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935B1 - 스트레칭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레칭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4935B1
KR101444935B1 KR1020140058528A KR20140058528A KR101444935B1 KR 101444935 B1 KR101444935 B1 KR 101444935B1 KR 1020140058528 A KR1020140058528 A KR 1020140058528A KR 20140058528 A KR20140058528 A KR 20140058528A KR 101444935 B1 KR101444935 B1 KR 101444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gear
protruding
length adjustin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8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길태
전호준
지종균
홍호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드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드테크
Priority to KR1020140058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49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53Support for the device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연장되는 길이조절부재; 상기 길이조절부재에 연결되는 받침부재;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길이조절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받침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유발시켜 상기 길이조절부재를 당기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의 작동이 상기 구동부에 전달되기 않도록 분리시켜 상기 길이조절부재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트레칭 운동장치 {EXERCISE EQUIPMENT FOR STRETCH}
본 발명은 스트레칭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동장치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조작부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손잡이부와 받침부재 사이의 간격을 좁히면서 스트레칭 운동을 행할 수 있고, 해제부의 조작에 의해 손잡이부와 받침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구속력을 해제시킬 수 있는 스트레칭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허리는 모든 사람의 움직임에 있어 가장 중요한 신체의 일부분이다.
현대인의 생활에서는 많은 시간을 의자에 않아 있고, 고열량의 식습관으로 몸이 굳어지면서 허리가 뻐근해지는 증상을 느끼고, 이러한 자세가 오랜 기간 반복되면서 근육과 관절의 이상이 발생되므로 허리 등의 신체에 이상이 발생될 수 있다.
허리 등의 신체 이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허리의 근육을 풀어 주거나 허리 스트레칭을 행하여 몸을 풀어주어야 한다.
일반적인 허리 스트레칭은 허리를 좌우로 돌리거나 앉은 자세에서 다리를 꼬아 다른 다리 위에 오릴라거나, 허리를 앞으로 구부리는 동작 및 허리를 펴는 동작을 행하면서 허리 스트레칭을 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허리 스트레칭은 맨손으로 행하거나 고무줄 또는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를 활용하여 위로 당기는 스트레칭을 행하였다.
상기한 스트레칭 운동은 허리의 근육을 증가시키는데 목적이 있으며, 허리 근육 강화에만 집중하여 운동을 행하는 경우에는 허리 유연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허리 유연성을 증기시키는 스트레칭 운동은 유연성이 없는 로프 등의 부재를 다리에 걸고 로프를 손으로 당기면서 허리를 다리 쪽으로 숙이는 스트레칭에 의해 허리 유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57594호(2010년 5월 13일 공고, 발명의 명칭 : 고관절 유연성 운동기구)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운동기구는, 허리를 접어 상체를 다리 쪽으로 굽히는 스트레칭을 유발시키기 위해 복잡한 장치 및 대형의 지지프레임이 요구되기 때문에 운동기구의 부품수를 줄이기 어렵고, 운동기구를 소형화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운동장치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조작부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손잡이부와 받침부재 사이의 간격을 좁히면서 스트레칭 운동을 행할 수 있고, 해제부의 조작에 의해 손잡이부와 받침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구속력을 해제시킬 수 있는 스트레칭 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손잡이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연장되는 길이조절부재; 상기 길이조절부재에 연결되는 받침부재;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길이조절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받침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유발시켜 상기 길이조절부재를 당기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의 작동이 상기 구동부에 전달되기 않도록 분리시켜 상기 길이조절부재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길이조절부재는 상기 본체 내측 또는 외측으로 출몰되는 와이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부개가 권취되는 드럼; 및 상기 조작부의 조작력을 상기 드럼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력이 전달되어 회전되는 주동기어; 상기 주동기어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1전달기어; 상기 제1전달기어와 기어연결되는 제2전달기어; 및 상기 드럼의 회전추에 설치되고 상기 제2전달기어에 기어연결되는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작부는, 상기 본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부에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핸들; 및 상기 핸들에 구비되고 상기 주동기어를 감싸며, 상기 주동기어의 기어치에 걸리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해제부는, 상기 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주동기어의 기어치에 걸림결합되는 구속돌기; 및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본체 외측으로 연장되는 해제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길이조절부재는 상기 본체 내측 또는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출몰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눈금이 구비되는 출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동부는, 상기 출몰바가 통과되고 상기 출몰바의 진행방향과 