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409B1 -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너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5409B1
KR101725409B1 KR1020150179578A KR20150179578A KR101725409B1 KR 101725409 B1 KR101725409 B1 KR 101725409B1 KR 1020150179578 A KR1020150179578 A KR 1020150179578A KR 20150179578 A KR20150179578 A KR 20150179578A KR 101725409 B1 KR101725409 B1 KR 101725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gear
guide block
inclined surface
main
recl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9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용
신용희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50179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4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13Gear wheel driven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4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provided with a lock mechanism on the upper part of the back-rest
    • B60N2/443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복수의 가이드블록이 마련된 로어파트; 로어파트의 중앙부에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가압돌기가 형성된 메인캠; 및 가이드블록의 사이에 마련되어 내외측으로 슬라이딩되며, 메인캠의 회전에 따라 가압돌기에 가압되어 외측으로 슬라이딩되고, 가이드블록과 접하는 측면은 테이퍼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경사면에는 탄성부가 마련되어 락킹시 유격을 저감하는 락기어;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너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너 {RECLINER OF SEA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대비 리클라이너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으면서도 유격을 제거할 수 있는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차량용 시트는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과, 엉덩이에서 허벅다리를 지지하는 시트쿠션으로 구성된다. 상기 시트백은 리클라이너에 의해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구조이며, 리클라이너는 사용자는 최적의 운전 자세를 갖추기 위한 편리한 조절 기능과 조절 후의 시트백 각도의 유지기능 및 추돌 시 승객을 보호할 수 있는 강도를 필요로 한다.
최근에는 미세한 조절이 용이하도록 무단으로 각도 조절되는 무단 리클라이너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자동차의 연비를 위하여 최근 경량화에 따라 시트 코어부품인 리클라이너도 경량화에 많은 관심이 대두되면서 소형화, 경량화 추세이나 그에 따라 강도나 유격에 대해서 취약해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너의 분해사시도로서, 샤프트(9) 및 로어파트(1)에 커버링(8)에 의해 결합되는 어퍼파트(7)와 로어파트(1)와 어퍼파트(7) 사이에 구성되는 컨트롤 플레이트(5), 메인캠(4), 락 스프링(6), 서브캠(3), 락기어(2)로 구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종래에는 샤프트(9)의 회전 시 메인캠(4)이 회전되고, 메인캠(4)의 회전에 의해 서브캠(3)이 회전되어 락기어(2)를 직선운동시키는 구조로서, 메인캠(4)의 회전운동을 서브캠(3)이 직선운동하여 다시 락기어(2)가 직선운동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서브캠(3)이 직선운동해야 할 거리와 락기어(2)가 직선운동되는 거리가 필수적으로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리클라이너 전체의 직경이 커질 수 밖에 없는 구조였다.
또한, 한 쌍의 락 스프링(6)인 태엽 스프링에 지지되는 구조이므로 태엽스프링의 풀리는 속도와 정도에 따라 시간차가 발생하며, 한 쌍의 서브캠(3)의 직선운동되는 동작성 및 시간적 차이에 따라 양쪽의 락킹 시간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유격 감소를 목적으로 락기어(2)에 락기어(2)를 밀어주는 서브캠(3)이 추감됨으로써, 컨트롤 플레이트(5)에 의해 구동되어지는 파트가 늘어나게 되어 락킹 및 락킹 해제 시 작동이 원활하지 않고 서브캠(3)의 거동이 불완전하여 하프 락킹(half locking)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
따라서, 리클라이너의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도 유격을 제거하고, 서브캠에 의해 락기어의 작동 안정성 및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너가 필요한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0907370 B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리클라이너의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도 유격을 제거하고, 서브캠에 의해 락기어의 작동 안정성 및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너는 복수의 가이드블록이 마련된 로어파트; 로어파트의 중앙부에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가압돌기가 형성된 메인캠; 및 가이드블록의 사이에 마련되어 내외측으로 슬라이딩되며, 메인캠의 회전에 따라 가압돌기에 가압되어 외측으로 슬라이딩되고, 가이드블록과 접하는 측면은 테이퍼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경사면에는 탄성부가 마련되어 락킹시 유격을 저감하는 락기어;를 포함한다.
