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2862A - 스프링 클립 - Google Patents

스프링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2862A
KR20070082862A KR1020070013907A KR20070013907A KR20070082862A KR 20070082862 A KR20070082862 A KR 20070082862A KR 1020070013907 A KR1020070013907 A KR 1020070013907A KR 20070013907 A KR20070013907 A KR 20070013907A KR 20070082862 A KR20070082862 A KR 20070082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pring
spring clip
wall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3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엔 토 춘
Original Assignee
레코 스테이셔너리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코 스테이셔너리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레코 스테이셔너리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82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28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9/00Filing appliances with devices clamping file edges; Covers with clamping b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9/00Filing appliances with devices clamping file edges; Covers with clamping backs
    • B42F9/001Clip boards
    • B42F9/002Clip boards combined with auxiliary devices, e.g. penc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06Fasteners comprising two co-operating jaws closed by spring action and that can be manually opened, e.g.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2Paper-clips or like fastener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와 압착부를 포함하는 스프링 클립에 관한 것이다. 상기 베이스와 상기 압착부는 스프링에 의해 거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압착부가 상기 스프링의 작용으로 상기 베이스에 견고하게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압착부가 상기 베이스로부터 멀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기저벽의 하부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부착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부착수단은 상기 기저벽의 하부표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뾰족한 자유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스프링 클립은 리벳(rivet)과 같은 별도의 부착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하드플레이트 또는 커버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뾰족한 자유단은 외력의 작용으로 상기 하드플레이트 또는 상기 커버 내부에서 만곡되고 형상 변형되기 때문에 상기 스프링 클립은 헐거워짐 없이 상기 하드플레이트나 상기 커버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스프링 클립

Description

스프링 클립{SPRING CLIP}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클립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종단면도(cross section end view)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클립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클립을 도시한 저면도(bottom view)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클립을 도시한 저측(bottom side)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클립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클립의 베이스를 도시한 상측(top side)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클립의 베이스를 도시한 저측 사시도이다.
도 9는 하드플레이트에 접합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클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도 9의 B-B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클립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클립을 도시한 종단도(end view)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클립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클립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클립을 도시한 저측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클립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클립의 베이스를 도시한 상측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클립의 베이스를 도시한 저측사시도이다.
도 19는 하드플레이트에 접합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클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0은 도 19의 B-B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클립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클립을 도시한 종단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클립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클립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클립을 도시한 저측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클립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클립의 베이스를 도시한 상측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클립의 베이스를 도시한 저측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클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그리고,
도 30은 도 29의 B-B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스프링 클립은 종이들을 고정시키거나 보관하는데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현실적인 적용방법으로, 스프링 클립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리벳(rivet)에 의해 하드플레이트(hard plate) 또는 파일의 커버에 부착된다. 상기 리벳은 하드플레이트 또는 상기 커버에 맞물리는 헤드부와 상기 스프링 클립의 내부에서 홈부(concave portion)와 맞물리는 형상변형(deformable) 추적부(trail portion)를 구비하고, 상기 형상변형 추적부는 상기 하드플레이트 또는 상기 커버에 상기 스프 링 클립을 부착하도록 형상 변형된다. 그러나, 상기 디자인의 단점은 상기 하드플레이트 또는 상기 커버를 고려하면 상기 스프링 클립이 흔들리면 상기 스프링 클립과 상기 하드플레이트 또는 상기 커버간의 결합이 헐거워진다는 것이다. 게다가, 상기 스프링 클립을 하드플레이트나 커버에 접합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따라서, 개선된 스프링 클립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상술된 종래 기술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상기 스프링 클립을 하드플레이트 또는 커버에 용이하게 접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헐거워짐이 전혀 없도록 상기 하드플레이트 또는 커버와 상기 스프링 클립 사이의 확고한 결합을 형성하도록 하는 스프링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클립은 베이스와 압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와 상기 압착부는 스프링에 의하여 거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스프링의 작용으로 상기 압착부가 상기 베이스에 견고하게 압력을 가하거나 상기 압착부가 상기 베이스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기저벽(bottom wall)의 하부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부착 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부착 수단은 상기 기저벽의 하부표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뾰족한 자유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하기의 설명에서 상세하게 서술된다.
