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9921B1 - 내구형 시선유도봉 - Google Patents

내구형 시선유도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9921B1
KR101699921B1 KR1020160013821A KR20160013821A KR101699921B1 KR 101699921 B1 KR101699921 B1 KR 101699921B1 KR 1020160013821 A KR1020160013821 A KR 1020160013821A KR 20160013821 A KR20160013821 A KR 20160013821A KR 101699921 B1 KR101699921 B1 KR 101699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astening
prevent
guide rod
fix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3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시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시환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시환경
Priority to KR1020160013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9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81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the sign posts being fastened by removable means, e.g. screws or 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의 차선 시인성을 향상 및 보행자의 무단 횡단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도로 시설물로 사용되는 내구형 시선유도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충돌 충격시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 시켜주어 유도봉이 쉽게 꺾이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의 충돌 및 차량의 지속적인 이동에 따른 진동에 의해 앵커볼트가 고정수단에서 분리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며, 반사지가 눈, 비, 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도시미관이 미려하도록 하고, 반사지 오염에 따른 물청소 대신 보호캡만 교체하여 유지비용을 절감시킴은 물론 유도봉이 훼손되어 교체할 경우에도 교체비용을 절감시키는 등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한 내구형 시선유도봉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체결홈이 형성된 상판과, 이 상판의 하부 중앙에는 도로 지면에 매립되는 돌기둥이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수단; 상기 고정수단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에는 체결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고정볼트의 나사부가 삽입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된 받침대가 형성되고, 이 받침대의 상부에는 외측테두리에 반사지가 부착되는 요홈이 복수 개 형성된 지주봉이 일체로 이루어진 유도봉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봉 본체는 상기 고정수단에 고정볼트와 너트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내구형 시선유도봉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내구형 시선유도봉{Permanence tubular markers}
본 발명은 운전자의 차선 시인성을 향상 및 보행자의 무단 횡단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도로 시설물로 사용되는 내구형 시선유도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충돌 충격시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 시켜주어 유도봉이 쉽게 꺾이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의 충돌 및 차량의 지속적인 이동에 따른 진동에 의해 앵커볼트가 고정수단에서 분리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며, 반사지가 눈, 비, 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도시미관이 미려하도록 하고, 반사지 오염에 따른 물청소 대신 보호캡만 교체하여 유지비용을 절감시킴은 물론 유도봉이 훼손되어 교체할 경우에도 교체비용을 절감시키는 등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한 내구형 시선유도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도봉은 노면 표시를 보조하며 동일 및 반대 방향 교통 도로를 공간적으로 분리하고, 위험구간을 예고하는 기능을 하는 시설물로 도로에 설치되어 차선을 유도 및 규제하는 데 주로 사용되며, 그 밖에도 인도 및 차선을 분리하는 곳, 고속도로와 고가 교의 진출입로, 급커브로 사고발생이 높은 지점 등에 설치된다.
이러한 유도봉은 앵커볼트를 통해 지면에 고정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수직으로 세워지고 외부면에 반사지가 부착되는 유도봉 본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종래의 유도봉은 내부가 텅 빈 원통 형상으로 수직으로 세워져 차량의 충돌 충격시 탄력을 유지할 수 없어 쉽게 꺽어져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유도봉은 앵커볼트가 상부방향에서 하부방향으로 받침대에 체결되는 방식으로 받침대에서 쉽게 분리 이탈되고, 특히 분리 이탈된 볼트를 빠르게 달리는 차량이 밟아 튀어 올라 운전자를 위협하는 무기로 돌변하게 됨은 물론 차량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유도봉은 눈, 비, 황사 등의 오염물로 반사지가 얼룩져 보기 흉함은 물론 반사지의 기능이 상실되면 먼지와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해 물청소를 하거나 유도봉 전체를 새것으로 교체해야 하므로 번거롭고 과다한 비용이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유도봉은 최초 도로 지면에 설치된 후 유도봉이 파손되어 새것으로 교체할 경우 유도봉이 최초 설치된 그 자리에 재차 설치가 불가하여 주변에 다시 설치해야 하므로 도시환경이 깨끗하지 못하고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563532호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26972호가 등록된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고정수단과 유도봉 본체 및 보강부재와 