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569B1 - 커넥터 및 단자 배치 부재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단자 배치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5569B1
KR101725569B1 KR1020120004324A KR20120004324A KR101725569B1 KR 101725569 B1 KR101725569 B1 KR 101725569B1 KR 1020120004324 A KR1020120004324 A KR 1020120004324A KR 20120004324 A KR20120004324 A KR 20120004324A KR 101725569 B1 KR101725569 B1 KR 101725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
positioning hole
terminal
fit
arrangemen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4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5194A (ko
Inventor
시게토 가타오카
히데토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85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5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01R12/585Terminals having a press fit or a compliant portion and a shank passing through a hole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1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16Fastening of connecting parts to base or case; Insulating connecting parts from base or cas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커넥터에서는, 하우징(1)으로부터 인출된 복수의 압입 단자(3) 각각의 기판 접속부(4)를 단자 배치 부재(11)의 위치 설정 구멍(12)에 삽입하여, 기판(6)의 관통구멍(7)에 대한 압입 단자(3)의 정렬을 조정한다. 단자 배치 부재(11)는 수지제 박판 재료로 이루어진다. 압입 단자(3)의 가이드부(9)를 위치 설정 구멍(12)에 삽입함으로써 압입 단자(3)가 제 위치에 위치하게 되도록, 각 위치 설정(12)의 크기가 설정되어 있다. 슬릿(13)은 위치 설정 구멍(12)의 개구 가장자리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압입부(8)가 위치 설정 구멍(12)을 통과할 때, 압입부(8)가 위치 설정 구멍(12)을 원활하게 통과하도록, 양 슬릿(13)과 위치 설정 구멍(12)이 확장된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단자 배치 부재{CONNECTOR AND TERMINAL ARRANGEMENT MEMBER}
본 발명은 커넥터와 단자 배치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294210호에는, 기판과 관련하여 압입 단자를 사용하는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압입 단자는 기판 접속부를 구비하고, 이 기판 접속부로부터 압입부가 융기되어 있다. 압입부는 기판의 관통구멍에 압입될 수 있고, 그 결과 땜납을 행하지 않고서 커넥터를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 단자 배치 부재는 압입 단자의 정렬을 조정하기 위해 각 압입 단자의 기판 접속부에 장착되어 있다. 위치 설정 구멍은 압입 단자에 대응하게 단자 배치 부재에 관통 형성되어 있다. 각 압입 단자의 전방 단부를 대응하는 위치 설정 구멍에 삽입하여 압입 단자를 제 위치에 위치시킨다.
압입부는 위치 설정 구멍을 통과하여야 하며, 각 압입 단자의 압입부가 기판의 대응하는 관통구멍에 삽입되기 전에 위치 설정 구멍을 확장시켜야 한다. 그러나, 단자 배치 부재는 약 1 ㎜의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제 평판이며, 위치 설정 구멍의 확장 작업시 큰 저항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압입 단자는 변형되기 쉽다.
수지제 박판으로 이루어진 단자 배치 부재가 압입 단자에 저항을 덜 가할 것이다. 그러나, 압입부가 위치 설정 구멍을 통과할 때, 위치 설정 구멍의 주변부가 관통구멍에 들어가게 될 우려가 있다. 그 결과, 단자 배치 부재가 관통 구멍의 도전성 부분과 압입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단자와 기판간의 전기 도전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입 단자를 제 위치에 위치시키는 작업을 행하는 동안에 압입 단자가 기판 상에 장착될 수 있게 하는 커넥터 및 단자 배치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관통구멍이 형성된 기판에 장착 가능한 하우징을 구비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하우징에는 압입 단자가 수용되어 있다. 각 압입 단자는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를 구비한다. 단자 접속부가 후방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대 단자 피팅에 접속 가능하다. 압입부가 압입 단자의 전방 단부 부근에서 융기되어 있고 관통구멍에 압입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각 압입 단자의 압입부가 관통구멍에 삽입되기 전에, 각 압입 단자에 있어서 압입부보다 전방에 있는 부분을 수용하는 위치 설정 구멍을 구비한 단자 배치 부재가, 커넥터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단자 배치 부재는 압입 단자의 압입부가 집단적으로 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한다. 갭 형성부는, 각 위치 설정 구멍의 개구 가장자리에 있어서 압입부의 측방 가장자리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압입부가 위치 설정 구멍을 통과하는 상태에서, 갭 형성부로 인해 각 위치 설정 구멍이 확장될 수 있다.
