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4031A - 탄성구조 베이스부를 구비한 일체형 시선 유도봉 - Google Patents

탄성구조 베이스부를 구비한 일체형 시선 유도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4031A
KR20190074031A KR1020170175371A KR20170175371A KR20190074031A KR 20190074031 A KR20190074031 A KR 20190074031A KR 1020170175371 A KR1020170175371 A KR 1020170175371A KR 20170175371 A KR20170175371 A KR 20170175371A KR 20190074031 A KR20190074031 A KR 20190074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ase
bending
pillar
bas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9853B1 (ko
Inventor
박용임
Original Assignee
박용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임 filed Critical 박용임
Priority to KR1020170175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853B1/ko
Publication of KR20190074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46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extensible, collapsible or pivo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2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elf-righting after deflection or displacement
    • E01F9/629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구조 베이스부를 구비한 일체형 시선 유도봉에 관한 것으로서, 탄성체로 이루어진 기둥부와 베이스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시선 유도봉에 있어서, 기둥부 하단과 상기 베이스부 상단의 연결부에 기둥부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형성된 보강 덧살로 이루어진 꺽임유도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다층 구조의 상단부에 상기 기둥부의 꺽임유도부와 연접하는 하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거나 얇은 단면을 가진 꺽임부를 형성함으로써, 차량이 상기 기둥부에 충돌할 경우, (1)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상기 기둥부의 꺽임유도부를 받침점으로 하여 상기 베이스부의 꺽임부가 작용점이 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꺽임부에서 즉각적으로 꺽임이 일어나서 충격이 바로 소멸되는 전도기능, (2)그와 동시에 상기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베이스부가 낮고 넓게 펴지면서 힘을 분산시켜서 차량의 밟힘에 의한 파괴를 방지하는 파괴 방지기능, 및 (3)차량이 지나간 이후에는, 펴진 다층 구조가 당겨짐에 의해 다시 다층 구조로 탄성 복원되면서 상기 기둥부를 직립 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 기능을 갖는 시선 유도봉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탄성구조 베이스부를 구비한 일체형 시선 유도봉{INTEGRATED GUIDE POST WITH ELASTIC STRUCTURE BASE}
본 발명은 탄성구조 베이스부를 구비한 일체형 시선 유도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탄성체로 이루어진 기둥부와 베이스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시선 유도봉에 있어서, 기둥부 하단과 상기 베이스부 상단의 연결부에 기둥부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형성된 보강 덧살로 이루어진 꺽임유도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다층 구조의 상단부에 상기 기둥부의 꺽임유도부와 연접하는 하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거나 얇은 단면을 가진 꺽임부를 형성함으로써, 차량이 상기 기둥부에 충돌할 경우, (1)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상기 기둥부의 꺽임유도부를 받침점으로 하여 상기 베이스부의 꺽임부가 작용점이 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꺽임부에서 즉각적으로 꺽임이 일어나서 충격이 바로 소멸되는 전도기능, (2)그와 동시에 상기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베이스부가 낮고 넓게 펴지면서 힘을 분산시켜서 차량의 밟힘에 의한 파괴를 방지하는 파괴 방지기능, 및 (3)차량이 지나간 이후에는, 펴진 다층 구조가 당겨짐에 의해 다시 다층 구조로 탄성 복원되면서 상기 기둥부를 직립 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 기능을 갖는 시선 유도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선 유도봉은 도로상에서 교통사고의 발생 위험이 높거나 운전자의 주의가 현저히 요구되는 장소에 설치되어, 위험 구간임을 예고하거나, 노면 표시를 보조하거나, 동일 및 반대 방향의 교통 차량을 공간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는데 사용된다.
종래의 시선 유도봉은 베이스부(4)와 기둥부(2)가 단순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제1 타입[도 1 및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59648호 참조], 별개의 부품으로 제조되는 베이스부(4)와 기둥부(2)를 결합부(6)를 매개로 상호 연결 조립하여 사용하는 제2 타입[도 2 및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80206호 참조], 그리고 기둥부(2)의 복원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체(8)를 베이스부(4)와 기둥부(2) 사이에 추가적으로 삽입 내장시키는 제3 타입[도 3 및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751256호 참조] 등이 있다.
