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831B1 - 건축용 카 스토퍼 - Google Patents

건축용 카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5831B1
KR101725831B1 KR1020160162576A KR20160162576A KR101725831B1 KR 101725831 B1 KR101725831 B1 KR 101725831B1 KR 1020160162576 A KR1020160162576 A KR 1020160162576A KR 20160162576 A KR20160162576 A KR 20160162576A KR 101725831 B1 KR101725831 B1 KR 101725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nut
head portion
rib
insert b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2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영
Original Assignee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60162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8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앵커볼트 체결부위와 리브를 보강해서 좌굴하중을 향상시키고 공기와 빗물의 배출을 가능하게 한 건축용 카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앵커체결보스(24)의 중심으로 삽입되는 인서트부시(30); 인서트부시(30)의 상단에 형성되어 너트고정부(22)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헤드부(32); 헤드부(32)와 인서트부시(30)의 중심에 형성되는 앵커삽입구멍(34); 앵커삽입구멍(34)의 상단 모서리에 형성되고 아래쪽으로 향할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원추형의 테이퍼시트(35); 앵커볼트(23)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고, 아래쪽으로 향할수록 외경이 작아지며, 테이퍼시트(35)에 밀착되는 테이퍼너트(40); 테이퍼너트(40)의 상부에 형성되는 공구결합부(42); 인서트부시(3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주차장 바닥(21)에 밀착되는 베이스판(50); 베이스판(50)을 삽입하기 위해 앵커체결보스(24)와 보강살(25)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끼움홈(28); 헤드부(32)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으로 형성되는 환형홈(31); 헤드부(32)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환형홈(31)과 교차되면서 만나는 수직홈(33); 환형홈(31)과 일치되는 높이에 너트고정부(22)의 안팎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배출구멍(29)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용 카 스토퍼{Building Wheel Stops}
본 발명은 차량의 주차위치를 일정한 위치로 제한하는데 이용되는 건축용 카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앵커볼트 체결부위와 리브를 보강해서 좌굴하중을 향상시키고 공기와 빗물의 배출을 가능하게 한 건축용 카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주차장에는 차량의 안전한 주차를 위한 주차구획선을 설정되어 있으며, 주차구획선의 후미에는 차량이 주차구획선을 벗어나지 못하도록 주차장 바닥에 카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카 스토퍼의 몇 가지 예를 특허문헌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 10-0694169호(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는 길이방향으로 단면모양이 연속하는 압출성형에 의해 카 스토퍼를 성형하도록 된 것으로, 제조가 용이한 반면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작용되는 수직하중과 수평하중에 매우 취약하여 리브의 연결부위가 쉽게 휘면서 좌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특2001-0103889호(이하, 종래기술 2라 함)는 폐타이어를 이용해서 내부가 채워진 솔리드 형태로 카 스토퍼를 성형하도록 된 것으로, 내부가 채워져 있기 때문에 좌굴하중은 크게 할 수 있는 반면 중량이 증가되면서 제품의 제조원가가 상승하고 취급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 10-1240414호(이하, 종래기술 3이라 함)는 콘크리트를 이용해서 카 스토퍼를 성형한 것으로, 내부가 채워져 있기 때문에 좌굴하중은 크게 할 수 있는 반면 중량이 크게 증가하여 운반 및 설치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설치 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모서리 부위가 떨어져 나가면서 흉물스럽게 변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기술 1, 2, 3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는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를 이용해서 스토퍼본체(10)를 속이 빈 사다리꼴 단면 형태로 성형해서 충격에는 강하고, 경량화도 가능한 카 스토퍼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하, 종래기술 4라 함)
이와 같은 종래기술 4는, 통상 앵커볼트(13)에 의해 스토퍼본체(10)가 주차장 바닥(12)에 고정되며, 이를 위해 스토퍼본체(10)의 내측에 원통형의 너트고정부(11)가 형성되어 있고, 너트고정부(11)의 하단부에는 너트고정부(11)보다 작은 직경의 앵커체결보스(14)가 주차장 바닥(12)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너트고정부(11)과 앵커체결보스(14)의 외측면과 스토퍼본체(10)의 내측면 사이에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보강살(15)이 형성되어 있고, 스토퍼본체(10)의 중간 중간 빈 곳에는 사다리꼴모양으로 된 일정한 두께의 리브(16)가 형성되어 있으며, 너트고정부(11)를 폐쇄하기 위한 캡(17)이 너트고정부(11)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 4는, 앵커볼트(13)를 고정할 때 평와셔(19)와 너트(18)를 이용해서 고정하도록 되어 있고, 평와셔(19)와 너트고정부(11) 사이의 틈, 앵커볼트(13)와 앵커체결보스(14)의 사이에 틈이 크며, 너트(18)가 평와셔(19)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의 타이어가 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반사필름(10r)이 설치된 스토퍼본체(10)의 정면에 충돌하면, 스토퍼본체(10)와 