각 압입 단자의 압입부가 기판의 대응하는 관통구멍에 압입되기 전에, 압입 단자에 있어서 압입부보다 전방에 있는 부분이 위치 설정 구멍 내에 있다. 따라서, 압입 단자에 있어서 압입부보다 전방에 있는 부분이 제 위치에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압입부를 기판의 관통구멍에 삽입하도록, 압입부를 위치 설정 구멍에 통과시킨다. 이때, 압입부의 측방 가장자리는 위치 설정 구멍의 갭 형성부에 있다. 압입부가 위치 설정 구멍을 통과하는 상태에서, 갭 형성부로 인해 위치 설정 구멍의 개구 폭이 위치 설정 구멍의 개구 가장자리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된다. 따라서, 전체 위치 설정 구멍이 쉽게 확장되고, 압입 단자의 기판에의 장착 작업이 용이하게 행해진다.
단자 배치 부재는 수지제 박판 재료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단자 배치 부재가 수지제 평판으로 이루어진 종래 기술에 비하여, 갭 형성부를 통해 위치 설정 구멍이 용이하게 확장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자 배치 부재의 일부분이 관통구멍에 들어가게 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단자 배치 부재는 기판에 대하여 바람직한 도전 상태를 보장한다.
갭 형성부는, 위치 설정 구멍의 개구 가장자리에 있어서 압입부의 양측방 가장자리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형성된 슬릿을 포함한다.
갭 형성부는, 위치 설정 구멍의 개구 가장자리에 있어서 압입부의 측방 가장자리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얇은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갭 형성부를 통해 위치 설정 구멍의 확장 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갭 형성부는, 위치 설정 구멍의 개구 가장자리에 있어서 압입부의 양측방 가장자리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형성된 복수의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진 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갭 형성부가 단자 배치 부재의 절단에 의해서 형성되는 일이 없고 위치 설정 구멍이 의도치 않게 확장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압입 단자는 제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을 관통하는 관통구멍에 압입부가 압입되기 전에 커넥터 하우징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압입 단자를 위치 설정하는 단자 배치 부재에 관한 것이다. 단자 배치 부재는 각 압입 단자의 전방 단부에서 융기되어 있는 압입부의 앞에 배치된다. 갭 형성부가, 위치 설정 구멍의 개구 가장자리에 있어서 압입부의 측방 가장자리에 대향하는 위치의 부근에 형성되어 있다. 압입부가 위치 설정 구멍을 통과할 때, 갭 형성부는 위치 설정 구멍의 개구 가장자리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슬릿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 및 단자 배치 부재는, 압입 단자를 제 위치에 위치시키는 작업을 행하는 동안에 압입 단자가 기판 상에 장착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를 보여주는 후면도이다.
도 3은 단자 배치 부재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압입 단자가 단자 배치 부재에 의해 제 위치에 위치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위치 설정 구멍이 확장되면서 압입 단자가 관통구멍에 삽입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압입 단자가 관통구멍에 정상적으로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대응하는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대응하는 평단면도이다.
도 9는 압입 단자의 압입부가 관통구멍에 정상적으로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단면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2의 위치 설정 구멍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3의 위치 설정 구멍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인쇄 회로 기판용 커넥터(C)는 크기가 서로 다른 2개의 하우징(1)을 구비하며, 하우징(1)이 장착되는 베이스(2) 상에서 상기 두 하우징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각 하우징(1)은, 전방이 개방되어 있고 암형 하우징에 감합될 수 있는 사각 프리즘 형상의 후드(1A)를 구비한다. 또한, 각 하우징(1)에는 압입 단자(3)가 장착된다.