상기 종래의 시선 유도봉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충돌시 기둥부의 하단이 1차적으로 접혀 맞닿아 납작해지는데,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해진 기둥부의 양쪽 끝단에 샤프 에지부(sharp edges)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접혀 꺽인 샤프 에지부는 경질 재료로 제조되는 베이스부의 상부, 즉 기둥부의 하단에서 발생하는데, 차량이 샤프 에지부가 형성된 기둥부 및 베이스부 위를 지나가면서 2차 충격을 가할 경우, 샤프 에지부에 엄청난 응력 또는 피로가 생기고, 결국에는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하는 샤프 에지부에 차량의 충격 하중이 집중되어 파손되거나 복원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시선 유도봉은 기둥부의 내굽힘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기둥부 내부 또는 외부에 보강 튜브를 삽입하거나 보강살을 추가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차량 충돌 시, 관성에 의해 차량이 기둥부에 충돌할 때의 충격에 대응하는 내굽힘성이 기둥부에 발생하여, 베이스부에서의 볼트 뽑힘과 같은 문제점을 유발시킨다.
또한, 종래의 시선 유도봉은 베이스부와 기둥부를 별도로 제조한 후, 결합부에 의해 기둥부를 베이스부에 결합시키는 구조를 채택하였는데, 이와 같은 시선 유도봉은 베이스부와 기둥부를 각각 별개로 제조함과 아울러, 연결부재 또는 연결부를 별도로 제조해야 하는 복잡한 공정 등에 의해 제조 원가가 상승되고, 특히 차량과의 충돌 및 밟힘에 의해 의해 연결부재가 파손 및 분리되어, 기둥부가 베이스부로부터 쉽게 이탈/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기둥부를 베이스부에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연결부재 또는 연결부를 경질 재료로 제조해야만 하는데, 이 경우 베이스부에 연결된 연결부재의 높은 단차에 의해 차량에 의한 밟힘 충격이 연결부재 등에 직접 가해져서 연결부재가 분리되거나 파괴되어 제기능을 못하는 문제점 또한 많았다. 나아가,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경질로 제조되는 연결부재 및 베이스부에 차량의 충돌 방향으로부터 가해지는 응력이 집중될 경우, 베이스부를 지면에 고정하는 볼트 등과 같은 고정수단이 분리/이탈되어 시선 유도봉이 완전히 파괴되는 문제점 또한 있었다.
한편, 종래의 시선 유도봉은 차량 충돌 후에 기둥부가 다시 수직으로 복원될 수 있도록 기둥부와 베이스의 연결부에 별도의 탄성체, 예컨대 코일스프링 또는 탄성 고무를 추가로 삽입 또는 내장시켰는데, 마찬가지로 제조 원가가 대폭 상승됨은 물론, 차량과의 충돌시 연결부재 및/또는 탄성체의 파손 또는 분리에 의해 내구성이 현격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종래의 시선 유도봉에 대한 문제점을 다시 한번 정리하면서, 다음과 같다.
(1) 차량이 고속 충돌시 1차 충격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기둥부의 굽힘 응력에 의해 볼트 뽑힘이 발생할 수 있고, 기둥부의 "접혀서 꺽임"에 의해 샤프 에지부가 발생하고 기둥부의 양쪽 끝이 타이어에 의한 밟힘 (2차 충격) 등에 의해 파손되거나 영구히 꺽여서 복원력을 상실할 수 있다. 특히, 샤프 에지부는 차량의 타이어와의 접촉 단면이 적어서 2차 충격 시 샤프에지부에 하중 또는 응력이 집중되어 쉽게 파손될 수 있다.