앵커체결보스(14)가 수평방향으로 미끄러지면서 위치가 이동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일이 반복되면서 앵커볼트(13)에 충격이 누적되면 앵커볼트(13)가 주차장 바닥(12)으로부터 빠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앵커볼트(13)에 결합되어 있는 너트(18)가 평와셔(19)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평와셔(19)와 너트고정부(11) 사이의 유격이 크며, 앵커볼트(13)와 앵커체결보스(14) 사이의 틈새도 크기 때문에 스토퍼본체(10)의 정면에 충격이 가해지면 보강살(15)을 통해 너트고정부(11)와 앵커체결보스(14)로 힘이 전달되면서 스토퍼본체(10) 전체가 수평방향으로 미끄러지면서 위치가 변동되고 파손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타이어(T1)가 스토퍼본체(10)를 타고 올라가서 리브(16)에 수직 하중이 실리게 되면, 연질의 리브(16)가 쉽게 좌굴되어 스토퍼본체(10)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와는 다르게 차량의 타이어(T1)가 너트고정부(22)가 위치된 캡(17)을 올라타는 경우에는 너트고정부(11)와 앵커체결보스(14) 및 보강살(15)에 수직하중이 걸리면서 너트고정부(11)와 앵커체결보스(14) 및 보강살(15)이 쉽게 좌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스토퍼본체(10)가 고무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타이어(T1) 접촉시 너트고정부(11)가 약간의 변형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때 캡(17)이 너트고정부(11)로부터 쉽게 이탈되어 분실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캡(17)이 이탈되면 너트고정부(11)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고, 너트고정부(22)는 빗물을 배수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빗물에 잠긴 너트(18), 평와셔(19) 및 앵커볼트(13)가 빠르게 부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 10-0694169호 국내 공개특허공보 특2001-0103889호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 10-1240414호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 10-2008-0039201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실013084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카 스토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경량화해서 취급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캡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빗물유입시 배수가 가능한 건축용 카 스토퍼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건축용 카 스토퍼는, 스토퍼본체의 안쪽 천장에서 아래쪽을 향해 형성되는 원통형의 너트고정부; 너트고정부의 하단으로부터 주차장 바닥으로 연장되고, 중심에 앵커볼트가 삽입되는 중공형의 앵커체결보스; 앵커체결보스와 너트고정부의 외주면과 스토퍼본체의 내측 사이에 형성되는 보강살; 스토퍼본체의 내측에 형성되는 리브; 너트고정부의 상단을 폐쇄하는 캡을 포함하는 건축용 카 스토퍼에 있어서, 앵커체결보스의 중심으로 삽입되는 인서트부시; 인서트부시의 상단에 형성되어 너트고정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헤드부; 헤드부와 인서트부시의 중심에 형성되는 앵커삽입구멍; 앵커삽입구멍의 상단 모서리에 형성되고 아래쪽으로 향할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원추형의 테이퍼시트; 앵커볼트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고, 아래쪽으로 향할수록 외경이 작아지며, 테이퍼시트에 밀착되는 테이퍼너트; 테이퍼너트의 상부에 형성되는 공구결합부; 인서트부시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주차장 바닥에 밀착되는 베이스판; 베이스판을 삽입하기 위해 앵커체결보스와 보강살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끼움홈; 헤드부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으로 형성되는 환형홈; 헤드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환형홈과 교차되면서 만나는 수직홈; 환형홈과 일치되는 높이에 너트고정부의 안팎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배출구멍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단부에는 캡이 결합되고, 너트고정부로 삽입되어 하단부가 헤드부에 지지되는 연장파이프; 헤드부의 상단 모서리에 형성되어 연장파이프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걸림턱; 연장파이프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되어 수직홈과 만나는 이경홈; 연장파이프의 하단부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노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인서트부시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수나사부; 베이스판의 중심에 형성되어 수나사부와 결합되는 나사구멍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리브에 설치되는 리브보강판; 리브보강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고, 스토퍼본체의 내측면과 주차장 바닥에 밀착되는 테두리벽; 리브보강판과 리브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 리브보강판과 거리를 두고 테두리벽의 내측에 설치되는 테두리보강판; 테두리보강판의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리브와 스페이서, 리브보강판에 서로 중심이 일치되게 형성되는 체결공; 체결공으로 삽입되는 볼트; 볼트와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앵커체결보스(24)에 인서트부시(30)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주차하는 차량의 타이어가 스토퍼본체(20)의 정면에 충돌해서 스토퍼본체(20)에 수평방향으로 힘이 작용되는 경우 스토퍼본체(20)가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충격이 가해진 스토퍼본체(20)로부터 보강살(25)을 통해 너트고정부(22)에 수평방향으로 충격이 전달될 때 앵커볼트(23)의 상단에 결합되는 테이퍼너트(40)가 헤드부(32)에 형성된 테이퍼시트(35)에 밀착되어 있고, 헤드부(32)는 