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101Y1 - 손잡이커버가 장착된 중량조절용 아령 - Google Patents

손잡이커버가 장착된 중량조절용 아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101Y1
KR200476101Y1 KR2020140005765U KR20140005765U KR200476101Y1 KR 200476101 Y1 KR200476101 Y1 KR 200476101Y1 KR 2020140005765 U KR2020140005765 U KR 2020140005765U KR 20140005765 U KR20140005765 U KR 20140005765U KR 200476101 Y1 KR200476101 Y1 KR 2004761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weight
dumbbell
cover
hand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7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차영
Original Assignee
이차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차영 filed Critical 이차영
Priority to KR20201400057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1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1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101Y1/ko
Priority to PCT/KR2015/003023 priority patent/WO201601789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드러운 촉감과 쿠션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를 통해 그립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손바닥과 관절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미끄럼을 방지하고 겨울철 장갑을 끼지 않고 맨손으로 잡아도 차갑지 않도록 한 손잡이커버가 장착된 중량조절용 아령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양측 볼트부(11a)와 걸림턱(11b)을 구비하는 손잡이(11); 상기 손잡이(11)의 양측 볼트부(11a)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는 복수의 중량체(12); 상기 손잡이(11)의 양측 볼트부(11a)에 체결되는 고정너트(13)를 포함하는 아령(10)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1)에 끼워지는 삽입공(21)이 구비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손잡이(11)의 외면을 감싸는 연질의 손잡이커버(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손잡이커버가 장착된 중량조절용 아령{The cover is mounted on the handle for adjustment dumbbell weight}
본 고안은 팔을 상하로 움직여 팔운동을 하는 중량조절이 가능한 중량조절용 아령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손잡이의 구조를 개선하여 부드러운 촉감과 쿠션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를 통해 그립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손바닥과 관절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미끄럼을 방지하고 겨울철 장갑을 끼지 않고 맨손으로 잡아도 차갑지 않도록 한 손잡이커버가 장착된 중량조절용 아령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령은 봉 형태의 손잡이의 양단으로 중량체가 일체로 결합된 형태의 팔 운동기구를 지칭한다.
팔 운동을 할 때 사용자는 자신의 근력에 맞는 적절한 중량의 아령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운동 초기에는 가벼운 중량의 아령을 사용하다가 운동을 지속함에 따라 근력이 증가하면 점차로 높은 중량의 아령을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아령은 손잡이와 양단의 중량체가 일체로 결합된 형태로 제작되므로, 운동 중량을 높이고자 하는 경우 해당되는 중량의 아령을 새로이 구입해야 한다. 이로 인해 비용 부담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근력의 증가에 따라 필요에 따라 중량을 조절할 수 있는 중량조절용 아령이 공지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중량조절용 아령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중량조절용 아령(1)은 양단에 볼트부(2a)가 형성되고, 볼트부(2a)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거리로 이격된 부분에 걸림턱(2b)이 형성된 손잡이(2)와, 손잡이(2)의 양단 볼트부(2a)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중량체(3)와, 볼트부(2a)에 결합되는 고정너트(4)를 포함한다. 