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8650B1 - 이송 컨테이너용 클립과 그 클립을 사용한 이송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이송 컨테이너용 클립과 그 클립을 사용한 이송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8650B1
KR100358650B1 KR1019990064654A KR19990064654A KR100358650B1 KR 100358650 B1 KR100358650 B1 KR 100358650B1 KR 1019990064654 A KR1019990064654 A KR 1019990064654A KR 19990064654 A KR19990064654 A KR 19990064654A KR 100358650 B1 KR100358650 B1 KR 100358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lip
container
support portion
parall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4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4452A (ko
Inventor
허기철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신대양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신대양조선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신대양조선
Priority to KR1019990064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8650B1/ko
Publication of KR20010064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4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8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86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8Interconnections of wall parts; Seal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컨테이너 조립상태에서는 견고하게 결합을 유지해주지만 해체시에는 쉽게 그리고 다른 컨테이너 부품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제거될 수 있는 클립이 제공된다. 클립은 테두리에 인접하여 다수의 삽입홈이 마련되며 서로 대체로 수직을 이루며 조립되는 다수의 외벽부재를 구비하는 이송 컨테이너에서 서로 접하는 외벽부재들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클립은 2개의 선재가 평행으로 나란히 배열된 제1 지탱부와, 2개의 선재가 평행으로 나란히 배열되며, 상기 제1 지탱부와 90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며 절곡부에서 연결되는 제2 지탱부를 구비한다. 또한, 제1 지탱부와 연결되며 내측으로 90도 이하의 내각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있으며, 어느 하나의 외벽부재의 삽입홈에 끼워지는 제1 걸이부와, 상기 제2 지탱부와 연결되며 내측으로 90도 이하의 내각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걸이부와 대체로 수직으로 이웃하여 조립되는 외벽부재의 삽입홈에 끼워지는 제2 걸이부를 구비한다. 제1 지탱부 또는 제2 지탱부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선재에는 외측으로 돌출하여 치우친 부분이 마련된다.

Description

이송 컨테이너용 클립과 그 클립을 사용한 이송 컨테이너{CLIP FOR USE IN CONTAINER AND CONTAIN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팔레트에 측벽을 조립하고 그 위에 덮개를 조립하여 형성하는 이송 컨테이너와 조립 시 사용하는 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선재를 굽힘 가공하여 형성한 클립과 그 클립을 사용하는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팔레트 위에 측벽을, 측벽 위에 덮개를 조립하여 물품을 이송하기 위한 컨테이너로 사용하고, 사용 후에 분해하여 보관하거나 되돌려 이송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컨테이너 구성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한국 특허 제203,197호와 같은 것이 그것이다.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에서는 상기 컨테이너에 사용하는 클립은 판재를 구부려(절곡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으로는 클립을 제거하기가 불편하다. 대체로 컨테이너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측벽과 덮개 또는 측벽과 하판 사이에 강하게 결합되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클립이 길게 파인 삽입홈에 끼워져 쉽게 빠지지 않아야 한다. 그렇지만 이렇게 클립을 단단하게 고정하면 컨테이너을 사용한 후 클립을 빼는 작업이 어려워진다. 또한, 판재로 제작한 클립은 부피가 커지고 무게를 증가시킨다. 이는 다루기가 간편하지 않다는 것을 나타낸다. 다른 선행기술문헌인 실용신안 공개98-8047호에서도 클립에 대해서는 별다른 해결을 보이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테이너의 해체시 제거가 용이한 이송 컨테이너용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볍고 부피가 적은 선재를 절곡하여 형성한 이송 컨테이너용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와 같은 클립을 이용한 이송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효율적으로 재료를 사용하면서도 전체를 덮을 수 있는 이송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컨테이너의 정면도
도2는 도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종단면도
도3은 도1의 이송 컨테이너를 조립하였을 때, 클립에 의해 덮개와 측판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4는 도3의 클립의 사시도
도5는 도3의 클립의 측면도
도6은 도3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7은 도4의 클립의 연결대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컨테이너 12: 바닥프레임
14: 측벽 16: 덮개
18: 바닥판 20: 지지블럭
50: 클립 52: 제1 지탱부
54: 제2 지탱부 58: 제1 걸이부
