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8219A - 가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한 플러그 - Google Patents

가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한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8219A
KR20220098219A KR1020227019668A KR20227019668A KR20220098219A KR 20220098219 A KR20220098219 A KR 20220098219A KR 1020227019668 A KR1020227019668 A KR 1020227019668A KR 20227019668 A KR20227019668 A KR 20227019668A KR 20220098219 A KR20220098219 A KR 20220098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opening
wall
guide plate
contact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9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니엘 후멜
하네스 칼하머
빌라로보스 휴고 알베르토 라미레츠
마르톤 곤딕스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098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82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47Lead-in-hol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295Metallic connector elements partly mounted in a hole of the P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절연성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플러그, 특히 전기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플러그는 특히 스탬핑된 다수의 전기 접촉 와이어, 특히 접촉 핀을 포함한다. 접촉 와이어는 각진 단면, 특히 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가이드 플레이트 내의 개구부를 통해 안내되고 가이드 플레이트 밖으로 돌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구부는 가이드 플레이트의 두께 연장부를 따라 가이드 샤프트를 포함한다. 가이드 샤프트는 접촉 와이어의 평평한 면을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평면 벽을 포함한다. 가이드 샤프트는 또한 평면 벽 반대편에 그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벽 영역을 포함하고, 이 벽 영역은 접촉 와이어의 코너와 접촉하도록 설계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샤프트는 접촉 와이어가 개구부를 통해 안내될 때 접촉 와이어의 코너를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벽 영역에 대해 누르고 코너에 형성된 버(burr)를 변형하도록, 특히 구부리도록 설계된다.

Description

가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한 플러그
본 발명은 전기 절연성 가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한 플러그, 특히 전기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플러그는 특히 스탬핑된 다수의 전기 접촉 와이어, 특히 접촉 핀을 갖는다. 접촉 와이어는 각진 단면, 특히 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가이드 플레이트 내의 개구부를 통해 안내되고 가이드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된다.
플러그의 접촉 와이어용 가이드 플레이트는 US 700 47 66 B2에 알려져 있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접촉 와이어의 통과를 위한 개구부들을 갖고, 상기 개구부들은 타원형 또는 다이아몬드형 삽입 깔때기 및 상응하는 형태의 개구부를 갖는다.
인쇄 회로 기판 내의 개구부에 납땜하도록 설계된, 스탬핑된 접촉 와이어들을 갖는 플러그의 경우, 스탬핑 중에 접촉 와이어에 생긴 버(burr)는 인쇄 회로 기판 내로 삽입될 때 또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통해 안내될 때 부러지거나 분리될 수 있고 전기 장치에서 틴셀(tinsel)로서 단락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구부는 가이드 플레이트의 두께 연장부를 따라 가이드 샤프트를 갖는다. 가이드 샤프트는 접촉 와이어의 평평한 면을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평면 벽을 갖는다. 가이드 샤프트는 또한 평면 벽 반대편에 이것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장된 벽 영역을 갖고, 상기 벽 영역은 접촉 와이어의 코너에 접촉하도록 설계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샤프트는 접촉 와이어가 개구부를 통해 안내될 때 접촉 와이어의 코너를 비스듬하게 연장된 벽 영역에 대해 누르고 코너에 형성된 버를 변형하도록, 특히 구부리도록 설계된다. 