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459B1 -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459B1
KR102126459B1 KR1020180149967A KR20180149967A KR102126459B1 KR 102126459 B1 KR102126459 B1 KR 102126459B1 KR 1020180149967 A KR1020180149967 A KR 1020180149967A KR 20180149967 A KR20180149967 A KR 20180149967A KR 102126459 B1 KR102126459 B1 KR 102126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support body
gear plate
input devic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4261A (ko
Inventor
장승훈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주)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주)
Priority to KR1020180149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459B1/ko
Priority to US16/678,034 priority patent/US11142102B2/en
Priority to DE102019131522.0A priority patent/DE102019131522A1/de
Priority to CN201911173265.0A priority patent/CN111231787B/zh
Publication of KR20200064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2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and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 B60N2/225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e.g. one gear without sun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 B60N2/225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 B60N2/235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external pa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 B60N2/235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internal pa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 B60N2/235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internal pawls
    • B60N2/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internal pawls linearly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2Jo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주면에 내치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원통형의 플랜지돌기가 형성된 플랜지;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외경이 플랜지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외치가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플랜지와 편심된 상태에서 플랜지의 내치의 일부와 치합된 기어플레이트; 기어플레이트의 관통홀 내부에 편심되도록 위치되며 샤프트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부 및 회전부의 단부에 형성된 헤드부로 구성된 인풋디바이스; 기어플레이트의 관통홀 내주면과 플랜지돌기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어 기어플레이트의 편심을 유지하는 웨지캠; 기어플레이트의 관통홀 내주면과 플랜지돌기의 사이 공간 중 웨지캠의 측방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기어플레이트의 편심에 의한 하중을 지지하며, 인풋디바이스의 헤드부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됨에 따라 웨지캠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지지바디; 및 웨지캠을 지지바디와 관통홀의 내주면 사이로 가압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RECLINING DEVICE FOR VEHICLE SEA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쿠션에 대해 시트백의 전후방향 각도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차량에 구비된 시트는 승객의 상체를 지지하는 시트백, 엉덩이와 허벅다리 등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쿠션, 후두부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시트백과 시트쿠션이 연접하는 부위에는 시트쿠션에 대해 시트백의 전후방향 각도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리클라이닝 장치가 장착된다.
리클라이닝 장치는 승객의 레버 조작에 의해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하는 매뉴얼 타입, 스위치 조작을 통해 모터의 동력으로 자동 작동하는 파워 타입이 있다.
도 1과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의 분해 사시도 및 결합상태 상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2에는 캠구조를 이용한 종래의 리클라이닝 장치가 도시되어 있는 바, 내접기어(1a)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원통형의 플랜지돌기(1b)가 형성된 플랜지(1), 내접기어(1a)와 치합을 이루는 외접기어(2a)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원통형의 플레이트돌기(2b)가 형성된 기어플레이트(2), 리클라이너 샤프트(3)가 관통 결합되는 중앙돌기(4a) 및 중앙돌기(4a)의 외측부에 디바이스돌기(4b)가 일체로 형성된 인풋디바이스(4), 기어플레이트(2)를 관통해서 디바이스돌기(4b)의 외측과 기어플레이트(2)의 플레이트돌기(2b)사이에 끼워지는 베어링(5), 플랜지돌기(1b)의 외측과 베어링(5)사이에 끼워지는 제1캠(6) 및 제2캠(7), 제1,2캠(6,7)에 양단부가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스프링(8)을 포함한다.
플랜지(1)는 시트백 브라켓과 결합되고, 시트백 브라켓은 시트백 프레임과 결합되며, 기어플레이트(2)는 로우워 브라켓을 통하여 시트쿠션 브라켓과 결합되고, 시트쿠션 브라켓은 시트쿠션 백프레임과 결합된다.
인풋디바이스(4)에는 중앙돌기(4a)의 외측으로 돌출된 원판부(4c)가 일체로 형성되고, 원판부(4c)에 디바이스돌기(4b)가 연결되게 형성된다.
