B23P2700/50Other automobile vehicle parts, i.e. manufactured in assembl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가조립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가조립 장치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샤프트를 공급하는 소재공급부와, 소재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샤프트와 샤프트와 결합되는 디텐트 플레이트를 공급받아 설정된 각도로 회전되는 제품이송부와, 제품이송부를 통해 이동된 샤프트를 가압하여 디텐트 플레이트에 샤프트를 가조립하는 가조립가압부와, 제품이송부의 측면에 위치하며 가조립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를 후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언로딩부 및 언로딩부를 통과하며 디텐트레버 어셈블리가 제거된 제품이송부의 장착부로 취출기체를 공급하여 장착부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가조립 장치{APPARATUS FOR TEMPORARY ASSEMBLY OF DETENT LEVER ASSEMBLY}
본 발명은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가조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변속기에 사용되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의 가조립을 자동으로 할 수 있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가조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변속기에 의한 변속단수의 정확한 위치 결정을 위해 디텐트레버 어셈블리(DETENT LEVER ASSEMBLY)가 구비된다. 이러한 자동변속기의 변속에 따른 단수 선택은 디텐트레버 어셈블리라는 부품의 홈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디텐트레버 어셈블리는 회전축이 되는 샤프트가 조립된 상태로 자동변속기에 장착되며, 기존의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의 경우 디텐트 플레이트에 샤프트를 끼운 뒤 나사를 체결하고 핀으로 고정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높은 내구성을 요구하는 자동변속기의 특성상 정확한 변속과 내구성 향상을 위해 리베팅 방식을 이용하여 디텐트 플레이트와 샤프트를 결합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종래에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의 제작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051390호(2005.06.01 공개, 발명의 명칭: 디텐트 레버 조립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변속기에 사용되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의 가조립을 자동으로 할 수 있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가조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가조립 장치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샤프트를 공급하는 소재공급부와, 소재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샤프트와 샤프트와 결합되는 디텐트 플레이트를 공급받아 설정된 각도로 회전되는 제품이송부와, 제품이송부를 통해 이동된 샤프트를 가압하여 디텐트 플레이트에 샤프트를 가조립하는 가조립가압부와, 제품이송부의 측면에 위치하며 가조립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를 후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언로딩부 및 언로딩부를 통과하며 디텐트레버 어셈블리가 제거된 제품이송부의 장착부로 취출기체를 공급하여 장착부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소재공급부는, 샤프트를 파지하여 이송시키는 샤프트이송부와, 샤프트이송부를 통하여 샤프트를 공급받으며 샤프트가 설정된 방향성을 가지며 배열되도록 샤프트의 거치 방향을 조절하는 샤프트정렬부 및 샤프트정렬부에 거치된 샤프트를 파지하여 제품이송부로 샤프트를 이송시키는 파지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품이송부는, 장착부를 지지하며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판과,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품이송모터와, 제품이송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변속이 이루어지며 회전판의 회전중심에 연결되어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회전기어부 및 회전판의 하측 테두리부를 지지하는 회전지지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조립가압부는, 장착부의 상측에 고정되며 유체의 공급으로 동작되는 가압실린더부 및 가압실린더부의 로드에 연결되며 샤프트의 상단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디텐트 플레이트에 샤프트를 가조립하는 조립지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조립지그부는, 가압실린더부의 로드에 연결되는 조립지그몸체 및 장착부에 안착된 샤프트의 상단과 마주하는 조립지그몸체의 하측에 홈부를 형성하는 고정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언로딩부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의 샤프트를 파지하는 파지유닛과, 파지유닛에 연결되며 파지유닛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1언로딩구동부와, 제1언로딩구동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수평방향으로 동작되어 파지유닛과 제1언로딩구동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언로딩구동부 및 제2언로딩구동부를 지지하는 언로딩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클리닝부는, 언로딩부를 통과한 장착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장착부를 향하여 취출기체를 분사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분사노즐 및 분사노즐로 취출기체를 공급하는 관로를 형성하는 공급관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가조립 장치는, 샤프트이송부의 동작으로 샤프트가 제품이송부로 공급되어 디텐트 플레이트 1차 가조립되며, 가조립가압부에 의해 2차 가조립이 이루어진 후 후공정으로 이송되어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의 가조립을 자동으로 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에 사용되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의 소재인 샤프트를 세워진 상태에서 일정하게 방향성을 갖도록 거치방향을 조절한 후 후공정으로 공급하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가조립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이송부와 가조립가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이송부와 