접촉 와이어의 양호한 평평한 안내는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샤프트의 평평한 면에 의해 보장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반대편에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벽 영역에 의해, 평면 벽 영역을 통한 안내와 관련하여, 가이드 플레이트 내의 접촉 와이어 및 따라서 서로 인접한 접촉 와이어들 사이의 높은 위치 정확도가 달성될 수 있다. 접촉 와이어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변형 과정에 의해 추가로 구부러지고 및/또는 엠보싱되는 스탬핑된 판금 부품으로 설계된다. 이 경우 스탬핑 절삭 공구는 접촉 와이어의 제조를 위해 제공되는 판금 블랭크의 지지면에 배치되고, 카운터 절삭 공구, 예를 들어 다이와 협력하여 판금 블랭크로부터 하나 또는 다수의 접촉 와이어를 정의된 윤곽으로 절단한다. 제조상의 이유로, 스탬핑 절삭 공구의 지지면 반대편에 있는 버 측은 각각의 전단 에지로부터 돌출한 버를 각각의 전단 에지에 갖는다. 개구부를 통해 접촉 와이어를 조립하는 동안 버의 절단은 개구부의 정의된 성형에 의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접촉 와이어의 버(burr) 측은 비스듬하게 연장된 벽 영역을 향한다. 따라서 접촉 와이어의 지지면은 평면 벽을 향한다. 특히, 접촉 와이어가 개구부를 통해 안내될 때 지지면은 평면 벽에 접하고 접촉 와이어의 지지면은 낮은 기계적 응력으로 개구부를 통해 안내될 수 있다. 또한 통과 안내 동안 개구부의 벽과 접촉하게 되는 접촉 와이어의 버 측의 버는 바람직하게는 절단되지 않고, 오히려 이것에 비스듬하게 작용하는 접촉력에 의해 단지 구부러진다. 바람직하게는 버는 분리된 버 입자가 틴셀로서 생성되지 않도록 접촉 와이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부러진 버는 더 바람직한 위치를 취하므로, 예를 들어 솔더 접촉을 형성하기 위해 접촉 와이어가 이후에 인쇄 회로 기판 내의 개구부를 통과할 때에도 쉽게 끊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버는 구부러짐으로써 접촉 와이어, 특히 접촉 와이어의 평평한 면으로 접힐 수 있으며, 이는 결국 틴셀 형성의 위험이 매우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회피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인쇄 회로 기판 내의 개구부 및 거기에 형성된 솔더 접촉을 통한 접촉 와이어의 후속 통과 후에, 접촉 와이어의 지지면이 지지 방식으로 개구부 내의 평면 벽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을 향한 접촉 와이어의 상응하는 배치에 의해 시행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배치에 의해, 예를 들어 접촉 와이어의 변형의 결과로 접촉 와이어 내의 사전 응력이 유효하므로, 사전 응력은 지지면을 개구부 내의 평면 벽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지지 접촉까지 이동시킨다. 평면 지지에 의해, 고점 하중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효해지는 위스커(whisker) 형성의 위험이 크게 감소하는데, 그 이유는 동시에 버 측도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벽 영역에 대해 최대 거리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접촉 와이어는 바람직하게는 구리 와이어이고, 특히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형성된다. 또한 접촉 와이어는 부분적으로만 주석 도금될 수 있거나 납땜 가능한 및/또는 땜납 습윤 코팅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와이어가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개구부는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 평면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가이드 플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접촉 와이어, 특히 접촉 핀 상으로 밀려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벽 영역의 단면은 호 형상, 특히 원호 형상이다. 바람직하게는 반원통형 개구부 벽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버는 호형 개구부 벽에 대해 가압될 때 호형 또는 원호형 개구부 벽에 의해 균일하게 구부러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벽 영역은 V자형 또는 지붕형이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지붕형 베벨 상의 버는 베벨에 상응하는 각도 위치로 구부러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V자형의 각도는 60도 내지 160도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V자형의 각도가 90도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버는 비교적 작은 개구부 치수로 크게 구부러질 수 있다.
