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0433B1 - 시트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0433B1
KR100700433B1 KR1020000046542A KR20000046542A KR100700433B1 KR 100700433 B1 KR100700433 B1 KR 100700433B1 KR 1020000046542 A KR1020000046542 A KR 1020000046542A KR 20000046542 A KR20000046542 A KR 20000046542A KR 100700433 B1 KR100700433 B1 KR 100700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ressing
support frame
lower portion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6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0051A (ko
Inventor
히로타요시나리
Original Assignee
토토 코교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99007086U external-priority patent/JP3067476U/ja
Application filed by 토토 코교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토토 코교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50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30Dovetail-like conn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Screen Prin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의 주름 발생과 파단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누름 프레임의 착탈작업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온실 등의 비닐하우스에 대한 시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구부의 폭이 좁은 긴 지지 프레임(1)과, 긴 지지 프레임(1) 내에 끼워져서 상기 긴 지지 프레임(1)과 함께 시트(2)를 고정하는 누름 프레임(3)과, 누름 프레임(3) 내에 끼워져 상기 누름 프레임(3)을 긴 지지 프레임(1)의 내벽쪽으로 누르는 가압부재(6)로 구성되는 시트(2) 고정장치에 있어서, 누름 프레임(3)이 구부러지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시트, 고정, 비닐하우스. 프레임

Description

시트 고정장치{Sheet fixing device}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시트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종단 정면도,
도3은 다른 실시예에 대한 시트 고정장치의 종단 정면도,
도4는 다른 실시예에 대한 시트 고정장치의 종단 정면도,
도5는 다른 실시예에 대한 시트 고정장치의 종단 정면도,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시트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7은 도6의 분해 사시도,
도8은 도7의 종단 확대 정면도,
도9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누름 프레임의 종단 정면도,
도10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누름 프레임의 종단 정면도,
도11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누름 프레임의 종단 정면도,
도12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누름 프레임의 종단 정면도,
도13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누름 프레임의 종단 정면도,
도14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시트 고정장치의 종단 정면도,
도15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시트 고정장치의 종단 정면도,
도16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시트 고정장치의 종단 정면도,
도17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누름 프레임의 종단 정면도,
도18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시트 고정장치의 종단 정면도,
도19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시트 고정장치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긴 지지 프레임, 1a …수평 하부
1b …측벽부, 2 …시트
3 …누름 프레임, 4 …고정 선재
5 …고정 판재, 6 …가압부재
7 …지지판, 8 …가이드 홈
9 …수평 하부, 10 …고정 프레임
17 …지지판, 18 …가이드 홈
28 …가이드 홈, 29 …수평하부
37 …고정 프레임, 38 …하부 프레임
39 …가이드 홈, 40 …하부 프레임
41 …말림(curl), 45, 47 …이(齒)
48 …슬립 방지기구, 50 … 걸림기구
60 …스토퍼(stopper)
본 발명은 온실에 사용되는 비닐 하우스에 있어서, 투광성 시트(sheet)를 하우스의 골조에 고정시키는 시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비닐 하우스에 대한 시트 고정장치는 개구부(開口部)의 폭이 좁은 긴(長尺) 지지 프레임과, 이 지지 프레임 내에 결합하는 탄성의 고정 선재로 이루어지고, 지지 프레임 내에 고정 선재로 비닐 시트를 눌러서 고정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0.1mm 정도 두께의 얇은 연질 필름을 온실용의 시트로 사용하는 경우에 이 시트를 고정하는데 적합한 시트 고정장치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소54-42992호 공보, 일본국 실용신안등록 제2094628호 공보에 나타난 바와 같은 기술이 개발되어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시트 고정장치는 개구부의 폭이 좁은 긴 지지 프레임과, 긴 지지 프레임 내에 끼워서 상기 긴 지지 프레임과 함께 시트를 고정하는 분할 가능한 누름 프레임과, 누름 프레임 내에 끼워서 상기 누름 프레임을 긴 지지 프레임의 내벽쪽으로 누르는 가압부재로 이루어지고, 누름 프레임에는 하부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직선으로 절취선 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사행(蛇行)하는 노치(notch)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각 시트 고정장치에 의하면, 긴 지지 프레임 내에 누름 프레임을 끼워서 시트를 고정시키고 누름 프레임을 가압부재로 양쪽에서 누르면, 절취선 또는 노치를 따라서 누름 프레임이 좌우 2개로 분할되면서 긴 지지 프레임과 함께 시트를 고정하므로 시트의 주름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누름 프레임에 의해서 가압부재가 시트에 직접 닿지 않으므로 가압부재에 의해 시트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시트의 마찰에 의한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절취선을 형성한 실용신안공개공보 소54-42992호 공보에 나타난 시트 고정장치는, 한번 절취선으로 절단해 버리면 재사용이 불가능하게 되어 경제성이 낮다. 더욱이, 누름 프레임으로 긴 지지 프레임 내에 시트를 집어 넣으려고 하는 경우에는, 시트의 장력, 환언하면 시트가 수평상태로 돌아가려고 하는 자기 복원력이 누름 프레임의 배면에 작용해서 절취선을 중심으로 해서 누름 프레임이 안쪽으로 구부러져 버리거나, 반대로 절취선을 중심으로 해서 반대방향으로 뒤로 휘어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움직임을 제어하면서 시트의 고정작업을 하게 되므로 작업성이 저하하게 된다.
더욱이, 절취선을 따라서 누름 프레임을 분할시키려면, 탄성력이 강하거나 누름력이 강한 가압부재가 필요하게 되어 작업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키고 그 부품의 가공성이 나빠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절취선이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는 재질, 예를 들어 얇은 플라스틱제로 누름 프레임을 성형하면 반대로 이 누름 프레임이 가압부재의 누름력을 견디지 못하고 부분적으로나 전체적으로 변형되고, 더욱이, 시트에 주름이 발생하는 외에도 누름 프레임이 열화하기 쉬워 그 내구성이 나빠진다.
