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6673B1 - 조립식 배선 덕트 - Google Patents

조립식 배선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673B1
KR101726673B1 KR1020160164448A KR20160164448A KR101726673B1 KR 101726673 B1 KR101726673 B1 KR 101726673B1 KR 1020160164448 A KR1020160164448 A KR 1020160164448A KR 20160164448 A KR20160164448 A KR 20160164448A KR 101726673 B1 KR101726673 B1 KR 101726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lid
wiring duct
shape
c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진엽
Original Assignee
한스일렉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스일렉 (주) filed Critical 한스일렉 (주)
Priority to KR1020160164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66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02G3/045Channels provided with perforations or slots permitting introduction or exit of wi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케이스본체;
상기 케이스본체의 바닥부에 구성된 본체 보강부;
상기 바닥부의 양측면으로 구성된 측벽;
상기 측벽의 일단에 구성된 걸림돌기;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되어 안착하도록 구성 결합한 덮개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배선덕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배선 덕트{The wiring duct of makeup}
본 발명은 전선, 케이블, 전화선 등의 각종 배선 작업시 선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조립식 배선 덕트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종래기술로는 도 4a와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바(20)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단부에는 상기 덮개 플레이트(30)가 상기 좌, 우 한 쌍의 측벽(12)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덮개 플레이트(30)는 소정길이의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하측면의 좌, 우 양측에는 각각 소정길이 돌출 형성되는 덮개 결합돌기(31)가 내측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덮개 결합돌기(31)의 단부에는 지지리브(32)가 외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덮개 결합돌기(31)의 내측면은 내측으로 경사져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기 상부 결합돌기(15)의 외측면이 서로 탄성적으로 밀착 결합되고, 밀착 결합된 면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을 통해 상기 덮개 플레이트(30)가 상기 측벽(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지지리브(32)의 하측면이 상기 연결바 삽입부(13)의 상측면과 밀착 결합되어 보다 견고하게 상기 덮개 플레이트(30)가 상기 측벽(12)에 결합되며, 닥트(1)가 수직한 벽면에 부착 설치되는 경우에도 상기 덮개 플레이트(30)가 닥트 몸체부(10)를 따라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측절취선(19)을 통하여 배선이 분기될 경우에는 용이하게 측벽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측벽(18)을 제거하는데 있어 상부부분(19) 또는 하부부분(19)을 먼저 제거하는데에 필요한 힘이 나중에 제거하는데 필요한 힘보다 더 많은 힘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서는 상부부분 또는 하부부분을 제거하는 것에 힘이 들고 절단한 후에도 마무리가 깨끗하게 제거되지 않는 단점이 있어왔다.
측벽(18)을 살피면 측벽(18)은 일직선 형이어서 여전히 측벽을 제거하는데 깨끗하게 제거되지 않는 단점이 있어왔다. 상부(19)뿐 만아니라 하부에 절취선(19)을 두는 경우에는 배선이 많아지거나 또는 이동 중에도 케이스 본체(10)의 재료의 절감으로 인하여 박막일 경우에는 원하지 않게 측벽이 절단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었다. 따라서 측벽(18)을 두껍게 해야 하는 단점이 있어왔다.
덮개 결합돌기(31)와 케이스 본체의 상부 결합돌기(15)는 덮개와 본체 사이에 탈부착하는데 많은 힘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어왔다.
배선덕트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이동중이나 결합중에도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휘어져서 작업상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는 제품을 사용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기 까지 하는 것이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공보번호 10-1553026(2015.09.08) 대한민국특허청 등록공보번호 10-1509710(2015.04.01)
본 발명의 목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배선의 분기를 위하여 또는 기타의 조건으로 인하여 측벽을 제거하는데 있어 많은 힘이 요구되는 것을 적은 힘을 가지고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배선 닥트가 견고하도록 해결한 것이다.
또한 절단한 후에도 절단면의 마무리가 깨끗하게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다.
배선덕트의 크기가 큰 경우에 이동중이나 결합중에도 휘어지지 않고 작업에도 효율적이며 덕트의 두께에 있어서도 효율적으로 하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또한 오랜시간이 지나도 케이스 본체의 상부의 탄성을 유지하면서 덮개와의 밀착성이 우수하고 탈부착이 용이한 덕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수단을 가진다.
