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1280B1 -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280B1
KR101731280B1 KR1020150166043A KR20150166043A KR101731280B1 KR 101731280 B1 KR101731280 B1 KR 101731280B1 KR 1020150166043 A KR1020150166043 A KR 1020150166043A KR 20150166043 A KR20150166043 A KR 20150166043A KR 101731280 B1 KR101731280 B1 KR 101731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rotation
impact
shock absorb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6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인그룹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인그룹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인그룹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50166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2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는 차도와 접하는 제1면과 인도와 접하는 제2면과 지상을 향하는 제3면과 지면과 맞대어지는 제4면을 구비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제3면 중앙에 형성되는 제1결합홈을 구비하여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는 본체;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결합홈에 삽입되는 제1삽입돌기와, 상기 제2몸체와 동일한 크기와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2몸체의 타단에 위치하는 제3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타단 및 상기 제3몸체의 일단 사이에 구비되어 제3몸체가 제2몸체로부터 탄력적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제1탄성체와, 상기 제3몸체의 타단 밑면 중앙에 형성되는 제2결합홈을 구비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제1충격흡수장치; 상기 제1몸체의 제1면 전방에 구비되는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커버와 'ㄱ'자를 형성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몸체의 제3면을 덮는 제2커버와, 상기 제2커버의 중앙에 상기 제2몸체의 단면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와 결합한 상기 제1충격흡수장치의 제2몸체가 상기 제2커버와 충돌하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홈과, 상기 제1몸체의 제1면과 상기 제1커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가 탄력적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다수개의 제2탄성체를 구비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제2충격흡수장치; 및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1충격흡수장치의 제2결합홈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제2삽입돌기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삽입돌기가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1충격흡수장치를 일체화시키는 제4몸체와, 상기 제4몸체의 인도 측 일면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제4몸체와 결합한 상기 제3몸체가 상기 제2탄성체에 의해 인도 측으로 탄력적으로 움직일 시 상기 제4몸체를 인도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회전축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가 상기 회전축을 축으로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회전방지턱을 구비하는 결합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Joint assembly boundary stone for houses}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펜스 를 구비하며, 경계석 및 펜스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경계석은 도로의 가장자리 주변에 설치되어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고, 화단을 조성하여 중앙분리대를 구성하는 외곽 테두리부분에 사용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지금까지의 도로경계석은 전체가 직사각형으로서, 일측면을 약간 경사지게 형성하여 도로의 필요여건에 따라 연속적으로 반복되게 붙여 놓아서 도로와 만나는 모서리부에 연삭선을 형성한 후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거나, 중앙분리대를 구성하는데 사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도로경계석은 도로에서의 운전자의 운전 부주의 및 운전 미숙과 같은 자동차의 갑작스런 돌발사태로 인한 자동차의 앞타이어와 엘형측과의 충돌 접촉시, 자동차의 앞타이어에서 발생하는 고속 마찰로 인해 도로경계석과의 밀착현상이 발생하여 도로경계석을 넘어가게 됨으로써, 예기치 못한 인명피해 및 물적피해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해 도로경계석이 파손되거나 정열이 흐트러지게 되어 재정비하는 데 따른 번거로움과 불편함은 물론, 경제적 손실 또한 뒤따르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9-005977호(1999.02.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는 펜스와 결합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경계석 및 펜스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조립방식을 통해 교체 등의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는 차도와 접하는 제1면과 인도와 접하는 제2면과 지상을 향하는 제3면과 지면과 맞대어지는 제4면을 구비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제3면 중앙에 형성되는 제1결합홈을 구비하여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는 본체;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결합홈에 삽입되는 제1삽입돌기와, 상기 제2몸체와 동일한 크기와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2몸체의 타단에 위치하는 제3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타단 및 상기 제3몸체의 일단 사이에 구비되어 제3몸체가 제2몸체로부터 탄력적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제1탄성체와, 상기 제3몸체의 타단 밑면 중앙에 형성되는 제2결합홈을 구비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제1충격흡수장치; 상기 제1몸체의 제1면 전방에 구비되는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커버와 'ㄱ'자를 형성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몸체의 제3면을 덮는 제2커버와, 상기 제2커버의 중앙에 상기 제2몸체의 단면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와 결합한 상기 제1충격흡수장치의 제2몸체가 상기 제2커버와 충돌하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홈과, 상기 제1몸체의 제1면과 상기 제1커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가 탄력적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다수개의 제2탄성체를 구비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제2충격흡수장치; 및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1충격흡수장치의 제2결합홈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제2삽입돌기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삽입돌기가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1충격흡수장치를 