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0824A - 고무제를 소재로 하여 일체형으로 성형된 차선 규제봉 및 그 차선 규제봉의 금형 - Google Patents

고무제를 소재로 하여 일체형으로 성형된 차선 규제봉 및 그 차선 규제봉의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0824A
KR20100090824A KR1020090010013A KR20090010013A KR20100090824A KR 20100090824 A KR20100090824 A KR 20100090824A KR 1020090010013 A KR1020090010013 A KR 1020090010013A KR 20090010013 A KR20090010013 A KR 20090010013A KR 20100090824 A KR20100090824 A KR 20100090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lane
regulating rod
surface form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0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연
Original Assignee
김학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연 filed Critical 김학연
Priority to KR1020090010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0824A/ko
Publication of KR20100090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08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2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elf-righting after deflection or displacement
    • E01F9/629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 B29C33/46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using fluid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선을 규제하거나 또는 차선의 임의적인 변경에 의한 구분이나 또는 차선에서의 진입을 금지할 경우에 사용되는 차선 규제봉 및 그 차선 규제봉의 성형을 위한 금형에 관한 것으로, 고무제를 사용하여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도록 하여 제작의 용이성을 갖도록 함은 물론 차량과의 충돌 시 유동을 통한 충격 완화 기능을 갖는 구조로 형성시켜 손상이나 파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현재 제공되고 있는 차선 규제봉의 경우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은 플라스틱으로 성형토록 되어 있어 지면에 고정볼트를 사용하여 박아 고정된 상태에서의 차량 충돌 시 파손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고, 베이스부에 코일스프링을 결합시켜 충돌 시 좌우로의 유동을 통한 충격 완화 기능을 갖도록 한 것은 조립식으로 이루어져 견고한 조립을 위한 제조상의 문제점과, 설치를 위한 작업상의 곤란함과 원가 상승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제를 사용하여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중앙 상측으로 유동성 확보를 위한 다단의 주름부와, 상기 주름부의 직상부로 표시부가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는 차선 규제봉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고, 또한 이러한 구조의 차선 규제봉 사출 성형을 위하여는 사출물의 주름부에 공기를 주입시켜 공기압에 의하여 주름부가 외측으로 벌어져 내부금형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에어제트라인이 형성되는 구조의 금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차선 규제봉, 연질체, 일체, 사출, 금형

