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6775B1 - 케이블트레이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케이블트레이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6775B1
KR100716775B1 KR1020050042748A KR20050042748A KR100716775B1 KR 100716775 B1 KR100716775 B1 KR 100716775B1 KR 1020050042748 A KR1020050042748 A KR 1020050042748A KR 20050042748 A KR20050042748 A KR 20050042748A KR 100716775 B1 KR100716775 B1 KR 100716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fixing
piece
cable tray
si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9611A (ko
Inventor
이동언
Original Assignee
이동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언 filed Critical 이동언
Priority to KR1020050042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6775B1/ko
Publication of KR20060119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08Joints for connecting non cylindrical conduits, e.g. channels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이나 천정을 따라 배선되는 케이블을 정리정돈 상태로 지지 고정하는 트레이의 결합구조에 관한 기술내용으로서,
특히 케이블 트레이를 구성하는 측면 프레임과 헹거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리/조립구조로 개량함으로써 적재, 보관 및 운반이 경제적이고, 사용후에는 분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장자동화에 의한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케이블 트레이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측면 프레임, 헹거, 고정수단, 걸림수단, 걸림편, 고정편

Description

케이블트레이의 결합구조{A cable tray}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케이블 트레이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케이블 트레이의 요부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헹거에 대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헹거에 대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측면 프레임 200 ; 헹거
A ; 걸림수단 B ; 고정수단
11, 110 ; 걸림편 12, 120 ; 걸림구멍
21, 210 ; 고정편 22, 220 ; 제1고정돌기
23, 230 ; 안내홈 240 ; 제2고정돌기
130 ; 걸림홈
본 발명은 벽면이나 천정을 따라 배선되는 케이블을 정리정돈 상태로 지지 고정하는 케이블 트레이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 트레이를 구성하는 측면 프레임과 헹거의 결합이 원터치로 이루어지고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리/조립 가능토록 하며 그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적재, 보관 및 운송이 경제적이고, 사용후에는 분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장자동화에 의한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케이블 트레이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선박 및 해양 구조물 등에는 전원 공급이나 유체 등의 공급을 위해 크고 작은 직경의 케이블이 천정 및 바닥 또는 벽체를 따라 배치되며, 이렇게 배치되는 케이블은 미관이나 통행자들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기 위해서 케이블 트레이를 사용하여 정리정돈상태로 지지 고정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각종 케이블을 지지 고정하여 주는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는 전반적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좌우측에 각각 위치되는 한쌍의 측면 프레임과 상기 측면 프레임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헹거(막대형, 판형)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를 적용하여 각종 케이블을 용이하게 내지는 정리된 상태로 배선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측면 프레임과 헹거가 전반적으로 분해조립이 불가능하도록 용접에 의해 고정식 구조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외형적인 부피가 크고 그로 인하여 적재, 보관 및 운송이 효율적이지 못하여, 즉 많은 적재 및 보관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운송이 불편하다는 점과, 용접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불필요한 인력의 낭비와 생산원가상승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용접에 의한 결합구조를 갖는 기존의 케이블 트레이는 사용에 의해 일부분만 파손되었더라도 분리/조립이 불가하여 전체를 폐기처리하여 하는 관계로 인하여 일부 부품 내지는 전체적으로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경제적으로도 큰 손실이 따르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벽면이나 천정을 따라 배선되는 케이블을 지지 고정하는 케이블 트레이의 측면 프레임과 헹거의 결합구조를 끼움 결합방식으로 개발하여 그 조립이 원터치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분리/조립이 가능토록 하며 그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 지므로서 적재, 보관시에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운송이 편리하고 간편함은 물론 인건비 절감 및 공장자동화에 의한 생산성 증대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분리가능하므로 사용 후 일부 부품 및 전체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케이블 트레이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한쌍의 측면 프레임 사이로 헹거를 결합시키는데 있어서,
상기 측면 프레임의 내측면에 걸림편을 형성하고, 걸림편 사이에는 걸림구멍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걸림수단을 마련하고,