따라서, 중량조절용 아령(1)은 손잡이(2)의 양단 볼트부(2a)에 삽입되는 중량체(3)의 개수에 따라 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중량조절용 아령의 상세한 내용은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등록특허 제10-1294727호와 등록특허 제10-1318546호에 종래 기술로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손잡이(2)는 딱딱한 PVC 또는 금속으로 제작되고 또한 손잡이(2)가 일자형태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손잡이(2)를 잡고 운동할 때 손에 닿는 촉감이 딱딱하여 그립감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고, 또한 이로 인해 장시간 오래 운동할 경우 손바닥이 아프고 손잡이에 물집이 생기는 문제점과, 손바닥과 관절에 무리가 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손잡이(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재질특성상 딱딱하여 그립감이 좋지 않으므로 손에 땀이 날 경우 쉽게 미끄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PVC 또는 금속 재질특성상 차갑고 딱딱하기 때문에 겨울철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도 장갑을 끼고 운동을 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등록특허 제10-1294727호(2013.08.02) 특허문헌 2 : 등록특허 제10-1318546호(2013.10.08)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팔을 상하로 움직여 팔운동을 하는 중량조절이 가능한 중량조절용 아령 손잡이의 구조를 개선하여 부드러운 촉감과 쿠션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손잡이커버가 장착된 중량조절용 아령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그립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손바닥과 관절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손잡이커버가 장착된 중량조절용 아령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미끄럼을 방지하고 겨울철 장갑을 끼지 않고 맨손으로 잡아도 차갑지 않도록 한 손잡이커버가 장착된 중량조절용 아령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양측 볼트부와 걸림턱을 구비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양측 볼트부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는 복수의 중량체; 상기 손잡이의 양측 볼트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아령에 있어서, 상기 아령의 손잡이에 탄성을 가지는 연질의 손잡이커버를 장착하여 그립감을 향상시키고 손바닥과 관절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손잡이커버는 탄성을 가지는 연질 합성수지나 고무 또는 연질 합성수지와 고무가 혼합된 탄성체로 이루어져 재질특성상 미끄럼을 방지하고 맨손으로 잡아도 차갑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손잡이커버는 양단에서 중앙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만곡형으로 형성하여 그립감을 향상시킨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손잡이의 표면에는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고 손잡이커버를 씌워 손잡이커버가 운동중 미끄럽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손잡이커버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부를 형성하여 손잡이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손잡이커버의 양단에는 변형방지용 보강링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손잡이커버는 다수로 분리된 링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양측 볼트부에는 걸림턱과 중량체 사이에 탄성을 부여하는 고무링을 설치한 것이다.
본 고안의 손잡이커버가 장착된 중량조절용 아령에 따르면, 손잡이의 외면에 부드러운 촉감과 쿠션을 가지는 연질의 손잡이커버가 장착되기 때문에, 운동할 때 그립감을 극대화할 수 있고, 장시간 오래 운동해도 손바닥이 아프지 않으며, 장시간 오래 운동해도 손바닥에 물집이 생기지 않고 관절에 무리가 오지 않으므로 손바닥과 관절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손잡이커버가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재질특성상 미끄럼을 방지하고 겨울철 장갑을 끼지 않고 맨손으로 잡아도 차갑지 않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중량조절용 아령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손잡이커버가 장착된 중량조절용 아령은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양측 볼트부(11a)와 걸림턱(11b)을 구비하는 손잡이(11); 상기 손잡이(11)의 양측 볼트부(11a)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는 복수의 중량체(12); 상기 손잡이(11)의 양측 볼트부(11a)에 체결되는 고정너트(13)를 포함하는 아령(10)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1)에 끼워지는 삽입공(21)이 구비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손잡이(11)의 외면을 감싸는 연질의 손잡이커버(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아령(10)은 주지된 바와 같이 손잡이(11)의 양측 볼트부(11a)에 삽입되는 중량체(12)의 개수에 따라 중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이러한 중량조절용 아령(10)은 손잡이(11), 중량체(12), 고정너트(13) 및 손잡이커버(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11)는 주지된 바와 같이 딱딱한 PVC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손잡이(11)의 양측에는 볼트부(11a)와 걸림턱(11b)이 각각 형성되고, 손잡이(11)의 외주연에는 부드러운 촉감과 쿠션을 부여하는 연질의 손잡이커버(20)가 끼워진다. 이때, 상기 손잡이(11)의 외주연에 손잡이커버(20)가 끼워지므로 사용자는 손잡이커버(20)를 잡고 운동하게 된다.