락기어는 경사면에 내측으로 만입된 만입홈이 형성되고 만입홈에 탄성부가 마련될 수 있다.
락기어의 탄성부는 락기어의 테두리를 두르는 커버형상일 수 있다.
락기어는 경사면에 내측으로 만입된 만입홈이 형성되고 탄성부는 락기어의 테두리를 두르며 만입홈을 덮는 형상일 수 있다.
락기어는 각각의 양 측면이 각각 마주하는 가이드블록에 접하되 일측면은 테이퍼진 경사면이고 타측면은 경사지지 않은 수직면일 수 있다.
락기어의 가이드 블록과 접하는 측면은 수직구간과 경사구간으로 구성되며 수직구간이 외측에 위치되고 경사구간이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락기어의 경사면에 접하는 가이드블록의 측면은 경사면에 대응되는 경사를 갖을 수 있다.
탄성부는 수지 재질일 수 있다.
탄성부는 락기어가 인서트된 상태로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는 수지 재질이며 락기어를 두르되 만입홈에 채워질 수 있다.
탄성부는 금속 재질로서 만입홈을 덮음으로써 만입홈과의 사이에 변형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너 에 따르면 강도증대를 위해 일반적으로 파인 블랭킹 가공법으로 성형되는 통상적인 락기어와는 달리, 파인 블랭킹 가공법으로 만입홈이 성형되되 만입홈에 인서트 사출을 통해 탄성부를 형성한 락기어를 마련함으로써, 유격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락기어에 만입홈 및 경사면을 형성하여 외측으로 슬라이딩시 가이드블록 사이에 쐐기처럼 억지끼움됨으로써, 유격을 제거하는 효과가 증대되게 된다.
또한, 메인캠의 회전력을 중간에 별도로 전달하는 서브캠을 삭제하고, 메인캠의 가압돌기를 통해 락기어 및 메인락기어에 다이렉트로 전달함으로써, 여러개의 서브캠을 적용함으로써 발생되는 시트 좌우측의 리클라이너의 락킹 시간차(이단 락킹)에 대한 문제도 해결하여 작동안정성을 확보하고 작동의 정확성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락기어의 경우에는 어퍼파트의 기어치와 치합이 되지 않도록 형성할 수도 있어 순수하게 유격을 제거하는 목적으로 조립할 수도 있다. 따라서, 종래 대비 리클라이너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으며, 강성증대 및 유격제거의 강건설계가 가능해진다.
서브캠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리클라이너의 반경을 최소화시켜 사이즈를 줄이면서도 치형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고, 동시에 유격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부품수를 줄여 경량화 및 원가절감의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안정성 및 동작성이 확보되어 품질이 개선되며, 서브캠이 별도로 구성되지 않아 락기어 및 메인캠의 조립이 용이하여 조립성이 향상되어 생산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락기어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락킹시 락기어의 상태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의 락킹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2의 락킹 해제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너 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락기어(1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락킹시 락기어(100)의 상태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도 2의 락킹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2의 락킹 해제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너는 복수의 가이드블록(210,220)이 마련된 로어파트(200); 로어파트(200)의 중앙부에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가압돌기(310)가 형성된 메인캠(300); 및 가이드블록(210,220)의 사이에 마련되어 내외측으로 슬라이딩되며, 메인캠(300)의 회전에 따라 가압돌기(310)에 가압되어 외측으로 슬라이딩되고, 가이드블록(220)과 접하는 측면은 테이퍼진 경사면(130)으로 형성되며 경사면(130)에는 탄성부(180)가 마련되어 락킹시 유격을 저감하는 락기어(1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메인락기어(500)와 락기어(100)가 총4개가 마련되고, 메인가이드블록(210)과 가이드블록(220)이 총 4개가 마련된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되, 용이한 이해를 위하여 락기어(100)와 가이드블록(220)은 각각 하나인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락기어(100)와 가이드블록(220)은 각각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으며, 락기어(100)와 가이드블록(220)의 수가 증가되면 메인락기어(500)와 메인가이드블록(210)은 증가된 락기어(100)와 가이드블록(200)의 수만큼 감소될 수 있으며, 상기한 내용은 설계나 환경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가 얼마든지 용이하게 변경가능하되, 이러한 변경에 따라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도 3을 바탕으로 락기어(1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락기어(100)의 외주면에는 제1기어치(110)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외측으로 만입된 걸림홈(120)이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경사면(130)과 타측면의 수직면(160)으로 형성될 수 있다.
