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6104B1 - 기억부 보지 부재 및 보지 부재 - Google Patents

기억부 보지 부재 및 보지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104B1
KR101726104B1 KR1020157007755A KR20157007755A KR101726104B1 KR 101726104 B1 KR101726104 B1 KR 101726104B1 KR 1020157007755 A KR1020157007755 A KR 1020157007755A KR 20157007755 A KR20157007755 A KR 20157007755A KR 101726104 B1 KR101726104 B1 KR 101726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ink
opening
circuit board
hol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7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8828A (ko
Inventor
다케시 이와무로
히데토시 고다마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48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8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43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 B41J2/17546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electronically

Abstract

액체 수용 용기와 별체의 기억 매체가 기억하고 있는 정보를 액체 소비 장치 등이 구비하는 통신부에 적절히 판독하게 하기 위한 매우 바람직한 기억부 보지 부재를 제공한다. 잉크가 수용되는 액체 수용 용기에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잉크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회로 기판(75)을 보지하는 회로 기판 홀더(76)에 있어서, 회로 기판(75)을 지지하는 경사면(98) 등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를 갖고, 지지부에 지지되어 있는 회로 기판(75)은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Description

기억부 보지 부재 및 보지 부재{STORAGE UNIT HOLDING MEMBER AND HOLDING MEMBER}
본 발명은 액체 용기와 함께 이용되는 기억부를 보지하는 기억부 보지 부재, 및 보지 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잉크 보틀(액체 용기) 내의 잉크 정보를 기록한 정보 제공 매체(기억부)와 해당 잉크 보틀을 별체로 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 2008-254395 호 공보
특허문헌 1에서는, 사용자가, 정보 제공 매체를 인쇄 장치(액체 소비 장치)의 매체 삽입구에 삽입하면, 해당 인쇄 장치에 구비된 판독 장치(통신부)가, 정보 제공 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잉크 정보를 판독한다. 해당 인쇄 장치에 구비된 컨트롤러는, 판독한 정보에 근거하여, 소정의 제어를 실행한다.
그렇지만,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정보 제공 매체에는, 판독 장치와의 위치결정 구조나 고정 구조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정보 제공 매체와 판독 장치와의 사이에 어긋남이 발생하여, 판독 장치가 정보 제공 매체의 기억되어 있는 잉크 정보를 판독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판독 장치가 매체 삽입구의 안쪽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즉 판독 장치와 매체 삽입구와의 사이의 거리가 정보 제공 매체의 길이보다 긴 경우, 사용자가 매체 삽입구에 정보 제공 매체를 삽입했을 경우라도, 정보 제공 매체가 판독 장치까지 도달하지 않아, 판독 장치가 정보 제공 매체의 기억되어 있는 잉크 정보를 판독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정보 제공 매체는 잉크 보틀과는 별체이기 때문에, 해당 잉크 보틀로부터 인쇄 장치에 잉크를 보충할 때에, 사용자가 잘못하여 해당 정보 전달 매체에 잉크를 흘려버려, 잉크 보틀로부터 넘친 잉크 상에 정보 제공 매체를 두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정보 제공 매체에 잉크가 부착되면, 판독 장치가 정보 제공 매체의 기억되어 있는 잉크 정보를 판독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액체 수용 용기와 별체의 기억 매체가 기억하고 있는 정보를 액체 소비 장치 등이 구비하는 통신부에 적절히 판독시키기 위한 매우 적합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그 작용 효과에 대해 기재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기억부 보지 부재는, 액체가 수용되는 액체 용기에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액체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기억부를 보지하고 있으며, 기억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고, 지지부에 지지되어 있는 기억부는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기억부 보지 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기억부에 사용자가 잘못하여 잉크를 흘려 버렸을 경우에도, 기억부는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기억부에 부착된 잉크가 기억부 상에 정체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액체 소비 장치가 구비하는 통신부가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를 적절히 판독할 수 없게 될 우려를 억제할 수 있다.
기억부 보지 부재는, 또한 복수의 벽으로 구성되며, 상기 기억부 보지 부재가 임의의 자세로 평면 상에 탑재된 경우에도, 상기 벽은 상기 기억부보다 중력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기억부 보지 부재가 어떠한 자세로 평면 상에 놓인 경우에도, 벽이 기억부보다 중력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평면 상에 넘친 잉크 상에 기억부 보지 부재를 둔 경우에도, 기억부에 잉크가 부착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액체 소비 장치가 구비하는 통신부가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를 적절히 판독할 수 없게 될 우려를 억제할 수 있다.
기억부가 기억하는 정보는 기억부 보지 부재가 액체 소비 장치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액체 소비 장치가 구비하는 통신부에 의해 판독되며, 지지부에 지지되어 있는 기억부는 삽입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기억부 보지 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기억부에 사용자가 잘못하여 잉크를 흘렸던 것을 깨닫지 못했던 경우에도, 기억부는 삽입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통신부에 의해 판독 직전인 삽입 시에, 기억부에 부착된 잉크가 기억부 상에 정체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액체 소비 장치가 구비하는 통신부가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를 적절히 판독할 수 없게 될 우려를 억제할 수 있다.
기억부 보지 부재는, 액체 소비 장치에 구비되어 있으며 기억부가 기억하는 정보를 판독하는 통신부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갖고, 결합부는 오목부인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부는, 보지 부재를 구성하는 벽의 면 중 기억부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결합부는 오목부이기 때문에, 액체 소비 장치에 구비된 통신부를 손상시킬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액체 소비 장치가 구비하는 통신부가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를 적절히 판독할 수 없게 될 우려를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보지 수단이 액체 용기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보지 수단이 액체 소비 장치에 적절히 삽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 현저하다.
또한, 결합부는, 기억부 보지 부재를 구성하는 벽의 면 중 기억부에 가까운 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억부 보지 부재를 구성하는 벽의 면 중 기억부에서 먼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통신부와 기억부와의 위치를 정밀도 높게 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액체 소비 장치가 구비하는 통신부가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를 적절히 판독할 수 없게 될 우려를 억제할 수 있다.
기억부 보지 부재에는, 액체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액체의 색과 동일한 색의 라벨이 부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라벨이 부착되어 있는 기억부 보지 부재와, 그 라벨과 동일한 색 액체를 수용한 액체 용기와의 조합이 가능해지므로, 예정되어 있던 색과는 다른 별도의 액체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기억부를 보지시킨 기억부 보지 부재가 액체 소비 장치에 잘못하여 삽입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액체 소비 장치가 구비하는 통신부가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를 잘못 판독할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기억부가 기억하는 정보는 상기 기억부 보지 부재가 부 보지 부재에 탑재된 상태에서 액체 소비 장치가 구비하는 통신부에 의해 판독되며, 기억부가 기억하는 정보가, 통신부에 의해 판독되어 있는 상태에서, 기억부 보지 부재는, 상기 액체 소비 장치 내부에 위치하며, 부 보지 부재는, 그 일부가 상기 액체 소비 장치 외부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기억부가 기억하는 정보가, 통신부에 의해 판독되어 있는 상태에서, 잉크가 넘쳐 버렸을 경우라도 기억부에 잉크가 부착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액체 소비 장치가 구비하는 통신부가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를 잘못하여 판독할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부 보지 부재의 일부가 상기 액체 소비 장치 외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기억부 보지 부재를 취출하기 쉽다.
또한, 상기 액체 용기는 액체 소비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액체 수용 용기에 주입되는 상기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주입원인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가 수용되는 액체 용기에 고정되지 않고 또한 기억부를 갖는 회로 기판을 보지하는 보지 부재이며, 회로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고, 지지부에 지지되어 있는 회로 기판은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보지 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회로 기판에 사용자가 잘못하여 잉크를 흘려 버렸을 경우에도, 회로 기판은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회로 기판에 부착된 잉크가 회로 기판 상에 정체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액체 소비 장치가 구비하는 통신부가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를 적절히 판독할 수 없게 될 우려를 억제할 수 있다.
보지 부재는, 또한 복수의 벽으로 구성되며, 보지 부재가 임의의 자세로 평면 상에 탑재되었을 경우에도, 벽은 회로 기판보다 중력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보지 부재가 어떠한 자세로 평면 상에 놓인 경우에도, 벽이 회로 기판보다 중력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평면 상에 넘친 잉크 상에 보지 부재를 둔 경우에도, 회로 기판에 잉크가 부착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액체 소비 장치가 구비하는 통신부가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를 적절히 판독할 수 없게 될 우려를 억제할 수 있다.
기억부가 기억하는 정보는 보지 부재가 액체 소비 장치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액체 소비 장치가 구비하는 통신부에 의해 판독되며, 지지부에 지지되어 있는 회로 기판은 삽입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보지 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회로 기판에 사용자가 잘못하여 잉크를 흘렸던 것을 깨닫지 못했던 경우에도, 회로 기판은 삽입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통신부에 의해 판독되기 직전인 삽입 시에, 회로 기판에 부착된 잉크가 회로 기판 상에 정체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액체 소비 장치가 구비하는 통신부가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를 적절히 판독할 수 없게 될 우려를 억제할 수 있다.
보지 부재는, 액체 소비 장치에 구비되어 있으며, 기억부가 기억하는 정보를 판독하는 통신부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갖고, 결합부는 오목부인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부는 보지 부재를 구성하는 벽의 면 중 회로 기판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결합부는 오목부이기 때문에, 액체 소비 장치에 구비된 통신부를 손상시킬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액체 소비 장치가 구비하는 통신부가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를 적절히 판독할 수 없게 될 우려를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보지 수단이 액체 용기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보지 수단이 액체 소비 장치에 적절히 삽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 현저하다.
또한, 결합부는 보지 부재를 구성하는 벽의 면 중 회로 기판에 가까운 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지 부재를 구성하는 벽의 면 중 회로 기판에 먼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통신부와 기억부와의 위치를 정밀도 높게 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액체 소비 장치가 구비하는 통신부가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를 적절히 판독할 수 없게 될 우려를 억제할 수 있다.
보지 부재에는, 액체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액체의 색과 동일한 색 라벨이 부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라벨이 부착되어 있는 보지 부재와, 그 라벨과 동일한 색 액체를 수용한 액체 용기와의 조합이 가능해지므로, 예정되어 있던 색과는 다른 별도의 액체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기억부를 보지시킨 보지 부재가 액체 소비 장치에 잘못 삽입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액체 소비 장치가 구비하는 통신부가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를 잘못 판독할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기억부가 기억하는 정보는 보지 부재가 부 보지 부재에 탑재된 상태에서 액체 소비 장치가 구비하는 통신부에 의해 판독되고, 기억부가 기억하는 정보가 통신부에 의해 판독되어 있는 상태에서, 보지 부재는 액체 소비 장치 내부에 위치하며, 부 보지 부재는 그 일부가 액체 소비 장치 외부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기억부가 기억하는 정보가 통신부에 의해 판독되어 있는 상태에서, 잉크가 넘쳐 버렸을 경우라도 회로 기판에 잉크가 부착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액체 소비 장치가 구비하는 통신부가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를 잘못 판독할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부 보지 부재의 일부가 상기 액체 소비 장치 외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보지 부재를 취출하기 쉽다.
액체가 수용되는 액체 용기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기억부를 보지하는 보지 부재이며, 기억부는 외부 단자와 접속되는 단자부를 구비하고, 단자부는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보지 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단자부에 사용자가 잘못하여 잉크를 흘려 버렸을 경우에도, 단자부는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부에 부착된 잉크가 단자부 상에 정체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액체 소비 장치가 구비하는 통신부가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를 적절히 판독할 수 없게 될 우려를 억제할 수 있다.
보지 부재는, 또한 복수의 벽으로 구성되며 보지 부재가 임의의 자세로 평면 상에 탑재된 경우에도, 벽은 단자부보다 중력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보지 부재가 어떠한 자세로 평면 상에 놓여졌을 경우에도, 벽이 단자부보다 중력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평면 상에 넘친 잉크 상에 보지 부재를 둔 경우에도, 단자부에 잉크가 부착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액체 소비 장치가 구비하는 통신부가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를 적절히 판독할 수 없게 될 우려를 억제할 수 있다.
기억부가 기억하는 정보는, 보지 부재가 액체 소비 장치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액체 소비 장치가 구비하는 통신부에 의해 판독되며, 단자부는 삽입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보지 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단자부에 사용자가 잘못하여 잉크를 흘린 것을 깨닫지 못했던 경우에도, 단자부는 삽입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통신부에 의해 판독 직전인 삽입 시에, 단자부에 부착된 잉크가 단자부 상에 정체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액체 소비 장치가 구비하는 통신부가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를 적절히 판독할 수 없게 될 우려를 억제할 수 있다.
보지 부재는 액체 소비 장치의 통신부에 설치된 장치측 결합부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갖고, 결합부는 오목부인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부는 보지 부재를 구성하는 벽의 면 중 단자부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결합부는 오목부이기 때문에, 액체 소비 장치에 구비된 통신부를 손상시킬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액체 소비 장치가 구비하는 통신부가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를 적절히 판독할 수 없게 될 우려를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보지 수단이 액체 용기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보지 수단이 액체 소비 장치에 적절히 삽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 현저하다.
또한, 결합부는 보지 부재를 구성하는 벽의 면 중 단자부에 가까운 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지 부재를 구성하는 벽의 면 중 단자부에 먼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통신부와 기억부와의 위치를 정밀도 높게 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액체 소비 장치가 구비하는 통신부가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를 적절히 판독할 수 없게 될 우려를 억제할 수 있다.
보지 부재에는, 액체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액체의 색과 동일한 색 라벨이 부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라벨이 부착되어 있는 보지 부재와, 그 라벨과 동일한 색의 액체를 수용한 액체 용기와의 조합이 가능해지므로, 예정되어 있던 색과는 다른 액체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기억부를 보지시킨 보지 부재가 액체 소비 장치에 잘못 삽입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액체 소비 장치가 구비하는 통신부가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를 잘못 판독할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기억부가 기억하는 정보는 보지 부재가 부 보지 부재에 탑재된 상태에서 액체 소비 장치가 구비하는 통신부에 의해 판독되며, 기억부가 기억하는 정보가 통신부에 의해 판독되어 있는 상태에서, 보지 부재는 액체 소비 장치 내부에 위치하며, 부 보지 부재는 그 일부가 액체 소비 장치 외부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기억부가 기억하는 정보가 통신부에 의해 판독되어 있는 상태에서, 잉크가 넘쳐 버렸을 경우라도 단자부에 잉크가 부착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액체 소비 장치가 구비하는 통신부가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를 잘못 판독할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부 보지 부재의 일부가 상기 액체 소비 장치 외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보지 부재를 취출하기 쉽다.
도 1은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 용기가 고정된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액체 수용 용기가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액체 수용 용기를 슬라이더가 분리된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액체 수용 용기가 구비하는 접속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액체 수용 용기가 구비하는 접속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a는 슬라이더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6b는 슬라이더의 이면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a는 회로 기판 홀더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7b는 회로 기판이 탑재된 회로 기판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8a는 개폐 커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b는 개폐 커버가 슬라이더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8c는 결합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개폐 커버가 개폐 덮개 위치에 위치한 상태의 액체 수용 용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9a는 주입구를 피복체로 피복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9b는 주입구로부터 피복체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액체 수용체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액체 수용체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0에 있어서의 A-A 선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2는 액체 수용체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2a는 도 10에 있어서의 B-B 선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며, 도 12b는 도 10에 있어서의 C-C 선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3은 액체 수용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필름이 접착된 수용체 케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1에 있어서의 D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6은 필름이 접착된 수용체 케이스의 확대도이다.
도 17은 필름이 접착된 수용체 케이스의 확대도이다.
도 18은 수용체 케이스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9는 수용체 케이스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0a는 도 19에 있어서의 E-E 선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며, 도 20b는 도 19에 있어서의 F-F 선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21은 수용체 케이스의 저면도이다.
도 22는 수용체 케이스의 일부와 플로트 밸브의 각 구성 부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홀더에 장착된 액체 수용 용기에 있어서의 슬라이더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24a는 결합 전의 회로 기판 홀더와 통신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4b는 회로 기판 홀더와 통신부와의 결합 상태를 일부 단면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24c는 결합 후의 회로 기판 홀더와 통신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5는 잉크를 주입할 때의 액체 수용 용기와 액체 수용원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잉크를 주입할 때의 액체 수용 용기와 액체 수용원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측면도이다.
도 27은 액체 수용 용기가 구비하는 피복 부재의 고정부를 중심으로 한 회동 범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8은 잉크의 잔량이 문턱값 잔량에 가까워졌을 때의 플로트 밸브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9는 잉크의 잔량이 문턱값 잔량 미만이 되었을 때의 플로트 밸브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액체 수용 용기 및 그 액체 수용 용기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소비하는 액체 소비 장치의 일 예인 잉크젯식 프린터(이하, "프린터"라고도 말함)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11)는 차륜(12)이 하단에 장착된 레그부(13)와, 레그부(13) 상에 조립되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장치 본체(1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력 방향을 따르는 방향을 상하 방향(Z)으로 하고, 이 상하 방향(Z)과 교차(본 실시형태에서는 직교)하는 장치 본체(14)의 길이 방향을 좌우 방향(X)으로 한다. 또한, 상하 방향(Z) 및 좌우 방향(X)의 쌍방과 교차(본 실시형태에서는 직교)하는 방향을 전후 방향(Y)으로 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14)의 후방부에는,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급송부(15)가 마련되어 있다. 급송부(15) 내에는, 길이가 긴 매체로서의 용지(S)가 원통 형상으로 중첩되어 감긴 롤지(R)가 장전되어 있다. 장치 본체(14)의 외장을 구성하는 하우징부(16)에 있어서, 급송부(15)의 전방측이 되는 위치에는 급송부(15)로부터 송출되는 용지(S)를 하우징부(16) 내에 도입하기 위한 삽입구(17)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장치 본체(14)의 전면측에는, 용지(S)를 하우징부(16)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부(16) 내에는, 급송부(15)로부터 급송된 용지(S)를 삽입구(17)측으로부터 배출구(18)측을 향하여 반송하는 도시하지 않는 매체 반송 기구가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장치 본체(14)의 전면측에 있어서 배출구(18)보다 하방이 되는 위치에는, 배출구(18)로부터 배출된 용지(S)를 받는 매체 수용 유닛(19)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장치 본체(14)의 상부에 있어서, 좌우 방향(X)에서 용지(S)의 반송 경로의 외측이 되는 일단측(도 1에서는 우측 단부측)에는, 설정 조작이나 입력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조작 패널(20)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장치 본체(14)의 하부에 있어서, 좌우 방향(X)에서 용지(S)의 반송 경로의 외측이 되는 일단측(도 1에서는 우측 단부측)에는 액체의 일 예인 잉크를 수용 가능한 액체 수용 용기(21)가 고정되어 있다.
액체 수용 용기(21)는, 잉크의 종류나 색에 대응하여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액체 수용 용기(21)가 좌우 방향(X)으로 나열되도록 배치되는 것에 의해 액체 수용 유닛(22)을 구성하고 있다. 환언하면, 복수의 액체 수용 용기(21)가 나열되는 방향을 X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수용 유닛(22)은, 장치 본체(14)에 각 액체 수용 용기(21)가 고정된 상태에서, 장치 본체(14)의 전방측(외방측)에 노출된 부분을 갖고 있다. 그리고, 액체 수용 유닛(22)은, 그 노출된 부분의 좌우 방향(X)의 양측 및 상하 방향(Z)의 하측이 장치 본체(14)측에 고정된 단면 대략 U자 형상을 이루는 프레임 부재(23)에 의해 덮여 있다.
또한, 하우징부(16) 내에는, 액체 분사 헤드(24)를 탑재한 캐리지(25)가 주 주사 방향이 되는 좌우 방향(X)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부(16) 내에는, 액체 수용 용기(21)에 수용된 잉크를 액체 분사 헤드(24)를 향하여 공급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는 액체 공급 기구가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매체 반송 기구에 의해서 반송되는 용지(S)에 대하여 액체 분사 헤드(24)로부터 잉크 방울을 분사하는 것에 의해 기록(인쇄)이 실행되고, 이러한 잉크 방울의 분사를 통하여 액체 수용 용기(21) 내의 잉크가 소비된다.
다음에, 액체 수용 용기(21)를 장치 본체(14)에 대하여 고정 상태로 장착하는 장착부(31) 및 해당 장착부(31)를 통하여 장치 본체(14)에 고정되는 액체 수용 용기(21)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2에서는, 도면의 복잡화를 회피하기 위해, 각 액체 수용 용기(21)로부터 액체 분사 헤드(24)측으로 잉크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 기구의 일부인 공급부(32)가 하나만 도시되어 있는 동시에, 그 도시된 하나의 공급부(32)에 대응하는 액체 수용 용기(21)가, 이점쇄선 및 흰색 화살표로 나타나도록 장착부(31)에 장착되기 전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액체 수용 용기(21)를 구성하는 액체 수용체(33)와 부 보지 부재의 일 예로서의 슬라이더(34)가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린터(11)에는, 연직 방향(상하 방향(Z))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설된 상부 프레임(35)과 하부 프레임(36)을 갖는 장착부(3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장착부(31)에는, 액체 공급 기구의 일부인 공급부(32)가 각 액체 수용 용기(21)에 대응하여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상부 프레임(35)은 좌우 방향(X)에 있어서 일부를 파단하여 제거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액체 수용 용기(21)는, 이 장착부(31) 내에 길이 방향의 일단측(도 2에서는 우측 단부측)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프린터(11)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프린터(11)에 고정된 상태에서, 액체 수용 용기(21)에 수용된 잉크가, 장착부(31)에 있어서의 각 액체 수용 용기(21)의 일단측에 대응하여 장착된 공급부(32)에 의해서, 액체 분사 헤드(24)측에 각각 공급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체 수용 용기(21)가 프린터(11)의 장착부(31)에 장착되며 프린터(11)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된 상태가, 액체 수용 용기(21)의 사용 시의 자세 상태가 된다. 또한, 고정된 상태란, 프린터(11)로부터 액체 수용 용기(21)를 사용자가 분리 불가능한 상태를 말하며, 예를 들면 액체 수용 용기(21)가 프린터(11)에 나사 고정되어 있는 상태나, 액체 수용 용기(21)로부터 프린터(11)에 잉크가 공급되며 프린터(11)가 인쇄 동작 중인 상태 등을 말한다.