도 1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클립(100)은 일반적으로 베이스(101), 압착부(103) 및 스프링(105)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01)는 직립한 측벽(107)과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기저벽(109)을 형성하기 위해 90도 정도 만곡(bending)되어 연장된 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적어도 두 개의 돌출부(111)들이 상기 베이스(101)에 구비된 상기 측벽(107)의 상부 에지(edge)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11)는 각각 상기 돌출부(111) 내부에 관통홀(113)을 형성하도록 뒤집힌다. 상기 압착부(103)는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고 연장된 면 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외부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압착핸들(117, pressing handle)은 상기 베이스(101)와 맞물리는 상기 압착부(103)의 길이방향 안쪽 에지의 중앙에 구비된다. 적어도 두 개의 돌출부(119)가 상기 압착핸들(117)의 양 측부 상에 상기 압착부(103)의 길이 방향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압착부(103)의 길이방향 외부 에지(123)는 종이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톱니 형상의 외부 에지를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101)와 상기 압착부(103)는 스프링(105)에 의해 함께 결합된다. 상기 스프링(105)은 두 개의 자유단(127 및 129)을 구비한 나선형의 스프링이다.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스프링(105)의 공동부(hollow space)는, 상기 베이스(101)에 구비된 상기 측벽(107)의 상부 에지에 구비된 상기 돌출부(111)의 상기 관통홀(113) 및 상기 압착부(103)의 길이방향 내부 에지에 있는 상기 돌출부(119)의 상기 관통홀(121)과 나란하게 정렬된다. 상기 과정에서, 연장로드(131)는 상기 관통홀(113), 상기 관통홀(121) 및 상기 스프링(105)을 관통하고, 두 개의 자유 단(127 및 129)은 그 일부가 상기 베이스(101)의 상기 측벽(107)의 외부측(outside)과 상기 압착부(103)의 상부측(upper side)에 차례로 인접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스프링 클립(100)의 결합은 완료된다. 정확한 위치에 상기 스프링(105)을 고정하기 위하여, 홈부(115 및 125)는 두 개의 자유단(127 및 129)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101)의 상기 측벽(107)의 외부측과 상기 압착부(103)의 상부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홈부(115 및 125)는 일반적으로 상기 베이스(101)의 상기 측벽(107)과 상기 압착부(103) 상에 천공을 통해 형성된다. 일반적인 사용에 있어, 상기 스프링(105)의 탄성력에 대해 상기 압착부(103)의 길이방향 내부 에지에서 상기 압착핸들(117)을 누름으로써, 이로 인해 종이를 고정하거나 제거하도록, 상기 압착부(103)와 상기 베이스(101)는 서로 분리된다. 상기 압착부(103)의 길이 방향 내부 에지에서 상기 압착핸들(117)이 해제되는 과정에서, 종이를 고정하기 위한 상기 스프링(105)의 작용으로 상기 압착부(103)는 상기 베이스(101)에 견고하게 눌려진다.
상기 스프링 클립(100)을 하드플레이트 또는 커버에 견고하게 부착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101)의 상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기저벽(109)의 하부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부착 수단(133)이 형성된다. 각각의 상기 부착 수단(133)은 상기 기저벽(109)의 하부 표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뾰족한 자유단(135)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부착수단(133)이 상기 베이스(101)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기저벽(109)의 하부 표면에 형성된다. 각각의 상기 부착수단(133)은 상기 기저벽(109)의 일단에 근접하도록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의 뾰 족한 자유단(135)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부착수단(133)은 원주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분포된 복수개의 뾰족한 자유단(135)을 포함한다. 도 9는 하드플레이트(137)에 부착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프링 클립(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도 9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뾰족한 자유단(135)은 외부방향으로 약간 만곡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에 따라 상기 뾰족한 자유단(135)은 상기 하드플레이트(137) 등과 맞물리는 과정에서 외력의 작용으로 외부방향으로 만곡되고 연장되어, 상기 스프링 클립(100)이 상기 하드플레이트(137) 등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상기 가공 과정을 단순화하면, 상기 뾰족한 자유단(135)은 상기 기저벽(109)의 하부 표면상에 상기 베이스(101)의 상기 기저벽(109)을 절단하고 천공함으로써 완전하게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뾰족한 자유단(135)은 상기 베이스(101)의 상기 기저벽(109)을 절단하고 천공함으로써 상기 기저벽(109)의 하부표면에 원주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일정하게 분포된다. 따라서, 상기 부착 수단(133)은 일반적으로 국화꽃 모양의 형상을 가진다.
