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5947B1 - 다리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다리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5947B1
KR101285947B1 KR1020130001289A KR20130001289A KR101285947B1 KR 101285947 B1 KR101285947 B1 KR 101285947B1 KR 1020130001289 A KR1020130001289 A KR 1020130001289A KR 20130001289 A KR20130001289 A KR 20130001289A KR 101285947 B1 KR101285947 B1 KR 101285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sole
user
unit
displa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식
김동권
Original Assignee
김동권
최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권, 최정식 filed Critical 김동권
Priority to KR1020130001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59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feet or ank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37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 A61F5/3761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for attaching the limbs to other obje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발바닥이 올려지고 고정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하부측에 설치되고, 상기 거치부의 위치를 상기 발바닥의 전, 후 방향을 따라 변경 가능한 변위부; 및 상기 거치부의 하부측과 연결되고, 상기 변위부에 의하여 이동된 상기 발바닥의 전방, 후방, 또는 중간 지점을 각각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기 거치부를 정, 역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다양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춰서 운동을 함으로써 각선미를 돋보이게 하는 미용 효과를 도모함은 물론 다리 교정 및 재활 치료의 용도로도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리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리 교정장치{CORRECTING DEVICE FOR LEG}
본 발명은 다리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다양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춰서 운동을 함으로써 각선미를 돋보이게 하는 미용 효과를 도모함은 물론 다리 교정 및 재활 치료의 용도로도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리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휜 다리로 마음 고생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특히 아름다운 각선미를 원하는 여성들의 경우 휜 다리는 통증은 없다 하더라도 엄청난 콤플렉스와 스트레스로 작용하게 되며, 휜 다리는 외모의 문제뿐만 아니라 장래 관절변형과 골반의 삐뚤어짐 등으로 관절염과 척추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휜 다리 원인은 매우 다양한데, 유전이나 인종적인 차이와도 관계가 있고 질병에 의해서도 다리가 휠 수 있으며, 후천적인 원인이 더 큰 영향을 미치고 후천적인 원인은 어렸을 때에 기저귀를 잘못 채웠거나 많이 업혀서 자란 사람, 골반과 고관절, 대퇴골이 이루는 정상적인 각도가 비뚤어져 휜 다리가 많이 발생하게 되고, 여성들의 경우 출산 후 산후조리를 잘못한 경우, 나쁜 생활습관이 있는 경우가 있다.
생활습관으로 인한 경우에는 동양인에서는 좌식 생활이 보편화 되어 고관절이 내회전 변형되고 골반과 고관절, 대퇴골이 이루는 정상적인 각도가 비뚤어져 휜 다리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휜 다리의 유형으로는, 일어서서 양쪽다리의 복사뼈를 붙여 양쪽무릎이 붙지 않는 경우의 O형 다리와, 일어서서 양쪽다리의 무릎을 붙여서 양쪽복사뼈가 붙지 않는 경우의 X형 다리로 구분된다.
이러한 휜 다리는 미용적인 관점에서 외형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에게 각선미의 상실이나, 이상한 걸음걸이 등으로 인한 자신감이 결여될 수 있고 젊은 여성들의 경우 미니 스커트를 포함한 치마 입기를 꺼리게 되는 경우가 된다.
특히 휜 다리의 경우에는 골반, 고관절, 대퇴골이 삐뚤어짐으로써 무릎 관절에 무리를 주어 퇴행성 관절염을 유발하고 척추가 휘게 되어 인체역학적인 삐뚤어짐이 생겨 많은 내과적인 질환과 척추질환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무릎관절의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 중 많은 경우에서 O형 다리를 발견할 수 있으며, O형 다리는 무릎이 안쪽으로 꺾여있어 무릎관절의 안쪽과 바깥쪽의 간격이 차이가 나서 무릎이 체중을 균등하게 받을 수 없어 간격이 좁아진 곳은 마찰이 심해 통증이 발생한다.