스프링(8)은 원판부(4c)의 일면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고, 스프링(8)의 양단은 원판부(4c)를 통과한 후 서로 마주 대하는 제1,2캠(6,7)의 단부에 각각 끼워져서 결합된다.
제1,2캠(6,7)에서 서로 마주 대하는 단부에는 스프링(8)이 끼워지는 스프링홀(6a,7a)이 각각 형성된다.
기어플레이트(2)의 플레이트돌기(2b)와 플랜지돌기(1b) 사이에는 베어링(5)이 설치되고, 인풋디바이스(4)의 중앙돌기(4a)는 플랜지(1)의 플랜지돌기(1b)를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되며, 이때 원판부(4c)는 베어링(5)과 제1,2캠(6,7)을 커버링한다.
또한, 플랜지(1)와 기어플레이트(2)를 결합시키는 리테이너(9), 및 기어플레이트(2)에 용접 결합되어서 베어링(5)과 제1,2캠(6,7)을 더 포함한다.
도 2의 도시상태에서 리클라이너 샤프트(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인풋디바이스(4)가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인풋디바이스(4)의 회전에 의해 디바이스돌기(4b)가 함께 회전해서 제1캠(6)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1캠(6)과 결합된 스프링(8)의 일단이 제2캠(7)과 결합된 스프링(8)의 타단쪽으로 이동해서 스프링(8)의 양단 사이의 간격은 좁아지게 되고 동시에 스프링(8)은 탄성력을 축적하게 되며, 축적된 탄성력으로 스프링(8)이 제2캠(7)을 시계방향으로 밀어주게 됨으로써 제2캠(7)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2캠(7)의 회전에 의해 기어플레이트(2)는 플랜지(1)에 대해 내접기어(1a)와 외접기어(2a)의 잇수 차이만큼의 회전비를 발생시켜서 회전하게 되고, 플랜지(1)의 회전에 의해 시트백이 회전하게 됨으로써 시트백의 전후방향 각도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리클라이닝 장치의 내부 상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리클라이닝 장치는 웨지캠(6,7)의 양측 단부의 측방 공간(A)에 위치되어 인풋디바이스가 회전됨에 따라 웨지캠(6,7)을 측방에서 가압하는 인풋디바이스의 디바이스돌기는 베어링(5) 내부에서 플랜지돌기(1b)의 편심에 의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B)를 갖는 공간에 배치되어야 한다.
다만, 인풋디바이스의 디바이스돌기는 복잡한 형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제작성이 높은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등의 강도가 약한 소재를 사용하는 점에서 변형이 발생하여 지지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다른 실시예로 인풋디바이스의 디바이스돌기를 웨지캠(6,7) 자체에 형성할 경우에는 웨지캠(6,7)의 양측 단부의 측방 공간(A)이 빈 공간으로 남게되어 베어링(5)과 플랜지돌기(1b) 사이의 변형량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0785624 B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인풋디바이스의 작동성이 개선되고, 인풋 디바이스의 강도가 증대된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는 내주면에 내치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원통형의 플랜지돌기가 형성된 플랜지;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외경이 플랜지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외치가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플랜지와 편심된 상태에서 플랜지의 내치의 일부와 치합된 기어플레이트; 기어플레이트의 관통홀 내부에 편심되도록 위치되며 샤프트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부 및 회전부의 단부에 형성된 헤드부로 구성된 인풋디바이스; 기어플레이트의 관통홀 내주면과 플랜지돌기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어 기어플레이트의 편심을 유지하는 웨지캠; 기어플레이트의 관통홀 내주면과 플랜지돌기의 사이 공간 중 웨지캠의 측방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기어플레이트의 편심에 의한 하중을 지지하며, 인풋디바이스의 헤드부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됨에 따라 웨지캠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지지바디; 및 웨지캠을 지지바디와 관통홀의 내주면 사이로 가압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지지바디는 인풋디바이스의 헤드부와 복수의 지점에서 서로 걸림 결합되어 인풋디바이스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인풋디바이스의 헤드부는 회전부의 상단부에서 외측방으로 연장되어 웨지캠 및 지지바디의 상부를 덮는 형상일 수 있다.