락기어(100)는 가이드블록(220)과 메인가이드블록(210)의 사이에 마련되어 내외측으로 슬라이딩되도록 마련된다. 즉, 락기어(100)는 메인캠(300)의 회전에 따라 가압돌기(310)에 가압되어 외측으로 슬라이딩되는데, 가이드블록(220)과 접하는 측면은 테이퍼진 경사면(130)으로 형성되며 경사면(130)에는 탄성부(180)가 마련되어 락킹시 유격을 저감하게 된다. 특히, 락기어(100)의 경사면(130)에는 내측으로 만입된 만입홈(170)이 형성되는데, 만입홈(170)에는 탄성부(180)가 마련되어, 락기어(100)의 슬라이딩하여 가이드블록(220)에 끼임시 탄성부(180)가 변형되어 가이드블록(220)에 끼움결합되되, 결합해제시 만입홈(170)의 탄성부(180)가 탄성적으로 원상복귀되는 구조인 것이다.
또한, 락기어(100)의 탄성부(180)는 락기어(100)의 테두리를 폭방향으로 두르는 커버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락기어(100)는 경사면(130)에 내측으로 만입된 만입홈(170)이 형성되고, 탄성부(180)는 락기어(100)의 테두리를 두르며 만입홈(170)을 덮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락기어(100)는 각각의 양 측면이 각각 마주하는 가이드블록(220)과 메인가이드블록(210)에 접하되 일측면은 테이퍼진 경사면(130)이고 타측면은 경사지지 않은 수직면(160)으로 형성된다. 또한, 락기어(100)의 가이드블록(220)과 접하는 측면은 일직선을 형성하는 경사면이 아니라, 경사면이 수직구간과 경사구간으로 구성되되, 수직구간이 중심으로부터 외측에 위치되고, 경사구간이 내측에 위치된다.
특히, 락기어(100)의 경사면(130)에 접하는 가이드블록(220)의 측면은 경사면(130)에 대응되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캠(300)의 회전시 가압돌기(310)에 의해 락기어(100)가 가압되어 외측으로 슬라이딩되고, 이때 로어파트(200)의 가이드블록(220)과 메인가이드블록(210) 사이에 슬라이딩된 락기어(100)가 경사면(130)과 경사(221)가 맞닿아 슬라이딩되게 된다. 계속적으로 락기어(100)가 가압되면, 가이드블록(220)과 메인가이드블록(210) 사이의 폭이 점점 좁아져 락기어(100)의 측면이 변형되면서 락기어(100)의 만입홈(170)에 의해 가이드블록(220)과 메인가이드블록(210) 사이에 락기어(100)가 삽입되어 쐐기처럼 끼움결합됨으로써, 유격이 제거되는 것이다. 따라서, 락기어(100)는 경사면(130)과 가이드블록(220)의 경사(221)에 의해 의해 가이드될 수 있으며, 보다 밀착된 상태로 삽입되어 동작이 부드러워지게 되며, 마찰 및 소음에 강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종래와는 다르게 어퍼파트(400)의 제2기어치(410)와 치합되도록 메인락기어(500)들 중 하나 이상을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만입홈(170)과 탄성부(180)를 갖는 락기어(100)를 마련함으로써, 메인캠(300)의 회전시 로어파트(200)의 가이드블록(220)의 경사(221)와 락기어(100)의 경사면(130)이 밀착되어 슬라이딩되게 된다. 따라서, 락기어(100)의 삽입과 동시에 락기어(100)가 양측으로 가압되어 가이드블록(220)과 메인가이드블록(210) 사이에 쐐기처럼 락기어(100)가 삽입되어 유격이 제거되는 것이다.