Description

고무제를 소재로 하여 일체형으로 성형된 차선 규제봉 및 그 차선 규제봉의 금형 {a control bar of a lane and a mold of that one}
본 발명은 차선을 규제하거나 또는 차선의 임의적인 변경에 의한 구분이나 또는 차선에서의 진입을 금지할 경우에 사용되는 차선 규제봉 및 그 차선 규제봉의 성형을 위한 금형에 관한 것으로, 고무체를 사용하여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도록 하여 제작의 용이성을 갖도록 함은 물론 차량과의 충돌 시 유동을 통한 충격 완화 기능을 갖는 구조로 형성시켜 손상이나 파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현재 제공되고 있는 차선 규제봉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고정볼트(102)를 박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볼트구멍(101)이 형성된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의 중앙 상측으로 직립되어 차선 규제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표시대(200)가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일체형 구조의 차선 규제봉의 경우, 원가의 절감이나 생산성의 향상을 위하여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되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차선 규제봉을 지면에 박아 고정시킨 상태에서 주행하던 차량이 표시대를 부딪히고 갈 경우에는 차량의 속도에 의한 강한 충격이 표시대에 그대로 전달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때의 차선 규제봉은 쉽게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의 중앙 상측으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코일스프링(300)을 결합시켜 좌,우로의 유동성을 갖도록 하고, 상기 코일스프링(300)에 표시대(200)를 결합시켜 구성토록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차선 규제봉의 경우 각각의 구성체를 모두 일일이 결합시켜야 하는 조립식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긴밀한 조립을 위한 제작의 정밀성이 요구되어 제작의 어려움이 있음은 물론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베이스(100)와 표시대(200)의 경우 외기 온도에 의한 수축 팽창으로 구성체 간의 긴밀한 밀착 결합이 용이치 않기 때문에 설치를 위한 작업상의 곤람함이 있고, 또한 금속체로 이루어지는 코일스프링(300)과, 이러한 코일스프링(300)에 의한 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을 정도의 살 두께를 갖도록 성형 제작되어야 하는 베이스(100)에 의하여 상당한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무제를 사용하여 충돌 시 유동성을 갖도록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하여 제작토록 함으로써 제작 및 설치 작업의 용이성은 물론 유동성을 통한 충격의 완충으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차선 규제봉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고, 또한 이러한 차선 규제봉을 사출로 성형 제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금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차선 규제봉은, 탄성력을 갖는 고무제를 사용하여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중앙 상측으로 유동성 확보를 위한 다단의 주름부와, 상기 주름부의 직상부로 표시부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도록 사출 성형시킨 것이다.
또한 이러한 차선 규제봉의 사출 성형을 위하여 내부금형에는 공기압에 의하여 성형된 차선 규제봉의 주름부가 외측으로 벌어져 내부금형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에어제트라인이 형성될 수 있는 구조로 금형을 형성시킨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선 규제봉은 탄성력을 갖는 고무제를 사용하여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어짐으로써 제작의 용이함은 물론 지면에의 설치를 위한 작업의 용이함이 있고, 또한 주름부의 형성으로 차량과의 충동 시 유동성으로 인한 충분한 완충력 확보로 파손률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차선 규제봉 성형 시 주름부에 의하여 사출 성형이 불가능하였던 것을 공기압을 통한 사출물의 분리가 가능한 구조의 금형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 구조의 차선 규제봉을 저렴한 단가로 높은 생산성을 유지하면서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선 규제봉은, 지면에 고정볼트(1a)에 의하여 박혀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구멍(1b)이 형성되면서 지면에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하여 일정한 면적을 갖도록 된 베이스부(1)와, 상기 베이스부(1)의 중앙 상측으로 유동성 확보를 위하여 일정 높이로 직립되는 다단의 주름부(2)와, 상기 주름부(2)의 직상부로 차선 규제를 위한 표시부(3)가 탄성력을 갖는 고무제를 소재로 하여 일체형으로 성형된 것이다.
이때 상기 주름부(2)의 외경은 표시부(3)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짐으로 공기 분사를 통한 주름부(2)의 확장으로 성형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주름부(2)의 팽창 폭을 증가시킬 수 있어 차량과의 충돌 시 보다 많은 유동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표시부(3)에는 다양한 색상이나 형광 도료 또는 무늬 등이 페인팅되도록 하거나 테이핑되도록 하여 차선 규제를 멀리서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인식부(3a)를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차선 규제봉은,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어 제작이 용이할 뿐 아니라 이러한 일체형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베이스부(1)를 고정볼트(1a)를 사용하여 박아 고정시키는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고, 또한 연질체를 소재로 하여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충격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완충력을 갖도록 되어 있을 뿐 아니라 주름부(2)에 의하여 차량과의 충돌 시 좌,우로의 유동을 통하여 충격량이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차선 규제봉 사출 성형을 위한 금형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물의 내면이 형성되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내부금형(20)과, 상기 내부금형(20)의 외측으로 성형액이 주입되는 이격공간(30)을 두고 양측으로 출입되어 개폐토록 됨으로써 사출물의 외면이 반쪽씩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외부금형(10a)(10b)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외부금형(10a)(10b)의 내측면 각각에는 차선 규제봉의 베이스부 외면 반쪽 형성을 위한 베이스 외면 형성부(11)와 상기 베이스 외면 형성부(11)의 중앙 상측으로 상,하 지그재그의 형태로 이루어져 차선 규제봉의 주름부 외면 반쪽 형성을 위한 주름부 외면 형성부(12)와, 상기 주름부 외면 형성부(12)의 직상부로 차선 규제봉의 표시부 외면 반쪽 형성을 위한 표시부 외면 형성부(13)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내부금형(20)의 외측면으로는 차선 규제봉의 내면 형성을 위한 베이스 내면 형성부(21)와 상기 베이스 내면 형성부(21)의 중앙 상측으로 상,하 지그재그의 형태로 이루어져 차선 규제봉의 주름부 내면 형성을 위한 주름부 내면 형성부(22)와, 상기 주름부 내면 형성부(22)의 직상 부로 차선 규제봉의 표시부 내면 형성을 위한 표시부 내면 형성부(13)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내부금형(20)에는 상기 주름부 내면 형성부(22)로 공기를 주입시켜 주름부 내면 형성부(22)를 통한 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져 사출물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에어젯트라인(40)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에어젯트라인(40)의 형성을 위하여 상기 내부금형(20)의 주름부 내면 형성부(22)는 테두리부에 뾰족부(51)가 형성되고 중앙에 통공부(52)가 형성된 다수개의 원반체(50a)(50b)...(50n)를 마련하고, 각각의 원반체((50a)(50b)..(50n)
에는 뾰족부(51) 끝단과 통공부(52)로 연통되는 에어노즐(53)을 형성시켜 상기 원반체(50a)(50b)...(50n)를 적층되게 결합시켜 구성토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원반체(50a)(50b)...(50n)의 적층 결합을 통한 내부금형(20)의 주름부 내면 형성부(22)의 형성을 위하여, 각각의 원반체(50a)(50b)...(50n)와 베이스 내면 형성부(21)와 표시부 내면 형성부(13)에 고정구멍(54)(21a)(23a)을 각각 형성하여 고정볼트(55)를 이용하여 원반체(50a)(50b)...(50n)를 베이스 내면 형성부(21)와 표시부 내면 형성부(13) 사이에 적층 결합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체의 내부금형(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부 내면 형성부(22)를 구성하는 적층된 원반체(50a)(50b)...(50n)의 통공부(52)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시키면 통공부(52)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각각의 원반체(50a) (50b)...(50n)에 형성된 에어노즐(53)을 통하여 뾰족부(51) 끝단으로 분사되면서 내부금형(20) 외측에 붙어 있던 사출물(60), 즉 상기한 본 발명의 차선 규제봉의 주름부(2)를 외측으로 밀어 내부금형(20)의 주름부 내면 형성부(22)로부터 분리시 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한 본 발명의 차선 규제봉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금형(10a)(10b)을 양측으로 벌려 개구시킨 후 내부금형(20)의 외측에 붙어 있는 사출물(60)을 공기를 주입시키면 사출물(60)을 내부금형(2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어 상기한 본 발명의 차선 규제봉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내부금형(20)으로의 공기 주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원반체(50a)(50b)...(50n)에 형성된 통공부(52)에 에어주입수단(70)을 연결하여 통공부(52)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각각의 에어노즐(53)로 분기되어 주입되도록 하거나, 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부(52)를 통하여 에어주입수단(70)의 호스(71)를 삽입시켜 각각의 에어노즐(53)로 호스(71)의 분기로(71a)가 직접 연결되어 주입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규제봉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선 규제봉이 지면에 고정된 상태에의 참고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금형과 외부금형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금형이 닫혀진 상태의 내부 단면도.
도 5는 내부금형에 공기가 주입되어 사출물이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도.
도 6, 6a는 금형으로부터 사출물이 분리되는 상태도.
도 7은 종래의 일체형 차선 규제봉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도.
도 8은 종래의 조립식 차선 규제봉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고정볼트 1b: 고정구멍
1: 베이스부 2: 주름부
3: 표시부 3a: 인식부
10a, 10b: 외부금형 11: 베이스 외면 형성부
12: 주름부 외면 형성부 13: 표시부 외면 형성부
20: 내부금형 21: 베이스 내면 형성부
22: 주름부 외면 형성부 23: 표시부 내면 형성부
30: 이격공간 40: 에어젯라인
50a, 50b,...50n : 원반체 51: 뾰족부
52: 통공부 53: 에어노즐
60: 사출물 70: 에어주입수단