(2) 기둥부를 보강하기 위하여 보강 튜브 등을 기둥부내에 삽입하거나 기둥부에 보강살을 형성하는 제품의 경우에는 1차 차량 충돌의 충격에 대응하는 관성에 의해 발생하는 내굽힘 응력만을 크게 하여 베이스부의 볼트 뽑힘 등의 문제점을 더 크게 야기시킬 수 있다. 즉, 기둥부에 차량 충돌시, 관성에 의해 기둥부에 내굽힘응력이 발생하고, 그 결과 차량 충돌에 의한 충격 에너지를 기둥부가 즉각적으로 소멸시키지 못하고 베이스부로 전달하게 되어, 베이스부에서의 볼트 뽑힘의 문제가 있다.
(3) 베이스부와 기둥부가 분리되거나 교체형인 경우에는 나사결합, 끼움결합, 볼트 결합 등을 위해 필요한 추가적인 복잡한 결합구조에 의해 생산비가 상승되며 차량의 밟힘에 의해 기둥부가 이탈하거나 결합부가 늘어져 복원력 상실 및 90도 직립성에 문제가 있다.
(4) 기둥부가 꺽인 상태에서 차량에 의한 밟힘은 차량의 충돌(1차 충격)에 의하여 원형 기둥부가 맞닿아 납작해지고, 그 다음에 접혀서 꺽이게 된다. 그 때 꺽이는 부분은 도로면으로부터 상당한 높이에서 샤프 에지부가 양측에 생기며, 그 높이에 위치한 샤프에지부를 차량이 밟고 지나갈 때(2차 충격), 차량 밟힘에 의한 충격 하중으로 기둥부 몸체부가 파손되거나 베이스부의 볼트가 뽑히는 문제가 있다.
(5) 종래의 시선 유도봉의 베이스부는 경질 재료로 제조되며 상당한 높이의 단차를 가지도록 설계되는데, 이와 같은 베이스부의 단차는 차량의 밟힘에 의한 2차 충격이 가해질 경우, 회전하는 타이어에 의한 미끄러짐, 굽힘응력, 비틀림 등에 의해 발생하는 모든 방향에서의 교반하중 또는 교반응력이 베이스부의 단차 부분에 집중되어, 단차 부분에서 차량에 의한 밟힘 순간 순간적으로 과도한 동적 변화[즉, 교번하중->교번응력->교번충격->피로->파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6) 이와 같이, 종래의 시선 유도봉은 기둥부의 이탈, 기둥부의 꺽임, 베이스부의 단차부 파손, 베이스부 고정 볼트의 이탈 또는 뽑힘 등의 현저한 내구성 저하의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59648호 [2001년 12월 21일 등록공고]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736815호 [2017년 5월 11일 등록공고] 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99921호 [2017년 1월 19일 등록공고] 4.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81793호 [2011년 11월 3일 등록공고] 5.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80206호 [2016년 4월 19일 등록공고] 6.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751256호 [2017년 6월 21일 등록공고] 7.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573765호 [2015년 11월 26일 등록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기둥부 자체가 접혀서 꺽이는 현상을 방지하여 기둥부의 샤프에지부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응력 또는 하중 집중 등에 기인한 파손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시선 유도봉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에 의한 충돌 시, 즉각적으로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베이스부 자체가 낮고 넓게 펴짐에 의해 기둥부가 내굽힘성을 가지지 않고 바로 도로면에 순간적으로 밀착됨으로써, 차량 충돌에 의한 볼트 뽑힘 문제점을 해소함은 물론, 차량의 타이어에 의한 압력을 기둥부와 베이스부 전체에 분산시켜 특정 부위에 하중 또는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시선 유도봉을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기둥부의 꺽임이 아닌, 베이스부 자체의 꺽임 및 펴짐이 가능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차량 충돌 시 베이스부의 단차를 낮게 함과 동시에, 베이스부의 펴짐에 의해 충격 하중을 분산시켜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시선 유도봉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차량 밟힘에 의해 펴진 베이스부가 차량이 지나간 이후에는 베이스부의 구조적 탄성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당겨지면서 탄성 복원되어, 기둥부가 바로 직립 상태로 복귀될 수 있는 시선 유도봉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탄성체로 이루어진 기둥부와 베이스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시선 