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2549B1 - 안내 장치 - Google Patents

안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2549B1
KR101962549B1 KR1020177005091A KR20177005091A KR101962549B1 KR 101962549 B1 KR101962549 B1 KR 101962549B1 KR 1020177005091 A KR1020177005091 A KR 1020177005091A KR 20177005091 A KR20177005091 A KR 20177005091A KR 101962549 B1 KR101962549 B1 KR 101962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elements
wall
wall element
guide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5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6024A (ko
Inventor
틸로-알렉산더 예커
Original Assignee
이구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이구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036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6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08Joints for connecting non cylindrical conduits, e.g.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the pipes all along their length, e.g. pipe channels or duc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59Ducts; Conduits; Hollow tubes for air blown fib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캐리어의 상단 부분 및/또는 바닥 부분을 안내하기 위하여, 선단측 종단의 영역으로부터 상호 연결된 벽 요소(1, 2, 45, 51)로 형성된, 측 방향적으로 대향하는 안내 벽을 포함하는 안내 장치, 특히 케이블 체인에 관한 것이다. 상기 벽 요소(1, 2, 45, 51)는 플라스틱의 단일 부재로 제조되고, 그리고 상기 요소를 확실한 그리고/또는 확실하지 않은 끼워맞춤으로 바로 인접한 벽 요소(1, 2, 45, 51)에 고정시킬 수 있는 단일 부재로 이루어진 제1 고정 수단(6)을 선단측 종단의 영역에 포함하여 벽 요소로부터의 분리 및 벽 요소의 반대 방향으로의 선회가 어떠한 방향으로도 방지된다.

Description

안내 장치{GUIDE DEVICE}
본 발명은 라인, 특히 에너지 안내 체인을 위한 안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아낸 장치는 그의 부분 (상부 런)이 다른 부분(하부 런) 위에 위치될 수 있고 그리고 상부 런과 하부 런이 아치형 부분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방식으로 변위 가능하며, 상부 런 및/또는 하부 런을 안내하기 위하여 적어도 한 영역에서 측 방향적으로 대향된 관계로 배치되며 그리고 측 방향적으로 서로 대향하는 벽 요소를 포함하되, 각 벽 요소는 벽 요소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2개의 종단면, 측 방향적으로 대향하는 벽 요소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바깥쪽, 측 방향적으로 대향하는 벽 요소 쪽으로 향하는 안쪽, 상부 측 및 아랫면을 포함하며, 안내 벽을 형성하는 벽 요소)는 그들의 선단부 종단의 영역에서 함께 연결되어 그들의 안쪽에서 그들은 전체 안내 벽에 걸쳐 연장된 연속적인 안내 표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내 벽을 갖는 이러한 안내 장치를 더욱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개선하는 것이며, 여기서 안내 벽을 형성하는 벽 요소는 안정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벽 요소들은 플라스틱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그리고 바로 인접한 요소로부터의 분리 및 어느 방향으로의 바로 인접한 벽 요소에 관한 회전에 대항하여 바로 인접한 벽 요소로의 확실한 록킹 및/또는 강제 록킹 고정을 위하여 그의 전방측 종단의 영역에서 그 위에 일체로 형성된 제1 고정 수단을 갖는다는 점에서 상기 목적은 본 명세서의 도입부에서 개진된 종류의 안내 장치에 의하여 얻어진다.
다수의 벽 요소를 갖는 안내 벽을 포함하는 안내 장치의 부분들이 다른 (개별적인) 고정 수단 없이 자체가 안정적인, 운송 및 조립시 견고하게 취급될 수 있고 그리고 전체 길이에 걸쳐 자기 지지되는 구성 요소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바로 인접한 벽 요소들을 연결하기 위한 제1 고정 수단은 맞추어질 수 있다.
벽 요소는 예를 들어 0.5m 내지 1m의 길이일 수 있다. 그러면 안정적인 요소를 형성하는 2개 또는 3개의 연결된 벽 요소는 1m 내지 3m의 길이다.
인접한 벽 요소의 연결을 위한 제1 고정 수단은 안내 장치의 벽 요소의 제2 또는 제3 벽 요소만이 베이스, 예를 들어 크레인 설비 내의 장착 브라켓 상에 고정되어야만 하도록 더 설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베이스 등 상에 벽 요소를 고정하기 위하여 벽 요소는 그 위에 일체로 형성된 제2 고정 수단을 갖는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양 가이드 벽의 벽 요소는 서로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또한, 벽 요소는 전체 높이에 걸쳐 실질적으로 동일한 벽 두께일 수 있다.
안내 장치 내로의 라인, 특히 에너지 안내 체인의 더 양호한 삽입을 위하여, 벽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그들의 상단측의 영역 내에서 외측으로 만곡진다.
제1 고정 수단을 형성하기 위하여, 2개의 종단 중 한 종단의 영역에서 벽 요소는 문제의 종단면에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가질 수 있으며, 그리고 다른 종단의 영역에서 벽 요소는 돌출부에 대응하고 그리고 바로 인접한 벽 요소의 돌출부가 들어갈 수 있는 개구를 갖는다.
바람직한 개발안에서, 벽 요소는 평평한 종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벽 요소가 바로 인접한 벽 요소의 바깥쪽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그리고 높이에 관하여 중간 공간 없이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2개의 돌출부 사이에서 맞물리는 방식으로, 종단 면에서의 선단측 종단의 영역에서 벽 요소는 선단측 종단에 다른 선단측 종단에서의 돌출부 또는 돌출부들에 대하여 높이 변위된 관계로 배치된 돌출 돌출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돌출부가 바로 인접한 벽 요소의 바깥쪽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도록 돌출부가 벽 요소 상에서 외부적으로 배치된다.
유리한 개발안에서, 벽 요소는 그들의 2개의 선단측 종단의 영역에서 그 위에 일체로 형성된, 상호 대응하는 래칭 수단을 가지며, 래칭 수단은 바로 인접한 벽 요소의 대응하는 래칭 수단과 래칭 연결을 수반할 수 있어 길이 방향으로 벽 요소의 서로로부터의 풀어짐을 방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선단측 종단들 중 하나의 영역에서는 래칭 수단이 래칭 영역을 갖고 문제의 종단면에서 돌출된 돌출부 형태이며, 그리고 다른 선단측 종단의 영역에서는 대응하는 래칭 수단이 바로 인접한 벽 요소의 돌출부의 래칭 영역이 래치될 수 있는 개구를 구비한다.
