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270B1 - 책상 및 소파용 다리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책상 및 소파용 다리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270B1
KR101990270B1 KR1020190040278A KR20190040278A KR101990270B1 KR 101990270 B1 KR101990270 B1 KR 101990270B1 KR 1020190040278 A KR1020190040278 A KR 1020190040278A KR 20190040278 A KR20190040278 A KR 20190040278A KR 101990270 B1 KR101990270 B1 KR 101990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band
footrest
scaffold
exercis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원주
Original Assignee
나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원주 filed Critical 나원주
Priority to KR1020190040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2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270B1/ko
Priority to CN202010003822.0A priority patent/CN111790097B/zh
Priority to CN202020006043.1U priority patent/CN212118883U/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63B21/0555Details of the rope or band, e.g. shape or colour cod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multiple steps, i.e. more than one step per limb, e.g. steps mounted on endless loops, endless lad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8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hip joints
    • A63B23/048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hip joints by spreading the le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9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knee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리운동에 관한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빈 케이스(10)안에 대각으로 세워진 발판(20)을 세우고 발판 하부롤러(100) 와 발판 사이드롤러( 50)를 장착하고, 또한, 고탄력 고무밴드(30a) 와 밴드끈(30b)을 장착하여 다리로 밀기만 하면 쉽게 운동이 되어 다리 와 허벅지를 단련할수 있는 기구이다. 본 방식은 대각방향의 발판(20)의 아래쪽에 발 뒤꿈치가 위치하여 직진방향으로 밀어주는 방식으로 무릎이 최소한으로 승하강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종래의 회전방식을 이용한 기구들이 상하 이동폭이 커서 일반적으로 낮은 책상 아래에서 의자를 이동시켜 운동할수 밖에 없던 불편함을 해소할수 있으며, 발판(20)의 경사 각도를 조정할수 있게되어 각기 다른 신체의 구조에 따라 편리하게 조정하여 이용할수 있다.
또한, 고무밴드의 탄력을 조정할수 있어 노약자부터 건장한 성인까지 사용이 가능하며, 원하는 만큼만 이동시킬수 있어 가장 편리하게 운동할수 있는 기구이다.

Description

책상 및 소파용 다리 운동기구{SPORTS EQUIPMENT FOR LEG AT UNDER DESK AND SOFA}
본 발명은 다리운동에 관한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빈 케이스안에 대각으로 세워진 발판을 세우고 바닥면과 옆면에 롤러(원형 회전체)를 부착하고 또한 고탄력 고무밴드를 장착하여 다리로 밀기만 하면 쉽게 운동이 되어 다리 와 허벅지를 단련할수 있는 기구이다. 본 방식은 대각방향의 발판의 하부에 발 뒤꿈치가 위치하여 직진 방향으로 밀어주는 방식으로 무릎이 최소한으로 승하강동작이 이루어지므로 종래의 회전방식을 이용한 기구들이 상하 이동폭이 커서 일반적으로 낮은 책상 아래에서 의자를 이동시켜 운동할수 밖에 없던 불편함을 해소할수 있으며, 대각 발판의 경사를 조정할수 있게되어 각기 다른 신체의 구조에 따라 편리하게 조정하여 이용할수 있다.
또한, 고무밴드의 탄력을 조정할수 있어 노약자부터 건장한 성인까지 사용이 가능하며, 원하는 만큼만 이동시킬수 있어 가장 편리하게 운동할수 있는 기구이다.
사람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운동은 필수조건일 것이다. 운동에는 야외에서 하는 걷기, 달리기, 등산 등의 여러가지 운동이 있다.