너트고정부(22)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너트고정부(22)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너트고정부(22)로부터 인서트부시(30)의 상단에 측방향으로 힘이 작용될 때 인서트부시(3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판(50)이 주차장 바닥(21)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인서트부시(30)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주차하는 차량이 스토퍼본체(20)를 올라타면서 리브(26)에 수직하중이 작용되면, 스토퍼본체(20)의 내측에 설치된 테두리벽(72) 및 리브보강판(70)과 테두리보강판(76)에 의해 리브(26)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스페이서(74)를 사이에 두고 리브보강판(70)과 리브(26)가 서로 밀착되어 있으므로, 스토퍼본체(20)와 리브(26)가 만나는 코너라운드부에 리브보강판(70)의 가장자리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인서트부시(30)를 앵커체결보스(24)로 삽입할 때 너트고정부(22)에 잔류하는 공기를 헤드부(32)에 형성된 수직홈(33)을 통해 상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시 공기저항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인서트부시(30)를 앵커체결보스(24)로 삽입할 때 너트고정부(22)에 잔류하는 공기가 헤드부(32)에 형성된 수직홈(33)과 환형홈(31)을 통해 너트고정부(22)에 형성된 배출구멍(29)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조립시 공기저항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너트고정부(22)로 유입된 빗물이 수직홈(33)과 환형홈(31)을 경유해서 배출구멍(29)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너트고정부(22)에 위치하고 있는 테이퍼너트(40)와 앵커볼트(23) 및 헤드부(32)가 빗물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캡(27)의 하부에 연장파이프(60)가 설치되어 있고, 연장파이프(60)가 너트고정부(22)의 깊숙이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캡(27)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연장파이프(60)를 너트고정부(22)로 삽입할 때 너트고정부(22)에 잔류하는 공기를 수직홈(33)과 환형홈(31) 및 배출구멍(29)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연장파이프(60)의 조립시 공기저항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연장파이프(60)의 하단부가 헤드부(32)에 형성된 걸림턱(36)에 끼워질 때 너트고정부(22)에 잔류하는 공기를 노치(62)와 이경홈(61) 및 수직홈(33)과 환형홈(31)을 경유해서 배출구멍(29)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연장파이프(60)와 헤드부(32)가 결합될 때 발생할 수 있는 공기저항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배출구멍(29)과 환형홈(31)이 서로 일치되는 높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직홈(33)과 배출구멍(29)이 서로 불일치하더라도 수직홈(33)으로 유입된 공기 또는 빗물이 환형홈(31)을 경유해서 배출구멍(29)으로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헤드부(32)를 조립할 때 수직홈(33)과 배출구멍(29)의 일치에 상관없이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연장파이프(60)의 하단부에 이경홈(6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노치(62)와 수직홈(33)이 서로 불일치하더라도 노치(62)로 공기 또는 빗물이 이경홈(61)을 경유해서 수직홈(33)으로 흐를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연장파이프(60)를 너트고정부(22)에 삽입할 때 노치(62)와 수직홈(33)의 일치에 상관없이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연장파이프(60)의 상단은 캡(27)에 결합되어 있고, 연장파이프(60)의 하단은 헤드부(32)에 형성된 걸림턱(36)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캡(27)에 차량이 올라타는 경우 수직하중을 연장파이프(60)를 통해 헤드부(32)와 인서트부시(30) 및 베이스판(50)를 경유해서 주차장 바닥(21)에 전달할 수 있으므로 너트고정부(22)와 앵커체결보스(24)의 좌굴하중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볼트(71)와 너트(73)를 체결할 때 테두리보강판(76)에 형성된 관통홀(77)을 통해 볼트(71)와 너트(73), 체결공구를 테두리벽(72)의 안쪽으로 편리하게 집어넣고 간섭 없이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카 스토퍼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면도
도 5는 도 4의 C-C'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D-D'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저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볼트 체결부위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상면측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리브 보강부위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요부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토퍼본체(20)의 안쪽 천장에서 아래쪽을 향해 형성되는 원통형의 너트고정부(22); 너트고정부(22)의 하단으로부터 주차장 바닥(21)으로 연장되고, 중심에 앵커볼트(23)가 삽입되는 중공형의 앵커체결보스(24); 앵커체결보스(24)와 너트고정부(22)의 외주면과 스토퍼본체(20)의 내측 사이에 형성되는 보강살(25); 스토퍼본체(20)의 내측에 형성되는 리브(26); 너트고정부(22)의 상단을 폐쇄하는 캡(27)으로 이루어진 공지의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앵커체결보스(24)의 중심으로 삽입되는 인서트부시(30); 인서트부시(30)의 상단에 형성되어 너트고정부(22)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헤드부(32); 헤드부(32)와 인서트부시(30)의 중심에 형성되는 앵커삽입구멍(34); 앵커삽입구멍(34)의 상단 모서리에 형성되고 아래쪽으로 향할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원추형의 테이퍼시트(35)를 포함한다.