일체화시키는 제4몸체와, 상기 제4몸체의 인도 측 일면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제4몸체와 결합한 상기 제3몸체가 상기 제2탄성체에 의해 인도 측으로 탄력적으로 움직일 시 상기 제4몸체를 인도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회전축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가 상기 회전축을 축으로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회전방지턱을 구비하는 결합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몸체의 차도 측 일면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2몸체에 직접직인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3커버와, 상기 제2몸체의 차도 측 일면과 상기 제3커버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2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다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제3커버가 상기 제2몸체로부터 탄력적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제3탄성체를 구비하는 제3충격흡수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에 의하면,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는 펜스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경계석 및 펜스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조립방식을 통해 교체 등의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가 설치된 모습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에 충격이 가해질 시 충격을 흡수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가 설치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1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경계석과 마찬가지로 차도(20)와 인도(30) 사이에 구비되어 차도(20)와 인도(30)를 구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10)는 일부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펜스와 같은 형태로 구비되어 차도(20)와 인도(30)의 구분을 더욱 명확히 함과 동시에 차도(20)를 따라 주행중인 차량이 인도(30)를 덮치는 등의 돌발상황으로부터 인도(30)를 이용하는 보행자 또는 건물 등을 우선적으로 보호하는 역할 또한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에서 언급한 펜스와 같은 형태로 구비되는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10)의 일부는 인도(30)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므로 향후 보수나 교체 등의 유지관리를 하는데 있어서 인도(30)에 깔린 보도블록을 분리하고 재설치하는 등의 과정이 필요 없게 된다. 따라서, 펜스와 같은 형태로 구비되는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10)의 일부를 편리하게 보수나 교체를 할 수 있으며, 보도블록의 분리 및 재설치 또한 필요 없게 되어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10)는 차도(20)를 따라 주행중인 차량이 인도(30)를 덮치는 등의 돌발상황에 의해 차량이 충격을 가할 경우, 그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격 흡수가 가능한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1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에 충격이 가해질 시 충격을 흡수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10)는 본체(100), 제1충격흡수장치(200), 제2충격흡수장치(300) 및 결합장치(400)를 구비할 수 있다.
먼저, 본체(100)에 대해 살펴보면, 본체(100)는 제1몸체(110)와 제1결합홈(120)을 구비할 수 있다.
제1몸체(110)는 차도(20)와 접하는 제1면(111), 인도(30)와 접하는 제2면(112), 지상을 향하는 제3면(113) 및 지면과 맞대어지는 제4면(114)을 구비하고 제1면(111)이 차도(20)를 향하고 제2면(112)이 인도(30)를 향하며 제3면(113)이 지상을 향하도록 차도(20)와 인도(3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경계석과 마찬가지로 직사각기둥형태로 제작되며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제1결합홈(120)은 제1몸체(110)의 제3면(113)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제1결합홈(120)에는 상기의 제1충격흡수장치(200)의 일부가 삽입되어 본체(100)와 일체화될 수 있다. 본체(100)와 제1충격흡수장치(200)가 일체형으로 제작되지 않고 조립방식을 통해 일체화됨에 따라 분리 또는 결합이 용이하여 교체 등의 유지관리를 하는데 용이하다.
한편, 상기의 제1결합홈(120)에 일부가 삽입되어 본체(100)와 일체화되는 제1충격흡수장치(200)는 제2몸체(210), 제1삽입돌기(220), 제3몸체(230), 제1탄성체(240) 및 제2결합홈(250)을 구비할 수 있다.
제2몸체(210)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기둥형태로 구비되며 사각형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1삽입돌기(220)는 상기의 제2몸체(210)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에서 언급한 제1결합홈(120)과 동일한 크기 및 형태로 제작되어 제1결합홈(120)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제1삽입돌기(220)가 제1결합홈(120)에 삽입됨으로써 제1충격흡수장치(200)가 본체(100)와 일체화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삽입돌기(220)의 외면과 제1결합홈(120)의 내면에 각각 나사산을 구비하여 제1삽입돌기(220)와 제1결합홈(120)이 나사결합방식을 통해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상호 간의 결합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제3몸체(230)는 제2몸체(210)의 타단에 위치할 수 있는데 제2몸체(210)와 동일한 크기와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제2몸체(210)와 마찬가지로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기둥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탄성체(240)는 스프링이나 고강선 와이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제2몸체(210)의 타단과 제3몸체(230)의 일단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제2몸체(210)의 경우 제1삽입돌기(220)가 제1결합홈(120)에 삽입되어 본체(100)와 일체화된 상태이므로 제1탄성체(240)에 의해 제3몸체(230)가 제2몸체(210)로부터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제3몸체(230)가 차량의 앞범퍼나 뒤범퍼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제3몸체(230)가 차량과 직접적으로 부딪히게 되고 제1탄성체(240)에 의해 탄력적으로 움직임으로써 충격을 흡수하여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부딪힌 이후에는 제1탄성체(240)의 탄성력에 의해 제3몸체(230)가 다시 본래의 위치로 돌아올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약한 충격력에는 교체나 수리 없이 바로 본래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제2결합홈(250)은 제3몸체(230)의 타단 밑면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홈(250)에는 상기의 결합장치(400)의 일부가 삽입되어 제1충격흡수장치(200)와 일체화될 수 있다. 제1충격흡수장치(200)와 결합장치(400)가 일체형으로 제작되지 않고 조립방식을 통해 일체화됨에 따라 분리 또는 결합이 용이하여 교체 등의 유지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결합장치(4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추후에 하도록 한다.