유도봉에 있어서, 외측면에 반사지가 부착가능하며, 상기 기둥부 하단과 상기 베이스부 상단의 연결부에 기둥부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형성된 보강 덧살로 이루어진 꺽임유도부가 구비되는 기둥부; 및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층 구조는 베이스부 하측면으로부터 상기 기둥부 하부 끝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연속 형성되며, 상기 다층 구조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기둥부의 꺽임유도부와 연접하는 하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거나 얇은 단면을 가진 꺽임부를 구비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차량이 상기 기둥부에 충돌할 경우, (1)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상기 기둥부의 꺽임유도부를 받침점으로 하여 상기 베이스부의 꺽임부가 작용점이 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꺽임부에서 즉각적으로 꺽임이 일어나서 충격이 바로 소멸되는 전도기능, (2)그와 동시에 상기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베이스부가 낮고 넓게 펴지면서 힘을 분산시켜서 차량의 밟힘에 의한 파괴를 방지하는 파괴 방지기능, 및 (3)차량이 지나간 이후에는, 펴진 다층 구조가 당겨짐에 의해 다시 다층 구조로 탄성 복원되면서 상기 기둥부를 직립 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층 구조는 베이스부 하측면으로부터 기둥부 하부 끝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계단형 다층 구조, 볼록한 호형 다층 구조 또는 오목한 호형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꺽임유도부는 기둥부에서 꺽이지 않고 베이스부의 꺽임부에서 꺽이도록, 상기 보강 덧살과 함께, 외측으로 형성된 제1 돌출연결편 및 내측으로 형성된 제2 돌출연결편 중 적어도 하나의 돌출연결편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둥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세로방향으로 보강 리브가 더 구비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 수직 돌출 원기둥 또는 수평 돌출 원판이 더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방사상으로 보강 리브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기둥부 자체가 접혀서 꺽이는 현상을 방지하여 기둥부에 샤프에지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종래의 샤프에지부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응력 또는 하중 집중 등으로 기둥부 자체가 파손 또는 복원력 상실되는 문제점을 해소하였다.
둘째, 차량에 의한 충돌 시, 즉각적으로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베이스부 자체가 낮고 넓게 펴짐에 의해 기둥부가 내굽힘성을 가지지 않고 바로 도로면에 순간적으로 밀착됨으로써, 차량 충돌에 의한 볼트 뽑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고, 나아가 차량의 타이어에 의한 압력을 기둥부와 베이스부 전체에 분산시켜 특정 부위에 하중 또는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세째, 종래 차량 충돌 시 기둥부가 꺽이도록 하는 방식이 아닌, 베이스부 자체의 꺽임 및 펴짐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 충돌 시 베이스부의 단차를 낮게 함과 동시에 베이스부의 펴짐에 의해 충격 하중을 분산시켜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네째, 차량 밟힘에 의해 펴진 베이스부가 차량이 지나간 이후에는 베이스부의 구조적 탄성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당겨지면서 탄성 복원되어, 기둥부가 바로 직립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일례로서, 도 1(a)는 종래의 시선 유도봉의 사시도이며, 도 1(b)는 A-A'를 따라 자른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일례로서, 연결부재(6)에 의해 기둥부(2)와 베이스부(4)가 상호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일례로서, 베이스부(4)와 기둥부(2) 사이에 탄성체(8)를 추가 설치하여 기둥부의 복원력을 증가시킨 구조를 도시한다.