가조립가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이송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이송부와 파지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공급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공급부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정렬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정렬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정렬부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정렬부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정렬부가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텐트레버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로딩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로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가조립 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가조립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이송부와 가조립가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이송부와 가조립가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이송부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이송부와 파지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공급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공급부의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정렬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정렬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정렬부의 정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정렬부의 평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정렬부가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텐트레버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로딩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로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가조립 장치(1)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용 샤프트(5)를 공급하는 소재공급부(20)와, 소재공급부(20)를 통해 공급된 샤프트(5)와 샤프트(5)와 결합되는 디텐트 플레이트(3)를 공급받아 설정된 각도로 회전되는 제품이송부(90)와, 제품이송부(90)를 통해 이동된 샤프트(5)를 가압하여 디텐트 플레이트(3)에 샤프트(5)를 가조립하는 가조립가압부(120)와, 제품이송부(90)의 측면에 위치하며 가조립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를 후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언로딩부(130)와, 언로딩부(130)를 통과하며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가 제거된 제품이송부(90)의 장착부(100)로 취출기체를 공급하여 장착부(100)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부(140) 및 언로딩부(130)를 통과한 장착부(100)에 있는 불량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를 제품이송부(90) 외측으로 반출시키는 불량반출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에 따른 단수 선택에 사용되는 부품으로, 디텐트 플레이트(3)에 샤프트(5)가 코킹 작업으로 고정된다. 샤프트(5)의 하부 양측면에는 평측면(7)이 구비된다. 따라서 샤프트(5)는 샤프트정렬부(50)의 동작에 의해 샤프트(5)의 평측면(7)이 일정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열되므로 후공정인 제품이송부(90)에서 별도의 샤프트(5) 정렬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의 조립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다.
지지테이블(10)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판 형상이며, 지지테이블(10)에 샤프트이송부(30)와 샤프트정렬부(50)가 설치된다.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이송부(30)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에 사용되는 샤프트(5)를 파지하여 이송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이송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이송부(30)는, 메인구동부(32)와 이동프레임부(34)와 회전이송부(40)와 가이드레일(49)을 포함한다.
메인구동부(32)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장치로 이동프레임부(34)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구동부(32)는 실린더가 사용되며, 지지테이블(10)의 하측에 설치된다. 메인구동부(32)의 로드는 이동프레임부(34)의 브라켓에 연결되므로, 메인구동부(32)의 동작에 의해 이동프레임부(34)는 수평 이동된다.
이동프레임부(34)는 메인구동부(32)를 지지하는 지지테이블(10)의 상측에 위치하며, 메인구동부(32)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프레임부(34)는, 메인구동부(32)와 연결되며 지지테이블(10)의 상측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수직이동부(48)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베이스(36)와, 지지베이스(36)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기둥부(37) 및 기둥부(37)의 상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파지이송부(80)를 지지하는 커버프레임(38)을 포함한다.
지지베이스(36)는 지지테이블(10)의 상측에 설치된 가이드레일(49)을 따라 직선 방향으로 이동한다. 지지베이스(36)의 상측에는 기둥부(37)와 수직이동부(48)가 고정되므로, 지지베이스(36)의 수평방향 이동시 기둥부(37)와 수직이동부(48)도 같이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 지지베이스(36)의 하측으로 절곡된 브라켓은 메인구동부(32)의 로드에 연결되므로, 메인구동부(32)의 동력에 의해 수평 이동이 이루어진다.
커버프레임(38)은 기둥부(37)의 상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커버프레임(38)의 일측에 파지이송부(80)가 설치된다. 따라서 파지이송부(80)는 회전이송부(40)와 같이 수평방향 이동이 이루어진다.
회전이송부(40)는 이동프레임부(34)에 연결되어 이동프레임부(34)와 함께 이동하며, 샤프트(5)를 파지하여 샤프트정렬부(50)로 이송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이송부(40)는 파지구동부(42)와 회전구동부(44)와 수평이동부(46)와 수직이동부(48)를 포함한다.
