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723B1 - 다리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다리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2723B1
KR101372723B1 KR1020130049265A KR20130049265A KR101372723B1 KR 101372723 B1 KR101372723 B1 KR 101372723B1 KR 1020130049265 A KR1020130049265 A KR 1020130049265A KR 20130049265 A KR20130049265 A KR 20130049265A KR 101372723 B1 KR101372723 B1 KR 101372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upport
leg
support body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9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식
김동권
Original Assignee
(주) 코리아데이타네트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리아데이타네트워크 filed Critical (주) 코리아데이타네트워크
Priority to KR1020130049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7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feet or ank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37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 A61F5/3761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for attaching the limbs to other obje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덮도록 탈착 결합되는 커버; 상기 커버상에서 한 방향을 따라 위치 조정 가능하며, 한 지점에서 정, 역회전 가능하고, 사용자의 발바닥이 올려지는 면적을 제공하는 거치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고, 상기 거치부와 탈착 결합되며, 상기 거치부의 정, 역회전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의 양측과 상기 하우징의 내면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거치부가 회전하는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힘을 작용하면서 상기 제1 지지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불필요한 동력이나 에너지 소모를 할 필요가 없이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도 다양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춰서 운동을 실시하여 각선미를 살리는 미용 효과를 도모하면서, 다리 교정 및 재활 치료의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리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리 교정장치{CORRECTING DEVICE FOR LEG}
본 발명은 다리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불필요한 동력이나 에너지 소모를 할 필요가 없이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도 다양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춰서 운동을 실시하여 각선미를 살리는 미용 효과를 도모하면서, 다리 교정 및 재활 치료의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리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휜 다리의 원인은 실로 다양한데, 예를 들면 유전이나 인종적인 차이와도 관계가 있고 질병에 의해서도 다리가 휠 수 있으며, 후천적인 원인이 더 큰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이를테면, 어렸을 때에 기저귀를 잘못 채웠거나 많이 업혀서 자란 사람들의 경우 골반과 고관절, 대퇴골이 이루는 정상적인 각도가 비뚤어져 휜 다리가 많이 발생하게 되고, 여성들의 경우 출산 후 산후조리를 잘못한 경우, 나쁜 생활습관이 있는 경우가 있다.
특히, 생활습관을 예로 들면 동양인은 좌식 생활에 익숙하므로, 고관절이 내회전 변형되고 골반과 고관절, 대퇴골이 이루는 정상적인 각도가 비뚤어져 휜 다리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휜 다리는 아름다운 각선미를 원하는 여성들에게는 일단 통증은 없다 하더라도 엄청난 콤플렉스와 정신적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으며, 또한 휜 다리는 외모의 문제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관절변형과 골반의 삐뚤어짐 등으로 관절염과 척추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발명된 것으로,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특허출원 제10-2013-0001289호 "다리 교정장치"(이하 '선행기술')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교정 및 미용의 목적으로 운동을 실시하기 위하여는 외부 전원을 통하여 구동력을 전달받아야만 하는 바, 많은 수요자들에게 널리 보급되기에는 고가인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동력 소모 및 이에 따른 전기 에너지의 사용 문제가 대두될 수 있는 것이다.