각 압입 단자(3)는 사각핀 형상의 도전성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다. 압입 단자(3)는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하우징의 후방 단부로부터 하우징(1)의 후벽(1B)을 통해 압입된다. 그 결과, 각 압입 단자(3)의 일단부의 단자 접속부(18)가 후드(1A) 안으로 돌출된다. 암형 커넥터 하우징과 수형 커넥터 하우징이 서로 감합될 때, 압입 단자(3)와 암형 단자 피팅은 단자 접속부(18)에서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될 수 있다.
각 압입 단자(3)는 단자 접속부(18)의 반대편에 있는 기판 접속 단부를 구비한다. 각 기판 접속 단부는 하우징(10)의 후벽(1B)으로부터 후방으로 수평하게 돌출된 후, 그 길이방향의 중간에서 거의 수직 하방으로 구부려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C)는 하우징(1)의 높이방향의 3개의 단(段) 각각에 있어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 개의 압입 단자(3)를 구비한다. 3개의 단의 압입 단자(3)는 하우징(1)의 폭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상에 배치되어 있다. 최하단의 압입 단자(3) 각각의 기판 접속 단부는 하우징(1)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하방으로 구부러져 있는 반면에, 최상단의 압입 단자(3) 각각의 기판 접속 단부는 하우징(1)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서 하방으로 구부러져 있다.
각 압입 단자(3)의 기판 접속 단부에는 기판 접속부(4)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가압 숄더(5)가 기판 접속부(4)의 위에 달려 있고, 기판 접속부(4)를 기판(6)의 관통구멍(7)에 밀어 넣을 때, 가압 지그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가압 숄더에 의해 기판 접속부(4)에 가압력이 가해진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각 관통구멍(7)의 벽에는 전기 도전성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각 기판 접속부(4)는, 관통구멍(7)에 접속되는 압입부(8)와, 기판 접속부(4)의 전방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9)를 구비한다. 압입부(8)는 그 길이방향의 중앙부에서 최대의 폭을 갖고, 상기 중앙부로부터 그 길이방향의 양단부를 향해 갈수록 압입부의 폭은 점차 줄어든다. 압입부(8)의 중앙부에는 창(10)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압입부(8)와 유사하게, 창(10)은 그 길이방향의 중앙부에서 최대의 폭을 갖고, 상기 중앙부로부터 그 길이방향의 양단부를 향해 갈수록 창의 폭은 점차 줄어든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입부(8)의 길이방향의 중앙에서의 최대폭(W1)이 관통구멍(7)의 직경(W2)보다 약간 크다. 따라서, 압입부(8)가 관통구멍(7) 내에 위치하게 될 때, 압입부(8)는 탄성 변형되고, 소정의 접촉 압력으로 관통구멍(7)의 벽에 접촉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압입부(8)의 단면 형상은 대략 타원형이다. 압입부(8)의 장축측에서의 각 측방 가장자리(8A)는 원호형의 면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9)의 폭은 관통구멍(7)의 직경보다 훨씬 작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가이드(9)의 단면 형상은 대략 정사각형이지만, 그 4개의 코너는 원호형이다.
하우징(1)과는 별개로 형성된 단자 배치 부재(11)는 하우징(1)으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각 압입 단자(3)의 기판 접속부(4)를 위치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각 단자 배치 부재(11)는 대략 직사각형이고, 적정 강도를 갖는 수지제 시트(예를 들어 두께가 약 0.1 ㎜인 PET)로 만들어진다. 위치 설정 구멍(12)은 압입 단자(3)의 기판 접속부(4)의 배치에 대응하게 단자 배치 부재(11)에 관통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위치 설정 구멍(12)은 단자 배치 부재(11)의 단변측(短邊側) 방향으로는 3열로, 그리고 단자 배치 부재의 장변측 방향으로는 복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위치 설정 구멍(12)은 실질적으로 원형이며, 기판(6)의 각 관통구멍(7)과 동축 관계에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위치 설정 구멍(12)의 자연 상태에서의 직경은 압입 단자(3)의 가이드(9)의 대각선의 치수보다 작다. 각 압입 단자(3)의 가이드(9)가 위치 설정 구멍(12)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9)의 각 코너는 위치 설정 구멍(12)의 개구 가장자리에 의해 붙잡힌다. 각 압입 단자(3)의 가이드(9)가 위치 설정 구멍(12)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9)의 각 코너는 위치 설정 구멍(12)의 개구 가장자리에 의해 붙잡히게 된다. 따라서, 단자 배치 부재(11)는 압입 단자(3)로부터 떨어지는 일 없이 압입 단자에 의해 유지된다.