인서트부시(30)와 헤드부(32)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환봉 또는 금속 환봉을 이용 절삭가공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인서트부시(30)는 앵커체결보스(24)의 내면에 밀착되고, 헤드부(32)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앵커삽입구멍(34)은, 헤드부(32)의 상면으로부터 인서트부시(30)의 저면까지 관통되며, 앵커볼트(23)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한다.
본 발명은 헤드부(32)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으로 형성되는 환형홈(31); 헤드부(32)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환형홈(31)과 교차되면서 만나는 수직홈(33); 환형홈(31)과 일치되는 높이에 너트고정부(22)의 안팎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배출구멍(29)을 포함한다.
수직홈(33)과 환형홈(31) 및 배출구멍(29)은, 공기 또는 빗물을 배출하기 위한 것이며, 특히 배출구멍(29)은 환형홈(31)의 높이와 일치되는 높이에 너트고정부(22)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형성해서 환형홈(31)과 배출구멍(29)이 항상 통하도록 하며, 수직홈(33)과 환형홈(31)은 헤드부(32)를 절삭가공할 때 함께 가공한다.
본 발명은 앵커볼트(23)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고, 아래쪽으로 향할수록 외경이 작아지며, 테이퍼시트(35)에 밀착되는 테이퍼너트(40); 테이퍼너트(40)의 상부에 형성되는 공구결합부(42)를 포함한다.
테이퍼시트(35)와 테이퍼너트(40)의 테이퍼 각도는 동일한 각도로 형성하며, 상기 공구결합부(42)는,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정육각기둥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나 꼭 이러한 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정사각기둥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인서트부시(3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주차장 바닥(21)에 밀착되는 베이스판(50); 베이스판(50)을 삽입하기 위해 앵커체결보스(24)와 보강살(25)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끼움홈(28)을 포함한다.
상기 인서트부시(30)와 베이스판(50)의 결합은, 예를 들면 인서트부시(3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수나사부(30t); 베이스판(50)의 중심에 형성되어 수나사부(30t)와 결합되는 나사구멍(50t)을 형성해서 베이스판(50)을 인서트부시(30)에 나사 결합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판(50)은 예를 들면 납작한 원반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단부에는 캡(27)이 결합되고, 너트고정부(22)로 삽입되어 하단부가 헤드부(32)에 지지되는 연장파이프(60); 헤드부(32)의 상단 모서리에 형성되어 연장파이프(60)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걸림턱(36); 연장파이프(60)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되어 수직홈(33)과 만나는 이경홈(61); 연장파이프(60)의 하단부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노치(62)를 포함한다.
연장파이프(60)는, 강관을 소정길이로 절단해서 형성할 수 있으며, 연장파이프(6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이경홈(61)과 노치(62)는 절단된 강관으로부터 절삭가공에 의해 형성할 수 있으며, 걸림턱(36)은 헤드부(32)를 절삭가공할 때 함께 가공한다.
노치(62)의 높이는, 헤드부(32)의 상면보다 높게 형성해서 연장파이프(60)를 걸림턱(36)에 결합했을 때 노치(62)의 일부가 헤드부(32) 위로 노출되도록 해서 공기와 빗물이 노치(62)를 통해 흐르도록 한다.
본 발명은 리브(26)에 설치되는 리브보강판(70); 상기 리브보강판(70)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본체(20)의 내측면과 상기 주차장 바닥(21)에 밀착되는 테두리벽(72); 리브보강판(70)과 리브(26)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74); 리브보강판(70)과 거리를 두고 테두리벽(72)의 내측에 설치되는 테두리보강판(76); 테두리보강판(76)의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홀(77)을 포함한다.