특허출원 제10-2013-000128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불필요한 동력이나 에너지 소모를 할 필요가 없이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도 다양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춰서 운동을 실시하여 각선미를 살리는 미용 효과를 도모하면서, 다리 교정 및 재활 치료의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리 교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덮도록 탈착 결합되는 커버; 상기 커버상에서 한 방향을 따라 위치 조정 가능하며, 한 지점에서 정, 역회전 가능하고, 사용자의 발바닥이 올려지는 면적을 제공하는 거치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고, 상기 거치부와 탈착 결합되며, 상기 거치부의 정, 역회전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의 양측과 상기 하우징의 내면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거치부가 회전하는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힘을 작용하면서 상기 제1 지지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교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리 교정장치는, 상기 거치부의 저면에 다각 기둥 형상으로 함몰된 체결홈과,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체결홈에 대응하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돌출된 체결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체결홈은 상기 거치부의 저면에 복수로 일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평판 형상의 지지 본체와, 상기 지지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거치부의 저면과 탈착 결합되는 다각 기둥 형상의 체결봉과, 상기 지지 본체의 저면과 상기 하우징의 저면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지지 본체의 정, 역회전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봉을 포함하며, 제2 지지부는 상기 지지 본체의 양측 전, 후방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평판 형상인 상기 제1 지지부의 지지 본체의 양측 전방에 각각 일단부가 결합된 제1 코일 스프링과, 상기 지지 본체의 양측 후방에 각각 일단부가 결합된 제2 코일 스프링과, 상기 제1 코일 스프링 각각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이동자와, 상기 제2 코일 스프링 각각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이동자와, 상호 대면되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 전방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이동자가 왕복 가능한 제1 레일과, 상호 대면되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 후방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2 이동자가 왕복 가능한 제2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코일 스프링은 상기 지지 본체의 후방측을 향하여 경사를 이루고, 상기 제2 코일 스프링은 상기 지지 본체의 전방측을 향하여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리 교정장치는, 상기 하우징과 이웃한 하우징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복수의 절첩용 경첩부재와, 상기 하우징과 이웃한 하우징의 일측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커버 및 거치부가 각각 수납 또는 고정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정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하우징에 탈착 결합되는 커버에 거치부가 위치 조정 가능하며 회전 가능하되, 거치부는 하우징에 내장된 제1 지지부로 회전 지지되고, 제1 지지부는 제2 지지부로 지지되는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일체의 전원이나 불필요한 동력을 소모할 필요가 없이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도 다양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춰서 운동을 실시하여 각선미를 살리는 미용 효과를 도모하면서, 다리 교정 및 재활 치료의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양 발을 거치부에 올려놓고 발바닥의 전, 후방에 걸쳐 적절한 위치에 제1 지지부가 결합되도록 거치부의 위치를 변경시키고, 제2 지지부의 반발력을 이용하여 같은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정, 역회전을 반복하는 운동을 통하여 종아리 뒷부분의 표층을 구성하는 비복근과, 종아리 뒷부분의 심부를 구성하는 가자미근에 적절한 자극을 주면서 각선미를 더욱 돋보이게 하여 패션에 관심이 많은 여성 사용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운동을 실시함으로써 근육 긴장의 완화 효과와 함께 피로를 풀고 대퇴부와 고관절 주변의 근육과 인대 또한 강화하는 훈련도 병행할 수 있게 될 것임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 교정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평면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 교정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리 교정장치의 사용후 정리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다리 교정장치의 운동예를 나타낸 평면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 교정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평면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 교정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1에서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부재는 실선으로 표시된 부재의 상측에 배치된 것임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400)가 탈착 결합되는 하우징(300)에 내장되어 제2 지지부(200)로 지지되는 제1 지지부(100)에 거치부(500)가 탈착 결합되고 정, 역회전 가능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하우징(300)은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 공간이 형성된 것으로, 후술할 제1, 2 지지부(100, 20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개방된 상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후술할 커버(400)가 덮인다.
커버(400)는 하우징(300)의 상면을 덮도록 탈착 결합되는 것으로, 후술할 거치부(500)가 장착되는 공간과 면적을 제공한다.
거치부(500)는 커버(400)상에서 한 방향을 따라 위치 조정 가능하며, 한 지점에서 정, 역회전 가능하고, 사용자의 발바닥이 올려지는 면적을 제공하는 것이다.
거치부(500)가 커버(400)상에서 한 방향을 따라 위치 조정하는 메커니즘은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특허출원 제10-2013-0001289호의 내용과 대동소이한 바,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편의상 생략한다.
제1 지지부(100)는 하우징(300)에 내장되고, 거치부(500)와 탈착 결합되며, 거치부(500)의 정, 역회전을 지지하는 것으로, 거치부(500)의 정, 역회전을 지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발바닥으로부터 거치부(500)에 가해지는 압력과 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역할 또한 수행한다.