락기어(100)는 스틸재질로 형성되되, 락이어(100)의 만입홈(170)을 채우는 탄성부(180)는 변형과 원복이 자유로운 수지 재질,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성형될 수 있다. 탄성부(180)는 락기어(100)가 인서트된 상태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
또한, 락기어(100)의 탄성부(180)가 커버형상인 경우에도 탄성부(180)는 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되어 락기어(100)를 두르되, 탄성부가(180) 만입홈(170)에 채워질 수 있다. 혹은, 탄성부(180)도 락기어(100)와 마찬가지로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만입홈(170)을 덮도록 형성됨으로써, 만입홈(170)과의 사이에 변형공간을 형성하여, 락기어(100)의 가이드블록(220)에 끼임시 변형공간이 변형되어 밀착됨으로써, 가이드블록(220)과 락기어(100)와의 사이에 공간을 없애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락기어(100)의 경우에는 파인블랭킹 가공법으로 락기어(100)에 만입홈(170)을 형성하되, 만입홈(170)에 인서트 사출을 통해 탄성부(180)를 마련하여 가이드블록(220)에 끼임시 탄성부(180)가 변형되어 가이드블록(220)에 락기어(100)가 쐐기처럼 억지끼움 결합됨으로써, 유격을 제거하여 소음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너는 후면에는 내주면을 따라 제2기어치(410)가 형성되고, 전방측에서 로어파트(200)를 커버링하는 어퍼파트(400)와 외주면에는 제2기어치(410)에 대응되는 제3기어치(510)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외측으로 만입된 걸림홈(520)이 형성되며, 메인캠(300)에 의해 메인가이드블록(210) 사이에서 락기어(100)와 동시에 외측으로 슬라이딩되는 복수의 메인락기어(500)가 마련된다. 더불어, 일단은 로어파트(200)에 결합되고, 타단은 메인캠(300)에 결합되는 탄성부재(600)가 전방에서 결합되며, 복수의 고정홀(730), 복수의 가이드홀(720) 및 복수의 고정홈(730)이 형성되어 메인캠(300), 락기어(100) 및 메인락기어(50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컨트롤 플레이트(700)가 더 포함된다.
메인캠(300)에는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가압돌기(310)가 형성되고, 전방으로 돌출된 고정돌기(320)가 형성되어 고정돌기(320)는 컨트롤 플레이트(700)의 고정홈(730)에 결합된다. 따라서, 메인캠(300)의 회전 시 컨트롤 플레이트(700)가 일체로 함께 회전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메인캠(300)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중간에서 전달하는 부재없이 락기어(100) 및 메인락기어(500)가 가압돌기(310)에 의해 직접적으로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모든 메인락기어(500) 및 락기어(100)가 동시에 동작하여 어느 한 부품의 동작이 지연되지 않아 시간차없이 동시에 락킹 동작이 형성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 또한, 락기어(100) 및 메인락기어(500)의 전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140,530)가 형성되어 메인캠(300)의 회전시 가이드돌기(140,530)가 컨트롤 플레이트(700)의 가이드홀(720) 내에서 가이드됨으로써,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되어 동작의 정확성이 확보된다.
탄성부재(600)는 일단은 로어파트(200)의 메인가이드블록(210) 전면에 형성된 탄성홈(211)에 결합되고, 타단은 컨트롤 플레이트(700)의 고정홀(730)을 관통하여 메인캠(300)의 외주면 즉, 가압돌기(310)와 가압돌기(310)의 사이에 결합되어 락킹 및 락킹 해제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로어파트(200), 어퍼파트(400), 메인캠(300) 및 컨트롤 플레이트(700)의 중심측에는 각각 관통홀(230,420,330,740)이 형성되어 샤프트(800)가 관통결합되며, 샤프트(800)에는 레버(미도시)가 마련되어 레버의 회전에 의해 샤프트(800)가 회전되고, 샤프트(800)의 회전에 의해 메인캠(300)이 회전되는 구조인 것이다.