그런데,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 용기(21)는 잉크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체(33)와, 이 액체 수용체(33)에 대하여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반중력 방향이 되는 상측으로 중첩되어 배설된 슬라이더(34)를 구비하고 있다.
액체 수용체(33)는, 대략 수평 방향에 있어서 장치 본체(14)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길이 방향(전후 방향(Y))으로 하고, 이것과 대략 수평 방향에서 직교하는 짧은 방향(좌우 방향(X))으로 일정 폭을 갖는 측면에서 보아 대략 L자 형상의 직방체 형상을 하고 있다. 즉, 액체 수용체(33)는, 그 짧은 방향(좌우 방향(X))에서 본 그 측면 형상이, 대략 정방형을 나타내는 제 1 수용체부(37)와, 제 1 수용체부(37)보다 후방측에서 전후 방향(Y)으로 긴 대략 장방형을 나타내며, 후술하는 유출구(52)가 형성된 제 2 수용체부(38)를 갖고 있다. 그리고, 액체 수용체(33)의 상면(39)에는, 길이 방향(전후 방향(Y))에 단차없이 연속하여 연장되는 평탄면부(41, 42)가 짧은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수용체부(37)를 구성하는 복수의 면 중 상면(상부, 또는 천정면이라고도 표현할 수 있음)과, 제 2 수용체부(38)를 구성하는 복수의 면 중 상면(상부, 또는 천정면이라고도 표현할 수 있음)은 높이 방향(연직 방향)의 높이가 동일하다고 말할 수 있다. 이 평탄면부(41, 42)를 따라서 슬라이더(34)가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액체 수용체(33)의 하면(40)은, 그 길이 방향(전후 방향(Y))에서, 제 1 수용체부(37)가 제 2 수용체부(38)보다 낮아진 단차면을 나타내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제 1 수용체부(37)를 구성하는 복수의 면 중 저면(저부)은, 제 2 수용체부(38)를 구성하는 복수의 면 중 저면(저부)보다 높이 방향(연직 방향)에서 낮은 위치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제 1 수용체부(37)의 용적은 제 2 수용체부(38)의 용적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34)를 이용하지 않는 실시형태에서도, 후술하는 이유에 의해, 제 1 수용체부(37)를 구성하는 복수의 면 중 상면(상부, 또는 천정면이라고도 표현할 수 있음)과, 제 2 수용체부(38)를 구성하는 복수의 면 중 상면(상부, 또는 천정면이라고도 표현할 수 있음)은 높이 방향(연직 방향)의 높이는 동일하거나, 또는 동일하지 않아도 좋지만, 제 1 수용체부(37)의 상면의 제 2 수용체부(38)의 상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제 2 수용체부(38)의 저면의 제 1 수용체부(38)의 저면으로부터의 높이보다 낮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수용체부(37)는 적어도 액체 수용 용기(21)의 장착 방향측(삽입 방향측)의 제 1 면(제 1 측면, 또는 제 1 측부라고도 표현할 수 있음)과, 이 제 1 면에 대향하는 제 2 면(제 2 측면, 또는 제 2 측부라고도 표현할 수 있음)으로 구성되지만, 제 1 면에 마련된 피고정부(37a)(도 13, 도 14 및 도 20 참조)가 장치 본체(14)측에 마련된 고정부(도시 생략)에 대하여 나사(37b)(도 20 참조)를 이용하여 나사 고정되는 것에 의해, 액체 수용 용기(21)는 프린터(11)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나사 고정에 의해 고정된 액체 수용체(33)는, 프린터(11)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 2 수용체부(38) 중 적어도 일부가 프린터(11)의 장치 본체(14) 내에 위치하는 제 2 부위가 되는(프린터(11) 또는 장치 본체(14)에 장착 또는 삽입되는 부위라고도 표현할 수 있음) 한편, 제 2 수용체부(38) 중 제 2 부위 이외, 및 제 1 수용체부(37)가 프린터(11)의 장치 본체(14) 외부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서 장치 본체(14)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제 1 부위가 된다. 또한, 제 1 수용체부(37)의 장착 방향의 면인 제 1 면은, 제 1 수용체부(37)를 구성하는 면 중 제 2 수용체부(38)측의 면이라고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수용체부(37)의 저면은 제 2 수용체부(38)의 저면보다 높이 방향에서 낮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제 1 부위 중 적어도 일부의 저면(저부)은 제 2 부위의 저면(저부)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수용체부(37)의 용적은 제 2 수용체부(38)의 용적보다 크기 때문에, 제 1 부위의 용적은 제 2 부위의 용적보다 커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수용체부(38)에는 유출구(5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출구(52)는 제 2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고도 말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수용체부(37)를 구성하는 복수의 면 중 상면과, 제 2 수용체부(38)를 구성하는 복수의 면 중 상면은 높이 방향(연직 방향)의 높이가 동일하기 때문에, 제 1 부위를 구성하는 복수의 면 중 상면과, 제 2 부위를 구성하는 복수의 면 중 상면은 높이 방향(연직 방향)의 높이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액체 수용체(33)는 장착부(31)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을 길이 방향(전후 방향(Y))으로 하고, 이것과 대략 수평 방향에서 직교하는 짧은 방향(좌우 방향(X))으로 대략 일정한 폭을 갖는 측면에서 보아 대략 L자 형상의 직방체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부위의 짧은 방향의 길이와, 제 2 부위의 짧은 방향의 길이는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 2 수용체부(38)에는, 그 길이 방향에서 제 1 수용체부(37)측과는 반대측이 되는 후단측에, 액체 수용체(33)를 구성하는 케이스 부재(도 13에 도시하는 수용체 케이스(130))와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며, 제 2 수용체부(38)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접속부(43)가 구비되어 있다. 이 접속부(43)에는, 장착부(31)측에 장착된 공급부(32)가 구비하는 잉크의 공급 바늘(44)에 액체 수용체(33) 내에 수용된 잉크를 인도하는 잉크 유로와, 동일하게 공급부(32)가 구비하는 잉크의 잔량 검출봉(45)에 액체 수용체(33) 내의 잉크의 유무 상태를 전달하는 전달 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이 잉크 유로 및 전달 기구가 형성된 접속부(43)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서는 공급부(32)의 구성 부재 중 공급 바늘(44)과 잔량 검출봉(45)에 따른 구성 부재가 도시되며, 그 이외는 적절히 생략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수용체부(38)에 구비된 접속부(43)는 한쪽측이 개구한 바닥을 갖는 대략 상자 형상의 하우징을 갖고 있으며, 그 저벽부가 액체 수용체(33)의 제 2 수용체부(38)에 있어서의 공급부(32)측의 단부면(46)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접속부(43)의 단부면(46)에는, 공급부(32)의 공급 바늘(44)이 삽입되는 바늘 삽입 구멍(47)이 형성되는 동시에, 이 바늘 삽입 구멍(47)에 대하여 서로 이웃하는 위치에는, 잔량 검출봉(45)이 삽입되는 봉삽입 구멍(4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속부(43)는 하면측에 표면이 대략 원기둥 형상의 돌기 부위(49)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43)의 하우징 내에는, 바늘 삽입 구멍(47)에의 공급 바늘(44)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대략 평판형상을 이루는 피장착 부재(50)가 구비되어 있다. 이 피장착 부재(50)에는, 그 두께 방향의 공급부(32)측이 되는 한쪽측의 단부면(51)에, 바늘 삽입 구멍(47)을 통하여 공급 바늘(44)이 삽입되는 대략 원통형의 유출구(52)와, 동일하게 대략 원통형의 액체실(5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피장착 부재(50)에는, 도 5에 있어서 굵은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실(53)과 유출구(52)를 연통시키는 유출 유로(55)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피장착 부재(50)는 액체 수용체(33)에 대하여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유출구(52)에는, 바늘 삽입 구멍(47)을 통하여 공급 바늘(44)이 삽입되기 때문에, 액체 수용체(33)측으로부터 공급된 잉크가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스프링(56)과 밸브 부재(57)와 패킹(58)으로 이루어지는 개폐 밸브(59)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공급 바늘(44)이 삽입되기 전에 잉크가 유출되지 않도록, 유출구(52)의 개구를 덮는 시일(60)이 용착되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액체실(53)에는, 액체실(53)의 개구를 덮도록 가요성의 필름(61)이 용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액체실(53)은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서 필름(61)이 변형되고 용적이 변화된다. 또한, 액체실(53) 내에는, 필름(61)을 액체실(53)의 외측을 향하여 부세하는 스프링(62)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62)과 필름(61) 사이에는, 스프링(62)의 부세력을 필름(61)으로 전달하는 수압판(63)(pressure receiving plate)이 삽입되어 있다.
또한, 피장착 부재(50)에 있어서의 액체실(53)의 외표면에는 이동 부재(64)가 장착되어 있다. 이동 부재(64)는 액체 수용체(33)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Y))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좌우 방향(X))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회동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액체실(53)의 내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필름(61)에 대하여 액체실(53)의 외측으로부터 접촉하고 있다.
한편, 피장착 부재(50)에는, 그 두께 방향의 다른쪽측의 단면(50a)에 있어서, 대략 원통형의 유입구(65)가 피장착 부재(50)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유입구(65)에 대응하여, 액체 수용체(33)(제 2 수용체부(38))측에는, 유입구(65)가 삽입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도출구(도출구부)(69)가 마련되어 있다. 이 도출구(69)로의 유입구(65)의 삽입에 의해서, 액체 수용체(33)(제 2 수용체부(38)) 내와 액체실(53)이 연통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출구(69)에는, 액체 수용체(33)에 수용된 잉크가 새어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패킹(70)이 내장되는 동시에, 유입구(65)가 액체 수용체(33)(제 2 수용체부(38))에 삽입되기 전에 액체 수용체(33)로부터 잉크가 유출되지 않도록, 도출구(69)의 개구를 덮는 시일(71)이 용착되어 마련된다.
또한, 피장착 부재(50)는, 예를 들면 유출구(52)로의 공급 바늘(44)의 삽입이나, 이동 부재(64)로의 잔량 검출봉(45)의 접촉이 안정되도록, 액체 수용체(33)(제 2 수용체부(38))와의 사이에 삽입된 압축 스프링(72)에 의해서, 접속부(43) 내에 있어서 장착부(31)측으로 부세되어 있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여 전달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부(43)에 있어서, 액체실(53)의 필름(61)은 스프링(62)에 의해서 수압판(63)을 통하여 액체실(53)의 용적을 증가시키도록 압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액체실(53)의 용적의 증가에 따라서, 액체 수용체(33) 내의 잉크가 유입구(65)를 통하여 액체실(53)에 유입된다. 한편, 공급부(32)에 의해서 잉크가 유출구(52)로부터 공급 바늘(44)을 향하여 흡인되는 것에 의해, 액체실(53) 내의 잉크가 유출 유로(55)를 통하여 액체실(53)로부터 유출된다. 이 때,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출 유로(55)의 내경이 유입구(65)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실(53)로부터의 잉크의 유출량이 액체실(53)로의 잉크의 유입량을 따라 잡지 않으며, 액체실(53) 내가 부압이 된다. 그 때문에, 필름(61)이 스프링(62)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액체실(53) 내로 인입되도록 변형된다. 또한, 도 5는 필름(61)이 액체실(53) 내로 인입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액체실(53)에 발생한 부압은 액체 수용체(33) 내의 잉크가 유입구(65)를 통과하여 액체실(53)에 유입하는 것에 의해서 서서히 해소된다. 그러면, 스프링(62)의 힘에 의해서, 필름(61)은 다시 액체실(53)의 외측으로 압출되며, 액체실(53)의 용적이 복원된다. 그 때문에, 공급부(32)에 있어서 액체 분사 헤드(24)로의 잉크의 공급이 정지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액체 분사 헤드(24)로의 잉크의 공급 개시 전의 원래 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공급부(32)로부터 액체 분사 헤드(24)측에 다시 잉크가 공급되면, 액체실(53) 내는 부압이 되고, 필름(61)이 액체실(53)의 내측에 인입된 상태가 된다. 한편, 액체 수용체(33) 내의 잉크가 소비되어 없어지면, 액체실(53) 내가 부압이어도 잉크가 액체실(53)에 유입하지 않는다. 즉, 공급부(32)에 의한 잉크의 공급이 정지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도, 액체실(53) 내의 부압은 해소되지 않고, 필름(61)이 액체실(53)의 내측에 인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잔량 검출봉(45)에는, 이동 부재(64)에 잔량 검출봉(45)을 압접시키도록 부세하는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잔량 검출봉(45)에 있어서의 이동 부재(64)에 접촉하는 일단부(45a)와 반대측의 타단부(45b)는 오목 형상의 센서(68)에 의한 검출 대상 부위로 되어 있다. 센서(68)는 투과형의 포토센서(photosensor)이며, 도시하지 않는 수광부와 발광부가 대향하여 마련되어 있다. 이 센서(68)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에 의해서 액체 수용체(33) 내의 잉크의 유무가 검출된다.
즉, 액체 수용체(33) 내의 잉크가 없어지면, 액체 수용체(33) 내로부터 액체실(53)에 잉크가 유입하지 않으므로, 필름(61)은 액체실(53)의 용적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변형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이동 부재(64)는, 도시하지 않음의 스프링으로부터 부세된 잔량 검출봉(45)의 일단부(45a)에 의해서 가압되는 것에 의해, 이동 부재(64)가 회동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잔량 검출봉(45)이 액체 수용체(33)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잔량 검출봉(45)의 타단부(45b)가 센서(68)의 발광부와 수광부와의 사이에 삽입된다. 그 때문에, 센서(68)는, 빛이 차단 상태로 유지되는 것에 근거하여, 액체 수용체(33) 내의 잉크가 없어진 것을 검출한다.
다음에, 도 2 및 도 3으로 되돌아와, 슬라이더(34)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수용체(33)에 있어서 프린터(11) 외부에 위치하는 제 1 부위에는, 액체 수용체(33)의 상면(39)에, 액체 수용체(33) 내에 잉크를 주입하는 주입구(주 입구부)(73)가 마련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입구(73)는 제 1 부위 중 상술한 제 1 면보다 제 2 면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수용체부(37)가 제 1 부위에 상당하며, 주입구(73)는 이 제 1 수용체부(37)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프린터(11) 외에 위치하는 주입구(73)가 잉크의 주입 시 이외는 노출되지 않도록, 슬라이더(34)에 의해서 덮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슬라이더(34)는 길이 방향을 갖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며, 액체 수용체(33)의 상면(39)과 대략 중첩되는 외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34)는, 그 일단측이 장착부(31) 내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액체 수용체(33)의 상면(39)과 대략 중첩된 상태로 배설되었을 때에, 액체 수용체(33)에 마련된 잉크의 주입구(73)의 상방을, 개폐 가능한 개폐 커버(74)에 의해서 덮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더(34)에는, 그 길이 방향의 단부에 있어서, 주입구(73)를 피복하는 위치와 개방하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하는 개폐 커버(74)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삽입 방향"이라고 하는 경우는, 특별히 지정되지 않는 한, 장착부(31)에 대한 슬라이더(34)의 "삽입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폐 커버(74)는, 주입구(73)를 덮는 상태에서 주입구(73)보다 제 2 수용체부(38)(제 2 부위)측이 되는 위치에 있어서, 액체 수용체(33)의 짧은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축선이 회전 중심이 되도록 슬라이더(34)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되어 있다. 따라서, 도 3에 있어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입구(73)를 개방하는 경우는, 사용자가, 슬라이더(34)의 길이 방향의 전단측이 되는 개폐 커버(74)의 바로 앞측을 들어 올려 제 2 수용체부(38)측이 되는 프린터(11)측으로 약 180도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결과, 개폐 커버(74)를, 도 3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주입구(73)의 피복 상태에서, 도 3에 있어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입구(73)의 개방 상태로 하는 것에 의해서, 주입구(73)에 대하여 후방측에 위치시키도록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입구(73)는 액체 수용체(33)의 제 1 수용체부(37)에 있어서의 전방측의 단부 부근에 마련되며, 개폐 커버(74)가 주입구(73)를 덮기 위해서 필요한 전후 방향(Y)의 길이가 길어지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34)에는, 장착부(31)로의 삽입 방향 안쪽의 단부(34a)에 있어서, 주입구(73)로부터 액체 수용체(33)에 주입된 잉크에 관한 관계 정보를 기록한 메모리를 기판(플렉시블한 기판이어도 좋음) 상에 탑재한 회로 기판(75)(기억부)을 탑재 가능한 기억부 보지 부재의 일 예로서의 홀더(76)가 장착되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34)가 액체 수용체(33)의 상면(39)과 중첩되는 상태에서 장착부(31) 내에 삽입되었을 때에, 이 홀더(76)에 장착된 회로 기판(75)이 프린터(11)의 장착부(31)측에 마련된 통신부(77)와 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통신부(77)와의 결합에 의해서, 홀더(76)에 탑재된 회로 기판(75)에 형성된 단자가 포함한 접촉 부분이 통신부(77)에 구비된 전기 단자(외부 단자)(78)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회로 기판(75)에 탑재된 메모리에 기록된 관계 정보가 프린터(11)측에 전달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11)에서는, 슬라이더(34)는, 액체 수용체(33)의 상면(39)과 중첩된 상태에서 프린터(11)의 장착부(31) 내에 삽입되었을 때에, 접속부(43)와 함께, 장착부(31)에 장착된 한쌍의 판 스프링(79)에 의해서, 프린터(11) 내에서 위치결정된다.
즉,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직 방향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35)과 하부 프레임(36)에, 각각 삽입 방향을 향하여 서로의 간격이 좁아지는 경사 형상을 갖는 판 스프링(79)이 나사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프레임(35)의 판 스프링(79)이 슬라이더(34)에 구비된 회로 기판 홀더(76)에 마련된 돌기 부위(80)와 부세 상태에서 접촉하는 한편, 하부 프레임(36)의 판 스프링(79)이 접속부(43)에 마련된 돌기 부위(49)(도 5 참조)와 부세 상태에서 접촉한다. 그 결과, 슬라이더(34)(회로 기판 홀더(76)) 및 접속부(43)는 상하 방향(Z)에서 한쌍의 판 스프링(79)에 의해서 위치결정된다.
또한, 액체 수용체(33)와 중첩된 상태에서 삽입된 슬라이더(34)와 액체 수용체(33)의 제 2 수용체부(38)는 함께 장착부(31)에 있어서 위치결정된 상태가 된다. 즉,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부(31)의 상부 프레임(35)에는, 슬라이더(34)의 상면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설치된 볼록조부(82)가 접촉하면서 삽입되는 안내 홈(도시하지 않음)이 하면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장착부(31)의 하부 프레임(36)에는, 액체 수용체(33)의 하면측에 있어서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설치된 볼록조부(83)(도 5 및 도 23 참조)가 결합하는 안내 홈(84)이 상면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34) 및 제 2 수용체부(38)는 짧은 방향이 각각의 볼록조부와 안내 홈과의 결합에 의해서 각각 위치결정된다. 그 결과, 슬라이더(34)(및 이 슬라이더(34)에 장착된 회로 기판 홀더(76))와, 제 2 수용체부(38)에 구비된 접속부(43)는 각각 짧은 방향에서 위치결정된다. 즉, 액체 수용 용기(21)가 프린터(11)(장착부(31))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액체 수용 용기(21)로부터 프린터(11)에 잉크를 공급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회로 기판(75) 및 회로 기판 홀더(76)는 제 2 부위에 위치한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 용기(21)에서는, 슬라이더(34)에 구비되는 회로 기판 홀더(76) 및 개폐 커버(74)는 슬라이더(34)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이들이 장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더(34)는 액체 수용체(33)의 상면(39)에 대하여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액체 수용체(33)가 프린터(11)에 고정된 상태에서, 슬라이더(34)는 장착부(31)에 대하여 꽂거나 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슬라이더(34)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34)에는, 장착부(31)로의 삽입 방향 안쪽의 단부(34a)에 있어서, 삽입 방향 안쪽이 노치된 대략 U자 형상의 개구(85)를 구비하는 홀더 장착부(8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홀더 장착부(86)는, 슬라이더(34)가 장착된 액체 수용 용기(21)가 프린터(11)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 2 부위에 위치한다. 이 개구(85)에 대하여, 슬라이더(34)의 삽입 방향, 즉 미끄럼 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회로 기판 홀더(76)의 삽입 및 빼냄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더(34)에 대하여 액체 수용체(33)와는 반대측이 되는 상방으로부터, 회로 기판 홀더(76)에 있어서 상측에 마련된 칼라 형상부(87)가 홀더 장착부(86)의 개구(85)를 형성하는 대략 C자 형상의 상부 표면(88)에 접촉하도록 개구(85) 내에 삽입되어 장착된다. 또한, 회로 기판 홀더(76)는 홀더 장착부(86)로부터 상방으로 빼내어져 슬라이더(34)로부터 분리된다.