개구부는 바람직하게는 삽입 깔때기를 갖고, 상기 삽입 깔대기에 가이드 샤프트가 이어진다. 삽입 깔때기를 사용하면 각각의 개구부를 통해 접촉 와이어를 쉽게 삽입하거나 끼울 수 있다. 이 경우 개구부에 대한 접촉 와이어의 축 센터링되지 않은 정렬도 안정적으로 보상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삽입 깔때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서큘러 콘(circular cone) 형태로 설계된다. 바람직하게, 삽입 깔때기는 모든 면에서 균일한 접촉 와이어의 위치 이동을 잡을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삽입 깔때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피라미드 형상이다. 따라서 삽입 깔때기는 가이드 홈을 형성하는 피라미드 코너를 따라 접촉 와이어를 가이드 샤프트로 바람직하게 안내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삽입 깔때기는 평면 벽측의 영역에서 평평한 베벨을 갖고, 삽입 깔때기는 이것 반대편 측에서 콘 섹션, 특히 잘린 콘 섹션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와이어는 평평한 베벨을 따라, 더 바람직하게는 평평한 베벨을 한정하는 2개의 V자형 홈에 의해 가이드 샤프트 내로 안내될 수 있으며, 상기 콘 섹션의 영역에서 버를 변형하기 위해 둥근 또는 지붕형 벽 영역으로 안내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삽입 깔때기는 평면 벽측의 영역에서 평평한 베벨을 갖고 반대편 측에 하나 또는 2개의 가이드 홈을 갖는다. 따라서 접촉 와이어의 코너는 피라미드 코너, 특히 피라미드 코너의 V자형 홈에서 가이드 샤프트로 바람직하게 미끄러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러그는 플러그 하우징을 갖는다. 가이드 플레이트는 플러그 하우징과의 플러그인 연결을 위한 리세스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플레이트는 접촉 와이어 상에 부착될 수 있고 플러그 하우징에 플러그인 연결, 특히 스냅-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개구부의 단면에서, 개구부, 특히 가이드 샤프트의 세로 치수는 개구부의 가로 치수와 동일하다. 삽입 깔때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샤프트는 바람직하게 작은 외부 치수로 제공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 또는 추가적으로 플러그 하우징은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플라스틱은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PMMA(PMMA =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POM(POM = 폴리-옥시-메타크릴레이트) 또는 ABS(ABS =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PBT(PBT = 폴리-부타디엔-테레프탈레이트), 또는 ASA 공중합체(ASA =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에스테르)이다.
본 발명은 이제 도면들 및 추가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변형예들은 도면들 및 종속 청구항들에 설명된 특징들의 조합으로부터 주어진다.
도 1은 플러그 및 접촉 와이어용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접촉 시스템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접촉 와이어 상의 버(burr)를 변형하도록 설계된 둥근 벽 영역을 갖는 개구부를 갖는다.
도 2는 플러그 및 접촉 와이어용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접촉 시스템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접촉 와이어 상의 버를 변형하도록 설계된 지붕형 벽 영역을 갖는 개구부를 갖는다.
도 3은 접촉 와이어 상의 버를 변형하도록 설계된 가이드 플레이트 상의 개구부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상기 개구부는 깔때기 원주를 따라 평평한 및 만곡된 영역들을 갖는 깔때기 벽을 갖는 삽입 깔때기를 갖는다.
도 4는 접촉 와이어 상의 버를 변형하도록 설계된 가이드 플레이트 상의 개구부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상기 개구부는 깔때기 원주를 따라 가이드 홈을 갖는 깔때기 벽을 갖는 삽입 깔때기를 갖는다.
도 5는 삽입 깔때기가 계단식으로 설계된 상태에서 접촉 와이어 상의 버를 변형하도록 설계된 가이드 플레이트 상의 개구부의 실시예를 단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플러그의 접촉 와이어가 통과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갖는 플러그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은 접촉 시스템(1)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접촉 시스템(1)은 가이드 플레이트(2)를 갖는다. 가이드 플레이트(2)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3)를 갖는다. 개구부(3)는 접촉 와이어(4)의 통과를 위해 설계되며 접촉 와이어(4)용 가이드 샤프트를 형성한다. 이 실시예에서, 접촉 와이어(4)는 사각형, 특히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접촉 와이어(4)는 특히 평평한 면(5)을 갖는다. 평평한 면(5)은 특히 접촉 와이어(4)를 제조할 때 스탬핑 절삭 공구를 위한 지지면에 해당한다. 접촉 와이어(4)는 면(5) 반대편에 2개의 코너(6, 7)를 갖는다. 버(burr)(8)는 코너(6)에 형성되고 버(burr)(9)는 코너(7)에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버(8, 9)는 스탬핑 공구를 사용하여 시트로부터 접촉 와이어(4)를 스탬핑할 때 생성되며, 이 경우 스탬핑 공구는 면(5)을 둘러싸면서 면(5)으로부터 코너(6 및 7)까지 와이어(4)를 스탬핑하였다. 코너들에는 버(8 및 9)가 생성되었다. 따라서 평평한 면(5)의 반대측은 제조로 인해 생성되는 접촉 와이어(4)의 버(burr) 측에 해당한다.
