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2233B1 - 행거 클램핑 장치 - Google Patents

행거 클램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2233B1
KR101792233B1 KR1020150069144A KR20150069144A KR101792233B1 KR 101792233 B1 KR101792233 B1 KR 101792233B1 KR 1020150069144 A KR1020150069144 A KR 1020150069144A KR 20150069144 A KR20150069144 A KR 20150069144A KR 101792233 B1 KR101792233 B1 KR 101792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guide
stopper
guide channel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9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5599A (ko
Inventor
장재욱
Original Assignee
장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재욱 filed Critical 장재욱
Priority to KR1020150069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2233B1/ko
Publication of KR20160135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5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4Hangers in the form of band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each support having one transverse base for supporting the pipes
    • F16L3/227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each support having one transverse base for supporting the pipes each pipe being supported by a separate element fastened to the bas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행거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 간격으로 천장에 상단부가 매립되는 아이 볼트에 일측면으로 장공형상의 돌기(11)가 일정 간격으로 만곡지게 돌출되도록 한 띠형상의 밴드(10)를 감아 일부 겹쳐지도록 한 부위를 제1 밴드 결속구에 의해서 이탈 방지되게 연결되도록 하는 행거 클램핑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밴드(10)는 수직의 하단부가 동일한 높이에서 연결되며, 하단부의 양측 절곡단부에는 ㄴ자형의 가이드 채널(20)이 서로 마주보게 하면서 외주면을 따라 상기 밴드(10)가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 채널(20)은 상기 밴드(10)가 양측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가이드 채널(20)의 판면 양측을 외측과 하향 돌출되게 하여 밴드 가이드(21)가 형성되도록 하며, 양측의 밴드 가이드(21)를 수평 관통하는 제2 밴드 결속구(30)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 채널(20)과 상기 밴드(10)가 동시에 결속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양 가이드 채널(20)간으로 케이블 트레이(40)가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행거 클램핑 장치{Hanger clamping apparatus}
본 발명은 행거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에 아이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띠형상의 밴드에 한 쌍의 가이드 채널이 고정되도록 하여 이들 가이드 채널에 걸쳐 비교적 경량의 케이블 트레이 또는 흡배기 덕트와 같은 천장 구조물이 쉽고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행거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장에는 건물에 필요한 배관이나 전선 및 덕트 등의 설비가 구비되도록 하고 있고, 천장을 지나는 이들 설비들은 통상 행거나 트레이를 이용하여 설치하게 된다.
각종 설비들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행거나 트레이는 천장에 일단이 매설되는 스크류 볼트의 하단에 다양한 형상의 클램프가 고정되도록 하고, 이들 클램프들에 의해서 행거가 고정되거나 트레이가 결합되도록 한다.
하지만 천장에 일부 매설되는 스크류 볼트는 하향 인출되는 높이가 매우 다양하고, 일부 스크류 볼트는 형성 각도가 다르게 이루어지면서 이 스크류 볼트에 고정되는 클램프의 높이에 맞게 행거나 트레이가 설치되어야 하는 폐단이 있다.
