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2992B1 -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2992B1
KR100632992B1 KR1020050081687A KR20050081687A KR100632992B1 KR 100632992 B1 KR100632992 B1 KR 100632992B1 KR 1020050081687 A KR1020050081687 A KR 1020050081687A KR 20050081687 A KR20050081687 A KR 20050081687A KR 100632992 B1 KR100632992 B1 KR 100632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ans
stretching
base member
stretching exercise
exercise ai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1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예광해
Original Assignee
예광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예광해 filed Critical 예광해
Priority to KR1020050081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29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2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2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9Specific exercise interfaces contoured to fit to specific body parts, e.g. back, knee or neck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의 경우 자기의 능력 및 신체조건에 맞도록 조절이 가능하지 않고, 무리한 운동각 또는 가압으로 몸에 무리가 발생하고,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고가로 구현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면에 평행되도록 위치되는 하체 지지수단; 상기 하체 지지수단의 상향으로 위치되는 상체 지지수단; 및 지지수단 삽입부가 상부 및 측부에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하체 지지수단 및 상기 상체 지지수단이 선택적으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부재를 포함하는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에 의하면 자신의 신체 및 능력에 따라 스트레칭이 가능하고, 다양한 동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저렴한 비용으로 효율적인 스트레칭이 구현 가능하고, 하체, 고관절 및 척추가 바르게 교정되어 신체가 올바른 자세로 교정되고. 근육의 인장 및 수축으로 인해 원활한 혈액순환이 이루어짐에 따라 건강한 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를 얻을 수 있다.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 운동보조기구, 스트레칭.

Description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Apparatus for assisting stretch exercis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이 개략적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를 이용한 제1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를 이용한 제2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를 이용한 제3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를 이용한 제4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를 이용한 제5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를 이용한 제6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를 이용한 제7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 상체 지지수단 20 : 하체 지지수단
30 : 베이스부재 31 : 지지부재 삽입부
40 : 손잡이 수단 50 : 연결부재
60 : 지지부재
본 발명은 스트레칭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하체 지지수단, 상체 지지수단 및 베이스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재에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조건 및 능력에 맞도록 상기 하체 지지수단 및 상기 상체 지지수단을 선택적으로 탈착하여 사용가능한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산업화 및 과학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현대인들은 대부분이 운동량이 부족하고, 이는 비만과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오십견이라고 하는 어깨결림. VDT증후근 등으로 불리는 신경근 골격계질환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질명의 초기 상태에서는 맨몸 스트레칭이나 단순한 약물요법으로 빠른 시간내에 회복되나, 근육피로가 반복되거나 과도한 긴장으로 발생되는 통증은 근육이완제로도 쉽사리 풀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칫 신체적 활동상 제약을 유발 하게 된다. 또한 등 부위에 위치하는 대항근은 근길이가 변화하지 않는 길항상태로 긴장상태가 지속되고 반복될수록 신경피로가 누적되어 적응력이 저하되며, 결국 신경과근육간의 공조에 차질이 발생되고 통증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각종 근육 및 골격계질환들은 기본적으로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칭 및 바른 자세를 통해 예방하고 치유할 수 있다.