어퍼파트(400)의 전방측에는 어퍼파트(400)의 외측을 감싸는 커버링(900)이 더 포함되고, 커버링(900)에는 후방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끼움부(910)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로어파트(200)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고정부(240)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끼움부(910)와 고정부(240)가 번갈아 위치하여 끼움결합됨으로써, 로어파트(200)와 어퍼파트(400)의 체결력을 증대시키면서도 리클라이너 자체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5는 도 2의 락킹시를 도시한 도면이골, 도 6은 도 2의 락킹 해제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을 통해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너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너를 후방측에서부터 전방측으로 결합되는 순서를 나열하면, 로어파트(200)와 로어파트(200)의 전방에 메인락기어(500), 락기어(100) 및 메인캠(300)이 결합되고, 그 전방에 컨트롤 플레이트(700)가 결합되며, 컨트롤 플레이트(700)의 전방에 탄성부재(600)가 끼워지고, 커버링(900)에 의해 로어파트(200)와 결합되는 어퍼파트(400)의 순서로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메인가이드블록(210), 탄성홈(211), 고정홈(730), 고정돌기(320), 가이드홀(720) 및 고정홀(710) 등의 개수를 특정하여 도시하고 설명하나, 이러한 상세한 구성은 통상의 기술자가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설계변형하여 적용가능함을 밝힌다.
사용자가 시트백의 각도 조절을 위하여 레버를 작동한다고 가정하면, 리클라이너는 현재는 시트백이 고정된 상태이므로 도 5의 락킹상태이고, 레버를 조작하면 락킹이 해제되므로 도 6의 상태가 되었다가 고정을 위하여 레버를 놓게 되면, 다시 도 5의 락킹 상태가 된다.
도 5의 상태에서 리클라이너의 레버를 작동하게 되면,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샤프트(800)에 의해 메인캠(300)이 화살표 D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메인캠(300)이 회전하면 메인캠(300)의 고정돌기(320)와 결합된 컨트롤 플레이트(700)가 동시에 회전을 하게 되고, 메인락기어(500) 및 락기어(100)를 지지하던 메인캠(300)의 가압돌기(310)가 메인락기어(500) 및 락기어(100)의 걸림홈(520,120)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와 동시에 컨트롤 플레이트(700)의 가이드홀(720)에 끼워진 메인락기어(500) 및 락기어(100)의 가이드돌기(530,140)가 가이드홀(720)을 따라 내측인 화살표 E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되고, 어퍼파트(400)와 결합되어 있던 메인락기어(500) 및 락기어(100)가 탄성부재(600)에 의해 결합 해제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시트백의 각도를 전후방향으로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시트백의 각도를 적당히 조절한 후 시트백의 고정을 위해 레버를 놓게 되면, 리클라이너는 도 5의 상태로 되어 고정되게 된다.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레버에 의해 샤프트(800)가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샤프트(800)의 회전에 의해 메인캠(300)이 회전되어 메인캠(300)의 가압돌기(310)가 락기어(100) 및 메인락기어(500)의 걸림홈(120,520)에서 이탈되어 락기어(100)와 메인락기어(500)를 외측으로 가압하여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락킹 해제시와 마찬가지로 컨트롤 플레이트(700) 역시 메인캠(30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게 되고, 락기어(100) 및 메인락기어(500)의 가이드돌기(140,530)가 컨트롤 플레이트(700)의 가이드홀(720)의 단부에 위치되게 된다. 따라서, 락기어(100) 및 메인락기어(500)가 로어파트(200)의 가이드블록(220) 및 메인가이드블록(210) 사이에서 가이드되어 외측으로 슬라이딩된 상태로 지지되게 된다. 