등록특허 제1486552호(2015.01.20.명칭:다기능 행거 클램프)는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되어 이미 등록된 기술로서, 종래의 스크류 볼트를 생략하고, 아이 볼트와 띠형상의 밴드를 이용하여 균일한 높이에서 행거나 트레이가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천장에는 아이 볼트가 고정되도록 하고, 이 아이 볼트에는 띠형상의 밴드가 감겨지게 하면서 띠간 상호 겹쳐지도록 한 후 ㄷ자형의 밴드 결속구에 의해 풀림이 방지되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밴드의 하단부에도 행거 클램프가 감겨지게 하면서 띠간 상호 겹쳐지도록 한 후 ㄷ자형의 밴드 결속구에 의해 동일한 높이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그러나 밴드만으로는 개별적으로 관이나 클램프를 고정할 수는 있으나 복수의 전선이나 덕트를 고정할 수는 없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486552호(2015.01.20.)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띠형 밴드간을 한쌍의 ㄴ자형 가이드 채널에 의해 연결되게 함으로써 비교적 경량의 천장용 케이블 트레이나 환풍용 덕트 등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행거 클램핑 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나 환풍용 덕트를 상하 복층으로 적재시킬 수 있도록 하는 행거 클램핑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일정 간격으로 천장에 상단부가 매립되는 아이 볼트에 일측면으로 장공형상의 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만곡지게 돌출되도록 한 띠형상의 밴드를 감아 일부 겹쳐지도록 한 부위를 제1 밴드 결속구에 의해서 이탈 방지되게 연결되도록 하는 행거 클램핑 장치에 있어서,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행거 클램핑 장치에 의해 일정 폭으로 고정되는 아이 볼트간을 밴드에 의해서 연결하면서 양측 밴드의 하단부는 가이드 채널에 의해 측방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고, 밴드 결속구에 의해 가이드 채널에 밴드가 견고하게 고정되게 함으로써 양측의 가이드 채널간으로 비교적 경량인 천장용 케이블 트레이나 흡배기용 덕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밴드의 하단부에서 또 다른 밴드를 상호 겹쳐지게 연결하여 가이드 채널의 하부에서 재차 밴드 결속구에 의해 고정되게 하면서 가이드 채널을 이용하여 상하로 다중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행거 클램핑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행거 클램핑 장치에서 상부측 밴드 결속구에 의해 밴드를 고정시키는 구성을 예시한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행거 클램핑 장치에서 하부측 밴드 결속구에 의해 밴드를 고정시키는 구성을 예시한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행거 클램핑 장치에서 체결구의 결합 구조를 예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행거 클램핑 장치에서 밴드의 이탈을 방지시키기 위한 밴드 이탈 방지구의 결합 구조를 예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행거 클램핑 장치에서 케이블 트레이를 고정시키는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행거 클램핑 장치를 이용한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행거 클램핑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발명의 행거 클램핑 장치는 일정 폭의 띠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판면에서 일정 간격마다 일측면측으로 돌출되도록 돌기를 형성하는 밴드와 천장에서 밴드의 상단부가 감겨지도록 하는 아이 볼트와 아이 볼트의 하부에서 밴드가 겹쳐지도록 하여 측방에서 결합되는 제1 밴드 결속구에 의해 밴드의 상단부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의 제1 밴드 결속구는 ㄷ자 형상의 스토퍼와 이 스토퍼를 감싸는 스토퍼 캡으로 이루어지며, 아이 볼트에 걸쳐지도록 하면서 아이 볼트의 직하부에서 밴드간을 겹쳐지도록 하여 제1 밴드 결속구를 결합시키게 되면 밴드는 풀림이 방지되면서 견고하게 고정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천장에 고정되는 아이 볼트와 제1 밴드 결속구를 이용하여 밴드의 상단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은 본 출원인의 선등록특허에서와 동일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행거 클램핑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행거 클램핑 장치에서 양측의 아이 볼트에 고정되는 밴드(10)의 양단부는 하부로 일정 높이가 수직으로 연장되고, 수직의 하단부에서 수평으로 절곡되도록 하여 하나의 구성으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양측의 아이 볼트에 고정되는 각 밴드(10)의 높이 조절은 아이 볼트의 하단부에서 상호 겹쳐지는 길이의 조절에 의해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밴드(10)의 양측 하단부는 일정 높이에서 수평 절곡되도록 하여 상호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밴드(10)에 형성되는 돌기(11)가 수직의 판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고, 수평의 판면에는 하향 돌출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밴드(10)의 수직에서 수평 절곡되는 양측 하단부에는 밴드(10)의 내측면이 밀착되도록 상호 마주보게 ㄴ자형의 가이드 채널(20)이 연결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가이드 채널(20)은 길이 중간 부위를 수직 절곡되도록 하면서 판면의 폭 중간 부위가 밴드(10)의 폭만큼 이격되도록 하여 판면을 외측과 하향으로 절곡되게 함으로서 일정 폭의 밴드 가이드홈(22)을 형성하는 밴드 가이드(21)가 돌출되도록 한 형상이다.