제2 지지부(200)는 제1 지지부(100)의 양측과 하우징(300)의 내면을 상호 연결하고, 거치부(500)가 회전하는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힘을 작용하면서 제1 지지부(100)를 지지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움직이려는 방향에 역행하는 반발력을 작용함으로써 운동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 2를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거치부(500)와 제1 지지부(100) 상호간의 견고한 체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일체로 정, 역회전이 가능하도록 거치부(500)의 저면에 다각 기둥 형상으로 함몰된 체결홈(501)과, 제1 지지부(100)의 상면으로부터 체결홈(501)에 대응하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돌출된 체결봉(101)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서 체결홈(501)과 대응되는 체결봉(101)을 육각 기둥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국한되지는 아니하며, 예를 들면 삼각 기둥, 사각 기둥, 오각 기둥, 팔각 기둥 등 다양한 각기둥 형상으로 제작함으로써 체결봉(101)에 대하여 제1 지지부(100)가 비틀려진 상태로 체결되도록 하여 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체결홈(50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발바닥 중앙, 전방, 후방을 중심축으로 하여 정, 역회전하는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거치부(500)의 저면에 복수로 일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체결홈(501)은 거치부(500)의 전방으로부터 제1 체결홈(501a)과 제2 체결홈(501b)과 제3 체결홈(501c)이 일직선상에 이격 배치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1 지지부(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거치부(500)가 탈착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지지 본체(110)와 체결봉(101) 및 회전 지지봉(12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지지 본체(110)는 하우징(300)에 내장되는 평판 형상의 것으로, 제2 지지부(200)는 지지 본체(110)의 양측 전, 후방에 각각 결합되어 하우징(300)의 내면에 연결된다.
체결봉(101)은 지지 본체(1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거치부(500)의 저면에 함몰된 체결홈(501)과 탈착 결합되는 다각 기둥 형상의 부재이다.
회전 지지봉(120)은 지지 본체(110)의 저면과 하우징(300)의 저면을 상호 연결하며 지지 본체(110)의 정, 역회전을 지지하는 것으로,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구름 접촉 베어링 등을 부가적으로 장착하여 지지 본체(110)의 원활한 정, 역회전을 지지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2 지지부(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거치부(500)의 정, 역회전에 일체 연동하는 제1 지지부(10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힘을 작용하는 것으로, 제1, 2 코일 스프링(211, 212)과 제1, 2 이동자(221, 222)와 제1, 2 레일(231, 232)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코일 스프링(211)은 지지 본체(110)의 양측 전방에 각각 일단부가 결합된 것으로 지지 본체(110)의 정, 역회전에 따라 신축하면서 반발력을 작용하게 된다.
제2 코일 스프링(212)은 지지 본체(110)의 양측 후방에 각각 일단부가 결합된 것으로 지지 본체(110)의 정, 역회전에 따라 신축하면서 반발력을 작용하게 된다.
제1 이동자(221)는 제1 코일 스프링(211) 각각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며, 제2 이동자(222)는 제2 코일 스프링(212) 각각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1 레일(231)은 상호 대면되는 하우징(300)의 내면 전방에 각각 형성되어 제1 이동자(221)가 왕복 가능하며, 제2 레일(232)은 상호 대면되는 하우징(300)의 내면 후방에 각각 형성되어 제2 이동자(222)가 왕복 가능한 것이다.
이때, 제1, 2 코일 스프링(211, 212)은 운동을 실시하는 사용자의 근력이나 성별 또는 연령에 맞게 스프링 상수를 서로 달리하여 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교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거치부(500)가 정회전함에 따라 지지 본체(110)의 일측 전방에 배치된 제1 코일 스프링(211)과 지지 본체(110)의 타측 후방에 배치된 제2 코일 스프링(212)이 신장될 때, 지지 본체(110)의 타측 전방에 배치된 제1 코일 스프링(211)과 지지 본체(110)의 일측 후방에 배치된 제2 코일 스프링(212)은 압축될 것이다.