등록특허 제10-0733398호 등록특허 제10-1191829호 등록실용 제20-044453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발명된 것으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다양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춰서 운동을 함으로써 종아리 뒷부분의 비복근과 가자미근에 지속적으로 자극을 줌으로써 각선미를 돋보이게 하는 미용 효과를 도모함은 물론 다리 교정 및 재활 치료의 용도로도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리 교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발바닥이 올려지는 면적을 제공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하부측에 설치되고, 상기 거치부의 위치를 상기 발바닥의 전, 후 방향을 따라 변경 가능한 변위부; 및 상기 거치부의 하부측과 연결되고, 상기 변위부에 의하여 이동된 위치에서 상기 거치부를 정, 역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교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치부는, 저면에 상기 변위부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는 거치판과, 상기 발바닥의 형상과 대응되게 상기 거치판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발을 고정시키는 고정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거치부는, 저면에 상기 변위부가 설치되고 한 쌍의 상기 회전부각각과 연결되는 한 쌍의 거치판과, 상기 발바닥의 형상과 대응되게 상기 거치판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발을 고정시키는 고정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거치판은 상호 반대 방향 또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변위부는,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는 고정블럭과, 상기 거치부의 하부측에 상기 발바닥의 전, 후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고정블럭의 양측 가장자리와 접촉하는 이동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는, 단부가 상기 변위부와 연결되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서보모터와, 상기 서보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와, 상기 구동축에 장착되어 상기 컨트롤러에 입력된 설정값에 맞게 상기 구동축의 회전 각도를 변경하는 제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발바닥이 올려지고 고정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하부측에 설치되고, 상기 거치부의 위치를 상기 발바닥의 전, 후 방향을 따라 변경 가능한 변위부; 및 상기 거치부의 하부측과 연결되고, 상기 변위부에 의하여 이동된 상기 발바닥의 전방, 후방, 또는 중간 지점을 각각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기 거치부를 정, 역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교정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변위부에 의하여 이동된 발바닥의 전방, 후방, 또는 중간 지점을 각각 회전 중심으로 하여 거치부를 회전부가 정, 역회전시키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다양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춰서 운동을 실시하여 각선미를 돋보이게 하는 미용 효과를 도모함은 물론 다리 교정 및 재활 치료 또한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양 발을 거치부에 올려놓고 발바닥의 전, 후방에 걸쳐 적절한 위치에 구동축이 위치하도록 위치 변경시키고, 같은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정, 역회전을 반복하는 운동을 통하여 종아리 뒷부분의 표층을 구성하는 비복근과, 종아리 뒷부분의 심부를 구성하는 가자미근에 적절한 자극을 주면서 각선미를 더욱 돋보이게 하여 패션에 관심이 많은 여성 사용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운동을 실시하여 근육 긴장을 완화하면서 피로를 풀어주고, 대퇴부와 고관절 주변의 근육과 인대를 강화시키는 효과 또한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 교정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2는 도 1의 A 시점에서 바라본 도면으로, 본 발명의 주요부인 거치부가 회전부를 중심으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저면 개념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다리 교정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낸 평면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 교정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며, 도 2는 도 1의 A 시점에서 바라본 도면으로, 본 발명의 주요부인 거치부가 회전부를 중심으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저면 개념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다리 교정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낸 평면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100)의 하부에 변위부(200)가 결합되고 회전부(300)가 거치부(100)를 회전시키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참고로, 미설명 부호로 도 1에서 400은 회전부(300)의 각 구성요소가 내장되는 하우징을, 그리고 도 2에서 fp는 고정블럭(210)이 위치하는 고정된 기준점을 각각 나타낸다.
또한, 도 2 내지 도 6에서 표시되지 않은 도면의 부호는 도 1을 참고하면 될 것이다.
거치부(100)는 사용자의 발바닥이 올려지는 면적을 제공하는 것으로, 발바닥이 안착되어 안정감있게 미용 또는 교정 목적의 운동을 실시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변위부(200)는 거치부(100)의 하부측에 설치되고, 거치부(100)의 위치를 발바닥의 전, 후 방향을 따라 변경 가능한 것으로, 후술할 회전부(300)의 회전 중심이 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변위부(200)는 관절과 근육 및 인대 등 다양한 부위에 각각의 자극과 단련이 되도록 하여 일반 여성들의 미용 목적으로 각선미를 돋보이도록 하는 운동과 함께, 장시간 기립한 채로 일해야 하는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뭉친 근육을 풀어주는 피로 회복 목적의 운동도 가능함은 물론, 근육 및 인대의 강화를 통하여 재활 목적의 운동 또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회전부(300)는 거치부(100)의 하부측과 연결되고, 변위부(200)에 의하여 이동된 위치에서 거치부(100)를 정, 역회전시키는 것이다.
즉, 회전부(300)는 거치부(100)의 하부측과 연결되고, 변위부(200)에 의하여 이동된 발바닥의 전방, 후방, 또는 중간 지점을 각각 회전 중심으로 하여 거치부(100)를 정, 역회전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거치부(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발바닥을 올려놓을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하는 것으로, 크게는 거치판(110)과 고정 어셈블리(12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거치판(110)은 저면에 변위부(200)가 설치되고 회전부(300)와 연결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발바닥이 올려지는 면적을 제공하는 것이다.