Claims (7)

  1. 지면에 고정볼트(1a)에 의하여 박혀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구멍(1b)이 형성되면서 지면에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하여 일정한 면적을 갖도록 된 베이스부(1)와, 상기 베이스부(1)의 중앙 상측으로 유동성 확보를 위하여 일정 높이로 직립되는 다단의 주름부(2)와, 상기 주름부(2)의 직상부로 차선 규제를 위한 표시부(3)가 고무제를 소재로 하여 일체형으로 성형된 차선 규제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의 외경은 표시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제를 소재로 하여 일체형으로 성형된 차선 규제봉.
  3.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사출물의 외면 형성을 위한 내부금형(20)과, 상기 내부금형(20)의 외측으로 성형액이 주입되는 이격공간(30)을 두고 양측으로 출입되어 개폐토록 되어 사출물의 내면 형성을 위한 외부금형(10a)(10b)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외부금형(10a)(10b)의 내측면에는 차선 규제봉의 베이스부 외면 반쪽 형성을 위한 베이스 외면 형성부(11)와 상기 베이스 외면 형성부(11)의 중앙 상측으로 상,하 지그재그의 형태로 이루어져 차선 규제봉의 주름부 외면 반쪽 형성을 위한 주름부 외면 형성부(12)와, 상기 주름부 외면 형성부(12)의 직상부로 차선 규제봉의 표시부 외면 반쪽 형성을 위한 표시부 외면 형성부(13)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내부금형(20)의 외측면으로는 차선 규제봉의 내면 형성을 위한 베이스 내면 형성부(21)와 상기 베이스 내면 형성부(21)의 중앙 상측으로 상,하 지그재그의 형태로 이루어져 차선 규제봉의 주름부 내면 형성을 위한 주름부 내면 형성부(22)와, 상기 주름부 내면 형성부(22)의 직상부로 차선 규제봉의 표시부 내면 형성을 위한 표시부 내면 형성부(13)와, 상기 주름부 내면 형성부(22)로 공기를 주입시켜 주름부 내면 형성부(22)를 통한 공기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에어젯라인(40)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차선 규제봉의 금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젯트라인(40)은 상기 내부금형(20)의 주름부 내면 형성부(22)를 테두리부에 뾰족부(51)가 형성되고 중앙에 통공부(52)가 형성된 다수개의 원반체(50a)(50b)...(50n)에 에어노즐(53)을 형성시켜 적층되게 결합시킴으로써 이루어진 차선 규제봉의 금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원반체(50a)(50b)...(50n)는 각각의 원반체와 베이스 내면 형성부(21)와 표시부 내면 형성부(13)에 고정구멍(54)(21a)(23a)을 각각 형성하여 고정볼트(55)로 고정 결합시키는 차선 규제봉의 금형.
  6.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젯트라인(40)으로의 공기 주입은 통공부(52)에 에어주입수단(70)을 연결하여 통공부(52)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각각의 에어노즐(53)로 분기되어 주입되도록 하는 차선 규제봉의 금형.
  7.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젯트라인(40)으로의 공기 주입은 통공부(52)에 에어주입수단(70)의 호스(71)를 삽입시켜 각각의 에어노즐(53)로 호스(71)의 분기로(71a)가 직접 연결되어 주입되도록 하는 차선 규제봉의 금형.
KR1020090010013A 2009-02-09 2009-02-09 고무제를 소재로 하여 일체형으로 성형된 차선 규제봉 및 그 차선 규제봉의 금형 KR201000908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013A KR20100090824A (ko) 2009-02-09 2009-02-09 고무제를 소재로 하여 일체형으로 성형된 차선 규제봉 및 그 차선 규제봉의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013A KR20100090824A (ko) 2009-02-09 2009-02-09 고무제를 소재로 하여 일체형으로 성형된 차선 규제봉 및 그 차선 규제봉의 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824A true KR20100090824A (ko) 2010-08-18