도 4는 종래의 시선 유도봉에 있어서 차량 충돌 시 기둥부가 접혀 꺽이면서 기둥부의 양쪽 끝단에 날카롭게 접히는 샤프에지부(S)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베이스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선 유도봉에 차량이 충돌할 경우, 베이스부에서 발생하는 꺽임과 펴짐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부에 펴짐이 구현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베이스부의 내측 또는 외측에 수직 돌출 원기둥 또는 수평 돌출 원판이 각각 연장되게 형성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베이스부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기둥부(20)와 베이스부(1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기둥부(2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외측면에 다수의 반사지들(30a, 30b)이 부착가능하며, 기둥부 하단과 베이스부 상단의 연결부에 꺽임유도부가 형성된다. 상기 꺽임유도부는 차량 충돌 시 기둥부(20)에서 꺽이지 않고 베이스부(10)의 꺽임부에서 꺽임이 발생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꺽임유도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둥부 하단과 상기 베이스부 상단의 연결부에서 기둥부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형성된 보강 덧살(22)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꺽임유도부는 외측으로 형성된 제1 돌출연결편(26) 및 내측으로 형성된 제2 돌출연결편(24) 중 적어도 하나의 돌출연결편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둥부(2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세로 방향으로 보강 리브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부(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수직 돌출 원기둥(12a) 또는 수평 돌출 원판(12b)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다층 구조는 베이스부(10) 하측면으로부터 기둥부(20) 하부 끝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연속 형성된다. 즉, 상기 다층 구조는 베이스부 하측면으로부터 기둥부 하부 끝단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다수의 단턱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구조로서, 원통형 구조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4각 내지 8각으로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다층 구조의 상단부에는 상기 기둥부의 꺽임유도부와 연접하는 하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거나 얇은 단면을 가진 꺽임부(X)가 구비된다. 즉, 상기 꺽임부(X)는 오목하게 형성되거나 상대적으로 얇은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차량 충돌시 기둥부가 꺽이는 것이 아닌, 상기 베이스의 꺽임부(X)에서 꺽임이 일어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상기 기둥부에 충돌할 경우, (1)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상기 기둥부의 꺽임유도부를 받침점으로 하여 상기 베이스부의 꺽임부가 작용점이 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꺽임부에서 즉각적으로 꺽임이 일어나서 충격이 바로 소멸되는 전도기능, (2)그와 동시에 상기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베이스부가 낮고 넓게 펴지면서 힘을 분산시켜서 차량의 밟힘에 의한 파괴를 방지하는 파괴 방지기능, 및 (3)차량이 지나간 이후에는, 펴진 다층 구조가 당겨짐에 의해 다시 다층 구조로 탄성 복원되면서 상기 기둥부를 직립 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 기능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경우에는 기둥부 자체가 접혀서 꺽이는 것이 아니라, 베이스부(10) 자체가 꺽임부에서 꺽이면서 펴져서 힘을 분산시키는 구조를 채택하였기에, 기둥부에 샤프에지부가 발생하지 않고, 그 결과 종래의 샤프에지부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응력 또는 하중 집중 등으로 기둥부 자체가 파손 또는 복원력 상실의 문제점을 해소하였다. 