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6826B1 - 재밀봉 가능한 개방 장치 및 그와 같은 개방 장치를 포함하는 포장체 - Google Patents

재밀봉 가능한 개방 장치 및 그와 같은 개방 장치를 포함하는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826B1
KR101726826B1 KR1020137014913A KR20137014913A KR101726826B1 KR 101726826 B1 KR101726826 B1 KR 101726826B1 KR 1020137014913 A KR1020137014913 A KR 1020137014913A KR 20137014913 A KR20137014913 A KR 20137014913A KR 101726826 B1 KR101726826 B1 KR 101726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ackage
folding
opening device
folding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4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1582A (ko
Inventor
벤그트 젠슨
피터 마베
Original Assignee
에코린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린 에이비 filed Critical 에코린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30141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1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70/6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1658Elements for flattening or folding the mouth portion
    • B65D33/1675Hinged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1683A pair of interconnecting rigid strips made of plastic material, e.g. one or both being provided with a handle or suspen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1691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using adhesive applied to attached closur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4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or accessories
    • B65D75/56Handles or other suspen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4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or accessories
    • B65D75/56Handles or other suspension means
    • B65D75/563Integral handles or suspen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1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1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 B65D75/5822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and defining, after tearing, a small dispensing spout, a small orific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12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collapsing and flattening the mouth portion of the container and securing without folding,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heat-sealing, welding or applying separate secur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70/64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heat o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74Auxiliary operations
    • B31B70/81Forming or attaching accessories, e.g. opening devices, closures or tear strings
    • B31B70/813Apply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52Details
    • B65D25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2575/58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with means for reclosing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측벽(17)들에 의해 획정되고 폭(W)을 갖는 개방부(16)를 구비하는 가요성 포장체(15; 15'; 15''; 15''')용 개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개방 장치는 개방과 밀폐를 위하여, 포장체(15; 15'; 15''; 15''')의 초기 개방 시에 형성된 개구(20)에 인접한 포장체(15; 15'; 15''; 15''')의 개방부(16)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개방 장치는, 접촉 표면(8)과 그 이면에 제1 부착 표면(9)을 구비하는 박벽의 제1 몸체(4) 및 잠금 부재(5)를 포함하며, 제1 부착 표면은 개방부(16) 내에서 상기 2개의 측벽(17)들 중 제1 측벽(17a)에 상기 제1 몸체(4)의 부착을 가능하게 한다. 제1 몸체(4)는 제1 접힘 축(2) 주위로 접힘으로써 기본 위치와 밀봉 위치와 사이에서 조작될 수 있고, 밀봉 위치에서 상기 접촉 표면(8)은 서로 직접 대향하는 서브 구획부(10a, 10b)들을 구비한다. 상기 서브 구획부(10a, 10b)들은 실질적으로 개방부의 전체 폭(W)을 따라 연장되도록 설계된 경계부를 따라서 서로 인접하고, 상기 잠금 부재(5)는 상기 밀봉 위치에서 몸체(4)의 착탈식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잠금 부재(5)는 접촉 표면(8)의 서브 구획부(10a, 10b)들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착탈식 잠금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서브 구획부(10a, 10b)들 사이에 작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Description

재밀봉 가능한 개방 장치 및 그와 같은 개방 장치를 포함하는 포장체{RESEALABLE OPENING DEVICE AND PACKAGE COMPRISING SUCH AN OPENING DEVICE}
본 발명은 가요성 포장체(flexible package)를 위한 재밀봉 가능한 개방 장치 및 그와 같은 개방 장치를 포함하는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필름 재료로 제조된 가요성 포장체 내에 포장되는 매우 다양한 제품들이 있다.
포장체는 칩(crisp), 땅콩 또는 커피 열매와 같은 입상 제품(particulate goods)을 수용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소위 베개(pillow) 형태를 갖는다.
또는, 포장체는 우유, 물 또는 포도주와 같은 액상 제품을 수용할 수도 있고, 이때에는 일반적으로 절첩형(collapsible-type) 포장체라고도 지칭되는 소위 직립형 파우치(stand-up pouch) 형태이다. 물론, 직립형 파우치 형태의 포장체는 입상 제품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가요성 유형의 포장체 또는 용기는 일반적으로 단부 탭(end tab) 또는 구석 부분의 제거에 의하여 개방된다. 대안적으로는, 사용자가 포장체의 상측 횡단 밀봉부(upper transverse seal)를 파손시키기 위하여 포장체의 측벽을 당겨서 분리함으로써, 포장체가 개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가요성 포장체들에 있어서는 공통적으로, 일단 개방되면 다시 밀봉될 수 있을 필요성이 흔히 있다. 포장체를 재밀봉함으로써, 포장체의 내용물을 우연히 흘릴 위험성이 감소하고, 재밀봉은 흔히 내용물의 보존 수명(shelf life)에 바람직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재밀봉은 클립, 나사 마개(screw cap), 고무줄, 테이프 등의 이용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그러나, 저렴하고, 신뢰적이고, 사용자-친화적이고, 더욱이 포장체의 충전과 관련하여 포장체에 적용하기가 비교적 용이한 개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은 곤란한 것으로 밝혀졌다. 가요성 포장체의 개방 장치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공보 제US 3 815 810호, 제US 6 296 388호 및 국제 공개 특허 공보 제WO 2004/092022호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미국 특허 공보 제US 3 815 810호에는, 포장체의 측벽에 적용되는 박육 벽체 형태의 개방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포장체의 재밀봉을 위하여, 개구를 포함하는 단부 구역이 접히고, 단부 구역은 상기 단부 구역 상방으로 접힌 벽체의 탭에 의하여 접힌 상태로 고정된다.
미국 특허 공보 제US 6 296 388호에는, 포장체의 개구의 내측에 적용되도록 의도된 접힘형 박육 벽체가 기재되어 있다.
국제 공개 공보 제WO 2004/092022호에는, 포장체 내에 개구 근방의 위치에 압인 가공된 집록(zip-lock) 형태의 개방 장치의 여러 유형이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가요성 포장체의 재밀봉이 가능한 개선된 개방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가요성 포장체의 재밀봉이 가능한 개선된 개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유형의 재밀봉 가능한 개방 장치를 포함하는 가요성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제1항에 규정된 특징적 구성을 구비하는 재밀봉 가능한 개방 장치 및 청구항 제21항에 규정된 특징적 구성을 구비하는 포장체가 제공된다. 실시 형태들은 각각의 주 청구항에 종속하는 종속 청구항들에 나타나 있다.
더욱 정확하게는, 본 발명에 따르면, 2개의 측벽들에 의해 획정되고 소정 폭을 구비하는 개방부(opening portion)를 구비하는 가요성 포장체를 위한 개방 장치가 제공되며, 이 개방 장치는 포장체의 개방 및 밀폐를 위하여 포장체의 초기 개방 중에 형성되는 개구(opening)에 인접한 포장체의 개방부에 배치되도록 의도되고, 박벽의 제1 몸체(thin-walled first body) 및 잠금 부재(locking member)를 포함하며, 제1 몸체는, 접촉 표면(contact surface)과, 상기 2개의 측벽들 중 제1 측벽에 개방부 내의 상기 제1 몸체의 부착이 가능하도록 접촉 표면의 반대쪽에 제1 부착 표면(application surface)을 구비한다. 제1 몸체는 제1 접힘 축(folding axis) 주위로 접힘으로써 기본 위치(basic position)와 밀봉 위치(sealing position) 사이에서 조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 표면은 밀봉 위치에서 서로 직접 대향하는 서브 구획부(sub portion)들을 구비한다. 상기 서브 구획부들은 실질적으로 개방부의 전체 폭을 따라 연장되도록 설계된 경계부를 따라서 서로 인접하며,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밀봉 위치에서 몸체의 착탈식 잠금(releasable locking)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된다. 잠금 부재는 접촉 표면의 서브 구획부들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착탈식 잠금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서브 구획부들 사이에 작용하도록 설계된다.
이에 따라, 가요성 포장체를 위한 개선된 재밀봉 가능한 개방 장치가 제공된다. 개방 장치는 접힘 가능한 제1 몸체와 접힘 위치인 밀봉 위치에서 제1 몸체의 잠금을 가능하게 하는 잠금 부재를 포함하며, 따라서 제조하기 용이하고 저가이다. 개방 장치의 몸체는 박벽형이고 제1 접힘 축 주위로 접힐 수도 있으므로, 몸체는 실질적으로 평탄하게 제조될 수 있고 따라서 포장체의 개방부에 부착하기가 비교적 용이하다. 본 발명의 개방 장치는 가요성 포장체의 신뢰적인 재밀봉을 가능하게 한다. 개방 장치는, 개방부를 획정하는 2개의 측벽들 중 하나에 몸체의 부착 표면이 대면함으로써, 가요성 포장체의 개방부에 배치된다. 개방 장치는 접착제의 이용 또는 열처리 등에 의하여 포장체에 부착될 수 있다. 기본 위치로부터 밀봉 위치로 개방 장치의 제1 몸체를 조작(manoeuvring)함으로써, 즉 제1 접힘 축 주위로 제1 몸체를 접음으로써, 상기 제1 접힘 축의 상방으로 개방부의 단부 구역을 접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포장체가 재밀봉된다. 개방부의 폭과 관련하여 제1 몸체의 길이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높은 수준의 신뢰도로 재밀봉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질적으로 개방부의 전체 폭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설계된 상기 경계부를 따라서 서브 구획부들이 서로 인접하는 것이 보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몸체의 길이가 개방부의 폭을 다소 초과하고, 이에 따라 실질적으로 액밀성 밀봉(liquid-tight sealing)이 달성될 수 있다는 점이 보장된다.