한편, 슬라이더(34)에는, 장착부(31)로의 삽입 방향 바로 앞측의 단부(34b)에 있어서 회전축(89)이 형성되며, 이 회전축(89)에 대하여 개폐 커버(74)에 형성된 베어링부(90)가 끼워지는 것에 의해서, 개폐 커버(74)는 슬라이더(34)에 회동(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렇게 하여 회로 기판 홀더(76)와 개폐 커버(74)가 장착된 본 실시형태의 슬라이더(34)는, 액체 수용체(33)에 중첩된 상태에서, 액체 수용체(33)의 상면(39)에 있어서, 액체 수용체(33)의 짧은 방향(좌우 방향(X))인 폭 방향의 양단 부분에 접촉하면서, 액체 수용체(33)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Y))을 따라서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수용체(33)의 상면(39)과 중첩되는 슬라이더(34)의 하면측에,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폭 방향의 양측 단부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리브 형상의 측벽부(91, 9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액체 수용체(33)의 상면(39)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폭 방향의 양측 단부에는, 이 측벽부(91, 92)가 각각 접촉하는 접촉면으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의 평탄면부(41, 4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34)에 형성된 측벽부(91, 92)는, 액체 수용체(33)의 상면(39)에 형성된 평탄면부(41, 42)에 각각 접촉하면서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미끄럼 운동) 가능하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수용체(33)의 상면(39)에는, 평탄면부(41, 42)에 대하여 그 내측에 인접하는 볼록부(93)가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34)는, 폭 방향(좌우 방향(X))으로의 이동이 이 복수의 볼록부(93)에 의해서 규제되는 것에 의해서, 액체 수용체(33)에 대해서 길이 방향(전후 방향(Y))을 따라서 안정되게 이동(미끄럼 운동)한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11)에는, 장착부(31) 내에 제 2 수용체부(38) 중 적어도 일부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프린터(11)에 고정된 액체 수용 용기(21)의 상측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된 슬라이드 손잡이(94)가 마련되어 있다. 이 프린터(11)에 마련된 슬라이드 손잡이(94)가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변위되는 것에 의해서, 슬라이더(34)의 상면에 마련된 오목부(95)와 결합하고, 슬라이더(34)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장착부(31)로부터 뽑히는 방향으로의 이동(미끄럼 운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슬라이드 손잡이(94)를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오목부(95)와의 결합이 해제되어 슬라이더(34)는 장착부(31)로부터 빼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슬라이더(34)를 액체 수용체(33)에 대해서 미끄럼 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장착부(31)에 대한 슬라이더(34)의 꽂거나 뺌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더(34)에 있어서, 그 상면측에 짧은 방향을 따라서 돌출되는 지괘부(96)(finger-hooking portion)가 형성되며, 이 지괘부(96)에 의해서, 사용자에 의한 슬라이더(34)의 꽂고 뺌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로 기판 홀더(76)에 탑재되는 회로 기판(75)은 교체 가능에 탑재된다.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7a 및 도 7b에서는, 회로 기판 홀더(76)는 슬라이더(34)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 홀더(76)는 복수의 벽으로 구성되어 있다. 회로 기판 홀더(76)에는, 슬라이더(34)에 조립 장착된 상태에서의 장착부(31)에 대한 슬라이더(34)의 삽입 방향 안쪽 및 상측의 쌍방이 개구하는 오목부(97)가 마련되며, 이 오목부(97)에 있어서, 삽입 방향 하향의 경사면(98)이 마련되어 있다. 이 경사면(98)의 하단측에는, 원기둥 형상의 보스(99)가 형성되는 한편, 이 경사면(98)의 상단측에는, 장착부(31)에 대한 삽입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판형상의 리브(100)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경사면(98), 원기둥 형상의 보스(99), 및 리브(100) 중 어느 하나 또는 전체를 지지부라 말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 회로 기판 홀더(76)에 탑재되는 회로 기판(75)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그 표면에 삽입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복수(여기에서는 9개)의 단자(접촉부(75b) 포함함)(75a)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회로 기판(75)에는, 이 복수의 단자(접촉부(75b) 포함함)(75a)의 삽입 방향에서 전후가 되는 한쪽의 단부에 둥근 구멍(101)이 형성되며, 다른쪽 단부에 슬릿(10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회로 기판(75)에 형성된 둥근 구멍(101)에 회로 기판 홀더(76)에 마련된 보스(99)가 삽입되는 동시에, 이 삽입에 따라서, 회로 기판(75)에 마련된 슬릿(102)에 대하여, 회로 기판 홀더(76)에 마련된 리브(100)가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회로 기판(75)은 회로 기판 홀더(76)의 경사면(98) 상에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탑재된다. 또한, 회로 기판 홀더(76)가 어떠한 자세(임의의 자세)로 평면 상에 놓인 경우라도, 벽이 회로 기판(75)보다 중력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회로 기판(75)은 회로 기판 홀더(76)에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회로 기판 홀더(76)의 상부 표면(103)에는, 탑재된 회로 기판(75)을 식별하는 식별 시일(104)(식별 라벨)이 적어도 그 일부에 부착된다. 이 식별 시일(104)은 회로 기판 홀더(76)에 대응하는 액체 수용 용기(21)가 수용하는 액체의 색 또는 후술하는 액체 주입원(126)이 수용하는 액체와 동일한 색이다.
도 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 홀더(76)에 있어서 회로 기판(75)이 탑재된 상태에서는, 회로 기판(75)은 리브(100)에 의해서 경사면(98) 내에 있어서의 보스(99)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 규제된 상태가 된다. 또한, 둥근 구멍(101)과 보스(99)와의 사이, 및 슬릿(102)과 리브(100)와의 사이에는, 각각 근소한 간극이 마련되며, 탑재된 회로 기판(75)을 회로 기판 홀더(76)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회로 기판 홀더(76)에는, 도 7a 및 도 7b에서는 한쪽만 도시되어 있지만, 그 오목부(97)에 있어서, 장착부(31)에 대한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좌우 방향(X)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측벽부(105)에, 삽입 방향으로 연장설치되는 동시에, 삽입 방향측 단부에 있어서 면취부(106)가 형성된 홈 형상부(107)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35)에 마련된 판 스프링(79)과 접촉하는 돌기 부위(80)는, 이 회로 기판 홀더(76)의 상부 표면(103)에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8a, 도 8b 및 도 8c를 참조하여, 개폐 커버(74)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폐 커버(74)는 슬라이더(34)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동시에, 주입구(73)의 폐쇄 덮개 위치에 있어서, 회전축(89)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부하가 부여되어 회전이 억제된다.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커버(74)는 슬라이더(34)에 마련된 회전축(89)의 양측의 축단부(108)에 대하여 결합하는 대략 반원통 형상의 2개의 베어링부(90)와, 회전축(89)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 부분에 대하여 베어링부(90)와는 반대 방향으로부터 접촉하는 접촉부(109)가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109)는, 개폐 커버(74)에 있어서 주입구(73)와 대향하는 내면(이면(74a))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가요성을 갖는 2개의 판형상의 부위가 마련된 짧은 방향에서 보아 대략 J자 형상을 갖는 후크 부위(110)에 있어서, 그 후크 형상의 선단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베어링부(90)를 회전축(89)의 축단부(108)에 결합시킬 때에, 접촉부(109)는 일단 회전축(89)에 의해서 후크 부위(110)의 휨 변위에 따라서 변위된 후, 베어링부(90)가 회전축(89)의 축단부(108)에 결합된 상태에서, 휨 변위가 복귀되는 것에 의해서 회전축(89)과 대략 접촉 상태로 결합한다. 이것에 의해, 개폐 커버(74)는 회전축(89)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축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34)에는, 그 짧은 방향 양측의 측벽부(91, 92)에 있어서 길이 방향에 연장설치된 연장설치 부위(111)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이 연장설치 부위(111)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서 홈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개폐 커버(74)에 있어서의 슬라이더(34)의 측벽부(91, 92)의 일부를 구성하는 커버 측벽부(91a, 92a)에 있어서, 액체 수용체(33)에 장착된 개폐 커버(74)가 주입구(73)를 덮은 상태에서 홈부(112)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홈부(112)와 걸림고정 가능한 볼록조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즉, 도 8b 및 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커버(74)는 슬라이더(34)의 회전축(89)에 대하여 베어링부(90)와 접촉부(109)가 결합 상태로 되는 것에 의해서 슬라이더(34)에 조립된다. 조립된 개폐 커버(74)는, 주입구(73)를 덮는 폐쇄 덮개 위치에 있을 때, 커버 측벽부(91a, 92a)에 형성된 볼록조부(113)가, 짧은 방향에서 보아, 홈부(112)와 중첩되는 동시에, 홈부(112)에 대해서 진입한 결합 상태로 된다. 따라서, 도 8b에 있어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커버(74)가 회전축(89)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주입구(73)의 폐쇄 덮개 위치로 변위할 때에는, 개폐 커버(74)에 대하여 회전 부하를 일으키게 한다. 이러한 점에서, 슬라이더(34)의 홈부(112)는 개폐 커버(74)와 결합하여 폐쇄 덮개 위치로부터 개방 덮개 위치로의 변위를 억제하는 결합부의 일 예로서 기능한다.
다음에, 액체 수용 용기(21)에 있어서의 주입구(73)의 주변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수용체(33)의 상면(39)에 있어서의 전방측 부분에는, 상하 방향(Z)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액체 수용부의 일 예로서의 액체 수용면(116)이 형성되어 있다. 액체 수용면(116)은, 그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며, 그 좌우 방향(X)에 있어서의 폭 치수는 액체 수용체(33)의 좌우 방향(X)에 있어서의 폭 치수에 대해 약간 작게 되어 있다.
또한, 액체 수용체(33)의 상면(39)에는, 액체 수용면(116)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하여, 액체 수용면(116)과 교차하는 상부 방향(반중력 방향)으로 주벽부(117)가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주벽부(117)의 전방측의 벽부분에는, 그 좌우 방향(X)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에 있어서, 주벽부(117)의 다른 부분보다 하방으로 오목한 노치 홈(118)이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의 일 예인 노치 홈(118)은 주입구(73)의 주변 위치의 일 예인 주벽부(117)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주벽부(117)의 후방측의 벽 부분에는, 해당 벽 부분과 교차하면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보강 리브(11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액체 수용면(116)에는,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는 동시에 주입구(73)(도 9b 참조)를 피복하거나 개방할 수 있는 피복체(120)를 구비하는 피복 부재(121)가 탑재되어 있다. 피복체(120)에는, 그 상측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대략 원기둥 형상을 이루는 손잡이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122)는 사용자가 주입구(73)로부터 피복체(120)를 분리하거나 반대로 주입구(73)를 피복체(120)로 피복시키거나 할 때에 파지되는 부위로 되어 있다.
또한, 피복 부재(121)는, 도 9a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피복체(120)를 구비하고 있는 전방측과는 반대측이 되는 후방측에, 피복 부재(121)를 액체 수용면(116)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23)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부(123)는, 액체 수용면(116)에 개구 형성되는 고정 구멍(124)(도 10 참조)에, 해당 고정 구멍(124)의 축선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또한 액체 수용면(116)으로부터 이탈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피복 부재(121)는 액체 수용면(116)에 대하여 고정부(123)를 회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는 한편, 액체 수용면(116)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단, 피복 부재(121)는, 고정부(123)를 포함하며 새로운 피복 부재(121)로 교환하는 것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피복 부재(121)는, 액체 수용면(116) 상에 탑재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Z)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복수회(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우 방향(X)으로 3회) 굴곡되면서 피복체(120) 및 고정부(123)를 연결하는 연결부(125)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부(125)는, 그 연장설치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동시에, 그 직사각형 단면 형상에서 액체 수용면(116)과 교차하는 방향(상하 방향(Z))의 길이보다 액체 수용면(116)을 따르는 방향의 길이 쪽이 길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연결부(125)는 액체 수용면(116)에 탑재되었을 때에, 해당 액체 수용면(116)과의 접촉 면적이 크게 되어, 액체 수용면(116) 상에 안정되게 탑재되어 있다.
또한, 피복 부재(121)를 구성하는 피복체(120), 연결부(125), 및 고정부(123)는 고무나 수지 등의 엘라스토머 등으로 형성되며,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도 9a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 피복체(120)는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주입구(73)에 끼워 맞추는 것에 의해, 피복체(120) 및 주입구(73)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주입구(73)를 피복하고 있다.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방 덮개 위치에 있는 개폐 커버(74)의 이면(74a)(저면의 일 예)에는, 주입구(73)로부터 분리된 피복체(120)를 탑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개폐 커버(74)의 이면(74a)의 면적은 피복체(120)를 상하 방향(Z)을 따르는 방향으로 투영했을 경우의 투영 면적보다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피복체(120)를 보다 안정되게 탑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개폐 커버(74)의 이면(74a)은, 해당 개폐 커버(74)가 개방 덮개 위치에 위치한 상태(도 9a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 주입구(73)가 있는 전방을 향하여 하향 구배의 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개방 덮개 위치에 위치한 개폐 커버(74)의 이면(74a)의 양측 단부에서는, 커버 측벽부(91a, 92a)가 상부 방향을 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 측벽부(91a, 92a)는, 개방 덮개 위치에 위치하는 개폐 커버(74)의 이면(74a)에 잉크가 부착된 피복체(120)를 탑재했을 때에, 해당 잉크가 개폐 커버(74)로부터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차폐부의 일 예로서도 기능한다.
도 9b는 피복체(120)를 주입구(73)로부터 분리하는 동시에, 해당 피복체(120)를 개폐 커버(74)의 이면(74a)에 탑재한 상태의 액체 수용 용기(21)를 도시하고 있다.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수용면(116)의 일부에 개구 형성된 주입구(73)가 노출됨으로써, 사용자는 해당 주입구(73)를 통하여 액체 수용체(33)의 내부(제 1 잉크실(151)(도 14 참조))에 잉크를 주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주입구(73)의 상단연이 되는 개구 돌기(73a)는 면취됨으로써 경사 형상으로 형성되며, 잉크를 주입할 때에 해당 잉크가 주입구(73) 내에 유동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복 부재(121)의 연결부(125)의 길이는, 개방 덮개 위치에 위치한 상태의 개폐 커버(74)의 이면(74a)에 피복체(120)를 탑재 가능한 만큼의 길이로 되어 있다. 또한, 도 9b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연결부(125)는 약간 신장된 상태인 한편, 피복체(120)는 개폐 커버(74)의 이면(74a)에 탑재된 상태 또한 개폐 커버(74)의 후크 부위(110)와 접촉한 상태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수용면(116)에 있어서의 주벽부(117)의 후방측(도 10에서는 우측)의 벽 부분 근방에는, 피복 부재(121)의 고정부(123)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 구멍(124)이 액체 수용면(116)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어 있다. 고정 구멍(124)은, 해당 고정 구멍(124)의 좌우 방향(X)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가, 주입구(73)의 좌우 방향(X)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와 대략 일치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고정 구멍(124)은 주입구(73)와 마찬가지로 액체 수용면(116) 상에 개구 형성되어 있지만, 제 1 잉크실(151)에는 연통되어 있지 않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수용면(116)은 전후 방향(Y)에 있어서, 주입구(73)를 향하여 하방(중력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주입구(73)로부터 멀어진 위치가 되는 고정 구멍(124)의 근방은 액체 수용면(116)에 있어서 가장 높은 위치로 되어 있다. 즉, 고정 구멍(124)에 고정되는 피복 부재(121)의 고정부(123)는 액체 수용면(116)에 있어서 주입구(73)의 주위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주입구(73)에 잉크를 주입할 때 등에 잉크가 액체 수용면(116) 상을 유동하여도 해당 잉크가 부착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수용면(116)은 좌우 방향(X)에 있어서도, 주입구(73)를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수용면(116)은 주입구(73)로부터 멀어진 고정 구멍(124) 근방의 위치에 있어서는, 좌우 방향(X)에 있어서의 중앙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액체 수용체(33)의 내부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수용체(33)는 좌우 방향(X)에서 보아 측면시 대략 L자 형상을 이루는 수용체 케이스(130)와, 수용체 케이스(130) 내에 수용되는 밸브 기구의 일종인 플로트 밸브(131)와, 수용체 케이스(130)의 케이스 개구부(132)에 접착(예를 들면 열용착)되는 필름(133)과, 케이스 개구부(132)를 필름(133) 가로질러 덮는 수지제의 커버(134)를 구비한다. 또한, 수용체 케이스(130)는 우측면이 개구하도록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동시에, 커버(134)에 형성된 클로부(134a)를 고정하는 고정부(130a)가 환상을 이루는 케이스 개구부(132)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체 케이스(130)의 케이스 개구부(132)에 필름(133)이 접착되면, 수용체 케이스(130)와 필름(133)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 영역이, 대기에 연통하는 공기실(136)과, 잉크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실의 일 예로서의 잉크실(137)과, 액체 유로의 일 예로서의 도출 유로(138)로서 기능한다. 또한, 도출 유로(138)는, 그 일단이 잉크실(137)에 연통하는 동시에, 그 외단측에는, 잉크실(137)에 수용된 잉크를 액체 분사 헤드(24)(프린터(11)측)로 도출하는 도출구(69)(도 4 및 도 5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공기실(136), 및 공기실(136)로 공기를 취입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체 케이스(130)의 주입구(73)가 형성된 상면(39)에는, 대기와 연통하는 대기 연통 구멍(140)과 좌우 방향(X)을 따라서 연장되는 위치결정 볼록조(14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의 보강 리브(119)와 위치결정 볼록조(141)와의 사이에는, 사행하여 형성된 적어도 1개(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구불구불한 홈(142, 143)(meandering grooves)과, 구불구불한 홈(142, 143)의 주위를 둘러싸는 사행 볼록부(14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체 케이스(130)의 상면(39)은, 구불구불한 홈(142, 143)을 덮고 공기 통로(145, 146)를 형성하는 공기 통로 형성 필름(147)이 접착(예를 들면 열용착)된다. 즉, 공기 통로 형성 필름(147)이 보강 리브(119)와 위치결정 볼록조(141)에 위치결정된 상태에서 사행 볼록부(144)에 접착되면, 제 1 구불구불한 홈(142)과 공기 통로 형성 필름(147)에 의해 제 1 공기 통로(145)가 형성된다. 또한, 제 2 구불구불한 홈(143)과 공기 통로 형성 필름(147)에 의해 제 2 공기 통로(146)가 형성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기 연통 구멍(140)은, 제 1 부위 중, 주입구(73)와 제 2 부위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공기실(136a)과 연통한다. 또한, 제 1 구불구불한 홈(142)의 일단(142a)은 제 1 공기실(136a)과 연통하는 것에 대하여, 타단(142b)은 제 2 공기실(136b)과 연통한다. 또한, 제 2 구불구불한 홈(143)의 일단(143a)은 제 2 공기실(136b)과 연통하는 것에 대하여, 타단(143b)은 제 3 공기실(136c)과 연통한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3 공기실(136c)에는 공기 도입구(148)가 형성되는 동시에, 공기 도입구(148)를 통하여 제 3 공기실(136c)과 잉크실(137)이 연통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잉크실(137)에 수용된 잉크가 도출되어 잉크실(137) 내의 압력이 저하되면, 대기 연통 구멍(140)으로부터 취입된 외부 공기가 제 1 공기실(136a), 제 1 공기 통로(145), 제 2 공기실(136b), 제 2 공기 통로(146), 제 3 공기실(136c)을 통하여 잉크실(137)에 취입된다.
다음에, 잉크실(137)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실(137)의 형상은, 액체 수용체(33)의 형상과 마찬가지로 전방측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Z)의 높이 치수가 후방측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Z)의 높이 치수보다 크다. 또한, 잉크실(137)은, 잉크실(137)에 있어서의 주입구(73)가 형성된 주입구 형성면의 일 예로서의 천정면(137b)과 교차하는 칸막이 벽(150)에 의해 제 1 액체 수용실의 일 예로서의 제 1 잉크실(151)과 제 2 액체 수용실의 일 예로서의 제 2 잉크실(152)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칸막이 벽(150)은 상하 방향(Z)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동시에, 천정면(137b)과 대향하는 대향면(저면)(153)과도 교차한다. 또한, 좌우 방향(X)에서 칸막이 벽(150)의 폭은 수용체 케이스(130)의 좌측의 측벽(130b)으로부터 케이스 개구부(132)까지의 폭과 대략 동일하다. 또한, 칸막이 벽(150)은, 잉크실(137)에 있어서 상하 방향(Z)의 높이가 큰 전방측의 가까운 위치에, 수용체 케이스(130)의 측벽(130b)과 직교하는 동시에, 해당 측벽(130b)으로부터 케이스 개구부(132)측(도 14에서는 바로 앞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수용체 케이스(130)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2 잉크실(152)의 제 1 잉크실(151)측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Z)의 높이는 제 1 잉크실(151)의 상하 방향(Z)의 높이와 대략 동일하며, 또한 제 1 잉크실(151)과 멀어진 후방측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Z)의 높이보다 크다. 그리고, 제 1 잉크실(151)의 용적은 제 2 잉크실(152)의 용적보다 작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칸막이 벽(150)은, 주입구(73)의 개구의 중심을 통과하고 상하 방향(Z)을 따라서 연장되는 주입 가상선(M)을 중심으로 하여 제 1 잉크실(151)에 있어서의 전벽면(137a)과 대략 선대칭이 되도록 형성된다. 즉, 주입구(73)는 칸막이 벽(150)보다 전방측의 제 1 잉크실(151)의 천정면(137b)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잉크실(151)에 있어서 대향면(153)의 칸막이 벽(150) 근방의 위치에는, 주입구(73)로부터 멀어지도록 중력 방향으로 오목해진 오목부(154)가 주입구(73)와는 중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마련되어 있다. 즉, 오목부(154)는 전후 방향(Y)에 주입 가상선(M)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좌우 방향(X)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다.