상기 헹거의 양단에는 고정편을 절곡하여 형성하고 걸림구멍에 결합되게 제1고정돌기를 형성하며, 걸림수단에 결합시 걸림편에 걸리는 간섭을 받지 않도록 안 내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고정수단을 마련하여 상기 걸림수단과 고정수단을 통해 헹거가 측면프레임에 분리/조립식 구조로 결합되는 기술적 구성을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케이블 트레이의 결합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케이블 트레이의 요부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트레이는 벽면이나 천정을 따라 배선되는 케이블을 정리정돈상태로 지지 고정할 수 있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그 형태는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갖도록 측면 프레임과 다수의 헹거로 이루어 진다.
다시 말해서, 한쌍의 측면 프레임(100)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헹거(200)를 배치하여 구성되는 것이며, 이러한 기본적인 구성 및 기능은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와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트레이는 측면 프레임(100)과 헹거(200)가 각각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리/조립이 가능토록 구성된 것으로,
도1 내지 도2에서와 같이 측면 프레임(100)의 내측면에 걸림수단(A)을 형성하되, 상기 걸림수단(A)은 일정한 거리를 두고 한쌍의 걸림편(11)이 형성되어 있고, 걸림편(11)사이로 수평방향으로 천공된 걸림구멍(12)이 형성되어진 구성이다.
상기 걸림편(11)은 프레스작업을 통해 "ㄴ"형으로 형성된다. 걸림구멍(12)은 도면에 도시된 형태 또는 그 밖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측면 프레임(100)사이로 배치되는 헹거(200)의 양단에는 상기 걸림수단(A)에 대응하는 고정수단(B)이 마련되는데.
고정수단(B)은 걸림편(11)내측에 양측단부가 끼움 결합되는 고정편(21)이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구멍(12)에 수평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 끼움결합되는 제1고정돌기(22)가 형성되며, 결합과정에서 걸림편(11)에 걸림 간섭받지 아니 하고 통과하도록 절곡부 양측에는 안내홈(23)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구성이다.
여기서 고정편(21)의 폭은 상기 걸림수단에 해당하는 한쌍의 걸림편(11)사이 공간에 출입가능한 폭을 유지하여야 한다.
상기 제1고정돌기(22)은 프레스작업을 통해 돌출되어진 구성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프레임(100)의 걸림수단(A)은 걸림편(110)과 걸림구멍(120), 사각형태의 걸림홈(130)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헹거(200)에 형성되는 고정수단(B)은 걸림편(110)내측으로 양측단부가 삽입되어 위치되는 고정편(210)이 절곡 형성되고, 걸림구멍(120)에 대응하는 제1고정돌기(220)가 절곡되게 형성되며, 수직방향으로 형성한 사각형태의 걸림홈(130)에 수직방향으로 끼워지는 제2고정돌기(240)가 상하로 형성되고 안내홈(230)이 형성된 구성이다.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헹거(200)에 형성되는 고정수단(B)은 걸림편(110) 내측으로 양측부가 삽입되어 위치되는 고정편(210')이 형성되고, 걸림구멍(120)에 대응하는 제1고정돌기(220')가 형성되며, 사각형태의 걸림홈(130)에 끼워지는 제2고정돌기(240')가 형성되고 안내홈(230')이 형성된 구성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헹거(200)는 중간부위를 일정폭으로 돌출되게 절곡하여 보강부(20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헹거의 지지력을 증대시켜 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트레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측면 프레임(100)의 걸림수단(A)과 헹거(200)의 고정수단(B)을 끼움 방식으로 결합하여 주면, 즉 걸림수단(A)의 걸림편(11)상부에 헹거(200)의 안내홈(23)을 일치시킨 다음 헹거(20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고정수단(B)의 고정편(21)양측단부가 걸림편(11)내측으로 결합되는데, 이때 고정수단에는 안내홈(23)이 형성되어 있어 간섭없이 가이드되면 결합되며, 결합상태를 보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편(21)의 양측단부는 걸림편(11)내측에 밀착되어진 상태로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헹거(200)의 고정편(21)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유동 및 이탈되지 아니한다.
또 걸림수단(A)의 걸림구멍(12)에는 고정수단(B)의 제1고정돌기(22)가 수평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서 끼움 결합 되어진 상태이므로 헹거(200)는 상하 유동 내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헹거(200)의 분리작업은 상기의 조립상태에서 걸림구멍(12)에 결합된 고정돌기(22)를 약간 강압적으로 내측을 향해 밀어 탄성변형을 시키면서 헹거(20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켜주면 걸림구멍(12)으로 부터 제1고정돌기(22)가 이탈되면서 걸림편(11)에 끼움 결합된 고정편(21)이 상향으로 위치이동되고 그 후 걸림편(11)으로 부터 이탈되면 측면 프레임(100)으로 부터 헹거(200)를 분리시킬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도3,4,5도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조립구조는 도1,2의 구조에 걸림홈(130)과 제2고정돌기(240,240')가 추가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트레이는, 측면 프레임과 헹거의 결합구조가 종래와 같이 용접되는 구성을 탈피하여 원터치에 의한 끼움 결합방식으로 개발한 것으로서 분리/조립이 가능하기 때문에 적재 및 보관시간에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많은 양의 제품을 간편하게 적재 및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운반을 수행할 수 있으며, 용접공정을 삭제하므로 불필요한 인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어 공정의 단순화를 이룩할 수 있음은 물론 부품별로 생산가능하여 공장자동화를 실현할 수 있어 생산성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사용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재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으로도 이익이 창출되는 등의 여러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해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임을 밝혀둔다.