고정 어셈블리(120)는 발바닥의 형상과 대응되게 거치판(110)의 상면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발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1과 같이 사용자의 발(F)이 거치판(110)에 올려질 때 사용자의 발등을 고정하는 밴드 형상이거나,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의 발목 아래 부분 전체를 감싸는 신발 형상의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등의 변형 및 응용 설계가 가능하다.
여기서, 거치판(110)에는 사용자의 발바닥이 안착되도록 하여 거치판(110)의 회전 동작시에도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된 거치홈(110g)을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거치판(110)은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단일 구조이거나 도 6과 같이 한 쌍으로 배치되어 사용자의 양 발을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응용 및 변형 설계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한 쌍의 거치판(110)은 교정 운동 방법에 따라 상호 반대 방향 또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조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변위부(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거치부(100)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2를 참고하면 회전부(300)와 연결되는 고정블럭(210)과, 거치판(110)의 하부측에 발바닥의 전, 후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고정블럭(210)의 양측 가장자리와 접촉하는 이동레일(22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즉, 변위부(200)는 도 2(a)와 같이 회전부(300)와 연결된 고정블럭(210)이 거치판(110)의 중앙, 즉 사용자의 발바닥 중앙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도 2(b)와 같이 거치판(110)의 전방, 즉 사용자의 발바닥 전방부에 위치한 상태 또는 도 2(c)와 같이 거치판(110)의 후방, 즉 사용자의 발바닥 후방부에 위치한 상태가 되도록 이동레일(220)이 왕복하는 구조이다.
한편, 회전부(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거치부(100)의 회전을 위한 것으로, 단부가 변위부(200)와 연결되는 구동축(311)을 포함하는 서보모터(310)와, 서보모터(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320)와, 구동축(311)에 장착되어 컨트롤러(320)에 입력된 설정값에 맞게 구동축(311)의 회전 각도를 변경하는 제한수단(330)을 포함하는 것이다.
서보모터(310)는 컨트롤러(320) 조작에 의하여 구동축(311)이 정, 역회전하는 회전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제한수단(330)은 일종의 리미트 스위치와 같이 구동축(311)이 과도하게 회전하여 사용자의 관절과 근육 및 인대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컨트롤러(320)에서 설정된 구동축(311)의 회전 각도 범위 이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서보모터(310)에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하는 일종의 안전장치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3과 같이 변위부(200)의 고정블럭(210)이 발바닥의 중심부에 위치한 상태, 즉 고정블럭(210)과 연결된 구동축(311)이 중심 지지점(S1)이 되는 상태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도 4와 같이 고정블럭(210)이 발바닥의 전방부에 위치한 상태, 즉 고정블럭(210)과 연결된 구동축(311)이 전방 지지점(S2)이 되는 상태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특정 각도만큼 회전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 5와 같이 고정블럭(210)이 발바닥의 후방부에 위치한 상태, 즉 고정블럭(210)과 연결된 구동축(311)이 후방 지지점(S3)이 되는 상태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 내지 도 5와 같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은 회전부(300)의 정, 역회전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는 거치판(110)의 거치홈(110g)에 자신의 발바닥을 안착시키고 긴장을 푼 상태로 두고, 서보모터(310)의 정회전 후 역회전 속도를 느리게 또는 빠르게 조절함으로써 근육을 풀어주는 효과를 도모하는 운동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일반 여성들의 미용 목적으로 각선미를 돋보이도록 하는 운동 후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는 정리 운동의 효과과 함께, 장시간 기립한 채로 일해야 하는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뭉친 근육을 풀어주는 피로 회복 목적의 운동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때, 도 3 내지 도 5와 같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시종일관 회전부(300)의 동력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 반자동에 의한 동작 구현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사용자는 거치판(110)의 거치홈(110g)에 자신의 발바닥을 안착시키고 긴장을 푼 상태로 두고, 서보모터(310)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만 특정 각도만큼 1회 회전하되, 컨트롤러(320)에 의하여 설정된 회전 각도까지 도달하면 제한수단(330)이 서보모터(310)의 동력을 끊는다.
