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8615B1 - 스케이트 슬라이딩 방식의 운동 기구 - Google Patents

스케이트 슬라이딩 방식의 운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8615B1
KR101728615B1 KR1020150175638A KR20150175638A KR101728615B1 KR 101728615 B1 KR101728615 B1 KR 101728615B1 KR 1020150175638 A KR1020150175638 A KR 1020150175638A KR 20150175638 A KR20150175638 A KR 20150175638A KR 101728615 B1 KR101728615 B1 KR 101728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rails
main frame
hois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5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대
정원준
Original Assignee
정용대
정원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대, 정원준 filed Critical 정용대
Priority to KR1020150175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6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4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 A63B22/006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the pivoting movement being in a horizontal plane, e.g. skat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multiple steps, i.e. more than one step per limb, e.g. steps mounted on endless loops, endless lad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9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surfing, i.e. without a sail; for skate or snow boar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양단부가 연결되며, 한 쌍의 일단부가 이격된 제1 길이에 비하여 한 쌍의 타단부가 이격된 제2 길이가 더 길고,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 한 쌍의 레일; 및 상기 한 쌍의 레일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레일이 형성된 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하고, 사용자의 발바닥과 접촉하는 상면을 구비한 이동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스케이팅을 응용한 동작으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스케이트 슬라이딩 방식의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케이트 슬라이딩 방식의 운동 기구{SKATE SLIDING TYPE EXERCI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스케이트 슬라이딩 방식의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케이팅을 응용한 동작으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스케이트 슬라이딩 방식의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은 앉아서 업무 및 학습하는 것에 하루 일과의 대부분을 보내는 경우가 많으므로, 운동 부족이 될 우려가 다분하다.
특히, 장시간 앉아있을 경우 하체 근육이 약화될 우려가 있으므로, 하체 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을 틈틈이 해줄 필요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하체 운동 또는 스트레칭을 도울 수 있는 장치로 개발된 것에, 등록특허 제10-1134999호의 "타동식 운동 보조 장치"(이하 '선행1') 및 등록특허 제10-1252723호의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이하 '선행2')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선행1 및 선행2는 구조적으로 너무 복잡하며, 고장 발생 개소가 많으며, 고가일 수 밖에 없으므로, 널리 보급하여 활용하기에는 가격의 측면에서 다소 부담스러운 한계점이 있다.
특히, 선행1은 지지 구조가 없이 단순한 발판 구조로 되어 있어 운동중 사용자의 부주의로 넘어질 경우 부상의 우려가 있다.
또한, 선행2는 운동 경로가 단순히 직선 왕복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장치를 이용하여 운동함에 쉽게 지루해지고 운동을 지속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10-1134999호 등록특허 제10-125272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스케이팅을 응용한 동작으로 하체 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스케이트 슬라이딩 방식의 운동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체 근력뿐만 아니라 전신근육의 발달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스케이트 슬라이딩 방식의 운동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불필요한 부품 개수를 줄여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염가로 제공되는 장치에 의하여 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스케이트 슬라이딩 방식의 운동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양단부가 연결되며, 한 쌍의 일단부가 이격된 제1 길이에 비하여 한 쌍의 타단부가 이격된 제2 길이가 더 길고,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 한 쌍의 레일; 및 상기 한 쌍의 레일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레일이 형성된 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하고, 사용자의 발바닥과 접촉하는 상면을 구비한 이동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슬라이딩 방식의 운동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레일의 상기 한 쌍의 타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전방 부재와, 상기 한 쌍의 레일의 상기 한 쌍의 일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전방 부재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후방 부재와, 상기 전방 부재 및 상기 후방 부재 각각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하며,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전방 부재 및 상기 후방 부재 각각의 중간부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한 쌍의 측면 부재와 평행을 이루는 구획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레일은 상기 구획 부재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레일은, 상기 한 쌍의 일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며, 상기 한 쌍의 레일 사이를 지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을 