다시 말해 가이드 채널(20)의 수직면에는 밴드 가이드(21)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수평면에서는 밴드 가이드(21)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가이드 채널(20)은 양측의 밴드 가이드(21) 사이로 형성되는 밴드 가이드홈(22)으로 밴드(10)가 삽입되면서 밴드 가이드홈(22)에는 밴드(10)의 평탄면이 밀착되도록 한다.
이때 가이드 채널(20)에는 양측의 밴드 가이드(21) 사이에 밴드(10)가 삽입되어 밴드(10)의 평탄면이 밀착되는 밴드 가이드홈(22)측 판면과 대응되는 내측면은 가이드 채널(20)의 날개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양측면보다는 일정 두께가 외측 및 하향 요입되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만, 가이드 채널(20)은 평판의 중앙에서 일정 간격을 이격하여 양측에서 다단 절곡에 의해 밴드 가이드(21)가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사출과 절단 및 밴딩에 의해 제작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금속의 재질로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가이드 채널(20)에서 양측의 밴드 가이드(21)를 동일 수평선상에서 관통하도록 외측으로 구비되는 밴드 가이드(21)에는 하나 이상으로 결속구 삽입홀(23)이 형성되도록 한다.
결속구 삽입홀(23)은 밴드 가이드(21)의 상단부에만 형성되게 할 수도 있으나 상단부와 함께 하단부측으로도 동시에 형성되게 할 수가 있다.
이때 결속구 삽입홀(23)은 가이드 채널(20)의 밴드 가이드홈(22)측의 내측면과 그와 반대측면에 걸쳐 양측의 밴드 가이드(21)를 관통하도록 밴드(10)보다는 큰 사이즈로서 형성되도록 한다.
가이드 채널(20)에서 각 결속구 삽입홀(22)을 통해서는 제2 밴드 결속구(30)가 조립되도록 한다.
제2 밴드 결속구(30)는 상부와 하부 및 서로 마주보는 일측면이 개방되도록 하는 ㄷ자 형상의 스토퍼(31)와 스토퍼 캡(32)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의 제2 밴드 결속구(30)의 스토퍼(31)는 가이드 채널(20)과 밴드(10)를 동시에 감싸면서 밴드(10)를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이고, 스토퍼 캡(32)은 스토퍼(31)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ㄷ자 형상의 구성이다.
이중 스토퍼(31)는 양측 안쪽면 중 일측면은 평면이고, 그와 마주보는 타측면은 밴드(10)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돌기(11)가 맞춤 수용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홈(31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때 스토퍼(31)는 도 3에서와 같이 양측 내측면간 공간 폭이 밴드(10)와 함께 가이드 채널(20)의 양측 밴드 가이드(21) 사이의 밴드 가이드홈(22)에서 밴드(10)가 밀착되는 판면의 외측면을 동시에 감싸는 크기로서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스토퍼(31)와는 반대측의 결속구 삽입홀(23)을 통해 스토퍼 캡(32)이 스토퍼(31)의 양측면을 감싸면서 맞춤 삽입되도록 한다.
스토퍼 캡(32)은 일측으로부터 스토퍼(31)가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양측 내주면간 간격이 스토퍼(31)의 두께보다는 작지 않게 형성되도록 하여 스토퍼(31)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한편, 스토퍼(31)와 스토퍼 캡(32)의 상호 밀착되는 면에는 수직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걸림돌기(33)와 걸림홈(34)이 각각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걸림돌기(33)와 걸림홈(34)은 스토퍼(31)와 스토퍼 캡(32)의 상호 밀착되는 면으로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스토퍼 캡(32)의 양측면 단부에는 걸림턱(320)이 형성되도록 하여 스토퍼(31)를 수용한 상태에서 스토퍼(31)가 스토퍼 캡(3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스토퍼(31)를 밴드(10)와 가이드 채널(20)에 걸쳐 결합되게 함으로써 밴드(10)가 가이드 채널(20)에 고정되도록 하고, 가이드 채널(20)에서 스토퍼캡(32)의 결합에 의해 스토퍼(31)가 이탈 방지되게 고정되도록 한다.