돌출부의 래칭 영역은 벽 요소의 바깥쪽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으며, 여기서 래칭 영역에 대응하는 개구는 벽 요소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부분에 제공된다.
바람직한 개발안에서, 이 부분에서 개구는 윈도우형 구성이며, 래칭 영역은 윈도우형 개구에 대응한다.
래칭 영역 및 개구를 갖는 부분은 문제의 종단면에서 1/2만큼 각각 돌출될 수 있다. 특히, 바로 인접한 벽 요소의 연결 조건에서, 래칭 영역 및 개구를 갖는 부분은 서로 지지하는, 벽 요소의 종단면에 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 구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또는 유사한 부재에 벽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 수단은, 벽 요소의 하부면에 평행하게 연장된, 벽 요소의 종단면에 대하여 돌출된 그리고 바로 인접한 벽 요소에 대한 벽 요소의 연결시 중첩되는 고정 러그 형태이다.
고정 러그는 특히 벽 요소의 바깥쪽에서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고정 러그는 벽 요소의 안쪽에서 각각의 대향적으로 배치된 벽 요소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길이 방향으로의 바로 인접한 벽 요소의 분리에 대한 추가적인 보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텅-및-그루브 연결은 고정 러그의 중첩 영역 내에 제공될 수 있다. 그루브는 벽 요소의 문제의 종단면에서 멀어지게 향하는, 하나의 고정 러그의 한 종단부 내에서 벽 요소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가로 질러 연장되며, 반면에 텅은 벽 요소의 다른 종단면에서 돌출된 대응하는 종단부 내에서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벽 요소의 선단측 종단의 영역 내에서 그의 상단측으로 연결되고, 벽 요소의 바깥쪽에서 일체로 형성되며 그리고 종단면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또한 고정 러그와 각도를 형성하는 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발안은 벽 요소는 반대로 배치된 벽 요소 쪽으로 그들의 선단측 종단의 영역 내에서 향하는 림을 갖되, 이 림은 반대로 배치된 벽 요소의 림에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림들은 중간 림의 삽입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안내 장치, 특히 에너지 안내 체인 내에서 안내될 라인의 폭에 대한 적응을 위하여, 벽 요소에 형성된 림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다른 길이의 중간 림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2개의 바로 인접한 벽 요소의, 바람직하게는 서로 기대는 인접한 림들은 중간 림으로의 연결을 위하여 서로 래칭 수단을 구성한다. 이렇게 하여 바로 인접한 벽 요소들은 서로 더욱 강하게 유지된다.
또한, 안내 장치, 특히 에너지 안내 체인 내에서 변위 가능한 라인의 하부 런을 지지하기 위하여, 안내 레일들은 적어도 한 쌍의 대향적으로 배치된 벽 요소의 안쪽에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라인의 배치, 특히 하부 런의 자유단이 안내 장치에 대하여 정지 연결부를 갖고 그리고 상부 런의 자유단이 안내 장치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연결부를 갖는 에너지 안내 체인의 배치의 경우에, 하부 런을 위하여 위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 레일을 갖는 벽 요소는 라인의 변위시 대략적으로 상부 런의 최대 길이에 걸쳐 정지 연결부로부터 연장된다. 이 제1 부분에서, 상부 런은 예를 들어 하부 런에 걸쳐 자체 지지 관계로 연장될 수 있거나 또는 소정의 자기 지지 길이 후에 하부 런 상에 지지될 수 있다. 보다 긴 주행 거리가 관련될 때, 위에서 언급된 안내 장치의 제1 부분 바깥쪽의, 즉 하부 런의 정지 연결부 너머의 상부 런을 위한 지지가 안내 장치의 제2 부분에 제공된다. 라인, 특히 에너지 안내 체인의 변위 시 제2 부분은 대략적으로 상부 런의 최대 길이에 걸쳐 정지 연결부로부터 연장된다.
이 제2 부분에서, 안내 장치는 벽 요소를 가질 수 있으며, 라인, 특히 에너지 안내 체인의 상부 런을 위하여 벽 요소의 안쪽에서 안내 레일은 일체로 형성된다.
벽 요소의 벽 영역은 바로 인접한 벽 요소들의 연결을 위한 제1 고정 수단과 상부 런을 위한 안내 레일 아래에서 베이스 등 상에 벽 요소를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제2 고정 수단 사이에서 중단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부분의 일체형 벽 요소들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동일하다.
상부 런을 위하여 일체로 형성된 안내 레일들에 대한 대안으로서 위에서 언급된 안내 장치의 제2 부분 내에 대향적으로 배치된 벽 요소는 그들의 안쪽에 상부 런을 위한 개별 안내 레일을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 개별 안내 레일은 확실한 록킹 및/또는 강제-록킹 관계로 다른 높이에서 벽 요소에 고정될 수 있다.
안내 레일은 경사진 단면의 기다란 요소이며, 여기서, 하나의 레그는 문제의 벽 요소로의 고정을 위해 의도된 것이며 그리고 이 레그에 실질적으로 직교적으로 연장된 제2 레그는 상부 런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고정 목적을 위한 레그는 그의 종단 영역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또한 중앙 영역에서 벽 요소 쪽으로 향하는 노브를 가질 수 있으며, 노브는 확실한 록킹 및/또는 강제 록킹 관계로 벽 요소 내의, 노브에 대응하는 개구 내로 끼워진다.
벽 요소 상에서의 상부 런을 위한 개별적인 안내 레일의 높이 조정을 허용하기 위하여, 서로 위에 배치된 다수의 개구가 벽 요소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하부 런을 위하여 위에 일체로 형성된 안내 레일을 갖는 이러한 벽 요소는 위에서 언급된 안내 장치의 제1 및 제2 부분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부 런을 위한 개별적인 안내 레일은 제2 부분 내에서 벽 요소에만 고정된다. 이 실시예에서, 안내 장치를 위하여 사용된 모든 벽 요소는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면을 참고하여 이후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a는 2개의 바로 인접한 벽 요소를 포함하는 안내 장치의 부분의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부분의 평면도.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부분의 외부에 대한 측면도.
도 1d는 화살표 A의 방향에서의 도 1a에 도시된 부분의 외부에 대한 단면도(end view).
도 2a는 도 1a의 우측에 도시된 하나의 벽 요소의 내부에 대한 사시도.
도 2b는 벽 요소의 외부에 대한 사시도.
도 2c는 외부를 향하는 벽 요소의 측면도.
도 2d는 벽 요소의 내부를 향하는 측면도.