한편, 중앙에 사행하는 노치를 형성한 누름 프레임을 사용하는 실용신안등록 제2094628호 공보에 나타난 시트 고정장치에 의하면, 누름 프레임의 구부러짐이나 뒤로 휘어짐이 약간 해소되는 반면에, 시트의 교체시에 재이용 작업이 현저하게 곤 란하다. 즉, 시트의 고정시에 가압부재로 누르면 누름 프레임이 좌우 2개로 분할되어 떨어져버린다. 이로 인하여, 시트를 교체하는 경우에, 긴 지지 프레임 내에서 각각 독립하여 2개로 분할된 누름 프레임을 꺼내고, 다시 새로운 시트를 끼워넣고 누름 프레임으로 시트를 고정시키고자 할 때에는 한장 한장 좌우의 누름 프레임을 노치면의 위치에 맞추면서 긴 지지 프레임 내에 끼우지 않으면 안되고, 이때 시트의 장력이 각 누름 프레임의 배면에 작용하게 되므로, 이 장력에 저항해서 위치를 맞추면서 끼움작업을 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누름 프레임의 장착작업이 현저하게 곤란하여 작업능률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더욱이,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2094628호 공보에는 누름 프레임의 하부를 복수의 노치에 의해서 익스팬더(expander)식으로 지름을 확장시키는 기술도 개시되어 있으나, 이 방식에 의하면 가압부재에 의해 한번 가로방향으로 지름을 확장시키면 자기 복원력에 의해서 원위치로 복귀할 수 없고 가로폭이 확장된 상태인 채로 있게 되어버린다. 따라서, 시트의 교체시에 재사용하면 긴 지지 프레임 내에서 꺼내는 작업이 곤란하고, 또 다시 긴 지지 프레임 내에 끼울 때에는 가로폭이 너무 커서 장착작업이 곤란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의 주름 발생, 파단을 방지하는 것 뿐만 아니라, 가압력이 약한 가압부재를 사용할 수 있고, 시트의 교체시에 반복하여 재이용이 가능하며, 누름 프레임의 착탈작업을 현저하게 향상시킬수 있는 비닐 하우스에 대한 시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수단은, 수평한 하부와, 하부의 양단에서 기립(起立)하는 양(兩) 측벽부(側壁部)로 이루어지는 개구부의 폭이 좁은 긴 지지 프레임과, 긴 지지 프레임 내에 끼워져서 상기 긴 지지 프레임과 함께 시트를 고정하는 누름 프레임과, 누름 프레임 내에 끼워져서 상기 누름 프레임을 긴 지지 프레임의 내벽쪽으로 누르는 가압부재로 이루어지는 시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누름 프레임은 중앙의 지지판과, 지지판의 양쪽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가이드 홈과, 각 가이드 홈 내에 수평 하부를 가로 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되도록 끼워진 좌우 한 쌍의 고정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수단은, 수평한 하부와, 하부의 양단에서 기립하는 양 측벽부로 이루어지는 개구부의 폭이 좁은 긴 지지 프레임과, 긴 지지 프레임 내에 끼워져서 상기 긴 지지 프레임과 함께 시트를 고정하는 누름 프레임과, 누름 프레임 내에 끼워져서 상기 누름 프레임을 긴 지지 프레임의 내벽쪽으로 누르는 가압부재로 이루어지는 시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누름 프레임은 중앙의 지지판과, 지지판의 양쪽에서 가로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되도록 설치한 좌우 한쌍의 고정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의 수평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한 가이드 홈으로 구성되고, 가이드 홈 내에 지지판의 양 단부를 각각 끼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수단은, 수평한 하부와, 하부의 양쪽에서 기립하는 양 측벽부로 이루어지는 개구부의 폭이 좁은 긴 지지 프레임과, 긴 지지 프레임 내에 끼 워져서 상기 긴 지지 프레임과 함께 시트를 고정하는 누름 프레임과, 누름 프레임 내에 끼워져서 상기 누름 프레임을 긴 지지 프레임의 내벽쪽으로 누르는 가압부재로 이루어지는 시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누름 프레임은 가로 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되도록 설치한 좌우 한쌍의 고정 프레임과, 한쪽의 고정프레임의 수평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가이드 홈으로 구성되고, 다른쪽의 고정 프레임의 수평 하부를 가이드 홈 내에 끼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수단은, 수평한 하부와, 하부의 양쪽에서 기립하는 양 측벽부로 이루어지는 개구부의 폭이 좁은 긴 지지 프레임과, 긴 지지 프레임 내에 끼워져서 상기 긴 지지 프레임과 함께 시트를 고정하는 누름 프레임과, 누름 프레임 내에 끼워져서 상기 누름 프레임을 긴 지지 프레임의 내벽쪽으로 누르는 가압부재로 이루어지는 시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누름 프레임은 가로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되도록 설치된 좌우 한쌍의 고정 프레임과, 각 고정 프레임의 수평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가이드 홈으로 구성되며, 각 고정 프레임의 수평 하부를 각 가이드 홈에 끼워서 자유롭게 슬라이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수단은, 수평한 하부와, 하부의 양쪽에서 기립하는 양 측벽부로 이루어지는 개구부의 폭이 좁은 긴 지지 프레임과, 긴 지지 프레임 내에 끼워져서 상기 긴 지지 프레임과 함께 시트를 고정하는 누름 프레임과, 누름 프레임 내에 끼워져서 상기 누름 프레임을 긴 지지 프레임의 내벽쪽으로 누르는 가압부재로 이루어지는 시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누름 프레임은 가로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되도록 설치하고, 또한 상기 양 측벽부와 동일한 각도로 형성한 좌우 한쌍의 고정 프레임과 각 고정 프레임의 선단(先端)에 임의의 각도로 위 또는 아래로 경사지게 일체로 연결하여 설치한 하부 프레임과, 적어도 한쪽의 하부 프레임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가이드 홈으로 구성되며, 다른 쪽의 하부 프레임을 가이드 홈 내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드되도록 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수단은, 수평한 하부와, 하부의 양쪽에서 기립하는 양 측벽부로 이루어지는 개구부의 폭이 좁은 긴 지지 프레임과, 긴 지지 프레임 내에 끼워져서 상기 긴 지지 프레임과 함께 시트를 고정하는 누름 프레임과, 누름 프레임 내에 끼워져서 상기 누름 프레임을 긴 지지 프레임의 내벽쪽으로 누르는 가압부재로 이루어지는 시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누름 프레임이 중앙의 지지판과 지지판의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가이드 홈과, 지지판의 양측에서 가로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되도록 설치되고, 또한 상기 양 측벽부와 동일한 각도로 형성된 좌우 한쌍의 고정 프레임과, 각 고정 프레임의 선단에서 임의의 각도로 위 또는 아래로 경사지게 일체로 연결하여 설치한 하부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각 하부 프레임을 상기 각 가이드 홈 내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드되도록 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수단은, 수평한 하부와, 하부의 양쪽에서 기립하는 양 측벽부로 이루어지는 개구부의 폭이 좁은 긴 지지 프레임과, 긴 지지 프레임 내에 끼워져서 상기 긴 지지 프레임과 함께 시트를 고정하는 누름 프레임과, 누름 프레임 내에 끼워져서 상기 누름 프레임을 긴 지지 프레임의 내벽쪽으로 누르는 가압부재로 이루어지는 시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누름 프레임이 중앙의 수평 지지판과 수평 지지판의 양측 가로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되도록 설치되고, 또한 상기 양 측벽부와 동일한 각도로 형성된 좌우 한쌍의 고정 프레임과, 각 고정 프레임의 선단에서 임의의 각도로 위 또는 아래로 경사지게 일체로 연결하여 설치된 하부 프레임과, 각 하부 프레임에서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가이드 홈으로 구성되고, 각 가이드 홈 내에 수평 지지판의 양단부를 각각 끼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해서 설명한다.