그러므로, 락기어(100)의 제1기어치(110)와 메인락기어(500)의 제3기어치(510)가 어퍼파트(400)의 제2기어치(410)에 치합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화살표 C방향으로 가압되어 종래 보다 강건하고 단단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특히, 락기어(100)의 경우에는 락기어(100)의 경사면(130)과 가이드블록(220)의 경사(221)가 맞닿아 슬라이딩되면서 화살표 B방향으로 가압력이 발생하게 된다. 락기어(100)는 양측면의 만입홀(170) 및 탄성부(180)가 가이드블록(220)과 메인가이드블록(210)에 의해 가압되어 찌그러지면서 쐐기형상으로 삽입되어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유격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도 5에서는 락기어(100)의 제1기어치(110)와 어퍼파트(400)의 제2기어치(410)가 치합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락킹시에도 락기어(100)의 제1기어치(110)와 어퍼파트(400)의 제2기어치(410)가 치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락기어(100)는 경사면(130)과 경사(221)에 의해 가압되고, 만입홈(170) 및 탄성부(180)가 가압되어 찌그러지면서 수직면(160)에 의하여 쐐기식으로 로어파트(200)와 끼움결합되어 유격이 제거될 수 있게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너는 강도증대를 위해 일반적으로 파인 블랭킹 가공법으로 성형되는 통상적인 락기어와는 달리, 파인 블랭킹 가공법으로 만입홈이 성형되되 만입홈에 인서트 사출을 통해 탄성부를 형성한 락기어를 마련함으로써, 유격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락기어에 만입홈 및 경사면을 형성하여 외측으로 슬라이딩시 가이드블록 사이에 쐐기처럼 억지끼움됨으로써, 유격을 제거하는 효과가 증대되게 된다.
또한, 메인캠의 회전력을 중간에 별도로 전달하는 서브캠을 삭제하고, 메인캠의 가압돌기를 통해 락기어 및 메인락기어에 다이렉트로 전달함으로써, 여러개의 서브캠을 적용함으로써 발생되는 시트 좌우측의 리클라이너의 락킹 시간차(이단 락킹)에 대한 문제도 해결하여 작동안정성을 확보하고 작동의 정확성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락기어의 경우에는 어퍼파트의 기어치와 치합이 되지 않도록 형성할 수도 있어 순수하게 유격을 제거하는 목적으로 조립할 수도 있다. 따라서, 종래 대비 리클라이너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으며, 강성증대 및 유격제거의 강건설계가 가능해진다.
서브캠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리클라이너의 반경을 최소화시켜 사이즈를 줄이면서도 치형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고, 동시에 유격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부품수를 줄여 경량화 및 원가절감의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안정성 및 동작성이 확보되어 품질이 개선되며, 서브캠이 별도로 구성되지 않아 락기어 및 메인캠의 조립이 용이하여 조립성이 향상되어 생산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락기어 110 : 제1기어치
120 : 걸림홈 130 : 경사면
140 : 가이드돌기 160 : 수직면
170 : 만입홈 180 : 탄성부
200 : 로어파트 210 : 메인가이드블록
211 : 탄성홈 220 : 가이드블록
221 : 경사 230 : 관통홀
240 : 고정부 300 : 메인캠
310 : 가압돌기 320 : 고정돌기
330 : 관통홀 400 : 어퍼파트
410 : 제2기어치 420 : 관통홀
500 : 메인락기어 510 : 제3기어치
520 : 걸림홈 530 : 가이드돌기
600 : 탄성부재 700 : 컨트롤 플레이트
710 : 고정홀 720 : 가이드홀
730 : 고정홈 740 : 관통홀
800 : 샤프트 900 : 커버링
910 : 끼움부

Claims (11)

  1. 복수의 가이드블록이 마련된 로어파트;
    로어파트의 중앙부에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가압돌기가 형성된 메인캠; 및
    가이드블록의 사이에 마련되어 내외측으로 슬라이딩되며, 메인캠의 회전에 따라 가압돌기에 가압되어 외측으로 슬라이딩되고, 가이드블록과 접하는 측면은 테이퍼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경사면에는 탄성부가 마련되어 락킹시 유격을 저감하는 락기어를 포함하고;
    락기어는 경사면에 내측으로 만입된 만입홈이 형성되고 탄성부는 락기어의 테두리를 두르는 커버형상이며 만입홈을 덮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락기어는 각각의 양 측면이 각각 마주하는 가이드블록에 접하되 일측면은 테이퍼진 경사면이고 타측면은 경사지지 않은 수직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너.