74: 제2 걸이부 66: 연결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테두리에 인접하여 다수의 삽입홈이 마련되며 서로 대체로 수직을 이루며 조립되는 다수의 외벽부재를 구비하는 이송 컨테이너에서 서로 접하는 외벽부재들을 연결하기 위한 클립으로서,
2개의 선재가 평행으로 나란히 배열된 제1 지탱부와,
2개의 선재가 평행으로 나란히 배열되며, 상기 제1 지탱부와 90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며 연결되는 제2 지탱부와,
상기 제1 지탱부와 연결되며 내측으로 90도 이하의 내각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있으며, 어느 하나의 외벽부재의 삽입홈에 끼워지는 제1 걸이부와,
상기 제2 지탱부와 연결되며 내측으로 90도 이하의 내각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걸이부가 끼워진 외벽부재와 대체로 수직으로 이웃하여 조립되는 다른 외벽부재의 삽입홈에 끼워지는 제2 걸이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1 지탱부 또는 제2 지탱부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선재에는 외측으로 돌출하여 치우친 부분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컨테이너용 클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클립을 사용하는 이송 컨테이너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테두리에 인접하여 다수의 삽입홈이 마련되며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는 클립에 의해 서로 대체로 수직을 이루며 조립되는 다수의 외벽부재를 구비하는 이송 컨테이너로서,
상기 외벽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지지대와, 상기 제1 지지대와 평행인 제2 지지대와, 상기 제1 지지대 및 상기 제2 지지대의 끝단을 연결하는 측면 지지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외벽부재의 테두리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는 판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지지대에는 상기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컨테이너가 제공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컨테이너(10)는 바닥 프레임(팔레트라고도 함)(12)과, 측벽(14)과, 덮개(16) 등의 외벽부재(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조립되는 측벽, 덮개, 바닥판들을 외벽부재라 한다)를 구비한다. 팔레트(12)는 지게차의 포크로 끼워서 들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팔레트(12)는 바닥판(18)을 구비한다. 바닥판(18)의 아래에는 지지블럭(20)이 고정된다. 지지블럭(20) 사이의 공간에 지게차의 포크가 들어갈 수 있다. 지지블럭(20)의 아래에는 바닥재(22)가 마련된다. 최외측에 있는 지지블럭(20a)로 인하여 그 지지블럭(20) 위에 바로 놓여지는 측벽(도시되지 않음)은 그대로 팔레트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후술하는 클립 이외의 다른 고정방법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최외측에 있는 지지블럭(20a)를 약간 안쪽에 위치시키면, 도시된 측벽(14)과 수직으로 이어지는 도시되지 않는 측벽도 후술하는 클립으로 조립할 수 있다. 바닥판(18)의 아래쪽 테두리 부근에는 후술하는 클립이 끼워질 수 있는 다수의 삽입홈이 마련된다. 삽입홈과 클립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측벽(14)은 팔레트(12)의 바닥판(18) 위에 바닥판(18)과는 대체로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측벽(14)은 상부지지대(24), 하부지지대(26), 측면지지대(28)와 판재(30)로 구성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지지대(26)는 조립시 그 길이방향이 바닥판(18)의 테두리의 한변에 맞추어 그 변과 접하도록 바닥판(18) 위에 놓이게 된다. 상부 지지대(24)는 하부지지대(26)와 평행이다. 측면지지대(28)는 상부지지대(24)와 하부지지대(26)의 양단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대이다. 이들 지지대는 통상 두께가 두꺼운(예를 들면, 10 - 15 mm) 예를 들면 합판 또는 MDF의 판재를 일정한 폭(예를 들면, 80 - 120 mm)만큼 잘라서 사용한다. 이와는 달리, 사각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부 지지대(24)와 하부지지대(26)의 양 측면지지대(28) 중간에는 보조 지지대(31)가 설치된다. 상부지지대(24) 또는 하부지지대(26)와 양측면지지대(28), 보조지지대(31) 사이에는 적절한 결합수단(예를 들면, 통상 타카핀이라고 알려진 디귿자형 핀, 또는 못, 또는 접착제)으로 결합된다. 도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하부 지지대(24,26) 사이 공간에는 판재(30)가 결합된다. 공지된 특허 제203,197호에서는 후술하는 삽입홈깊이를 보장하기 위해 측벽을 모두 두꺼운 판으로 구성하였으나, 본 발명과 같이 구성하면, 측벽의 지지대를 제외한 부분은 얇은 판으로도 덮을 수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 내부공간을 밀폐시키면서도 컨테이너 무게를 줄이고 재료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측벽만을 지지대들과 판재로 구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바닥판과, 덮개도 동일할 구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1 내지 도3, 도6을 참조하면, 바닥판과 측벽, 덮개의 테두리 부분에는 테두리와 대체로 평행인 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홈(32)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삽입홈 (32)들은 테두리 끝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져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홈(32)의 깊이는 후술하는 클립의 걸림부가 들어가기에 충분할 정도면 된다. 바람직한 깊이는 8 - 10mm 이다. 덜 바람직하겠지만 삽입홈은 관통구멍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덮개(16)과 측벽(14), 측벽(14)과 바닥판(18), 인접하는 측벽(14)과 측벽 사이는 상기 삽입홈(32)에 걸리는 클립(50)에 의해 고정된다.