도1,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시트 고정장치는, 수평하부(1a)와, 하부(1a)의 양단에서 기립하는 양 측벽부(1b)로 이루어지는 개구부의 폭이 좁은 긴 지지 프레임(1)과, 긴 지지 프레임(1) 내에서 끼워져서 상기 긴 지지 프레임(1)과 함께 합성수지 시트(2)를 고정하는 누름 프레임(3)과, 누름 프레임(3) 내에 끼워져서 상기 누름 프레임(3)을 긴 지지 프레임(1)의 내벽쪽으로 누르는 고정 선재(4) 또는 고정 판재(5)로 이루어지는 가압부재(6)로 구성되어 있다. 가압부재(6)로는 고정 선재(4) 또는 고정 판재(5)를 독립해서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도 좋고, 동시에 같이 사용하는 것도 좋다.
누름 프레임(3)은, 중앙 단면이 H형태인 지지판(7)과, 지지판(7)의 양쪽에서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좌우 한쌍의 가이드 홈(8)과, 각 가이드 홈(8) 내에 수평 하부(9)를 가로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되도록 끼워진 좌우 한쌍의 고정 프레임(10)으로 구성되어 있다.
긴 지지 프레임(1)은, 종래와 같이 비둘기 꼬리 형태의 홈을 가지고, 상단에 말림(curl)을 갖는 단면이 도브테일(dovetail) 형상인 프레임이다. 마찬가지로, 고정 프레임(10)도 긴 지지 프레임(1)과 닮은 꼴로 형성하고, 역시 비둘기 꼬리형상의 홈을 가지며, 긴 지지 프레임(1)의 내벽과 양측 프레임(10)의 외면이 함께 시트(2)를 균일하게 고정하며, 이에 의해 시트(2)에 주름이 발생하고 파단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누름 프레임(3)은, 고정 프레임(10)의 하부(9)를 지지판(7)의 가이드 홈(8) 내에 삽입해 두는 것에 의하여, 두개의 고정 프레임(10)의 가로 폭은 긴 지지 프레임(1)의 하부의 가로폭 치수보다 작게 되고, 이 상태에서 반송(搬送), 격납 또는 긴 지지 프레임(1) 내로의 착탈작업이 행해지게된다.
즉, 시트(2)를 고정하는 경우에는 먼저 긴 지지 프레임(1) 내에 누름 프레임(3)을 끼워서 밀어넣는다. 누름 프레임(3)은 고정 프레임(10)을 압축한 상태에서 긴 지지 프레임(1)의 개구부 보다 경사지게 해서 끼운다. 이 상태에서, 예를 들면 고정 선재(4)를 누름 프레임(3) 내에 자신의 탄성에 저항해서 강제적으로 끼우면, 이 고정 선재(4)가 고정 프레임(10)을 도2의 화살표 방향으로 누르고, 이것에 의해 고정 프레임(10)은 가이드 홈(8)에 의해 안내되면서 수평으로 슬라이드하고, 긴 지지 프레임(1)의 내벽쪽으로 누르며 접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시트(2)가 고정 프레임(10)과 긴 지지 프레임(1)에 의해 고정되어 빠지지 않게 된다.
한편, 시트(2)의 교체시에는 고정 선재를 제거하고, 손가락 등으로 고정 프레임(10)을 안쪽으로 누르면 고정 프레임(10)이 가이드 홈(8)을 따라서 안쪽으로 슬라이드하고, 가로 폭을 작게한 상태에서 누름 프레임(3)을 긴 지지 프레임(10에 서 빼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 누름 프레임(3)의 착탈작업시에는 지지판(7)이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 지지판(7)이 떠받치고 있어 고정 프레임(10)이 구부러지거나 뒤로 휘는 것을 방지한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누름 프레임(3)을 변형한 것이다. 즉, 누름 프레임(3)을 중앙의 지지판(17)과, 좌우 한쌍의 고정 프레임(10)과, 각 고정 프레임(10)의 하부(19)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한 가이드 홈(18)으로 구성하고, 각 가이드 홈(18) 내에 지지판(17)의 양 단부를 각각 끼운 것이다.
이 경우에는, 통상 고정 프레임(10)을 지지판(17)을 따라서 압축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서 가로폭을 작게해 두고, 사용시에는 가압 부재(6), 예를 들면 고정 선재(4)에 의해 고정 프레임(10)을 긴 지지 프레임(1)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켜서 시트(2)를 고정한다. 그 외의 구조, 작용, 효과는 도1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도 누름 프레임을 변형한 것이다. 누름 프레임(3)은 가로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되도록 설치한 좌우 한쌍의 고정 프레임(10)과, 한쪽의, 즉 도3에서 좌측의 고정 프레임(10)의 수평 하부(29)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한 가이드 홈(28)으로 구성되고, 다른 쪽의 고정 프레임(10)의 하부(29a)를 가이드 홈(28) 내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드되도록 끼운 것이다. 이 경우, 통상은 오른쪽의 고정 프레임(10)의 하부(29a)를 가이드 홈(28) 내에 끼워 전체의 가로폭을 작게해 두고, 사용시에는 가압부재(6)로 좌우에서 밀어넣어서 고정 프레임(10)을 좌우로 슬라이드시키고, 각 고정 프레임(10)과 긴 지지 프레임(1)으로 시트(2)를 고정하는 것이다.
그 외의 구성, 작용, 효과는 도1, 도3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도4의 실시예에 관한 것을 변형한 것이다. 각 누름 프레임(3)은 각 고정 프레임(10)의 하부(29)에서 서로 마주 보는 가이드 홈(28)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 홈(28)을 끼워서 하부(29)를 자유롭게 슬라이드하도록 끼운 것이다. 작용, 효과는 도4의 것과 동일하다.
더욱이,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가압부재로서는 누름 프레임(3)을 양쪽에서 누르는 것이면 어떠한 것도 사용가능하지만, 예를 들면 상기의 경우에 덧붙여서 산(山) 형상 혹은 물결 형상의 판 스프링, 탄성이 풍부한 선재 등이 사용된다.
또한, 도6 내지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시트 고정장치는 개구부의 폭이 좁은 긴 지지 프레임(1)과, 긴 지지 프레임(1) 내에 끼워서 상기 긴 지지 프레임(1)과 함께 합성수지 시트(2)를 고정하는 누름 프레임(3)과, 누름 프레임(3) 내에 끼워서 상기 누름 프레임(3)을 긴 지지 프레임(1)의 내벽쪽으로 누르는 고정선재(4) 또는 고정판재(5)로 이루어지는 가압부재(6)로 구성되어 있다.