고정볼트 및 너트 및 탈착 가능한 보호캡이 구비된 내구형 시선유도봉을 제공하는 것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한 제2목적은 차량의 충돌 충격시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 시켜주어 유도봉이 쉽게 꺾이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고, 제3목적은 차량의 충돌 및 차량의 지속적인 이동에 따른 진동에 의해 앵커볼트가 고정수단에서 분리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며, 제4목적은 반사지가 눈, 비, 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도시미관이 미려하도록 하고, 반사지 오염에 따른 물청소 대신 보호캡만 교체하여 유지비용을 절감시킴은 물론 유도봉이 훼손되어 교체할 경우에도 교체비용을 절감시키는 등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고, 제5목적은 유도봉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됨에 따라 작업시간을 대폭 절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6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내구형 시선유도봉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체결홈이 형성된 상판과, 이 상판의 하부 중앙에는 도로 지면에 매립되는 돌기둥이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수단; 상기 고정수단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에는 체결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고정볼트의 나사부가 삽입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된 받침대가 형성되고, 이 받침대의 상부에는 외측테두리에 반사지가 부착되는 요홈이 복수 개 형성된 지주봉이 일체로 이루어진 유도봉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봉 본체는 상기 고정수단에 고정볼트와 너트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내구형 시선유도봉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수단과 유도봉 본체 및 보강부재와 고정볼트 및 너트 및 탈착 가능한 보호캡이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 충격시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 시켜주어 유도봉이 쉽게 꺾이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 및 차량의 지속적인 이동에 따른 진동에 의해 앵커볼트가 고정수단에서 분리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반사지가 눈, 비, 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도시미관이 미려하도록 하고, 반사지 오염에 따른 물청소 대신 보호캡만 교체하여 유지비용을 절감시킴은 물론 유도봉이 훼손되어 교체할 경우에도 교체비용을 절감시키는 등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교체 및 설치가 용이함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되어 작업시간을 대폭 절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내구형 시선유도봉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구형 시선유도봉을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구형 시선유도봉이 도로 지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구형 시선유도봉의 고정수단에 고정볼트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구형 시선유도봉의 고정수단에 고정볼트가 용접되어 일체로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 충격시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 시켜주어 유도봉이 쉽게 꺾이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의 충돌 및 차량의 지속적인 이동에 따른 진동에 의해 앵커볼트가 고정수단에서 분리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며, 반사지가 눈, 비, 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도시미관이 미려하도록 하고, 반사지 오염에 따른 물청소 대신 보호캡만 교체하여 유지비용을 절감시킴은 물론 유도봉이 훼손되어 교체할 경우에도 교체비용을 절감시키는 등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내구형 시선유도봉(100)이 구비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내구형 시선유도봉(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고정수단(10)과, 유도봉 본체(20)와, 보강부재(30)와, 보호캡(40)과, 고정볼트(50) 및 너트(60)로 구성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10)은 고정볼트(50)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체결홈(12)이 형성된 상판(11)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11)의 하부 중앙에는 돌출 형성되어 도로 지면에 매립되는 돌기둥(13)이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판(11)에 복수 개 형성된 체결홈(12)의 각 사이에는 보강홈(14)이 더 형성되는데, 이 보강홈(14)은 상판(11)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시켜 상판(11)이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고정수단(10)은 설치 구역의 도로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상기 고정수단(10)에 형성된 돌기둥(13)을 미리 굴착시킨 홀(도시하지 않음)에 매립시켜 상판(11)이 지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도봉 본체(20)는 고정수단(10)의 상판(11)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에는 체결홈(12)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고정볼트(50)의 나사부(52)가 삽입 관통되는 통공(22)이 형성된 받침대(2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21)의 상부에는 외측 테두리에 반사지(25)가 부착되는 요홈(24)이 복수 개 형성된 지주봉(23)이 수직으로 세워져 일체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지주봉(23)의 하부 내측에는 보강부재(30)가 더 구비된다.