파지구동부(42)는 샤프트(5)를 파지하여 이송시키는 구동장치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구동부(42)는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받아 동작되며 2개의 핑거가 양측으로 벌어지거나 가운데로 모아지면서 샤프트(5)를 파지한다.
회전구동부(44)는 파지구동부(42)에 연결되며, 설정된 각도로 파지구동부(42)를 회전시킨다. 파지구동부(42)의 단부에 연결된 회전구동부(44)는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며,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받아 회전동력을 공급한다. 필요에 따라 서버모터를 회전구동부(44)로 사용할 수도 있다. 회전구동부(44)는 파지구동부(42)를 90도 회전시키므로, 눕혀져서 공급된 샤프트(5)를 세워진 상태로 위치를 변환시킨다.
파지구동부(42)는 동시에 2개의 샤프트(5)를 파지하기 위해 2개가 한 쌍을 이루며 설치되며, 파지구동부(42)에 각각 회전구동부(44)가 연결된다. 2개의 회전구동부(44)는 수평이동부(46)의 로드에 연결된 판에 연결되므로 수평이동부(46)의 동작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
수평이동부(46)는 회전구동부(44)에 연결되며 회전구동부(44)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장치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이동부(46)의 몸체는 수직이동부(48)의 로드 상측에 연결되며,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수평이동부(46)의 로드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구동부(44)를 지지하는 판에 단부가 연결된다. 따라서 수평이동부(46)의 동작에 의해 회전구동부(44)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
수직이동부(48)의 하측은 이동프레임부(34)에 고정되며, 상측은 수평이동부(46)에 연결되므로, 수평이동부(46)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샤프트(5)는 눕혀진 상태로 파지구동부(42)로 공급되며, 회전구동부(44)의 동작에 의해 샤프트(5)가 회전되어 세워진 상태가 된 후, 수직이동부(48)의 동작으로 하강하여 샤프트정렬부(50)로 공급이 이루어지는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정렬부(50)는 샤프트이송부(30)를 통하여 샤프트(5)를 공급받으며, 샤프트(5)가 설정된 방향성을 가지며 배열되도록 샤프트(5)의 거치 방향을 조절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정렬부(50)는, 평기어부(52)와 원기어부(54)와 안착부(55)와 이동날개부(60)와 가압지지부(62)와 가압구동부(68)와 구동베이스부(70)와 안내레일(72)과 정렬구동부(74)를 포함한다.
샤프트이송부(30)를 통하여 공급된 샤프트(5)가 세워진 상태로 안착부(55)에서 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55)는 지지기둥(56)과 내측홈부(57)와 안내홀부(58)를 포함한다.
지지기둥(56)의 하측은 정렬구동부(74)가 고정되는 수평판에 고정되며, 지지기둥(56)의 상측에 내측홈부(57)가 구비된다. 이동날개부(60)와 마주하는 지지기둥(56)의 양측에 홈부를 형성하는 내측홈부(57)의 가운데에는 샤프트(5)가 삽입되기 위한 홀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내측홈부(57)의 상측에는 안내홀부(58)가 설치된다. 안내홀부(58)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안내홀부(58)의 내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구멍이 형성되어 샤프트(5)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안내홀부(58)는 고무나 우레탄 등 탄성을 갖는 재질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이동날개부(60)는 안착부(55)의 측면으로 돌출된 샤프트(5)의 평측면(7)을 회전시켜 샤프트(5)의 방향성을 조절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날개부(60)는 고무날로 형성된 부재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가압지지부(62)는 이동날개부(60)를 안착부(55)를 향한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가압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지지부(62)는, 가압지지패널(63)과 수평안내바(64)와 가압탄성부재(66)를 포함한다.
가압지지패널(63)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봉 형상의 수평안내바(64)가 가압지지패널(63)을 관통하여 이동날개부(60)에 연결된다. 수평안내바(64)의 일단은 이동날개부(60)에 고정되며, 수평안내바(64)의 타단은 가압지지패널(63)의 외측에 걸리는 형상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이동날개부(60)와 가압지지패널(63) 사이에 위치한 수평안내바(64)의 외측에는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가압탄성부재(66)가 설치된다. 따라서 이동날개부(60)는 안착부(55)의 내측홈부(57)를 향한 방향으로 탄성 가압된다.