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접힘 축과 일치하는 범위를 갖는 제1 힌지 조인트(hinge joint)가 상기 제1 몸체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본 위치로부터 밀봉 위치로의 제1 몸체의 조작 중에 제1 접힘 축 주위로의 접힘이 일정하게 한정된다. 이때에 제1 힌지 조인트는 v-형상 또는 w-형상의 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제1 힌지 조인트에 w-형상의 단면의 사용은, 액상 내용물을 수용하는 포장체가 재밀봉된 후에 상하 반전되어도 누설되지 않을 정도의 확실한 밀봉을 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잠금 부재는 제1 몸체의 밀봉 위치에서 접촉 표면의 서브 구획부들을 서로 분리하는 이격체 요소(space element)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밀봉 상태에서 포장체의 개방에 해당하는 조작인, 밀봉 위치로부터 기본 위치로의 개방 장치의 제1 몸체의 조작은 용이해진다. 다시 말하자면, 이격체 요소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서브 구획부들 사이에 삽입될 수 있게 하여, 서브 구획부들이 비틀려 분리되고 이에 따라 잠금 부재가 해제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제1 접힘 축에 횡방향으로 연장된 제2 접힘 축 주위로 접힘으로써 상기 기본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조작될 수 있다. 제1 몸체를 개방 위치로 조작함으로써, 포장체의 내용물의 분배를 용이하게 하는 개방 상태(open-up state)로 포장체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에 상기 제1 몸체 내에는 상기 제2 접힘 축과 일치하는 범위를 갖는 제2 힌지 조인트가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본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제1 몸체의 조작 중에 제2 접힘 축 주위로의 접힘은 일정하게 한정된다. 부착 표면은 제1 몸체의 개방 위치에서 서로에 대하여 경사진 2개의 서브 구획부들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개방 장치는 종방향 축을 따라 연장된 제2 몸체를 포함하며, 제2 몸체는 상기 2개의 측벽들 중 제2 측벽에 개방부 내의 제2 몸체의 부착을 가능하게 하는 제2 부착 표면을 구비하고, 제3 접힘 축 주위로 접힘으로써 전개 위치(unfolded position)와 접힘 위치 사이에서 조작될 수 있으며, 개방 위치로의 제1 몸체의 조작과 관련하여 제2 몸체는 상기 접힘 위치로 조작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포장체의 개방 상태로의 개방과 관련하여 개방 장치의 제1 및 제2 몸체는 모두 접히게 되고, 제품이 유체인 경우에, 표면 장력의 영향으로 개방부 내에 제품 잔량이 잔류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도록 충분히 큰 하측 개방 각도(lower opening angle)를 가지는 저부 구석부(bottom corner)를 구비하는 명확한 개구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주출 과정(pouring process)에 의하여 내용물이 완전히 배출된다. 표면 장력 효과는 제품에 따라 변할 수 있고, 따라서 하측 개방 각도는 제품의 특정 유형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포장체 상의 제2 몸체의 적절한 배치 및 제2 몸체의 적절한 구성에 의하여, 포장체의 재밀봉을 위하여 제1 몸체가 기본 위치로부터 밀봉 위치로 조작되었을 때에, 제2 몸체가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몸체는 제1 폭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몸체는 제2 폭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폭은 제1 폭의 절반 미만이다. 이에 따라, 제1 몸체에 의하여 포장체가 자유로이 재밀봉될 수 있도록, 제2 몸체를 포장체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몸체는 제1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몸체는 제2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제2 길이는 제1 길이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다. 이에 따라, 개방 상태로 포장체의 배치를 위하여, 제1 및 제2 몸체가 포장체의 개방 위치 및 제2 위치 각각으로 자유로이 조작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3 접힘 축과 일치하는 범위를 갖는 제3 힌지 조인트가 상기 제2 몸체 내에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몸체가 전개 위치로부터 접힘 위치로 조작되었을 때에, 제3 접힘 축 주위로 접힘이 일정하게 한정되는 것이 보장된다.
전술한 힌지 조인트들 중 하나, 일부 또는 모두는 v-형상 또는 w-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잠금 부재는 점형 잠금(point locking)을 위하여 설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잠금 부재는 선형 잠금(linear locking)을 위하여 설계될 수도 있다.
개방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잠금 부재는 기계적 잠금을 위하여 설계될 수 있다. 잠금 부재는 스냅 작용(snap action)에 의한 기계적 잠금을 위하여 설계될 수 있다. 기계적 잠금의 대안으로서, 상기 잠금 부재는 접착제의 사용에 의한 잠금을 위하여 설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개방 장치의 몸체는 0.1mm 내지 1mm 범위의 두께를 갖는 PET와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부착 표면에는 열간 용융 접착제(hot melt adhesive)를 포함하는 접착제 층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온에서는 비-점착성이고 그에 따라 취급이 용이한 개방 장치가 제공된다. 개방 장치의 접착제 층은 포장체로의 부착을 가능하게 하도록 열에 노출됨으로써 활성화될 수 있다. 접착제 층은 바람직하게는 부착 표면을 덮는다. 전체 부착 표면을 덮는 접착제 층에 의하여, 밀봉 위치로의 제1 몸체의 조작 시에, 포장체의 단부 구역이 적절히 접히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접착제 층은 굴곡형 표면(undulated surface)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에 노출과 관련하여 열을 보존하는 접착제 층의 용량은 증가할 수 있으며, 이는 포장체로의 개방 장치의 부착과 관련하여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2개의 측벽들에 의해 획정된 개방부를 구비하고, 포장체의 개방과 밀폐를 위하여, 포장체의 초기 개방 시에 형성된 개구에 인접한 개방부에 배치된 개방 장치를 포함하는 가요성 포장체가 또한 제공되며, 상기 개방 장치는 접촉 표면과 그 반대쪽의 제1 부착 표면을 구비하는 박벽의 제1 몸체 및 잠금 부재를 포함하고, 제1 부착 표면에 의하여 제1 몸체는 포장체의 상기 측벽들 중 제1 측벽의 외측 표면에 고정된다. 제1 몸체는 기본 위치와 밀봉 위치 사이에서 제1 접힘 축 주위로 접힘으로써 조작될 수 있으며, 밀봉 위치에서 상기 접촉 표면은 서로 직접 대향하는 서브 구획부들을 구비하고, 잠금 부재는 접촉 표면의 상기 서브 구획부들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밀봉 위치에서 몸체의 착탈식 잠금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서브 구획부들 사이에서 작용하도록 설계된다. 제1 몸체의 제1 접힘 축은 상기 개구에 평행하게 배향되며, 포장체는, 상기 밀봉 위치로의 제1 몸체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개구를 포함하는 개방부의 단부 구역이 상기 제1 접힘 축 주위로 접히는 재밀봉 상태로 조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장체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개방 장치의 제1 몸체는 상기 제1 접힘 축에 횡방향으로 연장된 제2 접힘 축 주위로 접힘으로써 상기 기본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조작될 수 있으며, 포장체는, 상기 개방 위치로의 제1 몸체의 조작에 의하여, 개방부 내의 측벽이 분리되는 개방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개방 장치는 횡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고 제2 부착 표면을 구비하는 제2 몸체를 또한 포함할 수 있고, 제2 부착 표면에 의하여 상기 2개의 측벽들 중 제2 측벽의 외측 표면에 제2 몸체가 고정되며, 상기 제2 몸체는 제3 접힘 축 주위로 접힘으로써 전개 위치와 접힘 위치 사이에서 조작될 수 있고, 포장체는 제1 몸체의 개방 위치로의 조작과 관련하여 제2 몸체의 접힘 위치로의 조작에 의하여 개방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몸체의 상기 서브 구획부들 중 하나의 윤곽에 의해 획정된 영역 내에 제2 몸체가 위치하도록, 제1 몸체와 제2 몸체는 개방부에 포장체의 제1 측벽과 제2 측벽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장체를 재밀봉하기 위하여, 제1 몸체가 제2 몸체의 영향을 받지 않고 밀봉 위치로 조작될 수 있는 것이 보장된다.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몸체의 제2 접힘 축은 제2 몸체의 제3 접힘 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변위될 수 있다. 서로 평행하게 변위된 제2 및 제3 접힘 축을 각각 구비하는 제1 및 제2 몸체가 적용된다는 사실에 의하여, 이에 따라 몸체들이 다른 방향으로 접히도록 접힘이 제어되므로, 포장체의 개방 상태로의 개방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개방 장치와 관련하여 전술한 장점들은 관련이 있는 부분에 있어서 본 발명의 가요성 포장체에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청구항들 내의 용어들은, 달리 명시적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다면,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의미에 따라 일반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요소, 장치, 구성품, 부재, 단계에 대한 언급은, 달리 명시적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요소, 장치, 구성품, 부재, 단계 등의 존재를 최소한으로 언급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여기에 기재된 방법의 단계들은, 달리 명시적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다면, 기재된 순서 그대로 정확히 실시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목적과 다른 목적들,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 및 장점들은 첨부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상세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히 이해될 것이며, 첨부 도면에 있어서 동일 유형의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 도면 부호가 사용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 장치의 한 실시 형태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개방 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a와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개방 장치의 제1 몸체의 접촉 표면과 부착 표면의 서브 구획부들을 각각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a는 도 1a에 도시된 개방 장치의 기본 위치에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b는 도 1a에 도시된 개방 장치의 밀봉 위치에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c는 도 1a에 도시된 개방 장치의 개방 위치에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a는 본 발명의 가요성 포장체의 제1 실시 형태의 미개방 상태에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포장체의 초기 개방 상태에서의 사시도를 나타내다.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포장체의 개방 상태에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d는 도 4a에 도시된 포장체가 재밀봉되려는 상태에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e는 도 4a에 도시된 포장체의 재밀봉 상태에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a는 도 4b의 선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b는 도 4d의 선 b-b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c는 도 4e의 선 c-c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a 및 도 6b는 미개방 및 재밀봉 각각의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가요성 포장체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7a 및 도 7b는 미개방 및 재밀봉 각각의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가요성 포장체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미개방, 개방 및 재밀봉 각각의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가요성 포장체의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개방 장치의 제조를 위한 개략적 생산 라인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개방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의 평면도를 나타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개방 장치에 있어서 제1 몸체가 개방 위치에 도시되어 있고 제2 몸체가 접힘 위치에 도시되어 있는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도 10에 도시된 개방 장치가 개방부에 부착되어 있는 가요성 포장체의 부분 평면도를 나타내다.