특히,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행거 클램핑 장치는 상하 2단으로 형성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 양측 가이드 채널(20)의 상단부에서와 마찬가지로 하부에도 결속구 삽입홀(22)이 동시에 형성되도록 한다.
이 결속구 삽입홀(22)이 형성되는 밴드 가이드(21) 사이에는 이미 밴드 가이드홈(22)에 삽입되어 있는 밴드(10)와 함께 이 밴드(10)와 동일한 형상의 제2 밴드(100)의 상단부가 겹쳐지도록 한다.
밴드(10)(100)간 겹쳐지는 부위 중 결속구 삽입홀(23)을 지나는 부위는 제2 밴드 결속구(30)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한다.
즉, 밴드(10)가 연결된 가이드 채널(20)에는 제2 밴드(100)의 상단부가 가이드 채널(20)의 상부에 형성한 결속구 삽입홀(23)의 상부에까지 연장되도록 하면서 결속구 삽입홀(23)을 지나는 위치에서 제2 밴드 결속구(30)를 이용하여 밴드(10)와 제2 밴드(100)가 분리되지 않게 연결되도록 한다.
밴드(10)와 연결되는 제2 밴드(100) 또한 일정 높이를 수직으로 하향 형성되도록 하면서 동일한 높이에서 하단부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평 절곡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제2 밴드(100)의 양 절곡부에는 그 상부에서와 마찬가지로 밴드 가이드홈(22)에 제2 밴드(100)가 삽입되게 함으로써 제2 가이드 채널(200)이 안착되도록 하여 가이드 채널(20)과 함께 제2 가이드 채널(200)에 의해서 케이블 트레이와 같은 천장 구조물이 2단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2개의 밴드(10)(100)가 겹쳐지도록 하면서 제2 밴드 결속구(3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밴드 가이드(21)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결속구 삽입홀(23)은 상단부에 형성되는 결속구 삽입홀(23)보다는 증가된 하나의 밴드 두께만큼 더 큰 폭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결속구 삽입홀(23)을 통해 삽입되는 스토퍼(31)와 스토퍼 캡(32)의 각 내측 공간 폭은 결속구 삽입홀(23)에서와 마찬가지로 증가한 하나의 밴드 두께만큼 더 크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하부측의 제2 가이드 채널(200)은 그 상부의 가이드 채널(2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제2 밴드(100)는 가이드 채널(20)의 상부측 결속구 삽입홀(23)에 삽입되는 제2 밴드 결속구(30)와 동일한 구성인 제2 제2 밴드 결속구(300)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각 가이드 채널(20)을 지지 및 고정하는 밴드의 형성 갯수와 연결 방식은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좀더 다양한 방식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가이드 채널(20)의 수평 절곡된 부위에는 도 5에서와 같이 날개 형상으로 펼쳐진 양측의 판면에 수직 관통되도록 체결홀(24)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 체결홀(24)에는 도면에서와 같은 ∩자형의 체결구(25)가 이탈 방지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케이블 트레이를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가 있다.
이때의 체결구(24)는 도면에서와 같은 ∩자형으로 평판을 휘어지도록 한 구성의 양측 하단부가 일정 폭과 길이로 연장되게 함으로써 체결홀(24)에 맞춤 관통되게 한 후 이 연장단부를 수평절곡되게 하는 구성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U볼트를 이용하여 체결홀(24)의 하부에서 너트 체결하는 구성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가이드 채널(20)에는 도 6에서와 같이양 밴드 가이드(21) 사이에 삽입되는 밴드(10)의 이탈을 방지시키기 위하여 밴드 이탈 방지구(26)가 구비되도록 한다.