자연 상태에서, 위치 설정 구멍(12)의 직경(W3)은 압입부(8)의 최대폭(W1)보다 작다(W1>W3). 도면에서, 압입부(8)의 두께방향의 치수는 위치 설정 구멍(12)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지만, 이 두께는 위치 설정 구멍(12)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위치 설정 구멍(12)을 확장하기 위한 갭 형성부가 각 위치 설정 구멍(12)의 개구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의 갭 형성부는 한 쌍의 슬릿(13)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슬릿(13)은, 위치 설정 구멍(12)의 개구 가장자리에 있어서 각 압입 단자(3)의 압입부(8)의 양측방 가장자리(8A)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슬릿(13)은 단자 배치 부재(11)를 그 두께방향으로 관통한다. 자연 상태에서, 양 슬릿(13)은 일정한 폭을 형성하고, 각 위치 설정 구멍(12)의 슬릿(13)의 길이방향의 폐쇄 단부간의 거리(W4)는, 압입 단자(3)가 단자 배치 부재(11)에 삽입되기 전의 압입부(8)의 최대폭(W1)의 치수보다 크다. 따라서, 압입부(8)가 위치 설정 구멍(1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위치 설정 구멍(12)은 평면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으므로, 압입부를 용이하게 통과시킬 수 있다.
커넥터(C)가 기판(6)에 장착되기 전에, 압입 단자(3)의 기판 접속부(4)는 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압입 단자(3)의 기판 접속부(4)를 대응하는 위치 설정 구멍(12)에 끼워 넣고, 그 안에 가볍게 밀어 넣어, 가이드(9)를 위치 설정 구멍(12)에 삽입한다(도 4와 도 7 참조). 가이드(9)를 각 위치 설정 구멍(12)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압입 단자(3)의 정렬이 조정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9)의 코너가 위치 설정 구멍(12)에 접촉하고, 이 코너가 위치 설정 구멍에 약간 비집고 들어가서, 위치 설정 구멍(12)의 개구 가장자리에 붙잡히게 된다. 따라서, 위치 배치 부재(11)가 압입 단자(3)로부터 떨어지지 않는 상태로, 위치 배치 부재(11)가 유지된다.
그 후에, 단자 배치 부재(11)가 압입 단자(3)를 제 위치에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커넥터(C)가 기판(6) 위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압입 단자(3)의 가이드(9)의 전방 단부와 압입 단자(3)의 축은 대응하는 관통구멍(7)과 정렬된다. 그 후에, 단자 배치 부재(11)가 기판(6)에 밀접하게 될 때까지, 기판 접속부(4)를 각 관통구멍(7)에 밀어 넣는다. 압입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기판 접속부(4)는 대응하는 관통구멍(7)에 점차 삽입된다. 이때, 압입부(8)는 각 위치 설정 구멍(12) 안으로 이동한다. 압입부(8)가 각 위치 설정 구멍(12)을 통과해 감에 따라, 위치 설정 구멍(12)이 점차 넓어지고, 각 슬릿(13)의 폭이 그 개방 단부에서부터 폐쇄 단부까지 확장된다. 따라서, 압입부(8)가 각 위치 설정 구멍(12)을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전체 위치 설정 구멍(12)이 확장 및 변형된다. 압입부(8)가 각 관통구멍(7)에 소정의 정상 깊이까지 삽입되었을 때, 압입부(8)의 측방 가장자리(8A)에서의 최대폭 영역이 관통구멍(7)에 소정의 접촉 압력으로 접촉한다(도 9 참조). 