도 5,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브보강판(70)과 테두리보강판(76)은, 예를 들면 스토퍼본체(20)의 측단면 모양과 일치하는 사달꼴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리브보강판(70)과 테두리보강판(76)을 테두리벽(72)의 안쪽에 삽입한 다음 접합부에 용접비드(W1)(W2)를 형성한다.
스페이서(74)는, 리브(26)와 스토퍼본체(20)가 만나는 코너부위에 형성된 라운드부에 리브보강판(70)의 모서리가 간섭되어 들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스페이서(74)와 리브보강판(70)을 용접하거나 접착제를 이용해서 서로를 접합한다.
본 발명은 리브(26)와 스페이서(74), 리브보강판(70)에 서로 중심이 일치되게 형성되는 체결공(26h)(74h)(70h); 체결공(26h)(74h)(70h)으로 삽입되는 볼트(71); 볼트(71)와 결합되는 너트(73)를 포함한다.
도 4,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26)를 사이에 두고 리브보강판(70)과 테두리보강판(76)이 설치된 테두리벽(72)을 좌우로 대칭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도 11에서 테두리벽(72)과 스페이서(74)와 같이 동일한 구성을 대칭되게 설치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해서 기재하였다.
도 6 내지 도 10의 도면 중 20r은 스토퍼본체(20)에 부착되는 반사필름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부시(30)를 앵커체결보스(24)에 삽입하는 과정은, 인서트부시(30)를 앵커체결보스(24)에 삽입하게 되면, 인서트부시(30)의 상단에 형성된 헤드부(32)가 너트고정부(22)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하강되는데, 이때 너트고정부(22)에 잔류하는 공기가 수직홈(33)을 통해 너트고정부(22)의 상부를 통해 배출되고, 다른 배출경로로는 너트고정부(22)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구멍(29)을 통해 배출되어 너트고정부(22)에 잔류하던 공기의 압축에 의한 저항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배출구멍(29)은 환형홈(31)과 일치되는 높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직홈(33)과 배출구멍(29)이 서로 불일치된 상태에서도 공기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인서트부시(30)가 앵커체결보스(24)에 삽입되면, 인서트부시(30)의 하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30t)가 앵커체결보스(24)의 하단부를 관통해서 하부로 노출되는데, 이때 베이스판(50)에 형성된 나사구멍(50t)에 수나사부(30t)를 결합하게 되면, 베이스판(50)이 끼움홈(28)으로 진입되면서 인서트부시(30)와 결합된다.
또, 수나사부(30t)와 나사구멍(50t)에 풀림방지 접착제를 도포하게 되면, 베이스판(50)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다른 예로는 수나사부(30t)와 나사구멍(50t)의 나사결합부를 용접하면 더욱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5,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브(26)의 양쪽면에 스페이서(74)를 밀착시키면서 테두리벽(72)을 스토퍼본체(20)의 내측면에 밀착시키게 되면, 리브(26)와 스페이서(74), 리브보강판(70)에 형성된 체결공(26h)(74h)(70h)의 구멍중심이 모두 일치되는데, 이때 볼트(71)를 테두리보강판(76)에 형성된 관통홀(77)을 통해 안쪽으로 집어넣으면서 체결공(26h)(74h)(70h)으로 삽입하게 되면, 볼트(71)의 선단이 체결공(26h)(74h)(70h)을 통과해서 반대편으로 돌출된다.
이후 반대편으로 돌출된 볼트(71)의 선단부에 너트(73)를 결합해서 조이게 되면, 스페이서(74)와 리브보강판(70)이 리브(26)에 고정되면서 동시에 테두리벽(72)이 스토퍼본체(20)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주차장 바닥(21)에 카 스토퍼를 설치하는 경우 전동해머드릴과 같은 천공공구와 드릴비트를 이용해서 인서트부시(30)의 중심거리와 수량에 대응하는 구멍을 주차장 바닥(21)에 천공한 다음 주차장 바닥(21)에 천공된 구멍과 인서트부시(30)에 형성된 앵커삽입구멍(34)의 구멍중심이 서로 일치되도록 스토퍼본체(20)를 주차장 바닥(21)에 놓고 앵커볼트(23)를 앵커삽입구멍(34)을 통해 주차장 바닥(21)에 천공된 구멍으로 삽입해서 타격하게 되면 앵커볼트(23)가 주차장 바닥(21)에 고정된다.