한편, 상기 보강부재(30)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 시키도록 우레탄 또는 스펀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거나 압착시켜 2중 구조를 이루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지주봉(23)의 하부 내측 즉, 충격에 취약한 부분에 보강부재(30)를 더 구비시켜 2중 구조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충돌 충격시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 시켜주어 유도봉이 쉽게 꺾이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주봉(23)에 형성된 요홈(24)의 하부에는 보호캡(40)의 하단 테두리에 형성된 걸림턱부(41)가 걸려 고정되도록 걸림돌부(2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주봉(23)에 형성된 걸림돌부(26)에 억지 끼움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걸림턱부(41)가 형성된 보호캡(40)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보호캡(40)은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지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호캡(40)을 지주봉(23)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시키므로 지주봉(23)에 부착되는 반사지(25)가 눈, 비, 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지(25)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도시미관을 미려하도록 한 것이다. 특히, 반사지 오염에 따른 물청소 대신 보호캡(40)만을 교체하여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볼트(50)는 체결홈(11)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가이드 해주는 가이드돌기(51)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51)의 상부에는 스크류돌기(53)가 형성된 나사부(52)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51)의 외주면에는 용접봉으로 가열함에 따라 녹아 용접되는 복수 개의 용접암(5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고정볼트(50)는 고정수단(10)에 복수 개 형성된 각 체결홈(12)에 아래서 위로 각각 삽입시킨 후 용접하여 일체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볼트(50)를 체결홈(12)에 각각 삽입시킨 후 용접할 경우 가이드돌기(51)가 체결홈(12)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가이드 해주고, 상기 체결홈(12)에 가이드돌기(51)가 삽입되어 완전히 밀착된 상태에서 용접봉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용접암(54)을 각각 녹여서 쉽고 간편하게 용접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상기 고정볼트(50)가 체결홈(12)에 아래서 위로 설치시킴은 물론 용접하여 고정 시키므로 차량의 충돌 및 차량의 지속적인 이동에 따른 진동에 의해 고정수단(10)에서 분리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고정수단(10)에 고정볼트(50)가 장착되어 도로 지면에 설치되면 나사부(52)가 상부로 돌출된 상태로 구비된다. 그러면 상기 유도봉 본체(20)의 받침대(21)에 형성된 통공(22)에 나사부(52)가 삽입 관통되도록 끼운 다음 통공(22)으로 관통된 나사부(52)에 너트(60)를 체결하므로 설치가 완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 내구형 시선유도봉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농어촌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100 : 내구형 시선유도봉
10 : 고정수단
11 : 상판 12 : 체결홈 13 : 돌기둥 14 : 보강홈
20 : 유도봉 본체
21 : 받침대 22 : 통공 23 : 지주봉
24 : 요홈 25 : 반사지 26 : 걸림돌부
30 : 보강부재
40 : 보호캡
41 : 걸림턱부
50 : 고정볼트
51 : 가이드돌기 52 : 나사부 53 : 스크류돌기 54 : 용접암
60 : 너트

Claims (7)

  1.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복수 개의 체결홈이 형성된 상판과, 이 상판의 하부 중앙에는 도로 지면에 매립되는 돌기둥이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수단;
    상기 고정수단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에는 체결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고정볼트의 나사부가 삽입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된 받침대가 형성되고, 이 받침대의 상부에는 외측테두리에 반사지가 부착되는 요홈이 복수 개 형성된 지주봉이 일체로 이루어진 유도봉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각 체결홈의 각 사이에는 고정수단의 강도가 저하되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복수 개의 보강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볼트는 체결홈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가이드 해주는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이 가이드돌기의 상부에는 스크류돌기가 형성된 나사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의 외주면에는 용접봉의 열에 의해 녹아 용접되는 복수 개의 용접암이 형성되되,
    고정수단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수단에 복수개 형성된 각 체결홈에 아래에서 위로 각각 삽입 용접시켜 일체로 고정하고,
    상기 지주봉의 하부 내측에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 시켜주는 보강부재가 구비되어 2중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강부재는 우레탄 또는 스펀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상기 지주봉에 부착되는 반사지가 외부 먼지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지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호캡이 설치되되,