도 14 및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칸막이 벽(150)에 필름(133)이 접착되면, 접착면(150a)으로부터 측벽(130b)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이 연통 개구의 일 예로서의 벽 연통 개구(벽 연통 개구부)(155)로서 기능하는 동시에, 환기 개구의 일 예로서의 벽 통기 개구(벽 통기 개구부)(156)로서 기능한다. 즉, 제 1 잉크실(151)과 제 2 잉크실(152)은 벽 연통 개구(155) 및 벽 통기 개구(156)를 통하여 연통한다. 또한, 벽 통기 개구(156)는 천정면(137b)과 접하도록 칸막이 벽(150)의 상단에 형성되며, 벽 연통 개구(155)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벽 연통 개구(155)는 벽 통기 개구(156)보다 하측의 대향면(153)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오목부(154)로부터 상방으로 멀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벽 연통 개구(155)는, 그 벽 연통 개구(155) 내에 있어서 하측에 위치하는 하면(155a)이 좌측의 안쪽면(155b)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며 대략 수평으로 형성되는데 반하여, 상측(반중력 방향측)에 위치하는 상면(155c)은 안쪽면(155b)에 대하여 비직교가 된다. 즉, 상면(155c)은 수평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며, 안쪽면(155b)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하면(155a)으로부터도 멀어진다. 또한, 벽 연통 개구(155)는, 벽 연통 개구(155)의 개구의 중심을 통과하여 개구 단면과 직교하는(본 실시형태에서는 전후 방향(Y)을 따라서 연장됨) 연통구 축선(N)이 주입 가상선(M)과 비평행이며 엇갈려 교차되지 않는 관계가 된다. 즉, 벽 연통 개구(155)는 주입구(73)에 대하여 비틀림의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벽 연통 개구(155)의 면적은 칸막이 벽(150)에 있어서의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의 면적에 상당하며, 칸막이 벽(150)의 면적보다 작은 동시에, 주입구(73)의 면적보다 작다. 또한, 벽 통기 개구(156)의 면적은 벽 연통 개구(155)의 면적보다 작다.
또한,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잉크실(152)에는, 천정면(137b)과 교차하며 상하 방향(Z)을 따라서 연장되는 적어도 1개(본 실시형태에서는 9개)의 교차 리브부(157a 내지 157i)가 전후 방향(Y)으로 간격을 갖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잉크실(152)에는, 상하 방향(Z) 및 전후 방향(수평 방향)(Y)과 교차하는 적어도 1개(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차양부의 일 예로서의 횡경사 리브부(158a 내지 158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교차 리브부(157a 내지 157i), 횡경사 리브부(158a 내지 158d)는 수용체 케이스(130)의 측벽(130b)과 직교하는 동시에, 해당 측벽(130b)으로부터 케이스 개구부(132)측(도 14에서는 바로 앞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수용체 케이스(130)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교차 리브부(157a 내지 157i)는, 좌우 방향(X)에 있어서의 폭이 수용체 케이스(130)의 측벽(130b)으로부터 케이스 개구부(132)까지의 폭과 대략 동일하다. 또한, 교차 리브부(157a 내지 157i)는 천정면(137b)과 접하는 상단의 일부가 측벽(130b)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교차 리브부(157a 내지 157i)의 접착면(우측 단부면)에 필름(133)이 접착되면,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이 환기 개구의 일 예로서의 리브 환기 개구(리브 환기 개구부)(160)로서 기능한다. 또한, 리브 환기 개구(160)의 면적은 벽 통기 개구(156)의 면적보다 크며, 또한 리브 환기 개구(160)의 상하 방향(Z)의 크기는 벽 통기 개구(156)의 상하 방향(Z)의 크기보다 크다. 즉, 벽 통기 개구(156)의 하측 개구단은 리브 환기 개구(160)의 하측 개구단보다 천정면(137b)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벽 통기 개구(156)는 리브 환기 개구(160)보다 천정면(137b) 가까이에 형성되어 있다.
칸막이 벽(150)에 첫번째로 가까운 제 1 교차 리브부(157a) 및 두번째로 가까운 제 2 교차 리브부(157b)는 제 2 잉크실(152)에 있어서 상하 방향(Z)의 사이즈가 큰 앞에서 가까운 위치에 저면(152a)과 간극을 갖고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1 교차 리브부(157a)와 제 2 교차 리브부(157b)와의 접착면에 필름(133)이 접착되면, 제 1 교차 리브부(157a)와 제 2 교차 리브부(157b)의 하단은, 잉크가 통과 가능한 연통 개구의 일 예로서의 리브 연통 개구(리브 연통 개구부)(161)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 2 잉크실(152)의 저면(152a)은 제 2 잉크실(152)에 있어서 상하 방향(Z)의 하측에 위치하는 면이며, 제 2 잉크실(152)의 형상에 맞추어 부분적으로 굴곡 및 경사져 있다. 그리고, 제 1 교차 리브부(157a) 및 제 2 교차 리브부(157b)와 저면(152a)과의 사이에 플로트 밸브(131)가 수용된다.
제 3 교차 리브부(157c) 내지 제 9 교차 리브부(157i)는 제 2 잉크실(152)의 후방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3 교차 리브부(157c) 내지 제 9 교차 리브부(157i)는 하단의 일부가 측벽(130b)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3 교차 리브부(157c) 내지 제 9 교차 리브부(157i)의 접착면(우측 단부면)에 필름(133)이 접착되면, 제 3 교차 리브부(157c) 내지 제 9 교차 리브부(157i)의 하단에 있어서 측벽(130b)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은, 잉크가 통과 가능한 연통 개구의 일 예로서의 리브 연통 개구(161)로서 기능한다. 즉, 제 2 잉크실(152)은, 교차 리브부(157a 내지 157i)에 의해서 멀어지는 공간끼리가 리브 연통 개구(161)와, 리브 연통 개구(161)보다 천정면(137b)측에 형성된 리브 환기 개구(160)를 통하여 연통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첫번째로 높은 위치에 있는 제 1 횡경사 리브부(158a)는 칸막이 벽(150)과 천정면(137b)과의 교점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두번째로 높은 위치에 있는 제 2 횡경사 리브부(158b)는, 칸막이 벽(150)에 있어서 제 1 횡경사 리브부(158a)보다 하방 위치에서 후방을 향하여 제 1 횡경사 리브부(158a)보다 하향 경사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횡경사 리브부(158a)와 제 2 횡경사 리브부(158b)는 칸막이 벽(150)과 교차하는 동시에 전후 방향(Y)과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횡경사 리브부(158a)와 제 2 횡경사 리브부(158b)는 좌우 방향(X)의 폭이 칸막이 벽(150) 및 교차 리브부(157a 내지 157i)의 폭보다 작다. 그 때문에, 케이스 개구부(132)에 필름(133)이 접착되었을 경우에는, 제 1 횡경사 리브부(158a) 및 제 2 횡경사 리브부(158b)와 필름(133)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횡경사 리브부(158a) 및 제 2 횡경사 리브부(158b)에 의해서 구분된 공간은 간극을 통하여 서로 연통되어 있다.
또한, 제 2 횡경사 리브부(158b)보다 저면(152a)측에 있어서, 플로트 밸브(131)의 상측 위치에는, 제 1 차양부의 일 예로서의 제 3 횡경사 리브부(158c)와 제 2 차양부의 일 예로서의 제 4 횡경사 리브부(158d)가 형성되어 있다. 제 3 횡경사 리브부(158c)는 칸막이 벽(150)과 제 1 교차 리브부(157a)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제 4 횡경사 리브부(158d)는 제 2 교차 리브부(157b)보다 후방측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3 횡경사 리브부(158c)와 제 4 횡경사 리브부(158d)는 플로트 밸브(131)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력 방향을 따르는 축선(도시 생략)을 기준으로 하여 선대칭이 되는 동시에, 플로트 밸브(131)의 중심으로부터 단부에 걸쳐서 각각 하향 경사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제 3 횡경사 리브부(158c)의 상단과 제 4 횡경사 리브부(158d)의 상단의 거리는 제 3 횡경사 리브부(158c)의 하단과 제 4 횡경사 리브부(158d)의 하단의 거리보다 짧다.
또한, 제 3 횡경사 리브부(158c)와 제 4 횡경사 리브부(158d)는 좌우 방향(X)에 있어서의 폭이 칸막이 벽(150)의 폭과 대략 동일하다. 또한, 제 3 횡경사 리브부(158c)와 제 4 횡경사 리브부(158d)의 양단은, 측벽(130b)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3 횡경사 리브부(158c)와 제 4 횡경사 리브부(158d)의 접착면(우측 단부면)에 필름(133)이 접착되면, 측벽(130b)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은 잉크가 통과 가능한 리브 연통 개구(161)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제 3 횡경사 리브부(158c)와 제 4 횡경사 리브부(158d)에 의해서 구분된 공간은 리브 연통 개구(161)를 통하여 서로 연통한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잉크실(152)의 저면(152a)에는, 도출 유로(138)와 연통하는 유로 개구(유로 개구부)(162)가 형성되어 있다. 즉, 횡경사 리브부(158a 내지 158d)는 유로 개구(162) 및 플로트 밸브(131)보다 상측 위치에 위치하며, 유로 개구(162) 및 플로트 밸브(131)를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마련된다. 또한, 전후 방향(Y)에 있어서의 유로 개구(162)와 칸막이 벽(150)과의 거리(L1)는 상하 방향(Z)에 있어서의 대향면(153)과 벽 연통 개구(155)와의 거리(L2)보다 짧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거리(L2)는 대향면(153)에 형성된 오목부(154)의 상단과 벽 연통 개구(155)의 하단과의 거리에 상당한다. 즉, 유로 개구(162)는 제 2 잉크실(152)의 저면(152a)에 있어서 칸막이 벽(150)의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출 유로(138)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출 유로(138)는, 제 2 잉크실(152)의 저면(152a)을 따르도록, 제 2 잉크실(152)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출 유로(138)는, 액체 수용체(33)의 형상에 맞추어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잉크가 흐르는 방향(이하, "유동 방향"이라 함)을 변화시키면서 잉크를 유동시키는 굴곡 유로부(163)를 갖는다. 또한, 도출 유로(138)는 유로 개구(162)와 굴곡 유로부(163)를 연결하는 연결 유로부(164)와, 굴곡 유로부(163)와 도출구(69)를 연결하는 경사 유로부(165)를 갖는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유로부(164)는 하측으로부터의 저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필터(166)를 구비한다. 즉, 연결 유로부(164)는 필터(166)에 의해서 유로 개구(162)측의 제 1 연결 유로부(164a)와, 필터(166)보다 플로트 밸브(131)측의 제 2 연결 유로부(164b)로 구분된다. 또한, 연결 유로부(164)는, 플로트 밸브(131)보다 도출구(69)측에 있어서, 굴곡 유로부(163)와 연결되는 제 3 연결 유로부(164c)를 구비한다.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굴곡 유로부(163)의 단면적은 제 3 연결 유로부(164c)의 단면적보다 크다. 또한, 도출 유로(138)는 유동 방향에 걸쳐서 좌우 방향(X)의 폭이 대략 동일하다. 그 때문에, 굴곡 유로부(163)(도 20b에서는 제 1 세로 유로부(163a))의 유동 방향과 직교하는 동시에 좌우 방향(X)과도 직교하는 방향(제 1 세로 유로부(163a)에서는 전후 방향(Y))의 폭(L3)은, 제 3 연결 유로부(164c)의 유동 방향과 직교하는 동시에 좌우 방향(X)과도 직교하는 방향(상하 방향(Z))의 폭(L4)보다 넓다. 또한, 경사 유로부(165)의 단면적은 굴곡 유로부(163)의 단면적과 대략 동일하다. 따라서, 경사 유로부(165)의 유동 방향과 직교하는 동시에 좌우 방향(X)과도 직교하는 방향의 폭(L5)(도 14 참조)은 제 3 연결 유로부(164c)의 폭(L4)보다 넓다.
도 18 및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체 케이스(130)의 상하 방향(Z)의 높이가 큰 전방측 근방의 하면(40)에는, 잉크실(137)측이 되는 상측으로 오목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단차부(16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차부(167)에는, 제 1 내지 제 3 유로 형성 오목부(168a 내지 168c)가 잉크실(137)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 1 유로 형성 오목부(168a)에는, 제 2 잉크실(152)의 저면(152a)에 관통 형성되며 일단이 유로 개구(162)가 되는 관통 구멍(162a)의 타단측이 개구한다. 또한, 제 1 유로 형성 오목부(168a)는 필터(166)가 접착되는 저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환상 볼록부(169)의 내측이 외측에 비해 깊어지도록 상이한 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유로 형성 오목부(168a 내지 168c)의 주연부에는, 유로 볼록부(170)가 형성되어 있다. 즉, 관통 구멍(162a) 및 환상 볼록부(169)는 유로 볼록부(170)에 둘러싸여 있다.
따라서, 환상 볼록부(169)에 필터(166)가 접착되는 동시에, 유로 볼록부(170)에 유로 형성 필름(171)이 접착(예를 들면 열용착)되는 것에 의해, 연결 유로부(164)가 형성된다. 즉, 유로 볼록부(170)에 유로 형성 필름(171)이 접착되면, 제 1 유로 형성 오목부(168a)는 제 1 연결 유로부(164a) 및 제 2 연결 유로부(164b)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 2 유로 형성 오목부(168b)는 제 2 연결 유로부(164b)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 3 유로 형성 오목부(168c)는 제 3 연결 유로부(164c)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단차부(167)에는, 유로 형성 필름(171)을 보호하는 대략 직사각형 판형상의 보호 부재(172)가 장착된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굴곡 유로부(163)는 상하 방향(Z)을 따라서 연장되는 적어도 1개(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세로 유로부(163a, 163b)와, 세로 유로부(163a, 163b)의 양단에 형성되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굴곡부(173a 내지 173d)와, 전후 방향(Y)을 따라서 연장되는 가로 유로부(163c)를 구비한다.
즉, 제 1 굴곡부(173a)는, 가장 하측에 위치하며 제 3 연결 유로부(164c)의 후단과 제 1 세로 유로부(163a)의 하단을 연결한다. 제 2 굴곡부(173b)는, 제 1 굴곡부(173a)보다 상측에 위치하며, 제 1 세로 유로부(163a)의 상단과 가로 유로부(163c)의 전단을 연결한다. 제 3 굴곡부(173c)는 가로 유로부(163c)의 후단과 제 2 세로 유로부(163b)의 하단을 연결한다. 제 4 굴곡부(173d)는 제 2 세로 유로부(163b)의 상단과 경사 유로부(165)의 전단을 연결한다. 따라서, 굴곡 유로부(163)는 경사 유로부(165)와는 잉크를 유동시키는 유동 방향이 상이하며, 경사 유로부(165)에 대하여 절곡되어 있다.
경사 유로부(165)는, 제 4 굴곡부(173d)와 연속한 유로 개구(162)측이 되는 전방측의 단부보다 도출구(69)측이 되는 후측의 단부가 상방(반중력 방향)에 위치하도록, 전후 방향(수평 방향)(Y)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경사 유로부(165)는 유로 개구(162)측으로부터 도출구(69)측을 향하여 연속한 오름 경사면이 된다. 그리고, 경사 유로부(165)는 후단측을 상방으로 굴곡시켜 도출구(69)와 연통한다.
또한, 도출 유로(138)는 제 2 잉크실(152)의 중력 방향측에 위치하며, 저면(152a)을 따르도록 연장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연결 유로부(164) 및 가로 유로부(163c)와 대응하는 부분의 제 2 잉크실(152)의 저면(152a)은 대략 수평이 되는데 반하여, 경사 유로부(165)와 대응하는 부분의 제 2 잉크실(152)의 저면(152a)은 유로 개구(162)측을 향하는 하향 경사면이 된다.
다음에, 플로트 밸브(131)에 대해 설명한다.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로트 밸브(131)는 잉크실(137) 내에 배치되는 플로트 부재(181)와, 플로트 부재(181)의 하방에 배치되는 밸브체(182)와, 플로트 부재(181)의 상측에 배치되는 규제 부재의 일 예로서의 규제 케이스(183)와, 플로트 부재(181)와 규제 케이스(183)의 사이에 배치되는 부세 부재의 일 예로서의 코일 스프링(184)을 갖는다. 또한, 도 22에는 잉크실(137) 내로의 플로트 밸브(131)의 장착 구조를 간략화하여 도시하기 위해서, 잉크실(137)이 형성되는 수용체 케이스(130)의 일부를 플로트 밸브(131)를 구성하는 상기의 각 구성 부재와 함께 도시하고 있다.
이하, 플로트 밸브(131)의 각 구성 부재에 대하여 각각 설명한다.
우선, 플로트 부재(181)는 내측이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공간 영역으로 구획된 직사각형의 프레임체(185)를 갖고 있다. 프레임체(185)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Y)을 따른 좌우 양측면의 개구부(185a)에는, 예를 들면 투명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는 박막 부재(186)가 접착된다. 그 때문에, 플로트 부재(181)에는, 프레임체(185)의 개구부(185a)가 박막 부재(186)로 막히는 것에 의해,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밀폐된 기체실(187)이 박막 부재(186)의 내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이들 기체실(187)이 생성하는 부력에 의해, 플로트 부재(181)는 잉크실(137) 내의 잉크의 잔량 변화에 따라서 상하 방향(Z)으로 부유이동 가능하다.