가압구동부(68)는 가압지지부(62)에 연결되며, 가압지지부(62)를 안착부(55)에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안착부(55)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구동부(68)는 실린더가 사용되며, 가압지지패널(63)의 하측에 로드가 연결된다.
구동베이스부(70)는 가압구동부(68)를 지지하는 판이며, 가압구동부(68)의 하측에 고정된다. 구동베이스부(70)의 하측에는 좌우 방향으로 안내레일(72)이 설치되므로, 구동베이스부(70)는 안내레일(72)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정렬구동부(74)는 구동베이스부(70)에 연결되며, 가압지지부(62)의 이동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구동베이스부(70)를 이동시킨다. 정렬구동부(74)는 실린더가 사용되며, 가압지지부(62)의 로드와 수직으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정렬구동부(74)의 로드가 설치된다.
구동베이스부(70)의 측면을 따라 직선 방향으로 기어가 형성되어 평기어부(52)를 형성하며, 평기어부(52)에 맞물려 회전되는 원기어부(54)는 외주면을 따라 기어가 형성된다. 이러한 원기어부(54)의 양측에 이동날개부(60)와 가압지지부(62)와 가압구동부(68)와 구동베이스부(70)가 각각 설치되므로 샤프트(5)의 평측면(7)이 방향성을 갖고 배열될 수 있다.
파지이송부(80)는 샤프트정렬부(50)에 거치된 샤프트(5)를 파지하여 디텐트 플레이트(3)와 결합이 이루어지는 제품이송부(90)로 샤프트(5)를 이송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이송부(80)는, 커버프레임(38)에 고정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로드를 구비하는 이송구동부(82) 및 이송구동부(82)의 하측에 연결되며 샤프트정렬부(50)에 세워진 샤프트(5)를 파지하여 제품이송부(90)로 이송시키는 핑거파지부(84)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이송부(90)는 소재공급부(20)를 통해 공급된 샤프트(5)와 샤프트(5)와 결합되는 디텐트 플레이트(3)를 공급받아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이송부(90)는, 장착부(100)를 지지하며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판(94)과, 회전판(94)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품이송모터와, 제품이송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변속이 이루어지며 회전판(94)의 회전중심에 연결되어 회전판(94)을 회전시키는 회전기어부 및 회전판(94)의 하측 테두리부를 지지하는 회전지지롤러부를 포함한다.
회전판(94)은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의 안착이 이루어지는 장착부(100)를 지지하며 회전되는 원형의 판 형상이다.
제품이송모터(95)는 회전판(94)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며, 회전판(94)의 하측에 위치한다.
회전기어부(96)는 제품이송모터(95)의 동력을 전달받아 변속이 이루어지며, 회전판(94)의 회전중심에 연결되어 회전판(94)을 회전시킨다. 회전기어부(96)는 회전판(94)의 회전중심에 연결되며, 회전기어부(96)의 동작으로 회전판(94)이 설정된 각도로 회전된다.
회전지지롤러부(97)는 회전판(94)의 하측 테두리부를 지지하므로 회전판(94)의 회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지지롤러부(97)의 하측은 메인프레임부(205)에 고정되며, 회전지지롤러부(97)의 상측에는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지지롤러부(97)의 상측은 회전판(94)의 하측에 접하며 회전하므로, 회전판(94)의 회전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지지롤러부(97)는 회전판(94)의 하측에 위치하며,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로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100)는 디텐트 플레이트(3)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홈을 형성하는 장착금형부(102)를 포함한다. 장착부(100)는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되는 회전판(94)에 고정되므로 회전판(94)과 함께 회전된다.
회전판(94)의 하측에는 장착부(1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샤프트(5)의 하단을 지지하거나 상측으로 가압하는 샤프트실린더(110)가 설치된다. 샤프트실린더(110)는 언로딩부(130)와 클리닝부(140)의 하측에 각각 설치된다.
가조립가압부(120)는 제품이송부(90)를 통해 이동된 샤프트(5)를 가압하여 디텐트 플레이트(3)에 샤프트(5)를 가조립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가압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조립가압부(120)는, 장착부(100)의 상측에 고정되며 유체의 공급으로 동작되는 가압실린더부(122) 및 가압실린더부(122)의 로드에 연결되며 샤프트(5)의 상단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디텐트 플레이트(3)에 샤프트(5)를 가조립하는 조립지그부(124)를 포함한다.