그 결과, 압입 단자(3)는 각 관통구멍(7)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위치 설정 구멍(12)으로부터 단자 배치 부재(11)를 가로지르게 형성된 슬릿(13)의 작용으로 인하여, 압입부(8)가 위치 설정 구멍(12)을 통과할 때 위치 설정 구멍(12)이 용이하게 확장 및 변형된다. 따라서, 압입부(8)는 저항을 조금 받고, 변형되는 일 없이 위치 설정 구멍(12)을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다. 측방 가장자리(8A)가 슬릿(13)을 슬릿의 폭 방향으로 확장시키면서, 압입부(8)의 양측방 가장자리(8A)가 위치 설정 구멍(12)을 통과한다. 따라서, 압입부(8)의 측방 가장자리(8A)에 의해 위치 설정 구멍 부근의 수지가 관통구멍(7)에 들어가게 되는 일이 없고, 압입부(8)의 측방 가장자리(8A)와 관통구멍(7)의 벽면의 사이에 단자 배치 부재(11)의 어떤 부분도 끼이지 않는다. 그 결과, 압입 단자(3)는 관통구멍(7)에 대해 적절한 전기 접속을 이룬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제1 실시형태의 갭 형성부는, 단자 배치 부재(11)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13)에 의해 형성된다. 제2 실시형태의 갭 형성부는, 단자 배치 부재(11A)에 있어서 압입 단자(3)의 삽입 방향의 반대편에 있는 표면에 형성된 홈(14)으로 형성된다. 홈(14)은 단자 배치 부재(11A)를 그 두께방향으로 완전히 관통하지는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 설정 구멍(12A)의 개구 가장자리에 있어서 압입 단자(3)의 압입부(8)의 양측방 가장자리(8A)에 대향하는 위치에 2개의 홈(14)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홈(14)은 위치 설정 구멍(12A)의 개구 가장자리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배치 부재(11A)에 있어서 기판(6)의 반대편에 있는 표면에 약간의 두께를 남김으로써, 두 홈(14)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단자 배치 부재(11A)의 얇은 부분의 강도는, 압입부(8)의 양측방 가장자리(8A)가 위치 설정 구멍(12A)을 통과할 때 상기 얇은 부분이 쉽게 파열되도록 설정된다.
위치 설정 구멍(12A)의 직경과 두 절취 홈(14)의 길이 치수는, 제1 실시형태의 슬릿(13)의 치수와 마찬가지로 설정된다. 제2 실시형태의 다른 구성은 제1 실시형태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2 실시형태의 위치 설정 구멍(12A)의 개구 가장자리는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해 있다. 따라서, 압입 단자(3)를 위치 설정하는 동안에 위치 설정 구멍(12A)이 의도치 않게 확장되는 일이 없고, 위치 설정 구멍(12A)의 위치 설정 기능이 보장된다. 제2 실시형태의 그 밖의 작용 및 효과는 제1 실시형태의 것과 유사하다.
도 12와 도 13은 단자 배치 부재(11B)의 제3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제3 실시형태의 갭 형성부는 천공부(16)에 의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 설정 구멍(12)의 개구 가장자리에 있어서 각 압입 단자(3)의 압입부(8)의 양측방 가장자리(8A)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천공구멍(17)을 배치함으로써, 2개의 천공부(16)가 형성된다.
압입부(8)가 위치 설정 구멍(12B)을 통과할 때, 이웃하는 천공구멍(17) 사이의 부분이 쉽게 파열된다. 이웃하는 천공구멍(17)이 서로 통하게 됨으로써, 제1 실시형태의 개구 가장자리와 마찬가지로, 위치 설정 구멍(12B)의 개구 가장자리에 슬릿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 슬릿을 통해 위치 설정 구멍(12B)이 쉽게 확장된다.