긴 지지 프레임(1)은 종래와 동일하게 비둘기 꼬리 형상의 홈을 가지며, 수평한 하부(1a)와, 이 하부(1a)의 양단에서 경사지게 위로 기립하는 한 쌍의 양 측벽부(1b)와, 상단에 말림(1c)을 갖는 도브테일(dovetail) 형상의 단면을 갖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누름 프레임(3)도 긴 지지 프레임(1)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역시 비둘기 꼬리 형상의 홈을 갖고, 긴 지지 프레임(1)의 내벽 과 누름 프레임(3)의 외면으로 시트(2)를 균일하게 고정하며 이에 의해 시트(2)에 주름이나 파단(破斷)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누름 프레임(3)은 가로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되도록 설치한 좌우 한쌍의 고정 프레임(37)과 한쪽의 고정 프레임(37)의 선단에 연결되어 설치된 하부 프레임(38)과, 다른 쪽의 고정 프레임(37)의 선단에 연결하여 설치된 판상(板狀) 하부 프레임(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좌우 한쌍의 고정 프레임(37)의 각도는 긴 지지 프레임(1)에 있어서 양 측벽부(1b)의 각도와 동일하거나 또는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고, 그 윗쪽에는 만곡편(彎曲片)으로 된 말림(curl)(41)이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다.
각 고정 프레임(37)에 연결되어 설치된 하부 프레임(38, 40)은 임의의 각도로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일체로 결합되고, 이에 의해서 고정 프레임(37)과 하부 프레임(38, 40)으로 형성한 비둘기 꼬리 형태의 홈(42)의 각도(θ2)는 긴 지지 프레임쪽의 비둘기 꼬리 형태의 홈(43)의 각도(θ1)보다 크게 성형된다.
한쪽의 하부 프레임(38)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가이드 홈(39)이 형성되고, 통상은 이 가이드 홈(39) 내에 다른 쪽의 하부 프레임(40)이 가로 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되도록 삽입되어 있다. 누름 프레임(3)은 한쪽의 고정 프레임(37)쪽의 하부 프레임(40)을 가이드 홈(39) 내에 삽입하여 둠으로써, 두개의 양쪽 고정 프레임(37) 간의 가로폭은 긴 지지 프레임(10의 하부(1a)의 가로 폭보다 작게 되고, 이 상태로 반송, 격납 또는 긴 지지 프레임(1)내로 착탈작업이 행해진다.
즉, 시트(2)를 고정하는 경우에는 먼저 긴 지지 프레임(1) 내에 누름 프레임(3)을 끼워서 삽입한다. 누름 프레임(3)은 고정 프레임(37)을 압축한 상태로 긴 지지 프레임(1)의 개구부로 경사지게 해서 끼운다. 이 상태에서, 예를 들면 고정 선재(4)를 누름 프레임(3) 내에 자체 탄성에 저항해서 강제적으로 끼우면, 이 고정 선재(4)가 고정 프레임(37)을 좌우 방향으로 누르고 이들에 의해 고정 프레임(37)과 하부 프레임(38, 40)은 가이드 홈(39)으로 안내되면서 수평하게 슬라이드하고, 긴 지지 프레임(1)의 내벽쪽으로 각 고정 프레임(37)이 누르며 접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시트(2)가 고정 프레임(37)과 긴 지지 프레임(1)에서의 양 측벽부(1)에 의해 고정되어 빠지지 않게 된다.
한편, 시트(2)의 교체시에는 고정 선재를 제거하고 손가락 등으로 고정 프레임(37)을 안쪽으로 누르면, 고정 프레임(37)과 하부 프레임(38, 40)이 가이드 홈(39)를 따라서 안쪽으로 슬라이드하고, 가로 폭을 작게 한 상태에서 누름 프레임(3)을 긴 지지 프레임(1)에서 빼내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주목해야 하는 것은, 고정 선재(4)에 의해 좌우로 고정 프레임(37)이 확장되는 경우에,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홈(39)의 출구단 부근까지 다른 쪽 하부 프레임(10)의 끝부분이 이동하고, 더구나 고정 프레임(37)이 시트(2)를 고정하면서 양 측벽부(1b)에 접한다. 이때, 누름 프레임(3)의 두개의 하부 프레임(38, 40)이 아래를 향해 기울어져서 두개의 하부 프레임(38, 40)은 거의 V자 형상으로 되고, 누름 프레임(3) 자체는 중앙에서 위를 향하여 거꾸로 된 V자 형태로 절곡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하부 프레임(38, 40)이 거의 V자 형상으로 된 상태에서는 비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시트(2)로부터 고정 프레임(37)과 하부 프레임(38, 40)에 대해서 도8의 화살표 X 방향을 향해서 누름 프레임(3) 전체를 압축시키려는 힘이 작용하여도, 이러한 압축방향의 힘은 각 고정 프레임(37)을 비스듬히 안쪽으로 누르고, 하부 프레임(38, 40)이 더욱 예각인 V자 형태로 되는 각도로 된다. 그 결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쪽의 하부 프레임(40)의 끝부분의 윗면이 가이드 홈(39)의 바깥끝 모서리(A)에 걸리고, 마찬가지로 하부 프레임(40)의 선단의 아랫쪽 모서리(B)가 가이드 홈(39)의 아랫면에 예각으로 걸리며, 두개의 모서리(A, B)의 걸림작용에 의해 다른 쪽 하부 프레임(40)이 가이드 홈(39) 안으로 침입하지 않고 떠받치는 상태로 유지된다. 바꾸어 말하면 누름 프레임(3)이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드한 상태에서는 긴 지지 프레임(1)과 함께 시트(2)를 균일하게 고정하고, 시트(2)에 외력이 작용하여도 누름 프레임(3)은 압축되지 않고 시트(2)를 고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하부 프레임(38, 40)이 V자 형상으로 되어 떠받침에 따라 긴 지지 프레임(1)과 V자 형태의 누름 프레임(3)이 합체된 강성 구조체로 되는 효과도 발생한다.