그 한편, 프레임체(185)에 있어서의 개구부(185a)가 형성되지 않은 좌우 방향(X)을 따르는 전후 양측면의 하부에는, 전후 방향(Y)으로 돌출되는 볼록부(18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체(185)에 있어서의 하면의 중앙 위치에서는 대략 원기둥 형상을 이루는 가압부(189)가 연직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체(185)에 있어서의 상면의 중앙 위치로부터는 하면의 가압부(189)와 동일한 축의 배치가 되는 봉 형상부(190)가 연직 상방을 향하여 길게 연장되어 있도록 돌출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체(185)의 상면에 있어서, 봉 형상부(190)의 주위에는, 봉 형상부(190)를 중심으로 한 상방으로부터의 평면에서 보아 십자 형상을 이루는 판형상부(191)가 프레임체(185)의 상면으로부터의 돌출 길이가 봉 형상부(190)의 돌출 길이의 대략 반 정도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판형상부(191)의 단면 십자 형상의 크기는 코일 스프링(184)의 외경 치수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단면 십자 형상을 이루는 판형상부(191)의 상단부에 있어서의 봉 형상부(190)로부터의 방사 방향의 선단연에는, 코일 스프링(184)을 탑재하여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시트(191a)가 직사각형 형상으로 노치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밸브체(182)는 가요성을 갖는 엘라스토머 등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원판형상의 다이아프램 밸브이며, 도출 유로(138)에 있어서의 제 2 연결 유로부(164b)와 제 3 연결 유로부(164c)와의 경계에 위치하도록 제 2 잉크실(152)의 저면(152a)에 개구 형성된 밸브 구멍(192)(도 19 등 참조)의 상방 위치에 배치된다. 즉, 제 2 잉크실(152)의 저면(152a)에는 밸브 구멍(192)을 둘러싸는 원환상의 장착 시트(193)가 형성되는 동시에, 이 장착 시트(193)에 대해서는 동일하게 원환상의 장착구(194)가 상방으로부터 고정되는 구성이 되며, 밸브체(182)는 이러한 장착 시트(193)와 장착구(194)와의 사이에 협지된 상태에서 밸브 구멍(192)의 상방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장착 시트(193)의 내측에는, 상술한 코일 스프링(184)이 제 1 부세력을 갖는 제 1 부세 부재일 때, 제 2 부세력을 갖는 제 2 부세 부재로서 기능하는 코일 스프링(195)이 밸브체(182)에 하방으로부터 항상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코일 스프링(195)에 의해 밸브체(182)는 밸브 구멍(192)으로부터 상방으로 멀어져 도출 유로(138)를 개방하는 개방 밸브 위치(도 19 및 도 28에 도시하는 위치)를 향하여 항상 부세되어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184)의 제 1 부세력과, 코일 스프링(195)의 제 2 부세력과의 힘 관계에 대해서는, 코일 스프링(184)의 제 1 부세력이 코일 스프링(195)의 제 2 부세력보다 크다는 전제에서, 다음과 같은 힘 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즉, 잉크실(137) 내의 잉크의 잔량이, 예를 들면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리 설정한 근소 잔량인 문턱값 잔량 미만이 된 경우에는, 그 시점의 잔존 잉크 중에 부유하는 플로트 부재(181)의 부력과 코일 스프링(195)의 제 2 부세력의 합이 코일 스프링(184)의 제 1 부세력보다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 한편, 잉크실(137) 내의 잉크의 잔량이, 예를 들면 도 19 및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문턱값 잔량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는, 그 시점의 잔존 잉크 중에 부유하는 플로트 부재(181)의 부력과 코일 스프링(195)의 제 2 부세력과의 합이 코일 스프링(184)의 제 1 부세력 이상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규제 케이스(183)는 플로트 부재(181)를 상하 방향(Z)으로 꽂거나 뽑을 수 있도록 사각 환상을 이루는 환상 벽부(196) 및 그 환상 벽부(196)의 상방 개구를 폐색하는 상벽부(197)를 가지며 형성된 하방이 개구한 상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즉, 환상 벽부(196)는, 플로트 부재(181)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Z)의 부유이동 영역의 주위를, 그 플로트 부재(181)의 측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둘러싸는 것이 가능한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벽부(197)의 중앙 위치에는, 상방 개구가 폐색된 원통부(198)가 환상 벽부(196)의 내부 공간과 원통부(198)의 하방 개구를 통하여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통부(198)의 상벽부에는, 플로트 부재(18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봉 형상부(190)의 관통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관통 삽입 구멍(198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통부(198)의 상벽부에 있어서 관통 삽입 구멍(198a)을 중심으로 한 상방으로부터의 평면에서 보아 십자 형상이 되는 부위에는, 플로트 부재(181)측의 판형상부(191)에 노치되어 형성된 스프링 시트(191a)(seat)와 상하 방향(Z)과 대향하는 스프링 시트(도시하지 않음)가 하방을 향하여 팽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규제 케이스(183)의 환상 벽부(196)는, 전후 방향(Y)을 따르는 좌우의 각 측벽(196a)이 플로트 밸브(131)의 각 구성 부재를 조립한 상태에서 플로트 부재(181)의 박막 부재(186)와 대향하는 대향 부위가 된다. 그리고, 그 좌우의 각 측벽(196a)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Y)의 대략 중앙에는, 플로트 부재(181)가 부유이동하는 상하 방향(Z)을 따라서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노치부(199)가 각 측벽(196a)의 하단연으로부터 상방으로 노치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부(199)는, 그 전후 방향(Y)의 폭 치수가 상벽부(197)의 원통부(198)의 외경 치수보다 크며, 그 상하 방향(Z)의 높이 치수가 플로트 부재(181)에 있어서의 프레임체(185)의 상하 방향(Z)의 높이 치수보다 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규제 케이스(183)의 환상 벽부(196)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X)을 따르는 전후의 각 측벽(196b)의 하단부로부터는, 전후 방향(Y)으로 소정 폭을 갖는 띠 형상의 칼라부(200)가 각각 전방 및 후방을 향하여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칼라부(200)의 좌우 방향(X)의 대략 중앙이며 또한 전후 방향(Y)의 대략 중앙이 되는 위치로부터 각 측벽(196b)의 상하 방향(Z)의 대략 중앙보다 약간 하방이 되는 위치까지, 플로트 부재(181)측의 볼록부(188)를 관통 삽입 가능한 가이드 긴 구멍(201)이 상하 방향(Z)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규제 케이스(183)에는, 상벽부(197)의 좌우 양 장변의 각 2개소로부터 환상 벽부(196)의 좌우의 각 측벽(196a)의 상단부에 걸친 부위와, 환상 벽부(196)의 상단부의 네 모서리가 되는 부위에, 규제 케이스(183)의 내외를 연통시켜 잉크의 유통을 허용하는 통로 구멍(202)(passage hole)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코일 스프링(184)은 플로트 부재(181)와 규제 케이스(183)와의 사이에 상하 방향(Z)으로의 수축 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코일 스프링(184)은, 그 내측에 플로트 부재(181)의 봉 형상부(190)를 하방으로부터 관통 삽입시키는 것에 의해, 그 봉 형상부(190)의 주위의 판형상부(191)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 시트(191a) 상에 탑재된다. 그리고, 그 상태로부터 플로트 부재(181)가 규제 케이스(183)에 대해, 그 봉 형상부(190)를 원통부(198)의 관통 삽입 구멍(198a)에 관통 삽입시키면서, 그 프레임체(185)를 환상 벽부(196)에 하방으로부터 삽입시키면, 코일 스프링(184)은, 그 상단이 규제 케이스(183)의 원통부(198)의 상벽에서 하방으로 팽출 형성된 스프링 시트(도시하지 않음)에 접촉한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더욱 코일 스프링(184)이 수축하도록, 플로트 부재(181)를 규제 케이스(183) 내로 압입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플로트 부재(181)를 삽입시킨 규제 케이스(183)가 잉크실(137)의 제 2 잉크실(152)의 저면(152a)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플로트 밸브(131)는 수용체 케이스(130)에 수용된다.
그리고 다음에, 수용체 케이스(130)에 있어서의 플로트 밸브(131)의 장착 구조를 설명한다.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체 케이스(130)에 있어서의 제 2 잉크실(152)의 저면(152a)에 있어서, 밸브체(182)의 장착 시트(193)를 규제 케이스(183)의 전후 방향(Y)의 치수에 상당하는 거리를 두고 사이에 두는 전후의 두 위치에는, 규제 케이스(183)의 전후 각 칼라부(200)를 좌우 방향(X)을 따라서 슬라이드 삽입 가능하게 하는 단면 L자 형상의 걸림고정 레일부(20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걸림고정 레일부(203)와 장착 시트(193)와의 사이이며 수용체 케이스(130)의 안쪽이 되는 전후의 두 위치에는, 걸림고정 레일부(203)에 칼라부(200)를 삽입한 상태에서 수용체 케이스(130)의 안쪽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한 규제 케이스(183)의 전후 방향(Y)을 따르는 좌우 양 측벽(196a) 중 안쪽의 측벽(196a)과 접촉 가능한 위치결정부(20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잉크실(152)의 저면(152a)에 있어서, 안쪽의 위치결정부(204)와 좌우 방향(X)으로 대응하는 바로 앞측의 두 위치에는 안쪽의 측벽(196a)을 위치결정부(204)에 접촉시킨 규제 케이스(183)에 있어서의 바로 앞측의 측벽(196a)의 하단부에 수용체 케이스(130)의 개구측이 되는 바로 앞측으로부터 걸림고정 가능한 돌기부(20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205)는 수용체 케이스(130)의 안쪽 경사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구조체이며, 규제 케이스(183)가 칼라부(200)를 걸림고정 레일부(203)에 삽입시키고 안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 각 측벽(196a)의 하단연이 바로 앞측으로부터 안쪽으로 미끄럼 운동하면서 타고 넘을 수 있도록 경사진 자세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바로 앞측의 측벽(196a)이 타고 넘은 후에, 원래의 경사 자세로 탄성 복귀하고 해당 측벽(196a)의 앞측의 면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규제 케이스(183)가 수용체 케이스(130)의 안쪽으로부터 바로 앞측으로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액체 수용 용기(2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24a, 도 24b 및 도 24c에서는, 슬라이더(34) 및 액체 수용체(33)가 생략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수용체부(38)의 부분이 장착부(31) 내에 위치하며 프린터(11)에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된 액체 수용 용기(21)에 있어서, 슬라이드 손잡이(94)를 상방으로 변위시키면, 슬라이드 손잡이(94)는 슬라이더(34)의 오목부(95)와의 결합이 해소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슬라이더(34)를,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삽입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슬라이더(34)를 프린터(11)(장착부(31))로부터 뽑아낼 수 있다.
이 뽑음에 의해서, 슬라이더(34)는, 프린터(11) 내에 위치하는 부위, 즉 액체 수용체(33)의 상면(39) 중 접속부(43)를 포함하는 제 2 수용체부(38)에 있어서 프린터(11) 내에 위치하는 부위(제 2 부위)와 중첩되는 부위가 프린터(11) 외부로 이동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더(34)는, 도 23에 있어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34)의 삽입 방향 안쪽의 단부(34a)에 장착된 회로 기판 홀더(76)를, 프린터(11) 외부에 있어서 사용자가 슬라이더(34)의 홀더 장착부(86)로부터 빼낼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따라서, 액체 수용체(33)의 상면(39) 중, 접속부(43)를 포함하는 제 2 수용체부(38)에 있어서 프린터(11) 내에 위치하는 부위(제 2 부위)와 중첩되는 슬라이더(34)의 부위가, 프린터(11) 내와 프린터(11) 외부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이동 부위로서 기능한다.
그 결과, 사용자는, 프린터(11) 외부로 이동한 회로 기판 홀더(76)를 슬라이더(34)(홀더 장착부(86))로부터 빼내고 분리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회로 기판 홀더(76)에 이미 탑재된 회로 기판(75)이 존재하는 경우는, 액체 수용체(33)에 대하여 주입구(73)로부터 주입한 잉크에 관계하는 관계 정보(예를 들면, 잉크의 색상, 채도, 명도, 및 잉크의 점도, 혹은 잉크의 용질의 종류 등)를 기록한 회로 기판(75)과 교환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교환한 회로 기판(75)이 탑재된 회로 기판 홀더(76)를 다시 슬라이더(34)(홀더 장착부(86))에 삽입하여 장착한 후, 액체 수용체(33)의 상면(39)을 따라서 슬라이더(34)를 프린터(11)(장착부(31)) 내로 삽입한다.
이 슬라이더(34)의 삽입에 의해서, 회로 기판 홀더(76)는 삽입 방향에 대해 경사지며 탑재된 회로 기판(75)의 단자(75a) 또는 접촉부(75b)가 공급부(32)에 구비된 통신부(77)의 전기 단자(78)와 접촉하며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회로 기판(75)에 기록된 관계 정보가 프린터(11)측에 전달된다. 이 접속 시에, 회로 기판(75)이 전기 단자(78)에 대하여 위치결정된다. 이 회로 기판(75)에 기록된 관계 정보가 프린터(11)측에 전달되어 있는(판독되어 있음) 상태에서, 회로 기판 홀더(76)는 프린터(11) 내부에 위치하며, 슬라이더(34)의 일부(제 1 부위)는 프린터(11)의 외부에 위치한다. 환언하면, 회로 기판(75)에 기록된 관계 정보가 프린터(11)측에 판독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손이 닿을 수 없는 위치에 회로 기판(75) 및 회로 기판 홀더(76)는 위치하고 있다.
즉, 도 2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급부(32)에 마련된 통신부(77)에는, 회로 기판(75)에 형성된 복수의 단자(접촉부(75b) 포함함)(75a)에 접촉하는 전기 단자(78)를 구비하는 단자부(114)와, 짧은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짧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동시에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 형상부(115)가 마련되어 있다. 단자부(114)는 회로 기판 홀더(76)의 오목부(결합부)(97)와 결합하며, 돌출 형상부(115)는 회로 기판 홀더(76)의 홈 형상부(107)와 결합한다. 이 오목부(97)는 회로 기판 홀더(76)를 구성하는 벽의 면이며, 회로 기판(75)측의 면(단자(75a)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 도 2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 홀더(76)는, 슬라이더(34)가 장착부(31)에 삽입될 때에, 슬라이더(34)로부터 멀어지지 않도록 상부 프레임(35)에 고정된 판 스프링(79)에 의해서 그 돌기 부위(80)가 하방으로 가압되면서 통신부(77)를 향하여 이동한다. 이 이동에 있어서, 회로 기판 홀더(76)는, 통신부(77)의 돌출 형상부(115)가, 면취부(106)에 인도되어 홈 형상부(107)에 삽입되어 결합하며, 회로 기판 홀더(76)는 통신부(77)에 대하여 위치결정된다. 이 점에서, 회로 기판 홀더(76)의 홈 형상부(107)는 프린터(11)에 있어서 위치결정되는 위치결정 형상부의 일 예로서 기능한다.
그 결과, 도 24a 및 도 2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 홀더(76)에 탑재된 회로 기판(75)은 통신부(77)의 단자부(114)에 대해서 위치결정되며, 단자부(114)에 구비된 복수의 전기 단자(78)가 회로 기판(75)의 복수(여기에서는 9개)의 단자(접촉부(75b) 포함함)(75a)와 적절히 접촉한다. 또한, 이 접촉 시에, 회로 기판(75)의 단자(접촉부(75b) 포함함)(75a)가 삽입 방향 하향 경사의 경사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전기 단자(78)는 단자(접촉부(75b) 포함함)(75a)의 표면을 문지르면서 접촉한다.
다음에, 액체 수용 용기(21)에 있어서의 잉크 주입에 따른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그런데, 액체 수용체(33)에 잉크를 주입할 때,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커버(74)를 개방 덮개 위치로 변위시키는 동시에,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커버(74)의 이면(74a)에 피복체(120)를 탑재하여 주입구(73)를 노출시킨다.
이 때, 사용자는, 피복체(120)를 주입구(73)로부터 분리한 후에, 피복 부재(121)를 액체 수용면(116)에 대해 고정부(123)를 회전 중심으로 임의의 각도(본 실시형태에서는 180도)만큼 회전시키고, 개폐 커버(74)의 이면(74a)에 피복체(120)를 탑재시킨다. 또한, 도 9b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개폐 커버(74)의 이면(74a)은 액체 수용면(116)보다 상하 방향(Z)에서 높은 위치에 위치하므로, 피복체(120)를 개폐 커버(74)의 이면(74a)에 탑재한 상태에서는, 연결부(125)는 약간 신장된 상태이다. 그러면, 연결부(125)의 탄성 변형(신장)을 따른 복원력이, 피복체(120)를 개폐 커버(74)로부터 전방을 향하도록 작용한다. 이 점,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복체(120)는 개폐 커버(74)의 후크 부위(110)와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피복체(120)가 개폐 커버(74)로부터 전락(falling out) 등을 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개방 덮개 위치에 위치하는 개폐 커버(74)의 이면(74a)은, 후크 부위(110)가 형성되는 측이 가장 낮아지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잉크가 부착된 피복체(120)를 개폐 커버(74)의 이면(74a)에 탑재했다고 하여도, 해당 잉크가 개폐 커버(74)의 전면에 (특히 후방의 면 영역에) 퍼져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그리고,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합시킨 필름 등의 연부(128)를 용착하는 동시에 주둥이(127)(spout)를 형성한 액체 주입원(126)으로부터 액체 수용체(33)에 잉크가 주입된다. 잉크를 주입할 때, 액체 주입원(126)의 주둥이(127) 근방에 있어서의 연부(128)를, 액체 수용체(33)의 주벽부(117)에 형성된 노치 홈(118)에 넣어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액체 주입원(126)을 액체 수용체(33)에 대하여 위치결정시킨다. 그리고,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주입원(126) 및 액체 수용체(33)가 접촉하는 점을 경동 중심에, 액체 주입원(126)을 해당 액체 주입원(126)의 주둥이(127)가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함으로써, 액체 주입원(126) 내의 잉크가 액체 수용체(33)의 주입구(73)를 통하여 제 1 잉크실(151) 내에 주입된다.
이 때, 사용자가 힘차게 액체 주입원(126)을 경사지게 해 버리면, 액체 주입원(126)의 주둥이(127)로부터 유출되는 잉크가 주입구(73)로부터 벗어나 액체 수용면(116)에 있어서의 주입구(73)의 주위에 쏟아져 버리는 일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액체 수용면(116)의 주위를 둘러싸는 주벽부(117)가 액체 수용면(116)에 쏟아진 잉크를 차단하는 것에 의해, 해당 잉크가 액체 수용면(116)으로부터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이 억제된다. 그리고, 액체 수용면(116)은 좌우 방향(X) 및 전후 방향(Y)에 있어서, 각각 주입구(73)를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액체 수용면(116)에 부착된 잉크는 그 경사를 따라서 주입구(73)까지 안내된다.
잉크의 주입이 종료되면,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커버(74)의 이면(74a)에 탑재된 피복체(120)로 액체 수용체(33)의 주입구(73)를 피복시키는 동시에,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커버(74)를 폐쇄 덮개 위치로 변위시켜서, 주입 작업이 종료가 된다.
또한,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액체 수용 용기(21)를 병설시켜 사용하는 상태에서, 1개의 액체 수용 용기(21)(예를 들면 좌측 단부)에 있어서의 피복 부재(121)의 고정부(123)(고정 구멍(124))로부터 주입구(73)까지의 거리(L6)는, 1개의 액체 수용 용기(21)에 있어서의 고정부(123)로부터, 해당 1개의 액체 수용 용기(21)와 병설되는 다른 액체 수용 용기(21)에 있어서의 주입구(73)까지의 거리(L7)보다 짧게 되어 있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측 단부에 위치하는 액체 수용체(33)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피복 부재(121)의 피복체(120)를, 고정부(123)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병설되는 액체 수용체(33)의 주입구(73)를 향했다고 하여도(도 27에서는 이점쇄선으로 도시), 해당 피복체(120)는 해당 주입구(73)를 피복할 수 없다. 또한, 거리(L6, L7)는,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고정부(123)(고정 구멍(124))와 주입구(73)와의 중심 위치를 연결한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주입구(73)로부터 잉크를 주입할 때의 액체 수용체(33) 내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그런데,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입구(73)로부터 잉크가 주입되면, 제 1 잉크실(151)의 액면이 상승하는 동시에, 벽 연통 개구(155)를 통하여 제 2 잉크실(152)에 잉크가 유입된다. 또한, 제 1 잉크실(151)에 형성된 오목부(154)는 주입구(73)와 전후 방향(Y)에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오목부(154)에 이물이 퇴적되어 있던 경우라도, 이물의 떠오름은 억제된다.
또한, 제 1 잉크실(151)과 제 2 잉크실(152)은 벽 통기 개구(156)를 통하여 연통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1 잉크실(151)과 제 2 잉크실(152) 내의 압력이 대략 동일하게 되기 때문에, 제 1 잉크실(151)과 제 2 잉크실(152)에 있어서의 잉크의 액면은 상하 방향(Z)에 있어서 서로 대략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상승한다.
제 3 횡경사 리브부(158c)와 제 4 횡경사 리브부(158d)에는, 양단에 리브 연통 개구(16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잉크는 리브 연통 개구(161)를 통과하고, 잉크의 액면은 제 3 횡경사 리브부(158c) 및 제 4 횡경사 리브부(158d)의 양측에 대략 동일한 위치에 위치한다. 또한, 잉크는, 제 1 횡경사 리브부(158a)와 제 2 횡경사 리브부(158b)와 필름(133)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통과하며, 잉크의 액면이 제 1 횡경사 리브부(158a) 및 제 2 횡경사 리브부(158b)보다 상방 위치까지 이동한다. 그리고, 더욱 잉크의 액면이 상승하면, 경사진 저면(152a)을 올라가도록 잉크가 퍼지는 동시에, 제 4 내지 제 9 교차 리브부(157d 내지 157i)의 리브 연통 개구(161)를 잉크가 통과하여 액면이 상승한다.
또한, 교차 리브부(157a 내지 157i)에는, 각각 리브 환기 개구(160)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2 잉크실(152)에 있어서 교차 리브부(157a 내지 157i)의 양측의 공간의 압력은 대략 동일하게 된다. 그 때문에, 제 2 잉크실(152)에 있어서의 잉크의 액면도 상하 방향(Z)에서 서로 대략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상승한다.
그런데, 주입구(73)를 갖는 액체 수용체(33)는, 티끌이나 먼지 등의 이물이 주입구(73)로부터 혼입되어, 이물 자체가 퇴적되거나, 기액 계면에서 잉크가 건조되는 등 잉크 그 자체가 이물이 되거나 하는 일이 있다. 또한, 제 1 잉크실(151)에서는, 이물이 대향면(153) 및 오목부(154)에 퇴적된다. 그리고, 벽 연통 개구(155)는 오목부(154)로부터 멀어져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잉크실(152)로의 잉크의 유입에 비하여 인입이 억제된다. 즉, 주입구(73)로부터 들어간 이물 중, 특히 사이즈가 큰 이물이나 중량이 큰 이물은 제 1 잉크실(151)에 체류하기 쉽다.
또한, 제 2 잉크실(152)에서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전방측의 영역에서는 횡경사 리브부(158a 내지 158d)에 이물이 퇴적되는 동시에, 후방측의 영역에서는 저면(152a)에 이물이 퇴적된다. 그리고, 이물이 퇴적되는 횡경사 리브부(158a 내지 158d) 및 저면(152a)은 전후 방향(Y)과 교차하도록 경사져 있기 때문에, 도출구(69)로부터 잉크가 도출되어 잉크의 액면이 저하되면, 액면의 이동에 따라서 퇴적된 이물이 한 방향(내려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주입구(73)로부터 잉크를 주입하면, 잉크의 주입에 따라서 기포가 인입되는 일이 있다. 그리고, 기포가 제 2 잉크실(152)에 침입하거나 용해한 기체가 제 2 잉크실(152)에서 기포가 되거나 하면, 기포는 상방으로 이동하며, 횡경사 리브부(158a 내지 158d)에 도달한다. 이 점, 본 실시형태에서는, 횡경사 리브부(158a 내지 158d)는 전후 방향(Y)에 대하여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기포는 경사진 횡경사 리브부(158a 내지 158d)를 따라서 이동하며 액면으로 유도된다.
또한, 제 2 잉크실(152)의 잉크는 유로 개구(162)로부터 도출 유로(138)를 유동하며 도출구(69)로부터 도출된다. 즉, 우선 유로 개구(162)로부터 도출된 잉크는 필터(166)에 의해서 이물이나 기포가 포획된다. 그 후, 잉크는 제 2 연결 유로부(164b) 및 제 3 연결 유로부(164c)를 통하여 굴곡 유로부(163)로 유동한다.
