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623B1 - 좌식 운동 장치 - Google Patents
좌식 운동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92623B1 KR102492623B1 KR1020200184290A KR20200184290A KR102492623B1 KR 102492623 B1 KR102492623 B1 KR 102492623B1 KR 1020200184290 A KR1020200184290 A KR 1020200184290A KR 20200184290 A KR20200184290 A KR 20200184290A KR 102492623 B1 KR102492623 B1 KR 1024926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member
- housing
- space
- exercise device
- footres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63B23/0238—Spinal colum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6—Measuring load distribution, e.g. podologic studi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개시된 기술은 좌식 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면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직육면체 형상이고 몸체 내부에 한 쌍의 공간이 좌우로 각각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한 쌍의 공간 중 좌측 공간의 상부에 일 측이 고정되고 상기 좌측 공간의 중심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고정부재; 상기 하우징의 한 쌍의 공간 중 우측 공간의 상부에 일 측이 고정되고 상기 우측 공간의 중심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고정부재; 상기 하우징의 상기 좌측 공간의 하부에 일 측이 고정되고 상기 좌측 공간의 중심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고정부재; 상기 하우징의 상기 우측 공간의 하부에 일 측이 고정되고 상기 우측 공간의 중심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4 고정부재; 상기 제 1 고정부재의 타 측에 상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 3 고정부재의 타 측에 하부가 연결되어 상기 좌측 공간 내에서 자유방향으로 움직이는 제 1 발판; 및 상기 제 2 고정부재의 타 측에 상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 4 고정부재의 타 측에 하부가 연결되어 상기 우측 공간 내에서 자유방향으로 움직이는 제 2 발판;을 포함한다. 따라서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근골격을 이완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개시된 기술은 앉은 상태로 발판을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방식의 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사용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건강상의 문제를 총칭하여 VDT(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증후군이라 한다. VDT 증후군은 주로 장시간 같은 자세로 화면을 보면서 키보드나 마우스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크게 안 증상과 근골격계 증상, 피부증상, 정신신경계 증상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 한국정보산업연합회에 따르면 연령을 불문하고 1인당 PC사용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VDT 증후군에 관련된 질환의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근로복지공단에서는 1994년부터 VDT 증후군을 업무상재해로 인정하고 직업병 중 하나로 지정하고 있다.
VDT 증후군은 근골격계 증상이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편이며 전체 연령대 중에서도 컴퓨터를 이용한 작업 시간이 가장 많은 30~50대 직장인들 사이에서 발생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로 허리나 목과 같은 부위에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는데 거북목과 같은 자세를 장시간 유지하면서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이와 같이 VDT 증후군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일정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어깨나 목, 허리 등의 근육을 이완시키거나 안약을 보충하는 등의 환기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를 의식해서 주기적으로 행하는 경우는 드문 편이며 많은 업무량으로 인해 근무시간 중 상태를 환기하기 위해 자리를 잠시 이탈하는 것에도 애로사항이 있는 경우가 존재한다. 따라서, 별도로 시간이나 장소를 요구하지 않고 근무중 또는 작업중에 근골격계를 이완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
개시된 기술은 앉은 상태로 발판을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방식의 운동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개시된 기술의 제 1 측면은 상면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직육면체 형상이고 몸체 내부에 한 쌍의 공간이 좌우로 각각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한 쌍의 공간 중 좌측 공간의 상부에 일 측이 고정되고 상기 좌측 공간의 중심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고정부재, 상기 하우징의 한 쌍의 공간 중 우측 공간의 상부에 일 측이 고정되고 상기 우측 공간의 중심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고정부재, 상기 하우징의 상기 좌측 공간의 하부에 일 측이 고정되고 상기 좌측 공간의 중심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고정부재, 상기 하우징의 상기 우측 공간의 하부에 일 측이 고정되고 상기 우측 공간의 중심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4 고정부재, 상기 제 1 고정부재의 타 측에 상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 3 고정부재의 타 측에 하부가 연결되어 상기 좌측 공간 내에서 자유방향으로 움직이는 제 1 발판 및 상기 제 2 고정부재의 타 측에 상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 4 고정부재의 타 측에 하부가 연결되어 상기 우측 공간 내에서 자유방향으로 움직이는 제 2 발판을 포함하는 좌식 운동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 예들은 다음의 장점들을 포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개시된 기술의 실시 예들이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좌식 운동 장치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근골격을 이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착석한 상태에서 발을 움직이는 것으로 하지운동, 골반운동 및 코어운동을 수행하여 신체 밸런스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착석 상태에서 좌식 운동 장치를 이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좌식 운동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좌식 운동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 제 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되는 각 구성부들의 존재 여부는 기능적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착석 상태에서 좌식 운동 장치를 이용하는 모습(1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좌식 운동 장치는 사용자가 좌석에 착석한 상태에서 발을 올릴 수 있는 장치로, 별도의 운동공간을 요구하지 않는 작은 크기의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양발을 올려놓기 편하게끔 상면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좌식 운동 장치는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양발에 동일하게 또는 서로 다르게 힘을 가하여 하지의 근육을 운동하거나 골반 운동 또는 코어근육의 운동을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발을 밀고 당기거나 좌우로 이동하는 등의 동작을 통해 장시간 같은 자세로 긴장되어 있던 근육을 이완시킬 수 있다.