양분하도록 관통하는 제1 가상선을 향하여 볼록한 원호 형상의 경로를 형성하는 제1 경로부와, 상기 제1 경로부 각각의 단부로부터 상기 한 쌍의 타단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1 가상선을 향하여 오목한 원호 형상의 경로를 형성하는 제2 경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한 쌍의 제1 경로부와 상기 한 쌍의 제2 경로부를 각각 왕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한 쌍의 레일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의 레일 각각의 외측면에 구름 접촉하며 왕복하는 이동자와, 상기 이동자에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의 발바닥과 접촉하는 상기 상면이 구비된 이동 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발판은 상기 이동자에 대하여 정, 역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케이트 슬라이딩 방식의 운동 기구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한 쌍의 레일을 각각 왕복하는 상기 이동 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이동 유닛의 왕복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운동 강도를 조절 가능한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에 구비된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왕복하는 이동 유닛을 구비한 구조로부터, 스케이팅을 응용한 동작에 의하여 인간의 신체 조건상 가장 쉬운 자세로 역동적이며 재미있는 운동을 지속할 수 있음은 물론, 하체 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과 연결된 지지부 및 연결봉 등의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파지하고 다양한 자세를 유지하며 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힙업 효과는 물론 하체 근력 강화뿐만 아니라 전신근육의 발달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불필요한 부품 개수를 줄여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염가로 제공되는 장치에 의하여 운동을 지속적으로 즐길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운동선수들의 스트레칭 기구에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 슬라이딩 방식의 운동 기구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 슬라이딩 방식의 운동 기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 슬라이딩 방식의 운동 기구의 작동 상태를 도 1의 화살표 D 방향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평면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 슬라이딩 방식의 운동 기구의 주요부인 메인 프레임에 구비된 조절 유닛의 구조를 도 1의 화살표 U 방향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저면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 슬라이딩 방식의 운동 기구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 슬라이딩 방식의 운동 기구를 이용하여 사용자(400, 이하 도 2 참조)가 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 슬라이딩 방식의 운동 기구의 작동 상태를 도 1의 화살표 D 방향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평면 개념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 슬라이딩 방식의 운동 기구의 주요부인 메인 프레임(100)에 구비된 조절 유닛(800)의 구조를 도 1의 화살표 U 방향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저면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 1에서 화살표 F 방향은 전방측을, 화살표 E 방향은 후방측을, 화살표 L 방향은 좌측을, 화살표 R 방향은 우측을, 화살표 U 방향은 상측을, 화살표 D 방향은 하측을 각각 나타내며, 이하의 도 2 내지 도 4에서는 도 1을 기준으로 하여 상대적인 각 방향을 정의하고자 화살표 F, E, L, R 방향을 표시하였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00)에 구비된 한 쌍의 레일(200, 200)을 따라 이동 유닛(300)이 왕복 가능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0)은 후술할 한 쌍의 레일(200, 200)이 배치되고, 이동 유닛(300)이 왕복하는 공간과 면적을 제공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 사용자(400)에게 일정 크기의 운동 면적 또한 제공한다.
한 쌍의 레일(200, 200)은 메인 프레임(100)에 양단부가 연결되며, 한 쌍의 일단부(201, 201)가 이격된 제1 길이(L1, 이하 도 3(a) 참조)에 비하여 한 쌍의 타단부(202, 202)가 이격된 제2 길이(L2, 이하 도 3(a) 참조)가 더 길고,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 것이다.
이동 유닛(300)은 한 쌍의 레일(200, 200)에 각각 형성되며, 한 쌍의 레일(200, 200)이 형성된 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하고, 사용자(400)의 발바닥과 접촉하는 상면을 구비한 것이다.
이렇듯 한 쌍의 레일(200, 200) 중 일측의 레일(200, 200)에 형성된 이동 유닛(300)과, 한 쌍의 레일(200, 200) 중 타측의 레일(200, 200)에 형성된 이동 유닛(300)은 각각 반대로 왕복할 수 있으므로, 스케이팅을 응용한 동작으로 하체 운동 및 근력 강화 운동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100)에 구비된 한 쌍의 레일(200, 200)을 따라 왕복하는 이동 유닛(300)을 구비한 구조로부터, 스케이팅을 응용한 동작에 의하여 인간의 신체 조건상 가장 쉬운 자세로 역동적이며 재미있는 운동을 지속할 수 있음은 물론, 하체 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운동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100)과 연결된 후술할 지지부(500) 및 연결봉(600) 등의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400)가 안정적으로 파지하고 다양한 자세를 유지하며 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힙업 효과는 물론 하체 근력 강화뿐만 아니라 전신근육도 발달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불필요한 부품 개수를 줄여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염가로 제공되는 장치에 의하여 운동을 지속적으로 즐길 수 있어, 운동선수들의 스트레칭 기구에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제2 길이(L2)로 이격된 한 쌍의 레일(200, 200) 각각의 한 쌍의 타단부(202, 202)는 사용자(400)의 발바닥 전방측에 대면하고, 제1 길이(L1)로 이격된 한 쌍의 레일(200, 200) 각각의 한 쌍의 일단부(201, 201)는 사용자(400)의 발바닥 후방측에 대면하는 것을 구조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일단부(201, 201) 및 타단부(202, 202)를 통하여 살펴본 방향성은 사용자(400)가 도 2와 같이 자세를 잡고 양 발을 번갈아 교차하면서 스케이팅하는 동작을 응용하는 운동을 할 수 있게 해준다.