일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경사홀부; 및 상기 출몰바가 통과되고 상기 출몰바의 진행방향과 타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경사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작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경사홀부와 연결되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해제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경사홀부에 연결되는 해제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길이조절부재는 상기 본체에 내측 또는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출몰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동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구비되는 기어치; 상기 기어치와 기어연결되고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과 기어연결되도록 상기 출몰축에 구비되는 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작부는 상기 기어치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해제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랙기어에 걸림결합되는 구속돌기; 및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본체 외측으로 연장되는 해제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길이조절부재는 상기 본체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출몰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동부는 상기 출몰실린더로부터 출몰되고, 상기 받침부재가 연결되는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작부는 상기 출몰실린더에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에 구동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스위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해제부는, 상기 출몰실린더에 다수 개가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는 구속홈부;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속홈부와 걸림결합되며 경사홈부가 형성되는 구속돌기; 상기 경사홈부를 가압하여 상기 구속돌기를 상기 구속홈부로부터 분리시키는 가압경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해제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장치는, 사용자가 손잡이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조작부를 간단한 동작으로 조작하면 손잡이부와 받침부재 사이의 간격이 단계적으로 좁아지게 되므로 사용자의 상체와 받침부재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사용자의 스트레칭 한계를 넘어서 스트레칭 운동을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장치는, 받침부재에 발바닥을 지지시키고, 손잡이부를 잡은 상태에서 손잡이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조작부를 간단한 동작으로 조작하면 손잡이부와 받침부재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사용자의 상체가 다리 쪽으로 접히는 스트레칭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사용자의 허리 근육 및 다리 근육을 늘려주면서 유연성을 증강시키는 스트레칭 운동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허리 또는 다리 통증 환자의 재활운동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일어나지 못하는 환자들이 쉽게 스트레칭 운동을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장치의 내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장치가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장치의 내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장치는, 손잡이부(12)가 구비되는 본체(10)와, 본체(10)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연장되는 길이조절부재(30)와, 길이조절부재(30)에 연결되는 받침부재(50)와, 본체(10)에 구비되고 길이조절부재(30)를 이동시켜 손잡이부(12)와 받침부재(5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구동부(70)와, 구동부(70)의 작동을 유발시켜 길이조절부재(30)를 당기는 조작부(80)와, 조작부(80)의 작동이 구동부(70)에 전달되기 않도록 분리시켜 길이조절부재(30)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해제부(90)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발을 받침부재(50)에 지지시킨 후에 손으로 손잡이부(12)를 잡고 조작부(80)를 조작하면 길이조절부재(30)가 본체(1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손잡이부(12)와 받침부재(5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므로 사용자는 상체를 발 측으로 굽히면서 허리 및 등 근육의 유연성을 증강시키는 스트레칭 운동을 행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조작부(80)에 가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사용자의 손을 발 측으로 가압하여 허리 및 등 근육에 스트레칭 운동을 행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가 조작부(80)를 반복적으로 조작하여 길이조절부재(30)가 단계적으로 본체(10)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사용자의 운동 한계를 넘어서 스트레칭 운동을 행할 수 있게 된다.
길이조절부재(30)는 본체(10) 내측 또는 외측으로 출몰되는 와이어부재(32)를 포함하므로 사용자가 조작부(80)를 조작할 때마다 와이어부재(32)가 본체(10)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받침부재(50)를 본체(10) 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구동부(70)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와이어부개가 권취되는 드럼(72)과, 조작부(80)의 조작력을 드럼(72)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74)를 포함하고, 동력전달부(74)는, 본체(10)에 설치되고, 조작부(80)의 조작력이 전달되어 회전되는 주동기어(74a)와, 주동기어(74a)의 회전축(92)에 설치되는 제1전달기어(74b)와, 제1전달기어(74b)와 기어연결되는 제2전달기어(74c)와, 드럼(72)의 회전축에 설치되고 제2전달기어(74c)에 기어연결되는 종동기어(74d)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핸들(82)과 손잡이부(12)를 동시에 잡아 핸들(82)을 손잡이부(12) 측으로 당기면 핸들(82)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는 링부(84)가 회전하게 되고, 링부(84)에 설치되는 걸림돌기(86)가 주동기어(74a)의 기어치와 걸리결합된 상태에서 주동기어(74a)를 회전시키게 된다.