도 2는 좌식 운동 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좌식 운동 장치(200)는 상면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직육면체 형상이고 몸체 내부에 한 쌍의 공간이 좌우로 각각 형성된 하우징(210), 하우징의 좌측 공간의 상부에 일 측이 고정되고 좌측 공간의 중심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고정부재(220), 하우징의 우측 공간의 상부에 일 측이 고정되고 우측 공간의 중심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고정부재(230), 하우징의 좌측 공간의 하부에 일 측이 고정되고 좌측 공간의 중심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고정부재(240), 하우징의 우측 공간의 하부에 일 측이 고정되고 우측 공간의 중심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4 고정부재(250), 제 1 고정부재의 타 측에 상부가 연결되고 제 3 고정부재의 타 측에 하부가 연결되어 좌측 공간 내에서 자유방향으로 움직이는 제 1 발판(260) 및 제 2 고정부재의 타 측에 상부가 연결되고 제 4 고정부재의 타 측에 하부가 연결되어 우측 공간 내에서 자유방향으로 움직이는 제 2 발판(270)를 포함한다.
하우징(210)의 하면에는 밀림을 방지하는 패킹부재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양발로 발판을 밀거나 좌우 또는 상하로 힘을 주어도 하우징이 고정된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210)의 몸체 내부에는 좌우로 한 쌍의 공간이 형성된다. 좌측 공간의 상부에는 제 1 고정부재(220)가 연결되고 하부에는 제 3 고정부재(240)가 연결된다. 제 1 고정부재(220)는 좌측 공간의 상부에 일 측이 고정되고 좌측 공간의 중심부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 3 고정부재(240)는 좌측 공간의 하부에 일 측이 고정되고 좌측 공간의 중심부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 1 고정부재(220)와 제 3 고정부재(240)의 사이에는 제 1 발판(260)이 연결된다.
한편, 하우징의 우측 공간에도 동일하게 고정부재들과 발판이 구비될 수 있다. 우측 공간의 상부에는 제 2 고정부재(230)가 연결되고 하부에는 제 4 고정부재(250)가 연결된다. 제 2 고정부재(230)는 우측 공간의 상부에 일 측이 고정되고 우측 공간의 중심부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제 4 고정부재(250)는 우측 공간의 하부에 일 측이 고정되고 우측 공간의 중심부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 2 고정부재(230)와 제 4 고정부재(250)의 사이에는 제 2 발판(270)이 연결된다.
여기에서 한 쌍의 공간의 상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 1 고정부재(220)와 제 2 고정부재(230)는 길이가 고정된 플라스틱 밴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발판에 압력을 가하거나 방향을 이동하더라도 길이가 변화하지 않고 보드의 상부를 움직이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반면, 제 3 고정부재(240)와 제 4 고정부재(250)는 길이가 늘어나는 실리콘 밴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발판에 압력을 가하거나 좌우로 움직이는 경우 실리콘 밴드가 늘어나면서 발판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제 3 고정부재(240)는 제 1 발판(260)을 좌측 공간 내에서 불안정한 상태로 유지하고 제 4 고정부재(250)는 제 2 발판(270)을 우측 공간 내에서 불안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불안정한 상태로 유지한다는 의미는 종래의 워블보드나 밸런스보드와 같이 발판이 자유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발에 힘을 주어 균형을 유지하는 것과 같이 동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사용자는 착석한 상태에서 양발을 두 개의 발판에 올려둔 뒤 발을 밀거나 좌우 또는 상하로 힘을 주면서 근육을 자극시키거나 몸의 중심을 잡는 행동을 할 수 있다.