도 2e는 도 2a 내의 화살표 B 방향으로의 벽 요소의 단면도(end view).
도 3a는 도 1a의 좌측에 도시된 하나의 벽 요소의 외부에 대한 사시도.
도 3b는 벽 요소의 내부에 대한 사시도.
도 3c는 벽 요소의 외부에 대한 측면도.
도 3d는 벽 요소의 내부에 대한 측면도.
도 3e는 도 3a 내의 화살표 C 방향으로의 벽 요소의 단면도(end view).
도 4a는 2개의 벽 요소를 포함하는 안내 장치의 부분을 위한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부분의 평면도.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부분의 외부에 대한 측면도.
도 4d는 도 4c 내의 영역 A의 확대도.
도 4e는 화살표 D 방향으로의 도 4a 내에 도시된 부분의 단면도(end view).
도 5a는 도 4a에 도시된 하나의 벽 요소의 외부에 대한 사시도.
도 5b는 벽 요소의 내부에 대한 사시도.
도 5c는 벽 요소의 외부에 대한 측면도.
도 5d는 벽 요소의 내부에 대한 측면도.
도 5e는 도 5b 내의 화살표 E의 방향으로의 벽 요소의 단면도(end view).
도 6a는 도 4a에 도시된 안내 레일의 내부에 대한 사시도.
도 6b는 안내 레일의 외부에 대한 사시도.
도 6c는 안내 레일의 내부에 대한 사시도.
도 6d는 안내 레일의 외부에 대한 측면도.
도 6e는 도 6b 내의 화살표 F의 방향으로의 안내 레일의 사시도.
도 7a는 벽 요소의 다른 실시예의 외부에 대한 사시도.
도 7b는 벽 요소의 내부에 대한 사시도.
도 7c는 벽 요소의 외부에 대한 측면도.
도 7d는 벽 요소의 내부에 대한 측면도.
도 7e는 도 7b 내의 화살표 G의 방향으로의 벽 요소의 단면도(end view).
도 1a 내지 도 1d는 안내 장치의 제1 실시예의 부분을 도시하며, 이 안내 장치는 2개의 벽 요소(1, 2)를 각각 포함하는 2개의 상호 대향하는 안내 벽을 포함한다. 도 1a의 하부 우측에 도시된 벽 요소(1)는 이와 동일한 다른 벽 요소(1)에 의하여 인접해 있으며 그리고 에너지 안내 체인(도시되지 않음)의 하부 런(run)을 지지하기 위한 안내 장치의 제1 부분을 형성한다. 동일하게, 도 1a의 하부 우측에 도시된 벽 요소(2)는 이와 동일한 다른 벽 요소(2)에 의하여 인접해 있으며 그리고 에너지 안내 체인의 상부 런을 지지 그리고 안내하기 위한 안내 장치의 제2 부분을 형성한다. 도 1a의 도면으로 보여질 수 있는 안내 장치는 그 안에서 안내될 에너지 안내 체인의 하부 런의 자유단이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된 벽 요소(1) 들 사이에 정지 연결부를 갖도록 그리고 하부 런이 안내 장치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연결부를 갖도록 설계된다. 에너지 안내 체인의 2개의 런은 아치형 부분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며, 여기서 에너지 안내 체인의 아치형 부분은 그의 변위시 안내 장치의 위에서 언급된 부분 내에서 왕복 운동으로 움직인다.
위에서 언급된 제1 부분에서, 그의 각 길이에 의존하는 상부 런은 하부 런에 걸쳐 자기 지지 관계로 연장될 수 있거나 주어진 자기 지지 길이 후에 하부 런 상에 지지될 수 있다. 상부 런이 안내 장치의 위에서 언급된 제2 부분 내로의 하부 런에 의하여 가능하게 지지된 위에서 언급된 제1 부분에 걸쳐 연장된다면, 벽 요소(2)의 안쪽에 배치된 안내 레일(3)에 의하여 지지되고 그리고 안내된다. 안내 레일(3)의 상단 측(4)의 높이는 적어도 에너지 안내 체인의 하부 런의 높이에 대략적으로 대응하며, 그리고 에너지 안내 체인은 제 1 부분에 배치된다.
제1 부분과 제2 부분 각각의 제1 벽 요소(1, 2)는 서로 동일하며 그리고 플라스틱으로부터 일체로 사출된다. 도 1a로부터 보여질 수 있는 바와 같이, 벽 요소의 안쪽(5)이 상부 런을 위해서는 벽 요소(1, 2)의 길이 방향으로 그리고 하부 런을 위해서는 위에서 언급된 제1 부분 내에서 연장하는 연속적인 안내 표면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안내 장치의 2개의 대향 배치된 안내 벽을 형성하는 벽 요소(1, 2)는 서로간에 마주보는 종단 면에서 서로 연결된다. 즉, 그들의 서로를 향하는 종단 면의 영역에 벽 요소(1, 2)의 상호 인접한 안쪽(5)들 사이에 자유 공간이 없다.
어떠한 방향으로의 벽 요소로부터의 분리 그리고 벽 요소에 대한 선회적인 이동에 대항하여 바로 인접한 벽 요소(1, 2)를 확실하게 록킹하고 고정하기 위하여 벽 요소(1, 2)는 그들의 전방측 종단의 영역에서 그 위에 일체로 형성된 제1 고정 수단(6)을 갖는다. 다른 별도의 고정 수단 없이 이후에 설명되는 고정 수단은 2개 또는 3개의 벽 요소(1, 2)를 갖는 안내 벽을 포함하는 안내 장치의 부분이 그 자체로 안정적인 요소를 형성하도록 설계되며, 운반시 그리고 조립시 그 요소들은 확실하게 그리고 안전하게 취급될 수 있으며 그리고 그들의 전체 길이에 걸쳐 자체 지지된다. 실시예에서 사용된 벽 요소(1, 2)는 0.5m의 길이이며 그리고 상호 연결 상태에서 2개 또는 3개의 벽 요소(1. 2)를 포함하는 안정적인 요소를 형성한다.
이러한 요소를 위하여, 각각의 제2 또는 제3 벽 요소(1, 2)만이 베이스, 예를 들어 크레인 설비 내의 장착 브라켓 상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충분할 수 있다.
장착 브라켓을 또한 포함할 수 있는 베이스 상에서의 고정을 위하여, 벽 요소(1, 2)는 그 위에 일체로 사출 성형된 제2 고정 수단을 갖는다.