다음, 도9 내지 도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누름 프레임(3)에 다른 쪽의 하부 프레임(40)이 가이드 홈(39) 내로 복귀하는 것을 저지하는 슬립 방지기구 또는 걸림 기구를 형성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들 실시예에 관한 시트 고정장치는 도6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개구부의 폭이 좁은 긴 지지 프레임(1)과, 긴 지지 프레임(1) 내에 끼워서 상기 긴 지지 프레임(1)과 함께 시트(2)를 고정하는 누름 프레임(3)과, 누름 프레임(3) 내에 끼워서 상기 누름 프레임(3)을 긴 지지 프레임(1)의 내벽쪽으로 누르는 가압 부재(6)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누름 프레임(3)을 가로 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되도록 설치된 좌우 한쌍의 고정 프레임(37)과, 각 고정 프레임(37)의 선단에서 임의의 각도로 아래로 기울어지게 일체로 연결되어 설치된 하부 프레임(38, 40)과, 한쪽의 하부 프레임(38)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가이드 홈(39)으로 구성하고, 다른 쪽의 하부 프레임(40)을 가이드 홈(39) 내로 자유롭게 슬라이드되도록 끼운 구성에 있어서 서로 일치한다.
도9의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홈(39)의 하면에 슬립 방지기구와 걸림기구를 겸하는 톱니 형상의 이(齒)(45)를 다수 형성하고, 다른 쪽의 하부 프레임(40)의 선단 하부 모서리(B)가 이들 이(45) 중 임의의, 바람직하게는 선단부측의 이(45)에 걸려서 가이드 홈(39)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시키고 있다.
마찬가지로, 도10의 실시예는 다른 쪽 하부 프레임(40)의 윗면에 슬립 방지기구와 걸림기구를 겸한 톱니 형상의 이(47)를 다수 형성하고, 이 이(47)에 가이드 홈(39)의 출구끝 모서리(A)가 걸리도록 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도11의 실시예는 슬립 방지기구(48)로서 다른 쪽 하부 프레임(40)의 윗면과 가이드 홈(39)의 하면에 각각 거친 요철(49, 50)을 형성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도12의 실시예는 걸림기구(50)로서 한쪽의 하부 프레임(38)의 선단 하부를 잘라서 짧게 하여 걸림부(51)를 형성하고, 이 걸림부(51)에 다른 쪽의 하부 프레임(40)의 선단이 걸리도록 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도13의 실시예는 걸림기구로서 가이드 홈(39)의 상하면에 다수의 오목부(52)를 형성하고, 다른 쪽 하부 프레임(40)의 외면에 볼록부(53)를 형성하며, 이 하부 프레임(40)이 압축방향으로 눌러질 때 볼록부(53)가 오목부(52) 중 하나에 끼워져서 더 이상 다른 쪽의 하부 프레임(40)이 압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도14의 실시예는 걸림기구로서 한쪽의 하부 프레임(38) 내의 가이드 홈(39)의 상하면에 쐐기형태(楔狀)의 오목부(55)를 다수 형성하고, 다른 쪽의 하부 프레임(40)의 외주에 쐐기형태의 볼록부(54)를 형성하며, 다른 쪽의 하부 프레임(40)이 압축방향의 힘을 받는 때에 볼록부(54) 끝면이 오목부(55)의 끝면 또는 한쪽의 하부 프레임(38)의 바깥 끝면에 접하여 걸리고, 그 위치로부터는 압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누름 프레임(3)을 구성하는 양측의 고정 프레임(37)의 각도는 긴 지지 프레임(1)의 양 측벽부(1b)의 각도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각 하부 프레임(38, 40)은 수평하게 형성되고 있으나, 각 하부 프레임(38, 40)을 아래로 경사지게 하는 것도 좋다.
더욱이, 도15의 실시예는 다른 쪽의 하부 프레임(40)과 고정 프레임(37)의 사이에 경사진 각부(脚部)(57)를 설치하고, 이 각부(57)의 각도에 의해 각 하부 프레임(38, 40)의 끝부분 모서리(A, B)가 걸리기 쉽게 해서 하부 프레임(40)의 압축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시킨 것이다. 이 경우, 하부 프레임(40)의 아랫쪽에는 비교적 큰 공간(S)이 형성되며, 예를 들면 긴 지지 프레임(1)의 하부(1a)의 중앙에 나 사 등을 박아넣을때 이 나사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도16의 실시예는 다른 쪽의 하부 프레임(40)에도 가이드 홈(39a)을 형성하고, 좌우 한쌍의 하부 프레임(38, 40)들이 각 가이드 홈(39, 39a)을 통해서 자유롭게 슬라이드되도록 끼운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걸림기구로서 다른 쪽의 하부 프레임(40)의 선단에 상하 2단의 모서리(B)가 형성되며 이 모서리(B)가 한쪽의 하부 프레임(38)의 상면과 가이드 홈(39)의 하면에 비스듬한 방향에서 물리도록 걸려지게 되므로, 시트(2)에 의해 누름 프레임(3)이 압축방향으로 눌러지더라도 이 모서리(B)의 버티는 힘에 의해 압축되는 것이 저지된다.
도17의 실시예는, 도6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나, 이 실시예에서는 한쪽의 하부 프레임(38)의 끝부분 상방에 스토퍼(60)를 세워서 가압부재(6)인 고정선재(4)에 접하게 한 것이다. 이 경우에는, 누름 프레임(3)이 압축방향으로 힘을 받는 경우에, 도6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하부 프레임(40)의 끝부분 모서리(B)가 가이드 홈(39)의 하면에 비스듬한 방향에서 걸려지게 되어 압축방향의 이동을 저지함과 더불어 스토퍼(60)가 고정선재(4)에 접하여서 하부 프레임(38, 40)이 위로 부상하는 것을 보다 강하게 저지하고 있다. 이 스토퍼(60)의 구성은 도8 내지 도16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모든 시트 고정장치에도 적용가능하다.
다음에 도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시트 고정장치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 관한 시트 고정장치는 도6의 것과 동일하게 개구부의 폭이 좁은 긴 지지 프레임(1)과, 긴 지지 프레임(1) 내에 끼워서 상기 긴 지지 프레임(1)과 함께 시트(2)를 고정하는 누름 프레임(3)과, 누름 프레임(3) 내에 끼워서 상기 누 름 프레임(3)을 긴 지지 프레임(1)의 내벽쪽으로 누르는 가압 부재(6)로 이루어지는 시트 고정장치이다. 그리고, 누름 프레임(3)은 중앙의 지지판(58)과, 지지판(58)의 양쪽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한 가이드 홈(59)과, 지지판(58)의 양쪽에서 가로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되도록 설치한 좌우 한쌍의 고정 프레임(37)과, 각 고정 프레임(37)의 선단에 임의의 각도로 아래로 경사지게 일체로 연결하여 설치된 하부 프레임(38, 40)으로 구성되며, 각 하부 프레임(38, 40)을 상기 각 가이드 홈(59) 내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드되도록 끼운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중앙에 지지판(58)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좌우 고정 프레임(37)이 압축방향으로 눌러져도 한쌍의 하부 프레임(38, 40)이 위로 부상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각 하부 프레임(38, 40)의 끝부분 모서리(B)가 가이드 홈(59)의 하면에서 걸리고 가이드 홈(59)의 끝부분 모서리 C가 하부 프레임(38, 40)의 상면에 걸려져서 각 하부 프레임(38, 40)의 압축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더욱이, 도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시트 고정장치를 나타낸다.