도 13a 및 도 13b는 도 12a 내지 도 12c에 도시된 포장체의 개방 상태에서의 부분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4는 도 12a 내지 도 12c에 도시된 포장체의 재밀봉 상태에서의 부분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가요성 포장체용 개방 장치 및 그와 같은 개방 장치를 포함하는 가요성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진 포장체 또는 용기는 재료가 유연하다는 점에서 가요성 포장체라고 표현된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가요성 포장체는 단층 또는 복층 필름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름 재료는 PE, PP, PET, EVOH와 같은 플라스틱 및/또는 알루미늄 포일의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PE 또는 PP와 같은 플라스틱 층은 무기물(mineral material)과 같은 충전재(filler)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a와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개방 장치(1)의 실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개방 장치(1)는, 제1 접힘 축(2)을 따라 연장된 제1 몸체(4)와, 몸체(4) 상에 배치된 잠금 부재(5)를 포함한다.
제1 몸체(4)는 PET 플라스틱과 같이 강성이면서도 유연한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두께가 0.1㎜ 내지 1㎜의 범위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와 같이, 제1 몸체(4)는 평행한 장측부(long side)들 및 대칭적으로 경사진 단측부(short side)들을 구비하는 긴 형상(elongated shape)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몸체(4)의 구석부는 본 발명의 개방 장치(1)의 취급 중에 사용자가 긁힘 상처를 입는 것을 방지하도록 둥근 형태이다.
제1 몸체는 다양한 다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따라서 제1 몸체는 직사각 형태로 제공될 수 있거나, 모따기 또는 직선 절단된 단측부들과 같은 비대칭 경사형 단측부들을 구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몸체(4)는 포장체의 개방을 허용하는 기본 위치와 포장체의 재밀봉 상태에 대응하는 밀봉 위치 사이에서 조작될 수 있으며, 밀봉 위치에서는 상기 제1 몸체(4)는 상기 제1 접힘 축(2) 주위로 접힌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4) 내에는 상기 제1 접힘 축(2)과 일치하는 범위를 갖는 제1 힌지 조인트(6)가 형성된다. 제1 힌지 조인트(6)는 도 1b의 별도의 부분 확대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w-형상의 단면을 구비하지만, 제1 힌지 조인트(6)는 달리 구성되어 v-형상과 같은 단면을 구비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밀봉 위치로의 제1 몸체(4)의 조작을 위하여 제1 접힘 축(2) 주위로 일정한 접힘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제1 힌지 조인트(6)이다.
제1 몸체(4)는 상기 잠금 부재(5)가 배치되는 접촉 표면(8) 및 접촉 표면(8)의 반대쪽으로 향한 부착 표면(9)을 구비하며, 부착 표면에 의하여 상기 개방 장치(1)는 포장체에 부착될 수 있다.
부착 표면(9)은 부분적으로 또는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포장체로의 개방 장치(1)의 부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접착제(도시 생략)로 덮일 수 있다. 접착제는 열간 글루(hot glue)라고도 알려진 열간 용융 접착제 형태의 접착제 층의 형태일 수 있다. 포장체로의 개방 장치(9)의 부착과 관련하여, 접착제 층은 열에 노출되어 활성화될 수 있다.
접촉 표면(8)은 제1 힌지 조인트(6)의 한 쪽에 하나씩 배치된 2개의 서브 구획부(10a, 10b)들을 구비하며, 제1 몸체(4)가 상기 밀봉 위치에 있으면, 서브 구획부들은 서로 직접 대향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서브 구획부(10a, 10b)들의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잠금 부재(5)는 작동되면 상기 서브 구획부(10a, 10b)들 사이에 작용하여 제1 몸체(4)를 상기 제2 위치에 유지하도록 설계된다. 제1 몸체(4)의 밀봉 위치에서 접촉 표면(8)의 서브 구획부(10a, 10b)들이 서로 직접 대향한다는 사실에 의하여, 그 무엇도 잠금 부재(5)가 상기 서브 구획부(10a, 10b)들 사이에 작용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점이 보장된다.
이제부터 참조하는 도 3a에는, 접촉 표면(8)의 서브 구획부(10a, 10b)들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잠금 부재(5)는 제1 몸체(4)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밀봉 위치에서 몸체(4)의 기계적 점형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잠금 부재(5)는 스냅 작용에 의하여 각각의 암형 부재(female member)(12)에 착탈식으로 잠금 결합될 수 있는 2개의 수형 부재(male member)(11)를 포함한다. 따라서, 각 쌍의 수형 및 암형 부재(11, 12)들은 가압-단추형 구조를 형성하고, 그에 따라 잠금 부재(5)는 밀봉 위치로의 제1 몸체(4)의 조작과 관련하여 서로에 대하여 가압되는 한 쌍의 수형 및 암형 부재(11, 12)에 의하여 작동한다.
수형 부재(11)는 접촉 표면(8)의 상기 서브 구획부들의 제1 구획부(10a)에 배치되고, 암형 부재(12)는 접촉 표면(8)의 서브 구획부들의 제2 구획부(10b)에 배치된다. 수형 및 암형 부재(11, 12)의 쌍의 개수는 2개보다 적거나 많을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잠금 부재(5)는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또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잠금 부재는 밀봉 위치에서 몸체의 기계적 선형 잠금을 위하여 설계될 수도 있다. 그와 같은 잠금 부재는 스냅 작용에 의하여 긴 암형 부재와 맞물리도록 제조될 수 있는 긴 수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부재는 대안적으로 제1 몸체에 대하여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잠금 부재는 접촉 표면의 2개의 서브 구획부들 중 하나에 배치된 접착제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접착제는 밀봉 위치로의 제1 몸체의 조작에 의하여 접촉 표면의 2개의 서브 구획부들 중 제2 구획부에 착탈식으로 점착된다.
도시된 본 발명의 개방 장치(1)의 실시 형태는, 상기 제1 접힘 축(2)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된 제2 접힘 축(3) 주위로의 접힘에 의하여, 상기 기본 위치와 포장체의 개방 상태에 대응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또한 조작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4) 내에는 제2 접힘 축(3)과 일치하는 범위를 갖는 제2 힌지 조인트(7)가 형성된다. 제2 힌지 조인트(7)는 v-형상의 단면을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와 같이, 제2 접힘 축(3)은 제1 접힘 축(2)의 범위에 수직인 범위를 가질 수 있지만, 제2 접힘 축(3)은 제1 접힘 축(2)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다른 각도 관계로 연장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힌지 조인트(7)는, 제1 몸체(4)의 개방 위치에서 부착 표면(9)이 서로에 대해 경사진 2개의 서브 구획부(13a, 13b)들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이제부터 또한 참조하는 도 3b에는, 부착 표면(9)의 서브 구획부(13a, 13b)들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힌지 조인트(6)와 제2 힌지 조인트(7)는 반대 방향으로 제1 몸체(4)의 일정한 접힘을 가능하게 한다. 제1 힌지 조인트(6)는 접촉 표면(8)의 서브 구획부(10a, 10b)들이 경사지고 또한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제1 몸체(4)가 접힐 수 있게 하고, 제2 힌지 조인트(7)는 부착 표면(9)의 서브 구획부(13a, 13b)들이 서로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접힐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 몸체(4) 내에서의 제1 및 제2 힌지 조인트(6, 7)의 구성에 의하여, 제1 몸체(4)는 쌍안정 특성(bistable character)을 가지게 된다. 제1 몸체(4)가 기본 위치에 있을 때에, 제1 힌지 조인트(6)는 제1 접힘 축(2) 주위로 접힘을 가능하게 하고, 그와 동시에 제2 힌지 조인트(7)는 제2 접힘 축(3) 주위로 접힘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제1 몸체(4)의 쌍안정 특성은, 제1 및 제2 접힘 축(6, 7)들 중 하나 주위로 접힘이 개시되면, 즉 제1 몸체가 기본 위치로부터 조작되면, 제1 및 제2 접힘 축(6, 7)들 중 나머지 하나의 주위로의 접힘은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2 힌지 조인트가 제1 힌지 조인트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90°와는 다른 각도로 연장되면, 제1 몸체의 쌍안정 특성이 접힘 상태에서도 유지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 몸체가 제1 접힘 축(6) 주위로 접히고 밀봉 위치에 있을 때에, 제2 접힘 축(7) 주위로의 접힘은 배제된다.
지금부터 참조하는 도 3a 내지 도 3c에는, 본 발명의 개방 장치(1)의 제1 몸체(4)가 3개의 다른 위치로 도시되어 있다.
도 3a에는, 제1 몸체(4)가 접히지 않은 위치(unaffected position)에 해당하는 기본 위치에, 개방 장치(1)의 제1 몸체(4)가 도시되어 있다. 기본 위치는 포장체가 재밀봉되거나 개방될 수 있는 위치, 즉 제1 몸체(4)가 밀봉 위치 또는 개방 위치로 조작될 수 있는 위치를 나타낸다.
도 3b에 있어서, 개방 장치(1)의 제1 몸체(4)는 제1 접힘 축(2) 주위로의 접힘에 의하여 기본 위치로부터 상기 밀봉 위치로 조작되어 있다. 제1 힌지 조인트(6)는 접힘이 상기 제1 접힘 축(2) 주위로 일정하게 한정되는 것을 보장한다.
개방 장치(1)는 제1 힌지 조인트(6)를 구비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개방 장치(1)의 제1 몸체(4)는 필요한 강성을 구비하면서도 제1 접힘 축(2) 주위로 굽혀질 수 있도록 치수가 설정된다. 그러나, 제1 힌지 조인트(6)가 존재하지 않으면, 접힘이 일정하게 한정되지 않게 된다.
잠금 부재(5)는 수형 및 암형 부재(11, 12)들의 쌍이 서로 스냅 작용에 의해 맞물리고 제1 몸체(4)를 밀봉 위치에 착탈식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밀봉 위치는 포장체의 재밀봉 상태를 나타낸다.
도 3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수형 부재(11)는 돌기(projection) 형태로 구성되고 각 암형 부재(12)는 돌출부(protrusion) 내의 구멍(opening)에 의해 형성된다. 돌기와 돌출부 모두는 접촉 표면(8)으로부터 돌출하고, 그에 따라 수형 부재(11)가 제1 몸체(4)의 밀봉 위치에서 암형 부재(12)와 맞물릴 때에, 잠금 부재(5)는 접촉 표면(8)의 서브 구획부(10a, 10b)들을 서로 분리하는 이격체 요소(14)를 형성한다. 이러한 분리는 도 3b에 거리(D)로 도시되어 있다. 서브 구획부(10a, 10b)들이 제1 몸체(4)의 밀봉 위치에서 서로 분리된다는 사실에 의하여, 사용자는 잠금 부재(5)를 해제하고 개방 장치(1)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서브 구획부(10a, 10b)들 사이에 손가락을 용이하게 넣을 수 있다.