주동기어(74a)의 회전력은 제1전달기어(74b), 제1전달기어(74b) 및 종동기어(74d)를 통해 드럼(72)에 전달되므로 드럼(72)이 회전되면서 와이어부재(32)를 본체(10) 내측으로 당기게 된다.
핸들(82)은 탄성부재에 의해 손잡이부(12)와 먼 방향으로 위치되므로 사용자가 핸들(82)을 놓으면 핸들(82)이 원위치로 복원되는데, 주동기어(74a)의 기어치는 일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링부(84)가 정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걸림돌기(86)와 주동기어(74a)의 기어치가 걸림결합된 상태에서 링부(84)와 주동기어(74a)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핸들(82)이 원위치로 복원되는 경우에는 걸림돌기(86)가 주동기어(74a)의 기어치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므로 링부(84)의 역회전 동력은 주동기어(74a)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핸들(82)이 원위치로 복원되는 동력은 핸들(82)의 회전축(92)에 설치되는 토션스프링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조작부(80)는, 본체(10)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손잡이부(12)에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핸들(82)과, 핸들(82)에 구비되고 주동기어(74a)를 감싸며, 주동기어(74a)의 기어치에 걸리는 걸림돌기(86)를 구비하는 링부(84)를 포함한다.
링부(84)는 핸들(82)의 내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링부(84)가 주동기어(74a)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링부(84)의 내벽로부터 주동기어(74a) 측으로 돌출되도록 걸림돌기(86)가 형성되어 링부(84)의 정회전 동력은 주동기어(74a)에 전달되고, 링부(84)의 역회전 동력은 주동기어(74a)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해제부(90)는, 링부(8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92)과, 회전축(92)으로부터 돌출되고 주동기어(74a)의 기어치에 걸림결합되는 구속돌기(94)와, 회전축(92)을 회전시키도록 본체(10) 외측으로 연장되는 해제레버(96)를 포함한다.
구속돌기(94)는 걸림돌기(86)와 함께 주동기어(74a)의 기어치에 걸림결합되며, 사용자가 해제레버(96)를 당기면 회전축(92)이 회전되면서 구속돌기(94)가 주동기어(74a)의 기어치로부터 분리되어 주동기어(74a)가 공회전 가능한 상태로 변환되고, 주동기어(74a)의 구속이 해제되면 제1전달기어(74b), 제2전달기어(74c) 및 종동기어(74d)도 공회전 가능한 상태로 변환되므로 드럼(72)에 감긴 와이어부재(32)가 드럼(72)으로부터 풀리면서 받침부재(50)가 본체(10)로부터 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스트레칭 운동을 행하던 사용자가 해제레버(96)를 회전시키면 와이어부재(32)가 본체(10)로부터 돌출되면서 받침부재(50)가 본체(10)로부터 먼 방향으로 이동되어 스트레칭 운동을 종료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받침부재(50)는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여 스트레칭 운동을 행할 수 있으며, 이를 응용하여 사용자의 발이 아닌 별도의 구조물에 받침부재(50)를 지지시킨 후에 사용자가 손잡이부(12)를 잡고 상체의 스트레칭 운동을 응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받침부재(50)에 발을 안착시킨 후에 본체(10)의 양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손잡이부(12)를 잡고 손잡이부(12)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핸들(82)을 당기면 링부(84)가 회전되면서 걸림돌기(86)에 의해 주동기어(74a)가 회전하게 되고, 주동기어(74a)의 동력은 제1전달기어(74b), 제2전달기어(74c) 및 종동기어(74d)를 통해 드럼(72)에 전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드럼(72)이 회전되면 드럼(72)의 외주면에 와이어부재(32)가 감기면서 받침부재(50)가 본체(10)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사용자의 발과 손이 서로 인접하게 이동되면서 사용자의 허리 근육 및 등 등 근육이 스트레칭되는 운동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핸들(82)을 당기는 동작을 반복하면 링부(84)의 회전에 의해 주동기어(74a)가 단계적으로 더 회전되는데, 정방향으로 회전된 주동기어(74a)는 구속돌기(94)에 의해 역회전이 방지되므로 사용자가 핸들(82)을 당길 때마다 받침부재(50)는 손잡이부(12) 측으로 단계적으로 가깝게 이동되면서 사용자의 운동 한계를 넘어서는 스트레칭 운동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후에, 사용자가 스트레칭 운동을 종료할 때에 핸들(82)과 함께 해제레버(96)를 당기면 회전축(92)이 회전되면서 구속돌기(94)가 주동기어(74a)의 기어치로부터 분리되므로 걸림돌기(86)에 의해 회전되는 주동기어(74a)는 역방향 회전이 구속되지 않게 되어 공회전 가능한 상태로 변환된다.