특히 밴드 이탈 방지구(26)는 가이드 채널(20)에 고정될 수 있어야만 하므로 별도의 고정구조를 형성하기 보다는 가이드 채널(20)의 수평절곡부에 형성한 체결홀(24)을 통해 관통하는 체결구(24)의 체결단부(240)가 동시에 관통하도록 고정홀(260)이 양측면으로 형성되도록 하면서 중앙 부위는 밴드 가이드(21)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하향 절곡시킨 트랜치형 홈을 형성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행거 클램핑 장치에 의한 작용 및 그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행거 클램핑 장치를 이용하여 케이블 트레이를 고정시키는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행거 클램핑 장치는 일정 간격을 두고 천장에 상단부가 매설되는 각 아이 볼트에 밴드(10)의 일단이 감겨지도록 한 후 상호 겹쳐지도록 한 부위를 제1 밴드 결속구를 이용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단부가 고정된 밴드(10)는 일정 높이를 수직으로 하향 연장되도록 하여 하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평 절곡되도록 하면서 일체로 연결되도록 한다.
즉, 하나의 밴드(10)에서 양단부는 각각 아이 볼트에 감겨지도록 하면서 아이 볼트의 하부에서 상호 돌기(11)간 맞물리도록 하고, 맞물린 부위에는 제1 밴드 결속구를 이용하여 아이 볼트에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밴드(10)의 상단부 고정은 본 출원인의 선등록발명에서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양단부가 각각 아이 볼트와 제1 밴드 결속구를 이용하여 고정되도록 한 밴드(10)는 일정 높이까지는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하고, 수직 연장된 밴드(10)의 각 하단부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평 절곡되도록 하는 하나의 밴드(10)로서 구비한다.
이러한 밴드(10)의 외측과 저부로 판면이 다단절곡되도록 하여 양측을 돌출되게 한 밴드 가이드(21) 사이의 밴드 가이드홈(22)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밴드 가이드홈(22)에 삽입된 밴드(10)는 가이드 채널(20)의 상부에서 밴드 가이드(21)를 수평 관통되게 한 결속구 삽입홀(23)을 통하여 제2 밴드 결속구(30)에 의해서 밴드(1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밴드 가이드홈(22)을 따라 삽입된 밴드(10)에 안치되어 고정되는 양측의 가이드 채널(20)에는 케이블 트레이(40)가 안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도 8에서와 같이 천장으로부터 일정 길이마다 형성되는 본 발명의 행거 클램핑 장치를 이용하여 케이블 트레이(40)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가 있게 된다.
이때 양측의 가이드 채널(20)에 안치되는 케이블 트레이(40)는 양측의 레일(41)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가로대(42)가 연결되도록 하고 있는 바 케이블 트레이(40)의 가로대(42)가 각 가이드 채널(20)의 폭 중앙을 지나도록 위치시켜 상부로부터 ∩자형으로 휘어진 체결구(25)가 가로대(42)를 감싸도록 하면서 양측 하단부가 가이드 채널(20)에 형성한 체결홀(24)을 관통하여 가이드 채널(20)의 양측면 저면에서 수평 절곡되게 하거나 너트를 체결하여 체결구(24)가 상부로 이탈되지 않게 고정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체결구(25)를 이용하여 가로대(42)를 가이드 채널(20)에 고정하게 되면 케이블 트레이(4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가 있으므로 이 케이블 트레이(40)를 통한 다양한 케이블의 안정된 배선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을 통해서는 케이블 트레이(40) 뿐만 아니라 비교적 경량인 흡배기 덕트 또한 안착시켜 지지되게 할 수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가이드 채널(20)은 일정 두께의 평판을 연속 제작하여 폭 방향으로 다단절곡하고, 일정 길이로 절단한 판면의 길이 중간 부위를 수직 절곡되게 함으로써 대단히 간단하게 대량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 채널(2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양측의 밴드 가이드(21)에 수평 관통되게 결속구 삽입홀(23)을 형성하여 이 결속구 삽입홀(23)을 통해 제2 밴드 결속구(30)를 결합시켜 쉽고 견고하게 밴드(1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가 매우 용이한 편의를 제공하게 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밴드(10)와 가이드 채널(20) 및 제2 밴드 결속구(30)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가이드 채널(2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결속구 삽입홀(23)과 제2 밴드 결속구(30)를 이용하여 제2 밴드(100)의 양측 상단부를 연결하고, 제2 밴드(100)의 하단부의 절곡 부위에는 제2 가이드 채널(200)이 안치되게 하면서 제2 가이드 채널(200)에서 제2 밴드 결속구(30)를 통해 제2 밴드(100)가 고정되게 함으로써 제2 가이드 채널(200)들 사이에서도 케이블 트레이(40)와 같은 천장 구조물이 2단으로 지지되게 할 수가 있어 천장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가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다 쉽고 저렴하게 케이블 트레이 또는 덕트와 같은 천장 구조물을 설치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의 보다 손쉬운 작업에 의해 좀더 빠르게 천장 구조물 설치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10 : 밴드 11 : 돌기