제3 실시형태의 그 밖의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제1 및 제2 실시형태의 것과 유사하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하의 실시형태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위치 설정 구멍(12)과 압입 단자(3)의 가이드(9)는, 가이드(9)의 네 코너만이 위치 설정 구멍(12)의 개구 가장자리에 겹쳐지는 치수 관계를 갖는다. 그러나, 위치 설정 구멍(12)과 압입 단자(3)의 가이드(9)는, 가이드(9)의 전체 둘레가 위치 설정 구멍(12)의 개구 가장자리에 겹쳐지는 치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압입 단자(3)의 압입부(8)는 압입부(8)를 관통하는 창(10)을 구비한다. 그러나, 압입부(8)가 관통구멍(7)에 소정의 접촉 압력으로 접촉하도록 압입부(8)가 탄성 변형될 수 있다면, 압입부(8)는 창(10)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Claims (18)

  1. 관통구멍(7)이 관통 형성된 기판(6)에 장착하는 커넥터(C)로서,
    기판(6)에 장착 가능한 하우징(1);
    하우징(1)에 장착되며, 하우징(1)으로부터 돌출되는 융기형 압입부(8)를 각각 구비하고, 관통구멍(7) 중의 하나에 압입되도록 각각 배치되는 압입 단자(3); 및
    각 관통구멍(7)에 삽입되기 전에, 각 압입 단자(3)에 있어서 압입부(8)보다 전방에 있는 부분을 수용하여 압입 단자(3)를 위치 설정하도록 배치 및 치수 설정된 위치 설정 구멍(12)과, 각 위치 설정 구멍(12)의 개구 가장자리의 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며 대응하는 압입부(8)가 위치 설정 구멍(12)을 통과할 때 각 위치 설정 구멍(12)의 확장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갭 형성부(13; 14; 16, 17)을 구비하는 단자 배치 부재(11)
    를 포함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단자 배치 부재(11)는 수지제 시트 재료로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단자 배치 부재(11)의 수지제 시트 재료의 두께가 0.1 ㎜인 것인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위치 설정 구멍(12)은 압입 단자(3)의 압입부(8)보다 단면이 작은 것인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갭 형성부(13; 14; 16, 17)는 각 압입부(8)의 최대폭에 해당하는 상기 압입부(8)의 측방 가장자리(8A)와 정렬되도록 배치되는 것인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갭 형성부(13)는, 상기 위치 설정 구멍(12)의 개구 가장자리 영역에 있어서 압입부(8)의 측방 가장자리(8A)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슬릿(13)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13)은 단자 배치 부재(11)를 완전히 관통하여 연장되는 것인 커넥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갭 형성부(14)는, 상기 위치 설정 구멍(12)의 개구 가장자리 영역에 있어서 압입부(8)의 측방 가장자리(8A)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홈(14)을 포함하고, 각각의 홈(14)은 단자 배치 부재(11)의 두께를 부분 관통하여 연장되는 것인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홈(14)의 깊이 치수는, 단자 배치 부재(11)의 나머지 부분(15)이 홈(14)에 인접해 유지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나머지 부분(15)의 치수는, 압입부(8)를 눌러 위치 설정 구멍(12)을 통과시킬 때 파열되도록 설정되는 것인 커넥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갭 형성부(16, 17)는, 위치 설정 구멍(12)의 개구 가장자리 영역에 있어서 압입부(8)의 측방 가장자리(8A)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정해진 간격을 두고 나란히 형성된 천공구멍(17)의 어레이로 이루어진 천공부(16, 17)를 포함하는 것인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단자 배치 부재(11)에 있어서 천공구멍(17) 사이에 있는 부분의 치수는, 압입부(8)를 눌러 위치 설정 구멍(12)을 통과시킬 때 파열되도록 설정되는 것인 커넥터.
  11. 복수의 압입 단자(3) 각각에 있어서 하우징(1)으로부터 돌출되며 각 압입 단자(3)의 융기형 압입부(8)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을 위치 설정하기 위한 단자 배치 부재(11)로서,
    압입 단자(3)에 있어서 하우징(1)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과 정렬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각 압입부(8)보다 작은 단면적을 각각 갖는 위치 설정 구멍(12); 및
    단자 배치 부재(11)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하게 형성되고, 각 위치 설정 구멍(12)의 개구 가장자리에 있어서 압입부(8)의 최대폭을 형성하는 각 압입부(8)의 측방 가장자리(8A)와 정렬되는 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압입부(8)가 상기 위치 설정 구멍(12)을 통과할 때, 각 위치 설정 구멍(12)의 상기 개구 가장자리의 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슬릿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것인 적어도 하나의 갭 형성부(13; 14; 16, 17)
    를 포함하는 단자 배치 부재.