또한, 차량에 의한 충돌 시, 다층 구조의 베이스부 자체의 꺽임 및 펴짐이 가능하여, 차량 충돌 시 베이스부의 단차를 낮게 함과 동시에, 베이스부의 펴짐에 의해 충격 하중을 분산시켜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시선 유도봉(100)은 기둥부(20)의 하단이 접히면서 꺽이는 종래의 시선 유도봉과 달리, 기둥부(20)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된 다층구조의 베이스부(10) 상단의 꺽임부(X)에서 꺽임이 일어나면서 베이스부(10) 자체가 탄성적으로 접히는 구조이기 때문에, 기둥부(20)의 하단에도 반사지(30a)를 추가적으로 부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시선 유도봉의 경우에는 기둥부의 상부에만 예컨대 3장의 반사지를 부착시켰던 반면, 본 발명의 시선 유도봉(100)은 기둥부 상부에 반사지들(30b)를 부착할 수 있음은 물론, 기둥부의 하단에도 반사지(30a)를 추가적으로 부착할 수 있어서, 시선 유도봉이 도로면과 접하는 부분에 대한 운전자의 시인성을 보다 확보하였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20)의 하부에는 앵커볼트 등을 끼워 도로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플랜지 형태로 연장된 볼트 고정부(14)가 적어도 3군데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부(10)의 다층 구조는 베이스부 하측면으로부터 기둥부 하부 끝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계단형 다층 구조, 볼록한 호형 다층 구조 또는 오목한 호형 다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부에 펴짐이 구현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베이스부(10)의 펴짐 구조는 차량에 의한 2차 충격 시에 밟힘에 의해 베이스부가 펴진 후 탄성적으로 복원될 수 있는 구조이면 모두 가능하다. 도 9(a)는 베이스부(10)의 탄성 펴짐 구조를 1단으로 구현한 것을 도시하는데, ① 및 ⑥과 같이 계단형으로 구현하거나, ② 및 ③과 같이 외측으로 볼록한 호형으로 구현하거나, 또는 ④ 및 ⑤와 같이 내측으로 오목한 호형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의 탄성 펴짐 구조를 2단 또는 그 이상으로 구현할 수 있음도 자명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탄성 재질에 의한 탄성 복원력과 함께, 베이스부(10)의 다층 구조의 구조적 특징에 의한 복원력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베이스부의 다층 구조를 3단 내지 7단으로 구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베이스부의 내측 또는 외측에 수직 돌출 원기둥 또는 수평 돌출 원판이 각각 연장되게 형성된 단면도로서, 10(a)는 다층구조로 이루어진 베이스부의 내측에 수직 방향으로 수직 돌출 원기둥(12a)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도 10(b)는 다층구조로 이루어진 베이스부의 외측에 수평 방향으로 수평 돌출 원판(12b)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다. 이와 같이 다층구조로 이루어진 베이스부(10)에 수직 돌출 원기둥(12a) 또는 수평 돌출 원판(12b)를 추가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차량에 의해 베이스부(10)의 다층 구조가 밟힌 상태에서도 상기 수직 돌출 원기둥(12a) 및 수평 돌출 원판(12b)의 구조 자체가 베이스부의 탄성 복원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2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세로 방향으로 보강 리브를 더 구비하여, 기둥부의 꺽임유도부의 보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베이스부(10)의 내부 또는 외부에도 방사상으로 보강 리브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시선 유도봉이 차량에 의해 충돌되었을 때의 작동 메커니즘, 즉 전도 메커니즘과 복귀 메커니즘을 설명한다.
(1) 전도 메커니즘
차량 충돌(1차 충격) 시 차량 충돌측 기둥부는 차량 범퍼에 의해 순간 끌려가고, 충돌측 기둥부 하부의 베이스부의 다층 구조가 펴지면서 충격을 분산 및 흡수하여 볼트의 뽑힘을 방지하고, 그와 동시에 차량 충돌 반대측 기둥부는 지레의 원리에 의해 꺾임유도부와 꺽임부의 상호 작용에 의해 베이스부의 꺽임부에서 동시적 꺽임이 일어나 충격을 흡수하여 차량의 충돌에너지(1차 충격에너지)를 소멸시킨다.
이어서, 차량의 밟힘(2차 충격)에 의해 충돌측 기둥과 반대측 기둥이 맞닿아서 평편(flat)하게 되어 기둥부 자체의 꺽임 없이(즉, 샤프에지부 발생없이) 원통 형상의 기둥부가 평편하게 밟히는 형상이 되어 기둥부의 파손이 없으며, 이 때 탄성 베이스부는 외측에서 중앙 지면측으로 낮게 펴지면서 타이어와의 접촉 면적을 넓혀 압력을 분산시키므로, 베이스부의 파손도 없으며 볼트 뽑힘도 없다. 즉, 베이스부의 다층 구조 자체가 넓게 펴지면서 지면과의 높이를 낮추면서 접촉면적을 넓힘으로써, 충격 하중 또는 응력을 분산시킨다.
(2) 복귀 메커니즘
복귀(직립 복원) 시에는 낮게 펴져 있던 탄성재질의 베이스부가 외측으로 당겨지면서 상부로 솟구쳐 원래의 다층 구조 형태로 복원되면서 납작해진 기둥부와 베이스부가 직립 상태로 원상 복귀한다.