도 3c에 있어서, 개방 장치(1)의 제1 몸체(4)는 제2 접힘 축(3) 주위로의 접힘에 의하여 기본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조작되어 있다. 제2 힌지 조인트(7)는 접힘이 상기 제2 접힘 축(3) 주위로 일정하게 한정되는 것을 보장한다. 제3 위치는 포장체의 개방 상태를 나타낸다.
개방 장치(1)는 제2 힌지 조인트(7)를 구비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에 개방 장치(4)의 제1 몸체(4)는 필요한 강성을 구비하면서도 제2 접힘 축(3) 주위로 굽혀질 수 있도록 치수가 설정된다. 그러나, 제2 힌지 조인트(7)가 존재하지 않으면, 접힘은 일정하게 한정되지 않게 된다. 제2 힌지 조인트(7)를 구비하지 않는 본 발명의 개방 장치가 액상 제품을 수용하는 가요성 포장체의 개구에 인접하게 부착되면, 기본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개방 부재의 제1 몸체의 조작은 주출 동작(pouring motion)을 하는 사용자에 의해 실현될 수 있는데, 주출 동작에 의하여 제품 압력이 가요성 포장체 내의 개구를 개방하고 그에 따라 제1 몸체에 작용함으로써, 제1 몸체가 제2 접힘 축 주위로 굽혀진다.
본 발명의 개방 장치(1)는 가요성 포장체의 재밀봉을 가능하게 하며, 이제부터 참조하는 도 4a 내지 도 4e에 따른 본 발명의 포장체(15)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하여, 개방 장치를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 형태는 직립형 파우치라고도 지칭되는 절첩형(collapsing type)의 가요성 포장체이다. 이 유형의 포장체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 제품에 적합하고, 가스가 충전된 손잡이를 포함한다.
도 1a, 도 1b 및 도 3a 내지 도 3c와 관련하여 전술한 유형의 본 발명의 개방 장치(1)는 포장체(15)에 부착되는데, 가요성 포장체(15)의 구석 구역 내에서 2개의 대향하는 측벽(17)들에 의하여 형성된 포장체의 개방부(16) 내에 부착된다.
가요성 포장체의 개방부(16)는 포장체의 미개방 상태에서 단부 탭(18)을 포함하며, 이 단부 탭은 포장체의 초기 개방을 위하여 분리 선(19)을 따른 절취에 의하여 포장체(1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포장체(15)는 도 4a에 미개방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개방 장치(1)의 제1 몸체(4)는 개방부(16)의 단부 탭(18)에 인접한 상기 대향 측벽(17)들 중 하나에 배치되며, 더욱 정확하게는, 분리 선(19)을 기준으로 단부 탭(18)과 대향하여 위치하는 쪽에 분리 선(19)에 인접하고 평행하게 배치된다.
분리 선(19)은 포장체(15)로부터의 단부 탭(18)의 절취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개시부(initiation)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개시부는 처리부 및 미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부는 약화부(weakening), 구멍(perforat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개방 장치(1)는 접착제의 사용에 의하여 또는 열-밀봉 공정이나 다른 적절한 공정에 의하여 포장체에 부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개방 장치(1)의 부착 표면은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열간 용융 접착제 층을 포함할 수 있다.
개방 장치가 포장체와는 별도로 제조된다는 사실에 의하여, 낙농업체(dairy)와 같은 충전 공장(filling plant)에 롤(roll) 형태로 공급될 수 있는 프리폼 포장체(preformed package)의 생산이 가능하다.
그와 같은 프리폼 포장체의 롤은 그 후에 충전 포장체 제조를 위하여 충전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본 발명의 개방 장치는 충전기 내에서 포장체에 부착될 수 있다. 개방 장치는 충전 전에, 중에 또는 후에 포장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4b에 있어서, 단부 탭(18)은 포장체의 초기 개방을 위하여 포장체(15)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이에 따라 개방부(16) 내에 개구(20)가 형성되고, 이 개구(20)는 포장체(15) 내에 수용된 내용물이 주출되거나 분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개방 장치(1)는 상기 개구(20)에 인접하고 평행하게 배치된다.
도면에 있어서, 개방 장치(1)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포장체(15)의 개방을 허용하는 기본 위치에 제1 몸체(4)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c에는, 포장체(15)가 개방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개방 장치(1)의 제1 몸체(4)는 제2 접힘 축(3) 주위로 접힘으로써 기본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조작되어 있고, 이러한 접힘은 제2 힌지 조인트(7)에 의해 제어된다. 제2 접힘 축(3) 주위로 접힘이 일어나도록, 사용자가 개방 장치(1)의 양쪽의 단측부들을 엄지와 검지로 잡고 서로에 대하여 가압함으로써, 조작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개방 장치(1)는 포장체(15)의 한쪽 벽(17)에 배치된다는 사실에 의하여, 벽의 일부는 제2 접힘 축(3) 주위로 접힘 중에 개방 장치(1)와 함께 접히고, 반대 방향으로 벌어지게 구성될 수 있는 제2 측벽(17)으로부터 분리된다. 도 4c로부터, 개방 장치(1)의 제1 몸체(4)가 상기 개방 위치를 취할 때에, 개방부(16) 내의 개구(20)가 어떻게 개방되어 명확히 한정된 주출 영역을 형성하는지를 알 수 있다.
개방 위치는 정확하게 특정된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때로는 변할 수 있는 위치에 의해 구성된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개방 위치의 목적은 개방부(16) 내의 개구(20)를 위한 주출 영역을 달성하는 것이다. 제1 몸체는 하중 부하(force load)에 대응하여 개방 위치를 취하고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을 또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하중 부하는, 주출 동작의 실시와 관련하여, 포장체 내에 수용된 제품이 포장체의 개방부(16)에 도달하였을 때에 제품에 의하여 가해질 수 있다.
개방 장치(1)의 쌍안정 특성에 의하여, 개방 장치(1)의 제1 몸체(4)가 개방 위치에 있는 동안에는, 상기 제1 접힘 축(2) 주위로 개방 장치(1)의 제1 몸체(4)가 접히지 않게 된다. 여기에서, 제1 몸체(4)는 제3 위치에서 제2 접힘 축(3) 주위로 완전히 접히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하며, 이는,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제1 힌지 조인트(6)에 대하여 제2 힌지 조인트(7)가 직각의 횡방향으로 연장된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개방 위치에서 쌍안정 특성이 유지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도 4d 및 도 4e에는, 개방된 포장체(15)를 재밀봉하기 위한 공정이 도시되어 있다. 우선, 개방 장치(1)의 제1 몸체(4)는 제2 접힘 축(3)(도시 생략) 주위로 접힘으로써 개방 위치로부터 기본 위치로 복원된다. 그 후에, 제1 몸체(4)는 제1 접힘 축(2) 주위로 접히며, 도 4d에는 접힘이 어떻게 개시되는지가 도시되어 있고, 도 4e에는 완전한 접힘 후의 밀봉 위치에서 제1 몸체(4)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잠금 부재(5)가 작동하여 제1 몸체(4)가 상기 밀봉 위치에 유지되도록 한다.
개방 장치의 쌍안정 특성에 의하여, 제1 접힘 축(2) 주위로 제1 몸체(4)의 접힘과 관련하여, 상기 제2 접힘 축(3) 주위로 개방 장치(1)의 제1 몸체의 접힘은 가능하지 않게 된다. 여기에서, 제1 몸체(4)는 밀봉 위치에서 제1 접힘 축(2) 주위로 완전히 접힌다는 사실에 주목하여야 한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제2 힌지 조인트(7)는 제1 힌지 조인트(6)에 직각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제1 몸체가 밀봉 위치를 취할 때에는, 쌍안정 특성이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개방 장치(1)와 제1 몸체(4)가 포장체(15)의 하나의 측벽(17)에 배치되므로, 제1 접힘 축(2) 주위로 접힘 중에 이 측벽(17)의 일부는 개방 장치(1)와 함께 접힐 수 있고 따라서 제2 측벽(17)의 일부를 함께 끌어당긴다. 결과적으로, 기본 위치로부터 밀봉 위치로의 개방 장치(1)의 제1 몸체(4)의 조작은, 개방부(16) 내의 상기 개구(20)를 포함하는 단부 구역이 제1 접힘 축(2) 주위로 굽혀지게 하며, 그에 따라 도 4e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포장체(5)가 재밀봉된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와 같이, 개방 장치(1)는 동일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개방부(16)의 폭(W)을 따르는 길이(L), 다시 말하자면 제2 접힘 축(2)과 일치하는 선을 따라 측정된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더욱 정확하게는, 제1 몸체(4)의 접촉 표면(8)의 서브 구획부(10a, 10b)들은 실질적으로 개방부의 전체 폭(W)을 따라 연장된 경계부를 따라서 서로 인접한다. 바람직하게는, 개방 장치(1)의 길이는 개방부(16)의 폭(W)을 다소 초과한다. 이에 따라, 비교적 확실한 재밀봉이 달성되는 것이 보장되며, 이는 포장체(5) 내에 수용된 제품의 상미 기간 및 보존 수명에 바람직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확실한 재밀봉은 포장체가 전도되었을 때에 누설의 위험을 최소화한다.
개방 장치(1)의 제1 몸체(4) 내에 구성된 제1 힌지 조인트(6)는, 전술한 바와 같이, w-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 힌지 조인트(6)의 장점에 대해서는, 개방부(16) 내에 개구(20)에 인접한 포장체(15)의 하나의 측벽에 부착된 본 발명의 개방 장치(1)를 나타내는 도 5a 내지 도 5c와 관련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w-형상의 단면이 표시되어 있는 도 5a에서 별도의 부분 확대도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몸체의 제1 힌지 조인트(6)는 2개의 다리부(leg)(21)와 개재 돌출부(intervening ridge)를 포함한다고 할 수 있는 w-형상의 단면을 구비한다. 단면의 다리부(21)의 "자유" 단부들은 개방 장치(1)의 제1 몸체(4)의 반쪽 각각에 연결된다. w-형상의 단면은 돌출부(22)가 포장체(15)의 측벽(17)과 대향하도록 배향되어 있다.