  12. 제11항에 있어서, 단자 배치 부재(11)는 수지제 시트 재료로 형성되는 것인 단자 배치 부재.
  13. 제12항에 있어서, 단자 배치 부재(11)의 수지제 시트 재료의 두께가 0.1 ㎜인 것인 단자 배치 부재.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갭 형성부(13)는, 상기 위치 설정 구멍(12)의 개구 가장자리 영역에 있어서 압입부(8)의 측방 가장자리(8A)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슬릿(13)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13)은 단자 배치 부재(11)를 완전히 관통하여 연장되는 것인 단자 배치 부재.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갭 형성부(14)는, 상기 위치 설정 구멍(12)의 개구 가장자리 영역에 있어서 압입부(8)의 측방 가장자리(8A)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홈(14)을 포함하고, 각각의 홈(14)은 단자 배치 부재(11)의 두께를 부분 관통하여 연장되는 것인 단자 배치 부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홈(14)의 깊이 치수는, 단자 배치 부재(11)의 나머지 부분(15)이 홈(14)에 인접해 유지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나머지 부분(15)의 치수는, 압입부(8)를 눌러 위치 설정 구멍(12)을 통과시킬 때 파열되도록 설정되는 것인 단자 배치 부재.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갭 형성부(16, 17)는, 위치 설정 구멍(12)의 개구 가장자리 영역에 있어서 압입부(8)의 측방 가장자리(8A)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정해진 간격을 두고 나란히 형성된 천공구멍(17)의 어레이로 이루어진 천공부(16, 17)를 포함하는 것인 단자 배치 부재.
  18. 제17항에 있어서, 단자 배치 부재(11)에 있어서 천공구멍(17) 사이에 있는 부분의 치수는, 압입부(8)를 눌러 위치 설정 구멍(12)을 통과시킬 때 파열되도록 설정되는 것인 단자 배치 부재.
KR1020120004324A 2011-01-21 2012-01-13 커넥터 및 단자 배치 부재 KR1017255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10650A JP5531974B2 (ja) 2011-01-21 2011-01-21 コネクタ及び端子整列部材
JPJP-P-2011-010650 2011-0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194A KR20120085194A (ko) 2012-07-31
KR101725569B1 true KR101725569B1 (ko) 2017-04-10

Family

ID=46528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4324A KR101725569B1 (ko) 2011-01-21 2012-01-13 커넥터 및 단자 배치 부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85833B2 (ko)
JP (1) JP5531974B2 (ko)
KR (1) KR101725569B1 (ko)
CN (1) CN1026109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65789B2 (ja) * 2012-08-31 2016-08-1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EP2963684B1 (en) 2013-02-26 2023-06-0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Power semiconductor device
JP5420809B1 (ja) * 2013-06-04 2014-02-19 株式会社岡崎製作所 Miケーブルの端部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006806A (ja) 2013-06-05 2016-01-14 富士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
US9681571B2 (en) * 2014-02-21 2017-06-13 Wells Manufacturing, L.P. Electrical connection box and apparatus
US9979105B2 (en) 2015-05-15 2018-05-2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Power semiconductor device
JP2018516442A (ja) * 2015-06-03 2018-06-21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低プロファイル電気コネクタ
JP6380244B2 (ja) * 2015-06-15 2018-08-29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電力変換装置
US10931064B2 (en) * 2019-04-15 2021-02-23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formal pin organizer
JP2022068976A (ja) * 2020-10-23 2022-05-1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構造
CN113687538B (zh) * 2021-08-16 2024-01-05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
CN113436936A (zh) * 2021-08-29 2021-09-24 江西韬瑞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防止接触不良的继电器安装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0377A (ja) 2003-05-21 2004-12-09 Sumitomo Wiring Syst Ltd 回路体および該回路体を収容した自動車用電気接続箱
JP2005302614A (ja) 2004-04-14 2005-10-27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コネクタとプリント基板との組付け構造および組付け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4287U (ja) * 1983-06-10 1984-12-2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ネクタ−
JPH0537435Y2 (ko) * 1988-01-27 1993-09-21