가이드 장치의 위에서 언급된 제1 및 제2 부분을 구성하는 2개의 벽 요소(1, 2)가 도 2a 내지 도 2e 및 도 3a 내지 도 3e에 각각 더욱 상세하게 도시된다. 도면으로부터 보여질 수 있는 바와 같이, 벽 요소(1, 2)는 실질적으로 그들의 전체 높이에 걸쳐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이다. 안내 장치로의 에너지 안내 체인의 보다 양호한 도입을 위하여, 벽 요소(1, 2)는 그의 상단측(8)의 영역에서 외측으로 만곡진다.
벽 요소(1, 2)는 평평한 종단면(9. 10)을 갖는다. 바로 인접한 벽 요소(1, 2)들을 연결하기 위한 제1 고정 수단(6)은 종단 면(9, 10)에서의 그리고 벽 요소(1, 2)의 바깥쪽(13)에서의 벽 요소(1, 2)의 2개의 종단의 영역 내에서 돌출된 돌출부(11, 12)를 포함한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가 그의 선단 영역에서 바로 인접한 벽 요소 (1, 2)의 바깥쪽을 덮고 그리고 서로 간의 높이에 있어서 중간 공간을 형성하지 않고 결합하는 방식으로 종단 면(9)에서의 돌출부(11)는 종단 면(110)에서의 돌출부(12)에 관하여 높이 변위된 관계로 배치된다. 바로 인접한 벽 요소(1, 2)가 서로 연결될 때, 돌출부(11, 12)는 서로 간의 벽 요소(1, 2)의 정확히 높이 방향 정렬을 제공하고 그리고 벽 요소 (1, 2) 간의 연결을 확보하여 그들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횡 방향으로의 벽 요소의 해제를 방지한다.
바로 인접한 벽 요소(1, 2)를 연결하기 위한 제1 고정 수단(6)은 벽 요소(1, 2)의 종단의 영역에서 벽 요소(1, 2) 상에 단일 부재로 사출 성형된, 상호 대응하는 래칭 수단(14, 15)들을 더 포함한다. 종단면(10)의 영역 내의 래칭 수단(14, 15)은 문제의 종단 면(10)에서 돌출된, 래칭 영역(16)을 갖는 돌출부 형태이다. 다른 종단면(9)의 영역에서의 래칭 수단(14)에 대응하는 래칭 수단은 윈도우형 개구(17)를 구비하며, 이 개구 내에서 바로 인접한 벽 요소(1, 2)의 돌출부의 래칭 영역(16)은 래치될 수 있다. 돌출부의 래칭 영역(16)은 벽 요소(1, 2)의 바깥쪽(13)으로부터 돌출되며, 여기서 래칭 영역(16)에 대응하는 윈도우형 개구(17)는 벽 요소(1, 2)의 바깥쪽으로부터 돌출된 부분(18) 내에 제공된다.
래칭 영역(16) 그리고 윈도우형 개구(17)를 갖는 부분(18)은 각각 종단면(9 및 10)에서 각각 절반만큼 돌출되며 따라서 바로 인접한 벽 요소(1, 2)의 연결된 상태에서 도 1c로부터 특히 보여질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들은 벽(1, 2)의, 서로 기대어 있는 종단면(9, 10)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이다.
베이스 상에서 벽 요소(1, 2)를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 수단(7)은 벽 요소(1, 2)의 아랫면(19)과 연장된 고정 러그(20, 21) 형태이다. 특히 도 1a 및 도 1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들은 벽 요소(1, 2)의 종단면(9 및 10) 각각에 대하여 돌출되며 그리고 바로 인접한 벽 요소(1, 2)에 연결될 때 중첩된다. 고정 러그는 벽 요소(1, 2)의 외측(13)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분리 및 기울어짐에 대항하여 부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텅-및-그루브 연결이 고정 러그(20, 21)의 중첩 영역에 제공된다. 그루브(22)는 벽 요소(1, 2)의 각 종단면(9)에서 멀어지게 향하는 종단부 내에서 벽 요소(1, 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가로 질러 연장되며, 반면에 텅(23)은 벽 요소(1, 2)의 다른 종단면(10)에서 돌출된 대응하는 종단부 내에서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벽 요소(1, 2)의 바깥쪽에 일체로 형성된 그리고 벽 요소(1, 2)의 종단 영역 내에서 그의 상단측(9)으로 연장된 림(24, 25)이 존재하며, 이 림은 종단면(9 및 10)으로부터 이격되게 각각 배치되고 또한 고정 러그(20 및 21)와 각도를 형성한다.
대향하는 벽 요소(1, 2)에 벽 요소(1, 2)를 고정하기 위하여, 벽 요소(1, 2)의 안쪽(5)에서 고정 러그(20, 21)에 대향하여 사출 성형함에 의하여 림(26, 27)이 구성되며, 이 림(26, 27)은 대향 벽 요소(1, 2)의 림(27 및 26)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림(26, 27)은 대향하는 벽 요소(1, 2)의 림(26 및 27) 사이에 배치된 중간 림(32) 상의 래칭 수단(30 및 31)과 협력하는 래칭 수단(28, 29)을 그들의 자유단에 구비한다. 다른 길이의 중간 림(32)에 의하여, 안내 장치의 폭, 즉 대향하는 벽 요소(1, 2)의 안쪽(5)의 공간이 안내될 에너지 안내 체인의 폭에 맞추어질 수 있다.
고정 러그(20, 21)는 바로 인접한 벽 요소(1, 2)의 고정 러그의 중첩시 서로 일렬로 정렬되면서 그리고 고정 스크류 또는 볼트를 통과시키는 역할을 하는 개구를 갖는다.
바로 인접한 벽 요소(1, 2)가 연결될 때,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림(26, 27)은 서로 받쳐지고 그리고 한 쌍의 림을 형성한다. 안정적인 고정 연결을 이루기 위하여 한 쌍의 림의 래칭 수단(28, 29)은 중간 림(32) 상의 대향적으로 배치된 래칭 수단(30, 31)과 협력하는 래칭 수단을 형성한다.
특히, 도 1b, 도 2b 및 도 2d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안에 장착될 에너지 안내 체인의 하부 런을 지지하기 위하여 안내 레일(33)은 벽 요소(1)의 안쪽(3)에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안내 레일은 림(26 및 27)들 사이로 연장되며 그리고 동일한 높이에서 그들과 연속적인 상단측(34)을 갖는다.