또한, 굴곡 유로부(163)는 잉크의 유동 방향이 변화되기 때문에, 잉크 중에 용해된 기체가 기포로 성장하기 쉽다. 그 점,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3 연결 유로부(164c)의 단면적에 비해 굴곡 유로부(163)의 단면적이 크기 때문에, 발생한 기포는 잉크의 흐름에 따라서 경사 유로부(165)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경사 유로부(165)는 단면적이 제 3 연결 유로부(164c)의 단면적보다 크고, 또한 도출구(69)측을 향하여 오름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굴곡 유로부(163)에서 발생한 기포는, 경사 유로부(165)를 타고서 도출구(69)측으로 이동하며, 도출구(69)로부터 잉크와 함께 도출된다.
다음에, 플로트 밸브(13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그런데, 도 19에 도시하는 상태는, 잉크실(137) 내의 잉크의 액면 라인(IL)이 문턱값 잔량 시 라인(EL)보다 상당 상방인 상태, 즉 잉크실(137) 내의 잉크의 잔량은 액체 분사 헤드(24)로부터 용지(S)에 대하여 잉크를 분사하여 인쇄를 속행하는데 필요 충분한 상태인 것을 도시하고 있다. 그 때문에, 이 도 19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코일 스프링(195)의 제 2 부세력과 플로트 부재(181)의 부력의 합이 코일 스프링(184)의 제 1 부세력 이상이 되기 때문에, 플로트 부재(181)는 코일 스프링(184)의 제 1 부세력으로 하방으로 가압되며 밸브체(182)를 밸브 구멍(192)에 접촉시키는 일도 없다.
즉, 이러한 경우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로트 부재(181)의 각 기체실(187)이 생성하는 부력의 합이 코일 스프링(184)의 제 1 부세력보다 뛰어난 상태가 되며, 플로트 부재(181)는 밸브체(182)로부터 상방으로 멀어진 위치에 부유한 상태가 된다. 그 한편으로, 밸브체(182)는, 플로트 부재(181)를 통하여 코일 스프링(184)으로부터 하방으로 가압되는 일도 없으므로, 코일 스프링(195)으로부터의 상방으로의 제 2 부세력만을 받고, 밸브 구멍(192)으로부터 상방으로 멀어져 도출 유로(138)를 개방하는 개방 밸브 위치에 위치한다.
그리고, 이 도 19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인쇄가 속행되는 것에 의해, 잉크실(137) 내의 잉크의 잔량이 점차 감소하여, 잉크의 액면 라인(IL)이 문턱값 잔량시 라인(EL)에 가까워지면,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로트 부재(181)의 부력과 코일 스프링(195)의 제 2 부세력의 합과, 코일 스프링(184)의 제 1 부세력이 서로 균형된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플로트 부재(181)는 코일 스프링(184)의 제 1 부세력으로 하방으로 가압되며, 그 하면의 가압부(189)가 개방 밸브 위치에 있는 밸브체(182)에 상방으로부터 접촉한 상태가 된다. 또한, 이 때, 플로트 부재(181)는 밸브체(182)에 상방으로부터 접촉하지만, 그 밸브체(182)를 하방의 폐쇄 밸브 위치를 향하여 변위시키기까지는 아직 도달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 도 28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인쇄가 더욱 속행되는 것에 의해, 잉크실(137) 내의 잉크의 잔량이 더욱 감소하며, 잉크의 액면 라인(IL)이 문턱값 잔량시 라인(EL)보다 하방이 되면,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로트 부재(181)의 부력과 코일 스프링(195)의 제 2 부세력의 합이 코일 스프링(184)의 제 1 부세력보다 작아진다. 그 때문에, 플로트 부재(181)는 코일 스프링(184)의 제 1 부세력으로 하방으로 더욱 가압되며, 그 하면의 가압부(189)에서 개방 밸브 위치에 있는 밸브체(182)를 하방을 향하여 가압한다. 그 결과, 밸브체(182)는 밸브 구멍(192)을 폐색하는 폐쇄 밸브 위치로 변위된다.
그러면, 밸브 구멍(192)이 막히게 되므로 도출 유로(138)가 폐색되며, 밸브 구멍(192)보다 하류측에는 잉크가 유동하지 않게 된다. 그 때문에, 도출 유로(138)보다 하류측에 배설된 액체실(53) 내에 잉크가 유입하지 않게 되는 결과, 잔량 검출봉(45)이 이동하여 센서(68)의 발광부와 수광부와의 사이의 빛을 차단한 상태가 유지되므로, 잉크의 잔량이 문턱값 잔량 미만이 되었던 것이 센서(68)에 의해서 검출된다. 그리고, 그 검출 결과를 받고, 주입구(73)로부터 새롭게 잉크가 잉크실(137) 내에 주입되면, 다시 잉크실(137) 내의 잉크의 액면 라인(IL)이 문턱값 잔량시 라인(EL)보다 상방이 되기 때문에, 플로트 부재(181)는 부력이 코일 스프링(184)의 제 1 부세력보다 뛰어나게 되어, 밸브체(182)로부터 상방으로 멀어지도록 부유이동된다.
이 때, 코일 스프링(184)의 제 1 부세력에 의해 하방으로 부세된 플로트 부재(181)의 가압부(189)에 하방으로 가압되며, 밸브 구멍(192)을 막는 폐쇄 밸브 위치에 있던 밸브체(182)는, 그 폐쇄 밸브 위치 상태가 길었던 경우, 플로트 부재(181)에 의한 상방으로부터의 가압이 해소된 후에도, 밸브 구멍(192)에 대하여 부착된 상태가 되어 버리는 일이 있다. 이 점, 본 실시형태의 경우는, 코일 스프링(195)의 제 2 부세력이 폐쇄 밸브 위치에 있는 밸브체(182)를 상방의 개방 밸브 위치를 향하여 부세하기 때문에, 밸브체(182)는 비록 밸브 구멍(192)에 일시적으로 부착되어도, 밸브 구멍(192)으로부터 분리되어, 그와 같은 부착된 상태에서 해소된다.
또한, 잉크실(137) 내에 주입구(73)로부터 잉크를 힘차게 주입하면, 그 주입시의 잉크실(137) 내에의 잉크의 유입 압력도 강해질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플로트 밸브(131)에 있어서 프레임체(185)의 개구부(185a)를 막아서 기체실(187)을 형성하는 박막 부재(186)가, 그러한 강한 유입 압력을 직접 받으면 손상되는 등 데미지를 입을 우려가 있다. 이 점, 본 실시형태의 경우는, 주입구(73)가 형성된 제 1 잉크실(151)과는 칸막이 벽(150)으로 구획된 제 2 잉크실(152) 내에 플로트 밸브(131)는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플로트 밸브(131)에 대하여 주입구(73)로부터 주입된 잉크가 직접적으로 상방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이 회피된다.
또한, 칸막이 벽(150)에 형성된 벽 연통 개구(155)를 통하여, 제 1 잉크실(151)측으로부터 제 2 잉크실(152)측에 잉크가 힘차게 유입된 경우에도, 그 유입 압력으로 플로트 밸브(131)에 있어서의 플로트 부재(181)의 박막 부재(186)가 데미지를 받을 우려가 있다. 이 점, 본 실시형태에서는, 벽 연통 개구(155)를 통한 제 2 잉크실(152) 내에의 잉크의 유입 방향이 되는 전후 방향(Y)에 대하여 비대향 상태가 되도록, 즉 박막 부재(186)가 전후 방향(Y)을 따른 상태가 되도록 플로트 부재(181)가 제 2 잉크실(152) 내에 배치된다. 그 때문에, 벽 연통 개구(155)로부터 제 2 잉크실(152) 내에 유입하는 잉크의 유입 압력은, 플로트 부재(181)의 박막 부재(186)에 대해, 그 막면을 따라서 전후 방향(Y)으로 흐르도록 작용한다.
덧붙여 말하면, 경년 열화에 의해 플로트 부재(181)에 있어서의 박막 부재(186)가 부분적으로 손상되는 등으로 해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기체실(187) 중 밀폐 구조를 없애 버리기도 할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경우에는, 플로트 부재(181) 전체의 부력이 작아지기 때문에, 플로트 밸브(131)의 밸브 기능에 지장이 생길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체실(187)이 하나만 되었을 경우에도, 그 1개의 기체실(187)이 생성하는 부력과 코일 스프링(195)의 제 2 부세력의 합이 잉크의 잔량이 문턱값 잔량 이상이 되었을 때에는, 코일 스프링(184)의 제 1 부세력 이상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기체실(187)이 1개로 되었을 경우에도, 플로트 밸브(131)는 지장없이 밸브 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잉크실(137) 내의 잉크의 잔량 변화에 따라서 플로트 부재(181)가 상하 방향(Z)으로 부유이동할 때, 플로트 부재(181)는, 봉 형상부(190)가 원통부(198)의 관통 삽입 구멍(198a)에 관통 삽입하는 것에 의해 전후 방향(Y) 및 좌우 방향(X)의 위치 맞춤이 된다. 그리고, 프레임체(185)의 전후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볼록부(188)가 규제 케이스(183)의 가이드 긴 구멍(201)에 삽입되기 때문에, 플로트 부재(181)는 봉 형상부(190)를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는 것이 규제된다. 또한, 코일 스프링(184)을 탑재된 상태의 플로트 부재(181)는, 규제 케이스(183)에 있어서의 원통부(198)의 상벽에 의해, 밸브체(182)의 개방 밸브 위치보다 더욱 상방의 위치로의 부유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플로트 부재(181)가 잉크실(137) 내에 있어서 전후 방향(Y) 및 좌우 방향(X)으로 부유이동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박막 부재(186)가 규제 케이스(183)의 대향하는 측벽(196a)에 면접촉하는 것이, 십자 형상의 판형상부(191)와 원통부(198)의 내측면이 수평 방향에서 서로 접촉하는 것에 의해 규제된다. 즉, 플로트 부재(181)는, 원통부(198)의 관통 삽입 구멍(198a)에 봉 형상부(190)가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판형상부(191)의 방사 방향의 선단연과 원통부(198)의 내측면과의 간격 거리가, 박막 부재(186)와 규제 케이스(183)의 좌우의 각 측벽(196a)의 내면과의 간격 거리보다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플로트 부재(181)는, 그 박막 부재(186)가 규제 케이스(183)에 있어서의 박막 부재(186)와 대향하는 양 측벽(196a)과 면접촉하는 것이 규제된다. 이 점에서, 판형상부(191)는, 규제 케이스(183)와 플로트 부재(181)의 수평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대향면끼리의 면접촉을 규제하는 규제 접촉부의 일 예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좌우 방향(X)에서 서로 대향하는 규제 케이스(183)의 측벽(196a)과 플로트 부재(181)의 박막 부재(186)는 규제 케이스(183)의 측벽(196a)에 직사각형의 노치부(199)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박막 부재(186)가 규제 케이스(183)의 측벽(196a)의 내면에 미끄럼 운동하여 데미지를 받는 것도 억제된다.
또한 특히, 플로트 부재(181)가 규제 케이스(183) 내를 상방으로 부유이동하면, 규제 케이스(183) 내의 잉크가 플로트 부재(181)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가압되어 잉크압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 이 점,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와 같은 잉크압의 높아짐은, 규제 케이스(183)의 복수 개소에 형성된 통로 구멍(202) 및 노치부(199)로부터의 잉크의 유출이 허용되기 때문에, 잉크 압력이 불필요하게 높아지는 것이 억제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액체 수용 용기(21)는, 주입구(73)가 액체 수용체(33)에 있어서의 프린터(11) 외부에 위치하는 제 1 부위(제 1 수용체부(37))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액체 수용체(33)가 프린터(11)에 고정된 상태에서의 잉크의 주입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잉크의 주입 작업 시에 손상되거나 내부에 잔류하는 액체가 넘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수용체(33)에 있어서의 프린터(11) 내에 위치하는 제 2 부위(제 2 수용체부(38))에 의해서,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었을 때에, 액체 수용체(33)는 낙하하지 않고 프린터(11)에 보지될 확률이 높아진다.
(2) 액체 수용 용기(21)는,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된 액체 수용체(33)에 주입된 잉크의 관계 정보를 기록한 회로 기판(75)을, 그 액체 수용체(33)에 대하여 미끄럼 운동하는 슬라이더(34)를 이용하여 프린터(11) 외부로부터 프린터(11) 내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프린터(11) 내에 회로 기판(75)이 이동되었을 때에, 그 회로 기판(75)이 예를 들면 프린터(11) 내에 마련된 전기 단자(78) 등과 접촉하도록 설계해 두면, 액체 수용체(33)에 주입된 잉크의 관계 정보를 프린터(11)에 올바르게 전달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슬라이더(34)의 이동 부위에 구비된 회로 기판 홀더(76)에 대하여, 회로 기판(75)을 프린터(11) 외부에서 탑재한 후, 탑재한 회로 기판(75)을 슬라이더(34)의 미끄럼 운동에 의해서 프린터(11) 내에 용이하게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3) 슬라이더(34)에 의해서 주입구(73)를 덮으므로, 별도 주입구(73)용의 뚜껑을 마련하는 일이 없이 주입구(73)로의 이물의 진입을 억제할 수 있다.
(4) 슬라이더(34)가 주입구(73)를 덮는 상태에서, 그 슬라이더를 미끄럼 운동시키지 않아도, 구비된 개폐 커버(74)의 변위에 의해서 주입구(73)를 덮거나 노출시킬 수 있다.
(5) 개폐 커버(74)가 폐쇄 덮개 위치로부터 개방 덮개 위치로 변위한 상태에서, 개폐 커버(74)는 주입구(73)에 대하여 프린터(11)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주입구(73)에 잉크를 주입할 때의 작업에 대하여 개폐 커버(74)가 방해가 되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6) 개폐 커버(74)를 폐쇄 덮개 위치에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부주의하게 개폐 커버(74)가 개방되어 주입구(73)가 노출되지 않도록 억제할 수 있다.
(7) 회로 기판 홀더(76)가 프린터(11) 내에 있어서 이동 부위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결정되므로, 회로 기판 홀더(76)에 탑재되는 회로 기판(75)도 프린터(11) 내에서 정밀도 양호하게 위치결정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프린터(11)에 구비된 전기 단자(78)는 회로 기판(75)에 대하여 위치 차이가 억제된 상태로 접촉하므로, 회로 기판(75)에 기록된 관계 정보의 프린터(11)로의 전달이 높은 확률로 실행된다.
(8) 회로 기판 홀더(76)는, 슬라이더(34)의 미끄럼 운동 방향으로의 이동이 억제되므로, 프린터(11) 내에 있어서 슬라이더(34)의 미끄럼 운동 방향에 대하여 정밀도 양호하게 위치결정된다. 또한, 회로 기판 홀더(76)에 탑재되는 회로 기판(75)은 슬라이더(34)의 미끄럼 운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 상태가 되므로, 예를 들면 프린터(11)에 구비된 전기 단자(78)는 회로 기판(75)(단자(접촉부(75b) 포함함)(75a)) 상을 문지르면서 이동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전기적인 도통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9) 사용자가 주입구(73)를 통하여 액체 수용체(33)의 제 1 잉크실(151)(잉크실(137))에 잉크를 주입할 때에, 해당 잉크를 주입구(73)의 주위에 흘려 버려도, 그 잉크를 액체 수용면(116)에서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액체 수용면(116)은 주입구(73)를 향하여 하방(중력 방향)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액체 수용면(116)에서 받은 잉크는 경사진 액체 수용면(116) 상을 타고 주입구(73)까지 안내된다. 따라서, 액체 수용 용기(21)의 주입구(73)에 잉크를 주입할 때에, 주입구(73)의 주위에 잉크를 떨어뜨려 버렸을 경우에도, 그 잉크가 주입구(73)의 주위로부터 액체 수용 용기(21)의 외면을 타고 주위를 오염시켜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10) 액체 수용면(116)의 주위를 둘러싸는 주벽부(117)에 의해서, 액체 수용체(33)의 제 1 잉크실(151)에 잉크를 주입할 때에, 해당 잉크가 액체 수용면(116)의 외측으로 흘러 넘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11) 사용자는, 액체 주입원(126)으로부터 주입구(73)를 통하여 제 1 잉크실(151)에 잉크를 주입할 때에, 액체 주입원(126)을 주벽부(117)의 노치 홈(118)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액체 주입원(126)을 위치결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사용자는, 액체 주입원(126)으로부터 제 1 잉크실(151)에 잉크를 주입할 때에, 해당 잉크를 안정되게 주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2) 주입구(73)를 피복하는 피복체(120)는 연결부(125) 및 고정부(123)를 통하여 액체 수용체(33)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주입구(73)로부터 피복체(120)를 분리했을 때에, 해당 피복체(120)를 분실해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주입구(73)를 피복체(120)가 피복하는 것에 의해서, 제 1 잉크실(151)로부터 잉크가 증발하거나 제 1 잉크실(151)에 이물이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13) 잉크를 주입할 때에, 개방 덮개 위치에 위치한 개폐 커버(74)의 이면(74a)에 피복체(120)를 탑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하면, 사용자가 제 1 잉크실(151)에 잉크를 주입할 때에, 예를 들면 한 손으로 피복체(120)를 드는 것에 의해, 그 한 손을 사용 중인 상태에서 잉크의 주입 작업을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14) 개방 덮개 위치에 위치한 개폐 커버(74)에 피복체(120)를 탑재했을 때에, 해당 피복체(120)에 잉크가 부착되어 있었다고 하여도, 그 잉크가 개폐 커버(74)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폐부에 의해서 억제할 수 있다.
(15) 개방 덮개 위치에 위치한 개폐 커버(74)의 이면(74a)의 면 영역 내에 피복체(120)가 수납되도록 탑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탑재한 피복체(120)에 잉크가 부착되어 있었다고 하여도, 개폐 커버(74)의 이면(74a)이 주입구(73)를 향하여 하방(중력 방향)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그 잉크가 이면(74a)의 전역으로 퍼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16) 피복 부재의 연결부(125)가 굴곡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 수용면(116) 상에 있어서 수납성 양호하게 탑재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25)가 직선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피복체(120)를 주입구(73)로부터 분리했을 때에 해당 피복체(120)에 잉크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 그 잉크가 연결부(125)를 전달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17) 액체 수용면(116) 상에 있어서 주입구(73)보다 높은 장소에서 고정부(123)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잉크를 액체 수용체(33)에 주입할 때에, 액체 수용면(116) 상을 유동하는 잉크가 피복 부재(121)의 고정부(123)에 부착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예를 들면 고정부(123)에 잉크가 부착되어 고체화되는 것에 의해서, 고정부(123)의 고정 상태에 영향을 미쳐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18) 사용자가 복수의 액체 수용 용기(21)(잉크실(137))에 복수 종류의 잉크를 주입하려고 했을 때에, 1개의 액체 수용 용기(21)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피복체(120)가, 그 하나의 액체 수용 용기(21)와 병설되는 다른 액체 수용 용기(21)의 주입구(73)를 피복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1개의 액체 수용 용기(21)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피복체(120)로, 다른 액체 수용 용기(21)의 주입구(73)를 피복해 버림으로써, 그 이외의 액체 수용 용기(21)의 잉크실(137) 내에 피복체(120)를 통한 잉크가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19) 벽 연통 개구(155)는, 주입구(73)에 대하여 비틀림의 위치이며 또한 대향면(153)으로부터 멀어진 위치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주입구(73)로부터 주입된 잉크는 벽 연통 개구(155)를 통하여 제 2 잉크실(152)에 유입하는 것에 대하여, 주입구(73)로부터 혼입된 이물이나, 제 1 잉크실(151) 내에서 발생한 이물은 잉크에 비해 벽 연통 개구(155)를 통과하기 어렵다. 즉, 이물을 제 1 잉크실(151)에 체류시키기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 2 잉크실(152)에는, 이물의 혼입이 억제된 잉크가 유입된다. 따라서, 주입구(73)로부터 이물이 혼입된 경우나 내부에서 이물이 발생한 경우에도, 혼입된 이물이 도출구(69)로부터 도출되는 우려를 저감하면서 양호하게 잉크를 도출할 수 있다.
(20) 대향면(153)이 중력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15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잉크실(151)에 있어서 체류한 이물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침강한 경우에도, 그 이물을 오목부(154) 내에 퇴적시킬 수 있다. 즉, 오목부(154) 내에 이물이 퇴적된 상태에서 주입구(73)로부터 잉크가 주입되었을 경우에는, 오목부(154) 내로부터 퇴적된 이물이 오목부(154) 외부로 떠오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21) 혼입 또는 발생한 이물을 오목부(154)에 퇴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오목부(154)는 중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주입구(73)와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주입구(73)로부터 잉크가 주입되었을 때에 오목부(154)에 퇴적된 이물의 떠오름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22) 유로 개구(162)와 칸막이 벽(150)과의 거리(L1)를 오목부(154)의 상단과 벽 연통 개구(155)의 하단과의 거리(L2)보다 작게 하는 것에 의해, 유로 개구(162)를 칸막이 벽(150)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 1 잉크실(151)측으로부터 제 2 잉크실(152)측으로 잉크와 함께 벽 연통 개구(155)를 통과한 이물이 유로 개구(162) 내에 침강하여 도출 유로(138)에 인입할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23) 제 2 잉크실(152)에 이물이 인입된 경우나, 제 2 잉크실(152) 내에서 이물이 발생한 경우에도, 제 2 잉크실(152) 내에서 침강한 이물을 횡경사 리브부(158a 내지 158d)에 퇴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횡경사 리브부(158a 내지 158d)보다 중력 방향측에 위치하는 유로 개구(162)로부터 도출 유로(138)에 도출되는 잉크로의 이물의 혼입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24) 횡경사 리브부(158a 내지 158d)는, 상하 방향(Z) 및 전후 방향(Y)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기 때문에, 제 2 잉크실(152)에 수용된 잉크의 감소에 따라서 횡경사 리브부(158a 내지 158d)에 퇴적된 이물을 한 방향으로 모을 수 있다.