도 11내지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프링 클립(200)은 일반적으로 베이스(201), 압착부(203) 및 핸들(205)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201)는 직립한 측벽(207)과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기저벽(209)을 형성하기 위해 대략 90도 정도 만곡(bending)되어 연장된 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압착부(203)는 가느다란 봉의 형태로 연장된다. 상기 핸들(205)은 수평 상단벽(211) 및 대략 90도의 각도로 하부로 구부러진 측벽(213)을 포함한다.
대략 90도의 각도로 상부로 구부러진 네 개의 돌출벽(215)은 상기 베이스(201)의 상기 기저벽(209)상에 형성된다. 상기 돌출벽(215)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넷 이상이거나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1), 상기 압착부(203) 및 상기 핸들(205)은 세 개의 축샤프트(217, pivoting shafts)와 스프링(219)에 의해 거동 가능하도록 함께 결합된다. 상기 축샤프트(217)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측벽과 상기 돌출벽(215)에 형성된 홀에서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핸들(205)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측벽(207)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스프링(219)을 지지하기 위한 상기 축샤프트(217) 주위로 회전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핸들 측벽(213)은 상기 베이스의 측벽(207)의 내부와 인접된다. 원호형상으로 돌출된 융기(221)는 상기 핸들의 상기 측벽(213)상에 완전하게 형성된다. 상기 융기(221)를 수용하는 개방부(223)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측벽(207)상에 상기 융기(221)에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219)을 지지하는 상기 축샤프트(217)는 직선형이고, 상기 압착부(203)에 직접적으로 부착된 다른 두 개의 상기 축샤프트(217)는 만곡형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핸들(205)과 맞물리는 상기 스프링(219)의 일단은 직선형이고, 상기 압착부(203)에 부착되는 상기 스프링(219)의 타단은 외부로 돌출되도록 만곡된다. 상기 스프링(219)의 일단은 상기 핸들(205)의 내부에 맞물리고, 외부로 돌출된 타단은 상기 압착부(203)에 부착되므로, 상기 핸들(205)이 상기 스프링(219)을 지지하는 상기 축샤프트(217) 주위를 상기 융기(221) 및 상기 개방부(223)가 서로 근접할 수 있는 첫 번째 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핸들(205)의 회전과 함께 상기 압착부(203)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기저벽(209)의 위로 이동된다. 상기 핸들(205)이 상기 스프링(219)의 복원력에 대항하여 더 한층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핸들(205)의 상기 측벽(213) 상에 구비된 상기 융기(221)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측벽(207) 상의 상기 개방부(223)에 수용되고, 상기 개방부(223)에 고정된다. 상기 핸들(205)이 상기 압착부(203) 방향으로 당겨져 상기 융기(221)가 상기 개방부(223)의 외부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스프링(219)은 상기 압착부(203) 위의 압력을 해제한다. 이에 따라 상기 압착부(203)와 상기 베이스의 상기 기저벽(209) 사이의 종이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상기 압착부(203)와 상기 베이스의 상기 기저벽(209) 사이에 더 많은 종이를 위치할 필요가 있다면, 상기 스프링의 타단과 상기 축샤프트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의 상기 기저벽으로부터 상기 압착부(203)가 들어올려지도록 상기 핸들(205)은 상기 첫 번째 방향과 반대되는 두 번째 방향으로 상기 스프링(219)을 지지하는 상기 축샤프트(217)의 주위를 회전할 수 있다.
하드플레이트 또는 커버에 상기 스프링 클립(200)을 견고하게 부착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부착수단(233)이 상기 베이스(201)의 상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기저벽(209)의 하부 표면에 형성된다. 각각의 상기 부착수단(233)은 상기 기저벽(209)의 하부표면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뾰족한 자유단(235)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부착 수단(233)은 상기 베이스(201)의 상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기저벽(209)의 하부 표면에 형성된다. 각각의 상기 부착수단(233)은 상기 기저벽(209)의 일단에 근접하여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의 뾰 족한 자유단(235)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각각의 상기 부착 수단(233)은 원주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분포된 복수개의 뾰족한 자유단(235)을 포함한다. 도 19는 하드플레이트(137)에 부착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프링 클립(2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0은 도 19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뾰족한 자유단(235)은 외부로 약간 만곡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드플레이트(137) 등에 맞물리는 과정에서 상기 뾰족한 자유단(235)은 외력의 작용으로 외부로 만곡되고, 연장되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 클립은 상기 하드플레이트(137) 등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상기 가공 과정을 단순화하면, 상기 뾰족한 자유단(235)은 상기 베이스(201)의 상기 기저벽(209)을 절단하고 천공함으로써 상기 기저벽(209)의 하부 표면에 완전하게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뾰족한 자유단(235)은 상기 베이스(201)의 상기 기저벽(209)을 절단하고 천공함으로써 상기 기저벽(209)의 하부 표면에 원주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일정하게 분포된다. 따라서, 상기 부착수단(233)은 일반적으로 국화꽃 모양의 형상을 가진다.