바로 인접한 벽 요소(1, 2)에 확실한 록킹 및/또는 강제-록킹 관계로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 수단(6)을 포함하는 벽 요소(1, 2)의 선단 영역은 이하 고정 영역(35, 36)으로 언급된다. 이들은 베이스 상에 벽 요소(1, 2)를 고정하기 위하여 제2 고정 수단(7)을 포함할 수 있다. 고려되는 실시예에서, 림(24 및 25)으로부터 종단면(9 및 10)으로 각각 연장된 벽 영역(37, 38) 그리고 그 아래쪽에서 일체로 사출 성형된 고정 러그(20 및 21)가 포함된다.
벽 요소(1)의 벽 영역(39 및 40)이 삽입될 에너지 안내 체인의 상부 런 및 또한 하부 런 모두를 측 방향으로 안내함에 따라 이들은 실질적으로 고정 영역(35 및 36)의 전체 높이에 연장된다. 안내 장치 상에서 횡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관하여 벽 요소(1)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안내 영역과 고정 영역(35 및 36) 사이에 벽 요소(1)는 외측으로 만곡진 볼록부(41)를 갖는다.
도 1a, 도 1c 그리고 특히 도 3a 내지 도 3e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벽 요소(2)의 벽 영역(42)은 고정 영역(35 및 36) 사이 그리고 안쪽(5)에 사출된 안내 레일(3)과 벽 요소(1)의 경우와 동일한 높이로 배치된 상단측(8) 사이에서 연장된다. 고정 영역(35 및 36) 사이의 벽 영역(42) 아래의 공간은 개방된다.
도 3b 내지 도 3d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돌출부(43)가 안내 레일(3)의 종단에 배치되며 그리고 돌출부(43)에 대응하는 그루브(44)는 안내 레일(3)의 다른 종단에 배치된다. 2개의 바로 인접한 벽 요소(2)가 서로 끼워질 때, 돌출부(43)와 그루브(44)는 서로 맞물려지며, 그로 인하여 연결의 안정성을 부가적으로 향상시킨다.
도 4a 내지 도 4e는 안내 장치 내에서의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부분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 안내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을 도시한다. 위에서 설명된 벽 요소(1, 2)에 관하여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벽 요소(45)에 대한 차이점만이 이하에서 시작된다. 벽 요소(45)의 다른 세부 사항에 관하여, 도 4a 내지 도 4e 그리고 도 5a 내지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설명된 제1 실시예에 주목한다.
안내 장치의 제2 실시예의 모든 벽 요소(45)는 동일하며 그리고 플라스틱으로부터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벽 요소(45)의 안쪽(5)에서 다른 높이로 개별적인 안내 레일(46)을 배치하기 위한 장치를 제외하고는 벽 요소(45)는 제1 실시예의 벽 요소(1)와 대응한다.
도 6a 내지 도 6e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안내 레일(46)은 경사진 단면의 기다란 요소이며, 여기서, 하나의 레그(47)는 문제의 벽 요소(45)로의 고정을 위하여 제공되고 그리고 레그에 실질적으로 직교적으로 연장된 제2 레그(48)는 상부 런에 기대기 위하여 제공된다. 고정 목적을 위한 레그(47)는 그의 종단 영역에서 그리고 중앙 영역에서 벽 요소(45) 쪽으로 향하는 노브(49)를 가지며, 노브는 확실한 록킹 그리고 강제 록킹 관계로 벽 요소(45) 내의, 노브에 대응하는 개구(50) 내로 끼워진다.
벽 요소(45) 상에서 상부 런을 위한 개별적인 안내 레일(46)의 높이 조절을 허용하기 위하여, 서로 위에 배치된 다수의 개구(50)가 벽 요소(45)에 제공된다.
하부 런을 위하여 위에 일체로 형성된 안내 레일(33)을 더 갖는 이러한 벽 요소(45)는 위에서 언급된 안내 장치의 제1 및 제2 부분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여기서 상부 런을 위한 개별적인 안내 레일(46)은 제2 부분에서만 벽 요소(45)에 고정된다.
안내 장치의 제3 실시예에서, 도 7a 내지 도 7e에 도시된 벽 요소(51)가 사용된다.
도 1a 내지 도 1b 그리고 도 2a 내지 도 2b에 도시된 벽 요소(1)와 비교하여 단지 차이점은 벽 영역이 고정 영역(35 및 36) 사이에 원도우형 개구(52)를 갖는다는 것이다. 이는 그 위에 일체로 사출 성형된 안내 레일(33)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그 높이에 대해 연장되며, 이는 대략적으로, 벽 요소(51)의 상단 측에서 바깥쪽으로 만곡된 영역까지의 하부 런의 측 방향 안내를 위하여 충분하다.
위에서 설명된 제1 실시예의 벽 요소(1) 대신에, 벽 요소(51)는 안내 장치에서 위에서 설명된 제2 실시예의 벽 요소(2) 또는 벽 요소(45)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부 런을 위한, 지지 채널 형태의 안내 장치를 사용하기 위하여 벽 요소(51)가 사용될 수 있다.