일반적을 스트레칭은 모든 운동의 준비운동으로만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인간이 움직이는 모든 행위, 즉 앉고,서고, 눕고, 달리는 등의 행위가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바른 자세로 되지 못한다면 다시 바로 잡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를 위해선 자신에 맞는 운동보조기구를 사용하여 정확한 자세로 지속적으로 유지 및 고정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를 위한 운동보조기구는 다양하게 개발되어 생산되고 있으나, 대부분 가격이 비싸고, 구조적으로 고정되어 있어 자신의 신체조건 및 능력에 맞도록 쉽게 변형하여 세팅할 수 없고, 구현하고자 하는 동작에 있어서 매우 단조롭고 획일적이다. 또한 무리한 운동각 및 가압에 의해 신체에 무리를 주어 오히려 역효과를 야기할 수 있고,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크게 구현됨에 따라 공간적인 제약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조건 및 능력에 맞도록 세팅이 가능한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체 지지수단, 하체 지지수단 및 보조부재가 바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남녀노소 누구나 다양한 스트레칭 동작을 쉽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상체 지지수단 및 하체 지지수단이 탄성을 지닌 부재로 구현됨에 따라 몸에 무리없고 효율적인 스트레칭이 가능한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가로 구현이 가능하고, 모든 구성요소가 탈착이 가능함에 따라 간단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고, 보관 및 이동이 간편한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운동근의 수축 및 이완작용으로 뭉친근육을 이완시키거나, 정상적으로 복귀시킴은 물론, 재활운동의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서있거나 앉아 있는 자세에서 한쪽 팔 또는 양 팔을 동시에 신장하거나 수축할 수 있는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요가, 필라테스등 스트레칭을 위한 모든운동을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고, 운동근육을 치료 및 발전시킬 뿐만 아니라 올바른 자세로 교정하고. 고관절 및 허리의 유연성을 향상시키며 근육의 인장 및 수축으로인해 원활한 혈액순환이 이루어짐에 따라 건강한 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체골격, 근육강화 뿐만 아니라, 신체의 좌우불균형을 교정하고, 허리 및 상체골격 근육의 교정 강화를 통해 각종 스포츠의 능력 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면에 평행되도록 위치되는 하체 지지수단; 상기 하체 지지수단의 상향으로 위치되는 상체 지지수단; 지지수단 삽입부가 상부 및 측부에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하체 지지수단 및 상기 상체 지지수단이 선택적으로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베이스부재를 포함하는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대한 구성, 기능 및 효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는 상체 지지수단(10), 하체 지지수단(20) 및 베이스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상체 지지수단(10)은 스트레칭 시 상체를 기대거나 손으로 잡는 등 여러가지 상체와 관련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고, 하체 지지수단(20)은 하체를 지지하고, 하체의 스트체칭 및 여러가지 관련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재(30)의 측부 및 상부에는 복수개의 지지부재 삽입부(31)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 삽입부(31)는 상체 지지수단(10) 및 하체 지지수단(20)을 선택적으로 삽입 결합함으로써 본인의 신체 및 능력에 맞고, 원하는 간격 및 각도로 세팅하여 스트레칭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체 지지수단(20)은 바(bar) 형상으로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부재(30)의 측부에 형성된 지지수단 삽입부(31)에 일축선상으로 각각 삽입 고정되고, 상기 상체 지지수단(10)은 바 형상으로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부재(30)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수단 삽입부(31)에 이격되어 각각 삽입고정된다. 이때 상기 하체 지지수단(20) 및 상체 지지수단(10)은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도록 베이스부재(30)에 세팅시킨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30)는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부재(30)를 연결하기 하나 이상의 연결바(50)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바(50)는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부재(30)를 이격시켜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 또는 다양한 길이의 바로 복수개가 구비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부재의 삽입부(31)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부재(30)의 간격은 조절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부재(30)는 하나 또는 복수개로 구현될 수 있고, 도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안정성, 견고성을 구비하고 적은 중량으로 구현되도록 두개의 베이스부재(30)로 구현되는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는 상기 베이스부재(30)의 상부로 삽입고정되어 상체 지지수단(10)의 후면으로 위치되어, 상기 상체 지지수단(10)이 수평으로 가압될 경우, 상체 지지수단을 소정각도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바(6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지지바(60)은 상기 상체 지지수단(10)을 보조 및 지지하여 안정성을 더하기 위한 선택적인 구성요소로서, 상기 상체 지지수단(10)을 이루는 재료의 탄성력에 의한 휨정도를 고려하여 그 크기 및 장착유무를 결정하고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그리고 이에 대한 구체예로서 도5에 나타낸 동작을 할 경우 사용자는 양손으로 상체 지지수단(10)을 잡고 허리를 뒤로 젖힐 때 상기 상체 지지수단(10)이 소정각도로 뒤로 벤딩될 경우, 벤딩되는 상기 상체 지지수단(10)은 지지바(60)에 지지되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트레칭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는 상기 베이스부재(30)의 상부로 연결되는 손잡이 부재(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 부재(40)는 사용자가 몸을 앞으로 숙이거나 다양한 동작을 취할 때, 손잡이 부재(40)를 잡고 동작을 구현함으로써, 변형되고, 다양한 동작이 