도 21 내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프링 클립(300)은 일반적으로 베이스(301), 압착부(303) 및 스프링(305)을 포함한다. 관통홀(313)을 구비한 돌출부(301)가 면을 뒤집음으로써 연장된 면의 길이 방향 에지를 따라 구비되도록 상기 베이스(301)가 형성된다. 더불어, 두 개의 종단 에지와 면의 또 다른 길이 방향 에지는 상기 베이스(301)의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약간 아래방향으로 만곡된다. 상기 연장된 면의 중앙은 일반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기저벽(309) 내부로 형성된다. 상기 압착부(303)는 장측에 개방부를 구 비한 일반적으로 사각형의 형상 내부로 연장된 로드를 만곡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종이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압착부(303)의 두 종단 측부는 상향 만곡부(313)를 형성하기 위하여 구부러지고, 상기 개방부의 반대쪽에 구비된 다른 장측의 중앙도 상향 만곡부(315)를 형성하기 위해 구부러진다. 따라서, 구부러짐이 전혀 없는 두 개의 직선부(317)가 상기 상향 만곡부(315)의 양 측부상의 개방부 반대편에 다른 장측 상에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301)와 상기 압착부(303)는 상기 스프링(305)에 의해 함께 결합된다. 상기 스프링(305)는 하나의 자유 연장단(327)을 구비한 나선형의 스프링이다.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압착부(303)의 상기 자유단(319)은 상기 스프링(305)을 관통하고, 상기 스프링(305)의 종단부는 상기 압착부(303)의 상기 자유단(319)과 견고하게 맞물리게 하기 위해 형상이 변형된다. 상기 스프링(305)과 서로 맞물리는 상기 압착부(303)의 상기 자유단(319)은, 각 스프링(305)의 상기 자유단(327)이 각각 상기 베이스(301)의 하부 표면에 인접하도록 하기위해 상기 베이스(301)에 구비된 돌출부(311)의 관통홀(313) 안으로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스프링 클립(300)의 결합은 완료된다. 일반적인 사용에 있어, 상기 압착부(303)의 만곡부(315)를 파지하고, 상기 스프링(305)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압착부(303)를 들어 올림으로써 상기 압착부(303)는 상기 베이스(301)로부터 분리되고, 그에 따라 종이를 고정시키거나 제거한다. 상기 압착부(303)의 상기 만곡부(315)가 해제되는 과정에서 종이를 고정하기 위한 상기 스프링(305)의 작용으로 상기 압착부(303)는 상기 베이스(301)에 견고하게 눌려진다.
상기 스프링 클립(305)을 하드플레이트 또는 커버에 견고하게 부착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301)의 상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기저벽(309)의 하부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부착수단(333)이 형성된다. 각각의 상기 부착수단(333)은 상기 기저벽(309)의 상기 하부 표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뾰족한 자유단(335)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부착수단(333)이 상기 베이스(301)의 상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기저벽(309)의 하부 표면에 형성된다. 각각의 상기 부착수단(333)은 상기 기저벽(309)의 일단에 근접하도록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의 뾰족한 자유단(335)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부착수단(333)은 원주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분포된 복수개의 뾰족한 자유단(335)을 포함한다. 도 29는 하드플레이트(137)에 부착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프링 클립(3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30은 도 29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뾰족한 자유단(335)는 외부방향으로 약간 만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드플레이트(137) 등과 맞물리는 과정에서, 상기 뾰족한 자유단(335)는 외력의 작용으로 외부방향으로 만곡되고 연장되어,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 클립은 상기 하드플레이트(137) 등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상기 가공 과정을 단순화하면, 상기 뾰족한 자유단(335)은 상기 베이스(301)의 상기 기저벽(309)을 절단하고 천공함으로써 상기 기저벽(309)의 하부 표면에 완전하게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뾰족한 자유단(335)은 상기 베이스(301)의 상기 기저벽(309)을 절단하고 천공함으로써 상기 기저벽(309)의 하부 표면에 원주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일정하게 분포된다. 