이후, 사용자는 거치판(110)을 서보모터(310)가 회전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자신의 근력을 이용하여 컨트롤러(320)에 의하여 설정된 회전 각도까지 회전시키면 제한수단(330)은 서보모터(310)의 동력을 다시 연결하여 사용자가 거치판(110)을 회전시킨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자동 회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자동과 수동 회전을 반복 실시함으로써 사용자는 근육을 단련시키고 이완시키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근육과 관절 및 인대에 과도한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원활한 미용 또는 교정 목적의 운동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6과 같이 사용자의 양 발바닥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거치판(110)을 한 쌍으로 배치한 구조에 따라 도 6(a)와 같이 발바닥의 전방측을 상호 근접시켜 오므렸다 펴는 동작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 도 6(b)와 같이 발바닥의 전방측을 상호 이격시켜 벌렸다 원상 복귀하는 동작을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과 같은 동작은 전술한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한 쌍의 거치판(110) 각각과 연결된 회전부(300)에 의하여 시종일관 이루어지는 운동, 즉 자동 모드로 동작 구현이 가능하며, 도 6(a) 및 도 6(b)의 ① 방향 또는 ② 방향은 회전부(300)에 의하고, ② 방향 또는 ① 방향은 사용자의 근력에 의하는 반자동 모드로 동작 구현이 가능함 또한 물론이다.
특히, 본 발명은 양 발을 거치판(110)에 올려놓고 발바닥, 즉 거치홈(110g)의 전, 후방에 걸쳐 거치판(110) 저면의 적절한 위치에 구동축(311)이 위치하도록 위치 변경시키고, 도 6(a) 및 도 6(b)와 같은 반대 방향으로 정, 역회전을 반복하거나 같은 방향으로 정, 역회전을 반복하는 운동을 통하여 종아리 뒷부분의 근육에 적절한 자극을 주면서도 과도한 긴장을 완화토록 함으로써 각선미를 돋보이게 하는 미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종아리 뒷부분의 표층을 구성하는 비복근과, 종아리 뒷부분의 심부를 구성하는 가자미근에 적절한 자극을 주면서 각선미를 더욱 돋보이게 하여 패션에 관심이 많은 여성 사용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다시말해, 본 발명은 비복근과 가자미근 각각에 적절한 자극을 주어 근육의 탄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회전부(300)와 변위부(200) 및 거치부(100)를 통한 다양한 운동 동작을 통하여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면서 비복근과 가자미근의 비정상적인 발달로 인한 종아리 부분의 각선미 저해 요인을 억제함으로써 각선미 형성을 가능케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운동을 실시하여 근육 긴장을 완화하면서 피로를 풀어주면서 전문적인 운동 선수들의 강화 훈련 또는 재활 훈련은 물론 일반인들의 사고 후 재활 치료 등에서 적절한 운동 강도를 조절하여 대퇴부와 고관절 주변의 근육과 인대를 강화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다양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춰서 운동을 함으로써 각선미를 돋보이게 하는 미용 효과를 도모함은 물론 다리 교정 및 재활 치료의 용도로도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리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거치부 110...거치판
110g...거치홈 120...고정 어셈블리
200...변위부 210...고정블럭
220...이동레일 300...회전부
310...서보모터 311...구동축
320...컨트롤러 330...제한수단
400...하우징

Claims (6)

  1. 사용자의 발바닥이 올려지는 면적을 제공하는 거치부(100);
    상기 거치부(100)의 하부측에 설치되고, 상기 거치부(100)의 위치를 상기 발바닥의 전, 후 방향을 따라 변경 가능한 변위부(200); 및
    상기 거치부(100)의 하부측과 연결되고, 상기 변위부(200)에 의하여 이동된 위치에서 상기 거치부(100)를 정, 역회전시키는 회전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교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100)는,
    저면에 상기 변위부(200)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부(300)와 연결되는 거치판(110)과,
    상기 발바닥의 형상과 대응되게 상기 거치판(110)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발을 고정시키는 고정 어셈블리(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교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100)는,
    저면에 상기 변위부(200)가 설치되고 한 쌍의 상기 회전부(300) 각각과 연결되는 한 쌍의 거치판(110)과,
    상기 발바닥의 형상과 대응되게 상기 거치판(110)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발을 고정시키는 고정 어셈블리(120)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거치판(110)은 상호 반대 방향 또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교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위부(200)는,
    상기 회전부(300)와 연결되는 고정블럭(210)과,
    상기 거치부(100)의 하부측에 상기 발바닥의 전, 후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고정블럭(210)의 양측 가장자리와 접촉하는 이동레일(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교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300)는,
    단부가 상기 변위부(200)와 연결되는 구동축(311)을 포함하는 서보모터(310)와,
    상기 서보모터(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320)와,
    상기 구동축(311)에 장착되어 상기 컨트롤러(320)에 입력된 설정값에 맞게 상기 구동축(311)의 회전 각도를 변경하는 제한수단(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교정장치.