케이스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바닥부에 구성된 본체보강부;
상기 케이스본체의 바닥부에서 양쪽으로 구성된 측벽;
상기 측벽의 타단에 구성된 걸림돌기;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되어 안착하도록 구성 결합하는 덮개부;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배선덕트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강부는 두개의 볼록한 형상으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측벽의 하단부에 측벽보강부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돌기를 둥근형상으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측벽의 상부에 절취선이 길이 방향으로 홈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절취선은 외측절취선과 내측절취선으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측벽의 하부에 절취홈을 구성하되,
상기 절취홈은 측벽의 좌우에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측벽보강부는 상기 측벽보다 보다 외부로 보강하도록 한다.
또한,상기 측벽의 상부는 상기 걸림돌기와 제2접촉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측벽의 상부에 상기 걸림돌기에 상응하는 걸림안착부를 구성하여 잘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2접촉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덮개부에 제1접촉부가 구성되어 접촉면적을 크게하여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측벽은 기둥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덮개부의 상부에 보강부를 두어 덮개부의 휘어짐 및 탈부착시에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측벽의 상단부에 있는 상기 걸림돌기는 좌우 동일한 구성으로 상기 측벽의 좌측을 기준으로 물음표의 형상으로 구성되며,
이에 대하여, 상기 덮개부는 좌우 동일한 구성으로 상기 덮개부의 좌측을 기준으로 5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접촉력을 최대한 크게 구성한다.
본 발명은 배선을 분기하는 곳에서 측벽을 절단하여 용이하게 분기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단한 후에도 절단면의 마무리가 깨끗하게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규격이 상당히 큰 경우에도 그에 상응하는 강도를 나타내면서도 배선덕트의 케이스와 덮개를 박막으로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효과로는 케이스 본체와 덮개를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접촉력을 크게 하고도 원할하고 반복하여 사용하여도 케이스본체의 상부가 탄성을 잃어버리지 않고 탄성강도를 가짐으로 덮개부와 밀착되어 결합할 수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오랜시간이 지나도 케이스 본체의 상부의 탄성을 유지하면서 덮개와의 밀착성이 우수한 덕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a 는 조립식 배선덕트의 전체적인 구성도를 보이는 것이다.
도1b는 도1a를 정면에서 바라본 구성도이다.
도1c는 배선덕트의 측면에서 바라본 구성도이다.
도2a는 덮개부의 전체적인 구성도를 보이는 것이다.
도2b는 도2a의 정면에서 바라본 구성도이다.
도3a는 조립식 배선덕트의 케이스 본체를 보이는 구성도이다.
도3b는 도3a의 정면에서 바라본 구성도이다.
도4a와 도4b는 종래의 기술에 해당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1c에서의 구성은 하기와 같다.
케이스본체(200);
상기 케이스본체(200)의 바닥부(260)에서 구성된 본체 보강부(220)를 두어 플라스틱재 또는 기타의 재질로 박막으로 구성하여도 가요성이 없도록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보강부(220)은 바닥부(260)에 한개를 두어도 좋지만 중앙에 나사홀(240)을 중심으로 두개를 두는 것이 가장 좋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두개 이상을 두어도 좋다. 상기 보강부(220)는 볼록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구성한다.
상기 바닥부(260)의 양측면으로는 측벽(210)을 구성한다. 측벽은 상하의 일부분을 기둥의 형태로 구성한다.
상기 측벽(210)의 일단에 걸림돌기(213)를 구성하여 덮개부(100)의 구성과 대응되게 결합구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걸림돌기(213)에 대응되어 안착하도록 구성 결합하되 케이스 본체의 상단부는 덮개부(100);에 의하여 감싸도록 조립식 배선덕트(1000)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측벽(210)의 하단부에 측벽보강부(250)를 구성한다.
조립식 배선덕트가 가로세로의 크기가 커질 경우에는 쉽게 가요성을 가지게 되어 작업상 난해하고 운반에도 불리하고 깨지기 쉬운 특성을 갖게된다.
이에 대하여 측벽에 보강부(250)을 두어 휨을 방지한다.
또한 측벽 보강부가 있어서 측벽의 여타부분을 계속하여 탄성을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측벽의 일단에 상기 걸림돌기(213)를 둥근형상으로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한 경우에는 적절한 접촉력을 가질 뿐만아니라 덮개를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게 된다.
도1b도에 의하면 상기 보강부(220)는 두개의 볼록한 형상으로 구성한다.