한편, 제 1 고정부재 및 제 2 고정부재는 하우징에 고정되는 반면 제 3 고정부재와 제 4 고정부재는 탈착이 가능하다. 예컨대, 하우징의 상하부에 형성된 고리나 연결부재 등을 이용하여 탈착할 수 있다. 또는 제 3 고정부재나 제 4 고정부재의 일측을 묶을 수 있도록 하우징의 상하부에 요철과 같은 기둥을 형성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교체 가능한 실리콘 밴드를 여분으로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하우징에 탈착할 수 있다. 이때, 운동효과를 조절하기 위해서 서로 다른 장력을 갖는 복수개의 실리콘 밴드를 구비할 수 있다. 종래와 같이 장력 별로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실리콘 밴드를 이용할 수도 있고 장력의 단위가 별도로 표기된 실리콘 밴드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제 1 발판과 제 2 발판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발을 정위치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발 모양의 영역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착석한 상태에서 양발을 표시된 영역에 올리고 하지 근육이나 골반, 코어 근육 등을 단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된 영역에는 사용자가 발을 정확한 위치에 올려놓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가령, 정위치에서 벗어난 영역에 발을 올려두면 진동이나 알림음이 발생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두 발판의 하면은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하우징의 좌우로 형성된 한 쌍의 공간은 비어있으며 두 발판은 고정부재에 연결된 상태로 공간 내를 자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두 발판은 워블보드(Wobble board) 또는 밸런스보드(Balance board)와 같이 하부가 평평하지 않고 볼록하게 형성되어 불안정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하우징의 좌우로 형성된 한 쌍의 공간의 표면과 두 발판의 하면의 표면 사이에 마찰력을 줄일 수 있도록 별도의 코팅을 도포하거나 마찰력을 줄이는 재질을 덮을 수 있다.
한편, 하우징의 좌우로 형성된 한 쌍의 공간과 두 발판의 사이에도 복수개의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숙의 센서를 이용하여 양발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하는 압력을 각각 감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양발의 밸런스가 적절하게 유지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광의 반사 정도에 따라 발판에 가해지는 압력이나 방향 등을 감지함으로써 양발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양발의 움직임을 감지한 센싱값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 하우징의 일 측에는 통신장치가 구비되고, 통신장치가 복수개의 센서로부터 양발의 움직임에 따른 압력을 일정 주기마다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감지값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의 스마트폰에는 감지값에 따라 양발의 밸런스를 화면에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사용자는 별도의 시간이나 장소를 준비하지 않아도 착석한 상태에서 VDT 증후군을 방지할 수 있고 신체밸런스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식 운동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기술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 상면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직육면체 형상이고 몸체 내부에 한 쌍의 공간이 좌우로 각각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한 쌍의 공간 중 좌측 공간의 상부에 일 측이 고정되고 상기 좌측 공간의 중심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고정부재;
상기 하우징의 한 쌍의 공간 중 우측 공간의 상부에 일 측이 고정되고 상기 우측 공간의 중심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고정부재;
상기 하우징의 상기 좌측 공간의 하부에 일 측이 고정되고 상기 좌측 공간의 중심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고정부재;
상기 하우징의 상기 우측 공간의 하부에 일 측이 고정되고 상기 우측 공간의 중심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4 고정부재;
상기 제 1 고정부재의 타 측에 상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 3 고정부재의 타 측에 하부가 연결되어 상기 좌측 공간 내에서 자유방향으로 움직이는 제 1 발판; 및
상기 제 2 고정부재의 타 측에 상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 4 고정부재의 타 측에 하부가 연결되어 상기 우측 공간 내에서 자유방향으로 움직이는 제 2 발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고정부재 및 상기 제 2 고정부재는 길이가 고정된 플라스틱 밴드이고,
상기 제 3 고정부재 및 상기 제 4 고정부재는 길이가 늘어나는 실리콘 밴드이고,
상기 제 1 발판은 사용자가 상기 제1 발판에 가한 압력에 의하여 길이가 늘어난 상기 제3 고정부재로 인하여 위치가 변경되고,
상기 제 2 발판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발판에 가한 압력에 의하여 길이가 늘어난 상기 제4 고정부재로 인하여 위치가 변경되는,
좌식 운동 장치.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고정부재 및 상기 제 4 고정부재는 상기 하우징에서 탈착이 가능하고,상기 실리콘 밴드는 교체 가능한 복수개의 서로 다른 색상의 실리콘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실리콘 밴드는 색상 별로 서로 다른 장력을 갖는 좌식 운동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판 및 상기 제 2 발판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발을 올려놓는 영역이 각각 표시되고, 상기 영역에는 상기 사용자의 양발의 위치를 각각 감지하는 복수개의 센서가 구비되는 좌식 운동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판 및 상기 제 2 발판의 하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사용자가 좌석에 착석한 상태에서 양발을 올리면 불안정한 상태를 유지하는 워블보드(Wobble board) 또는 밸런스보드(Balance boar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운동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는 밀림을 방지하는 패킹부재가 구비되는 좌식 운동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판 및 상기 제 2 발판의 하면과 상기 하우징의 한 쌍의 내부 공간 사이에는 복수개의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센서는 양발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하는 압력을 각각 감지하는 좌식 운동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는 통신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센서로부터 상기 양발의 움직임에 따른 압력을 일정 주기마다 수신하여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좌식 운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7351 | 2020-11-06 | ||