JPH071704B2 (ja) * 1989-05-31 1995-01-1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ネクタ端子用リテーナ
US5037334A (en) * 1990-11-30 1991-08-06 Amp Corporated Connector with equal lateral force contact spacer plate
JPH0574524A (ja) * 1991-04-02 1993-03-26 Canon Inc 回路基板用コネクタ及びこれを用いた基板と装置
JP3145452B2 (ja) * 1991-12-27 2001-03-12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接触子固定手段を備えたコネクタ
US5522730A (en) * 1993-07-01 1996-06-04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pin field
JPH07282919A (ja) * 1994-04-08 1995-10-27 Hitachi Ltd エンジン制御装置の部品実装方法
US5931686A (en) * 1995-04-28 1999-08-03 The Whitaker Corporation Backplane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to a backplane
JP3312088B2 (ja) * 1995-07-25 2002-08-0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タインプレート及びタインプレート付きコネクタ
TW502885U (en) * 2001-03-02 2002-09-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6494724B1 (en) * 2001-10-02 2002-12-17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tail aligning device
JP2005294210A (ja) * 2004-04-05 2005-10-20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コネクタとプリント基板との組付け構造および組付け方法
JP5124934B2 (ja) 2005-02-04 2013-01-23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撮像装置
JP4121538B1 (ja) * 2007-03-12 2008-07-23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アライメントプレートおよび電気コネクタ
EP2186167A2 (de) * 2007-07-31 2010-05-19 Phoenix Contact GmbH & Co. KG Anschlussblock
CN201112784Y (zh) * 2007-08-03 2008-09-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5077820B2 (ja) * 2007-11-01 2012-11-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端子整列板および端子整列板付き実装部品
US7690946B2 (en) * 2008-07-29 2010-04-0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tact organizer for an electrical connec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0377A (ja) 2003-05-21 2004-12-09 Sumitomo Wiring Syst Ltd 回路体および該回路体を収容した自動車用電気接続箱
JP2005302614A (ja) 2004-04-14 2005-10-27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コネクタとプリント基板との組付け構造および組付け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85833B2 (en) 2013-07-16
KR20120085194A (ko) 2012-07-31
JP5531974B2 (ja) 2014-06-25
JP2012151063A (ja) 2012-08-09
CN102610949B (zh) 2015-11-11
CN102610949A (zh) 2012-07-25
US20120190242A1 (en) 201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5569B1 (ko) 커넥터 및 단자 배치 부재
EP2211424A1 (en) Electrical connector
EP3660985A1 (en) Connector
JPH08241771A (ja) プリント回路板取付用の電気コネクタ
US9106009B2 (en) Electrical contact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JP2009070587A (ja) 中間電気コネクタ
CN108390173B (zh) 基板用连接器
US8821187B2 (en) Board connector
KR20070016978A (ko) 기판용 전기 커넥터
US10256557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1107400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 configuration
CN102195152A (zh) 基板用的端子
US11031709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and mounting arrangement for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US9515394B2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and connector
KR101029668B1 (ko) 표면장착 헤더 조립체
US8007304B2 (en) Contact strip having pre-break recess with gradient width and deep
JP5344992B2 (ja) 回路基板用コネクタの内部端子
CN109713480B (zh) 电连接器及电连接器组合
KR20220098219A (ko) 가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한 플러그
CN110233370B (zh) 端子、连接器以及连接器装置
JP5015826B2 (ja) 電気コネクタ
KR20160135882A (ko) 전선 접속용 전기 커넥터
KR20050050581A (ko) 억지 끼워맞춤용 컨택트 및 이것을 이용한 억지 끼워맞춤커넥터
JP2006331711A (ja) コネクタ
US20120064773A1 (en) Contac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