(25) 잉크의 잔량 변화에 따라서 부유이동하는 플로트 부재(181)를 이용하여 밸브체(182)를 변위시키는 플로트 밸브(131)는, 예를 들면 플로트 부재(181)에 이물이 퇴적되면 퇴적된 이물의 중량감에 의해 오동작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그 점, 플로트 밸브(131)보다 반중력 방향측에 마련된 횡경사 리브부(158a 내지 158d)에 이물을 퇴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 2 잉크실(152)에 있어서 침강한 이물이 플로트 부재(181)에 퇴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26) 제 2 잉크실(152)에 수용된 잉크의 잔량 변화에 따라서 제 3 횡경사 리브부(158c) 및 제 4 횡경사 리브부(158d)에 퇴적된 이물이 이동하여 제 3 횡경사 리브부(158c) 및 제 4 횡경사 리브부(158d)로부터 떨어진 경우라도, 플로트 밸브(131)를 피하도록 이물을 떨어뜨릴 수 있다.
(27) 유로 개구(162)로부터 도출된 잉크를 필터(166)에 통과시킨 후에 플로트 밸브(131)측에 유동시킬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주입구(73)로부터 제 1 잉크실(151) 내의 잉크 중에 혼입된 이물 중, 비교적 사이즈의 큰 이물은 제 1 잉크실(151)에 있어서 체류하는 동시에, 제 2 잉크실(152)에 있어서 횡경사 리브부(158a 내지 158d)에 퇴적된다. 그 때문에, 유로 개구(162)로부터 도출 유로(138)에 도출되는 잉크에 혼입되는 이물은 비교적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예를 들어 유로 개구(162)로부터 인입되어 버린 경우에도, 큰 이물이 인입되어 버린 경우에 비해, 도출 유로(138)의 막힘이 억제된다. 또한, 잉크를 도출 유로(138)에 마련된 필터(166)를 통과하는 것에 의해 도출구(69)로부터 도출되는 잉크 중에 혼입되는 이물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28) 벽 연통 개구(155)의 면적이 주입구(73)의 면적보다 작기 때문에, 주입구(73)로부터 사이즈가 큰 이물이 혼입된 경우에, 이물이 벽 연통 개구(155)를 넘어 제 2 잉크실(152)에 인입될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29) 잉크 중의 기포는 도출 유로(138) 중의 절곡된 부분에 체류하기 쉽다. 그 점, 굴곡 유로부(163)에 위치하는 기포는 경사 유로부(165)를 통하여 도출구(69)측으로 인도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굴곡 유로부(163)에 체류한 기포가 크게 되어 도출 유로(138)를 막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기포의 영향을 저감하면서 잉크를 도출할 수 있다.
(30) 기포가 체류하기 쉬운 굴곡 유로부(163)까지 잉크를 유동시키기 전에 필터(166)를 통과하는 것에 의해 이미 생긴 기포를 미리 포획할 수 있다.
(31) 잉크실(137)에 있어서 생긴 기포는 중력 방향의 상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유로 개구(162)를 저면(152a)에 개구시키는 것에 의해 기포가 유로 개구(162)로부터 도출 유로(138)로 인입될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32) 횡경사 리브부(158a 내지 158d)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잉크실(137)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횡경사 리브부(158a 내지 158d)는 수평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기 때문에, 잉크실(137)에 수용된 잉크에 기포가 생겼을 경우에, 횡경사 리브부(158a 내지 158d)를 따르도록 기포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기포가 횡경사 리브부(158a 내지 158d)에 포획되어 버릴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33) 잉크실(137)의 저면(152a)을 경사 유로부(165)를 따라서 경사지게 할 수 있다. 즉, 경사 유로부(165)는 유로 개구(162)측이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잉크실(137) 내의 잉크를 유로 개구(162)측에 모을 수 있다.
(34) 경사 유로부(165)의 단면적이 크기 때문에, 굴곡 유로부(163)에서 생긴 기포에 의해 경사 유로부(165)가 막혀 버릴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35) 벽 연통 개구(155)에 있어서 기포가 생겼을 경우에도, 반중력 방향측의 상면(155c)이 경사져 있기 때문에, 기포가 벽 연통 개구(155)에 체류되어 버릴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36) 칸막이 벽(150)에 형성된 벽 통기 개구(156)에 의해, 제 1 잉크실(151)과 제 2 잉크실(152)의 압력의 차이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칸막이 벽(150)에 형성된 벽 통기 개구(156)는 교차 리브부(157a 내지 157i)에 형성된 리브 환기 개구(160)보다 천정면(137b) 가까이에 형성되기 때문에, 제 2 잉크실(152) 내의 잉크가 벽 통기 개구(156)로부터 제 1 잉크실(151)에 인입될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37) 위치결정 볼록조(141)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공기 통로 형성 필름(147)의 어긋남을 억제하여 구불구불한 홈(142, 143)상에 용이하게 접착할 수 있다.
(38) 필터(166)를, 수용체 케이스(130)의 하면(40)에 형성된 제 1 유로 형성 오목부(168a)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필터(166)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39) 액체 수용체(33)의 제 2 잉크실(152) 내에 배치된 플로트 밸브(131)는, 기체실(187)의 개구부(185a)를 막고 있는 박막 부재(186)가 주입구(73)로부터의 주입으로 제 2 잉크실(152) 내에 유입하는 잉크의 유입 압력을 직접 받는 일은 없다. 즉, 잉크의 유입 압력은 박막 부재(186)에 대하여 그 막면을 따르도록 작용하게 된다. 그 때문에, 주입구(73)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잉크가 잉크실(137)의 제 1 잉크실(151) 내에 힘차게 주입된 경우에도, 그 잉크의 유입 압력이 제 1 잉크실(151)을 경유하여 제 2 잉크실(152) 내의 플로트 부재(181)의 박막 부재(186)에 대하여 해당 박막 부재(186)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강하게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에 배치한 플로트 밸브(131)가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잉크의 유입 압력에 의해 데미지를 받는 일이 없이, 적절한 밸브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40) 주입구(73)가 형성된 제 1 잉크실(151)과는 칸막이 벽(150)으로 구획된 제 2 잉크실(152)에 플로트 밸브(131)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주입구(73)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주입된 잉크가 플로트 밸브(131)에 대하여 직접 떨어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서, 이 점에서도, 플로트 밸브(131)에 데미지가 발생할 우려를 더욱 저감할 수 있다.
(41) 비록 만일 복수(일 예로서 4개)개 중의 1개의 기체실(187)이 손상 등에 의해 밀폐 상태가 손상되어도, 나머지의 다른 기체실(187)의 체적의 총합이 플로트 부재(181)에 있어서 소망하는 부력을 생성하도록 기체실(187)의 체적을 설계해 두면, 플로트 밸브(131)의 기능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42) 특히, 장기간에 걸쳐서 잉크의 잔량이 문턱값 잔량 미만이며 밸브체(182)가 폐쇄 밸브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주입구(73)를 통한 잉크의 주입에 의해 잉크의 잔량이 문턱값 잔량 이상이 된 경우에, 밸브체(182)가 폐쇄 밸브 위치에 부착된 상태가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서, 그 밸브체(182)를 폐쇄 밸브 위치로부터 개방 밸브 위치로 신속하게 변위시킬 수 있다.
(43) 제 2 잉크실(152)에 유입하는 잉크의 유입 압력이 플로트 부재(181)에 대해서 직접 미치는 것을 규제 케이스(183)의 환상 벽부(196)에 의해 억제하면서, 플로트 부재(181)가 상하 방향(Z)으로 부유이동할 때에 규제 케이스(183)의 환상 벽부(196)에 대하여 면접촉 상태로 미끄럼 운동하는 것에 의해 이동 저항을 발생시킬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44) 플로트 부재(181)가 상하 방향으로 부유이동하는 경우에 박막 부재(186)가 규제 케이스(183)의 환상 벽부(196)에 미끄럼 운동하여 손상되거나 할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45) 플로트 부재(181)가 상하 방향(Z)으로 부유이동한 경우에 잉크가 통로 구멍(202)을 통하여 규제 케이스(183)의 환상 벽부(196)의 내측과 외측과의 사이를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므로, 잉크의 잔량 변화에 따른 플로트 부재(181)의 원활한 부유이동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46) 규제 케이스(183)와 플로트 부재(181)와의 수평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대향면끼리, 즉 박막 부재(186)와 측벽(196a)이 잉크의 표면 장력에 의해서 고착되어 버릴 우려를 저감할 수 있으므로, 플로트 밸브(131)의 적절한 밸브 동작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47) 플로트 부재(181)를 밸브체(182)에 대하여 작은 스트로크로 가압시키는 것만으로도, 밸브체(182)를 개방 밸브 위치와 폐쇄 밸브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플로트 밸브(131)의 컴팩트화에 공헌할 수 있다.
(48) 액체 수용 용기(21)가 프린터(11) 외부에 위치하는 제 1 부위와 프린터(11)에 삽입되는 제 2 부위를 갖고, 주입구(73)가 형성된 제 1 부위의 저부는 제 2 부위의 저부보다 낮은 구성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제 1 부위의 저면과 제 2 부위의 저면을 동일한 높이로 하여 제 1 부위를 수평 방향으로 연장시킨 구성으로 하는 경우에 비해, 액체 수용 용기(21)를 포함한 프린터(11) 전체의 수평 방향의 크기가 크게 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프린터(11) 외부에 위치하는 제 1 부위를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면, 제 1 부위의 저부를 제 2 부위의 저부보다 낮게 하는 경우(제 1 부위를 중력 방향으로 연장하는 경우)에 비해, 프린터(11)에 삽입되는 제 2 부위로부터의 거리가 길어지는 만큼, 제 2 부위에 가해지는 힘이 증대되어, 제 2 부위의 파손 등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마찬가지의 이유에 의해 프린터(11)가 제 1 부위측으로 경사져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제 1 부위의 저부를 제 2 부위의 저부보다 낮게 하는 것에 의해, 제 2 부위의 파손, 프린터(11)의 경사 등의 문제점이 생길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49) 제 2 부위와 비교하여 용량이 큰 제 1 부위가 프린터(11) 외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부위와 비교하여 용량이 작은 제 2 부위가 프린터(11) 외부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비해, 액체 수용 용기(21) 내의 잉크 잔량을 사용자가 파악하기 쉬워져, 과도한 잉크 주입에 의한 액체 수용 용기(21)로부터의 잉크의 흘러 넘침이나, 잉크 잔량이 작아져 있는 것에도 불구하고 인쇄를 계속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생길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50) 제 1 부위의 천정면의 높이와 제 2 부위의 천정면의 높이가 동일하기 때문에, 액체 수용 용기(21)의 대용량화를 도모하면서, 액체 수용 용기(21)의 대용량화에 따라서 주입구의 위치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주입구(73)의 높이가 높아지면, 사용자가 잉크를 주입할 때에, 주입용의 잉크가 수용된 용기를 주입구(73)의 높이까지 들어올려야만 하는 것과 같은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51) 제 1 부위와 제 2 부위의 짧은 방향의 길이가 동일하기 때문에, 프린터(11)에 삽입되어 사용자가 그 내부의 잉크 잔량을 파악하는 것이 어려운 제 2 부위 내의 잔량을 추측하기 쉽고, 과도한 잉크 주입에 의한 액체 수용 용기(21)로부터의 잉크의 흘러 넘침이나, 잉크 잔량이 작게 되어 있는 것에도 불구하고 인쇄를 계속해 버리는 것과 같은 문제점이 생길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52) 프린터(11)에 접속되는 유출구(52)가 프린터(11)에 삽입되는 제 2 부위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프린터(11) 외부에 위치하는 제 1 부위에 유출구(52)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프린터(11)와 유출구(52)와의 접속이 되지 않게 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생길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부위는 프린터(11) 외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그 상부에 물건을 두거나 잘못하여 충돌하는 등에 의해 제 1 부위에 직접적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 1 부위에 유출구(52)가 마련되어 있으면, 그 충격에 의해 프린터(11)와 유출구(52)와의 접속이 되지 않게 되어 버리는 일이 일어날 수 있다. 한편, 제 2 부위에 유출구(52)가 마련되어 있으면, 제 2 부위에도 간접적으로는 충격이 가해지지만, 제 1 부위에 유출구(52)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받는 충격을 약하게 할 수 있다.
(53) 프린터(11)와 결합하는 피고정부(37a)는, 제 1 부위 중 액체 수용 용기(21)의 삽입 방향측의 제 1 면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제 1 면과 대향하는 제 2 면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프린터(11)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면은 삽입 방향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피고정부(37a)가, 액체 수용 용기(21) 내의 잔량을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관찰하는 것을 저해하는 것과 같은 문제점이 생길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54) 주입구(73)는, 제 1 부위 중 제 2 부위측의 제 1 면보다 제 1 면과 대향하는 제 2 면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잉크를 주입할 때에 잘못하여 잉크를 주입구(73) 외부로 흘린 경우에도, 프린터(11)에 잉크가 부착되어 오염되는 것과 같은 문제점이 생길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 1 면은 제 2 면에 비해 액체 소비 장치에 가까운 면이기 때문에, 제 2 면에 가까운 위치에 주입구(73)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프린터(11)에 의해, 사용자가 주입의 형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생길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55) 대기 연통 구멍(140)은 제 1 부위 중 주입구(73)와 제 2 부위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주입용 잉크가 수용된 잉크 보충 용기로부터 잉크를 주입할 때에 사용자의 사각(死角)이 될 수 있는 잉크 보충 용기의 일부를 타고 하방으로 떨어지는 잉크가 대기 연통 구멍(140)에 들어가 버려, 대기 연통 구멍(140)을 막아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생길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56) 액체 수용 용기(21)의 제 2 부위와 프린터(11)는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잉크가 주입되었을 때에 제 1 부위에 힘이 가해진 경우에도 접속을 유지할 수 있어서, 접속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생길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은 다른 실시형태로 변경하여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부위(장치 본체(14) 내에 위치하는 액체 수용 용기(21)의 일부)를, 액체 수용 용기(21) 중 장착부(31)에 마련된 안내 홈(84)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하여도 좋다. 따라서, 제 1 부위(장치 본체(14) 외에 위치하는 액체 수용 용기(21)의 일부)를, 액체 수용 용기(21) 중 제 2 부위 이외의 부분, 또는 액체 수용 용기(21) 중 장착부(31)에 마련된 안내 홈(84)과 접촉하지 않는 부분으로 하여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피장착 부재(50)가 액체 수용체(33)에 대해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했지만, 피장착 부재에 한정하지 않으며, 액체 수용체(33)와 프린터(11)가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으면 충분하며, 반드시 피장착 부재(5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회로 기판 홀더(76)는, 슬라이더(34)에 대하여 해당 슬라이더(34)의 액체 수용체(33)에 대한 미끄럼 운동 방향을 따르는 방향, 즉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삽입되며 슬라이더(34)에 구비되어도 좋다. 또한, 회로 기판 홀더(76)에 장착되는 회로 기판(75)은 반드시 슬라이더(34)의 미끄럼 운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가 아니며, 예를 들면 미끄럼 운동 방향과 평행한 상태, 혹은 직교하는 상태에서 회로 기판 홀더(76)에 탑재되어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반드시 슬라이더(34)의 이동 부위가 프린터(11) 내로 이동했을 때, 프린터(11) 내에 있어서 위치결정되는 위치결정 형상부의 일 예로서의 홈 형상부(107)가 회로 기판 홀더(76)에 마련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슬라이더(34)가 통신부(77)에 대하여 위치결정된 상태에서 장착부(31)에 삽입되는 경우는, 위치결정 형상부는 불필요하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반드시 개폐 커버(74)와의 결합부(홈부(112))가 슬라이더(34)에 마련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개폐 커버(74)의 베어링부(90)가 슬라이더(34)의 회전축(89)과 억지 끼워맞춤(interference fit) 상태로 결합하는 구성이 되는 경우는, 이 억지 끼워맞춤 의해서 회전 부하가 얻어지므로, 결합부는 불필요하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폐 커버(74)는, 반드시 액체 수용체(33)의 짧은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축선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구성이 아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슬라이더(34)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평행 이동하여 폐쇄 덮개 위치로부터 개방 덮개 위치로 변위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입구(73)를 덮는 상태로 구비된 슬라이더(34)에, 반드시 개폐 커버(74)를 구비할 수 없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는, 슬라이더(34)를 프린터(11)(장착부(31))로부터 빼내는 것에 의해서, 잉크의 주입구(73)를 노출시키면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입구(73)는 반드시 액체 수용체(33)에 있어서 반중력 방향측이 되는 상면(39)에 마련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수평 방향측에 위치하는 측면에 마련되어도 좋다. 또한, 슬라이더(34)는, 반드시 주입구(73)를 덮는 상태로 구비되지 않아도 좋다. 이러한 경우는, 주입구(73)를 슬라이더(34)와는 별도의 부재로 덮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반드시, 회로 기판 홀더(76)는 슬라이더(34)의 홀더 장착부(86)에 장착되는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회로 기판 홀더(76)는 슬라이더(34)의 일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홀더(76)에 지지되는 회로 기판(75)은 플렉시블한 회로 기판이어도 좋다. 또한, 회로 기판은 플렉시블한 소재와 기판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어도 좋다. 즉, 회로 기판은, 회로 기판을 구성하는 회로, 단자,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메모리, 단자 및 메모리가 배치되는 기판 등이 구조적으로 별도의 것으로 마련되어 있는 것, 일체로 마련되어 있는 것의 양쪽을 의미한다. 따라서, 회로 기판이 경사져 있다는 것은 이들 구성 중 적어도 1개가 경사져 있는 상태를 말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회로 기판이 경사져 있다고 했지만, 적어도 회로 기판에 마련된 단자 또는 접촉 부분이 통신부(77)에 구비된 전기 단자(78)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회로 기판이 경사져 있으면 좋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회로 기판(75)은 기억부의 일 예이며, 회로 기판 홀더(76)는 기억부 보지 부재의 일 예라고 했지만, 회로 기판(75)은 기억부와, 회로 기판 홀더(76)는 기억부 보지 부재와 동일하다고도 말할 수 있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매체는 용지(S)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금속판, 수지판, 옷감 등을 재료로 하는 판형상 부재이어도 좋다. 즉, 액체 분사 헤드(24)가 분사하는 액체에 의해서 기록(인쇄) 가능한 부재이면, 매체로서 채용할 수 있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액체 소비 장치는 캐리지(25)에 따라서 액체 분사 헤드(24)가 왕복 이동하는 시리얼식의 프린터(11)에 한정되지 않으며, 액체 분사 헤드(24)를 고정한 그대로도 용지 최대 폭 범위의 인쇄가 가능한 라인 헤드식의 프린터라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피복 부재(121)는 적어도 피복체(120)를 구비하고 있으면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폐 커버(74)의 이면(74a)에 잉크를 흡수할 수 있는 흡수재를 배치하여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결부(125)는 액체 수용면(116) 상에서 복수회 접혀진 형상으로 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연결부(125)는, 해당 연결부(125)의 일부에서 한번만 굴곡시킴으로써, 평면에서 보아 L자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연결부(125)는 금속제의 쐐기 형상 등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액체 수용면(116) 상에 탑재하여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폐 커버(74)의 이면(74a)은, 해당 개폐 커버(74)가 개방 덮개 위치에 위치했을 때에, 주입구(73)를 향하여 하향 구배의 면이 되지 않아도 좋다. 이러한 경우, 개폐 커버(74)의 이면(74a)에 있어서, 피복체(120)가 탑재되는 부분에는 상술한 잉크 흡수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피복 부재(121)의 피복체(120)는 개폐 커버(74)의 이면(74a)에 탑재하지 않아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노치 홈(118)은 주벽부(117)를 제외한 주입구(73)의 주변 위치에 마련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주입구(73)의 개구 돌기(73a)에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오목부로서의 노치 홈(118) 대신에, 주벽부(117)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볼록부를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는, 액체 주입원(126)을 양측으로부터 위치결정할 수 있도록 볼록부는 2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벽 연통 개구(155)의 면적을 주입구(73)의 면적과 동일한 크기로 하여도 좋다. 또한, 벽 연통 개구(155)의 면적을 주입구(73)의 면적보다 크게 하여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필터(166)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필터(166)는, 제 2 잉크실(152) 내에 있어서, 유로 개구(162)를 덮도록 마련하여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플로트 밸브(131)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횡경사 리브부(158a 내지 158d)를 마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횡경사 리브부(158a 내지 158d)를 개별적으로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어느 횡경사 리브부(158a 내지 158d)를 마련할지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횡경사 리브부(158a 내지 158d) 중 어느 1개의 횡경사 리브부만을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제 3 횡경사 리브부(158c)와 제 4 횡경사 리브부(158d)와 같이, 어느 2개의 횡경사 리브부나, 제 1 내지 제 3 횡경사 리브부(158a 내지 158c)와 같이, 어느 3개의 횡경사 리브부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횡경사 리브부(158a 내지 158d)는 한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것 뿐만 아니라, 부분적으로 굴곡 혹은 만곡되어 있어도 좋다. 즉, 예를 들면, 횡경사 리브부(158a 내지 158d)는 중력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부분과 중력 방향과 교차하는 부분을 둘 다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3 횡경사 리브부(158c)와 제 4 횡경사 리브부(158d)는 선대칭이 아니어도 좋다. 즉, 예를 들면 제 3 횡경사 리브부(158c)와 제 4 횡경사 리브부(158d)를 상하 방향(Z)으로 이들 중 어느 1개를 어긋나게 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제 3 횡경사 리브부(158c)와 제 4 횡경사 리브부(158d)의 선대칭의 기준이 되는 축선은 중력 방향을 따르고 있으면 플로트 밸브(131)를 어느 위치에서 통과하여도 좋다. 