가압실린더부(122)는 고정된 프레임에 설치되므로 이동이 구속된다. 가압실린더부(122)의 하측으로 연장된 로드에는 조립지그부(124)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지그부(124)는, 가압실린더부(122)의 로드에 연결되는 조립지그몸체(126) 및 장착부(100)에 안착된 샤프트(5)의 상단과 마주하는 조립지그몸체(126)의 하측에 홈부를 형성하는 고정홈부(128)를 포함한다. 디텐트 플레이트(3)의 상측으로 돌출된 샤프트(5)의 상단은 고정홈부(128)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조립지그부(124)는 고무나 우레탄 같은 탄성 재질로 성형되므로, 조립지그부(124)가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의 상측을 가압할 때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의 손상을 방지한다.
도 1,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로딩부(130)는 제품이송부(90)의 측면에 위치하며, 가조립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를 후공정으로 이송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용한 종류의 이송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언로딩부(130)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의 샤프트(5)를 파지하는 파지유닛(132)과, 파지유닛(132)에 연결되며 파지유닛(132)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1언로딩구동부(134)와, 제1언로딩구동부(134)의 상측에 위치하며 수평방향으로 동작되어 파지유닛(132)과 제1언로딩구동부(134)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언로딩구동부(136) 및 제2언로딩구동부(136)를 지지하는 언로딩프레임(138)을 포함한다.
파지유닛(132)은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를 들어올려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를 코킹하기 위한 후공정으로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유닛(132)으로 에어척이 사용된다. 2개의 돌출돌기가 가운데로 모여지면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의 샤프트(5)를 파지하여 이송한다.
제1언로딩구동부(134)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파지유닛(132)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언로딩구동부(134)로 실린더가 사용되며,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제1언로딩구동부(134)의 하측으로 돌출된 로드에는 파지유닛(132)이 고정되므로, 로드의 상하 이동에 따라 파지유닛(132)도 상하로 이동된다.
제2언로딩구동부(136)는 제1언로딩구동부(134)의 상측에 위치하며, 수평방향으로 동작된다. 제2언로딩구동부(136)는 실린더 또는 리니어모터 등 직선방향으로 동작되는 액츄에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제2언로딩구동부(136)에 제1언로딩구동부(134)가 연결되며, 제2언로딩구동부(136)의 동작으로 제1언로딩구동부(134)와 파지유닛(132)은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
제2언로딩구동부(136)를 지지하는 언로딩프레임(138)은 메인프레임부(205)에 고정되며, 제1언로딩구동부(134)의 상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제2언로딩구동부(136)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리닝부(140)는 언로딩부(130)를 통과하며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가 제거된 제품이송부(90)의 장착부(100)로 취출기체를 공급하여 장착부(100)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부(140)는, 언로딩부(130)를 통과한 장착부(100)의 상측에 위치하며 장착부(100)를 향하여 취출기체를 분사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분사노즐(142) 및 분사노즐(142)로 취출기체를 공급하는 관로를 형성하는 공급관로부(144)를 포함한다.
도 1과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량반출부(150)는 언로딩부(130)를 통과한 장착부(100)에 있는 불량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를 제품이송부(90) 외측으로 반출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불량반출부(150)는, 소재공급부(20)의 커버프레임(38)에 고정되는 반출구동부(152) 및 반출구동부(152)에서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로드에 결합되며, 불량 상태의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를 들어올리는 반출접합부(154)를 포함한다.
반출접합부(154)는 진공방식으로 동작되거나 에어척과 같은 액츄에이터를 사용하여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가조립 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샤프트(5)가 눕혀진 상태로 공급되어 파지구동부(42)에 파지된다. 이때 수평이동부(46)가 동작되어 파지구동부(42)는 이동프레임부(34)의 측방향으로 돌출된 상태이다.
그리고 파지구동부(42)가 동작되어 파지구동부(42)가 이동프레임부(34)를 향한 방향으로 수평이동되며, 회전구동부(44)가 동작되어 파지구동부(42)와 함께 샤프트(5)를 90도 회전시킨다.