여기서, 위와 같은 일련의 메커니즘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제1 코일 스프링(211)은 지지 본체(110)의 후방측을 향하여 θ1의 각도로 경사를 이루고, 제2 코일 스프링(212)은 지지 본체(110)의 전방측을 향하여 θ2의 각도로 경사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거치부(500)의 정, 역회전이 반복 수행되고 회전 각도가 커짐에 따라 제1, 2 코일 스프링(211, 212) 각각의 신축에 따른 위치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 2 코일 스프링(211, 212) 각각의 타단부에는 회동 가능한 제1, 2 이동자(221, 222)가 각각 구비되어 제1, 2 레일(231, 232)을 따라 왕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사용자의 한 쪽 발만 운동을 실시할 수도 있음은 물론, 도 3 및 도 4와 같이 양 발을 운동할 수도 있고, 절첩되면서 수납 및 정리 또한 가능한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은 하우징(300)과 이웃한 하우징(3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복수의 절첩용 경첩부재(350)와 함께, 하우징(300)과 이웃한 하우징(300)의 일측에 각각 마련되어 커버(400) 및 거치부(500)가 각각 수납 또는 고정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정리부(360)를 더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거치부(500)의 상측에는 사용자의 발바닥을 안착시켜 안정된 자세로 운동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발바닥 형상에 대응되게 함몰된 거치홈(510)이 구비된다.
거치홈(510)의 전방측에는 사용자의 발등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부재(52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사용자는 거치홈(510)에 발바닥을 고정시켜 양 발로 운동을 실시한 후 운동이 종료되면 도 3의 상태에서 커버(400)를 하우징(300)으로부터 분리하여 도 4와 같이 ①하우징(300)의 일측에 구비된 정리부(360)에 수납한 후, ②절첩용 경첩부재(350)를 기준으로 하우징(300)과 이웃한 하우징(300)을 서로 겹쳐서 정리 및 수납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다리 교정장치를 이용하여 운동하는 예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고자 한다.
참고로, 도 5 내지 도 8에 표시되지 않은 도면의 부호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다.
우선, 사용자는 도 5와 같이 거치부(500)의 제2 거치홈(501b)이 발바닥의 중심부에 위치한 상태, 즉 제2 거치홈(501b)과 연결된 체결봉(101)이 중심 지지점이 되는 상태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도 6과 같이 제1 거치홈(501a)이 발바닥의 전방부에 위치한 상태, 즉 제1 거치홈(501a)과 연결된 체결봉(101)이 전방 지지점이 되는 상태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특정 각도만큼 회전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 7과 같이 제3 거치홈(501c)이 발바닥의 후방부에 위치한 상태, 즉 제3 거치홈(501c)과 연결된 체결봉(101)이 후방 지지점이 되는 상태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 여성들의 미용 목적으로 각선미를 돋보이도록 하는 운동 후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는 정리 운동의 효과과 함께, 장시간 기립한 채로 일해야 하는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뭉친 근육을 풀어주는 피로 회복 목적의 운동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8과 같이 사용자의 양 발바닥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거치부(500)을 한 쌍으로 배치한 구조에 따라 도 8(a)와 같이 발바닥의 전방측을 상호 근접시켜 오므렸다 펴는 동작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 도 8(b)와 같이 발바닥의 전방측을 상호 이격시켜 벌렸다 원상 복귀하는 동작을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도 8과 같은 동작은 한 쌍의 거치부(500) 각각과 체결봉(101)으로 연결된 지지 본체(110) 양측의 제1, 2 코일 스프링(211, 212)들에 의하여 시종일관 이루어지는 운동, 즉 탄성 반발력으로 동작 구현이 가능하다.
즉, 도 6(a) 및 도 6(b)의 ① 방향 또는 ② 방향은 사용자의 근력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나타내고, 도 6(a) 및 도 6(b)의 ② 방향 또는 ① 방향은 제1, 2 코일 스프링(211, 212)들에 의하여 사용자의 근력으로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로 잡아당기려는 힘이 작용하는 방향을 각각 나타낸다.