가능하며, 심리적으로도 안정되어 보다 효율적인 스트레칭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체 지지수단의 전방으로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로 삽입되어 상체의 일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보조부재(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조부재(70)는 상체를 트위스트시킬 경우 팔 또는 어깨를 보조부재(70)에 지지시킴으로써 스트레칭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부재에 형성된 지지부재 삽입부(31)에 상기 보조부재(70)를 본인의 신체에 맞도록 선택적으로 삽입고정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구성요소들의 바람직한 치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상체 지지수단(10)은 110㎝, 하체 지지수단(20)은 130㎝, 베이스부재(30)는 90㎝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용자의 평균 신장 및 체중을 고려하여 다 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30)에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부(31)는 베이스부재(30)의 견고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부 및 측부에 형성된 삽입부(31)가 서로 엊갈려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체 지지수단 및 하체 지지수단은 바(bar)로 형성됨에 따라 다양한 동작이 가능하고, 탄성을 지닌 부재로 구현하여 스트레칭 효율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고, 나무 및 플라스틱류등을 포함한 다양한 재료로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를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가 완성되고, 이하 상기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를 이용한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히 기술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를 이용한 제1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체 지지수단(10)으로 기대고 양손으로 각각 상체 지지수단을 잡고, 발뒤꿈치가 바닥에 닿고, 발바닥은 뻗어 전방을 향하게 하고, 본인이 가능한 상태까지 다리를 벌려 스트레칭 한다. 이때 상기 하체 지지수단(20)은 가압되어 자연스레 벌어지고 사용자는 무리없이 스트레칭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를 이용한 제2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도2에 도시된 상태에서 좀더 다리를 벌려 스트레칭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스트레칭 동작을 보다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양손으로 손잡이 부재(40)을 잡고 지지하여 스트레칭 을 함으로써 사용자는 안정감을 갖고 본인의 능력만큼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상기 하체 지지수단은 양다리에 가압되어 자연스레 휘어지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무리없이 스트레칭을 구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를 이용한 제3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3에 나타낸 동작에서 발전된 동작으로서, 스트레칭 능력이 향상되어 서서히 내려와 다리가 거의 바닥에 닿을 정도로 벌어지면, 양손으로 허벅지 부위를 가압함으로써 스트레칭 능력을 더욱 향상시키는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더하여 도2, 도3 및 도4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본인의 능력이 향상될 수 록 상기 하체 지지수단(20)를 점점 뒤로 즉 상체 지지수단(10)측으로 이동시켜 스트레칭효율을 향상시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를 이용한 제4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도4에 나타낸 자세에서 상체 지지수단(10)을 양손으로 잡고, 상체를 뒤로 젖히는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같은 동작을 통해 다양한 근육이 동시에 인장되어 보다 효율적인 스트레칭효율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도6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를 이용한 제5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4에 나타낸 자세에서 허리를 좌우로 틀어 스트레칭하는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이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손잡이 부재(40) 대신 보조부재(70)을 삽입고정하고, 상기 보조부재(70)에 팔 또는 어깨를 기대어 상체를 트위스트 시킴에 따라 스트레칭 효과를 증가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베이스부재에 형성된 지지부재 삽입부(31) 에 상기 보조부재(70)를 본인의 신체에 맞도록 선택적으로 삽입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7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를 이용한 제6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도4의 자세에서 상체를 자신의 다리방향으로 숙여 허리 및 등 근육을 인장시킨다. 또한 도8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를 이용한 제7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로서, 도7의 동작에서 자신의 다리 끝을 잡아당겨 다리, 옆구리, 허리 근육을 인장시키는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5 내지 도8에 나타낸 동작은 모두 도4의 동작을 기초로 하고 있으나, 자신의 능력 및 신체 조건에 맞추어, 다리를 덜 벌린 상태에서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체 지지부재(10), 하체 지지부재(20) 및 보조부재가 바 형상으로 구현됨에 따라 여러가지 동작으로 변형 및 응용하여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능력 및 신체조건에 맞도로 세팅하여 사용할 수 있어 스트레칭 효과는 더욱 증가되고, 모든 구성요소가 탈착이 가능함에 따라 보관 및 이동이 간편하다.