따라서, 상기 부착수단(333)은 일반적으로 국화꽃 모양의 형 상을 가진다. 상기 베이스(301)의 가장자리에지는 하부방향으로 약간 구부러지고, 상기 기저벽(309)은 이에 따라 상기 가장자리에지에 대하여 약간 돌출된 평면상에 위치한다는 사실의 측면에서, 상기 부착수단(333)에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기저벽(309)을 천공함으로써 홈부(337)가 형성되어, 상기 홈부(337)의 상기 기저표면이 상기 베이스(301)의 가장자리에지의 기저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평면상에 위치된다. 상기 뾰족한 자유단(335)은 상기 베이스(301)의 상기 기저벽(309)을 절단하고 천공함으로써 상기 홈부(337)의 상기 하부표면과 함께 완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상기 뾰족한 자유단을 구비한 상기 부착 수단이 상기 하드플레이트와 상기 커버 또는 그와 유사한 것에 접촉하는 상기 기저벽의 상기 하부 표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프링 클립은 리벳과 같은 별도의 부착 부재를 구비하지 않고도 하드플레이트나 커버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하드플레이트 또는 커버 내부에서 상기 뾰족한 자유단이 외력의 작용으로 만곡되고 형상 변형된다는 점에서 상기 스프링 클립은 헐거워짐이 전혀 없도록 상기 하드플레이트 또는 상기 커버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제한되지 않도록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의 청구항에 제시된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며 이러한 모든 것은 본 발명의 범위 안에 포함된 다는 것은 누구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9)

  1. 베이스와 압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압착부는 스프링에 의해 거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압착부가 상기 스프링의 작용으로 상기 베이스에 견고하게 압력을 가할 수 있고, 상기 압착부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분리 가능하며, 상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착수단이 상기 베이스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기저벽의 하부 표면 상에 구비되고, 각각의 부착 수단은 상기 기저벽의 하부 표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뾰족한 자유단을 포함하는 스프링 클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기저벽 상에 두 개의 상기 부착 수단이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부착수단은 상기 기저벽의 두 개의 종단 중 하나씩에 각각 인접하여 배치되는 스프링 클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은 원주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뾰족한 자유단을 포함하는 스프링 클립.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뾰족한 자유단은 외부 방향으로 만곡된 스프링 클립.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뾰족한 자유단은 상기 베이스의 기저벽을 절단하고 천공함으로써 상기 기저벽의 하부 표면에 완전하게 형성되는 스프링 클립.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뾰족한 자유단은 상기 베이스의 기저벽을 절단하고 천공함으로써 상기 기저벽의 하부 표면에 원주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일정하게 분포되는 스프링 클립.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관통홀을 가진 적어도 두 개의 전복(turnover)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압착부는 관통홀을 가진 적어도 두 개의 전복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의 두 개의 자유단이 상기 베이스의 외부측과 상기 압착부의 상부측에 각각 차례대로 인접하도록, 연장된 로드가 상기 베이스의 상기 관통홀, 상기 압착부의 상기 관통홀 및 상기 스프링을 관통하는 스프링 클립.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직립 측벽과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기저벽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측벽의 상부 에지에 형성되는 스프링 클립.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원호형상으로 만곡되는 스프링 클립.
  10. 제 7항에 있어서,
    외부 상향으로 연장된 압착핸들이 상기 베이스에 맞물리는 상기 압착부의 길이방향 내부 에지의 중앙부에 구비되고, 상기 압착부의 돌출부는 상기 압착핸들의 양측에 형성되는 스프링 클립.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의 상기 길이방향 외부 에지는 톱니 형상의 외부 에지로 형성되는 스프링 클립.