이후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퍼너트(40)를 앵커볼트(23) 상단에 결합하게 되면, 테이퍼너트(40)가 앵커삽입구멍(34)의 상부에 형성된 테이퍼시트(35)에 밀착되는데, 이때 헤드부(32)가 테이퍼너트(40)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스토퍼본체(20)가 주차장 바닥(21)에 고정된다.
그 다음 캡(27)이 설치된 연장파이프(60)를 너트고정부(22)로 삽입하게 되면, 너트고정부(22)에 잔류하던 공기가 수직홈(33)과 환형홈(31)을 경유해서 너트고정부(22)에 형성된 배출구멍(29)을 통해 배출되면서 연장파이프(60)를 삽입할 때 공기저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후 연장파이프(60)의 하단부가 헤드부(32)의 걸림턱(36)에 삽입되면, 너트고정부(22)에 잔류하던 공기가 노치(62)와 이경홈(61)을 통해 수직홈(33)으로 배출되고, 수직홈(33)에 도달된 공기는 환형홈(31)과 배출구멍(29)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연장파이프(60)가 걸림턱(36)에 완전히 걸리는 순간까지 공기에 의한 저항을 막아주게 된다.
즉, 노치(62)와 수직홈(33)이 서로 불일치되게 조립되어 있더라도 이경홈(61)이 항상 수직홈(33)과 통하기 때문에 노치(62)로 유입된 공기는 이경홈(61)을 통해 수직홈(33)으로 배출된다.
우천시 빗물이 너트고정부(22)로 유입되는 경우, 빗물은 연장파이프(60)의 하단부에 형성된 노치(62)와 이경홈(61)을 통해 수직홈(33)으로 흐르고, 수직홈(33)으로 유입된 빗물은 다시 환형홈(31)과 배출구멍(29)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앵커볼트(23)와 테이퍼너트(40) 및 헤드부(32)가 빗물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주차장에 주차하는 차량의 타이어가 반사필름(20r)이 부착된 스토퍼본체(20)의 정면에 충돌하게 되면, 스토퍼본체(20)로부터 보강살(25)을 통해 너트고정부(22)와 앵커체결보스(24)로 충격이 전달되는데, 이때 너트고정부(22)로 전달된 충격은 내측에 위치된 헤드부(32)와 테이퍼너트(40) 및 앵커볼트(23)로 전달되어 지지되고, 앵커체결보스(24)로 전달된 충격은 인서트부시(30)를 통해 앵커볼트(23)로 전달되어 지지된다.
이 과정에서 테이퍼너트(40)가 헤드부(32)에 형성된 테이퍼시트(35)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헤드부(32)가 수평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어 보다 견고한 지지력을 얻게 된다.
또, 인서트부시(30)의 상단부가 후방측으로 힘을 받게 되면, 주차장 바닥(21)에 지지되어 있는 베이스판(50)이 인서트부시(3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인서트부시(30) 및 앵커체결보스(24)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차량이 스토퍼본체(20)를 타고 올라가서 차량의 하중이 캡(27)과 스토퍼본체(20)에 실리는 경우, 이때 연장파이프(60)의 하단부가 헤드부(32)에 형성된 걸림턱(36)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차량으로부터 작용되는 수직하중은 캡(27)과 연장파이프(60) 및 헤드부(32)와 인서트부시(30), 베이스판(50)을 통해 주차장 바닥(21)에 지지되어 견고한 지지력을 얻게 된다.