상기 중량체(12)는 손잡이(11)의 양측 볼트부(11a)에 분리가능하게 각각 끼워지는 것으로, 이러한 중량체(12)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자신의 근력에 적절하도록 아령(100의 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고정너트(13)는 손잡이(11)의 양측 볼트부(11a)에 나사결합으로 체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너트(13)는 볼트부(11a)에 끼워진 중량체(12)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볼트부(11a)에 원하는 개수의 중량체(12)를 끼우고, 상기 볼트부(11a)에 고정너트(13)를 체결하여 중량체(12)가 걸림턱(11b)에 밀착되도록 조이면 아령(10)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 손잡이커버(20)는 아령(10)의 손잡이(11)에 끼워져 손잡이(11)의 외면을 감싸는 것으로, 이러한 손잡이커버(20)는 부드러운 촉감과 쿠션을 가지는 연질의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손잡이커버(20)에는 손잡이(11)에 끼울 수 있도록 삽입공(21)이 구비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르면 아령(10)의 손잡이(11)에 부드러운 촉감과 쿠션을 가지는 손잡이커버(20)가 장착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장갑을 끼지 않고 맨손으로 손잡이커버(20)를 잡고 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커버가 장착된 중량조절용 아령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커버(20)는 탄성을 가지는 연질 합성수지나 고무 또는 연질 합성수지와 고무가 혼합된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커버(20)는 연질 합성수지나 고무 또는 연질 합성수지와 고무가 혼합된 탄성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재질특성상 아기 피부를 만지듯 그립감이 좋고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겨울에 사용해도 차갑지 않아 맨손으로 편리하게 잡고 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커버(20)는 양단에서 중앙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만곡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커버(20)는 중앙 부분이 초승달처럼 볼록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손잡이커버(20)의 그립감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손잡이(11)의 표면에는 다수의 돌기(11c)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11)의 표면에 다수의 오돌토돌한 돌기(11c)를 형성한 후 손잡이커버(20)를 씌우면 손잡이커버(20)가 운동중 미끄럽거나 움직이지 않고, 또한 손잡이커버(20)에 엠보싱처리가 된 것과 같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손잡이커버(20)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부(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절개부(22)는 손잡이커버(20)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절개부(22)는 손잡이커버(20)를 손잡이(110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절개부(22)를 양측으로 벌려서 손잡이(11)에 간단하게 끼울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손잡이커버(20)의 양단에는 보강링(23)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강링(23)은 손잡이커버(20)의 변형을 방지함과 동시에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커버(20)는 다수로 분리된 링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커버(20)를 다수의 링형태로 형성하면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양측 볼트부(11a)에는 걸림턱(11b)과 중량체(12) 사이에 탄성을 부여하는 오버토크방지용 고무링(3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무링(30)은 일정 압력 이상 조임시 걸림턱(11b)과 중량체(12) 사이에 탄성을 부여하여 고정너트(13)의 오버토크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러한 고무링(30)에 의해 체결시 부품이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손잡이(11)의 외면에 부드러운 촉감과 쿠션을 가지는 연질의 손잡이커버(20)가 장착되기 때문에, 운동할 때 그립감을 극대화할 수 있고, 장시간 오래 운동해도 손바닥이 아프지 않으며, 장시간 오래 운동해도 손바닥에 물집이 생기지 않고 관절에 무리가 오지 않으므로 손바닥과 관절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고안은 손잡이커버(20)가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재질특성상 미끄럼을 방지하고 겨울철 장갑을 끼지 않고 맨손으로 잡아도 차갑지 않은 장점이 있다.