1: 벽 요소
2: 벽 요소
3: 안내 레일
4: 상단 측
5: 내측
6: 제1 고정 수단
7: 제2 고정 수단
8: 상단 측
9: 종단면
10: 종단면
11: 돌출부
12: 돌출부
13: 외측
14: 래칭 수단
15: 래칭 수단
16; 래칭 영역
17: 개구
18: 부분
19: 하부측
20: 고정 러그
21: 고정 러그
22: 그루브
23: 텅(tongue)
24: 림(limb)
25: 림
26: 림
27: 림
28: 래칭 수단
29: 래칭 수단
30: 래칭 수단
31: 래칭 수단
32: 중간 림
33: 안내 레일
34: 상단측
35: 고정 영역
36: 고정 영역
37: 벽 영역
38: 벽 영역
39: 벽 영역
40: 벽 영역
41: 볼록 영역
42: 벽 영역
43: 돌출부
44: 그루브
45: 벽 요소
46: 안내 레일
47: 레그
48: 레그
49: 노브
50: 개구
51: 벽 영역
52: 개구

Claims (25)

  1. 부분 (상부 런)이 다른 부분(하부 런) 위에 위치될 수 있고 그리고 상부 런과 하부 런이 아치형 부분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방식으로 변위 가능하며, 상부 런 및 하부 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안내하기 위하여 적어도 한 영역에서 측 방향적으로 대향된 관계로 배치되며 그리고 측 방향적으로 서로 대향하는 벽 요소(1, 2, 45, 51)를 포함하되, 각 벽 요소는 벽 요소(1, 2, 45, 51)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2개의 종단면(9, 10), 측 방향적으로 대향하는 벽 요소(1, 2, 45, 51)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바깥쪽(13), 측 방향적으로 대향하는 벽 요소(1, 2, 45, 51) 쪽으로 향하는 안쪽(5), 상부 측(8) 및 아랫면(19)을 포함하며, 안내 벽을 형성하는 벽 요소(1, 2, 45, 51)는 그들의 선단부 종단의 영역에서 함께 연결되어 그들의 안쪽(5)에서 그들은 전체 안내 벽에 걸쳐 연장된 연속적인 안내 표면을 형성하며, 벽 요소(1, 2, 45, 51)는 플라스틱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그리고 바로 인접한 요소로부터의 분리 및 어느 방향으로의 바로 인접한 벽 요소에 관한 회전에 대항하여 바로 인접한 벽 요소(1, 2, 45, 51)로의 확실한 록킹 및 강제 록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고정을 위하여 그의 전방측 종단의 영역에서 그 위에 일체로 형성된 제1 고정 수단(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벽 요소(1, 2, 45, 51)는 반대로 배치된 벽 요소(1, 2, 45, 51) 쪽으로 그들의 선단측 종단의 영역 내에서 향하는 림(26, 27)을 갖되, 이 림은 반대로 배치된 벽 요소(1, 2, 45, 51)의 림(26, 27)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을 위한 안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 등의 위에 벽 요소(1, 2, 45, 51)를 고정하기 위하여 벽 요소(1, 2, 45, 51)는 그 위에 일체로 형성된 제2 고정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양 안내 벽의 벽 요소는 서로 동일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벽 요소(1, 2, 45, 51)는 그의 전체 높이에 걸쳐 실질적으로 동일한 벽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벽 요소(1, 2, 45, 51)는 그의 상단측(8)의 영역에서 외측으로 만곡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종단 중 하나의 영역 내에서 벽 요소(1, 2, 45, 51)는 문제의 종단면에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가지며, 그리고 다른 종단의 영역 내에서 벽 요소는 돌출부에 대응하는 개구를 가지며, 바로 인접한 벽 요소(1, 2, 45, 51)의 돌출부는 개구 내로 들어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벽 요소(1, 2, 45, 51)는 평평한 종단면(9, 1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벽 요소가 바로 인접한 벽 요소(1 2, 45, 51)의 바깥쪽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그리고 높이에 관하여 중간 공간 없이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1)가 2개의 돌출부(12) 사이에서 맞물리는 방식으로, 종단 면(9, 10)에서의 선단측 종단의 영역에서 벽 요소(1 2, 45, 51)는 선단측 종단에 다른 선단측 종단에서의 돌출부 또는 돌출부들(11 또는 12)에 대하여 높이 변위된 관계로 배치된 돌출 돌출부(11, 1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돌출부(11, 12)는 벽 요소(1, 2, 45, 51) 상에 외부적으로 배치되며 따라서 돌출부는 바로 인접한 벽 요소(1, 2, 45, 51)의 바깥쪽(13)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벽 요소(1, 2, 45, 51)는 그들의 2개의 선단측 종단의 영역에서 그 위에 일체로 형성된, 상호 대응하는 래칭 수단(14, 15)을 가지며, 래칭 수단은 바로 인접한 벽 요소(1, 2, 45, 51)의 대응하는 래칭 수단(15, 14)과 래칭 연결을 형성하여 길이 방향으로 벽 요소(1, 2, 45, 51)의 서로로부터의 풀어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선단측 종단들 중 하나의 영역에서 래칭 수단(14)은 래칭 영역(16)을 갖고 문제의 종단면(10)에서 돌출된 돌출부 형태이며, 그리고 다른 선단측 종단의 영역에서는 대응하는 래칭 수단(15)이 바로 인접한 벽 요소(1, 2, 45, 51)의 돌출부의 래칭 영역(16)이 래치될 수 있는 개구(1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돌출부의 래칭 영역(16)은 벽 요소(1, 2, 45, 51)의 바깥쪽(13)으로부터 돌출되며, 여기서 래칭 영역(16)에 대응하는 개구(17)는 벽 요소(1, 2, 45, 51)의 바깥쪽(13)으로부터 돌출된 부분(18) 내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개구(17)는 부분(18) 내의 윈도우형 구성이며, 래칭 영역(16)은 윈도우형 개구(17)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개구(17)를 갖는 부분(18)은 벽 요소(1, 2, 45, 51)의 문제의 종단면(19, 10)에서 절반만큼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
  15. 제2항에 있어서, 베이스 등 상에 벽 요소(1, 2, 45, 51)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2 고정 수단(7)은, 벽 요소(1, 2, 45, 51)의 아랫면(19)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벽 요소(1, 2, 45, 51)의 종단면(9, 10)에 관하여 돌출되고 그리고 바로 인접한 벽 요소(1, 2, 45, 51)로의 벽 요소(1, 2, 45, 51)의 연결시 중첩되는 고정 러그(20, 21)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고정 러그(20, 21)는 벽 요소(1, 2, 45, 51)의 바깥쪽(13)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텅-및-그루브 연결은 고정 러그(20, 21)의 중첩 영역 내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벽 요소(1, 2, 45, 51)의 선단측 종단의 영역 내에서 그의 상단측(8)으로 연결되고, 벽 요소(1, 2, 45, 51)의 바깥쪽(13)에서 일체로 형성되며 그리고 종단면(9, 10)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또한 고정 러그(20, 21)와 각도를 형성하는 림(24, 25)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
  19. 삭제
  20. 제1항에 있어서, 림(26, 27)들은 중간 림(32)의 삽입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2개의 바로 인접한 벽 요소(1, 2, 45, 51)의 인접한 림(26, 27)은 중간 림(32)으로의 연결을 위하여 서로 래칭 수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안내 장치 내에서 변위 가능한 라인의 하부 런을 지지하기 위하여, 안내 레일(33)들은 적어도 한 쌍의 대향 벽 요소의 안쪽(5)에서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
  23. 제1항에 있어서, 안내 장치 내에서 변위 가능한 선의 상부 런을 지지하기 위하여, 안내 레일(33)들은 적어도 한 쌍의 대향 벽 요소(1, 2, 45, 51)의 안쪽(5)에서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벽 요소(1, 2, 45, 51)의 벽 영역은 바로 인접한 벽 요소(1, 2, 45, 51)를 연결하기 위한 제1 고정 수단(6)과 상부 런을 위한 안내 레일(33) 아래에서 베이스 등 상에 벽 요소(1, 2, 45, 51)를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제2 고정 수단(6) 사이에서 중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