개구부(3)는 개구부(3)의 노출부를 형성하는 평면 개구부 벽(10)을 갖는다. 평면 벽(10) 반대편에서, 개구부(3), 따라서 가이드 플레이트(2)는 오목한 개구부 벽(11)을 갖는다. 벽(10)과 오목한 벽(11)은 각각 개구부(3)의 노출부를 따라 주변 섹션을 형성한다.
개구부(3)는 세로 치수(13) 및 이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가로 치수(14)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세로 치수(13)는 가로 치수(14)에 상응한다. 평면 개구부 벽(10)의 반대편에 있는 오목한 개구부 벽(11)의 곡률은 이 실시예에서 곡률 반경(15)을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곡률 반경(15)은 가로 치수(14)의 절반이고, 따라서 세로 치수(13)의 절반이다.
접촉 와이어(4)는 개구부(3) 내로 삽입될 때, 버(8, 9) 반대편에 배치된 평평한 면(5)으로 평면 벽(10)에 접할 수 있고 거기서 접한 상태로 개구부(3) 내로 미끄러질 수 있다. 버(8, 9)는 둥근 개구부 벽(11), 특히 라운딩에 의해 형성된 베벨(12)에서 서로에 대해 구부러진다. 특히 접촉 와이어(4)가 인쇄 회로 기판의 개구부 내로 더 삽입될 때 버(8, 9)는 더 이상 인쇄 회로 기판의 개구부 에지에 접할 수 없고 불리하게도 거기서 끊어진다.
도 2는 개구부(21)를 갖는 가이드 플레이트(22)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개구부(21)는 접촉 와이어(27)의 통과를 위해 설계되고 접촉 와이어(27)를 위한 가이드 샤프트를 형성한다. 개구부(21)는 주변 섹션으로서 개구부(21)의 노출 원주를 따라 형성된 평면 개구부 벽(23)을 갖는다. 평면 개구부 벽(23)의 반대편에서, 개구부(21)는 단면이 V자형인 또는 지붕형인 개구부 벽을 갖는다. V자형 개구부 벽은 평면 개구부 벽(23)에 대해 비스듬하게 배치된 개구부 벽(24) 및 상기 개구부 벽(24)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각도(26)로 연장되는 개구부 벽(25)을 포함한다. 개구부 벽들(24, 25)은 각각 개구부(21)의 단면에서 V자 형상의 다리를 형성한다. 레그(24, 25)의 교점으로부터 반대편 평면 벽(23)까지 연장되는 수직선(20)은 평면 벽(23)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이 실시예에서 평면 벽(23)에 대해 각각 비스듬하게 배치된 개구부 벽들(24 및 25) 사이에 연장되는 각도(26)의 이등분선을 형성한다.
이 실시예에서 접촉 와이어(27)는 개구부(21) 내로 도입된다. 접촉 와이어(27)는 이 실시예에서 개구부(21) 내로 삽입될 때 평면 벽(23)에 안착되는 평평한 면(16)을 갖는다. 평평한 면(16)은 특히 접촉 와이어(27)를 제조할 때 스탬핑 절삭 공구를 위한 지지면에 해당한다. 평평한 면(16)의 반대편에서, 특히 접촉 와이어의 버(burr) 측에서, 접촉 와이어(27)는 2개의 코너(28 및 29)를 갖는다. 버(31)는 코너(28)에 형성되고, 버(30)는 코너(29)에 형성된다. 개구부(21) 내로 삽입될 때, 버들은 벽부들(24, 25)로 형성된 V자형 개구부 벽에서 꺽이고 따라서 서로를 향해 구부러진다.