KR20200147351 | 2020-11-0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61792A KR20220061792A (ko) | 2022-05-13 |
KR102492623B1 true KR102492623B1 (ko) | 2023-01-27 |
Family
ID=81583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84290A KR102492623B1 (ko) | 2020-11-06 | 2020-12-28 | 좌식 운동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92623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90632Y1 (ko) * | 2005-05-06 | 2005-07-25 | 이판국 | 좌식 스텝퍼 |
KR200466581Y1 (ko) * | 2011-12-29 | 2013-05-02 | 이용주 | 운동 기기 |
KR101372723B1 (ko) * | 2013-05-02 | 2014-04-01 | (주) 코리아데이타네트워크 | 다리 교정장치 |
KR101990270B1 (ko) * | 2019-04-05 | 2019-09-30 | 나원주 | 책상 및 소파용 다리 운동기구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21242A (en) * | 1991-07-03 | 1993-06-22 | Weber James C | Leg exercise device |
KR101540699B1 (ko) | 2013-08-23 | 2015-08-11 | 차찬열 | 발목 및 하지운동기구 |
KR20160026373A (ko) * | 2014-09-01 | 2016-03-09 | 박형규 | 스쿼트 운동기구 |
KR102033014B1 (ko) * | 2017-11-30 | 2019-10-16 | 주식회사 성신신소재 | 분리결합이 가능한 하체 균형 운동장치 |
-
2020
- 2020-12-28 KR KR1020200184290A patent/KR10249262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90632Y1 (ko) * | 2005-05-06 | 2005-07-25 | 이판국 | 좌식 스텝퍼 |
KR200466581Y1 (ko) * | 2011-12-29 | 2013-05-02 | 이용주 | 운동 기기 |
KR101372723B1 (ko) * | 2013-05-02 | 2014-04-01 | (주) 코리아데이타네트워크 | 다리 교정장치 |
KR101990270B1 (ko) * | 2019-04-05 | 2019-09-30 | 나원주 | 책상 및 소파용 다리 운동기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61792A (ko) | 2022-05-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Morioka et al. | Absolute thresholds for the perception of fore-and-aft, lateral, and vertical vibration at the hand, the seat, and the foot | |
Scaglioni-Solano et al. |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Nintendo Wii Balance Board to assess standing balance and sensory integration in highly functional older adults | |
Bonney et al. | Head posture and loading of the cervical spine | |
Kistner et al. | Postural compensations and subjective complaints due to backpack loads and wear time in schoolchildren | |
Kong et al. | Comparison of comfort, discomfort, and continuum ratings of force levels and hand regions during gripping exertions | |
Gomes et al. | Postural control in Down syndrome: The use of somatosensory and visual information to attenuate body sway | |
Wu et al. | Activeergo: Automatic and personalized ergonomics using self-actuating furniture | |
KR102093185B1 (ko) | 버그 균형 검사장치 및 방법 | |
ITRA20120029U1 (it) | Attrezzo ginnico | |
US10251476B2 (en) | Work surface arrangement | |
US20180043208A1 (en) | Treadmill with Guides that Assist in Performing Physical Therapy | |
Beneka et al. | Neck pain and office workers: An exercise program for the workplace | |
KR102492623B1 (ko) | 좌식 운동 장치 | |
Mesure et al. | Effect of physical training on head—hip co-ordinated movements during unperturbed stance | |
JP2003070768A (ja) | Vdt作業者の姿勢検出システム | |
Guo et al. | The effect of arm support and control modes on muscle fatigue, eye fatigue, and posture changes in mobile game use among young adults | |
Mahmud et al. | Standing balance improvement using vibrotactile feedback in virtual reality | |
Urbiztondo et al. | Effects of computer workstation design on the body discomfort of online gamers | |
Caltenco et al. | Designing interactive systems for balance rehabilitation after stroke | |
US20180085056A1 (en) | Sensory Apparatus for Detection of Peripheral Neuropathy | |
Lee et al. | Assistive devices to help correct sitting-posture based on posture analysis results | |
Baker et al. | Rater reliability and concurrent validity of the Keyboard Personal Computer Style instrument (K-PeCS) | |
Woźniak et al. | HaptiCollar: Investigating Tactile Acuity Towards Vibrotactile Stimuli on the Neck | |
CN110703920A (zh) | 一种展品碰触临场感反馈设备 | |
Russo et al. | Mechanical effects of canes on postural control: Beyond perceptual inform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