20 : 가이드 채널 21 : 밴드 가이드
22 : 밴드 가이드홈 23 : 결속구 삽입홀
24 : 체결홀 25 : 체결구
30 : 제2 밴드 결속구 31 : 스토퍼
32 : 스토퍼 캡 40 : 케이블 트레이

Claims (10)

  1. 일정 간격으로 천장에 상단부가 매립되는 아이 볼트에 일측면으로 장공형상의 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만곡지게 돌출되도록 한 띠형상의 밴드를 감아 일부 겹쳐지도록 한 부위를 제1 밴드 결속구에 의해서 이탈 방지되게 연결되도록 하는 행거 클램핑 장치에 있어서,
    평판의 양측으로 다단 절곡에 의해 수직의 판면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동시에 수평의 판면은 하향 돌출되게 하여 삽입되는 밴드가 양측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일정 폭의 밴드 가이드홈을 형성하는 밴드 가이드가 형성되도록 하고,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는 ㄴ자형의 가이드 채널;
    안쪽면 중 상호 마주보는 일측면은 평면이고, 그와 마주보는 타측면은 밴드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맞춤 수용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홈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는 스토퍼와, 일측으로부터 스토퍼가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양측 내주면간 간격이 스토퍼의 두께보다는 작지 않게 형성되도록 하여 스토퍼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호 밀착되는 면에는 수직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걸림돌기와 걸림홈이 각각 형성되는 스토퍼 캡으로 이루어져 밴드 가이드홈의 양측으로 구비되는 밴드 가이드에서 동일 수평선상으로 관통되도록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결속구 삽입홀을 통해 조립되면서 밴드가 고정되도록 하는 제2 밴드 결속구;
    로서 이루어지는 행거 클램핑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채널에는 양측의 밴드 가이드 사이에 삽입되는 밴드의 평탄면이 밀착되는 밴드 가이드홈측 판면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내측면은 가이드 채널의 날개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양측면보다는 일정 두께가 외측 및 하향 요입되게 형성되는 행거 클램핑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채널에서 양측의 밴드 가이드에는 동일 수평선상에서 관통하도록 하나 이상으로 결속구 삽입홀을 형성하는 행거 클램핑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밴드 가이드에 형성되는 결속구 삽입홀은 가이드 채널의 밴드 가이드홈측의 내측면과 그와 반대측면에 걸쳐 양측의 밴드 가이드를 관통하도록 밴드보다는 큰 사이즈로서 형성되도록 하는 행거 클램핑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채널에는 수평 절곡된 부위의 날개 형상으로 펼쳐진 양측의 판면에 수직 관통되도록 체결홀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 체결홀에는 ∩자형의 체결구가 이탈 방지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체결구에 의해서 케이블 트레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행거 클램핑 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채널에는 상단부에서와 마찬가지로 하부에도 결속구 삽입홀이 동시에 형성되도록 하고, 결속구 삽입홀이 형성되는 밴드 가이드 사이에는 이미 밴드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있는 밴드와 함께 이 밴드와 동일한 구성인 제2 밴드의 상단부가 겹쳐지도록 하여 제2 밴드 결속구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하고, 이러한 제2 밴드 또한 일정 높이를 수직으로 하향 형성하는 하단부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에서 수평 방향으로 수직 절곡되면서 일체로 연결되며, 제2 밴드의 절곡부에는 제2 가이드 채널을 연결하여 양 가이드 채널에 걸쳐 케이블 트레이와 같은 천장 구조물을 2단으로 지지하는 행거 클램핑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채널은 가이드 채널에서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2 밴드를 제2 밴드 결속구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하는 행거 클램핑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채널에는 2개의 밴드가 겹쳐지도록 하면서 제2 밴드 결속구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밴드 가이드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결속구 삽입홀은 상단부에 형성되는 결속구 삽입홀보다는 증가한 하나의 밴드 폭만큼 더 큰 폭으로 형성되도록 하면서 이 결속구 삽입홀을 통해 끼워지는 스토퍼와 스토퍼 캡의 각 내측 공간 폭이 결속구 삽입홀에서와 마찬가지로 증가한 하나의 밴드 폭만큼 더 크게 형성되도록 하는 행거 클램핑 장치.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채널에는 수평절곡부에 형성한 체결홀을 통해 관통하는 체결구의 체결단부가 동시에 관통하는 고정홀이 양측면으로 형성되도록 하면서 폭 중앙 부위에 양측의 밴드 가이드를 동시에 외측에서 감싸도록 하향 절곡시켜 트랜치형 홈을 형성하는 밴드 이탈 방지구를 구비하여 밴드 가이드 사이에 삽입되는 밴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행거 클램핑 장치.