  12. 제 7항에 있어서,
    홈부는 상기 스프링의 두 개의 자유단을 수용하기 위해 차례대로 상기 베이스의 상기 측벽의 외부측과 상기 압착부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스프링 클립.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천공함으로써 상기 베이스의 상기 측벽과 상기 압착부상에 형성되는 스프링 클립.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클립은 핸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직립벽과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기저벽을 포함하며, 상기 핸들은 수평방향 상단벽과 하부로 만곡된 측벽을 포함하고, 융기는 상기 핸들의 측벽상에 구비되고, 상기 융기를 수용하기 위한 개방부는 상기 융기와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베이스의 측벽상에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상기 압착부 및 상기 핸들은 상기 스프링에 의해 거동 가능하도록 함께 결합되고, 상기 핸들은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축샤프트(Pivoting shaft)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의 상기 측벽의 내부측에 부착되며, 상기 핸들의 상기 측벽상의 상기 융기는 상기 베이스에 상기 압착부를 견고하게 압착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의 상기 측벽 내부에 구비된 개방부 내부로 고정 가능하거나, 또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압착부를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개방부로부터 분리 가능한 스프링 클립.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기저벽상에 상향으로 만곡되어 돌출벽이 형성되고, 상기 축샤프트는 상기 돌출벽과 상기 베이스의 측벽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축샤프트 중 하나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스프링의 일단이 상기 핸들의 내부측에 맞물리고, 외부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압착부와 맞물리며, 상기 축샤프트의 자유단은 또한 상기 압착부에 부착되고, 그에 따라, 상기 압착부는 상 기 핸들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베이스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스프링 클립.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일 길이방향 에지를 따라 관통홀을 가지는 전복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압착부는 개방부를 가진 사각형 형상 내부로 연장된 로드를 만곡시킴으로써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형상 변형되고 상기 압착부의 상기 자유단에 맞물리며, 각 스프링의 상기 자유단은 상기 베이스에 차례대로 인접하도록 서로 맞물리는 상기 스프링과 상기 압착부의 상기 자유단은 각각 상기 베이스의 상기 돌출부로 삽입되는 스프링 클립.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에 구비된 두 개의 종단 측부는 상향 만곡부를 형성하기 위해 만곡되고, 상기 개방부와 반대 방향의 다른 측부의 중앙은 상향 만곡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또한 만곡되어 구부러짐이 전혀 없는 두 개의 직선부가 상기 개방부의 반대편 다른 측부상의 상기 상향 만곡부의 양 측부상에 형성되는 스프링 클립.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종단 측부와 상기 베이스의 또 다른 길이방향 측부는 상기 베이스의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부방향으로 만곡되는 스프링 클립.
  19. 제 18항에 있어서,
    홈부는 상기 부착수단에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기저벽을 천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상기 홈부의 기저 표면이 상기 베이스 가장자리의 기저 표면과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뾰족한 자유단은 상기 홈부를 절단하고 천공함으로써 상기 홈부의 하부 표면에 완전하게 형성되는 스프링 클립.
KR1020070013907A 2006-02-17 2007-02-09 스프링 클립 KR200700828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U2006200031710U CN2878764Y (zh) 2006-02-17 2006-02-17 弹簧夹
CN200620003171.0 2006-02-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2862A true KR20070082862A (ko) 2007-08-22

Family

ID=37861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3907A KR20070082862A (ko) 2006-02-17 2007-02-09 스프링 클립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7218429A (ko)
KR (1) KR20070082862A (ko)
CN (1) CN2878764Y (ko)
TW (1) TW20083130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06616A (zh) * 2007-05-14 2008-11-19 国际文具制造厂有限公司 夹持器以及用于保持纸页的夹子
CN103223591B (zh) * 2013-03-22 2015-09-30 应斌伟 裤夹自动装配机
EP3332984B1 (en) * 2016-12-08 2019-05-22 Bindomatic AB Media binder arrangemen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edia bi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878764Y (zh) 2007-03-14
TW200831309A (en) 2008-08-01
JP2007218429A (ja) 2007-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9567B2 (en) Removable hat accessory
CN104395528A (zh) 格栅板的固定装置及用于设置其的固定结构
EP0764549A1 (en) A ring binder
KR20070082862A (ko) 스프링 클립
CN108713104A (zh) 自加强夹
JP3096428B2 (ja) 綴込具
JP5028647B2 (ja) 筆記具ホルダー及びこれを備えた用箋挟
JP4624807B2 (ja) 育苗ポット
JP2002326025A (ja) フラスコホルダー
JP3174149U (ja) 綴じ金具
KR101113980B1 (ko) 서류 고정용 클립
JP3113863U (ja) 組立式収納具兼ちり取り
JP4645440B2 (ja) ゴム脚構造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421821B2 (ja) ファイル用レバークリップ
US1678473A (en) Thumb tack
JP7257717B1 (ja) ペーパーケース
JP3213399U (ja) 額縁構造
KR102545483B1 (ko) 속눈썹 케이스
KR200249421Y1 (ko) 급식용 멸치 거르개기
JP2018177354A (ja) 植物用容器
JP3631356B2 (ja) 清掃具
JPH0456659A (ja) 風防体ワイパブレード組立体
JP3118070U (ja) フローリングモップ
KR100358650B1 (ko) 이송 컨테이너용 클립과 그 클립을 사용한 이송 컨테이너
JPH11164721A (ja) 収納ケースの仕切り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