한편, 메인 프레임(100)은, 사용자(400)가 운동을 격렬하게 실시함에 따라 메인 프레임(100)이 요동하여 미끄러지면서 원위치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면에 배치되어 직사각의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메인 프레임(100)의 네 모퉁이 바닥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럼 방지 블록(101)이 각각 장착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400)가 도 2와 같이 안정적인 자세를 취하고 운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메인 프레임(10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사용자(400)가 파지 가능한 지지부(50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지지부(500)는, 메인 프레임(100)과 연결되어 일정 높이로 연장되는 돌출봉(510)과, 돌출봉(510)의 상단부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400)가 파지 가능한 면적을 제공하도록 형성된 손잡이부(520)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이때, 돌출봉(510)이 연장된 일정 높이는, 사용자(400)가 지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상체를 전방으로 숙여서 손잡이부(520)를 잡고 운동함에 지장이 없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메인 프레임(100)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크게 전방 부재(110)와 후방 부재(120) 및 한 쌍의 측면 부재(130, 13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전방 부재(110)는 한 쌍의 레일(200, 200)의 한 쌍의 타단부(202, 202)가 각각 연결되는 것이며, 후방 부재(120)는 한 쌍의 레일(200, 200)의 한 쌍의 일단부(201, 201)가 각각 연결되고, 전방 부재(11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한 쌍의 측면 부재(130, 130)는 전방 부재(110) 및 후방 부재(120) 각각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하며,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메인 프레임(100)은 전방 부재(110)와 후방 부재(120) 및 한 쌍의 측면 부재(130, 130)로 이루어짐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후술할 한 쌍의 레일(200, 200)이 장착될 공간과 면적을 제공함과 아울러, 이동 유닛(300)의 왕복에 따라 사용자(400)가 운동할 수 있는 면적 또한 제공하게 된다.
또한, 메인 프레임(100)은 전술한 바와 같은 직사각 틀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이동 유닛(300)의 왕복에 따른 충격과 하중을 직사각 틀 형상의 공간 및 면적에 걸쳐 골고루 분산 지지하는 구조적 강도를 유지할 수도 있게 된다.
한편, 메인 프레임(100)은, 전술한 바와 같은 직사각 틀 형상의 구조적 강도를 더욱 향상하고, 뒤틀림이나 변형을 방지하고, 후술할 한 쌍의 레일(200, 200)이 배치되는 공간을 균등 분할하여 사용자(400)로 하여금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전방 부재(110) 및 후방 부재(120) 각각의 중간부를 상호 연결하며 한 쌍의 측면 부재(130, 130)와 평행을 이루는 구획 부재(14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후술할 한 쌍의 레일(200, 200)은 구획 부재(140)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이다.