KR1020150069144A 2015-05-18 2015-05-18 행거 클램핑 장치 KR101792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144A KR101792233B1 (ko) 2015-05-18 2015-05-18 행거 클램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144A KR101792233B1 (ko) 2015-05-18 2015-05-18 행거 클램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5599A KR20160135599A (ko) 2016-11-28
KR101792233B1 true KR101792233B1 (ko) 2017-10-31

Family

ID=57706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9144A KR101792233B1 (ko) 2015-05-18 2015-05-18 행거 클램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22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552A (ko) * 2019-09-24 2021-04-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티어 바 조정에 사용되는 슬롯 홀용 클램프
KR102296228B1 (ko) * 2020-12-09 2021-08-31 아인텍(주)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갖는 케이블 트레이 및 이의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8759B (en) * 2016-12-02 2020-02-19 Gripple Ltd Suspension assembly
GB201812081D0 (en) * 2018-07-24 2018-09-05 Gripple Ltd Suspension assembl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552B1 (ko) 2014-01-20 2015-01-26 장재욱 다기능 행거 클램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552B1 (ko) 2014-01-20 2015-01-26 장재욱 다기능 행거 클램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552A (ko) * 2019-09-24 2021-04-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티어 바 조정에 사용되는 슬롯 홀용 클램프
KR102640000B1 (ko) 2019-09-24 2024-0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티어 바 조정에 사용되는 슬롯 홀용 클램프
KR102296228B1 (ko) * 2020-12-09 2021-08-31 아인텍(주)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갖는 케이블 트레이 및 이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5599A (ko) 2016-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2233B1 (ko) 행거 클램핑 장치
EP2492563B1 (en) Clamp for a pipe or cable.
EP3324502B1 (en) Cradle clamp bracket assembly
US7484698B2 (en) Stackable transmission line hanger
CA2167653C (en) Cable tray system
CA2848013C (en) Support and retaining device for wires and cables
CN108376952B (zh) 用于在航空应用中保持导线束的塑料线缆管理设计
JP6543694B2 (ja) 誘導装置
KR101866260B1 (ko) 건축용 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US20150323101A1 (en) Line clamp assembly and method of use
GB2507082A (en) Cable Tie and Retention System
KR20140017599A (ko) 지면 안정화 디바이스
EP1746697B1 (en) Securing element for securing a box to a wire cable tray
KR100664345B1 (ko) 버튼식 고정장치
US10631472B2 (en) Clamping devices
US201603398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a vehicle wiring harness
KR102347556B1 (ko) 배전용 케이블 결속장치
KR101845055B1 (ko) 케이블 타이 조임장치
WO2016203032A1 (en) Retainer for cable raceway
US20150047896A1 (en) Combination insulator cover
US20240097415A1 (en) Wire Clamp
KR101486552B1 (ko) 다기능 행거 클램프
KR200451493Y1 (ko) 케이블 트레이
FI77751C (fi) Ledningsraenna.
WO2017158317A1 (en) Clamp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