하지만, 이들은 특별히 시간을 내어야 하고 안좋은 날씨에는 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히, 학업에 매진하는 수험생들에게 운동할수 있는 시간을 내기란 매우 어려운 현실이다. 그러므로, 실내 운동기구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수있다. 종래의 실내용 운동기구들로서 실내용 자전거, 러닝머신, 미니바이크 등 여러가지 기구들이 있지만, 모두 회전방식을 이용하거나 별도의 큰몸체를 가짐으로서 회전반경이 높아서 일반적으로 낮은 책상 아래에서는 무릎이 닿아서 기구를 책상 밖으로 이동시켜 운동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회전을 시켜야하는 부담이 작용한다. 그리고 큰몸체의 기구들은 소파에서 TV를 시청하며 편하게 지내고자 할때 불편하여 하지 않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1)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124521 발명의명칭:회전식 다리건강운동기구 (문헌2)대한민국 등록특허 20-0328554 발명의명칭:런닝머신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큰 몸체의 기구나 회전방식의 운동기구에서 야기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종래의 실내용 운동기구들로서 실내용 자전거, 러닝머신, 미니바이크 등 여러가지 기구들이 있지만, 모두 회전방식을 이용하거나 별도의 큰몸체를 가짐으로서 회전반경이 높아서 일반적으로 낮은 책상 아래에서는 무릎이 닿아서 기구를 책상 밖으로 이동시켜 운동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회전을 시켜야하는 부담이 작용한다. 그리고 큰몸체의 기구들은 소파에서 TV를 시청하며 편하게 지내고자 할때 불편하여 하지 않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빈 케이스안에 대각으로 세워진 발판을 세우고 바닥면 과 옆면에 롤러를 부착하고 고탄력 고무밴드를 장착하여 다리로 밀기만 하면 쉽게 운동이 되어 다리 와 허벅지를 단련할수 있는 기구이다. 본 방식은 대각 방향의 발판의 하부에 발 뒤꿈치가 위치하여 직진방향으로 밀어주는 방식으로 무릎이 최소한으로 승하강동작이 이루어지므로 낮은 책상밑에서도 무릎이 닿지않고 운동할수 있으며, 소파에서 단순히 미는 동작을 통해 최대한 편한 방법으로 운동할수 있도록 하는것이다. 또한 대각 발판의 경사를 조정할수 있게되어 각기 다른 신체의 구조에 따라 편리하게 조정하여 이용할수 있으며, 고무밴드의 탄력을 조정할수 있어 노약자부터 건장한 성인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대각 방향의 발판을 세워 바닥면 과 옆면에 롤러를 부착하고 고탄력 고무밴드를 장착하여 직진방향으로 간단히 밀고 당길수도 있는 방식으로 다리 와 허벅지 운동에 효과가 있으며, 낮은 책상 아래에서도 운동할수 있고, 소파에 앉아서 TV를 시청하며 쉽게 운동할수 있으므로, 종래의 실내용 운동기구들이 되지않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국민 건강에 기여할수 있다.
제1도는 대각 발판의 전후 수평 이동을 위한 빈 케이스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2도는 도1의 케이스 안에 장착되는 대각 방향의 발판(20)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도1의 케이스(10)안에 도2의 대각 발판(20)을 두개를 넣어 장착한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7은 종래의 회전식 다리 운동기구가 낮은 책상 아래에서 운동할때 무릎이 닿아서 운동에 불편함이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책상 아래에서는 무릎의 상승폭을 최대한 낮추어주고 운동효과를 낼수있어야 한다.
도3은 도1 과 도2 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1은 텅 빈 케이스이며, 도2는 대각 방향으로 이동할수 있는 발판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다.
도3에서 케이스(10) 안에 발판(20)을 넣고 발을 올려놓고 직진 방향으로 밀면 되는것이다. 도2에서 발판(20) 하부에는 발판하부롤러(100) 와 양사이드에는 발판사이드롤러(50)가 장착되고, 발판하부 와 양 사이드에는 전면 고탄력 고무밴드(30a)가 장착되고, 발판 후면에 위치한 발판지지대(150) 하부에는 발판지지대 하부롤러(110)이 장착되어 도1의 케이스(10)에 넣어 올려 놓았을때 이동이 가능한 형태가 된다.
또한, 도2의 발판(20)에는 하부 와 양 사이드에 고탄력 고무밴드(30a) 와 고무밴드 연결끈(30b)이 장착되어 있어, 발로 발판(20)을 밀었을때 밴드의 탄력으로 되돌아오는 성질이 발생하게 되며, 발판 뒤꿈치 받침(21) 과 후면 고탄력 고무밴드(31) 장착으로 인해, 필요에 따라 다리를 뒤쪽으로 당기는 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각기 다른 신체의 구조에 적응하기 위해 발판 지지대(150)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조정시스템을 설치하여 편리성을 증가시켰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발판 지지대 높이조정 손잡이(120)을 풀고 조정 손잡이 고정볼트(130)를 탈착하면 지지대 상부가 지지대 하부로 삽입되어 움직일수 있게되고, 이를 한단계 하강 시킬경우 지지대 상부에 형성된 조정손잡이 고정볼트 구멍(140)에 발판지지대 높이조정 손잡이볼트(130)를 삽입하여 고정시킬수 있게된다. 이럴경우, 발판 사이드롤러(50)가 하향하게 되어 롤러를 수평상태로 맞추어야 하므로, 롤러 고정 십자볼트(51)를 풀고 사이드롤러 조정이동용 장공홀(52)을 표시눈금(53)에 맞추어 하향 이동시키면 수평을 이루게되어 발판을 원활하게 이동시킬수 있다.