이는 도6의 경우와 동일하게, 개구부의 폭이 좁은 긴 지지 프레임(1)과, 긴 지지 프레임(1) 내에 끼워서 상기 긴 지지 프레임(1)과 함께 시트(2)를 고정하는 누름 프레임(3)과, 누름 프레임(3) 내에 끼워서 상기 누름 프레임(3)을 긴 지지 프레임(1)의 내벽쪽으로 누르는 가압 부재(6)로 이루어지는 시트 고정장치이다. 그리고, 누름 프레임(3)은 중앙의 수평지지판(60)과, 수평지지판(60)의 양쪽에서 가로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되도록 설치된 좌우 한쌍의 고정 프레임(37)과, 각 고 정 프레임(37)의 선단에 임의의 각도로 아래로 경사지게 일체로 연결되어 설치된 하부 프레임(38, 40)과, 각 하부 프레임(38, 40)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가이드 홈(39)으로 구성되며, 각 가이드 홈(39) 내에 수평지지판(60)의 양쪽끝부분을 각각 끼운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18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중앙에 수평지지판(60)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한쌍의 하부 프레임(38, 40)이 위로 부상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고정 프레임(37)과 하부 프레임(38, 40)이 시트(2)의 하중에 의해 압축방향의 힘을 받는 경우에, 가이드 홈(39)의 각 끝부분 모서리(A)가 수평지지판(60)의 상면에 걸리고, 수평지지판(60)의 끝부분 아랫쪽의 모서리(D)가 가이드 홈(39)의 하면에 걸려서 하부 프레임(38, 40)이 압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된다.
더욱이, 상기 각 도15 내지 도19의 실시예에 있어서, 각 가이드 홈(39, 39a)과 하부 프레임(40) 또는 지지판(60)의 사이에 도9 내지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립 방지기구 또는 걸림기구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하부 프레임(38, 40)은 아래로 경사져 있으나, 비스듬히 위로 경사지게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누름 프레임(3)이 확장된 때에는 거꾸로 된 V자 형태가 되고, 상기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의 효과가 있다.
(1) 각 청구항의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 홈 내에 고정 프레임의 하부를 자유롭게 슬라이드되도록 끼우고 있으므로, 이 가이드 홈을 통해서 고정 프레임을 압축 방향, 확장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고, 통상은 압축해서 콤팩트(compact)화 할 수 있어 반송, 격납이 용이해 진다. 사용시에는 가압부재가 고정 프레임을 확장방향인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므로, 각 고정 프레임과 긴 지지 프레임으로 시트를 고정하고 시트의 처짐, 주름의 발생을 방지하며, 또한 시트의 스침에 의한 파단을 방지한다.
(2) 청구항 1, 2의 발명에 의하면, 중앙에 지지판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이 지지판이 누름 프레임 전체를 보강하고, 시트로부터의 장력이 작용하여도 고정 프레임이 구부러지거나 뒤로 휘어지는것이 방지되고, 누름 프레임의 긴 지지 프레임에 대한 착탈작업이 현저하게 개선되므로, 시트의 고정 작업이 향상되고 작업능률의 향상과 작업비용의 절감이 도모된다.
(3) 마찬가지로, 청구항 3, 4, 5의 발명에 의하면, 고정 프레임의 각 수평 하부가 가이드 홈을 통해서 끼워져 있으므로, 각 수평 하부가 누름 프레임을 보강하고, 각 고정 프레임이 구부러지거나 뒤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와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4) 청구항 5 내지 9의 발명에 의하면, 하부 프레임들이 함께 끼워지거나 또는 중앙에 지지판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이 하부 프레임 또는 지지판이 누름 프레임 전체를 보강하여 시트의 장력이 압축방향으로 작용하여도 양쪽 프레임이 구부러지거나 뒤로 휘어지는 것이 방지되고, 누름 프레임의 긴 지지 프레임에 대한 착탈작업이 현저하게 개선되므로, 시트의 고정작업이 향상되고 작업능률의 향상과 작업비용의 절감이 도모된다.
(5) 마찬가지로, 청구항 5 내지 9의 발명에 의하면, 고정 프레임이 양쪽부분과 동일한 각도이고, 하부 프레임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누름 프레임이 좌우로 확장되는 경우 V자 형태로 되고, 더욱이 시트로부터 압축방향의 힘을 받으면 더욱 예각인 V자형태로 되려고 하여, 이에 의해 하부 프레임의 끝부분 모서리가 걸려져 압축방향의 이동이 저지되고 시트의 고정를 유지할 수 있다.
(6) 청구항 6, 7, 8의 발명에 의하면, 슬립 방지기구 또는 걸림기구를 가지고 있으므로 더욱 견고하게 누름 프레임이 압축되는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누름 프레임이 확장되는 경우 V자 형태로 되고, 이 상태에서는 긴 지지 프레임과 함께 단단한 구조체가 되어 시트 고정장치 자체가 비닐 하우스의 단단한 골조(骨組)가 된다.

Claims (9)

  1. 수평한 하부와, 하부의 양쪽에서 기립하는 양 측벽부로 이루어지는 개구부의 폭이 좁은 긴 지지 프레임과, 긴 지지 프레임 내에 끼워져서 상기 긴 지지 프레임과 함께 시트를 고정하는 누름 프레임과, 누름 프레임 내에 끼워져서 상기 누름 프레임을 긴 지지 프레임의 내벽쪽으로 누르는 가압부재로 이루어지는 시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누름 프레임을 중앙의 지지판과, 지지판의 양쪽에서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한 가이드 홈과, 각 가이드 홈 내에 수평하부를 가로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되도록 끼운 좌우 한쌍의 고정 프레임으로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고정장치
  2. 수평한 하부와, 하부의 양끝에서 기립하는 양 측벽부로 이루어지는 개구부의 폭이 좁은 긴 지지 프레임과, 긴 지지 프레임 내에 끼워져서 상기 긴 지지 프레임과 함께 시트를 고정하는 누름 프레임과, 누름 프레임 내에 끼워져서 상기 누름 프레임을 긴 지지 프레임의 내벽쪽으로 누르는 가압부재로 이루어지는 시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누름 프레임을 중앙의 지지판과, 지지판의 양쪽에서 가로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되도록 설치한 좌우 한쌍의 고정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의 수평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한 가이드 홈으로 구성하고, 가이드 홈내에 지지판의 양 끝부 분을 각각 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고정장치.