한편, 메인 프레임(100)은, 전방 부재(110)의 중간부로부터 연장되어 구획 부재(140)와 연결되는 일정 길이의 연결봉(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봉(600)은 메인 프레임(100) 및 지지부(500)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구조에 국한되지는 않으며, 운동하려는 사용자(400)의 체형 및 신장 등 다양한 체격 조건에 따라 편안하고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연결봉(600)의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연결봉(600)은 예를 들면, 실린더와 로드의 결합 방식으로 출입 가능한 구조로 하거나,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신축 가능한 구조 등 다양한 응용 및 변형 설계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연결봉(600)의 단부로부터 지지부(500)의 돌출봉(510)이 연장되어 일정 높이로 돌출되고, 돌출봉(510)의 상단부 양측으로부터 전술한 손잡이부(520)가 연장되어 사용자(400)가 파지 가능한 면적을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이러한 돌출봉(510)의 하단부 양측으로부터 받침봉(700)이 일정 길이로 각각 연장되어 전방 부재(110)와 상호 평행을 이룸으로써, 도 2와 같이 사용자(400)가 손잡이부(520)를 잡고 운동함에 따라 돌출봉(510) 하부측으로 가해지는 압력과 하중으로 인하여 돌출봉(510)이 휘어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받침봉(700) 각각의 단부에는 사용자(400)가 운동시에 메인 프레임(100) 및 받침봉(700)이 제자리를 유지하고 미끄러지지 않도록 장착되는 미끄럼 방지 커버(71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한 쌍의 레일(200, 200)은, 도 3을 참고로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경로부(210, 210)와 제2 경로부(220, 22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경로부(210, 210)는 한 쌍의 일단부(201, 201)로부터 각각 연장되며, 한 쌍의 레일(200, 200) 사이를 지나며 메인 프레임(100)을 양분하도록 관통하는 제1 가상선(ℓ1)을 향하여 볼록한 원호 형상의 경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제2 경로부(220, 220)는 제1 경로부(210, 210) 각각의 단부로부터 한 쌍의 타단부(202, 202)까지 연장되어 제1 가상선(ℓ1)을 향하여 오목한 원호 형상의 경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즉, 제1, 2 경로부(210, 210, 220, 220)는 전체적으로 대략 구부러진 "Y" 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지되, 그 굴곡진 원호 형상의 경로는 비교적 완만한 곡선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후술할 이동 유닛(300)의 왕복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따라서, 후술할 이동 유닛(300)은 한 쌍의 제1 경로부(210, 210)와 한 쌍의 제2 경로부(220, 220)를 각각 왕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동 유닛(300)은,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동자(310)와 이동 발판(320)을 포함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자(310)는 한 쌍의 레일(200, 200)의 형성 방향을 따라 한 쌍의 레일(200, 200) 각각의 외측면에 구름 접촉하며 왕복하는 것이다.
이때, 이동 발판(320)은 이동자(310)에 결합되어 사용자(400)의 발바닥과 접촉하는 상면이 구비된 것이다.
그리고, 이동자(310)와 한 쌍의 레일(200, 200) 각각의 외측면 사이에는 이동자(310)의 구름 접촉을 원활히 하도록 그리스가 주입되거나, 이동자(310)의 내측면과 한 쌍의 레일(200, 200) 각각의 외측면 사이에 구름 베어링(이하 미도시)을 배치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동 발판(320)의 상면에는 사용자(400)의 발바닥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돌기나 홈 등의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된 미끄럼 방지 구조(321, 이하 도 1 참조)를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이동 발판(320)은 사용자(400)의 다리와 발 및 발목의 관절의 원활한 회동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사용자(400)의 신체 구조에 맞게, 이동자(310)에 대하여 정, 역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도 4와 같이 메인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한 쌍의 레일(200, 200)을 각각 왕복하는 이동 유닛(300)과 연결되며, 이동 유닛(300)의 왕복에 따른 사용자(400)의 운동 강도를 조절 가능한 조절 유닛(80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절 유닛(8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00)의 전방 부재(110) 주변에 형성된 전방 조절부(800a)와, 메인 프레임(100)의 후방 부재(120) 주변에 형성된 후방 조절부(800b)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전방 조절부(800a)는, 도 4의 최상측 확대부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메인 프레임(100)의 전방 부재(110)에 장착되는 제1 고정 브라켓(810a)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전방 조절부(800a)는 제1 고정 브라켓(810a)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정, 역회전 가능한 제1 호이스트(820a)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전방 조절부(800a)는 제1 호이스트(820a)를 거쳐 배치되는 것으로, 한 쌍의 레일(200, 200) 중 일측의 레일(200, 