지지바디에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지지대가 형성되고, 인풋디바이스의 헤드부에서 외측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가 복수의 지지대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복수의 돌기가 위치됨으로써 인풋디바이스의 회전력이 지지바디로 전달될 수 있다.
지지바디의 양측 단부는 웨지캠의 양측 단부에서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지지바디는 웨지캠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플랜지의 중앙부에 형성된 원통형의 플랜지돌기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바디의 내주면은 플랜지돌기를 감싸도록 웨지캠의 내측으로 연장된 영역에서 플랜지돌기의 외주면과 접촉될 수 있다.
지지바디의 내주면 중 웨지캠의 양측 외측방에 위치된 영역에서 일부가 플랜지돌기의 외주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외측으로 만입된 만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바디의 내주면에는 외측으로 만입된 윤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바디에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지지대가 형성되고, 윤활홈은 복수의 지지대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에 따르면, 지지바디의 구성을 추가함에 따라 기어플레이트의 편심에 의한 하중을 지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지지바디의 지지대와 인풋디바이스의 돌기 사이의 결합에 의해 인풋디바이스의 강도가 증대되고, 인풋디바이스의 작동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과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의 분해 사시도 및 결합상태 상면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리클라이닝 장치의 내부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디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의 결합상태 상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디(5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6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의 결합상태 상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는 내주면에 내치(11)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원통형의 플랜지돌기(12)가 형성된 플랜지(10); 중앙에 관통홀(21)이 형성되고, 외경이 플랜지(1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외치(22)가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플랜지(10)와 편심된 상태에서 플랜지(10)의 내치(11)의 일부와 치합된 기어플레이트(20); 기어플레이트(20)의 관통홀(21) 내부에 편심되도록 위치되며 샤프트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부(31) 및 회전부(31)의 단부에 형성된 헤드부(32)로 구성된 인풋디바이스(30); 기어플레이트(20)의 관통홀(21) 내주면과 플랜지돌기(12)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어 기어플레이트(20)의 편심을 유지하는 웨지캠(40); 기어플레이트(20)의 관통홀(21) 내주면과 플랜지돌기(12)의 사이 공간 중 웨지캠(40)의 측방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기어플레이트(20)의 편심에 의한 하중을 지지하며, 인풋디바이스(30)의 헤드부(32)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됨에 따라 웨지캠(4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지지바디(50); 및 웨지캠(40)을 지지바디(50)와 관통홀(21)의 내주면 사이로 가압하는 탄성부(60);를 포함한다.
플랜지(10)는 내주면에 내치(11)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형성된 원통형의 플랜지돌기(12)가 형성된다.
기어플레이트(20)는 외경이 플랜지(1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중앙에 관통홀(21)이 형성되어 플랜지돌기(12)가 관통홀(21) 내부에 삽입되도록 기어플레이트(20)는 플랜지(10)의 상부에서 결합된다. 기어플레이트(20)는 외치(22)가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플랜지(10)와 편심된 상태에서 플랜지(10)의 내치(11)의 일부와 치합된다. 기어플레이트(20)의 상부에서 리테이너(90)가 플랜지(10)에 결합되어 플랜지(10)의 내치(11) 및 기어플레이트(20)의 외치(22)의 치합을 커버할 수 있다. 리테이너(90) 내측의 인풋디바이스(30) 등을 커버링하는 캡(7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기어플레이트(20)의 관통홀(21) 내주면에는 베어링(80)이 더 포함되어 기어플레이트(20)가 플랜지(10)와 후술하는 인풋디바이스(30) 및 웨지캠(40) 등과 서로 상대회전 가능할 수 있다.
인풋디바이스(30)는 기어플레이트(20)의 관통홀(21) 내부에 편심되도록 위치되고, 플랜지(10)와는 동심을 형성할 수 있다. 인풋디바이스(30)는 내부에 샤프트가 삽입되어 샤프트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부(31)를 포함한다. 회전부(31)는 측면이 후술하는 웨지캠(40)의 측면에 접촉되도록 삽입될 수 있다. 회전부(31)의 단부에는 형성된 헤드부(32)가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32)는 회전부(31)의 단부에서 후술하는 웨지캠(40)의 상면을 커버할 수 있다.