  6. 사용자의 발바닥이 올려지고 고정되는 거치부(100);
    상기 거치부(100)의 하부측에 설치되고, 상기 거치부(100)의 위치를 상기 발바닥의 전, 후 방향을 따라 변경 가능한 변위부(200); 및
    상기 거치부(100)의 하부측과 연결되고, 상기 변위부(200)에 의하여 이동된 상기 발바닥의 전방, 후방, 또는 중간 지점을 각각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기 거치부(100)를 정, 역회전시키는 회전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교정장치.
KR1020130001289A 2013-01-04 2013-01-04 다리 교정장치 KR101285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289A KR101285947B1 (ko) 2013-01-04 2013-01-04 다리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289A KR101285947B1 (ko) 2013-01-04 2013-01-04 다리 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5947B1 true KR101285947B1 (ko) 2013-07-12

Family

ID=48997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289A KR101285947B1 (ko) 2013-01-04 2013-01-04 다리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59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88149A (zh) * 2018-06-08 2018-11-27 谢培发 一种骨科用小腿骨折病人洗澡装置
KR20210032134A (ko) * 2019-09-16 2021-03-24 송동호 관절 교정장치
KR20230046474A (ko) * 2021-09-30 2023-04-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피보팅 메커니즘을 이용한 하지 제어능력 훈련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764Y1 (ko) 2005-11-29 2006-02-16 최미경 발 및 다리 운동기구
KR100654883B1 (ko) 2005-03-16 2006-12-06 강응구 발목 운동 기구
KR100963099B1 (ko) 2008-02-25 2010-06-10 권형철 하반신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883B1 (ko) 2005-03-16 2006-12-06 강응구 발목 운동 기구
KR200408764Y1 (ko) 2005-11-29 2006-02-16 최미경 발 및 다리 운동기구
KR100963099B1 (ko) 2008-02-25 2010-06-10 권형철 하반신 운동기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88149A (zh) * 2018-06-08 2018-11-27 谢培发 一种骨科用小腿骨折病人洗澡装置
KR20210032134A (ko) * 2019-09-16 2021-03-24 송동호 관절 교정장치
KR102340611B1 (ko) 2019-09-16 2021-12-16 송동호 관절 교정장치
KR20230046474A (ko) * 2021-09-30 2023-04-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피보팅 메커니즘을 이용한 하지 제어능력 훈련 장치
KR102653369B1 (ko) * 2021-09-30 2024-04-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피보팅 메커니즘을 이용한 하지 제어능력 훈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4706B2 (en) Posture improving garment
KR101496683B1 (ko) 하지 부위 변형의 개선 방법 및 이의 실행을 위한 장치
KR101494685B1 (ko) 하지 훈련 운동기구
CN203861526U (zh) 一种穿戴式可调下肢康复训练机器人装置
KR102091675B1 (ko) 근골격계 및 신경계 환자의 재활을 위한 올인원 재활훈련 장치
WO2016111516A1 (ko) 발끝치기 운동기구
KR101287134B1 (ko)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
CN109498251B (zh) 一种促进血液循环的踝关节康复训练装置及操作方法
KR101285947B1 (ko) 다리 교정장치
US20150366737A1 (en) Vein Pump
Jenkins Maximizing range of motion in older adults.
RU193024U1 (ru) Массажер - тренажер для ступней ног
KR102079425B1 (ko) 하지 혈액 순환 기구
KR101048720B1 (ko) 척추교정 운동기구
RU2800254C1 (ru) Способ реабилитации пациентов с заболеваниями суставов нижних конечностей
RU93273U1 (ru)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ррекции 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состояния организма человека
RU2695585C1 (ru)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физиологических изгибов позвоночника
Kidd et al. Beyond the Table
CN207590870U (zh) 一种可调节康复轮椅
RU89385U1 (ru)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ррекции 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состояния организма человека
Calvo Carrión et al. Instrumental myofascial therapy
Kareis et al. Ehlers-Danlos Syndrome-Hypermobility Type: Can We Use Physical Therapy Manipulation?
RU93272U1 (ru)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ррекции 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состояния организма человека
RU92791U1 (ru)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ррекции 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состояния организма человека
RU222229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ррекции и разгрузки позвоночни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