도3 내지 도6을 참조하면, 클립(50)은 선재를 절곡(굽힘)가공하여 형성한다. 클립(50)은 두 개의 선이 나란히 직선으로 연장되는 제1 지탱부(52)와 두 개의 선이 나란히 연장되는 제2 지탱부(54)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지탱부(52)와 제2 지탱부(54)는 굴곡부(56)에서 만나며 90도 또는 그 보다 작은 각도(예각)(예를 들면, 85 내지 89도, 바람직하기로는 87도)를 이루면서 구부러져 있다. 상기 제1 및 제2지탱부(52,54) 및 굴곡부는 탄성을 제공한다.
제2 지탱부(54)의 끝단 부근에는 절곡가공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치우친 부분(58)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지탱부(54)의 두 개의 평행인 선재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하나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이 클립(50)을 조립할 때, 치우친 부분(58)과 외벽부재(14,16,18)의 표면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59)이 생긴다(도 6참조). 따라서, 컨테이너 해체 시 이 공간(59)에 도구(T)의 끝을 넣어 쉽게 클립(50) 제거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해체시 나무로 된 외벽부재 즉 덮개나, 측벽, 바닥판의 손상을 최소로 할 수 있다.
제1 지탱부(52)의 끝단에서는 서로 평행인 선재가 안쪽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1 걸이부(58)가 연결된다. 제1 걸이부(58)는 먼저 제1 지탱부(52)를 형성하는 선재가 안쪽으로 1차 절곡위치(60)에서 절곡된 후, 다시 2차 절곡 위치(62)에서 절곡되는데 제1 지탱부(52)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도 제1 지탱부(52)의 선재와는 대체로 수직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형성된다. 통상 선재의 잘라진 끝단이 이 제1 지탱부(52)와는 수직인 끝단부분(64)에서 만나게 된다. 이들 선재의 끝단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66)가 마련된다.
도7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연결구(66,66a)는 삽입구멍(68,68a)을 구비하는 보스부(70,70a)와 상기 보스부(68,68a)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71,71a)를 구비한다. 상기 연장부(71,71a)에는 구멍(72,72a)가 마련된다. 도6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구멍에는 도구의 끝부분을 끼울 수 있어 컨테이너 해체 시 클립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해체시 나무로 된 외벽부재의 손상을 최소로 할수 있다. 연결구(66,66a)의 연장부(71,71a)는 도7의 (a)와 같이 보스부의 중간에 붙어 있을 수도 있으며, 도 7의 (b)와 같이 보스부의 한쪽으로 치우쳐 붙어 있을 수도 있다. 도3, 도6과 도7을 참조하면, 보스부(70)의 삽입구멍(68)에는 선재의 끝단부분(64)가 삽입된다. 이때, 선재가 압입되도록 선재 직경메 맞추어 구멍(68)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부(71)와 보스부(70)는 하나의 금속판재로 성형(통상 컬링 성형이라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제2 지탱부(54)의 끝단에서는 서로 평행인 선재가 안쪽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2 걸이부(74)가 연결된다. 제2 걸이부(74)는 제2 지탱부(54)와 대체로 수직이며 일정한 거리(삽입홈의 깊이보다 작은 거리로서 예를 들면, 7-8 mm)만큼 떨어진 연결다리(76)를 구비하며, 연결다리(76)의 양끝에서 선재는 절곡되고 다시, 제1 지탱부와 연결된 부분에서 절곡되어 있다.