20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유닛(300)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한 쌍의 레일(200, 200) 중 타측의 레일(200, 20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유닛(300)에 타단부가 고정되는 제1 와이어(830a)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전방 조절부(800a)는 제1 고정 브라켓(810a)에 결합되어 제1 호이스트(820a)와 연결되고, 제1 와이어(830a)의 장력을 조절 가능한 제1 조절자(840a)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제1 조절자(840a)는, 제1 고정 브라켓(810a)에 관통되어 나사 결합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제1 스크류봉(841a)과, 제1 스크류봉(841a)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제1 호이스트(820a)의 정, 역회전을 허용하는 제1 이동 브라켓(842a)과, 제1 스크류봉(841a)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파지 가능한 제1 조절 손잡이(843a)를 포함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400)는 제1 조절 손잡이(843a)를 정, 역회전함에 따라 제1 스크류봉(841a)의 위치가 조절되고, 이에 따라 제1 스크류봉(841a)의 제1 이동 브라켓(842a)에 결합된 제1 호이스트(820a)의 위치 또한 조절되고, 제1 호이스트(820a)를 거치는 제1 와이어(830a)의 장력이 조절됨으로써 운동 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사용자(400)가 제1 조절 손잡이(843a)를 돌려 제1 호이스트(820a)가 메인 프레임(100)의 전방 부재(110)에 가까워지는 방향(도 1의 F 방향, 즉 전방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와이어(830a)의 장력이 커지게 되고, 사용자(400)는 이러한 상태에서 이동 유닛(300)의 이동 발판(320)을 밟고 왕복 운동하는 것이 힘들어지게 될 것이다.
반대로, 사용자(400)가 제1 조절 손잡이(843a)를 돌려 제1 호이스트(820a)가 메인 프레임(100)의 전방 부재(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도 1의 E 방향, 즉 후방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와이어(830a)의 장력이 작아져 느슨해 지고, 사용자(400)는 이러한 상태에서 이동 유닛(300)의 이동 발판(320)을 밟고 왕복 운동하는 것이 쉬워지게 될 것이다.
한편, 후방 조절부(800b)는, 도 4의 최하측 확대부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메인 프레임(100)의 후방 부재(120)에 장착되는 제2 고정 브라켓(810b)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후방 조절부(800b)는, 제2 고정 브라켓(810b)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정, 역회전 가능한 제2 호이스트(820b)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후방 조절부(800b)는, 제2 호이스트(820b)를 거쳐 배치되는 것으로, 한 쌍의 레일(200, 200) 중 일측의 레일(200, 20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유닛(300)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한 쌍의 레일(200, 200) 중 타측의 레일(200, 20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유닛(300)에 타단부가 고정되는 제2 와이어(830b)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후방 조절부(800b)는, 제2 고정 브라켓(810b)에 결합되어 제2 호이스트(820b)와 연결되고, 제2 와이어(830b)의 장력을 조절 가능한 제2 조절자(840b)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제2 조절자(840b)는, 제2 고정 브라켓(810b)에 관통되어 나사 결합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제2 스크류봉(841b)과, 제2 스크류봉(841b)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제2 호이스트(820b)의 정, 역회전을 허용하는 제2 이동 브라켓(842b)과, 제2 스크류봉(841b)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파지 가능한 제2 조절 손잡이(843b)를 포함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400)는 제2 조절 손잡이(843b)를 정, 역회전함에 따라 제2 스크류봉(841b)의 위치가 조절되고, 이에 따라 제2 스크류봉(841b)의 제2 이동 브라켓(842b)에 결합된 제2 호이스트(820b)의 위치 또한 조절되고, 제2 호이스트(820b)를 거치는 제2 와이어(830b)의 장력이 조절됨으로써 운동 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사용자(400)가 제2 조절 손잡이(843b)를 돌려 제2 호이스트(820b)가 메인 프레임(100)의 후방 부재(120)에 가까워지는 방향(화살표 E 방향, 즉 후방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 와이어(830b)의 장력이 커지게 되고, 사용자(400)는 이러한 상태에서 이동 유닛(300)의 이동 발판(320)을 밟고 왕복 운동하는 것이 힘들어지게 될 것이다.
반대로, 사용자(400)가 제2 조절 손잡이(843b)를 돌려 제2 호이스트(820b)가 메인 프레임(100)의 후방 부재(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화살표 F 방향, 즉 전방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 와이어(830b)의 장력이 작아져 느슨해 지고, 사용자(400)는 이러한 상태에서 이동 유닛(300)의 이동 발판(320)을 밟고 왕복 운동하는 것이 쉬워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구조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 슬라이딩 방식의 운동 기구를 이용하여 운동을 하는 방법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간략히 살펴볼 것이다.