상술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를 통해 스트레칭을 함으로써, 다리, 하반신 뿐만 아니라 척추가 바로서고, 신체가 바르게 됨에 따라 혈액순환이 원활해지고, 자연스레 모든 내장기관의 활성화를 통해 질병예방 및 자연치유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는 종래의 요과 및 스트레칭 보조기구에 의한 스트레칭과 달리, 신체의 구속, 인장, 수축, 비틀림 상태를 오래도록 유지시킴으로 월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조건 및 능력에 맞도록 세팅이 가능한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 제공하고, 상체 지지수단, 하체 지지수단 및 보조부재가 바 형상을 이루어짐에 따라 남녀노소 누구나 다양한 스트레칭 동작을 쉽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상기 상체 지지수단 및 하체 지지수단이 탄성을 지닌 부재로 구현됨에 따라 몸에 무리없고 효율적인 스트레칭이 가능하고, 저가로 구현이 가능하고, 모든 구성요소가 탈착이 가능함에 따라 간단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고, 보관 및 이동이 간편한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를 제공하고, 운동근의 수축 및 이완작용으로 뭉친근육을 이완시키거나, 정상적으로 복귀시킴은 물론, 재활운동의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서있거나 앉아 있는 자세에서 한쪽 팔 또는 양 팔을 동시에 신장하거나 수축할 수 있는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를 제공하고, 운동근육을 치료 및 발전시킬 뿐만 아니라 올바른 자세로 교정하고. 근육의 인장 및 수축으로인해 원활한 혈액순환이 이루어짐에 따라 건강한 생활을 유지할 수 있고, 종래의 요가 및 스트레칭 보조기구에 의한 스트레칭과 달리, 신체의 구속, 인장, 수축, 비틀림 상태를 오래도록 유지시킴으로 월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하체골격, 근육강화 뿐만 아니라, 신체의 좌우불균형을 교정하고, 허리 및 상체골격 근육의 교정 강화를 통해 각종 스포츠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0)

  1. 하체 지지수단;
    상체 지지수단; 및
    지지수단 삽입부가 상부 및 측부에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하체 지지수단 및 상기 상체 지지수단이 선택적으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부재를 포함하는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체지지수단은 지면에 평행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상체지지수단은 상기 하체 지지수단에 대하여 상향되도록 위치되는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체 지지수단은 바(bar) 형상으로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부재의 측부에 형성된 지지수단 삽입부에 각각 선택적으로 서로 대응되도록 삽입고정되고, 상기 상체 지지수단은 바 형상으로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수단 삽입부에 이격되어 선택적으로 삽입고정되는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복수개가 구비되고, 각각의 베이스부재를 연결하기 연결바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바에 의해 베이스부재가 이격되어 고정되는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는
    다양한 길이로 복수개가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부재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부재의 간격조절이 가능한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부재의 간격조절이 가능한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로 삽입고정되어 상체 지지수단의 후면으로 위치되어, 상기 상체 지지수단이 수평으로 가압될 경우, 상체 지지수단을 소정각도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바를 더 구비하는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로 연결되는 손잡이 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 지지수단의 전방으로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로 삽입되어 상체의 일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보조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 지지수단 및 하체 지지수단은 탄성을 지닌 재료로 제조된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
KR1020050081687A 2005-09-02 2005-09-02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 KR100632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1687A KR100632992B1 (ko) 2005-09-02 2005-09-02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1687A KR100632992B1 (ko) 2005-09-02 2005-09-02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2992B1 true KR100632992B1 (ko) 2006-10-12

Family

ID=37626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1687A KR100632992B1 (ko) 2005-09-02 2005-09-02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29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935B1 (ko) 2014-05-15 2014-10-30 주식회사 시드테크 스트레칭 운동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235046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935B1 (ko) 2014-05-15 2014-10-30 주식회사 시드테크 스트레칭 운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9948B2 (en) Postural support and exercise jacket
JPS6365880A (ja) 運動用装置
US6595904B1 (en) Exercise apparatus for stimulating muscle coordination, contraction and joint stability and mobility in the lower extremity joints of the hip, knee and ankle with variable application of weight bearing force
US201400739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knee rehabilitation
FI123644B (fi) Selän hoitolaite
KR101805911B1 (ko) 신체자세 교정방법에 사용되는 교정도구
KR100632993B1 (ko) 스트레칭 운동매트
KR100632992B1 (ko)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
KR200399189Y1 (ko) 척추이완 기구
KR20130115590A (ko) 피로회복을 위한 스트레칭 기구
KR100953220B1 (ko) 건강 증진 및 키 성장 촉진 운동기구
JPH11313861A (ja) 背筋伸ばし器
Swann Good positioning: the importance of posture
KR20220061427A (ko) 효율적인 스트레칭 보조 운동기구
US20110152047A1 (en) Calf Exerciser
TWI779785B (zh) 能透過彈力繩實現阻力運動之訓練輔助台
CN110787421A (zh) 三角形仰卧起座健身器
US20100248914A1 (en) Exercising Device
Martin Stretching
RU2802385C1 (ru) Способ коррекции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го идиопатического сколиоза у девочек 11-15 лет
KR102615717B1 (ko) 자동 및 반자동 기능이 결합된 운동용 침대
KR102615718B1 (ko) 운동용 침대
CN218686086U (zh) 一种踝泵运动辅助装置
Kingkinnarti et al. Comprehensiveness of physiotherapy intervention to prevent fall in diabetic neuropathy patient at dr. h arjono s ponorogo hospital: a case report
KR102125825B1 (ko) 절 운동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