  25. 제1항에 있어서, 안내 장치 내의 변위 가능한 라인의 상부 런을 지지하기 위하여 분리된 안내 레일(46)이 적어도 한 쌍의 대향 벽 요소(1, 2, 45, 51)의 안쪽(5)에 구비되며, 이 가이드 레일은 벽 요소(1, 2, 45, 51)에 다른 높이에서 확실한 록킹 및 강제 록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관계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
KR1020177005091A 2014-07-31 2015-07-01 안내 장치 KR1019625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4103562.1 2014-07-31
DE202014103562.1U DE202014103562U1 (de) 2014-07-31 2014-07-31 Führungseinrichtung
PCT/EP2015/065000 WO2016015942A1 (de) 2014-07-31 2015-07-01 Führungsein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024A KR20170036024A (ko) 2017-03-31
KR101962549B1 true KR101962549B1 (ko) 2019-03-26

Family

ID=51629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5091A KR101962549B1 (ko) 2014-07-31 2015-07-01 안내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693285B2 (ko)
EP (1) EP3175523B1 (ko)
JP (1) JP6543694B2 (ko)
KR (1) KR101962549B1 (ko)
CN (1) CN107005036B (ko)
CA (1) CA2956720C (ko)
DE (1) DE202014103562U1 (ko)
PL (1) PL3175523T3 (ko)
WO (1) WO20160159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83804A4 (en) * 2017-09-11 2021-05-26 Melquisedec Francisquini STRUCTURAL ARRANGEMENT FOR USE IN A CONDUCTIVE BUSBAR
DE202017105927U1 (de) * 2017-09-28 2019-01-08 Igus Gmbh Führungseinrichtung
DE202018101686U1 (de) * 2018-03-26 2018-04-09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und Trennsteg hierfür
MY196925A (en) * 2018-07-13 2023-05-11 Eaton Intelligent Power Ltd Splice member for a cable tray
DE202019107117U1 (de) * 2019-12-19 2021-04-19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und Speichereinheit für eine Energieführungskette
DE202020101247U1 (de) * 2020-03-06 2021-06-09 Igus Gmbh Vertikal-Führungsrinne
DE202020103942U1 (de) * 2020-07-08 2020-07-27 Tsubaki Kabelschlepp GmbH Auflage für eine Energieführungskette
US11433830B2 (en) * 2020-10-01 2022-09-06 Deere & Company Wire harness tray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4011A (ja) 1998-08-17 2002-07-30 カーベルシユレツプ・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ライン案内装置
JP2005315382A (ja) 2004-04-30 2005-11-10 Tsubakimoto Chain Co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70212A (en) * 1927-05-04 1930-07-08 Charles W Keplinger Wiring trough
US2161492A (en) * 1928-08-21 1939-06-06 Wadsworth Electric Mfg Co Means for bank switch installations
US2658708A (en) * 1950-03-17 1953-11-10 Grosse Fred Stand for flatirons
US2905201A (en) * 1953-09-30 1959-09-22 Gen Electric Sectional wiring duct
NL253817A (ko) * 1959-07-21 1900-01-01 Burndy Corp
US3042351A (en) * 1960-05-27 1962-07-03 Bois Marvin A Du Cable trays
US3338599A (en) * 1965-06-30 1967-08-29 Square D Co Transposition section for lay-in duct
US3370121A (en) * 1967-06-26 1968-02-20 Danzer Metal Works Co Rf energy retaining raceway for communications cables
US3680817A (en) * 1969-11-28 1972-08-01 Electrovert Ltd Multi-way cable troughs
DE2337628A1 (de) * 1973-07-24 1975-02-06 Intermercury Finance & Trad Installationskanal
US3915420A (en) * 1974-10-07 1975-10-28 Crouse Hinds Co Cable tray
US4080742A (en) * 1974-11-04 1978-03-28 Osterried James L Kit of parts for forming a curved member, and curved member formed thereby
IT1036717B (it) * 1975-07-25 1979-10-30 Visentin Andrea Canalizzazione ad elementi prefab bricati in due parti e componibili fra lord
FR2337451A1 (fr) * 1975-12-31 1977-07-29 Technilec Sarl Conduit pour fils de distribution electrique et de signaux dans les batiments
US4077434A (en) * 1976-05-27 1978-03-07 Federal Cartridge Corporation Sealed lay-in conduit duct
FR2556517B1 (fr) * 1983-12-07 1986-09-26 Legrand Sa Goulotte composite, a corps en matiere synthetique et element(s) de revetement en metal, notamment pour logement de cables electriques
DE4140910C1 (ko) 1991-12-12 1993-02-25 Kabelschlepp Gmbh, 5900 Siegen, De
US5465929A (en) * 1993-08-19 1995-11-14 B-Line Systems, Inc. Ladder-type cable tray system
DE4445403B4 (de) * 1993-12-27 2006-04-06 Mirai Industry Co, Ltd. Kabelgestell und Kabelgestellhalter
US5602364A (en) * 1994-04-08 1997-02-11 Buchanan Construction Products, Inc. Panel Channel
US5663527A (en) * 1994-10-18 1997-09-02 Artwright Technology Sdn Bhd Stackable conduits with hook and hole clip means
WO1996031710A1 (de) * 1995-04-03 1996-10-10 Igus Spritzgussteile für die Industrie GmbH Führungsrinne für energieführungsketten
DE29610067U1 (de) * 1996-06-07 1996-08-29 Igus Gmbh Führungsrinne für Energieführungsketten
DE29610947U1 (de) * 1996-06-24 1996-08-22 Miranda Giovanni Kabelkanalprofil
IL124018A (en) * 1998-04-08 2001-01-11 Molek Efraim Interlocking modular ladder-type cable tray
DE19848525C2 (de) * 1998-10-21 2001-07-26 Lampertz Fab Org Bausatz für Kabelkanäle eines Arbeitsplatz-Möbels
US6242698B1 (en) * 1998-12-08 2001-06-05 Avaya Technology Corporation Interchangeable adapter face plates
DE29823135U1 (de) * 1998-12-31 1999-05-27 Igus Gmbh Führungsrinne
US6118075A (en) * 1999-02-17 2000-09-12 Lucent Technologies Inc. Stackable universal pitch cable trough system
DE29904796U1 (de) 1999-03-17 1999-07-08 Ruettiger Energieführungsketten-System
ES1045001Y (es) * 1999-12-30 2000-12-16 Aparellaje Electrico Sa Dispositivo retenedor de los conductores de una canalizacion electrica.