Family

ID=42756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0013A KR20100090824A (ko) 2009-02-09 2009-02-09 고무제를 소재로 하여 일체형으로 성형된 차선 규제봉 및 그 차선 규제봉의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082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5300A (en) * 2013-06-18 2014-12-24 Mark Hipgrave Moulded verge markers
US9022777B2 (en) 2012-12-26 2015-05-05 Hyundai Motor Company Injection molding apparatus having an inner mold with a plurality of inner parts
KR20190074031A (ko) * 2017-12-19 2019-06-27 박용임 탄성구조 베이스부를 구비한 일체형 시선 유도봉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22777B2 (en) 2012-12-26 2015-05-05 Hyundai Motor Company Injection molding apparatus having an inner mold with a plurality of inner parts
GB2515300A (en) * 2013-06-18 2014-12-24 Mark Hipgrave Moulded verge markers
KR20190074031A (ko) * 2017-12-19 2019-06-27 박용임 탄성구조 베이스부를 구비한 일체형 시선 유도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71483B (zh) 用于制冷装置的门贮藏容器
US8720975B1 (en) Integrated hood bump-stop and headlamp attachment for pedestrian protection
KR20100090824A (ko) 고무제를 소재로 하여 일체형으로 성형된 차선 규제봉 및 그 차선 규제봉의 금형
CN101767408A (zh) 注塑模具和使用注塑模具的注塑成型方法
CN103802287A (zh) 二次顶出机构
JP3177307U (ja) プラスチックパレット成形用型のスライドブロックモジュール
KR100933545B1 (ko) 금형조립체
US20150367808A1 (en) Molded active plastics components for a vehicle airbag assembly
US7857367B2 (en) Front fender for an automobile
CN103158231A (zh) 注射模具
CN102980363A (zh) 冰箱及其箱体
CN105736532A (zh) 一种上安装装饰板安装组件
CN205601098U (zh) 一种注塑模具的二次顶出机构
CN108422447B (zh) 一种机器人的防撞护板
CN107088993B (zh) 汽车轮护板的脱模装置
KR20100086629A (ko) 고무제의 본체와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표시대가 조립되는 구조를 갖는 차선규제봉
CN112536944A (zh) 一种电池包hp-rtm两腔成型模具
CN102979408A (zh) 一种冷柜和酒柜用门体
CN205130276U (zh) 塑料模具
CN202970122U (zh) 用于制冷设备的把手组件及具有其的冰箱
US9441643B2 (en) Hydraulic oil storage device and injection molding device
CN206856815U (zh) 一种扰流板组件及汽车
US7540735B1 (en) Extrusion die device for a molding machine
CN205631264U (zh) 4腔软管成型模具模芯结构
CN202985947U (zh) 一种前模先抽芯模具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