이때, 작업자는 손을 발로부터 먼 방향으로 당기면 드럼(72)이 역회전되면서 와이어부재(32)가 본체(10)로부터 돌출되어 손잡이부(12)와 받침부재(50)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장치가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장치의 길이조절부재(130)는 본체(110) 내측 또는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출몰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눈금(134)이 구비되는 출몰바(132)를 포함한다.
출몰바(132)에는 눈금(134)이 표시되므로 사용자가 눈금(134)을 확인하면서 스트레칭 운동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구동부(170)는, 출몰바(132)가 통과되고 출몰바(132)의 진행방향과 일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경사홀부(172)와, 출몰바(132)가 통과되고 출몰바(132)의 진행방향과 타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경사홀부(174)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작부는,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경사홀부(172)와 연결되는 핸들(182)을 포함하고, 해제부는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경사홀부(174)에 연결되는 해제레버(196)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핸들(182)을 밀면 제1경사홀부(172)가 회전되면서 출몰바(132)의 진행방향과 제1경사홀부(172)의 배치방향이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므로 제1경사홀부(172)를 통해 출몰바(132)가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변환되고, 핸들(182)의 회전에 의해 동시에 회전되는 해제레버(196)에 의해 제2경사홀부(174)가 출몰바(132)를 본체(110) 내측으로 당기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핸들(182)을 받침부재(150) 측으로 미는 동작을 행하여 출몰바(132)를 본체(110) 체 내측으로 단계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고, 사용자가 핸들(182)의 조작력을 해제하면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핸들(182)의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제2경사홀부(174)는 출몰바(132)의 진행방향과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출몰바(132)가 본체(110)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을 반복하여 받침부재(150)가 연결된 출몰바(132)의 단부가 본체(110) 측으로 이동되면서 받침부재(150)와 손잡이부(112) 사이의 간격이 단계적으로 좁아지게 되면서 스트레칭 운동을 행할 수 있게 된다.
핸들(182)은 탄성부재에 의해 원취치로 복귀 가능하게 본체(110)에 설치되고, 해제레버(196)는 탄성부재에 의해 핸들(182)과 간격을 유지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핸들(182)의 외측 단부와 해제레버(196)의 외측 단부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고, 사용자가 핸들(182)과 해제레버(196)를 동시에 잡아 핸들(182)과 해제레버(196) 사이의 간격을 좁히면 제1경사홀부(172)와 제2경사홀부(174)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평행한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제1경사홀부(172)와 제2경사홀부(174)는 출몰바(132)의 진행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므로 제1경사홀부(172) 및 제2경사홀부(174)에 의해 구속되던 출몰바(132)의 구속 해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트레칭 운동을 행하다가 핸들(182)과 해제레버(196)를 동시에 잡으면 제1경사홀부(172) 및 제2경사홀부(174)가 평행 상태로 위치되면서 출몰바(132)의 구속이 해제되어 본체(110)로부터 출몰바(132)가 돌출 가능한 상태로 변환되고, 사용자가 손잡이부(112)를 당기면 본체(110)와 받침부재(150)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장치의 길이조절부재는 본체(210)에 내측 또는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출몰축(232)을 포함하고, 구동부는, 손잡이부(212)에 구비되는 기어치(272)와, 기어치(272)와 기어연결되고 본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274)과, 피니언(274)과 기어연결되도록 출몰축(232)에 구비되는 랙기어(276)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작부는 기어치(272)가 구비되고 본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부(212)를 포함하고, 해제부는, 본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292)과, 회전축(292)으로부터 돌출되고 랙기어(276)에 걸림결합되는 구속돌기(294)와, 회전축(292)으로부터 본체(210) 외측으로 연장되는 해제레버(296)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받침부재(250)에 발을 지지시킨 후에 손잡이부(212)를 잡고 회전시키면 기어치 및 피니언(274)이 회전되면서 랙기어(276)를 이동시키므로 출몰축(232)이 본체(210) 일측으로 이동되면서 받침부재(250)를 손잡이부(212) 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구속돌기(294)는 랙기어(276)에 걸림결합되므로 본체(210)의 일측으로 당겨진 출몰축(232)이 본체(210)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작동에 의해 사용자가 손잡이부(212)를 연속하여 회전시키면 출몰축(232)이 본체(210)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받침부재(250)와 손잡이부(212)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스트레칭 운동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스트레칭 운동이 종료하기 위해 사용자가 해제레버(296)를 강기면서 회전축(292)을 중심으로 구속돌기(294)가 회전되면서 랙기어(276)로부터 분리되므로 출몰축(232)이 본체(210)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변환되고, 사용자가 손잡이부(212)를 당기면 손잡이부(212)와 받침부재(25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게 된다.