특히, 본 발명은 양 발을 거치부(500)에 올려놓고 발바닥, 즉 거치홈(510)의 전, 후방에 걸쳐 거치부(500) 저면의 적절한 위치에 체결봉(101)이 위치하도록 위치 변경시키고, 도 8(a) 및 도 8(b)와 반대 방향으로 정, 역회전을 반복하거나 같은 방향으로 정, 역회전을 반복하는 운동을 함으로써 종아리 뒷부분의 근육에 적절한 자극을 주면서도 과도한 긴장을 완화토록 함으로써 각선미를 돋보이게 하는 미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종아리 뒷부분의 표층을 구성하는 비복근과, 종아리 뒷부분의 심부를 구성하는 가자미근에 적절한 자극을 주면서 각선미를 더욱 돋보이게 하여 패션에 관심이 많은 여성 사용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다시말해, 본 발명은 비복근과 가자미근 각각에 적절한 자극을 주어 근육의 탄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제1, 2 지지부(100, 200)와 거치부(500)를 통한 다양한 운동 동작을 통하여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면서 비복근과 가자미근의 비정상적인 발달로 인한 종아리 부분의 각선미 저해 요인을 억제함으로써 각선미 형성을 가능케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운동을 실시하여 근육 긴장을 완화하면서 피로를 풀어주면서 전문적인 운동 선수들의 강화 훈련 또는 재활 훈련은 물론 일반인들의 사고 후 재활 치료 등에서 적절한 운동 강도를 조절하여 대퇴부와 고관절 주변의 근육과 인대를 강화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불필요한 동력이나 에너지 소모를 할 필요가 없이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도 다양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춰서 운동을 실시하여 각선미를 살리는 미용 효과를 도모하면서, 다리 교정 및 재활 치료의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리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1 지지부
101...체결봉
110...지지 본체
120...회전 지지봉
200...제2 지지부
211...제1 코일 스프링
212...제2 코일 스프링
221...제1 이동자
222...제2 이동자
231...제1 레일
232...제2 레일
300...하우징
400...커버
500...거치부
510...거치홈
520...고정부재

Claims (7)

  1.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300);
    상기 하우징(300)의 상면을 덮도록 탈착 결합되는 커버(400);
    상기 커버(400)상에서 한 방향을 따라 위치 조정 가능하며, 한 지점에서 정, 역회전 가능하고, 사용자의 발바닥이 올려지는 면적을 제공하는 거치부(500);
    상기 하우징(300)에 내장되고, 상기 거치부(500)와 탈착 결합되며, 상기 거치부(500)의 정, 역회전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100); 및
    상기 제1 지지부(100)의 양측과 상기 하우징(300)의 내면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거치부(500)가 회전하는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힘을 작용하면서 상기 제1 지지부(100)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교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리 교정장치는,
    상기 거치부(500)의 저면에 다각 기둥 형상으로 함몰된 체결홈(501)과,
    상기 제1 지지부(100)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체결홈(501)에 대응하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돌출된 체결봉(10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교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501)은 상기 거치부(500)의 저면에 복수로 일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교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100)는,
    상기 하우징(300)에 내장되는 평판 형상의 지지 본체(110)와,
    상기 지지 본체(1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거치부(500)의 저면과 탈착 결합되는 다각 기둥 형상의 체결봉(101)과,
    상기 지지 본체(110)의 저면과 상기 하우징(300)의 저면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지지 본체(110)의 정, 역회전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봉(120)을 포함하며,
    제2 지지부(200)는 상기 지지 본체(110)의 양측 전, 후방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300)의 내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교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200)는,
    상기 하우징(300)에 내장되는 평판 형상인 상기 제1 지지부(100)의 지지 본체(110)의 양측 전방에 각각 일단부가 결합된 제1 코일 스프링(211)과,
    상기 지지 본체(110)의 양측 후방에 각각 일단부가 결합된 제2 코일 스프링(212)과,
    상기 제1 코일 스프링(211) 각각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이동자(221)와,
    상기 제2 코일 스프링(212) 각각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이동자(222)와,
    상호 대면되는 상기 하우징(300)의 내면 전방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이동자(221)가 왕복 가능한 제1 레일(231)과,
    상호 대면되는 상기 하우징(300)의 내면 후방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2 이동자(222)가 왕복 가능한 제2 레일(2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교정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 스프링(211)은 상기 지지 본체(110)의 후방측을 향하여 경사를 이루고,
    상기 제2 코일 스프링(212)은 상기 지지 본체(110)의 전방측을 향하여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교정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리 교정장치는,
    상기 하우징(300)과 이웃한 하우징(3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복수의 절첩용 경첩부재(350)와,
    상기 하우징(300)과 이웃한 하우징(300)의 일측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커버(400) 및 거치부(500)가 각각 수납 또는 고정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정리부(3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교정장치.