따라서 샤프트(5)는 세워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메인구동부(32)가 동작되어 샤프트(5)와 함께 회전이송부(40)를 수평 이동시켜 샤프트정렬부(50)의 상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다시 수평이동부(46)가 동작되어 파지구동부(42)가 이동프레임부(34)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수직이동부(48)가 동작되어 샤프트(5)와 파지구동부(42)가 하측으로 이동한다.
수직이동부(48)의 동작으로 샤프트(5)는 안착부(55)의 내측홀부의 내측에 안착된다. 이때 샤프트(5)의 방향성은 조절되지 않은 상태이다.
샤프트(5)가 일정한 방향성을 갖도록 샤프트정렬부(50)가 동작된다. 안착부(55)의 양측에 설치된 가압구동부(68)가 동작되어 이동날개부(60)가 내측홈부(57)로 삽입되어 샤프트(5)의 측면에 접한다.
그리고 정렬구동부(74)가 동작되어 구동베이스부(70)를 우측방향(도 8기준)으로 이동시키면, 구동베이스부(70)에 연결된 평기어부(52)가 원기어부(54)의 일측에 맞물려 돌아가므로, 원기어부(54)의 타측에 맞물려 있는 구동베이스부(70)도 안내레일(72)을 따라 좌측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이동날개부(60)가 내측홈부(57)의 내측에 있는 샤프트(5)에 접하면서 회전하므로, 샤프트(5)의 평측면(7)이 이동날개부(60)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정렬된다.
샤프트(5)의 정렬이 완료되면, 메인구동부(32)의 동작으로 샤프트(5) 이송부는 다시 초기위치로 이동되어 눕혀진 상태로 공급되는 샤프트(5)를 파지한다. 그리고, 이동프레임부(34)와 함께 이동되는 파지이송부(80)가 방향성을 가지며 정렬된 샤프트(5)를 안착부(55)에서 빼내여 후속공정으로 이송한다. 즉 이송구동부(82)의 동작으로 하측으로 이동된 핑거파지부(84)가 정렬이 완료된 샤프트(5)를 파지한 후 다시 상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메인구동부(32)의 동작으로 이동프레임부(34)가 이동될 때 파지이송부(80)도 이동되어 후공정인 제품이송부(90)를 향하여 세워진 상태의 샤프트(5)를 공급한다.
제품이송부(90)의 장착부(100)의 내측에 디텐트 플레이트(3)가 공급된 후, 파지이송부에 의해 샤프트(5)가 공급되어 디텐트 플레이트(3)와 샤프트(5)의 1차 가조립이 장착부(100) 내에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품이송부(90)의 회전판(94)이 회전되면, 디텐트 플레이트(3)와 샤프트(5)가 가조립 된 상태의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 상측을 가조립가압부(120)가 가압하여 디텐트 플레이트(3)와 샤프트(5)의 1차 가조립이 이루어진다.
이때 디텐트 플레이트(3)의 상측으로 돌출된 샤프트(5)의 상단이 고정홈부(128)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조립지그몸체(126)의 하측이 디텐트 플레이트(3)의 상측에 접하면서 가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샤프트(5)는 디텐트 플레이트(3)의 상측에 설정된 높이로 돌출된다.
그리고 제품이송부(90)의 회전판(94)이 회전되면, 언로딩부(130)가 가조립된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를 파지하여 샤프트(5)를 코킹하기 위한 후공정으로 이송한다.