회전축(292)에는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며, 사용자가 해제레버(296)를 놓으면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축(292)이 역방향으로 복귀되면서 구속돌기(294)가 랙기어(276)와 걸림결합되어 출몰축(232)이 본체(210)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장치의 길이조절부재는 본체(310)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출몰실린더(332)를 포함하고, 구동부는 출몰실린더(332)로부터 출몰되고, 받침부재(350)가 연결되는 로드(334)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작부는 출몰실린더(332)에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에 구동신호를 송신하도록 본체(310)에 구비되는 스위치부재(382)를 포함한다.
스위치부재(382)는 로드(334)의 돌출 또는 삽입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쌍이 본체(310)에 설치되고, 본체(310)의 양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312)와 인접하게 한 쌍의 스위치부재(382)가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받침부재(350)에 발을 지지시킨 후에 손잡이부(312)를 잡고, 어느 하나의 스위치부재(382)를 누르면 출몰실린더(332) 내부로 로드(334)가 삽입되면서 받침부재(350)와 손잡이부(312)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스트레칭 운동을 행하 수 있게 된다.
다른 하나의 스위치부재(382)를 누르면 츨몰실린더로부터 로드(334)가 돌출되면서 받침부재(350)와 손잡이부(312)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므로 스트레칭 운동을 종료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해제부는, 출몰실린더(332)에 다수 개가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는 구속홈부(392)와, 본체(3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속홈부(392)와 걸림결합되며 경사홈부(394a)가 형성되는 구속돌기(394)와, 경사홈부(394a)를 가압하여 구속돌기(394)를 구속홈부(392)로부터 분리시키는 가압경사부(396a)를 구비하며, 본체(310)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해제레버(396)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해제레버(396)를 누르면 가압경사부(396a)에 의해 경사홈부(394a)가 상측으로 밀리게 되므로 구속돌기(394)가 상승되면서 구속홈부(392)로부터 분리되고, 출몰실린더(332)가 본체(31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변환된다.
이때, 사용자는 취향에 맞게 출몰실린더(332)를 이동시킨 후에 해제레버(396)를 놓으면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해제레버(396) 및 구속돌기(394)가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구속돌기(394)가 구속홈부(392)에 삽입되면서 출몰실린더(332)의 이동을 구속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받침부재(350)와 손잡이부(312) 사이의 거리를 취향에 맞게 조절한 상태에서 스위치부재(382)를 조작하면서 스트레칭 운동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운동장치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조작부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손잡이부와 받침부재 사이의 간격을 좁히면서 스트레칭 운동을 행할 수 있고, 해제부의 조작에 의해 손잡이부와 받침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구속력을 해제시킬 수 있는 스트레칭 운동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스트레칭 운동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스트레칭 운동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스트레칭 운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2 : 손잡이부
30 : 길이조절부재 32 : 와이어부재
50 : 받침부재 70 : 구동부
72 : 드럼 74 : 동력전달부
74a : 주동기어 74b : 제1전달기어
74c : 제2전달기어 74d : 종동기어
80 : 조작부 82 : 핸들
84 : 링부 86 : 걸림돌기
90 : 해제부 92 : 회전축
94 : 구속돌기 96 : 해제레버

Claims (17)

  1. 손잡이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연장되는 길이조절부재;
    상기 길이조절부재에 연결되는 받침부재;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길이조절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받침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유발시켜 상기 길이조절부재를 당기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의 작동이 상기 구동부에 전달되기 않도록 분리시켜 상기 길이조절부재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재는 상기 본체 내측 또는 외측으로 출몰되는 와이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부재가 권취되는 드럼; 및
    상기 조작부의 조작력을 상기 드럼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력이 전달되어 회전되는 주동기어;
    상기 주동기어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1전달기어;
    상기 제1전달기어와 기어연결되는 제2전달기어; 및
    상기 드럼의 회전추에 설치되고 상기 제2전달기어에 기어연결되는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본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부에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핸들; 및
    상기 핸들에 구비되고 상기 주동기어를 감싸며, 상기 주동기어의 기어치에 걸리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는,
    상기 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주동기어의 기어치에 걸림결합되는 구속돌기; 및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본체 외측으로 연장되는 해제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재는 상기 본체 내측 또는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출몰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눈금이 구비되는 출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출몰바가 통과되고 상기 출몰바의 진행방향과 일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경사홀부; 및