웨지캠(40)은 기어플레이트(20)의 관통홀(21) 내주면과 플랜지돌기(12)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한 것과 같이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웨지캠(40)은 웨지 형상의 캠으로 형성되어 플랜지(10)의 내부에서 기어플레이트(20)의 편심을 유지할 수 있다.
탄성부(60)는 웨지캠(40)을 지지바디(50)와 관통홀(21)의 내주면 사이로 가압하는 것으로, 양측 단부가 한 쌍으로 구성된 웨지캠(40)의 사이에서 웨지캠(40)을 양측방으로 이격하도록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탄성부(60)의 상부에는 캡이 결합되어 기어플레이트(20)의 관통홀(21) 내부의 탄성부(60), 인풋디바이스(30) 등을 커버할 수 있다.
지지바디(50)는 기어플레이트(20)의 관통홀(21) 내주면과 플랜지돌기(12)의 사이 공간에서 웨지캠(40)의 측방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즉, 웨지캠(40)의 양측 단부의 외측방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지지바디(50)는 인풋디바이스(30)의 헤드부(32)를 통하여 인풋디바이스(3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웨지캠(4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지지바디(50)는 기어플레이트(20)의 편심에 의한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풋디바이스(30)가 기어플레이트(20)의 내부에서 편심됨에 따른 하중 및 기어플레이트(20)가 플랜지(10) 내부에서 편심됨에 따른 하중을 지지하여 관통홀(21)과 플랜지돌기(12) 사이의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지지바디(50)는 인풋디바이스(30)의 헤드부(32)와 복수의 지점에서 서로 걸림 결합되어 인풋디바이스(3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즉, 지지바디(50)는 인풋디바이스(30)의 회전력을 복수의 지점에서 전달받는 것으로, 이에 따라 인풋디바이스(30)의 작동성이 향상되고, 상대적으로 작은 지지력이 요구되어 강도가 상승되는 효과를 갖는다.
인풋디바이스(30)의 헤드부(32)는 회전부(31)의 상단부에서 외측방으로 연장되어 웨지캠(40) 및 지지바디(50)의 상부를 덮는 형상일 수 있다. 회전부(31)는 웨지캠(40)의 내주면에 삽입되고, 헤드부(32)는 웨지캠(40)과 지지바디(50)의 상부를 덮도록 회전부(31)의 상단부에서 외측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헤드부(32)의 상부에는 탄성부(60)가 위치되어 탄성부(60)의 양측 단부가 한 쌍의 웨지캠(40) 사이로 연장되도록 헤드부(32)의 일부는 내측으로 만입될 수 있다.
인풋디바이스(30)의 헤드부(32)에서 외측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33)가 형성될 수 있고, 지지바디(50)에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지지대(51)가 형성되어 인풋디바이스(30)와 지지바디(50)는 복수의 지점에서 서로 걸림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바디(50)에는 인풋디바이스(30)의 헤드부(32) 측인 상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지지대(51)가 서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헤드부(32)에는 복수의 지지대(51) 사이의 이격된 공간(52)으로 각각 삽입되도록 외측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3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51)와 돌기(33) 사이의 걸림 결합에 의해 인풋디바이스(30)의 회전력이 지지바디(50)로 전달될 수 있다.
지지바디(50)의 양측 단부는 웨지캠(40)의 양측 단부에서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즉, 인풋디바이스(30)가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에서는 지지바디(50)의 양측 단부는 웨지캠(40)의 양측 단부에서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지지바디(50)가 웨지캠(40)의 양측 단부 사이에서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인풋디바이스(30)가 회전되면 인풋디바이스(3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지지바디(50)가 웨지캠(40)의 일측 단부로 상대 이동되어 웨지캠(40)을 가압할 수 있다.