그리고 다시 제품이송부(90)의 회전판(94)이 회전되면, 클리닝부(140)의 분사노즐(142)을 통해 공기가 분사되어 장착부(100)의 내측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만약 언로딩부(130)에 의해 이송되지 못한 불량품이 있는 경우, 불량반출부(150)가 동작되어 불량인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를 외측으로 이송한다. 반출구동부(152)가 동작되어 로드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로드의 하단에 연결된 반출접합부(154)가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를 흡착한 후, 다시 로드와 함께 상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소재공급부(20)에 구비된 메인구동부(32)의 동작으로 불량 판정을 받은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는 반출구동부(152)와 함께 수평 이동되어 제품이송부(90)의 외측으로 이동된 후 설정된 장소에 모여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샤프트이송부(30)의 동작으로 샤프트(5)가 제품이송부(90)로 공급되어 디텐트 플레이트(3) 1차 가조립되며, 가조립가압부(120)에 의해 2차 가조립이 이루어진 후 후공정으로 이송되어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의 가조립을 자동으로 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자동변속기에 사용되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2)의 소재인 샤프트(5)를 세워진 상태에서 일정하게 방향성을 갖도록 거치방향을 조절한 후 후공정으로 공급하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가조립 장치
2: 디텐트레버 어셈블리 3: 디텐트 플레이트 5: 샤프트 7: 평측면
10: 지지테이블 20: 소재공급부
30: 샤프트이송부 32: 메인구동부 34: 이동프레임부 36: 지지베이스 37: 기둥부 38: 커버프레임 40: 회전이송부 42: 파지구동부 44: 회전구동부 46: 수평이동부 48: 수직이동부 49: 가이드레일
50: 샤프트정렬부 52: 평기어부 54: 원기어부 55: 안착부 56: 지지기둥 57: 내측홈부 58: 안내홀부 60: 이동날개부 62: 가압지지부 63: 가압지지패널 64: 수평안내바 66: 가압탄성부재 68: 가압구동부 70: 구동베이스부 72: 안내레일 74: 정렬구동부
80: 파지이송부 82: 이송구동부 84: 핑거파지부
90: 제품이송부 94: 회전판 95: 제품이송모터 96: 회전기어부 97: 회전지지롤러부
100: 장착부 102: 장착금형부 110: 샤프트실린더
120: 가조립가압부 122: 가압실린더부 124: 조립지그부(126: 조립지그몸체 128: 고정홈부)
130: 언로딩부 132: 파지유닛 134: 제1언로딩구동부 136: 제2언로딩구동부 138: 언로딩프레임
140: 클리닝부 142: 분사노즐 144: 공급관로부
150: 불량반출부 152: 반출구동부 154: 반출접합부

Claims (7)

  1.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샤프트를 공급하는 소재공급부;
    디텐트 플레이트와 상기 소재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상기 샤프트의 1차 가조립이 이루어지는 지그를 구비하며, 설정된 각도로 회전되는 제품이송부;
    상기 제품이송부를 통해 이동된 상기 샤프트를 가압하여 상기 디텐트 플레이트에 상기 샤프트를 2차 가조립하는 가조립가압부;
    상기 제품이송부의 측면에 위치하며, 가조립된 상기 디텐트레버 어셈블리를 후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언로딩부; 및
    상기 언로딩부를 통과하며 상기 디텐트레버 어셈블리가 제거된 상기 제품이송부의 장착부로 취출기체를 공급하여 상기 장착부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재공급부는, 상기 샤프트를 파지하여 이송시키는 샤프트이송부;
    상기 샤프트이송부를 통하여 상기 샤프트를 공급받으며, 상기 샤프트가 설정된 방향성을 가지며 배열되도록 상기 샤프트의 거치 방향을 조절하는 샤프트정렬부; 및
    상기 샤프트정렬부에 거치된 상기 샤프트를 파지하여 상기 제품이송부로 상기 샤프트를 이송시키는 파지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이송부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메인구동부;
    상기 메인구동부를 지지하는 지지테이블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메인구동부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프레임부; 및
    상기 이동프레임부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프레임부와 함께 이동하며, 상기 샤프트를 파지하여 상기 샤프트정렬부로 이송시키는 회전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이송부는, 상기 샤프트를 파지하는 파지구동부;
    상기 파지구동부에 연결되며, 설정된 각도로 상기 파지구동부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
    상기 회전구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구동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부; 및
    하측은 상기 이동프레임부에 고정되며 상측은 상기 수평이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수평이동부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가조립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이송부는, 상기 장착부를 지지하며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품이송모터;
    상기 제품이송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변속이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판의 회전중심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회전기어부; 및
    상기 회전판의 하측 테두리부를 지지하는 회전지지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가조립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조립가압부는, 상기 장착부의 상측에 고정되며, 유체의 공급으로 동작되는 가압실린더부; 및
    상기 가압실린더부의 로드에 연결되며, 상기 샤프트의 상단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디텐트 플레이트에 상기 샤프트를 가조립하는 조립지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가조립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지그부는, 상기 가압실린더부의 로드에 연결되는 조립지그몸체; 및
    상기 장착부에 안착된 상기 샤프트의 상단과 마주하는 상기 조립지그몸체의 하측에 홈부를 형성하는 고정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가조립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딩부는, 상기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의 상기 샤프트를 파지하는 파지유닛;
    상기 파지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파지유닛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1언로딩구동부;
    상기 제1언로딩구동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수평방향으로 동작되어 상기 파지유닛과 상기 제1언로딩구동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언로딩구동부; 및
    상기 제2언로딩구동부를 지지하는 언로딩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가조립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부는, 상기 언로딩부를 통과한 상기 장착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장착부를 향하여 취출기체를 분사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분사노즐; 및
    상기 분사노즐로 취출기체를 공급하는 관로를 형성하는 공급관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가조립 장치.