우선, 사용자(400)는 손으로 손잡이부(520)를 잡고 자신이 양 발 중 한쪽 발을 한 쌍의 레일(200, 200) 위에 배치된 이동 유닛(300, 300) 중 하나의 이동 발판(320)에 올려놓은 다음, 나머지 한쪽 발을 나머지 이동 발판(320)에 올려 운동할 준비 자세를 잡는다.
여기서, 사용자(400)는 스케이팅 동작을 응용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도 2와 같이 양쪽 발이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자세를 잡되, 상체를 숙여 지면과 대략 평행하도록 한 상태에서 양발을 도 2 및 도 3과 같이 교차하면서 제1, 2 경로부(210, 210, 220, 220)를 따라 이동 발판(320)을 이동시키면서 운동을 지속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스케이팅을 응용한 동작으로 하체 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운동을 할 수 있고, 하체 근력뿐만 아니라 전신근육의 발달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불필요한 부품 개수를 줄여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염가로 제공되는 장치에 의하여 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스케이트 슬라이딩 방식의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메인 프레임
101...미끄럼 방지 블록
110...전방 부재
120...후방 부재
130, 130...측면 부재
140...구획 부재
200, 200...레일
201, 201...한 쌍의 일단부
202, 202...한 쌍의 타단부
210, 210...제1 경로부
220, 220...제2 경로부
300...이동 유닛
310...이동자
320...이동 발판
321...미끄럼 방지 구조
400...사용자
500...지지부
510...돌출봉
520...손잡이부
600...연결봉
700...받침봉
710...미끄럼 방지 커버
800...조절 유닛
810a...제1 고정 브라켓
810b...제2 고정 브라켓
820a...제1 호이스트
820b...제2 호이스트
830a...제1 와이어
830b...제2 와이어
840a...제1 조절자
841a...제1 스크류봉
842a...제1 이동 브라켓
843a...제1 조절 손잡이
840b...제2 조절자
841b...제2 스크류봉
842b...제2 이동 브라켓
843b...제2 조절 손잡이
L1...제1 길이
L2...제2 길이

Claims (8)

  1.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양단부가 연결되며, 한 쌍의 일단부가 이격된 제1 길이에 비하여 한 쌍의 타단부가 이격된 제2 길이가 더 길고,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 한 쌍의 레일; 및 상기 한 쌍의 레일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레일이 형성된 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하고, 사용자의 발바닥과 접촉하는 상면을 구비한 이동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부를 더 구비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레일의 타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전방 부재와, 상기 한 쌍의 레일의 일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전방 부재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후방 부재와, 상기 전방 부재 및 상기 후방 부재 각각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하면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는 상기 전방 부재 및 상기 후방 부재 각각의 중간부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한 쌍의 측면 부재와 평행을 이루는 구획 부재가 더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레일이 상기 구획 부재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레일은, 일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며 상기 한 쌍의 레일 사이를 지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을 양분하도록 관통하는 제1 가상선을 향하여 볼록한 원호 형상의 경로를 형성하는 제1 경로부와, 상기 제1 경로부 각각의 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1 가상선을 향하여 오목한 원호 형상의 경로를 형성하는 제2 경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한 쌍의 제1 경로부와 상기 한 쌍의 제2 경로부를 각각 왕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한 쌍의 레일 각각의 외측면에 구름 접촉하며 상기 레일의 형성 방향을 따라 왕복하는 이동자와, 상기 이동자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발바닥과 접촉하는 상면이 구비된 이동 발판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발판은 상기 이동자에 대하여 정, 역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한 쌍의 레일을 각각 왕복하는 상기 이동 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이동 유닛의 왕복에 따른 사용자의 운동 강도를 조절 가능한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조절 유닛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방 부재에 형성된 전방 조절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방 부재에 형성된 후방 조절부로 구성되며,