지지바디(50)는 웨지캠(4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플랜지(10)의 중앙부에 형성된 원통형의 플랜지돌기(12)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바디(50)는 웨지캠(40)의 양측 단부의 외측방 사이에서 웨지캠(40)의 양측 단부에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로 웨지캠(4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플랜지(10)의 중앙부에 형성된 원통형의 플랜지돌기(12)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웨지캠(40)의 내측에서 지지바디(50)의 외주면이 웨지캠(40)의 내주면과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시 탄성력에 의한 웨지캠(40)의 하중이 직접적으로 지지바디(50)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지지바디(50)의 내주면은 플랜지돌기(12)를 감싸도록 웨지캠(40)의 내측으로 연장된 영역에서 플랜지돌기(12)의 외주면과 접촉될 수 있다. 반대로, 지지바디(50)의 웨지캠(40)의 양측 단부의 외측방 사이 영역에서는 플랜지돌기(12)의 외주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웨지캠(40)의 내측으로 연장된 영역에서 플랜지돌기(12)의 외주면과 접촉됨에 따라 웨지캠(40)에 의한 하중은 지지바디(50)에 의해 단단하게 지지될 수 있고, 지지바디(50)의 웨지캠(40)의 양측 단부의 외측방 사이 영역에서는 플랜지돌기(12)의 외주면과 이격됨에 따라 윤활유를 저장하거나 공급할 수 있다.
지지바디(50)의 내주면 중 웨지캠(40)의 양측 외측방에 위치된 영역에서 일부가 플랜지돌기(12)의 외주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외측으로 만입된 만입부(54)가 형성될 수 있다.
만입부(54)는 지지바디(50) 중 웨지캡(40)의 외측방 사이 영역에 위치되어, 지지바디(50)의 내주면이 플랜지돌기(12)의 외주면에서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외측으로 만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윤활유가 저장되고 웨지캠(4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플랜지돌기(12)와 접촉하는 지지바디(50)의 내주면에 윤활유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지지바디(50)의 내주면에는 외측으로 만입된 윤활홈(53)이 형성될 수 있다. 윤활홈(53)의 내부에는 윤활유가 저장되고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바디(50)와 플랜지돌기(12) 사이의 지속적인 윤활 작용에 의해 부드러운 상대 회전이 가능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윤활홈(53)은 지지바디(50)의 웨지캠(40)의 양측 단부의 외측방 사이 영역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즉, 윤활홈(53)은 지지바디(50)의 만입부(54)에 형성되어 윤활유를 내부에 저장할 수 있다.
추가로, 윤활홈(53)은 지지바디(50)에 형성된 복수의 지지대(51) 사이의 이격된 공간(52)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바디(50)의 상부에 결합되는 인풋디바이스(30)의 헤드부(32)에 의해 커버되면서 지지바디(50)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윤활홈(53) 및 플랜지돌기(12)의 외주면과 이격된 지지바디(50)의 웨지캠(40)의 양측 단부의 외측방 사이 영역에 의해 플랜지돌기(12)의 외주면과 접촉된 지지바디(50)의 웨지캠(40)의 내측으로 연장된 영역으로 윤활유 공급이 가능하다. 추가로, 지지바디(50)의 웨지캠(40)의 내측으로 연장된 영역에도 윤활홈(53)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플랜지 20 : 기어플레이트
30 : 인풋디바이스 40 : 웨지캠
50 : 지지바디 60 : 탄성부
70 : 캡 80 : 베어링
90 : 리테이너

Claims (10)

  1. 내주면에 내치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원통형의 플랜지돌기가 형성된 플랜지;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외경이 플랜지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외치가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플랜지와 편심된 상태에서 플랜지의 내치의 일부와 치합된 기어플레이트;
    기어플레이트의 관통홀 내부에 편심되도록 위치되며 샤프트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부 및 회전부의 단부에 형성된 헤드부로 구성된 인풋디바이스;
    기어플레이트의 관통홀 내주면과 플랜지돌기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어 기어플레이트의 편심을 유지하는 웨지캠;
    기어플레이트의 관통홀 내주면과 플랜지돌기의 사이 공간 중 웨지캠의 측방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기어플레이트의 편심에 의한 하중을 지지하며, 인풋디바이스의 헤드부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됨에 따라 웨지캠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지지바디; 및
    웨지캠을 지지바디와 관통홀의 내주면 사이로 가압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인풋디바이스의 헤드부는 회전부의 상단부에서 외측방으로 연장되어 웨지캠 및 지지바디의 상부를 덮는 형상이며,
    지지바디에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지지대가 형성되고,