10 : 아령 11 : 손잡이
11a : 볼트부 11b : 걸림턱
11c : 돌기 12 : 중량체
13 : 고정너트 20 : 손잡이커버
21 : 삽입공 22 : 절개부
23 : 보강링 30 : 고무링

Claims (8)

  1. 양측 볼트부(11a)와 걸림턱(11b)을 구비하는 손잡이(11); 상기 손잡이(11)의 양측 볼트부(11a)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는 복수의 중량체(12); 상기 손잡이(11)의 양측 볼트부(11a)에 체결되는 고정너트(13); 상기 손잡이(11)에 끼워지는 삽입공(21)이 구비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손잡이(11)의 외면을 감싸는 연질의 손잡이커버(20)를 포함하는 아령(10)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커버(20)의 양단에는 보강링(23)이 돌출되고,
    상기 양측 볼트부(11a)에는 걸림턱(11b)과 중량체(12) 사이에 탄성을 부여하는 고무링(3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커버가 장착된 중량조절용 아령.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1)의 표면에는 다수의 돌기(11c)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장착된 중량조절용 아령.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커버(20)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부(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커버가 장착된 중량조절용 아령.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2020140005765U 2014-07-31 2014-07-31 손잡이커버가 장착된 중량조절용 아령 KR2004761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765U KR200476101Y1 (ko) 2014-07-31 2014-07-31 손잡이커버가 장착된 중량조절용 아령
PCT/KR2015/003023 WO2016017895A1 (ko) 2014-07-31 2015-03-27 손잡이커버가 장착된 중량조절용 아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765U KR200476101Y1 (ko) 2014-07-31 2014-07-31 손잡이커버가 장착된 중량조절용 아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101Y1 true KR200476101Y1 (ko) 2015-01-29

Family

ID=52593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765U KR200476101Y1 (ko) 2014-07-31 2014-07-31 손잡이커버가 장착된 중량조절용 아령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76101Y1 (ko)
WO (1) WO201601789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494B1 (ko) 2019-05-31 2020-09-10 오채영 회전운동이 용이한 움켜쥘 수 있는 아령
CN113813549A (zh) * 2021-09-29 2021-12-21 南通骐骏机械有限公司 一种环保软性哑铃
KR20220090724A (ko) 2020-12-23 2022-06-30 휴핏코리아 주식회사 착탈식 분리형 구조 덤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30211A (zh) * 2020-04-28 2020-06-26 南通宝鹏健身器材科技有限公司 一种健身器材用包胶体
CN112355585A (zh) * 2020-11-03 2021-02-12 高邮市康胜机械有限公司 一种钢片配重式哑铃及其生产工艺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646Y1 (ko) 2000-02-22 2000-07-15 장영환 덤벨의 축봉
KR100411855B1 (ko) 2001-03-28 2003-12-24 최정삼 아령의 제조방법
KR200362624Y1 (ko) 2004-03-26 2004-09-22 유태우 아령
KR200379525Y1 (ko) 2004-12-28 2005-03-21 이광수 역기의 축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646Y1 (ko) 2000-02-22 2000-07-15 장영환 덤벨의 축봉
KR100411855B1 (ko) 2001-03-28 2003-12-24 최정삼 아령의 제조방법
KR200362624Y1 (ko) 2004-03-26 2004-09-22 유태우 아령
KR200379525Y1 (ko) 2004-12-28 2005-03-21 이광수 역기의 축봉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494B1 (ko) 2019-05-31 2020-09-10 오채영 회전운동이 용이한 움켜쥘 수 있는 아령
KR20220090724A (ko) 2020-12-23 2022-06-30 휴핏코리아 주식회사 착탈식 분리형 구조 덤벨
CN113813549A (zh) * 2021-09-29 2021-12-21 南通骐骏机械有限公司 一种环保软性哑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17895A1 (ko) 2016-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6101Y1 (ko) 손잡이커버가 장착된 중량조절용 아령
KR102602761B1 (ko) 신체 마사지 장치
US5867868A (en) Detachable grip for elongated members
US5558609A (en) Gluteal and thigh muscle exercise system
US20180133096A1 (en) Curved Flexible Massage Roller
US3863271A (en) Athlete{3 s glove and pad
US20090275448A1 (en) Gripping apparatus for an exercise bar
US6071218A (en) Flexible exercise device for continuously increased tension
US20150059043A1 (en) Disposable Fingerless Exercise Glove
US8157712B1 (en) Resistance exercise and physical therapy apparatus
US8235872B2 (en) Weightlifting grip
US20170028245A1 (en) Resistance band having hand adapters and handles
WO2014022263A1 (en) Push up apparatus and methods
US10212976B2 (en) Gripping aid
US20170001058A1 (en) Handheld weighted exercising apparatus
US20160001120A1 (en) Resistance band having hand adapters and handles
JP2014114534A (ja) 体力強化用グローブ
US10010123B2 (en) Hand grip sport strap
US20160074740A1 (en) Exercise glove
US20220062740A1 (en) Flexible grips
US20160066634A1 (en) Shear Management Gloves
US9463355B2 (en) Therapeutic gloves and their components
KR101640157B1 (ko) 스트레칭 기구
US5611755A (en) Isometric hand exercising system
US20140228178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strengthening the thenar mus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