도 5a에서, 개방 장치(1)는 기본 위치에 제1 몸체(4)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b에는, 사용자가 제1 몸체(4)를 기본 위치로부터 밀봉 위치로 조작하기 위하여 개방 장치(1)에 어떠한 동작을 하기 시작하는지가 나타나 있으며, 제1 힌지 조인트(6)는 제1 접힘 축(2) 주위로의 접힘을 제어한다. 여기에서, 제1 몸체(4)의 접힌 부분이 그에 연결된 측벽(17)을 어떻게 함께 끌어당기는지를 알 수 있으며, 측벽(17)은 측벽(17)들 중 제2 측벽을 또한 끌어당긴다. 제1 접힘 축(2) 주위로 제1 몸체(4)의 접힘에 의하여, 개방부(16)의 상기 단부 구역은 결과적으로 상기 제1 접힘 축(2) 위로 접히게 된다.
도 5c에는, 개방 장치(1)의 제1 몸체(4)가 밀봉 위치로 어떻게 조작되어 있는지가 나타나 있으며, 이 위치에서 잠금 부재(5)가 작동하여 상기 밀봉 위치를 유지한다. 측벽(17) 및 그에 따라 획정된 개방부(16)는 제1 접힘 축(2) 주위로 접힌다. 도 5c의 별도의 부분 확대도로부터, 제1 몸체(4)가 상기 밀봉 위치를 취하였을 때에 어떻게 측벽(17)이 연신되고 제1 힌지 조인트(6)의 w-형상 단면의 돌출부(22)에 가압되는지를 알 수 있다. 이러한 연신과 가압은 개방 장치(1)의 재밀봉 능력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도움이 된다.
힌지 조인트는 열 성형 작업(thermo forming operation)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제1 힌지 조인트(6)의 w-형상은 재료가 오목부(recess)로부터 볼록부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볼록부는 제1 몸체(4)의 접촉 표면(8)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도면에서, w-형상의 단면의 다리부들은 각진 형태이다. 그러나, 다리부들은 접촉 표면(8)을 향하여 수직일 수도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열 성형 작업에 의한 제1 힌지 조인트의 성형과 관련하여, 볼록부로부터 소정 방향으로 어떠한 재료도 변위되지 않는다.
실제 실험에 의하면, 본 발명의 개방 장치(1)의 사용에 의하여, 액상 제품을 수용하는 포장체가 개방되고 재밀봉되었을 때에 누설 없이 상하 반전될 수 있을 정도로, 재밀봉이 충분히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개방 장치(1)는 단지 전술한 유형의 포장체와 함께 사용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개방 장치를 가요성 베개형 포장체와 함께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재밀봉 가능한 가요성 포장체(15')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개방 장치(1)는 가요성 포장체(15')의 구석 구역의 2개의 대향 측벽(17)들에 의해 형성된 개방부(16) 내에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몸체(4)를 포함하는 개방 장치(1)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대향 측벽(17)들 중 하나에 개방부(16)의 단부 탭(18)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단부 탭(18)은 분리 선(19)을 따른 절취에 의하여 포장체(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개방 장치(1)는, 분리 선(19)의 한쪽에 단부 탭(18)과 대향하는 위치에, 분리 선에 인접하고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가요성의 재밀봉 가능한 포장체(15')는 땅콩이나 사탕류(sweets)와 같은 입상 내용물에 매우 적합하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포장체는 다른 유형의 내용물, 예를 들면 액상 내용물을 보관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a에는, 포장체(15')가 미개방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6b에 있어서는, 표시된 분리 선(19)을 따라 단부 탭(18)이 분리되어, 재밀봉 가능한 가요성 포장체(15)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제1 몸체(4)의 개방 위치로의 개방 장치(1)의 조작에 의하여 포장체(15')가 개방될 수 있거나, 도 6b에 또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몸체(4)의 밀봉 위치로의 개방 장치(1)의 조작에 의하여 포장체(15')가 재밀봉된다.
본 발명의 개방 장치(1)는 포장체의 구석 구역의 일부를 형성하는 개방부에 반드시 적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또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부터 참조하는 도 7a와 도 7b에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가요성의 재밀봉 가능한 포장체(15'')가 도시되어 있다.
포장체(15'')는 포장체(15'')의 2개의 대향 측벽(17)들에 의해 획정된 개방부(16)를 구비한다. 개방부(16)는 포장체(15'')의 상측 부분을 형성하는 단부 탭(18)을 포함하고, 이 단부 탭(18)은 분리 선(18)을 따라 포장체(1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1 몸체(4)를 포함하는 개방 장치(1)는 단부 탭(18)에 인접한 개방부(16)에 배치되고, 상기 분리 선(19)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다.
개방 장치(1)는 제2 접힘 축(2)과 일치하는 선을 따라 측정된 개방부(16)의 폭(W)을 실질적으로 따르는 길이(L)를 갖는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사각형 포장체에 있어서는, 이 폭(W)은 포장체 자체의 폭에 해당한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체(15'')는 도 7a에 미개방 상태로 도시되어 있고, 도 7b에 재밀봉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개방 장치(1)의 제1 몸체(4)는 이 실시 형태에서 직사각 형상을 구비하는데, 다시 말하자면, 제1 몸체(4)는 직선 절단형의 단측부를 구비한다.
개방 장치(1)의 제1 몸체(4)는 제1 몸체(4)의 각각의 단부 부분에 배치된 2개의 추가 힌지 조인트(35, 36)들을 또한 구비한다. 추가 힌지 조인트(35, 36)들은 제1 힌지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추가 힌지 조인트(35, 36)들의 목적은 본 발명의 개방 장치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힌지 조인트(35, 36)들은, 보다 정확하게는, 제1 몸체(4)의 각 단부에 파지 탭(gripping tab)의 범위를 설정하며, 이 파지 탭은 제1 몸체의 개방 위치로의 조작과 관련하여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몸체는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몸체의 개방 위치로의 조작과 관련하여 제2 접힘 축 주위로의 접힘을 제어하는 제2 힌지 조인트를 구비하지 않는다.
개방부(16)는 분리 가능한 단부 탭을 포함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부터 참조하는 도 8a 내지 도 8c에는, 포장체(15''')의 2개의 대향 측벽(17)들에 의해 획정된 개방부(16)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재밀봉 가능한 가요성 포장체(15''')의 제4 실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개방부(16)는 포장체(15''')의 상측 부분의 일부를 형성하며, 포장체(15''')의 2개의 측벽(17)들을 서로 연결하는 횡방향 가장자리 밀봉부(edge seal)(23)를 파손시키기 위한 포장체(15''')의 측벽(17)들의 분리에 의하여, 개방부는 개방될 수 있다. 개방 장치(1)는 상기 가장자리 밀봉부(23)에 평행하게 개방부(16)에 배치된다.
상기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포장체(15''')는 도 8a에 미개방 상태로 도시되어 있고, 도 8b에는 개방 상태로, 도 8c에는 재밀봉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개방 장치는 제1 몸체(4)의 추가 힌지 조인트(35, 36)들을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이 추가 힌지 조인트(35, 36)들은 개방 장치(1)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각각의 파지 탭의 경계를 설정한다.
본 발명의 개방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에 대하여, 타발 작업부(punching station)(25), 성형 작업부(26) 및 분리 작업부(27)를 포함하는 제조 라인(24)을 나타내는 도 9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성형 작업부(26)는 가열 유닛(28)과 가압 유닛(pressing unit)(29)을 포함한다.
개방 장치의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는 롤(30) 형태로 공급되며, 롤로부터 재료 웹(web)(31)이 권출되어 여러 작업부로 안내된다.
재료 웹(31)은 초기에 타발 작업부(25)에 도달하며,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타발 작업부는 개방 장치의 단측부의 소망 형상을 충족하는 윤곽을 타발하기 위하여 재료 웹(31)의 측부 가장자리와 맞물리는 압연 프레스(rolling press)(32)를 포함한다.
재료 웹(31)은 그 후에 성형 작업부(26)의 가열 유닛(28)에 도달하고, 여기에서 재료 웹(31)은 열성형에 필요한 온도까지 가열된다. 실제로, PET로 이루어진 재료 웹을 100℃와 같이 비교적 낮은 열성형 온도까지 가열하는 것은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재료 웹(31)은 그 후에 성형 작업부(26)의 가압 유닛(29)으로 안내되면, 2개의 공구 분할체들을 포함하는 공구(33)가 열성형을 위하여 가열된 재료 웹(31)과 맞물린다. 따라서, 공구(33)는 재료 웹(31)과 맞물렸을 때에 각 개방 장치의 힌지 조인트와 잠금 부재를 열성형하도록 구성된다. 공구(33)는 열성형 완료 후에 재료 웹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부재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냉각 부재는 필요하다면 성형 작업부(26)로부터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최후에, 재료 웹(31)은 분리 작업부(27)에 도달하고,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각각의 개방 장치들의 분리를 위하여, 절단날 부재(knife member)(34)가 재료 웹(31)과 맞물린다.
가열 유닛(28)과 가압 유닛(29)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분리 작업부(27)는 성형 작업부(26)에 통합될 수 있다는 점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타발 작업부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개방 장치의 단측부들은 재료 웹의 프리폼 측부 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분리 작업부는 각각의 개방 장치의 모든 측부들을 절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분리 작업부는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서로 연결된 개방 장치들의 웹은 충전기에 롤 형태로 공급되도록 권취될 수도 있다.