또한, 발판(20)상에 지압판(90)을 장착하여 발바닥의 자극을 통해 건강증진을 도모할수 있다.
도3에서는 도1의 케이스(10)안에 도2의 발판(20)세트 두개를 넣어 어셈블리한 모습이다. 발판(20)을 밀어 전후로 이동시키는 방법을 통해 운동효과를 창출해 내는 것이다. 이를위해, 고탄력 고무밴드(30a)와 고무밴드 연결끈(30b)이 장착되는데, 도4에서 표현한 바와같이, 고무밴드 연결끈(30b)은 밴드끈 브라켓(40)을 통해 장력 조정장치(60)에 연결되어 장력 조정장치 원통(61) 내부에 설치된 각각 여덟개의 칸에 감기게되고 시계방향으로 360º 회전을 시키면 조정장치 원통 볼트(62)가 헬리코일(63) 안으로 삽입되어 고무밴드 연결끈(30b)이 짧아져서 장력이 강해지고 그만큼 미는힘에 제동이 발생하게되어 이동이 힘들어지고 운동효과가 더 발생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장력 조정장치(6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시키면 장력 조정장치 원통 볼트(62)가 헬리코일(63) 외부로 돌출되어 고무밴드(30a)에 연결된 고무밴드 연결끈(30b)이 풀리게 되고 그만큼의 장력이 약해져서 발판을 미는힘이 줄어들게 되어 운동을 쉽고 편하게 할수있게 된다.
도5에서는 후면에서 보았을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면도 전면과 동일한 방식으로서, 발판(20)에 장착된 후면 고무밴드(31)가 고무밴드 구멍(32)을통해 고무밴드 연결끈(33)에 연결되어 고무밴드 연결끈 브라켓(34)을 통해 장력 조정장치(35)에 연결되어 조정장치 내부의 각각 나누어진 칸에 감기게되고 조정장치 원통볼트(37) 와 헬리코일(38)에 의해 고무밴드 장력이 조정되는 원리이다.
도6은 발판(20)의 이동방식의 변화에 대한 예를 도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3에서 나타낸 발판 사이드 롤러(50)방식 대신에 사이드에 이동 지지대(200)를 설치하고, 케이스(10)의 옆면에는 이동지지대 장공홀(300)을 만들어서 이동 지지대(200)가 장공홀(300)을 통해서 이동할수 있는 모습을 나타냈다.
이와같이, 대각방향의 발판(20)을 이동시킬수 있는 방법 과 장력의 조정은 여러가지로 안출될수 있다.