한편, 제2충격흡수장치(300)는 제1커버(310), 제2커버(320), 가이드홈(330) 및 제2탄성체(34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커버(310)와 제2커버(320)는 'ㄱ'자 형태를 형성하며 제1커버(310)는 제1몸체(110)의 제1면(111) 전방을, 제2커버(320)는 제1몸체(110)의 제3면(113)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탄성체(340)는 제1몸체(110)의 제1면(111)과 제1커버(310) 사이에 다수개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탄성체(340)는 제1탄성체(240)와 마찬가지로 스프링이나 고강선 와이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1몸체(110)의 경우 차도(20)와 인도(30)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제2탄성체(340)에 의해 제1커버(310)와 제2커버(320)가 제1몸체(110)로부터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제1커버(310)가 차량의 바퀴와 맞닿을 수 있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제1커버(310)가 차량과 직접적으로 부딪히게 되고 제2탄성체(340)에 의해 탄력적으로 움직임으로써 충격을 흡수하여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부딪힌 이후에는 제2탄성체(340)의 탄성력에 의해 제1커버(310)가 다시 본래의 위치로 돌아올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약한 충격력에는 교체나 수리 없이 바로 본래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가이드홈(330)은 상기의 제2몸체(210) 단면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제2커버(320)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커버(320)는 제1커버(310)가 탄력적으로 움직일 시 제1커버(310)와 함께 인도(30) 측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제1몸체(110)의 제3면(113)에 형성된 제1결합홈(120)에는 이미 제1삽입돌기(220)가 삽입되어 본체(100)와 제1충격흡수장치(200)가 일체화된 상태이므로 제2몸체(210) 의해 제2커버(320)가 인도(30) 측으로 움직이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제2커버(320)의 중앙에 제2몸체(210)의 단면과 동일한 크기의 가이드홈(330)을 구비함으로써 제2몸체(210)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제2커버(320)가 용이하게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결합장치(400)는 제2삽입돌기(410), 제4몸체(420), 회전축(430), 지지대(440) 및 회전방지턱(450)을 구비할 수 있다.
제2삽입돌기(41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서로 이웃하는 본체(100)와 일체화된 제1충격흡수장치(200)의 제2결합홈(250)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제2삽입돌기(41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4몸체(420)의 양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제4몸체(420)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2삽입돌기(410)를 통해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제1충격흡수장치(200)가 일체화될 수 있다. 제1충격흡수장치(200)와 결합장치(400)가 일체형으로 제작되지 않고 조립방식을 통해 일체화됨에 따라 분리 또는 결합이 용이하여 교체 등의 유지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회전축(430), 지지대(440) 및 회전방지턱(450)은 모두 제4몸체(420)의 인도(30) 측 일면 양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회전축(430)은 용접 등의 방식을 통해 제4몸체(420)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지지대(440)는 지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형태로 구비되며 회전축(430)에 연결되어 회전축(430)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방지턱(450)은 회전축(430)에 구비되어 회전축(430)을 축으로 회전하는 지지대(440)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지지대(440)를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회전축(430), 지지대(440) 및 회전방지턱(450)의 역할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결합장치(400)가 제1충격흡수장치(200)와 결합한 상태에서 제3몸체(230) 또는 제4몸체(420)에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에는 제1탄성체(240)에 의해 제3몸체(230)를 비롯한 제4몸체(420)가 인도(30) 측으로 기울어지는 형태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제3몸체(230) 또는 제4몸체(420)에 가해진 충격력이 상대적으로 클 경우, 차량이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10)를 넘어 인도(30)로 향할 수 있어 인도(30)를 이용하는 보행자나 건물 등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지지대(440)를 구비하여 제4몸체(420)를 지면으로부터 지지받도록 하고, 회전방지턱(450)을 구비하여 지지대(440)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축(430)을 축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일정 각도 이상으로 제3몸체(230) 및 제4몸체(420)가 인도(30) 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지지받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이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10)를 넘어 인도(30)로 향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인도(30)를 이용하는 보행자나 인도(30) 측의 건물 