KR1020130049265A 2013-05-02 2013-05-02 다리 교정장치 KR101372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265A KR101372723B1 (ko) 2013-05-02 2013-05-02 다리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265A KR101372723B1 (ko) 2013-05-02 2013-05-02 다리 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2723B1 true KR101372723B1 (ko) 2014-04-01

Family

ID=50655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9265A KR101372723B1 (ko) 2013-05-02 2013-05-02 다리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27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0272A1 (ja) * 2014-10-17 2016-04-21 株式会社オスモティックジャパン O脚矯正器具
KR101666148B1 (ko) * 2015-06-22 2016-10-14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휜 다리 교정장치
KR20220061792A (ko) * 2020-11-06 2022-05-1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좌식 운동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856Y1 (ko) * 2004-02-10 2004-05-31 박봉훈 더블 트위스트 운동기구
JP2009125557A (ja) * 2007-11-20 2009-06-11 Yasuhiro Obuchi O脚等用トレーニング機器
KR100963099B1 (ko) * 2008-02-25 2010-06-10 권형철 하반신 운동기구
KR101162335B1 (ko) * 2011-09-29 2012-07-04 김제영 내전근 및 괄약근 강화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856Y1 (ko) * 2004-02-10 2004-05-31 박봉훈 더블 트위스트 운동기구
JP2009125557A (ja) * 2007-11-20 2009-06-11 Yasuhiro Obuchi O脚等用トレーニング機器
KR100963099B1 (ko) * 2008-02-25 2010-06-10 권형철 하반신 운동기구
KR101162335B1 (ko) * 2011-09-29 2012-07-04 김제영 내전근 및 괄약근 강화 운동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0272A1 (ja) * 2014-10-17 2016-04-21 株式会社オスモティックジャパン O脚矯正器具
KR101666148B1 (ko) * 2015-06-22 2016-10-14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휜 다리 교정장치
KR20220061792A (ko) * 2020-11-06 2022-05-1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좌식 운동 장치
KR102492623B1 (ko) * 2020-11-06 2023-01-2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좌식 운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251145B2 (en) Exercise apparatus enabling a hip-up exercise to be performed
US9095491B2 (en) Muscle treatment device
CN109044737B (zh) 一种具有颈部和肩部放松功能的上肢康复训练器
US20080070210A1 (en) System and methods for promoting health
CN201870132U (zh) 多功能健身椅
KR101372723B1 (ko) 다리 교정장치
CN107296717A (zh) 一种骨科肢体仿真运动康复机
CN201948308U (zh) 按摩电脑桌
RU2011132484A (ru)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мышечного тонуса у детей со спастическими формами церебрального паралича
JP6414988B2 (ja) 指圧器具及びこれを備える指圧器具セット
KR101285947B1 (ko) 다리 교정장치
CN205672449U (zh) 一种腰背训练按摩器
KR101638601B1 (ko) 휴대용 척추 운동 기구
CN204484719U (zh) 腰椎治疗垫
KR200373933Y1 (ko) 운동기구용 바
CN217525753U (zh) 一种康复用按摩棒
CN202409951U (zh) 筋骨舒展运动机
JP3214028U (ja) 治療用器具
KR20220061427A (ko) 효율적인 스트레칭 보조 운동기구
CN109498411B (zh) 一种膝部按摩器
CN209500625U (zh) 拉筋垫结构
KR100632992B1 (ko)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
JP5883186B1 (ja) 健康器具
CN206761813U (zh) 一种人体舒展牵引设备
JP3160051U (ja) クッショ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