10 : 케이스
20 : 발판
21 : 발판 뒤꿈치 받침
30a : 전면 고탄력 고무밴드
30b : 전면 고무밴드 연결끈
31 : 후면 고탄력 고무밴드
32 : 후면 고무밴드 구멍
33 : 후면 고무밴드 연결끈
34 : 후면 고무밴드 연결끈 브라켓
35 : 후면 장력 조정장치
36 : 후면 장력 조정장치 원통
37 : 후면 장력 조정장치 원통볼트
38 : 후면 헬리코일
40 : 밴드끈 가이더
50 : 발판 사이드 롤러
51 : 사이드 롤러 고정 십자볼트
52 : 사이드롤러 조정이동용 장공홀
53 : 표시눈금
60 : 전면 장력 조정장치
61 : 전면 장력 조정장치 원통
62 : 전면 장력 조정장치 원통 볼트
63 : 전면 헬리코일
70 : 케이스 고정끈 브라켓
80 : 케이스 고정끈
90 : 발판 지압판
100 : 발판 하부 롤러
110 : 발판지지대 하부롤러
120 : 발판지지대 높이조정 손잡이
130 : 발판지지대 높이조정 손잡이 고정볼트
140 : 조정 손잡이 고정볼트 구멍
150 : 발판 지지대
200 : 발판 사이드 이동 지지대
300 : 발판 사이드 이동 지지대 장공홀

Claims (6)

  1. 빈 케이스(10)안에 대각의 발판(20)이 위치하고, 발판(20)의 바닥면에는 고정롤라(100)가 장착되고, 옆면에는 각도 조정이 가능한 사이드 롤라(50)가 설치되고, 발판 후면에는 상하 조정이 가능한 발판지지대(150)가 있고 지지대 하부에는 롤러(110)가 장착되어 전후 직진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발판(20)의 전면에 장착된 전면 고탄력 고무밴드(30a)와 후면에 장착된 후면 고탄력 고무밴드(31)가 케이스(10)의 전면과 후면에 장착되어 왕복운동이 가능하고, 전면 고탄력 고무밴드(30a)와 후면 고탄력 고무밴드(31)는 케이스(10)의 전면 과 후면에 설치된 전면 장력 조정장치(60) 와 후면 장력 조정장치((35)에 연결되어 장력이 조정 가능하며, 또한, 발판(20)의 표면에는 지압발판(90)이 부착되어 발바닥을 지압할 수 있으며, 케이스(10)를 케이스 고정끈(80)을 이용하여 소파 아래의 후레임(frame) 이나 의자의 다리에 고정하여 운동시 케이스가 전방으로 밀려 나가지 않도록 하는 운동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각도 조정이 가능한 발판 사이드 롤러(50)는, 사이드롤러 고정 십자볼트(51)를 풀고 사이드롤러 조정 이동용 장공홀(52)에 따라 표시눈금(53) 만큼 이동시키면 각도 조정이 가능한 운동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발판 후면의 상하 조정이 가능한 발판 지지대(150)는, 발판지지대 높이조정 손잡이(120)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서 풀고 발판지지대 높이조정 손잡이 고정볼트(130)를 탈착 시킨후 고정볼트 구멍(140)에 따라 이동시키면 상하 조정이 가능한 운동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케이스(10)에 설치된 장력 조정장치(60,35)는, 발판(20)에 장착된 고탄력 고무밴드(30a,31)에 연결된 고무밴드 연결끈(30b,33)이 조정장치(60,35)에 연결되어 조정장치 원통(61,36) 내부에 설치된 각각의 칸에 감기게되고 시계방향으로 360º 회전을 시키면 조정장치 원통볼트(62,37)가 헬리코일(63,38) 안으로 삽입되어 고무밴드 연결끈(30b,33)이 짧아져서 장력이 강해지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시키면 조정장치 원통볼트(62,37)가 헬리코일(63,38)로부터 돌출되어 고탄력 고무밴드(30a,31)에 연결된 고무밴드 연결끈(30b,33)이 풀리게 되어 장력이 약해지는 운동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발판(20)의 표면에 발바닥을 지압할 수 있는 지압판(90)을 부착하여 발판(20)을 밟아 이동시킬 경우, 발바닥을 자극할 수 있는 운동기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발판(20)을 이동시키기 위한 발판 사이드롤러(50)를
    장착하는 방식 대신에, 발판 사이드 이동 지지대(200)을 장착하고, 케이스(10)의 옆면에는 발판 사이드 이동 지지대 장공홀(300)을 만들어, 발판(20)이 장공홀(300)에 따라 이동 지지대(200)를 축으로 하여 이동할수 있는 운동기구.
KR1020190040278A 2019-04-05 2019-04-05 책상 및 소파용 다리 운동기구 KR101990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278A KR101990270B1 (ko) 2019-04-05 2019-04-05 책상 및 소파용 다리 운동기구
CN202010003822.0A CN111790097B (zh) 2019-04-05 2020-01-03 桌子及沙发用腿部运动器材
CN202020006043.1U CN212118883U (zh) 2019-04-05 2020-01-03 桌子及沙发用腿部运动器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278A KR101990270B1 (ko) 2019-04-05 2019-04-05 책상 및 소파용 다리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0270B1 true KR101990270B1 (ko) 2019-09-30

Family

ID=68098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278A KR101990270B1 (ko) 2019-04-05 2019-04-05 책상 및 소파용 다리 운동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90270B1 (ko)
CN (2) CN21211888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1792A (ko) * 2020-11-06 2022-05-1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좌식 운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270B1 (ko) * 2019-04-05 2019-09-30 나원주 책상 및 소파용 다리 운동기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9318U (ko) * 1989-12-28 1991-09-11
KR200328554Y1 (ko) 2003-06-27 2003-09-29 문주섭 런닝머신
KR20110124521A (ko) 2010-05-11 2011-11-17 유상욱 회전식 다리 건강 운동기구
KR101503650B1 (ko) * 2014-09-22 2015-03-17 이재국 자전거 운동기구
US20170113094A1 (en) * 2015-04-08 2017-04-27 Benjamin F. Bailar Exercise device having damped oscillating foot platforms
KR101728615B1 (ko) * 2015-12-10 2017-05-02 정용대 스케이트 슬라이딩 방식의 운동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20396A (en) * 1952-10-27 1955-10-11 Andrew J Pfaus Exercising apparatus
NO853636L (no) * 1985-09-17 1987-03-18 Oeglaend As Jonas Anordning ved treningsbenk.