이 실시예에서, 개구부(21)의 가로 치수(32)는 개구부(21)의 세로 치수(33)에 해당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개구부(21)는 개구부의 최대 폭 치수와 같지 않 은, 특히 더 크거나 작은 최대 세로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가이드 플레이트(17)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가이드 플레이트(17)는 접촉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70)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개구부(70)는 접촉 와이어를 위한 가이드 샤프트를 형성한다. 개구부(70)는 이 실시예에서 삽입 깔때기(34)를 갖는다. 개구부(70)는 또한 평면 개구부 벽(69)을 갖는다. 삽입 깔때기(34)는 평면 벽(69)의 영역에서 평면 벽(69)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각도로 연장되는 평평한 베벨(37)을 갖는다. 따라서 접촉 와이어는 평평한 베벨(37)의 한 단부면에 형성된 에지로 개구부(70) 내로 미끄러질 수 있다. 평평한 베벨(37)은 2개의 홈들(35, 36), 특히 가이드 홈들에 의해 한정된다.
홈들(35, 36)은 깔때기 주위를 따라 남은 깔때기 영역에 대한 비스듬한 깔때기 벽(37)의 경계를 형성한다. 이 실시예에서, 베벨(37)은 홈들(35, 36) 및 상기 홈들(35, 36)에 각각 인접한 깔때기 벽과 함께 잘린 콘 피라미드의 일부 또는 절반을 형성한다. 삽입 깔때기(34)는 평면 개구부 벽(69)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각도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비스듬한 깔때기 벽(37)에 대해 잘린 하프 콘형, 특히 잘린 하프 서큘러 콘형으로 설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깔때기 벽에서, 접촉 와이어의 2개의 코너가 개구부(70) 내로 삽입될 때 개구부(7) 내로 미끄러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개구부(70)는 가로 치수(39)와 동일한 크기인 세로 치수(38)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개구부(70)는 개구부의 최대 폭 치수와 동일하지 않은, 특히 더 크거나 작은 최대 세로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삽입 깔때기(34)는 도 1에 도시된 가이드 플레이트(2)에서 개구부(3)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3)는 도 3의 개구부(70)를 대신한다.
도 4는 삽입 깔때기(44)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삽입 깔때기(44)는 개구부(71)를 둘러싸고, 접촉 와이어를 개구부(71)를 통해 안내하기 위해 포획하도록 설계된다.
이 실시예에서 접촉 와이어의 가이드 샤프트를 형성하는 개구부(71)와 이것을 둘러싸는 삽입 깔때기(44)는 가이드 플레이트(18) 내에 형성된다. 개구부(71)는 평면 개구부 벽(41)을 포함하고, 상기 평면 개구부 벽의 반대편에는 단면으로 볼 때 각각 V-레그를 형성하는 2개의 개구부 벽들(47 및 48)이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삽입 깔때기(44)는 4개의 홈들(42, 43, 45, 46), 특히 가이드 홈들을 가지며, 상기 홈들은 각각 개구부(71)의 개구부 코너로 이어진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와이어의 코너는 상기 홈들 중 하나에서 홈의 길이방향 연장부를 따라 개구부(71) 내로 안내될 수 있다. 삽입 깔때기(44)는 평면 개구부 벽(41)의 반대편에서 둥근 에지 영역(40)을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깔때기 벽 영역(40)은 잘린 콘 세그먼트, 특히 잘린 콘 서클 세그먼트로 설계된다.
이 실시예에서, 개구부(41)의 세로 치수에 가로질러 형성된 개구부(71)의 가로 치수(49)는 세로 치수(50)와 같다. 이 실시예에서, 세로 치수(50)는 개구부(71)의 단면에서 평면 개구부 벽(41)의 세로 치수에 해당한다. 이 실시예에서, 가로 치수(49)는 베벨들(47, 48)에 의해 형성된 정점으로부터 평면 개구부 벽(41)까지의 수직선의 세로 치수에 해당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개구부(71)는 개구부의 최대 폭 치수와 동일하지 않은, 특히 더 크거나 작은 최대 세로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삽입 깔때기(44)는 도 2에 도시된 가이드 플레이트(22)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개구부(21)는 도 4에 도시된 개구부(71)를 대신한다. 따라서 삽입 깔때기(44)는 도 2에 도시된 개구부(21)를 둘러싼다. 도 4에 도시된 평면 개구부 벽(41)은 도 2에 도시된 평면 개구부 벽(23)을 대신하고, 평면 개구부 벽(41)에 대해 비스듬하게 배치된 반대편 개구부 벽(47)은 개구부 벽(24)을 대신하며, 비스듬하게 배치된 개구부 벽(48)은 개구부 벽(25)을 대신한다. 접촉 와이어(27)는 삽입 깔대기(44) 내에 포획되어 개구부(21) 내로 안전하게 미끄러진다. 그런 다음, 버(30, 31)는 비스듬한 개구부 벽들(47, 48)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71)의 지붕 영역에서 구부러진다.