즉, 이와 같은 다층 구조의 탄성 베이스부 구조에 의한 펴짐과 당겨짐(오므라짐)은 일종의 스프링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단지 탄성재질에 의한 복원력만을 이용한 제품과 달리, 다층 구조의 탄성 베이스부 구조 그 자체에 의한 탄성력을 탄성재질에 의한 복원력에 더하게 되어, 시선 유도봉 전체의 복원력을 대폭 증강시킨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10: 베이스부 12: 베이스부의 다층구조
12a: 수직 돌출 원기둥 12b: 수평 돌출 원판
14: 볼트 고정부 X: 꺽임부
20: 기둥부 22: 보강 덧살
24: 제2 돌출연결편 26: 제1 돌출연결편
30a, 30b: 반사지

Claims (6)

  1. 탄성체로 이루어진 기둥부와 베이스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시선 유도봉에 있어서,
    외측면에 반사지가 부착가능하며, 상기 기둥부 하단과 상기 베이스부 상단의 연결부에 기둥부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형성된 보강 덧살로 이루어진 꺽임유도부가 구비되는 기둥부; 및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층 구조는 베이스부 하측면으로부터 상기 기둥부 하부 끝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연속 형성되며, 상기 다층 구조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기둥부의 꺽임유도부와 연접하는 하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거나 얇은 단면을 가진 꺽임부를 구비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차량이 상기 기둥부에 충돌할 경우, (1)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상기 기둥부의 꺽임유도부를 받침점으로 하여 상기 베이스부의 꺽임부가 작용점이 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꺽임부에서 즉각적으로 꺽임이 일어나서 충격이 바로 소멸되는 전도기능, (2)그와 동시에 상기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베이스부가 낮고 넓게 펴지면서 힘을 분산시켜서 차량의 밟힘에 의한 파괴를 방지하는 파괴 방지기능, 및 (3)차량이 지나간 이후에는, 펴진 다층 구조가 당겨짐에 의해 다시 다층 구조로 탄성 복원되면서 상기 기둥부를 직립 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유도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구조는 베이스부 하측면으로부터 기둥부 하부 끝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계단형 다층 구조, 볼록한 호형 다층 구조 또는 오목한 호형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유도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꺽임유도부는 기둥부에서 꺽이지 않고 베이스부의 꺽임부에서 꺽이도록, 상기 보강 덧살과 함께, 외측으로 형성된 제1 돌출연결편 및 내측으로 형성된 제2 돌출연결편 중 적어도 하나의 돌출연결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유도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세로방향으로 보강 리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유도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 수직 돌출 원기둥 또는 수평 돌출 원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유도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방사상으로 보강 리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선 유도봉.
KR1020170175371A 2017-12-19 2017-12-19 탄성구조 베이스부를 구비한 일체형 시선 유도봉 KR102079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371A KR102079853B1 (ko) 2017-12-19 2017-12-19 탄성구조 베이스부를 구비한 일체형 시선 유도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371A KR102079853B1 (ko) 2017-12-19 2017-12-19 탄성구조 베이스부를 구비한 일체형 시선 유도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031A true KR20190074031A (ko) 2019-06-27
KR102079853B1 KR102079853B1 (ko) 2020-02-20

Family

ID=67057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371A KR102079853B1 (ko) 2017-12-19 2017-12-19 탄성구조 베이스부를 구비한 일체형 시선 유도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8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5865A (ko) 2020-05-06 2021-11-16 박현철 볼 결합된 도로 시선 유도장치
KR102365712B1 (ko) * 2020-11-02 2022-02-18 박용임 쉬운 전도 및 직립 복귀 기능을 갖는 시선 유도봉
KR20230125983A (ko) * 2022-02-22 2023-08-29 서상원 내구성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 및 상기 시선 유도봉의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812B1 (ko) 2020-10-07 2021-03-05 (주)이도산업 탄성 기둥의 하부 고정구조