US5279530A (en) * 1992-05-01 1994-01-18 Hess Daniel F Portable leg exercising apparatus
CN2340466Y (zh) * 1998-03-04 1999-09-29 托索屈克股份有限公司 轻巧型腿部运动健身器
CN201067600Y (zh) * 2007-07-07 2008-06-04 谢悦 蹬踏式拉力健身器
KR101508650B1 (ko) * 2013-10-01 2015-04-07 백용인 친환경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
CN206910688U (zh) * 2017-07-10 2018-01-23 民勤县人民医院 一种全方位的骨科康复训练装置
CN207286580U (zh) * 2017-10-12 2018-05-01 三峡大学 一种弹簧健腹轮
CN208244003U (zh) * 2018-03-18 2018-12-18 王苏丽 划船健身器
CN208436342U (zh) * 2018-08-03 2019-01-29 史长标 臂力扩张锻炼器
KR101990270B1 (ko) * 2019-04-05 2019-09-30 나원주 책상 및 소파용 다리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9318U (ko) * 1989-12-28 1991-09-11
KR200328554Y1 (ko) 2003-06-27 2003-09-29 문주섭 런닝머신
KR20110124521A (ko) 2010-05-11 2011-11-17 유상욱 회전식 다리 건강 운동기구
KR101503650B1 (ko) * 2014-09-22 2015-03-17 이재국 자전거 운동기구
US20170113094A1 (en) * 2015-04-08 2017-04-27 Benjamin F. Bailar Exercise device having damped oscillating foot platforms
KR101728615B1 (ko) * 2015-12-10 2017-05-02 정용대 스케이트 슬라이딩 방식의 운동 기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89318 U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1792A (ko) * 2020-11-06 2022-05-1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좌식 운동 장치
KR102492623B1 (ko) * 2020-11-06 2023-01-2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좌식 운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790097B (zh) 2021-11-30
CN111790097A (zh) 2020-10-20
CN212118883U (zh) 2020-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1277B2 (en) Portable therapeutic strengthening apparatus using adjustable resistance
US6709368B1 (en) Foot exercise device
US20090163337A1 (en) Exerciser for physical therapy
US4114873A (en) Skate exercise device
HUE030135T2 (en) Training device for the disabled
KR101990270B1 (ko) 책상 및 소파용 다리 운동기구
KR20040029963A (ko) 운동기구
US7857742B2 (en) Hip training apparatus
US4936573A (en) Exercise machine with handle assemblies which are linked to pivoting foot pads
CN112618253A (zh) 一种上下肢体同步康复训练装置
KR101540699B1 (ko) 발목 및 하지운동기구
CN111632347B (zh) 一种神经内科康复椅
KR101946783B1 (ko) 수동식 스트레칭 운동기구
JP2001000485A (ja) 足の鍛練装置
JP6612386B2 (ja) 健康器具
US4637604A (en) Physical therapy device
JP3130251U (ja) 足踏み健康歩行器
KR100931850B1 (ko) 요동을 이용한 다이어트 및 재활 운동기구
KR20090063501A (ko) 건강 증진 및 키 성장 촉진 운동기구
KR200199661Y1 (ko) 나무로 된 근육, 관절 스트레칭 운동 기구
KR20180093846A (ko) 하지운동기구
JP3122597U (ja) 脚運動器具
KR100958267B1 (ko) 의자 부착형 자세 교정기
KR20090007609U (ko) 히프 트레이닝 장치
CN214181651U (zh) 一种健身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