도 5는 가이드 플레이트(19)에 형성된 삽입 깔때기(52)를 갖는 개구부(51)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개구부(51)는 가이드 샤프트(72)를 갖는다. 가이드 샤프트(72)는 예를 들어 단면에서 도 1 또는 도 2에 따라 전술한 개구부들 중 하나의 형상 및 치수를 갖는다.
도 5에 도시된 삽입 깔때기(52)는 이 실시예에서 계단식 삽입 각도로 설계된다. 삽입 깔때기(52)는 미리 정해진 깔때기 각도(73)를 갖는 깔때기 벽 영역(55)을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가이드 플레이트(19) 내의 개구부의 가이드 샤프트(72)의 길이방향 연장부(53)는 가이드 플레이트(19)의 두께 연장부를 따른 삽입 깔때기(52)의 길이방향 연장부(54)보다 크다.
삽입 깔때기(52)는 깔때기 벽 영역(56)을 가지며, 상기 깔대기 벽 영역(56)의 깔때기 각도(74)는 깔때기 벽 영역(55)의 깔때기 각도(73)보다 작다. 깔때기 벽 영역(56)은 깔때기 벽 영역(55)과 가이드 샤프트(72) 사이에 연장된다.
따라서 깔때기 벽 영역(55)은 제 1 깔대기 단계를 형성하고, 깔때기 벽 영역(56)에 의해 형성된 제 2 깔때기 단계가 상기 제 1 깔때기 단계에 이어진다. 깔때기 벽(56)에 의해 형성된 제 2 깔때기 단계는 버,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버(8 또는 9), 또는 도 2에 도시된 버(30 또는 31)를, 이러한 버가 형성될 수 있는 접촉 와이어(59)를 삽입하는 동안, 점차적으로 구부리고 따라서 접촉 와이어(59)로 접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버(8 또는 9)는 변형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 2 깔때기 단계의 세로 치수(58)는 각각 가이드 플레이트(19)의 두께 연장부를 따라 제 1 깔때기 단계의 세로 치수(57)에 해당한다.
도 6은 단면도로 도시된 플러그(6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플러그(60)는 플러그 하우징(62), 특히 플라스틱 하우징을 갖는다. 플러그(60)는 또한 다수의 접촉 와이어를 가지며, 이 실시예에서는 4개의 접촉 와이어를 갖는다. 접촉 와이어들 중 하나는 예를 들어 도 1에 이미 도시된 접촉 와이어(4)이다. 접촉 와이어(4)의 단부 섹션은 메이팅 플러그(4)의 접촉을 위해 형성된 플러그(60)의 리셉터클 내로 연장된다. 접촉 와이어(4)의 반대편 단부는 하우징(60)으로부터 떨어져 구부러지도록 연장되고 인쇄 회로 기판(61)에 납땜되도록 설계된다.