그리고, 제 3 횡경사 리브부(158c)와 제 4 횡경사 리브부(158d)는 일부가 축선을 기준으로 하여 선대칭이어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횡경사 리브부(158a 내지 158d)는 전후 방향(Y)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횡경사 리브부(158a 내지 158d)는 좌우 방향(X)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여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횡경사 리브부(158a 내지 158d)는 유로 개구(162)와 상하 방향(Z)에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마련하여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로 개구(162)는 저면(152a) 이외의 위치에 형성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측벽(130b)에 유로 개구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유로 개구(162)를 칸막이 벽(150)으로부터 멀어진 위치에 형성하여도 좋다. 즉, 거리(L1)는 거리(L2)보다 길어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대향면(153)에 오목부(154)를 마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오목부(154)는 중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여 오목해지도록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오목부(154)는 주입 가상선(M)과 일치하도록 형성하여도 좋다. 즉, 오목부(154)는 주입구(73)의 중력 방향측의 위치에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오목부(154)와 주입구(73)는 상면에서 보았을 때 형상이 상이하며, 좌우 방향(X)에 있어서 오목부(154)의 크기가 주입구(73)보다 크다. 그 때문에, 오목부(154)를 주입구(73)의 중력 방향측의 위치에 형성하여도, 오목부(154)의 일부는 중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주입구(73)와 어긋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그래서, 상면에서 보아 오목부(154)를 주입구(73)보다 작게 형성하여도 좋고, 또한 주입구(73)와 오목부(154)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액체 수용 용기(21)는 슬라이더(34)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즉, 액체 수용 용기(21)를 액체 수용체(33)만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칸막이 벽(150)을 상하 방향(Z)과 교차하도록 마련하여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용체 케이스(130)는 교차 리브부(157a 내지 157i)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용체 케이스(130)는 칸막이 벽(150)을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벽 연통 개구(155)의 상면(155c)을 수평 방향을 따르도록 형성하여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경사 유로부(165)의 단면적을 연결 유로부(164)의 단면적과 동일한 크기로 하여도 좋다. 또한, 경사 유로부(165)의 단면적을 굴곡 유로부(163)의 단면적보다 크게 하여도 좋다. 또한, 경사 유로부(165)의 단면적을 연결 유로부(164)의 단면적과, 굴곡 유로부(163)의 단면적보다 작게 하여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경사 유로부(165)를 잉크실(137)의 중력 방향의 하측 위치와는 어긋난 위치에 마련하여도 좋다. 즉, 예를 들면, 경사 유로부(165)를 측벽(130b)을 통하여 잉크실(137)과 인접하도록 마련하여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잉크실(152)의 저면(152a)에 고정되는 밸브체(182)를 생략하고, 플로트 부재(181)의 하면으로부터 연직 하방으로 돌출되는 가압부(189)가 하향 이동했을 때에 밸브 구멍(192)을 폐색 가능한 밸브 본체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플로트 부재(181)에 있어서의 규제 케이스(183)에 대한 규제 접촉부의 일 예로서 기능하는 판형상부(191)는, 그 단면 형상이 십자 형상 이외라도 좋다. 요컨대, 그 규제 접촉부를 구성하는 부위와 원통부(198)의 내면과의 간격 거리가 박막 부재(186)와 환상 벽부(196)의 내면과의 간격 거리보다 작아지는 관계이면, 그 형상은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규제 케이스(183)에 있어서의 통로 구멍(202)의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형 형상이어도 삼각 형상이어도 혹은 노치 형상이어도 좋다. 요컨대, 플로트 부재(181)가 부유이동한 경우에 잉크의 유통을 허용하는 형상이면, 그 형상은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규제 케이스(183)의 전후 방향(Y)을 따르는 측벽(196a)에 형성된 노치부(199)는 생략되어도 좋다. 혹은, 그 노치부(199)는 좌우 방향(X)을 따르는 측벽(196b)에 형성되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도, 그 노치부(199)는 규제 케이스(183)의 내외를 연통시켜 잉크의 유동을 허용하는 것 이외에, 플로트 부재(181)가 부유이동시에 미끄럼 운동하는 우려를 저감한다고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밸브체(182)를 상방의 개방 밸브 위치를 향하여 부세하는 제 2 부세력을 갖는 코일 스프링(195)은 생략하여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플로트 부재(181)에는 기체실(187)이 적어도 1개이면 좋다. 즉, 그 기체실(187)의 수는 반드시 4개에 한정되지 않으며, 2개, 3개 , 5개 등 적어도 1개 이상이면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잉크실(137)을 제 1 잉크실(151)과 제 2 잉크실(152)로 분할하는 칸막이 벽(150)은 없어도 좋다. 즉, 액체 수용체(33)의 잉크실(137)은 1개만이어도, 그 1개의 잉크실(137) 내에 플로트 밸브(131)가 배치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규제 케이스(183)의 형상은 상자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제 2 잉크실(152) 내에 유입하는 잉크의 유입 압력에 대하여 플로트 부재(181)를 보호하도록, 플로트 부재(181)를 둘러싸는 환상 벽부(196)를 갖는 것이면, 그 형상은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규제 부재는 규제 케이스(183)와 같은 상자 형상의 것이 아니며, 프레임체 형상의 것이어도 좋다. 요컨대, 플로트 부재(181)가 잉크의 액면의 상승을 따라서 상방으로 부유이동한 경우에, 잉크실(137)의 천정보다 낮은 위치에서 사방으로의 부유이동이 정지하도록 접촉하여 규제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면, 그 형상은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플로트 부재(181)의 개구부(185a)를 막고 기체실(187)을 형성하는 박막 부재(186)는 필름 이외에 예를 들면 얇은 수지제 시트나 플레이트 등이어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액체 수용 용기(21)의 사용 시의 자세 상태로서는, 액체 수용 용기(21)가 프린터(11)의 장착부(31)에 장착되어 프린터(11)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된 상태 이외에, 프린터(11)의 측방에 탑재된 상태에서 튜브에 의해 액체를 공급 가능하게 접속되는 사용 형태라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액체 수용 용기와 액체 주입원에 대해 설명했지만, 양자 모두 액체 용기로 표현할 수 있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액체 소비 장치는, 잉크 이외의 다른 액체를 분사하거나 토출하는 액체 분사 장치라도 좋다. 또한, 액체 분사 장치로부터 미소량의 액체 방울이 되어 토출되는 액체 상태로서는, 입자 형상, 눈물 형상, 실 형상으로 꼬리를 갖는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액체는 액체 분사 장치로부터 분사시킬 수 있는 재료이면 좋다. 예를 들면, 물질이 액상일 때 상태의 것이면 좋고, 점성이 높은 또는 낮은 액상체, 졸(sol), 겔 물(gel water), 그 이외의 무기용제, 유기용제, 용액, 액상 수지, 액상 금속(금속 융액)과 같은 액체 형상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물질의 하나의 상태로서의 액체 뿐만 아니라, 안료나 금속 입자 등의 고형물로 이루어지는 기능 재료의 입자가 용매에 용해, 분산 또는 혼합된 것 등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액체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잉크나 액정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잉크란 일반적인 수성 잉크 및 유성 잉크 및 젤 잉크, 핫 멜트 잉크 등의 각종 액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액체 분사 장치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EL(일렉트로루미네센스) 디스플레이, 면발광 디스플레이, 칼라 필터의 제조 등에 이용되는 전극재나 색재 등의 재료를 분산 또는 용해의 형태로 포함하는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가 있다. 또한, 바이오 칩 제조에 이용되는 생체 유기물을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 정밀 피펫으로 이용되며 시료가 되는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 날염 장치나 마이크로 디스펜서 등이어도 좋다. 또한, 시계나 카메라 등의 정밀 기계에 핀 포인트로 윤활유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 광통신 소자 등에 이용되는 미소 반구 렌즈(광학 렌즈) 등을 형성하기 위해서 자외선 경화 수지 등의 투명 수지액을 기판 상에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라도 좋다. 또한, 기판 등을 에칭하기 위해서 산 또는 알칼리 등의 에칭액을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라도 좋다.
·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억부는 잉크 정보를 기록한 것으로 했지만, 잉크 정보를 기억 가능한 것이면 좋다.
11 : 프린터(액체 소비 장치의 일 예)
21 : 액체 수용 용기
33 : 액체 수용체
34 : 슬라이더(부 보지 부재의 일 예)
37 : 제 1 수용체부(제 1 부위의 일 예)
37a : 피고정부
38 : 제 2 수용체부(제 2 부위의 일 예)
39 : 상면
52 : 유출구
69 : 도출구
73 : 주입구
74 : 개폐 커버
74a : 이면(저면의 일 예)
75 : 회로 기판(기억부의 일 예)
76 : 회로 기판 홀더(기억부 보지 부재의 일 예)
77 : 통신부
91a, 92a : 커버측 벽부(차폐부의 일 예)
95 : 오목부
97 : 오목부
116 : 액체 수용면(액체 수용부의 일 예)
117 : 주벽부(주변 위치의 일 예)
118 : 노치 홈(오목부의 일 예)
121 : 피복 부재
120 : 피복체
123 : 고정부
125 : 연결부
126 : 액체 주입원
131 : 플로트 밸브
137 : 잉크실(액체 수용실의 일 예)
137b : 천정면(주입구 형성면의 일 예)
138 : 도출 유로(액체 유로의 일 예)
140 : 대기 연통 구멍(대기 연통구)
150 : 칸막이 벽
151 : 제 1 잉크실(제 1 액체 수용실의 일 예)
151 : 제 2 잉크실(제 2 액체 수용실의 일 예)
152a : 저면
153 : 대향면
154 : 오목부
155 : 벽 연통 개구(연통 개구의 일 예)
155c : 상면
156 : 벽 통기 개구(통기 개구)
157a 내지 157i : 교차 리브부
158a 내지 158d : 횡경사 리브부(차양부의 일 예)
160 : 리브 통기 개구(통기 개구의 일 예)
162 : 유로 개구
163 : 굴곡 유로부
164 : 연결 유로부
165 : 경사 유로부
160 : 리브 연통 개구(연통 개구의 일 예)
166 : 필터
181 : 플로트 부재
182 : 밸브체
183 : 규제 케이스(규제 부재의 일 예)
184 : 코일 스프링(부세 부재, 제 1 부세 부재의 일 예)
185a : 개구부
186 : 박막 부재
187 : 기체실
191 : 판형상부(규제 접촉부의 일 예)
195 : 코일 스프링(제 2 부세 부재의 일 예)
196 : 환상 벽부
199 : 노치부
202 : 통 구멍
L1, L2 : 거리
L6, L7 : 거리
X : 좌우 방향
Y : 전후 방향
Z : 상하 방향

Claims (2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액체가 수용되는 액체 용기에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회로 기판을 보지하는 보지 부재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에 마련되며, 외부 단자와 접속된 상태에서 삽입 방향에 대해서 경사하는 접촉부와,
    상기 외부 단자에 대해서 상기 접촉부를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 형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외부 단자와 결합하는 오목부에 마련되며,
    상기 위치결정 형상부는 상기 오목부의 측벽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지 부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지 부재는 또한 복수의 벽으로 구성되며,
    상기 보지 부재가 임의의 자세로 평면 상에 탑재된 경우에도, 상기 벽은 상기 회로 기판보다 중력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지 부재.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형상부는 상기 측벽부에 마련된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지 부재.
  20. 삭제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형상부는 상기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각각 형성된 상기 측벽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지 부재.
  22. 제 17 항 내지 제 19 항 및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지 부재에는, 상기 액체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액체의 색과 동일한 색 라벨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지 부재.
  23. 제 17 항 내지 제 19 항 및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의 메모리가 기억하는 정보는, 상기 보지 부재가 부 보지 부재에 탑재된 상태에서 액체 소비 장치가 구비하는 통신부에 의해 판독되며,
    상기 메모리가 기억하는 정보가 상기 통신부에 의해 판독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보지 부재는 상기 액체 소비 장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부 보지 부재는 그 일부가 상기 액체 소비 장치 외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지 부재.
  24. 제 17 항 내지 제 19 항 및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용기는 액체 소비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액체 수용 용기에 주입되는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주입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지 부재.
  25. 삭제
KR1020157007755A 2012-08-31 2013-08-28 기억부 보지 부재 및 보지 부재 KR1017261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92658 2012-08-31
JP2012192658 2012-08-31
JP2012248729A JP6354117B2 (ja) 2012-08-31 2012-11-12 保持部材、および液体収容容器
JPJP-P-2012-248729 2012-11-12
PCT/JP2013/005090 WO2014034111A1 (ja) 2012-08-31 2013-08-28 記憶部保持部材および保持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8828A KR20150048828A (ko) 2015-05-07
KR101726104B1 true KR101726104B1 (ko) 2017-04-11

Family

ID=49118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7755A KR101726104B1 (ko) 2012-08-31 2013-08-28 기억부 보지 부재 및 보지 부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259936B2 (ko)
EP (1) EP2703167B1 (ko)
JP (1) JP6354117B2 (ko)
KR (1) KR101726104B1 (ko)
CN (1) CN103660592B (ko)
BR (1) BR112015004252A2 (ko)
ES (1) ES2791178T3 (ko)
RU (2) RU2017125927A (ko)
TW (1) TWI651212B (ko)
WO (1) WO20140341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63890B2 (ja) 2013-06-06 2017-07-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供給装置、液体収容体
RU2018135666A (ru) 2013-06-06 2018-11-19 Сейко Эпсон Корпорейшн Контейнер для жидкости
JP6421506B2 (ja) * 2014-09-12 2018-11-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供給セット
WO2015136944A1 (ja) * 2014-03-14 2015-09-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供給セット、液体供給装置、液体噴射システム
WO2015136942A1 (ja) * 2014-03-14 2015-09-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供給セット、液体供給装置、液体噴射システム
US10179459B2 (en) 2014-03-14 2019-01-15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ontainer, liquid consuming apparatus and electrical connector
JP6421508B2 (ja) * 2014-09-12 2018-11-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供給セット
WO2015136943A1 (ja) * 2014-03-14 2015-09-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供給セット、液体供給装置、液体噴射システム
JP6421507B2 (ja) * 2014-09-12 2018-11-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供給セット、液体供給装置、液体噴射システム
JP6398274B2 (ja) * 2014-04-11 2018-10-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容器、アダプター、ならびに液体噴射装置
JP6369386B2 (ja) 2015-04-28 2018-08-08 株式会社デンソー カメラ装置
JP6580376B2 (ja) * 2015-06-04 2019-09-25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細胞・組織片輸送用無揺動ケース
JP6519355B2 (ja) * 2015-06-30 2019-05-29 株式会社デンソー カメラ装置及び車載システム
JP2017056706A (ja) 2015-09-18 2017-03-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端子接続部及びカートリッジ
JP2017094660A (ja) * 2015-11-27 2017-06-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供給ユニット
JP6950228B2 (ja) 2017-03-27 2021-10-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カートリッジ及びシステム
US10493765B2 (en) * 2017-03-27 2019-12-0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Liquid cartridge capable of reducing leakage of liquid from liquid storage chamber
JP7031132B2 (ja) 2017-03-27 2022-03-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カートリッジ及びシステム
JP6942988B2 (ja) 2017-03-27 2021-09-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カートリッジ及びシステム
WO2019012786A1 (ja) 2017-07-12 2019-01-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
US11381001B2 (en) * 2017-10-30 2022-07-05 Institute For Q-Shu Pioneers Of Space, Inc. Reflector, deployable antenna, and spacecraft
JP7326999B2 (ja) * 2019-08-29 2023-08-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880084B (zh) 1998-05-18 2013-02-13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喷墨打印设备及其墨盒
GB2354202B (en) 2000-08-07 2002-09-18 Dynamic Cassette Int A printer cartridge kit and method
JP4032628B2 (ja) * 2000-10-17 2008-01-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バッグセット、それを装着するようにしたプリンタ及びプリンタシステム並びにそれを用いた制御方法
US6738259B2 (en) * 2001-11-19 2004-05-18 Imation Corp. Apparatus supporting multiple memory card formats
JP4058434B2 (ja) 2003-12-26 2008-03-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収納容器、該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プリンタシステム
JP4533125B2 (ja) * 2004-10-20 2010-09-01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GB2431722B (en) 2005-03-31 2007-08-08 Seiko Epson Corp Liquid detecting device, liquid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detecting device
JP2007290137A (ja) * 2006-04-20 2007-11-08 Seiko Epson Corp 液体カートリッジ及びその製造方法
JP4125329B2 (ja) 2006-05-19 2008-07-30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および該容器を備える液体供給システム
JP5288743B2 (ja) * 2006-08-23 2013-09-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945295B2 (ja) * 2007-04-09 2012-06-06 武藤工業株式会社 印字装置
DE102007021562B4 (de) * 2007-05-08 2012-05-03 Kmp Printtechnik Ag Tintenpatrone
TW200843961A (en) * 2007-05-15 2008-11-16 Benq Corp An ink ejection system with separated ink tank and printing head
DE102008009460A1 (de) 2008-02-15 2009-08-20 Pelikan Hardcopy Production Ag Tintenpatrone mit Leiterplattenelement
DE202009003839U1 (de) 2009-03-18 2009-06-04 Kirchner, Manuela Chipresetter, Set mit einem solchen Chipresetter und Drucker mit einem solchen Chipresetter oder einem solchen Set
CN101885270B (zh) 2009-05-13 2012-09-05 珠海纳思达企业管理有限公司 一种喷墨打印机上的适配器及与之配套使用的墨盒
US8540347B2 (en) 2009-05-15 2013-09-24 Seiko Epson Corporation Recording material delivery system for recording material-consuming apparatus; circuit board; structural body; and ink cartridge
CN201494096U (zh) 2009-08-28 2010-06-02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一种芯片固定结构
SG10201903208SA (en) * 2010-06-11 2019-05-30 Ricoh Co Ltd Information storage device, removable device, develop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720148B2 (ja) 2010-09-03 2015-05-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材カートリッジ、及び、印刷材供給システム
JP2012051315A (ja) * 2010-09-03 2012-03-15 Seiko Epson Corp ホルダー、ホルダーに着脱可能な液体収容容器、及び、液体噴射装置
CN102009530B (zh) * 2010-10-15 2014-08-13 珠海天威技术开发有限公司 成像装置、其改装方法及耗材容器
CN102407675A (zh) 2011-09-07 2012-04-11 珠海天威技术开发有限公司 成像装置及其改装方法、耗材容器及耗材芯片组件
JP3173565U (ja) * 2011-11-29 2012-02-09 エム・エンタープライズ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60592A (zh) 2014-03-26
TW201412564A (zh) 2014-04-01
US9259936B2 (en) 2016-02-16
EP2703167A2 (en) 2014-03-05
RU2017125927A (ru) 2019-01-31
RU2015111015A (ru) 2016-10-20
WO2014034111A1 (ja) 2014-03-06
EP2703167B1 (en) 2020-02-26
KR20150048828A (ko) 2015-05-07
US20140063145A1 (en) 2014-03-06
BR112015004252A2 (pt) 2017-07-04
JP6354117B2 (ja) 2018-07-11
CN103660592B (zh) 2016-04-13
ES2791178T3 (es) 2020-11-03
TWI651212B (zh) 2019-02-21
RU2627087C2 (ru) 2017-08-03
EP2703167A3 (en) 2015-06-17
JP2014061693A (ja) 2014-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6104B1 (ko) 기억부 보지 부재 및 보지 부재
JP6007683B2 (ja) 液体収容容器
JP6163734B2 (ja) 液体収容容器、液体消費装置
JP5987564B2 (ja) 液体収容容器
KR101878577B1 (ko) 액체 수용 용기 및 액체 분사 장치
US20160009100A1 (en) Liquid container
US8596772B2 (en) Printing fluid cartridge, printing apparatus, and use of printing fluid cartridge
JP6056396B2 (ja) 液体収容容器および液体消費装置
JP6079156B2 (ja) 液体収容容器および液体消費装置
JP7056184B2 (ja) 液体タンク、液体噴射装置
JP6127582B2 (ja) 液体収容容器
JP2015047830A (ja) 液体収容容器
JP6142573B2 (ja) 液体収容容器
JP6070885B2 (ja) 液体収容ユニット
JP6028338B2 (ja) カートリッジ
JP2014046625A (ja) 液体収容容器
JP5245958B2 (ja) 液体収容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