등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440)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회전축(430)을 축으로 회전하는 형태이므로 평상시에는 제1충격흡수장치(200)의 제2몸체(210) 및 제3몸체(230)와 나란한 상태로 구비되므로 인도(30)를 이용하는 보행자의 보행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10)의 변형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10)는 차도(20)와 접하는 제1면(111)과 인도(30)와 접하는 제2면(112)과 지상을 향하는 제3면(113)과 지면과 맞대어지는 제4면(114)을 구비하는 제1몸체(110)와, 제1몸체(110)의 제3면(113) 중앙에 형성되는 제1결합홈(120)을 구비하여 차도(20)와 인도(30)를 구분하는 본체(100),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몸체(210)와, 제2몸체(210)의 일단에 구비되어 제1결합홈(120)에 삽입되는 제1삽입돌기(220)와, 제2몸체(210)와 동일한 크기와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제2몸체(210)의 타단에 위치하는 제3몸체(230)와, 제2몸체(210)의 타단 및 제3몸체(230)의 일단 사이에 구비되어 제3몸체(230)가 제2몸체(210)로부터 탄력적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제1탄성체(240)와, 제3몸체(230)의 타단 밑면 중앙에 형성되는 제2결합홈(250)을 구비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제1충격흡수장치(200), 제1몸체(110)의 제1면(111) 전방에 구비되는 제1커버(310)와, 제1커버(310)로부터 연장되고 제1커버(310)와 'ㄱ'자를 형성하도록 구비되어 제1몸체(110)의 제3면(113)을 덮는 제2커버(320)와, 제2커버(320)의 중앙에 제2몸체(210)의 단면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본체(100)와 결합한 제1충격흡수장치(200)의 제2몸체(210)가 제2커버(320)와 충돌하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홈(330)과, 제1몸체(110)의 제1면(111)과 제1커버(310) 사이에 구비되어 제1커버(310) 및 제2커버(320)가 탄력적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다수개의 제2탄성체(340)를 구비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제2충격흡수장치(300) 및 서로 이웃하는 제1충격흡수장치(200)의 제2결합홈(250)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제2삽입돌기(410)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삽입돌기(410)가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이웃하는 제1충격흡수장치(200)를 일체화시키는 제4몸체(420)와, 제4몸체(420)의 인도(30) 측 일면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회전축(430)과, 회전축(430)과 연결되어 제4몸체(420)와 결합한 제3몸체(230)가 제2탄성체(340)에 의해 인도(30) 측으로 탄력적으로 움직일 시 제4몸체(420)를 인도(30)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대(440)와, 회전축(430)에 구비되어 지지대(440)가 회전축(430)을 축으로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회전방지턱(450)을 구비하는 결합장치(40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몸체(210)의 차도(20) 측 일면 전방에 위치하여 제2몸체(210)에 직접직인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3커버(510)와 제2몸체(210)의 차도(20) 측 일면과 제3커버(510) 사이에 구비되고 제2몸체(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다수개가 구비되어 제3커버(510)가 제2몸체(210)로부터 탄력적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제3탄성체(520)를 구비하는 제3충격흡수장치(5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제3충격흡수장치(500)는 차량이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10)에 충격을 가할 시 제1충격흡수장치(200)의 제3몸체(230)와 부딪히지 못하고 제2몸체(210)에 부딪힐 경우를 대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3충격흡수장치(500)가 구비됨에 따라 제2몸체(210)에 전달될 충격을 흡수하게 되므로 제2몸체(210)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충격에 의한 제2몸체(210)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 100: 본체
200: 제1충격흡수장치 300: 제2충격흡수장치
400: 결합장치 500: 제3충격흡수장치

Claims (2)

  1. 차도와 접하는 제1면과 인도와 접하는 제2면과 지상을 향하는 제3면과 지면과 맞대어지는 제4면을 구비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제3면 중앙에 형성되는 제1결합홈을 구비하여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는 본체;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결합홈에 삽입되는 제1삽입돌기와, 상기 제2몸체와 동일한 크기와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2몸체의 타단에 위치하는 제3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타단 및 상기 제3몸체의 일단 사이에 구비되어 제3몸체가 제2몸체로부터 탄력적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제1탄성체와, 상기 제3몸체의 타단 밑면 중앙에 형성되는 제2결합홈을 구비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제1충격흡수장치;