제조 라인은 웹의 횡방향으로 다수의 개방 장치들을 포함하는 상호 연결 개방 장치들의 웹을 제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와 같은 상호 연결 개방 장치들의 웹을 포함하는 롤은, 병설된 충전 작업부(parallel fillings station)에서 포장체를 충전하기 위하여 배치된 충전기 내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조 라인은 접착제 도포 작업부(adhesive application station)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접착제 도포 작업부는 각 개방 장치의 부착 표면을 부분적으로 또는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덮는 접착제 층을 도포하기 위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접착제 층은 열간 글루라고도 알려진 열간 용융 접착제의 형태일 수 있다. 접착제 층은 굴곡형 또는 파형 표면(wave-formed surface)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방 장치는 포장체 제조와 함께 또는 후에 포장체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방 장치를 충전 전에, 중에, 또는 후에 포장체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포장체가 충전되기 전에 충전기 내에서 본 발명의 개방 장치를 프리폼 포장체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충전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롤-형태로 공급될 수 있는 상기 개방 장치의 부착을 위한 부착기(applicator)를 포함할 수 있다.
부착기는 서로 연결된 개방 장치들의 웹으로부터 각각의 개방 장치를 분리하기 위하여 배치된 절단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절단날은 선택적으로 개방 장치의 윤곽을 적절한 형상으로 절단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분리 작업부는, 개방 장치의 분리 후에, 충전된 포장체의 개방부에 개방 장치를 부착할 수 있는 위치로, 분리된 개방 장치를 이동시키는 인덱서블 홀더(indexable holder)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개방 장치가 열간 용융 접착제 형태의 접착제 층을 포함하는 경우에, 부착기는 접착제 층을 활성화시키도록 배치된 가열기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기는 복사-가열기(radiation-heater) 또는 열풍(hot-air) 가열기일 수 있다. 접착제 층의 표면이 굴곡형 또는 파형이면, 표면의 볼록부는 열을 축적하고, 포장체 상의 개방 장치의 부착과 관련하여 접착제 층이 여전히 작용할 수 있게 보장한다.
대안적으로, 가열기는 접착제 층에 대하여 가압되는 접촉 가열기의 형태일 수 있다. 접촉은 접착제 층으로 제어된 열 전달을 보장하며, 접착제 층이 접촉 가열기에 점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면 처리가 실시될 수 있다. 접촉 가열기에는 접착제 층의 굴곡형 또는 파형 표면을 달성하기 위하여 표면 프로파일이 제공될 수 있다.
가열기는 개방 장치의 힌지 조인트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w-형상의 힌지 조인트에 있어서, 오목부의 바닥과 볼록부의 상부는 열 노출에 의하여 둥글게 변할 수 있다. 오목부의 둥근 바닥은 개방 장치의 접힘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w-형상 단면의 다리부들을 접촉 표면에 수직이 되도록 성형함으로써, 열 노출과 관련하여 오목부의 둥근 형상이 방지될 수 있다.
다른 태양에 따르면, 충전기는 개방 장치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설비, 예를 들면 도 8과 관련하여 기재된 공정의 실시를 가능하게는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에 분리 작업부는 분리와 관련하여 각 개방 장치의 모든 측부들을 절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분리 작업부는, 개방 장치의 분리 후에, 충전된 포장체의 개방부에 개방 장치가 부착될 수 있는 위치로, 분리된 개방 장치를 회전 운동에 의해 이동시키는 인덱서블 홀더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개방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개방 장치(1)는 도 1 내지 도 3과 관련하여 전술한 제1 몸체(4) 및 제2 몸체(40)를 포함한다.
개방 장치의 제1 몸체(4)와 제2 몸체(4)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제2 몸체(40)는 종방향 축(41)을 따라 연장되고 포장체 상에 제2 몸체(40)의 부착을 가능하게 하는 제2 부착 표면을 구비한다.
제2 몸체(40)는 제3 접힘 축(42) 주위로 접힘으로써 전개 위치와 접힘 위치 사이에서 또한 조작될 수 있다. 도 11에는, 제3 위치에서의 제1 몸체(4) 및 접힘 위치에서의 제2 몸체(40)를 구비하는 개방 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제2 몸체(40)의 제3 접힘 축(42)은,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종방향 축(41)에 직각으로 연장될 수 있지만, 상기 종방향 축(41)에 대하여 직각 이외의 각도로 연장되도록 제3 접힘 축(42)을 배치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제1 몸체(4)의 제2 접힘 축(3)과 제2 몸체(40)의 제3 접힘 축(42)이 포장체에 부착된 상태에서 평행하도록, 상기 제2 접힘 축(3)은 상기 제3 접힘 축(42)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제3 접힘 축(42)과 일치하는 범위를 갖는 제3 힌지 조인트(43)가 제2 몸체(40) 내에 구성될 수 있다. 제3 힌지 조인트(43)는 v-형상 또는 w-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몸체(40)는 제1 몸체(4)의 폭(B1)의 반보다 작은 폭(B2)을 갖는다. 또한, 제2 몸체(40)는 제1 몸체(4)의 길이(L1)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은 길이(L2)를 갖는다.
제1 몸체(4)와 제2 몸체(40)의 단부 부분들은, 개방 장치(1)가 배치되도록 의도된 포장체의 개방부 내의 기하학적 형상의 조정을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는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2a 내지 도 12c에는, 가요성 포장체의 개방부(16)가 도시되어 있고, 이 개방부(16)는 가요성 포장체의 구석 구역 내의 2개의 대향 측벽(17a, 17b)들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추가 실시 형태에 따른 개방 장치(1)는 상기 개방부(16) 내에 배치된다.
가요성 포장체의 개방부(16)는 포장체의 미개방 상태에서 단부 탭(18)을 포함하며, 단부 탭은 초기 개방을 위하여 분리 선(19)을 따른 절취에 의하여 포장체로부터 분리된다.
개방 장치(1)의 제1 몸체(4)는 상기 대향 측벽(17a, 17b)들 중 제1 측벽(17a)에, 개방부(16)의 단부 탭(18)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보다 정확하게는, 도 12a에 명확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분리 선(19)의 한쪽에 단부 탭(18)과 대향하는 위치에, 이 분리 선에 인접하고 평행하게 배치된다.
개방 장치(1)의 제2 몸체(4)는 상기 대향 측벽(17a, 17b)들 제2 측벽(17b)에, 개방부(16)의 단부 탭(18)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보다 정확하게는, 도 12b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선(19)의 한쪽에 단부 탭(19)과 대향하는 위치에, 이 분리 선에 인접하고 평행하게 배치된다.
분리 선(19)은 포장체로부터의 단부 탭(18)의 절취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개시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개시부는 처리부와 미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부는 약화부, 구멍 등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개방 장치(1)는 전술한 열간 용융 접착제와 같은 접착제의 사용에 의하여, 또는 열-밀봉 공정이나 다른 적절한 공정에 의하여 개방부(15) 내에 부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몸체(40)는 제1 몸체(4)의 길이(L1)와 같거나 작은 길이(L2)를 갖고, 제1 몸체(4)의 폭(B1)의 반보다 작은 폭(B2)을 갖는다. 이에 따라, 도 12에 명확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개방 장치(1)가 포장체에 부착된 상태에서, 제1 몸체(4)의 접촉 표면(8)의 하나의 서브 구획부(10a)의 윤곽에 의해 획정되는 제2 측벽(17b) 상의 영역 내에 제2 몸체(40)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2c로부터, 제2 몸체(40)의 제3 접힘 축(42)이 제1 몸체(4)의 제2 접힘 축(3)에 대하여 평행하게 변위되도록, 몸체(4, 40)들이 서로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접힘 축(3, 42)들은 1㎜ 내지 3㎜ 범위 내에서 분리된 거리(A)로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게 변위될 수 있지만, 평행 변위는 이보다 크거나 작을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특정 용도에 있어서는, 평행 변위는 전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포장체의 초기 개방을 위하여, 단부 탭(18)이 분리되고,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상태로의 포장체의 추가 개방을 위하여, 제1 몸체(4)는 개방 위치로 조작되고, 제2 몸체(40)는 접힘 위치로 조작된다. 실제로는, 제2 접힘 축(3) 및 제3 접힘 축(42) 각각의 주위로 접힘이 일어나도록, 사용자가 엄지와 검지로 개방 장치(1)의 양쪽 단측부들을 잡고 서로에 대하여 가압함으로써, 제1 몸체(4)는 개방 위치로 조작되고 그와 동시에 제2 몸체(40)는 접힘 위치로 조작된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접힘 축(3, 42)들이 평행하게 변위되어 있다는 사실에 의하여, 접힘은 반대 방향으로 일어나는 것이 보장된다. 도면들로부터, 개방부(16) 내의 개구(20)가 어떻게 개방되고 평행사변형(parallelogram)의 형태를 갖는 윤곽을 구비하는 명확한 주출 영역을 확보하는지를 알 수 있다.
도면들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몸체(4)와 제2 몸체(40)는 측벽(17a, 17b)들이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초과하여 연장되지 않고 개방부의 폭 내에서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몸체(4, 40)들 중 하나는 상기 연결부를 초과하는 범위를 가질 수도 있지만, 적어도 하나의 몸체는 그와 같은 범위를 갖지 않는다는 사실은, 개방 상태로의 포장체의 개방과 관련하여 2개의 몸체(4, 40)들이 서로 방해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개방 장치(1)의 상기 추가 실시 형태는 주출 공정 완료 후에 적하(drip)의 발생을 최소화한다. 다시 말하자면, 표면 장력 효과에 의하면, 남은 제품 잔량이 개구(20)의 저부 구석부(44) 내의 측벽(17a, 17b)들 사이에 더욱 잔류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개방 장치는 개구(20)의 하측 개방 각도(α)를 형성하며, 이 하측 개방 각도(α)는 이러한 표면 장력 효과를 극복하기에 충분히 크다. 따라서, 포장체가 개방 상태로 개방되었을 때에, 충분히 큰 하측 개방 각도의 달성이 가능하도록 충분한 정도로 제1 측벽(17a)으로부터 제2 측벽(17b)을 각도 방향으로 멀어지게 하는 것은 제2 몸체(40)이다.
포장체에 제2 몸체를 구비하지 않는 개방 장치가 사용되면, 제2 측벽이 짧은 거리를 따라 제1 측벽과 평행하게 유지되고 그 후에 각도 방향으로 벌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제1 몸체가 제2 몸체와 함께 사용되면,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와 같이, 제2 측벽(17b)이 제1 측벽(17a)으로부터 명확한 하측 개방 각도로 벌어지는 것이 보장될 수 있으며, 이는 개방부 내에 제품 잔량을 잔류시키려고 하는 표면 장력 효과를 극복하는 데에 유리하다.