    상기 전방 조절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방 부재에 장착되는 제1 고정 브라켓과 상기 제1 고정 브라켓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정·역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 호이스트와 상기 제1 호이스트를 거치도록 배치되며 일단부가 일측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유닛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타측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유닛에 고정되는 제1 와이어 및 상기 제1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호이스트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1 조절자로 구성되고, 상기 후방 조절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방 부재에 장착되는 제2 고정 브라켓과 상기 제2 고정 브라켓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정·역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 호이스트와 상기 제2 호이스트를 거치도록 배치되며 일단부가 일측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유닛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타측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유닛에 고정되는 제2 와이어 및 상기 제2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고 상기 제2 호이스트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2 조절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슬라이딩 방식의 운동 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50175638A 2015-12-10 2015-12-10 스케이트 슬라이딩 방식의 운동 기구 KR101728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638A KR101728615B1 (ko) 2015-12-10 2015-12-10 스케이트 슬라이딩 방식의 운동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638A KR101728615B1 (ko) 2015-12-10 2015-12-10 스케이트 슬라이딩 방식의 운동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8615B1 true KR101728615B1 (ko) 2017-05-02

Family

ID=58742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5638A KR101728615B1 (ko) 2015-12-10 2015-12-10 스케이트 슬라이딩 방식의 운동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861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270B1 (ko) * 2019-04-05 2019-09-30 나원주 책상 및 소파용 다리 운동기구
KR102041753B1 (ko) * 2019-04-26 2019-11-27 나원주 경사를 이용한 다리운동기구
KR200493808Y1 (ko) * 2020-01-30 2021-06-08 주식회사 인사이트 런지운동머신
KR102473603B1 (ko) 2021-09-02 2022-12-20 주식회사 티엔이컴퍼니 스케이팅 연습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7663A (ja) * 2002-09-12 2004-04-02 Akiyuki Hizuka 足踏兼摺動式血液循環方法とその用具
US20110105283A1 (en) * 2009-11-05 2011-05-05 Asia Regent Limited Ski exercis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7663A (ja) * 2002-09-12 2004-04-02 Akiyuki Hizuka 足踏兼摺動式血液循環方法とその用具
US20110105283A1 (en) * 2009-11-05 2011-05-05 Asia Regent Limited Ski exercising apparatu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270B1 (ko) * 2019-04-05 2019-09-30 나원주 책상 및 소파용 다리 운동기구
CN111790097A (zh) * 2019-04-05 2020-10-20 罗元柱 桌子及沙发用腿部运动器材
KR102041753B1 (ko) * 2019-04-26 2019-11-27 나원주 경사를 이용한 다리운동기구
KR200493808Y1 (ko) * 2020-01-30 2021-06-08 주식회사 인사이트 런지운동머신
KR102473603B1 (ko) 2021-09-02 2022-12-20 주식회사 티엔이컴퍼니 스케이팅 연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615B1 (ko) 스케이트 슬라이딩 방식의 운동 기구
JP6043803B2 (ja) 全身運動器
US3205888A (en) Exercise and vibration machine
KR102091675B1 (ko) 근골격계 및 신경계 환자의 재활을 위한 올인원 재활훈련 장치
US20100094181A1 (en) Apparatus for Stretching and Strengthening Extremities
KR20100108410A (ko) 입식의 타동 운동 보조 기기
WO2009122556A1 (ja) 運動補助装置
CN112739301A (zh) 用于执行振动训练的具有可调节的手柄的设备
US20170304676A1 (en) Core exercise machine
KR101698885B1 (ko) 다목적 하체 운동기구
CA2545646A1 (en) Exercise apparatus for exercising lower limbs
KR101602603B1 (ko) 목 운동기구
KR20140065772A (ko) 직립형 재활 운동장치
KR101506588B1 (ko) 마사지 운동기구
KR101476989B1 (ko) 하체운동기구
EP3470120B1 (en) Exercise machine
KR101967050B1 (ko) 복합형 하체 운동 기구
KR200476052Y1 (ko) 근력 운동 기구
KR101845310B1 (ko) 복합운동기구
JP3182914U (ja) マッサージ兼筋肉トレーニング器具
KR20180093846A (ko) 하지운동기구
KR102570039B1 (ko) 구멍을 활용한 자동 및 반자동 어셈블리
JP6552147B1 (ja) トレーニング装置
KR101636694B1 (ko) 손가락 고정부 및 발 고정부를 갖는 운동용 탄력밴드
KR200361255Y1 (ko) 발목 펌프 건강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