또, 차량이 스토퍼본체(20)를 타고 올라가서 리브(26)가 위치된 부위에 차량의 하중이 실리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26)에 의한 지지력 외에 테두리벽(72)을 통해 리브보강판(70)과 테두리보강판(76)으로 전달되는 또 다른 힘의 전달경로가 형성되면서 보다 견고한 지지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20 : 스토퍼본체 20r : 반사필름
21 : 주차장 바닥 22 : 너트고정부
23 : 앵커볼트 24 : 앵커체결보스
25 : 보강살 26 : 리브
27 : 캡 28 : 끼움홈
29 : 배출구멍 30 : 인서트부시
30t : 수나사부 31 : 환형홈
32 : 헤드부 33 : 수직홈
34 : 앵커삽입구멍 35 : 테이퍼시트
36 : 걸림턱 40 : 테이퍼너트
42 : 공구결합부 50 : 베이스판
50t : 나사구멍 60 : 연장파이프
61 : 이경홈 62 : 노치
70 : 리브보강판 26h,74h,70h : 체결공
71 : 볼트 72 : 테두리벽
73 : 너트 74 : 스페이서
76 : 테두리보강판 77 : 관통홀
W1,W2 : 용접비드

Claims (5)

  1. 스토퍼본체(20)의 안쪽 천장에서 아래쪽을 향해 형성되는 원통형의 너트고정부(22); 상기 너트고정부(22)의 하단으로부터 주차장 바닥(21)으로 연장되고, 중심에 앵커볼트(23)가 삽입되는 중공형의 앵커체결보스(24); 상기 앵커체결보스(24)와 상기 너트고정부(22)의 외주면과 상기 스토퍼본체(20)의 내측 사이에 형성되는 보강살(25); 상기 스토퍼본체(20)의 내측에 형성되는 리브(26); 상기 너트고정부(22)의 상단을 폐쇄하는 캡(27)을 포함하는 건축용 카 스토퍼에 있어서,

    상기 앵커체결보스(24)의 중심으로 삽입되는 인서트부시(30);
    상기 인서트부시(30)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너트고정부(22)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헤드부(32);
    상기 헤드부(32)와 상기 인서트부시(30)의 중심에 형성되는 앵커삽입구멍(34);
    상기 앵커삽입구멍(34)의 상단 모서리에 형성되고 아래쪽으로 향할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원추형의 테이퍼시트(35);
    상기 앵커볼트(23)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고, 아래쪽으로 향할수록 외경이 작아지며, 상기 테이퍼시트(35)에 밀착되는 테이퍼너트(40);
    상기 테이퍼너트(40)의 상부에 형성되는 공구결합부(42);
    상기 인서트부시(3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주차장 바닥(21)에 밀착되는 베이스판(50);
    상기 베이스판(50)을 삽입하기 위해 상기 앵커체결보스(24)와 상기 보강살(25)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끼움홈(28);
    상기 헤드부(32)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으로 형성되는 환형홈(31);
    상기 헤드부(32)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환형홈(31)과 교차되면서 만나는 수직홈(33);
    상기 환형홈(31)과 일치되는 높이에 상기 너트고정부(22)의 안팎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배출구멍(29);
    을 포함하는 건축용 카 스토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단부에는 상기 캡(27)이 결합되고, 상기 너트고정부(22)로 삽입되어 하단부가 상기 헤드부(32)에 지지되는 연장파이프(60);
    상기 헤드부(32)의 상단 모서리에 형성되어 상기 연장파이프(60)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걸림턱(36);
    상기 연장파이프(60)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직홈(33)과 만나는 이경홈(61);
    상기 연장파이프(60)의 하단부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노치(62);
    를 포함하는 건축용 카 스토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부시(3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수나사부(30t);
    상기 베이스판(50)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수나사부(30t)와 결합되는 나사구멍(50t);
    을 포함하는 건축용 카 스토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브(26)에 설치되는 리브보강판(70);
    상기 리브보강판(70)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본체(20)의 내측면과 상기 주차장 바닥(21)에 밀착되는 테두리벽(72);
    상기 리브보강판(70)과 리브(26)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74);
    상기 리브보강판(70)과 거리를 두고 상기 테두리벽(72)의 내측에 설치되는 테두리보강판(76);
    상기 테두리보강판(76)의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홀(77);
    을 포함하는 건축용 카 스토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리브(26)와 스페이서(74), 리브보강판(70)에 서로 중심이 일치되게 형성되는 체결공(26h)(74h)(70h);
    상기 체결공(26h)(74h)(70h)으로 삽입되는 볼트(71);
    상기 볼트(71)와 결합되는 너트(73);
    를 포함하는 건축용 카 스토퍼.