Claims (2)

  1. 걸림수단에 해당하는 측면 프레임의 걸림편과 고정수단에 해당하는 헹거의 고정편에 의하여 헹거가 측면프레임에 분리조립식 구조로 결합구성된 공지의 케이블 트레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의 내측 면에 양측에 형성한 걸림편과 상기 걸림편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천공 형성한 걸림구멍으로 이루어진 걸림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헹거의 양단에 상기 걸림편에 대응하여 결합되게 절곡 형성한 고정편과, 상기 걸림구멍에 수평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끼움 결합되게 형성한 제1고정돌기로 이루어진 고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헹거 결합시 걸림편에 간섭받지 않도록 고정편의 하단과 헹거 사이에 안내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의 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멍의 하부에 걸림수단인 걸림홈을 수직방향으로 형성하고 제1고정돌기의 하부에 걸림홈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수단인 제2고정돌기를 수직방향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의 결합구조.
KR1020050042748A 2005-05-21 2005-05-21 케이블트레이의 결합구조 KR100716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748A KR100716775B1 (ko) 2005-05-21 2005-05-21 케이블트레이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748A KR100716775B1 (ko) 2005-05-21 2005-05-21 케이블트레이의 결합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4385U Division KR200392715Y1 (ko) 2005-05-21 2005-05-21 케이블트레이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611A KR20060119611A (ko) 2006-11-24
KR100716775B1 true KR100716775B1 (ko) 2007-05-14

Family

ID=37706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748A KR100716775B1 (ko) 2005-05-21 2005-05-21 케이블트레이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67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943B1 (ko) 2009-09-30 2010-03-05 (주)이명이앤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전기케이블 트레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443B1 (ko) * 2007-02-15 2009-02-17 주식회사 제원에이스산업 케이블트레이 결합방법
KR101374054B1 (ko) * 2013-08-08 2014-03-12 주식회사 서영산업 조립식 트레이
KR101414792B1 (ko) * 2014-01-07 2014-07-03 린노알미늄 주식회사 착탈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KR101644078B1 (ko) * 2014-09-25 2016-07-29 린노알미늄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의 타격 결합형 조립방법
KR102585669B1 (ko) * 2021-06-16 2023-10-05 주식회사 픽센 통신 배선 공사용 케이블 트레이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447U (ko) * 1994-07-14 1996-02-17 케이블 트레이
KR960038810U (ko) * 1995-05-04 1996-12-18 임용선 케이블 배설용 트레이
KR980009820U (ko) * 1996-07-05 1998-04-30 임용선 건물내 케이블 배설용 트레이
KR19980068833U (ko) * 1998-09-16 1998-12-05 심상인 케이블 설치용 트레이
KR200257931Y1 (ko) * 2001-06-29 2001-12-24 이병욱 케이블 트레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447U (ko) * 1994-07-14 1996-02-17 케이블 트레이
KR960038810U (ko) * 1995-05-04 1996-12-18 임용선 케이블 배설용 트레이
KR980009820U (ko) * 1996-07-05 1998-04-30 임용선 건물내 케이블 배설용 트레이
KR19980068833U (ko) * 1998-09-16 1998-12-05 심상인 케이블 설치용 트레이
KR200257931Y1 (ko) * 2001-06-29 2001-12-24 이병욱 케이블 트레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943B1 (ko) 2009-09-30 2010-03-05 (주)이명이앤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전기케이블 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611A (ko) 200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6775B1 (ko) 케이블트레이의 결합구조
JP4137921B2 (ja) 上下結合構造を有する家電製品
KR200392715Y1 (ko) 케이블트레이의 결합구조
KR101286664B1 (ko)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체
KR100740900B1 (ko) 케이블 트레이의 결합구조
JP5445366B2 (ja) 食器洗い機
KR101266615B1 (ko)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
KR20090008961U (ko) 케이블트레이
KR101275569B1 (ko) 냉장고용 수납박스 장착구조
KR200436286Y1 (ko) 케이블 트레이의 결합구조
KR101249286B1 (ko)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조립형 지지모듈
JP2008157376A (ja) 管台および曲がり管並設保持構造
US8763810B2 (en) Stackable cleaning bucket
KR200363583Y1 (ko) 케이블 트레이 결합 구조
KR20170091283A (ko) 케이블 트레이
KR200441965Y1 (ko) 케이블 트레이
KR100358650B1 (ko) 이송 컨테이너용 클립과 그 클립을 사용한 이송 컨테이너
KR100638565B1 (ko) 케이블 덕트 조립구조
KR20130001902U (ko) 미술용 물통에 탈장착이 가능한 붓 거치대
KR200376725Y1 (ko) 케이블 덕트 조립구조
KR20170034728A (ko) 쫄대 조립체
KR200438277Y1 (ko) 케이블 트레이의 결합구조
KR200479740Y1 (ko) 블록 지지장치
KR100580274B1 (ko) 연속라운드형 물저장 탱크
KR101114332B1 (ko) 세탁기의 전선 케이블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