제1 지탱부(52)와 제1 걸이부(58) 사이에 이루어지는 절곡각도는 90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도5 참조). 제2 지탱부(54)와 제2 걸이부(74) 사이에 이루어지는 절곡각도는 90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도5 참조). 조립시 변형되어 우연한 외부의 영향이 있더라도 탄성력에 의해 조립 상태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치우친 부분(58)이 제2 지탱부(54)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덜 바람직하지만, 치우친 부분이 제1 지탱부에 올 수도 있다. 사용되는 선재는 강선 또는 스텐인리스 철선 또는 피아노 강선 등의 금속 선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에 따라 상기 실시예에 수정 또는 변경을 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 변경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컨테이너 조립상태에서는 견고하게 결합을 유지해주지만 해체시에는 쉽게 그리고 다른 컨테이너 부품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제거될 수 있는 클립이 제공된다. 아울러 이러한 클립은 가볍고 부피가 작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컨테이너에 사용하는 판으로서 네 변에 구성되는 지지대를 별도로 구비하고 지지대 사이는 얇은 판을 사용함으로써 밀폐를 컨테이너의 밀폐가 가능하면서도, 두꺼운 재료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결국, 재료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컨테이너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Claims (7)

  1. 테두리에 인접하여 다수의 삽입홈이 마련되며 서로 대체로 수직을 이루며 조립되는 다수의 외벽부재를 구비하는 이송 컨테이너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서로 접하는 외벽부재들을 연결하기 위한 클립으로서,
    2개의 선재가 평행으로 나란히 배열된 제1 지탱부와,
    2개의 선재가 평행으로 나란히 배열되며, 상기 제1 지탱부와 90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며 절곡되어 연결되는 제2 지탱부와,
    상기 제1 지탱부와는 내측으로 90도 이하의 내각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연결되며, 어느 하나의 외벽부재의 삽입홈에 끼워지는 제1 걸이부와,
    상기 제2 지탱부와는 내측으로 90도 이하의 내각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연결되며, 상기 제1 걸이부가 삽입된 외벽부재와 대체로 수직으로 이웃하여 조립되는 다른 외벽부재의 삽입홈에 끼워지는 제2 걸이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1 지탱부 또는 제2 지탱부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선재에는 외측으로 돌출하여 치우친 부분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컨테이너용 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탱부에 상기 치우친 부분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컨테이너용 클립.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이부에는 상기 선재의 끝단부분을연결하기 위한 연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컨테이너용 클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선재가 끼워지는 구멍을 구비한 보스부와, 상기 보스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장부에는 해체도구 삽입용 구멍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컨테이너용 클립.
  5. 테두리에 인접하여 다수의 삽입홈이 마련되며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는 클립에 의해 서로 대체로 수직을 이루며 조립되는 다수의 외벽부재를 구비하는 이송 컨테이너로서,
    상기 클립은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클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컨테이너.
  6. 테두리에 인접하여 다수의 삽입홈이 마련되며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는 클립에 의해 서로 대체로 수직을 이루며 조립되는 다수의 외벽부재를 구비하는 이송 컨테이너로서,
    상기 외벽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지지대와, 상기 제1 지지대와 평행인 제2 지지대와, 상기 제1 지지대 및 상기 제2 지지대의 끝단을 연결하는 측면 지지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외벽부재의 테두리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는 판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지지대에는 상기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컨테이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클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컨테이너.
KR1019990064654A 1999-12-29 1999-12-29 이송 컨테이너용 클립과 그 클립을 사용한 이송 컨테이너 KR100358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654A KR100358650B1 (ko) 1999-12-29 1999-12-29 이송 컨테이너용 클립과 그 클립을 사용한 이송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654A KR100358650B1 (ko) 1999-12-29 1999-12-29 이송 컨테이너용 클립과 그 클립을 사용한 이송 컨테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452A KR20010064452A (ko) 2001-07-09
KR100358650B1 true KR100358650B1 (ko) 2002-10-31

Family

ID=19631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4654A KR100358650B1 (ko) 1999-12-29 1999-12-29 이송 컨테이너용 클립과 그 클립을 사용한 이송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86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9447B1 (ko) * 2000-11-06 2003-01-24 방인창 수출포장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452A (ko) 2001-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70691B2 (ja) ケースの嵌合構造
KR100700433B1 (ko) 시트 고정장치
KR100689873B1 (ko) 케이블 트레이의 결합구조
KR100358650B1 (ko) 이송 컨테이너용 클립과 그 클립을 사용한 이송 컨테이너
JP4921927B2 (ja) ボックスパレット
EP1418345A1 (en) Connection structure for connecting member tip parts into mounting holes
US20050269277A1 (en) Wine bottle frame
KR100602740B1 (ko) 서랍 안내장치 및 그 서랍안내장치의 조립 및 제조방법
JP5627143B2 (ja) 猫用爪研ぎ器
JP3161386U (ja) 商品展示用具
KR20070082862A (ko) 스프링 클립
KR20070042633A (ko) 포장박스용 프레임 구조
JP4231818B2 (ja) スタッキングおよびネスティングが可能な容器のカード差し取付構造
JPS6020623Y2 (ja) 鶏卵包装用組立紙器
CN210634921U (zh) 一种物流箱的连接扣
KR200404574Y1 (ko) 책장의 하부조립구조
KR200438882Y1 (ko) 도어 프로파일용 클립 조립체
KR200184021Y1 (ko) 판지를 이용한 팔레트
JPH0113076Y2 (ko)
JPH0226820Y2 (ko)
JP3130034U (ja) ブーツクリップ
JP4157025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KR200181557Y1 (ko)
KR200253117Y1 (ko) 공구 걸이판
JP3086032U (ja) 箱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