표면 장력 효과를 극복하기 위하여 필요한 하측 개방 각도(α)는 포장체 내에 수용된 제품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면, 하측 개방 각도(α)는 우유에 대해서는 물보다도 클 필요가 있다. 하측 개방 각도(α)는 15°내지 65°의 범위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5°내지 55°의 범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개방 장치(1)는 포장체를 개방하기 위한 각 조작 작업에 있어서 제1 몸체(4)의 개방 위치와 제2 몸체(40)의 접힘 위치가 동일하도록 구성될 필요는 없다. 이는 포장체의 개방 상태로의 반복 개방에 따라 하측 개방 각도(α)가 다소 변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부터 참조하는 도 14에는, 포장체의 재밀봉 상태에서 포장체의 주출부가 도시되어 있다. 제1 몸체(4)의 접촉 표면(8)의 하나의 서브 구획부(10a)에 의해 획정된 영역 내에 또는 내측에 제2 몸체(40)가 배치된다는 사실에 의하여, 제1 몸체(4)를 제1 접힘 축(2) 주위로 접어서 제2 위치로 조작함에 있어서, 제2 몸체(40)가 상기 조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몸체(40)가 상기 서브 구획부(10a)보다 작다는 사실은,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몸체(40)가 제1 접힘 축(2)으로부터 소정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포장체의 재밀봉과 관련하여 제2 몸체와 측벽이 접힐 때에, 제2 몸체(40)가 측벽(17)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 보장되며, 이는 실질적으로 액밀성의 반복적 재밀봉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개방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전술한 공정은, 전술한 추가 실시 형태에 따른 개방 장치의 제2 몸체의 제조를 또한 가능하게 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포장체의 개방부 내의 측벽에 일체형으로 본 발명의 개방 장치를 구성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잠금 부재가 작동되지 않을 때에, 개방 장치가 작용하는 것을 기하학적 형상이 보조하여 포장체가 개방 상태를 취하도록, 포장체를 구성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면, 포장체가 중력의 영향으로 개방부 내의 측벽들을 분리하는 역할을 하는 접힘부(fold)를 형성하도록, 개방부에 다소 돌출한 기하학적 형상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접힘부는 포장체의 개방 상태에 해당하는 제1 몸체의 개방 위치로의 조작에 도움이 되고, 적절한 경우에는, 제2 몸체의 접힘 위치로의 조작에도 도움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많은 변경 형태 및 수정 형태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규정된다.

Claims (25)

  1. 2개의 측벽(17)들에 의해 획정되고 폭(W)을 갖는 개방부(16)를 구비하는 가요성 포장체(15; 15'; 15''; 15''')용 개방 장치로서,
    상기 개방 장치는 포장체(15; 15'; 15''; 15''')의 개방과 밀폐를 위하여, 초기 개방 시에 형성되는 개구(20)에 인접한 포장체(15; 15'; 15''; 15''')의 개방부(16)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접촉 표면(8)과 그 이면에 제1 부착 표면(9)을 구비하는 박벽의 제1 몸체(4) 및 잠금 부재(5)를 포함하며,
    제1 부착 표면은 개방부(16) 내에 상기 2개의 측벽(17)들 중 제1 측벽(17a)에 상기 제1 몸체(4)의 부착을 가능하게 하고
    제1 몸체(4)는 제1 접힘 축(2) 주위로 접힘으로써 기본 위치와 밀봉 위치 사이에서 조작될 수 있고, 밀봉 위치에서 상기 접촉 표면(8)은 서로 직접 대향하는 서브 구획부(10a, 10b)들을 구비하고,
    상기 서브 구획부(10a, 10b)들은 실질적으로 개방부의 전체 폭(W)을 따라 연장되도록 설계된 경계부를 따라서 서로 인접하며,
    상기 잠금 부재(5)는 상기 밀봉 위치에서 제1 몸체(4)의 착탈식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어 있는 개방 장치에 있어서,
    잠금 부재(5)가 접촉 표면(8)의 서브 구획부(10a, 10b)들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착탈식 잠금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서브 구획부(10a, 10b)들 사이에 작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힘 축(2)과 일치하는 범위를 갖는 제1 힌지 조인트(6)가 제1 몸체(4)의 상기 경계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 조인트(6)는 v-형상 또는 w-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5)는 제1 몸체(4)의 밀봉 위치에서 접촉 표면(8)의 서브 구획부(10a, 10b)들을 서로 분리하는 이격체 요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4)는 상기 제1 접힘 축(2)에 횡방향으로 연장된 제2 접힘 축(3) 주위로 접힘으로써 상기 기본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조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힘 축(3)과 일치하는 범위를 갖는 제2 힌지 조인트(7)가 상기 제1 몸체(4)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제1 부착 표면(9)은, 제1 몸체(4)의 개방 위치에서, 서로에 대해 경사진 2개의 서브 구획부(13a, 13b)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종방향 축(41)을 따라 연장되고 제2 부착 표면을 구비하는 제2 몸체(40)를 또한 포함하며,
    제2 부착 표면은 개방부(16) 내에 상기 2개의 측벽(17)들 중 제2 측벽(17b)에 제2 몸체(40)의 부착을 가능하게 하고,
    제2 몸체(40)는 제3 접힘 축(42) 주위로 접힘으로써 전개 위치와 접힘 위치 사이에서 조작 가능하고, 제1 몸체(4)의 개방 위치로의 조작과 관련하여, 상기 접힘 위치로 조작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4)는 제1 폭(B1)을 갖고, 상기 제2 몸체(40)는 제2 폭(B2)을 가지며, 제2 폭(B2)은 제1 폭(B1)의 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4)는 제1 길이(L1)를 갖고, 상기 제2 몸체(40)는 제2 길이(L2)를 가지며, 제2 길이(L2)는 제1 길이(L1)와 같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접힘 축(42)과 일치하는 범위를 갖는 제3 힌지 조인트(43)가 상기 제2 몸체(40)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5)는 점형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5)는 선형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5)는 기계적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5)는 스냅 작용에 의한 기계적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5)는 접착제의 사용에 의해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0.1㎜ 내지 1㎜ 범위의 두께를 갖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부착 표면(9)에는 열간 용융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제 층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접착제 층은 부착 표면(9)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장치.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접착제 층은 굴곡형 표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장치.
  21. 2개의 측벽(17)들에 의해 획정되는 개방부(16)를 구비하는 가요성 포장체로서,
    포장체(15; 15'; 15''; 15''')의 개방과 밀폐를 위하여, 포장체(15; 15'; 15''; 15''')의 초기 개방 시에 형성된 개구(20)에 인접한 개방부(16)에 배치되는 개방 장치(1)를 포함하는 가요성 포장체에 있어서,
    상기 개방 장치(1)는 접촉 표면(8)과 그 이면에 제1 부착 표면(9)을 구비하는 박벽의 제1 몸체(4) 및 잠금 부재(5)를 포함하며, 제1 부착 표면에 의하여, 제1 몸체(4)는 포장체의 상기 측벽(17)들 중 제1 측벽(17a)의 외측 표면에 고정되고,
    제1 몸체(4)는 제1 접힘 축(2) 주위로 접힘으로써 기본 위치와 밀봉 위치 사이에서 조작될 수 있고, 밀봉 위치에서 상기 접촉 표면(8)은 서로 직접 대향하는 서브 구획부(10a, 10b)들을 구비하고,
    잠금 부재(5)는 접촉 표면(8)의 서브 구획부(10a, 10b)들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밀봉 위치에서 제1 몸체(4)의 착탈식 잠금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서브 구획부(10a, 10b)들 사이에 작용하도록 설계되고,
    제1 몸체(4)의 제1 접힘 축(2)은 상기 개구(20)에 평행하게 배향되고,
    포장체는, 제1 몸체(4)의 상기 밀봉 위치로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개구(20)를 포함하는 개방부(16)의 단부 구역이 상기 제1 접힘 축(2) 주위로 접히는 재밀봉 상태로 조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포장체.
  22. 제21항에 있어서,
    개방 장치(1)의 제1 몸체(4)가 상기 제1 접힘 축(2)에 횡방향으로 연장된 제2 접힘 축(3) 주위로 접힘으로써 상기 기본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조작 가능하고,
    포장체는, 개방부(16) 내의 측벽(17)들이 제1 몸체(4)의 상기 개방 위치로의 조작에 의하여 분리되는 개방 상태로 조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포장체.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개방 장치(1)는 종방향 축(41)을 따라 연장되고 제2 부착 표면을 구비하는 제2 몸체(40)를 또한 포함하며, 제2 부착 표면에 의하여 제2 몸체(40)는 상기 2개의 측벽들 중 제2 측벽(17b)의 외측 표면에 고정되고, 제2 몸체(40)는 제3 접힘 축(42) 주위로 접힘으로써 전개 위치와 접힘 위치 사이에서 조작 가능하고,
    포장체는, 제1 몸체(4)의 개방 위치로의 조작과 관련하여, 제2 몸체(20)의 접힘 위치로의 조작에 의하여 개방 상태로 조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포장체.
  24. 제23항에 있어서,
    제1 몸체(4)와 제2 몸체(40)는, 제2 몸체(40)가 제1 몸체(4)의 상기 서브 구획부(10a, 10b)들 중 하나의 윤곽에 의해 획정된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개방부(16) 내에 포장체의 제1 측벽(17a) 및 제2 측벽(17b) 각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포장체.
  25. 제23항에 있어서,
    제1 몸체(4)의 제2 접힘 축(3)은 제2 몸체(40)의 제3 접힘 축(42)에 대하여 평행하게 변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포장체.