    상기 출몰바가 통과되고 상기 출몰바의 진행방향과 타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경사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경사홀부와 연결되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경사홀부에 연결되는 해제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재는 상기 본체에 내측 또는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출몰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구비되는 기어치;
    상기 기어치와 기어연결되고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과 기어연결되도록 상기 출몰축에 구비되는 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기어치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랙기어에 걸림결합되는 구속돌기; 및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본체 외측으로 연장되는 해제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재는 상기 본체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출몰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출몰실린더로부터 출몰되고, 상기 받침부재가 연결되는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출몰실린더에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에 구동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스위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는,
    상기 출몰실린더에 다수 개가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는 구속홈부;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속홈부와 걸림결합되며 경사홈부가 형성되는 구속돌기;
    상기 경사홈부를 가압하여 상기 구속돌기를 상기 구속홈부로부터 분리시키는 가압경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해제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장치.
KR1020140058528A 2014-05-15 2014-05-15 스트레칭 운동장치 KR101444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528A KR101444935B1 (ko) 2014-05-15 2014-05-15 스트레칭 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528A KR101444935B1 (ko) 2014-05-15 2014-05-15 스트레칭 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4935B1 true KR101444935B1 (ko) 2014-10-30

Family

ID=51995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8528A KR101444935B1 (ko) 2014-05-15 2014-05-15 스트레칭 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49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112B1 (ko) * 2018-11-14 2019-07-31 박재준 전신 스트레칭 운동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7200A2 (en) 2004-10-21 2006-05-04 Davies Iii David R Stretching bar
US20060189459A1 (en) 2005-02-23 2006-08-24 Chililon Enterprise Co., Ltd. Multi-functional leg stretching apparatus
KR100632992B1 (ko) 2005-09-02 2006-10-12 예광해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
KR20070057110A (ko) * 2007-05-11 2007-06-04 임송규 자동 스트레칭 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7200A2 (en) 2004-10-21 2006-05-04 Davies Iii David R Stretching bar
US20060189459A1 (en) 2005-02-23 2006-08-24 Chililon Enterprise Co., Ltd. Multi-functional leg stretching apparatus
KR100632992B1 (ko) 2005-09-02 2006-10-12 예광해 스트레칭 운동보조기구
KR20070057110A (ko) * 2007-05-11 2007-06-04 임송규 자동 스트레칭 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112B1 (ko) * 2018-11-14 2019-07-31 박재준 전신 스트레칭 운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1015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e for an anatomical stretching device
US10279214B2 (en) Exercise apparatus
JP2019508171A (ja) ユーザによる身体運動の実行を支援する器具
US5529550A (en) Device for forearm, elbow, wrist, hand, finger and thumb exercise
JP2009502262A (ja) 運動装置及び運動方法
US3129940A (en) Isometric contraction exerciser having handles at each end with handgrips shaped to the fingers
TW201801705A (zh) 主從式手部復健器
KR200476101Y1 (ko) 손잡이커버가 장착된 중량조절용 아령
US9371107B2 (en) Stepper
KR20160072301A (ko) 보행궤적을 구현한 상하지 보행운동기기
KR101444935B1 (ko) 스트레칭 운동장치
JPH06198002A (ja) 万能ボディーエクソサイズユニット
US20120329612A1 (en) Adjustable Skipping Rope
EP3574882B1 (en) Hoist with handle
US5611755A (en) Isometric hand exercising system
JP6162957B2 (ja) 運動用器具
JP7475637B2 (ja) 固定ベルト、訓練機及び固定方法
KR101794687B1 (ko) 재활운동기구용 핸들구조체
KR101223194B1 (ko) 운동기구
KR102183481B1 (ko) 핸드 운동기구
KR101538407B1 (ko) 상지 근력 강화 보조 장치
GB2485914A (en) An exercise device handle
KR20190123671A (ko) 근력 운동 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핸들 장치
JP6150160B2 (ja) 筋力トレーニング座椅子
KR101960393B1 (ko)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