이 실시예에서, 플러그(60)는 추가의 접촉 와이어들(63, 64, 65)을 포함하며, 상기 추가의 접촉 와이어들은 각각 접촉 와이어(4)에 평행하게 이격되어 연장된다. 접촉 와이어들(4, 63, 64, 65)은 각각 각각의 접촉 와이어를 위해 가이드 플레이트(2)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과한다. 가이드 플레이트(2)는 플러그(60)의 일부일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2)와의 연결을 위해, 플러그(60)는 가이드 플레이트(2) 내의 리세스(67)에 맞물리도록 설계된 돌출부(68)를 갖는다. 따라서 가이드 플레이트(2)는 돌출 영역(68) 상으로 밀릴 수 있고 따라서 하우징(62)에 압력 끼워맞춤 방식 및/또는 형상 끼워맞춤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접촉 와이어(4)는 가이드 플레이트(2) 내의 개구부(3)를 통해 안내된다. 개구부(3)는 도 1에 도시된 개구부(3)에 상응하게 가이드 플레이트(2)에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디자인은 도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에 적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접촉 와이어(4) 또는 추가의 접촉 와이어들(63, 64 또는 65)에 형성된 버는 개구부의 비스듬한 벽 영역에서 구부러져 변형될 수 있다. 그 다음, 플러그(60)의 접촉 와이어들은 인쇄 회로 기판(61), 특히 THT 인쇄 회로 기판(THT = Through-Hole-Technology)의 각각의 개구부 내로 안내될 수 있고, 솔더(66)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61)에 납땜될 수 있다. 납땜된 상태에서, 접촉 와이어들(4, 63, 64, 65)은 플러그와 인쇄 회로 기판(61) 사이에 특히 약간 변형된 배열에 있으므로 사전 응력이 그들에 유효하여 접촉 와이어들(4, 63, 64, 65)은 개구부(3, 21)에서 평평한 벽(5, 16) 쪽으로 이동되어 특히 벽에 접하게 된다. 접촉 와이어들(4, 63, 64, 65)은 접촉 와이어(4, 63, 64, 65)의 접촉면(5)이 평평한 벽(10, 23)을 향하고 버 측이 오목한 개구부 벽(11) 또는 비스듬한 개구부 벽(24, 25)을 향하도록, 가이드 플레이트(2, 22) 내의 개구부(3, 21) 내에서 배향된다.
플러그(60)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접촉 와이어에서 나오는 어떤 버 틴셀도 단락을 유발할 수 없다. 또한, 플러그(60)의 작동 중 위스커 형성이 현저히 감소된다.
2, 17, 18, 19, 22: 가이드 플레이트
3, 21, 51, 70, 71: 개구부
4, 27, 59, 63, 64, 65: 접촉 와이어
10, 23, 41: 평면 벽
11, 55, 56: 벽 영역
24, 25, 55, 56: 벽 영역
34, 44, 52: 삽입 깔대기
60: 플러그
62: 플러그 하우징
70, 71, 72; 가이드 샤프트

Claims (12)

  1. 전기 절연성 가이드 플레이트(2, 22, 17, 18, 19)를 구비한 플러그(60)로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 22, 17, 18, 19)는 특히 스탬핑된 다수의 전기 접촉 와이어(4, 27, 59, 63, 64, 65)를 갖고, 상기 접촉 와이어(4, 27, 59, 63, 64, 65)는 각진, 특히 사각형 단면을 갖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 22, 17, 18, 19) 내의 개구부(3, 21, 51, 70, 71)를 통해 안내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 22, 17, 18, 19)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플러그(60)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3, 21, 51, 70, 71)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 22, 17, 18, 19)의 두께 연장부를 따라 가이드 샤프트(70, 71, 72)를 갖고, 상기 가이드 샤프트(70, 71, 72)는 상기 접촉 와이어(4, 27, 59, 63, 64, 65)의 평평한 면을 안내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평면 벽(10, 23, 41)을 갖고 그 반대편에 그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벽 영역을 갖고, 상기 벽 영역은 상기 접촉 와이어(4, 27, 59, 63, 64, 65)의 코너에 접촉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가이드 샤프트는 상기 접촉 와이어(4, 27, 59, 63, 64, 65)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안내될 때 상기 코너를 상기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벽 영역에 대해 누르고 상기 코너에 형성된 버(burr)를 변형, 특히 구부리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6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 영역(11, 55, 56)의 단면이 호형, 특히 원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60).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 영역(24, 25, 55, 56)은 V자형 또는 지붕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60).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V자형의 각도(26)가 60도 내지 16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60).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26)는 적어도 9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60).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3, 21, 51, 70, 71)는 상기 가이드 샤프트(70, 71, 72)가 연결되는 삽입 깔때기(34, 37, 44, 5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60).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깔때기(34, 37, 44, 5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큘러 콘형으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60).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깔때기(34, 37, 44, 5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라미드형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60).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깔때기(34, 44, 52)는 평면 벽측(10, 23, 69, 41)의 영역에 평평한 베벨(37)을 갖고, 반대편 측에서 콘 섹션(40)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60).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깔때기(34, 44, 52)는 평면 벽측(10, 23, 69, 41)의 영역에 평평한 베벨(37)을 갖고, 반대편 측에 가이드 홈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60).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60)는 플러그 하우징(62)을 갖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 22, 17, 18, 19)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62)과의 플러그인 연결을 위한 리세스(67)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60).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3, 21, 51, 70, 71)의 세로 치수(13, 33, 38, 50)는 상기 개구부(3, 21, 51, 70, 71)의 가로 치수(14, 32, 30, 49)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60).