KR1020160162576A 2016-12-01 2016-12-01 건축용 카 스토퍼 KR101725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576A KR101725831B1 (ko) 2016-12-01 2016-12-01 건축용 카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576A KR101725831B1 (ko) 2016-12-01 2016-12-01 건축용 카 스토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5831B1 true KR101725831B1 (ko) 2017-04-13

Family

ID=58579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2576A KR101725831B1 (ko) 2016-12-01 2016-12-01 건축용 카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58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480B1 (ko) * 2020-01-23 2021-02-09 주식회사 신영기업 습기배출로가 구비된 주차 멈춤턱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50549B1 (ko) * 2020-12-16 2021-05-13 호진기계주식회사 야외용 알루미늄 데크플레이트 및 그 제조공법
KR20220103210A (ko) * 2019-12-18 2022-07-21 쓰리 스미쓰 그룹 리미티드 경계 장벽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0847B1 (ko) 1994-12-31 1998-04-27 김광호 자동응답 단말장치에서 원하는 착신호를 알람하는 제어방법
KR0130847Y1 (ko) * 1995-02-13 1998-12-15 박용찬 자동차 충돌 방지구
JPH11159182A (ja) * 1997-11-27 1999-06-15 Saikon Kogyo:Kk 車止め装置及び車止めブロックの固定方法
KR200169742Y1 (ko) * 1999-08-14 2000-02-15 이준표 차량 멈춤턱
KR20010103889A (ko) 2000-05-10 2001-11-24 김인중 폐타이어를 이용한 주차보호 블록
KR200422066Y1 (ko) * 2006-05-10 2006-07-20 정욱조 차량 이탈 방지턱
KR100694169B1 (ko) 2006-03-22 2007-03-12 김정서 차량용 주차블록
KR20080039201A (ko) 2006-10-30 2008-05-07 윤영환 주차블록과 고정브라켓을 갖는 주차용 카 스토퍼
KR100841725B1 (ko) * 2007-10-17 2008-06-27 가부시키가이샤 사이콘 고교 차량 멈춤 블록 및 여기에 사용하는 홀 캡
KR101240414B1 (ko) 2010-09-03 2013-03-11 서상모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0847B1 (ko) 1994-12-31 1998-04-27 김광호 자동응답 단말장치에서 원하는 착신호를 알람하는 제어방법
KR0130847Y1 (ko) * 1995-02-13 1998-12-15 박용찬 자동차 충돌 방지구
JPH11159182A (ja) * 1997-11-27 1999-06-15 Saikon Kogyo:Kk 車止め装置及び車止めブロックの固定方法
KR200169742Y1 (ko) * 1999-08-14 2000-02-15 이준표 차량 멈춤턱
KR20010103889A (ko) 2000-05-10 2001-11-24 김인중 폐타이어를 이용한 주차보호 블록
KR100694169B1 (ko) 2006-03-22 2007-03-12 김정서 차량용 주차블록
KR200422066Y1 (ko) * 2006-05-10 2006-07-20 정욱조 차량 이탈 방지턱
KR20080039201A (ko) 2006-10-30 2008-05-07 윤영환 주차블록과 고정브라켓을 갖는 주차용 카 스토퍼
KR100841725B1 (ko) * 2007-10-17 2008-06-27 가부시키가이샤 사이콘 고교 차량 멈춤 블록 및 여기에 사용하는 홀 캡
KR101240414B1 (ko) 2010-09-03 2013-03-11 서상모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3210A (ko) * 2019-12-18 2022-07-21 쓰리 스미쓰 그룹 리미티드 경계 장벽
KR102453375B1 (ko) 2019-12-18 2022-10-11 쓰리 스미쓰 그룹 리미티드 경계 장벽
KR102214480B1 (ko) * 2020-01-23 2021-02-09 주식회사 신영기업 습기배출로가 구비된 주차 멈춤턱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50549B1 (ko) * 2020-12-16 2021-05-13 호진기계주식회사 야외용 알루미늄 데크플레이트 및 그 제조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5831B1 (ko) 건축용 카 스토퍼
US20050201844A1 (en) Blind rivet nut
US20090008891A1 (en) Lower arm of vehicle suspension
JP7032223B2 (ja) バンパ締結構造
US20220144061A1 (en) Body structure for an electrically operated vehicle
US20050218669A1 (en) Door latch striker
US7059684B1 (en) Attachment for retaining a cover to the wheel of a truck
KR20080039201A (ko) 주차블록과 고정브라켓을 갖는 주차용 카 스토퍼
JP2015527255A (ja) 車両ジャッキポイント及び補強インサート
US11421748B2 (en) Coil spring support for vehicular suspension system
KR101282637B1 (ko) 차량용 서스펜션암의 제조방법
JP4496008B2 (ja) 建築用金具
JP2003343062A (ja) 手摺支柱の取付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95314B2 (ja) 空洞部材の取付構造
JP5354285B2 (ja) バンパホルダの取り付け構造
JPH09291607A (ja) 建築用構造材継手
KR200305582Y1 (ko) 차량 멈춤턱
CN215368690U (zh) 一种建筑钢塑模板
JPH0640140Y2 (ja) 積荷荷崩れ防止用のラッシングレールを装備した運搬容器の側壁構造
CN218750218U (zh) 一种无框车门的车窗玻璃定位结构、无框车门及汽车
CN220786495U (zh) 支撑单元及地台板
JPS6211730Y2 (ko)
US20230182822A1 (en) Panel Assembly for Vehicle
KR20090005953U (ko) 차량용 하이드로포밍 맴버에 설치되는 고정 너트
KR200400356Y1 (ko) 주차 안내 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