KR1020137014913A 2010-11-11 2011-11-09 재밀봉 가능한 개방 장치 및 그와 같은 개방 장치를 포함하는 포장체 KR1017268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051188-9 2010-11-11
SE1051188 2010-11-11
SE1150053 2011-01-26
SE1150053-5 2011-01-26
PCT/EP2011/069749 WO2012062806A1 (en) 2010-11-11 2011-11-09 Resealable opening device and package comprising such an open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582A KR20130141582A (ko) 2013-12-26
KR101726826B1 true KR101726826B1 (ko) 2017-04-14

Family

ID=44910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4913A KR101726826B1 (ko) 2010-11-11 2011-11-09 재밀봉 가능한 개방 장치 및 그와 같은 개방 장치를 포함하는 포장체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9315297B2 (ko)
EP (1) EP2637943B1 (ko)
JP (1) JP6103598B2 (ko)
KR (1) KR101726826B1 (ko)
CN (1) CN103415445B (ko)
AR (1) AR083853A1 (ko)
AU (1) AU2011328162B2 (ko)
BR (1) BR112013011374B1 (ko)
CA (1) CA2817412C (ko)
DK (1) DK2637943T3 (ko)
EA (1) EA022405B1 (ko)
ES (1) ES2535269T3 (ko)
MX (1) MX2013005319A (ko)
MY (1) MY166689A (ko)
NZ (1) NZ609701A (ko)
PL (1) PL2637943T3 (ko)
TW (1) TWI520878B (ko)
WO (1) WO2012062806A1 (ko)
ZA (1) ZA2013041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873004A1 (en) 2012-05-07 2013-11-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exible materials for flexible containers
CA2881055C (en) 2012-08-06 2017-12-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of making flexible containers
WO2015017620A1 (en) 2013-08-01 2015-02-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exible containers having improved seam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WO2015017619A1 (en) 2013-08-01 2015-02-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flexible containers having surface elements
WO2015017622A1 (en) 2013-08-01 2015-02-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nhancements to tactile interaction with film walled packaging having air filled structural support volumes
FR3011825B1 (fr) * 2013-10-11 2016-01-01 Oreal Element de fermeture multiple pour un contenant recevant un produit cosmetique
EP3066027A1 (en) * 2013-11-06 2016-09-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tainers having a product volume and a stand-off structure coupled thereto
JP1520296S (ko) * 2013-11-07 2015-03-30
USD760079S1 (en) * 2013-11-07 2016-06-28 Ecolean Ab Closure
PL2871051T3 (pl) * 2013-11-07 2018-06-29 Ecolean Ab Mechanizm i sposób mocowania urządzenia otwierającego na opakowaniu elastycznym
JP5572773B1 (ja) * 2014-01-30 2014-08-13 日野 智晴 開閉具及びこれを備えた袋
JP6267556B2 (ja) * 2014-03-24 2018-01-24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注出補助具付きパウチ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70297799A1 (en) * 2014-06-19 2017-10-19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Opening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ening device and a packaging container having such opening device
KR101969665B1 (ko) 2015-04-10 2019-04-16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보강 시일을 가진 가요성 용기
JP6566721B2 (ja) * 2015-05-27 2019-08-28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注出補助具付きパウチおよび注出補助具
CN105620885A (zh) * 2016-03-16 2016-06-01 李克勤 包装袋
EP3219641B1 (en) * 2016-03-16 2018-10-17 Ecolean AB Resealable opening device and package comprising such an opening device
EP3486080B1 (en) * 2016-07-14 2021-12-08 Totani Corporation Bag making machine for manufacturing plastic bag
EP3486189B1 (en) * 2017-11-15 2020-06-17 BARILLA G. e R. Fratelli S.p.A. Reclosable bag
CN110979956B (zh) * 2019-12-11 2022-02-11 黄山永新股份有限公司 一种牛奶机无菌包装袋及其生产工艺
US11873137B1 (en) * 2020-01-23 2024-01-16 Sal Yosufy Bag with multiple seal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08399A1 (en) * 2003-04-16 2004-10-21 Ron Linneweil Closure for containers and reclosable containers including the same
JP3756145B2 (ja) * 2002-12-10 2006-03-15 中本パックス株式会社 食品用容器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308A (en) * 1890-07-15 Paper bag
US2369716A (en) * 1942-01-15 1945-02-20 Du Pont Bag closure
US2620944A (en) * 1949-01-21 1952-12-09 William F Stahl Plastic container
US2843309A (en) * 1956-02-02 1958-07-15 H J Dowd Co Inc Tamper-proof shipping bag
GB1015383A (en) * 1963-10-03 1965-12-31 Arenco Ab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asily openable bags
US3208640A (en) * 1964-04-17 1965-09-28 Weed Master Western Ltd Package applicator
US3727829A (en) * 1971-02-19 1973-04-17 Mazereu M Closure device for plastic bags
US3815810A (en) * 1972-07-07 1974-06-11 L Wellman Opening and re-sealing device for bag containers
JPS50141493A (ko) * 1974-04-27 1975-11-13
US4027819A (en) * 1976-03-29 1977-06-07 Herrera Gutierrez Jesus Closure device for bags or similar containers
DE4213397A1 (de) * 1992-04-23 1993-10-28 Buchholtz Ulrich Gmbh & Co Verschlußband
US5692837A (en) 1996-08-08 1997-12-02 Fres-Co System Usa, Inc. Gussetted flexible package with reclosable mouth using a snap type reclosure strip
US6047883A (en) 1998-09-08 2000-04-11 Westvaco Corporation Bagless barrier paperboard container with a tamper evident reclosable fitment
US6007246A (en) * 1998-09-29 1999-12-28 Kraft Foods Inc. Reclosable container arrangement
CA2348034A1 (en) * 1998-11-06 2000-05-18 William Clune Touch fasteners, their manufacture, and products incorporating them
US6082897A (en) 1999-01-13 2000-07-04 Fres-Co System Usa, Inc. Segmented snap closure for flexible packages and flexible packages including the same
DE29902988U1 (de) 1999-02-19 1999-05-12 Baar Gisela Langschenkelige Verschlußklammer
CA2305999A1 (en) 1999-04-19 2000-10-19 Fres-Co System Usa, Inc. Pour-spout closure for flexible packages and flexible packages including a pour-spout closure
US6168312B1 (en) 1999-06-09 2001-01-02 Arthur D. Little Enterprises, Inc. Closure system for pliable container
JP2001139039A (ja) * 1999-11-17 2001-05-22 Kao Corp 包装袋
JP4351403B2 (ja) * 2001-07-23 2009-10-28 株式会社細川洋行 ジッパ袋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50141787A1 (en) * 2002-01-22 2005-06-30 Breil Gary L.Jr. Snap on envelope
EP1486427B1 (en) * 2002-03-15 2010-10-13 Kurita Water Industries Ltd. Seal breaking guide of a flexible container and method of forming said flexible container.
US6994470B2 (en) * 2002-08-15 2006-02-07 Fres-Co System Usa, Inc. Aesthetically pleasing snap closure for flexible package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automated application to flexible packages, flexible packages including the same, and apparatus for applying snap closures to flexible packages
US7300207B2 (en) * 2003-04-16 2007-11-27 Ron Linneweil Closure for containers and reclosable containers including the same
US20050031228A1 (en) 2003-08-06 2005-02-10 Fres-Co System Usa, Inc. Reclosable flexible packag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4603824B2 (ja) * 2004-06-10 2010-12-22 株式会社細川洋行 ファスナ付き包装袋
DE102006005740A1 (de) * 2006-02-07 2007-08-09 Georg Menshen Gmbh & Co. Kg Verschluss zum Wiederverschließen eines Beutels und Beutel mit einem solchen Verschluss
KR101318714B1 (ko) * 2006-03-20 2013-10-16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파스너가 부착된 포장 백
DE102006029119A1 (de) 2006-06-22 2007-07-05 Nordenia Deutschland Halle Gmbh Werk Steinfeld Folienbeutel
US7857514B2 (en) * 2006-12-12 2010-12-28 Reynolds Foil Inc. Resealable closures, polymeric packages and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SE534097C2 (sv) 2008-10-22 2011-04-26 Ecolean Res & Dev As Återförslutbar förpackning
CH701361A1 (de) * 2009-06-26 2010-12-31 Michael Schimmel Einteiliger Beutelverschlus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6145B2 (ja) * 2002-12-10 2006-03-15 中本パックス株式会社 食品用容器
US20040208399A1 (en) * 2003-04-16 2004-10-21 Ron Linneweil Closure for containers and reclosable containers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03598B2 (ja) 2017-03-29
US9315297B2 (en) 2016-04-19
MY166689A (en) 2018-07-18
AR083853A1 (es) 2013-03-27
CN103415445B (zh) 2015-06-24
TW201226268A (en) 2012-07-01
BR112013011374A2 (pt) 2020-06-09
PL2637943T3 (pl) 2015-06-30
AU2011328162A1 (en) 2013-05-23
AU2011328162B2 (en) 2016-06-23
EP2637943A1 (en) 2013-09-18
BR112013011374B1 (pt) 2022-01-04
EA201390628A1 (ru) 2013-11-29
NZ609701A (en) 2015-01-30
CN103415445A (zh) 2013-11-27
JP2013542147A (ja) 2013-11-21
CA2817412A1 (en) 2012-05-18
US20140003744A1 (en) 2014-01-02
ES2535269T3 (es) 2015-05-07
TWI520878B (zh) 2016-02-11
EP2637943B1 (en) 2015-01-28
MX2013005319A (es) 2013-12-06
DK2637943T3 (da) 2015-03-30
CA2817412C (en) 2016-12-06
ZA201304197B (en) 2014-08-27
KR20130141582A (ko) 2013-12-26
WO2012062806A1 (en) 2012-05-18
EA022405B1 (ru)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6826B1 (ko) 재밀봉 가능한 개방 장치 및 그와 같은 개방 장치를 포함하는 포장체
EP2480462B1 (en) Reclosable package
EP1690803B1 (en) Package with peel seal
EP0169563B1 (en) Easy-to-open carton for confectionery or other food products
JPH0246460B2 (ko)
JP2012081983A (ja) 包装袋およびそれ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包装袋に対する被包装物の充填包装方法
CN103619729A (zh) 湿纸巾包装体
US10507963B2 (en) Resealable opening device and package comprising such an opening device
SG190187A1 (en) Resealable opening device and package comprising such an opening device
JP4182591B2 (ja) 内容物取出し容易な容器
JP2006321517A (ja) 包装袋
JP6264637B2 (ja) 把持部を備えた袋、および把持部
JPS6223720Y2 (ko)
JP2023183149A (ja) 開封弁付き包装体
JPH10119983A (ja) 合成シート袋及び合成シート袋の製造方法
JP2019123528A (ja) 二重袋
JP2019156461A (ja) 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