KR1020227019668A 2019-11-20 2020-10-23 가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한 플러그 KR202200982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217862.6A DE102019217862A1 (de) 2019-11-20 2019-11-20 Stecker mit einer Führungsplatte
DE102019217862.6 2019-11-20
PCT/EP2020/079868 WO2021099059A1 (de) 2019-11-20 2020-10-23 Stecker mit einer führungsplat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219A true KR20220098219A (ko) 2022-07-11

Family

ID=73014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9668A KR20220098219A (ko) 2019-11-20 2020-10-23 가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한 플러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344862A1 (ko)
EP (1) EP4062498A1 (ko)
JP (1) JP2023502681A (ko)
KR (1) KR20220098219A (ko)
CN (1) CN114731005A (ko)
DE (1) DE102019217862A1 (ko)
WO (1) WO20210990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211669A1 (de) 2022-11-04 2024-05-08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Steuergerät, Antriebseinheit mit einem Steuergerä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Antriebseinhei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6263A (en) * 1988-03-30 1992-05-26 Amp Incorporated Connector for posted terminals
JPH01296576A (ja) * 1988-05-25 1989-11-29 Nippon Ee M P Kk 電気コネクター
JP2003272751A (ja) * 2002-03-15 2003-09-26 Sumitomo Wiring Syst Ltd 基板用コネクタ
JP4049077B2 (ja) * 2003-10-20 2008-02-20 住友電装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JP4112475B2 (ja) * 2003-10-31 2008-07-0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タインプレート
JP4899889B2 (ja) * 2007-01-24 2012-03-2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9033012A (ja) * 2017-08-09 2019-02-28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
EP3471220A1 (en) * 2017-10-16 2019-04-17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Bent electric contact element with chamfered edges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44862A1 (en) 2022-10-27
CN114731005A (zh) 2022-07-08
JP2023502681A (ja) 2023-01-25
WO2021099059A1 (de) 2021-05-27
EP4062498A1 (de) 2022-09-28
DE102019217862A1 (de)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4422B2 (en) Electrical component, in particular relay socket, having spring clamps,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JP4737780B2 (ja) 平坦な整列表面を有する表面実装型ヘッダ組立体
KR101725569B1 (ko) 커넥터 및 단자 배치 부재
US9325093B2 (en) Connector terminal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JP2008532247A (ja) 平坦な整列表面を有する2体の表面実装型ヘッダ組立体
US7611363B2 (en) Connector
EP3609024A1 (en) Connector assembly
JP5298249B1 (ja) 基板間コネクタのソケット及び基板間コネクタ
US5533910A (en) Electrical connector
US9595782B2 (en) Pin with angled retention member
JP2018092780A (ja) 抜け防止構造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
KR20220098219A (ko) 가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한 플러그
US9004936B2 (en) Edge connector
CN102195152B (zh) 基板用的端子
KR101931094B1 (ko) 통합된 록킹 장치를 포함하는 직접 플러그인 부재
KR101029668B1 (ko) 표면장착 헤더 조립체
KR100515993B1 (ko) 전기 커넥터용 접촉자 및 그 접촉자를 구비한 전기커넥터
US20150380852A1 (en) Connector terminal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US20160120024A1 (en) Linear Conductor Connection Terminal
JP7191380B2 (ja) コネクタ
KR101032933B1 (ko) 억지 끼워맞춤용 컨택트 및 이것을 이용한 억지 끼워맞춤커넥터
EP2169784A2 (en) Connector terminal structure,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connector
JP3024946U (ja) 電気コネクタのターミナル
JP7388706B2 (ja) 角線端子、コネクタ、角線端子の製造方法およ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2019061770A (ja) 電気コネクタ及び端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