KR102652920B1 (ko) 2023-11-30 2024-04-02 제일종합안전(주) 파손 방지 및 복원력을 갖는 시선 유도봉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648Y1 (ko) 2001-09-05 2002-01-09 신도산업 주식회사 차선규제봉
KR200412218Y1 (ko) * 2005-12-21 2006-03-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름식 교통안전 시설물
KR20100090824A (ko) * 2009-02-09 2010-08-18 김학연 고무제를 소재로 하여 일체형으로 성형된 차선 규제봉 및 그 차선 규제봉의 금형
KR101081793B1 (ko) 2011-03-21 2011-11-09 정윤복 파손 방지 및 신속한 복원력을 갖는 차선규제봉
KR20150030521A (ko) * 2013-09-12 2015-03-20 신범휴 파손방지 차선규제봉
KR101573765B1 (ko) 2013-06-13 2015-12-02 강문빈 도로의 시선유도봉
KR200480206Y1 (ko) 2015-10-02 2016-04-25 이상표 시선 유도봉
KR101699921B1 (ko) 2016-02-04 2017-02-13 주식회사 도시환경 내구형 시선유도봉
KR101736815B1 (ko) 2016-08-08 2017-05-17 조무호 분리형 차선규제봉
KR101751256B1 (ko) 2016-02-04 2017-06-27 안정훈 시선유도 표지병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648Y1 (ko) 2001-09-05 2002-01-09 신도산업 주식회사 차선규제봉
KR200412218Y1 (ko) * 2005-12-21 2006-03-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름식 교통안전 시설물
KR20100090824A (ko) * 2009-02-09 2010-08-18 김학연 고무제를 소재로 하여 일체형으로 성형된 차선 규제봉 및 그 차선 규제봉의 금형
KR101081793B1 (ko) 2011-03-21 2011-11-09 정윤복 파손 방지 및 신속한 복원력을 갖는 차선규제봉
KR101573765B1 (ko) 2013-06-13 2015-12-02 강문빈 도로의 시선유도봉
KR20150030521A (ko) * 2013-09-12 2015-03-20 신범휴 파손방지 차선규제봉
KR200480206Y1 (ko) 2015-10-02 2016-04-25 이상표 시선 유도봉
KR101699921B1 (ko) 2016-02-04 2017-02-13 주식회사 도시환경 내구형 시선유도봉
KR101751256B1 (ko) 2016-02-04 2017-06-27 안정훈 시선유도 표지병
KR101736815B1 (ko) 2016-08-08 2017-05-17 조무호 분리형 차선규제봉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5865A (ko) 2020-05-06 2021-11-16 박현철 볼 결합된 도로 시선 유도장치
KR102365712B1 (ko) * 2020-11-02 2022-02-18 박용임 쉬운 전도 및 직립 복귀 기능을 갖는 시선 유도봉
KR20230125983A (ko) * 2022-02-22 2023-08-29 서상원 내구성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 및 상기 시선 유도봉의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853B1 (ko) 2020-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4031A (ko) 탄성구조 베이스부를 구비한 일체형 시선 유도봉
US7112004B2 (en) Hybrid energy absorbing reusable terminal
ES2293860B1 (es) Sistema de anclaje fusible directo para poste de soporte de una barrera de seguridad o pretil en un terreno rigido.
US6409239B1 (en) Energy absorption impact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GB2134568A (en) Roadway barrier
US9539965B2 (en) Bumper moment inducer
KR20060065554A (ko) 차량충돌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
US20020096617A1 (en) Portable highway sign stand
KR20150098393A (ko)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KR100827373B1 (ko) 탄성 지지봉용 하부 고정부
JP2007315055A (ja) 防護柵用支柱
AU2017298579B2 (en) A transition barrier for connecting a permanent barrier to a temporary barrier
US4133125A (en) Self-erecting sign post
KR102365712B1 (ko) 쉬운 전도 및 직립 복귀 기능을 갖는 시선 유도봉
KR100517893B1 (ko) 슬릿 플레이트를 구비한 건축구조용 댐퍼
KR101825050B1 (ko) 무단횡단방지용 차선분리대
KR101655390B1 (ko) 보강완충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장치
KR101149719B1 (ko) 차선지시봉
JP2002227127A (ja) 橋梁、及び橋脚の耐震強度補強方法
KR101075193B1 (ko) 충격흡수형 가드레일
KR102355898B1 (ko) 관 구조의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EP4083323B1 (en) Support structure for road equipment
KR20040012654A (ko) 차량용 방호울타리
CN218990014U (zh) 一种公路防撞护栏
CN216999476U (zh) 一种双挂式波形梁护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