US20010022231A1 (en) * 2000-01-26 2001-09-20 Hellermann Tyton Corporation Modular duct
US6216746B1 (en) * 2000-02-04 2001-04-17 Hoffman Enclosures, Inc. Lay-in wireway
US6631875B1 (en) * 2000-09-26 2003-10-14 Adc Telecommunications, Inc. Cable trough with separate side elements
DE20101656U1 (de) * 2001-01-30 2001-04-19 Igus Gmbh Führungsrinne
US20040003935A1 (en) * 2001-05-11 2004-01-08 Tolmega Cableway
FR2827434B1 (fr) * 2001-07-13 2003-12-12 Legrand Sa Accessoire pour goulotte a troncons de hauteurs differentes
US6609684B2 (en) * 2001-07-20 2003-08-26 Adc Telecommunications, Inc. Flexible snap-together cable trough
US6603073B2 (en) * 2001-09-12 2003-08-05 Adc Telecommunications, Inc. Snap together cable trough system
DE10323681A1 (de) * 2003-05-22 2004-12-16 Rüttiger, Maximilian, Dipl.-Ing. (FH) Halteschienensystem für Energieführungsketten
US7784259B2 (en) 2004-01-23 2010-08-31 A&A Manufacturing Co., Inc. Monolithic enclosed cable carrier
US7471868B2 (en) * 2005-10-07 2008-12-30 Adc Telecommunications, Inc. Cable trough system and method
US7542650B2 (en) * 2005-12-19 2009-06-02 Telect Inc. Latching trough-coupling system
DE102006026854B3 (de) * 2006-06-09 2007-11-08 Wampfler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Montage eines Energieführungskettensystems
US7742675B2 (en) * 2007-01-26 2010-06-22 Adc Telecommunications, Inc. Cable trough system and method
DE102007017940A1 (de) * 2007-04-13 2008-10-16 Igus Gmbh Seitenwandsegment für eine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mit Seitenwandseg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Seitenwandsegmentes
WO2009032329A1 (en) * 2007-09-06 2009-03-12 Hoffman Enclosures, Inc. Horizontal cable manager
CN201159337Y (zh) * 2008-01-15 2008-12-03 王强 电缆桥架串联连接机构
US7939759B2 (en) * 2008-04-22 2011-05-10 Henry Stephen K Cable protector with removable dividers
US8079186B2 (en) * 2008-12-22 2011-12-20 Douglas Williams Soffit system
FR2951032B1 (fr) * 2009-10-02 2019-07-05 Safran Electrical & Power Chemin de cable evolutif pour aeronef a structure en materiau composite
US8193448B2 (en) * 2009-10-29 2012-06-05 American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of managing cables
WO2011088430A2 (en) * 2010-01-17 2011-07-21 Chatsworth Products, Inc. Horizontal cable manager
DE202011004785U1 (de) * 2011-04-01 2011-07-07 igus GmbH, 51147 Energieführungskette mit deformierbaren Gelenkelementen
DE202011100313U1 (de) 2011-05-05 2011-12-14 Igus Gmbh Halterung zur seitlichen Befestigung einer Führungsrinne für Energieführungsketten und Halterungssystem mit Halterung
CN103167769A (zh) * 2011-12-13 2013-06-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理线装置
DE202012000614U1 (de) * 2012-01-24 2012-04-17 Igus Gmbh Führungseinrichtung
DE202012003945U1 (de) 2012-04-20 2012-05-21 Igus Gmbh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für senkrechte Verfahrwege
US20150322987A1 (en) * 2014-05-07 2015-11-12 Pedro Rivera Romano Cable tray segments with integrated splice plates
US9964236B2 (en) * 2014-06-05 2018-05-08 Spectrum Catalyst Modular conduit system
ES1126630Y (es) * 2014-09-25 2015-09-03 Unex Aparellaje Electrico Sl Escalera portacables
US10103528B2 (en) * 2016-06-30 2018-10-16 Hellermanntyton Corporation Cable duc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4011A (ja) 1998-08-17 2002-07-30 カーベルシユレツプ・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ライン案内装置
JP2005315382A (ja) 2004-04-30 2005-11-10 Tsubakimoto Chain Co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93285B2 (en) 2020-06-23
WO2016015942A1 (de) 2016-02-04
EP3175523A1 (de) 2017-06-07
DE202014103562U1 (de) 2014-09-11
JP2017531137A (ja) 2017-10-19
CA2956720A1 (en) 2016-02-04
US20170222412A1 (en) 2017-08-03
CN107005036A (zh) 2017-08-01
CN107005036B (zh) 2020-03-06
JP6543694B2 (ja) 2019-07-10
KR20170036024A (ko) 2017-03-31
EP3175523B1 (de) 2018-05-02
PL3175523T3 (pl) 2018-10-31
CA2956720C (en) 202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2549B1 (ko) 안내 장치
KR101164720B1 (ko) 케이블 가이드 장치용 측벽 세그먼트 및 측벽 세그먼트를 갖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 그리고 측벽 세그먼트의 제조방법
JP3608779B2 (ja) ケーブルガイド
US6960728B1 (en) Electric fence wire insulator for a metal fence post
US20060273296A1 (en) Fence assembly with rail clip for use therewith
US9866000B2 (en) Cable ladder
KR200445747Y1 (ko) 마감재 체결구조
US5257961A (en) Guide channel for receiving and guiding guide chains for energy lines
US8853575B2 (en) Switching apparatus
JP6155337B2 (ja) 溝本体とカバーとを備える排水溝
FI80362C (fi) Baeranordning foer ackumulator.
US11217973B2 (en) Guide device for a line
AU2015273704A1 (en) Fastening part of a storage system
KR940011372B1 (ko) 분리 가능한 스트랩을 구비한 동력 공급 라인용 안내 체인
KR101792233B1 (ko) 행거 클램핑 장치
US6384329B2 (en) End cap for closing trunking for routing electrical conductors or cables
US20210131527A1 (en) Separator for an energy chain
GB2551640B (en) Housing system for electrical connectors
ES2869386T3 (es) Luminaria, en particular luminaria para espacios húmedos
US4718212A (en) Concrete insert
ES2369824T3 (es) Candado de consigna de fijación rápida.
KR20000069673A (ko) 에너지 가이딩 체인
RU2002103183A (ru) Сборный монтажный короб
KR20220150941A (ko) 수직 가이드 채널
PL215415B1 (pl) Skrzynka do osprzetu elektryczneg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