정도에 따라서 또는 두께에 따라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을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도1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벽의 상부에 절취선(211,212)을 길이 방향으로 홈의 형상으로 구성하여 배선이 중간의 임의의 부분에서 분기될 경우에는 측벽에 해당하는 기둥부분을 상부에서 내측절취선(212)과 외측절취선(211)과 상기 측벽의 상부에 절취홈(217,218)이 추가로 구성되어 먼저 용이하게 절단한 후 하측 절취홈(215,216)을 이용하여 절단함으로서 임의의 방향으로 배선을 분기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절단함으로써 절단면이 매끄럽게 절단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도1b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절취선은 외측절취선(211)과 내측절취선(212)으로 구성되어 아주 용이하게 약간의 힘을 가하여도 측벽의 기둥부분을 절단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여기에 절취홈(217,218)이 있어서 최초에 기둥부분을 제거할 때에 가해지는 힘이 최소화하도록 한다.
하부에는 많은 배선이 장착되므로 비교적 힘을 많이 받게 되어 절취선을 상부에만 두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는 측벽의 기둥 상단부나 하단부가 코너에서 오히려 절단하기가 어려울 정도로 측벽에 해당하는 기둥의 여타부분보다 두툼하게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측벽기둥의 단부에 절취홈을 구성하여 매끄럽게 절단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측벽의 하부에 절취홈(215,216)을 구성한다.
물론 상부에도 절취홈(217,218)을 구성한다.
상부의 측벽은 절취선을 좌우(211,212)로 구성하고 절취홈(217,218)도 구성하여 절단하는데 매우 용이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에 절취홈(215,216)은 측벽의 하단부의 좌우에 구성하되 이미 상단부의 절취선과 절취홈을 통하여 절단하였기 때문에 하단부를 절단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측벽보강부(250)는 상기 측벽보다 외부로 보강한다.이럴 경우에는 하단부에 상단부처럼 절취선을 그은 효과가 있어 상단부의 절취선(211,212)을 통하여 절단된 측벽기둥에 해당되는 부분은 외부방향으로 힘을 주면 측벽보강벽(250)이 미는 힘을 지탱하게 되어 용이하게 절단된다.
또한 하부의 절취홈(215,216)을 통하여도 좌우로 이동하여 케이스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측벽 기둥부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측벽(210)은 기둥의 형태를 가진다.
상기 측벽의 상단부에 있는 상기 걸림돌기(213)는 좌우 동일한 구성으로 상기 측벽의 좌측을 기준으로 물음표의 형상으로 구성하여 접촉력을 높이면서도 용이하게 본체케이스와 덮개부를 착탈할 수 있도록 한다.
도2a와 도2b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측벽의 상부는 상부로부터 상기 걸림돌기(213)와 제2접촉부(214)로 구성되어 접촉력을 높이면서도 안정되고 덮개부(100)를 케이스 본체(200)로부터 탈착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
상기 덮개부의 상부에 보강부(115,116)를 두어 덮개부가 박막의 형태로 제조될 경우 또는 덮개부의 표면이 규격에 비하여 얇게 구성될 경우에 하나 이상의 보강부를 배선덕트의 길이방향으로 두도록 구성한다.
상기 덮개부(100)는 좌우 동일한 구성으로 상기 덮개부의 좌측을 기준으로 5자 형상으로 구성하여 케이스본체(200)의 물음표로 구성한 것에 대응되게 구성한다.
도3a와 도3b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덮개부(100)는 상기 측벽의 상부에 상기 걸림돌기(213)에 상응하는 걸림안착부(113)를 구성하여 조립에 원할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걸림돌기(213)는 물음표의 구성을 갖는 것으로 끝단에는 둥그렇게 구성되어 덮개와 결합 시 및 탈착 시에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밀착을 유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제2접촉부(214)와 대응되도록 상기 덮개부(100)에 제1접촉부(114)가 구성되어 접촉력을 높이면서도 원할하고 안정되게 탈부착한다.