    상기 보호캡의 하부 테두리에는 걸림턱부이 형성되어 지주봉에 형성된 걸림돌부에 억지끼움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형 시선유도봉.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60013821A 2016-02-04 2016-02-04 내구형 시선유도봉 KR101699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821A KR101699921B1 (ko) 2016-02-04 2016-02-04 내구형 시선유도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821A KR101699921B1 (ko) 2016-02-04 2016-02-04 내구형 시선유도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9921B1 true KR101699921B1 (ko) 2017-02-13

Family

ID=58156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3821A KR101699921B1 (ko) 2016-02-04 2016-02-04 내구형 시선유도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992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8308B1 (ko) * 2018-09-06 2019-02-15 유재현 차선분리기능이 구비된 시선유도봉
CN109506634A (zh) * 2018-12-14 2019-03-22 安徽友诚地理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自然资源动态监测标记装置
KR20190074031A (ko) 2017-12-19 2019-06-27 박용임 탄성구조 베이스부를 구비한 일체형 시선 유도봉
GB2578101A (en) * 2018-10-15 2020-04-22 Gerrard Robert Quick fit bollard system
KR102335241B1 (ko) 2021-05-28 2021-12-07 이희목 탄력 보강체를 구비한 탄성 기둥
KR102365712B1 (ko) 2020-11-02 2022-02-18 박용임 쉬운 전도 및 직립 복귀 기능을 갖는 시선 유도봉
CN116863755A (zh) * 2023-08-23 2023-10-10 重庆长括科技有限公司 高速公路视距不良路段的行车安全主动诱导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0018U (ja) * 1993-04-26 1994-11-08 光洋精工株式会社 ボルトの回り止め装置
JPH0686876U (ja) * 1993-05-21 1994-12-20 株式会社向洋技研 溶接用固定部品
KR100426972B1 (ko) 2001-03-12 2004-04-13 석점영 자동때밀이 겸 샤워기
KR20070075260A (ko) * 2006-12-04 2007-07-18 서울특별시시설관리공단 시선 유도봉
KR100827373B1 (ko) * 2007-10-18 2008-05-07 주식회사 이도산업 탄성 지지봉용 하부 고정부
KR101563532B1 (ko) 2015-03-17 2015-10-27 이상표 시선유도봉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0018U (ja) * 1993-04-26 1994-11-08 光洋精工株式会社 ボルトの回り止め装置
JPH0686876U (ja) * 1993-05-21 1994-12-20 株式会社向洋技研 溶接用固定部品
KR100426972B1 (ko) 2001-03-12 2004-04-13 석점영 자동때밀이 겸 샤워기
KR20070075260A (ko) * 2006-12-04 2007-07-18 서울특별시시설관리공단 시선 유도봉
KR100827373B1 (ko) * 2007-10-18 2008-05-07 주식회사 이도산업 탄성 지지봉용 하부 고정부
KR101563532B1 (ko) 2015-03-17 2015-10-27 이상표 시선유도봉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031A (ko) 2017-12-19 2019-06-27 박용임 탄성구조 베이스부를 구비한 일체형 시선 유도봉
KR101948308B1 (ko) * 2018-09-06 2019-02-15 유재현 차선분리기능이 구비된 시선유도봉
GB2578101A (en) * 2018-10-15 2020-04-22 Gerrard Robert Quick fit bollard system
CN109506634A (zh) * 2018-12-14 2019-03-22 安徽友诚地理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自然资源动态监测标记装置
CN109506634B (zh) * 2018-12-14 2021-04-13 安徽友诚地理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自然资源动态监测标记装置
KR102365712B1 (ko) 2020-11-02 2022-02-18 박용임 쉬운 전도 및 직립 복귀 기능을 갖는 시선 유도봉
KR102335241B1 (ko) 2021-05-28 2021-12-07 이희목 탄력 보강체를 구비한 탄성 기둥
CN116863755A (zh) * 2023-08-23 2023-10-10 重庆长括科技有限公司 高速公路视距不良路段的行车安全主动诱导系统
CN116863755B (zh) * 2023-08-23 2023-12-08 重庆长括科技有限公司 高速公路视距不良路段的行车安全主动诱导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9921B1 (ko) 내구형 시선유도봉
US8282082B2 (en) Impact absorbing barrier assembly
KR200486578Y1 (ko) 도로 경계석 커버
KR100897583B1 (ko) 운전자를 보호 및 시공이 편리한 안전 가드레일
KR200420476Y1 (ko) 충격 완충 구조를 갖는 델리네이터
KR20200000053U (ko) 지주식 시선유도봉
KR102034567B1 (ko) 시선유도봉
CN205604106U (zh) 一种多功能市政用道路指示牌
KR20060132423A (ko) 차선규제봉
KR101008553B1 (ko) 광고겸용 가드펜스
KR100810574B1 (ko) 시선 유도봉
KR101272869B1 (ko) 다기능 시선 유도봉
KR101280769B1 (ko) 가드레일 보호장치
US20180291573A1 (en) Reflective traffic control marker
KR100971144B1 (ko) 신호등 지지용 가로보의 탄성 지지장치
KR100751443B1 (ko) 도로 경계 표시봉
KR101948308B1 (ko) 차선분리기능이 구비된 시선유도봉
KR200293141Y1 (ko) 교차로의 삼각 코너부용 충격 흡수 안전 가드 레일 구조
KR101731280B1 (ko) 공동주택용 경계석 조립체
KR20130128629A (ko) 오뚝이 차선 규제봉 및 이를 이용한 오뚝이 차선 규제 구조물
KR200441361Y1 (ko) 차선 분리기구
JP5142961B2 (ja) 防護柵
KR200234520Y1 (ko) 지주형 도로표지판의 충격흡수장치
KR102311804B1 (ko) 차선규제봉
KR100530371B1 (ko) 건축용 교통 안전 조명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