  6. 청구항 1에 있어서,
    락기어의 가이드 블록과 접하는 측면은 수직구간과 경사구간으로 구성되며 수직구간이 외측에 위치되고 경사구간이 내측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너.
  7. 청구항 1에 있어서,
    락기어의 경사면에 접하는 가이드블록의 측면은 경사면에 대응되는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너.
  8. 청구항 1에 있어서,
    탄성부는 수지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너.
  9. 청구항 8에 있어서,
    탄성부는 락기어가 인서트된 상태로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너.
  10. 청구항 1에 있어서,
    탄성부는 수지 재질이며 락기어를 두르되 만입홈에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너.
  11. 청구항 1에 있어서,
    탄성부는 금속 재질로서 만입홈을 덮음으로써 만입홈과의 사이에 변형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20150179578A 2015-12-15 2015-12-15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1725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578A KR101725409B1 (ko) 2015-12-15 2015-12-15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578A KR101725409B1 (ko) 2015-12-15 2015-12-15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5409B1 true KR101725409B1 (ko) 2017-04-12

Family

ID=58580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578A KR101725409B1 (ko) 2015-12-15 2015-12-15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54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964B1 (ko) * 2018-12-24 2020-04-09 대원정밀공업(주)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5258A (ja) * 2002-03-13 2003-09-24 Araco Corp リクライニング装置及びその摺動隙間の設定方法
JP2009034423A (ja) * 2007-08-03 2009-02-19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0907370B1 (ko) 2009-03-16 2009-07-10 대원정밀공업(주)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
KR20100048780A (ko) * 2008-10-31 2010-05-11 주식회사다스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JP2015030342A (ja) * 2013-08-01 2015-02-16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リクライナ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5258A (ja) * 2002-03-13 2003-09-24 Araco Corp リクライニング装置及びその摺動隙間の設定方法
JP2009034423A (ja) * 2007-08-03 2009-02-19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20100048780A (ko) * 2008-10-31 2010-05-11 주식회사다스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KR100907370B1 (ko) 2009-03-16 2009-07-10 대원정밀공업(주)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
JP2015030342A (ja) * 2013-08-01 2015-02-16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リクライナ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964B1 (ko) * 2018-12-24 2020-04-09 대원정밀공업(주)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92238B (zh) 车座的调角器
US9903453B2 (en) Reclining device
KR101419700B1 (ko) 소형 라운드 리클라이너
US9242583B2 (en) Recliner
KR101655777B1 (ko)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너
KR102126459B1 (ko)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KR101600182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US9004601B2 (en) Seat reclining apparatus
CN109642621B (zh) 离合器单元
KR101746455B1 (ko)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1725409B1 (ko)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너
KR20150114054A (ko) 자동차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
KR101709599B1 (ko) 파워 리클라이너 장치
KR101888827B1 (ko)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너
KR101775371B1 (ko)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너
KR101943603B1 (ko)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전동식 폴딩 장치
US10688891B2 (en) Seat recliner for veh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393603B1 (ko) 웨지를 갖는 차량용 라운드 리클라이너
KR101747556B1 (ko)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1468420B1 (ko) 록킹 감성을 개선한 리클라이너
JP5513692B1 (ja) ヘッドレスト用位置調節装置及びヘッドレスト
KR20190036905A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WO2014192422A1 (ja) 車両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KR101662458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WO2020218589A1 (ja) 乗物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