    상기 제1몸체의 제1면 전방에 구비되는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커버와 'ㄱ'자를 형성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몸체의 제3면을 덮는 제2커버와, 상기 제2커버의 중앙에 상기 제2몸체의 단면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와 결합한 상기 제1충격흡수장치의 제2몸체가 상기 제2커버와 충돌하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홈과, 상기 제1몸체의 제1면과 상기 제1커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가 탄력적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다수개의 제2탄성체를 구비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제2충격흡수장치; 및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1충격흡수장치의 제2결합홈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제2삽입돌기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삽입돌기가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1충격흡수장치를 일체화시키는 제4몸체와, 상기 제4몸체의 인도 측 일면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제4몸체와 결합한 상기 제3몸체가 상기 제2탄성체에 의해 인도 측으로 탄력적으로 움직일 시 상기 제4몸체를 인도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회전축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가 상기 회전축을 축으로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회전방지턱을 구비하는 결합장치;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의 차도 측 일면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2몸체에 직접직인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3커버와, 상기 제2몸체의 차도 측 일면과 상기 제3커버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2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다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제3커버가 상기 제2몸체로부터 탄력적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제3탄성체를 구비하는 제3충격흡수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
KR1020150166043A 2015-11-26 2015-11-26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 KR101731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043A KR101731280B1 (ko) 2015-11-26 2015-11-26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043A KR101731280B1 (ko) 2015-11-26 2015-11-26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1280B1 true KR101731280B1 (ko) 2017-04-28

Family

ID=58701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6043A KR101731280B1 (ko) 2015-11-26 2015-11-26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12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4279B1 (ko) 2016-04-21 2018-04-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드레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367Y1 (ko) 1997-12-31 2000-02-01 김기중 충격완화용 방호책
KR100256394B1 (ko) 1997-11-05 2000-05-15 밍 루 충격 흡수성이 우수한 가드레일
KR200293141Y1 (ko) 2002-07-12 2002-10-25 주식회사 계림엔지니어링 교차로의 삼각 코너부용 충격 흡수 안전 가드 레일 구조
KR100634825B1 (ko) 2006-07-25 2006-10-18 주식회사 삼안코퍼레이션 커브길도로의 측면에 설치되는 탑승자 보호용 충격흡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6394B1 (ko) 1997-11-05 2000-05-15 밍 루 충격 흡수성이 우수한 가드레일
KR200169367Y1 (ko) 1997-12-31 2000-02-01 김기중 충격완화용 방호책
KR200293141Y1 (ko) 2002-07-12 2002-10-25 주식회사 계림엔지니어링 교차로의 삼각 코너부용 충격 흡수 안전 가드 레일 구조
KR100634825B1 (ko) 2006-07-25 2006-10-18 주식회사 삼안코퍼레이션 커브길도로의 측면에 설치되는 탑승자 보호용 충격흡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4279B1 (ko) 2016-04-21 2018-04-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드레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9921B1 (ko) 내구형 시선유도봉
KR101052624B1 (ko) 롤링 가드배리어
KR101066918B1 (ko) 가드레일용 지주 고정장치
KR101731280B1 (ko)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
KR101814783B1 (ko) 충격 흡수형 도로경계석
KR100969810B1 (ko) 트러스 구조의 완충부를 구비한 차량안전 방호책
KR101850491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충격흡수 조립식 볼라드
KR101113140B1 (ko) 볼라드
KR20100025666A (ko) 볼라드
KR101507481B1 (ko) 충격흡수용 도로 방호대
KR100489768B1 (ko) 충격흡수형 도로 중앙분리대
CN208440984U (zh) 道路桥梁用防撞护栏
KR20110031554A (ko) 완충기능을 갖는 가드펜스
KR100565849B1 (ko) 충격흡수형 도로경계석 설치구조
KR100791316B1 (ko) 공동주택 주차장 기둥 충돌방지시설
KR20160003691U (ko) 방호울타리용 단부충돌완충시설 설치구조
KR101131438B1 (ko) 단부용 충격흡수시설물
KR100751443B1 (ko) 도로 경계 표시봉
KR200316380Y1 (ko) 가드레일 완충구
KR101613275B1 (ko) 가드 레일의 회전식 충격 완충 장치
KR101280769B1 (ko) 가드레일 보호장치
KR100889579B1 (ko) 넘어감 방지구조를 갖는 경계석
KR200364642Y1 (ko) 충격흡수용 방호책
KR101192586B1 (ko) 충격흡수가드레일
KR100739413B1 (ko) 충격흡수 가드레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