KR1020160179295A 2016-12-26 2016-12-26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가조립 장치 KR101889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295A KR101889311B1 (ko) 2016-12-26 2016-12-26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가조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295A KR101889311B1 (ko) 2016-12-26 2016-12-26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가조립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757A KR20180075757A (ko) 2018-07-05
KR101889311B1 true KR101889311B1 (ko) 2018-08-20

Family

ID=62920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9295A KR101889311B1 (ko) 2016-12-26 2016-12-26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가조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3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5656A (zh) * 2018-11-27 2019-02-22 广东金力变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齿组伺服压入自动组装机
CN112025293B (zh) * 2020-08-24 2022-09-06 上海弗列加滤清器有限公司 一种滤清器放水阀自动安装设备
CN117484136B (zh) * 2023-11-02 2024-05-07 广东肇庆德通有限公司 一种外转子管道换气扇风轮压装专用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748B1 (ko) * 2012-03-09 2012-10-02 (주) 청호열처리 디텐트 레버 자동 조립장치
JP5431068B2 (ja) * 2009-08-17 2014-03-05 株式会社ホリ・コン 電動ドリルのガイドアタッチメン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穿孔装置
KR101386807B1 (ko) * 2013-08-07 2014-05-07 양진복 자동차용 클립 어셈블리 조립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31068B2 (ja) * 2009-08-17 2014-03-05 株式会社ホリ・コン 電動ドリルのガイドアタッチメン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穿孔装置
KR101184748B1 (ko) * 2012-03-09 2012-10-02 (주) 청호열처리 디텐트 레버 자동 조립장치
KR101386807B1 (ko) * 2013-08-07 2014-05-07 양진복 자동차용 클립 어셈블리 조립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757A (ko)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9311B1 (ko)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가조립 장치
JP2826544B2 (ja) ベアリングの組立装置、その組立治具およびその組立ロボット
KR101859877B1 (ko) 차량용 자동 클립 장착기
WO2016107015A1 (zh) 车轮盖自动组装系统及其组装方法
US10393152B2 (en) Stamp-sealing unit and ultrasonic processing device comprising same
KR101950978B1 (ko) 테이프 자동 부착장치
KR101592439B1 (ko) 나사 체결 장치
KR101076347B1 (ko) 단추 자동 공급기용 단추 정열대
KR101734509B1 (ko) 디텐트레버 어셈블리 자동화 생산장치
KR101842369B1 (ko) 스파우트 캡핑을 위한 비닐백 공급 시스템
WO2018201526A1 (zh) 底面贴标机
KR101888574B1 (ko)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소재 공급장치
KR20190049229A (ko) 호스 체결밴드 자동조립장치 및 그 조립공정
KR101742068B1 (ko) 패드 자동부착장치
WO2011021295A1 (ja) フィルム被嵌システム
CN113400258B (zh) 一种提花机组件弹簧组装设备
JP3128972U (ja) 部品供給システム
CN209811691U (zh) 控制臂装配装置
CN114571224A (zh) 一种座椅托盘调节机构的自动装配设备
JP6750484B2 (ja) ネジ供給装置及びネジ供給方法
CN109681497B (zh) 一种组合式胶装压紧装置
JP2000158243A (ja) 部品自動圧入装置
KR101971424B1 (ko)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의 연속 자동화 제조 시스템
CN117601356B (zh) 一种自动上下料的注塑机
JP7332146B2 (ja) ネジ類取り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