  3. 수평한 하부와, 하부의 양끝에서 기립하는 양 측벽부로 이루어지는 개구부의 폭이 좁은 긴 지지 프레임과, 긴 지지 프레임 내에 끼워져서 상기 긴 지지 프레임과 함께 시트를 고정하는 누름 프레임과, 누름 프레임 내에 끼워져서 상기 누름 프레임을 긴 지지 프레임의 내벽쪽으로 누르는 가압부재로 이루어지는 시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누름 프레임을 가로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되도록 설치한 좌우 한쌍의 고정 프레임과, 한쪽의 고정 프레임의 수평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한 가이드 홈으로 구성하고, 다른 쪽의 고정 프레임의 수평 하부를 가이드 홈 내에 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고정장치.
  4. 수평한 하부와, 하부의 양끝에서 기립하는 양측벽부로 이루어지는 개구부의 폭이 좁은 긴 지지 프레임과, 긴 지지 프레임 내에 끼워져서 상기 긴 지지 프레임과 함께 시트를 고정하는 누름 프레임과, 누름 프레임 내에 끼워져서 상기 누름 프레임을 긴 지지 프레임의 내벽쪽으로 누르는 가압부재로 이루어지는 시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누름 프레임을 가로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되도록 설치한 좌우 한쌍의 고정 프레임과, 각 고정 프레임의 수평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한 가이드 홈으로 구성하고, 각 고정 프레임의 수평 하부들을 각 가이드 홈을 통해서 자유롭게 슬라이드되도록 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고정장치.
  5. 수평한 하부와, 하부의 양끝에서 기립하는 양 측벽부로 이루어지는 개구부의 폭이 좁은 긴 지지 프레임과, 긴 지지 프레임 내에 끼워져서 상기 긴 지지 프레임과 함께 시트를 고정하는 누름 프레임과, 누름 프레임 내에 끼워져서 상기 누름 프레임을 긴 지지 프레임의 내벽쪽으로 누르는 가압부재로 이루어지는 시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누름 프레임을 가로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되도록 설치하고, 또한 상기 양 측벽부와 동일한 각도로 형성된 좌우 한쌍의 고정 프레임과, 각 고정 프레임의 선단에 임의의 각도로 위 또는 아래로 경사지게 일체로 연결하여 설치된 하부 프레임과, 적어도 한쪽의 하부 프레임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한 가이드 홈으로 구성하며, 다른쪽의 하부 프레임을 가이드 홈 내에 자유롭게 슬라이드되도록 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고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한쪽의 하부 프레임과 다른 쪽의 하부 프레임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각 하부 프레임들을 각 가이드 홈을 통해서 자유롭게 슬라이드되도록 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고정장치.
  7. 수평한 하부와, 하부의 양끝에서 기립하는 양 측벽부로 이루어지는 개구부의 폭이 좁은 긴 지지 프레임과, 긴 지지 프레임 내에 끼워져서 상기 긴 지지 프레임과 함께 시트를 고정하는 누름 프레임과, 누름 프레임 내에 끼워져서 상기 누름 프레임을 긴 지지 프레임의 내벽쪽으로 누르는 가압부재로 이루어지는 시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누름 프레임을 중앙의 지지판과, 지지판의 양쪽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한 가이드 홈과, 지지판의 양쪽에 가로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되도록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양 측벽부와 동일한 각도로 형성한 좌우 한쌍의 고정 프레임과, 각 고정 프레임의 선단에 임의의 각도로 위 또는 아래로 경사지게 일체로 연결하여 설치한 하부 프레임으로 구성하고, 각 하부 프레임을 상기 각 가이드 홈 내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드되도록 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고정장치.
  8. 수평한 하부와, 하부의 양 끝에서 기립하는 양 측벽부로 이루어지는 개구부의 폭이 좁은 긴 지지 프레임과, 긴 지지 프레임 내에 끼워져서 상기 긴 지지 프레임과 함께 시트를 고정하는 누름 프레임과, 누름 프레임 내에 끼워져서 상기 누름 프레임을 긴 지지 프레임의 내벽쪽으로 누르는 가압부재로 이루어지는 시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누름 프레임을 중앙의 수평지지판과, 수평지지판의 양쪽에 가로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되도록 설치하고, 또한 상기 양 측벽부와 동일한 각도로 형성된 좌우 한쌍의 고정 프레임과, 각 고정 프레임의 선단에 임의의 각도로 위 또는 아래로 경사지게 일체로 연결하여 설치한 하부 프레임과, 각 하부 프레임에 길이방향을 따 라 형성한 가이드 홈으로 구성하고, 각 가이드 홈 내에 수평지지판의 양 단부를 각각 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고정장치.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가이드 홈과, 가이드 홈 내에 끼워지는 하부 프레임 또는 지지판과의 사이에 상기 하부 프레임이 가이드 홈 내로 복귀하는 것을 저지하는 슬립 방지기구 또는 걸림기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고정장치.