100:덮개부 113:걸림안착부 114:제1접촉부 115,116:덮개보강부
200:케이스본체 210:측벽 211:외측절취선 212:내측절취선
213 :걸림돌기 214:제2접촉부
220: 본체보강부 215,216:하측절취홈 217,218:상측절취홈
240: 나사홀 250: 측벽보강벽 260: 본체 바닥
1000:조립식 배선덕트

Claims (18)

  1. 케이스본체(200);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바닥부에 구성된 본체 보강부(220);
    상기 본체 보강부는 채워진 볼록 형상으로 구성하고,
    길이방향으로 타원형 기둥에 해당하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양단에 구성된 측벽(210);
    상기 측벽의 상부에 배선이 분기를 할 때 상기 측벽을 용이하게 절단하도록 절취선이 길이 방향으로 홈의 형상(211)을 가지고 있고,
    상기 측벽의 하단부에 측벽보강부(250)를 구성하되,
    상기 측벽보강부(250)는 상기 측벽보다 외부로 보강한 것으로,
    상기 측벽보강부의 상부의 측벽은 기둥(210)의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측벽의 일단에 구성된 걸림돌기(213);
    상기 측벽의 상단부에 있는 상기 걸림돌기는 좌우 대칭인 구성으로 상기 측벽의 좌측을 기준으로 물음표의 형상(?)의 단부(213)로 길이방향으로 굵은 원기둥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측벽의 상부는 상기 물음표 형상의 하측부에 해당하는 제2접촉부(214);
    상기 제2접촉부(214)와 대응되도록 덮개부에 5자형상의 하측부에 해당하는 제1접촉부(114)가 구성되고,
    상기 물음표 형상의 구성에 대응되어 안착하도록 구성 결합하는 덮개부(100);
    덮개부는 상기 측벽의 상부에 상기 물음표 형상의 단부가 안착되는 걸림안착부(113)를 구성하되
    덮개부의 측부는 좌우 대칭인 구성으로 덮개부의 좌측을 기준으로 5자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배선덕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은 외측절취선(211)과 내측절취선(21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선덕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하부에 절취홈(215,216)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선덕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상부에 절취홈(217,218)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선덕트.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홈(217,218)은 측벽의 좌우에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선덕트.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보강부(220)는 길이방향으로 두개의 채워진 볼록한 형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선덕트.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1항 또는 제5항 내지 7항 또는 9항 또는 11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상부에 보강부를 두되 채워진 볼록부를 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선덕트.









  17. 삭제
  18. 삭제
KR1020160164448A 2016-12-05 2016-12-05 조립식 배선 덕트 KR101726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448A KR101726673B1 (ko) 2016-12-05 2016-12-05 조립식 배선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448A KR101726673B1 (ko) 2016-12-05 2016-12-05 조립식 배선 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6673B1 true KR101726673B1 (ko) 2017-04-26

Family

ID=58704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448A KR101726673B1 (ko) 2016-12-05 2016-12-05 조립식 배선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667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2583B1 (ko) * 2004-12-30 2005-10-20 주식회사 다현 케이블 트레이, 레이스웨이, 및 케이블 덕트로 공용될 수 있는 알루미늄 합금제 컬러 다목적 덕트
KR100785340B1 (ko) * 2007-07-03 2007-12-17 이병렬 케이블덕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2583B1 (ko) * 2004-12-30 2005-10-20 주식회사 다현 케이블 트레이, 레이스웨이, 및 케이블 덕트로 공용될 수 있는 알루미늄 합금제 컬러 다목적 덕트
KR100785340B1 (ko) * 2007-07-03 2007-12-17 이병렬 케이블덕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094464A (ja) ケースの嵌合構造
JP6399383B2 (ja) 防振クランプ
KR101962549B1 (ko) 안내 장치
JP2010068388A (ja) 電子機器のキャビネット
JP2006068522A (ja) おもちゃ組立ブロック
JP2009138362A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建築物の壁の目地棒
EP2806515B1 (en) Raceway assembly for conductor cables, raceway and retainer suitable for being part of said assembly
JP2004081131A (ja) 飼育ケース
KR20170043815A (ko) 냉장고용 유리선반
KR101726673B1 (ko) 조립식 배선 덕트
WO2018079271A1 (ja) ワイヤーハーネスモジュール
US20180205210A1 (en) Wire housing protector
KR100716775B1 (ko) 케이블트레이의 결합구조
JP2008003332A (ja) 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JP6203656B2 (ja) 容器
JP2009268163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JP2013044142A (ja) 幅木
WO2016088531A1 (ja) ワイヤハーネス用の外装材
JP2010149909A (ja) コンテナ用インナー及びインナー付きコンテナ
JP2010252555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クランプ
JP2008136353A (ja) 配線用ボックス装置
FR2902245A1 (fr) Accessoire pouvant etre raccorde a une goulotte destinee a contenir des cables electriques
FR2549168A1 (fr) Systeme d'assemblage d'elements constitutifs identiques ou similaires de boitiers d'appareillage et elements constitutifs dotes d'un tel systeme
BE1022713B1 (fr) Boite d'attente pour armatures de liaison
JP2014054179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ク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