KR1020000046542A 1999-09-16 2000-08-11 시트 고정장치 KR1007004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007086U JP3067476U (ja) 1999-09-16 1999-09-16 シ―トの定着装置
JP1999-7086 1999-09-16
JP2000-49846 2000-02-25
JP2000049846 2000-0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051A KR20010050051A (ko) 2001-06-15
KR100700433B1 true KR100700433B1 (ko) 2007-03-27

Family

ID=26583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6542A KR100700433B1 (ko) 1999-09-16 2000-08-11 시트 고정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89978B1 (ko)
KR (1) KR100700433B1 (ko)
CN (1) CN1167864C (ko)
CA (1) CA2306307C (ko)
IL (1) IL138364A (ko)
NL (1) NL1016205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00100A1 (en) * 2005-07-01 2007-01-04 Smith Clay D Clamp device
DE102005035174B4 (de) * 2005-07-27 2008-10-30 Greiner, Switbert, Dr.-Ing. Verkleidung einer, insbesondere ebenen, Fläche mit einem flexiblen Abdeckmaterial, insbesondere Textilmaterial, sowie Verfahren zur Verkleidung
DE102007001376B4 (de) * 2007-01-09 2009-04-16 Greiner, Switbert, Dr. Membranelement und Verfahren zum Verkleiden von Flächen
US7797906B2 (en) * 2007-10-22 2010-09-21 Single Source Roofing Corporation Non-penetrating elastomeric membrane anchoring system
FR2957959B1 (fr) * 2010-03-26 2015-03-27 Catherine Dalo Faux plafond suspendu pour module leger d'habitation
FR2957961B1 (fr) 2010-03-26 2015-03-27 Catherine Dalo Module leger d'habitation et batiment modulaire
DE102010055462A1 (de) * 2010-12-21 2012-06-21 Greiner & Gutmann Gbr Verkleidung
US9038349B2 (en) * 2013-07-19 2015-05-26 Benjamin D. Fox Keder rail attachment for a fabric/panel building
KR101359869B1 (ko) 2013-08-22 2014-02-10 김길수 비닐하우스용 비닐의 고정패드의 구조
US9200652B1 (en) * 2014-07-04 2015-12-01 Kbl Holdings Pty Ltd Fastening systems and methods for fixing flexible material
US10060641B2 (en) * 2015-02-25 2018-08-28 Dri-Eaz Product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rying roofs
JP6865467B2 (ja) * 2015-08-20 2021-04-28 Ks.Ep株式会社 引張構造の建物
GB201609340D0 (en) * 2016-05-26 2016-07-13 Haygrove Ltd Attachment arrangement
CN106760258A (zh) * 2017-01-17 2017-05-31 绵阳兴隆科技发展有限公司 温室用一体化排水沟
CA3172933A1 (en) * 2017-04-28 2018-11-01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Window treatment hembar
KR101799020B1 (ko) * 2017-08-23 2017-11-17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온실의 경질필름 고정장치
CN109738278A (zh) * 2018-12-24 2019-05-10 上海出入境检验检疫局工业品与原材料检测技术中心 金属材料压痕制造专用薄板夹紧器
CN109590724A (zh) * 2018-12-26 2019-04-09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一种片状器件立式装调方法
CN109854878B (zh) * 2019-02-28 2020-08-04 上海斐升智能科技有限公司 支架调节装置及含该支架调节装置的通风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0954U (ko) * 1974-09-20 1976-03-26
JPS51122043U (ko) * 1975-03-29 1976-10-02
JPS54445U (ko) * 1978-07-03 1979-01-05
JPS5782153U (ko) * 1980-11-07 1982-05-21
KR20000002256U (ko) * 1998-07-01 2000-02-07 구승조 비닐하우스의 비닐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64414A (en) * 1936-01-22 1939-07-04 Long Albert Regan Aircraft
US3384938A (en) * 1965-10-23 1968-05-28 Thomas E. O'connor Pliable material clamp
US3930344A (en) * 1971-12-27 1976-01-06 X. S. Smith, Inc. Plastic covered building structures
US3792510A (en) * 1972-03-22 1974-02-19 Griffolyn Company Fastener
US3893212A (en) * 1973-07-16 1975-07-08 Walter J Curry Device for making lap joints for plastic film and the like
US4103401A (en) * 1977-02-03 1978-08-01 Conley John L Sheet gripping assembly
US4267876A (en) * 1978-10-13 1981-05-19 Park Fastener Company Film fastening system
US4341255A (en) * 1981-06-12 1982-07-27 Cetec Corporation Storm window
US4726411A (en) * 1983-01-31 1988-02-23 Conley John L Sheet gripping assembly for single and dual sheet material
US4638532A (en) * 1983-07-25 1987-01-27 The Firestone Tire & Rubber Company Mechanical fastening system
US4694543A (en) * 1985-05-28 1987-09-22 Conley John L Sheet gripping assembly
US4697326A (en) * 1985-05-28 1987-10-06 Faircloth F Craige Screen means
US4665670A (en) * 1985-07-19 1987-05-19 Den Burg Wouter M Van Two-piece lock for securing polymeric sheeting over greenhouses
US4619094A (en) * 1985-12-11 1986-10-28 The Firestone Tire & Rubber Company Non-penetrating mechanical fastener for roofing membrane and method of applying same
JPH01108922A (ja) * 1987-10-20 1989-04-26 Nippon Carbide Ind Co Inc 農業用フィルムの展張方法
US4926605A (en) * 1988-05-09 1990-05-22 Les Milliken Construction assembly for closure structure
US5209029A (en) * 1991-10-18 1993-05-11 Extrusion 2001, Inc. Construction assembly for awnings
US5242004A (en) * 1992-01-21 1993-09-07 Johann Stilling Awning structures
JPH07121182B2 (ja) * 1992-10-13 1995-12-25 サンキン株式会社 温室用シートの押さえ部材
US5596843A (en) * 1995-02-27 1997-01-28 Watson; Robert L. Rigid structural members and structures for buildings and retaining means for securing sheets thereto
US5819836A (en) * 1996-09-10 1998-10-13 Advancing Alternatives, Inc. Roll-up curtain bar attachment device for flexible sheeting
US5794400A (en) * 1996-10-22 1998-08-18 Larry M. Fisher Composite frame memb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0954U (ko) * 1974-09-20 1976-03-26
JPS51122043U (ko) * 1975-03-29 1976-10-02
JPS54445U (ko) * 1978-07-03 1979-01-05
JPS5782153U (ko) * 1980-11-07 1982-05-21
KR20000002256U (ko) * 1998-07-01 2000-02-07 구승조 비닐하우스의 비닐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06307A1 (en) 2001-03-16
KR20010050051A (ko) 2001-06-15
NL1016205C2 (nl) 2001-03-19
CA2306307C (en) 2007-01-02
CN1167864C (zh) 2004-09-22
IL138364A0 (en) 2001-10-31
IL138364A (en) 2004-12-15
US6789978B1 (en) 2004-09-14
CN1314536A (zh) 2001-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0433B1 (ko) 시트 고정장치
EP1380786B1 (en) Clamp for holding elongated article
RU2459127C2 (ru) Зажимы для крепления скоб, соединяющих концы конвейерной ленты, и узлы из зажима и скобы
JP4299941B2 (ja) バックル
GB2289714A (en) Engaging structure of a retainer
JP5019115B2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下止具及び下止具を備えたスライドファスナー
US7698867B1 (en) Siding trim clip with triangular gripping pattern
US6120304A (en) Electrical contacts for housings
US3943675A (en) Grating
JP2005113364A (ja) 織機用の綜絖棒
JP4675978B2 (ja) デッキ材固定金具およびデッキ材固定方法
KR100602740B1 (ko) 서랍 안내장치 및 그 서랍안내장치의 조립 및 제조방법
KR102380449B1 (ko)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
JP2001309726A (ja) シートの定着装置
JP4092715B1 (ja) シャッタの耐負圧補強具
JPH0742288Y2 (ja) シートの定着装置
KR102555365B1 (ko) 알루미늄 캔버스프레임의 캔버스지 고정장치
JP2008045388A (ja) デッキ材の取り付け構造
JP2003007371A (ja) コネクタ固定用クリップ
CN211440321U (zh) 斜锯规
KR100358650B1 (ko) 이송 컨테이너용 클립과 그 클립을 사용한 이송 컨테이너
JP3653454B2 (ja) 壁下地用金属製角筒柱
JP3067476U (ja) シ―トの定着装置
KR101031066B1 (ko) 커튼레일용 고정클립
CN210184811U (zh) 拉杆把手及箱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