    인풋디바이스의 헤드부에서 외측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가 복수의 지지대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복수의 돌기가 위치됨으로써 인풋디바이스의 회전력이 지지바디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바디는 인풋디바이스의 헤드부와 복수의 지점에서 서로 걸림 결합되어 인풋디바이스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바디의 양측 단부는 웨지캠의 양측 단부에서 이격되도록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바디는 웨지캠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플랜지돌기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지지바디의 내주면은 플랜지돌기를 감싸도록 웨지캠의 내측으로 연장된 영역에서 플랜지돌기의 외주면과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지지바디의 내주면 중 웨지캠의 양측 외측방에 위치된 영역에서 일부가 플랜지돌기의 외주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외측으로 만입된 만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바디의 내주면에는 외측으로 만입된 윤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지지바디에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지지대가 형성되고,
    윤활홈은 복수의 지지대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KR1020180149967A 2018-11-28 2018-11-28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KR102126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967A KR102126459B1 (ko) 2018-11-28 2018-11-28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US16/678,034 US11142102B2 (en) 2018-11-28 2019-11-08 Reclining device for vehicle seat
DE102019131522.0A DE102019131522A1 (de) 2018-11-28 2019-11-21 Verstell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CN201911173265.0A CN111231787B (zh) 2018-11-28 2019-11-26 用于车辆座椅的倾斜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967A KR102126459B1 (ko) 2018-11-28 2018-11-28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261A KR20200064261A (ko) 2020-06-08
KR102126459B1 true KR102126459B1 (ko) 2020-06-25

Family

ID=70546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967A KR102126459B1 (ko) 2018-11-28 2018-11-28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42102B2 (ko)
KR (1) KR102126459B1 (ko)
CN (1) CN111231787B (ko)
DE (1) DE1020191315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5367B2 (en) 2019-04-18 2023-12-19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Recliner heart having lubricant member
JP7421104B2 (ja) 2020-07-06 2024-01-24 株式会社今仙電機製作所 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20220049277A (ko) * 2020-10-14 2022-04-21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US11766957B2 (en) 2021-02-16 2023-09-26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Release mechanism for seat recliner assembly
US11897372B2 (en) * 2021-05-06 2024-02-13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Recliner heart having biasing members
US11850975B2 (en) 2021-06-11 2023-12-26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Vehicle seat recliner mechanism with welded spring
KR102542570B1 (ko) * 2021-09-16 2023-06-12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7101A (ja) * 1999-08-14 2003-02-25 カイペル・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ウント・コンパニ− 傾斜調節可能な寄掛り部を有する座席のための、とくに自動車座席のための調節金具
JP2010284217A (ja) * 2009-06-09 2010-12-24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0205967B1 (pt) * 2001-09-06 2012-06-12 guarniÇço para um assento de veÍculo.
DE10328300B4 (de) * 2003-06-23 2006-09-21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g Verstellbeschlag für Kraftfahrzeugsitz
DE102004007043B3 (de) * 2004-02-12 2005-06-23 Keiper Gmbh & Co. Kg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04013272B3 (de) * 2004-03-18 2006-01-26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g Neigungsverstellbeschlag für die Rückenlehne eines Kraftfahrzeugsitzes
DE102005026658B3 (de) * 2005-06-09 2006-11-02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g Neigungsverstellbeschlag für die Rückenlehne eines Kraftfahrzeugsitzes
DE102005052781B3 (de) * 2005-11-05 2006-12-14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g Neigungsverstellbeschlag für die Rückenlehne eines Kraftfahrzeugsitzes
US7513573B2 (en) * 2006-09-12 2009-04-07 Lear Corporation Continuous recliner
KR100785624B1 (ko) 2007-01-05 2007-12-12 다이모스(주) 시트의 사이클로이드 타입 리클라이닝 장치
JP2013501683A (ja) * 2009-08-12 2013-01-17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連続的に係合するリクライナ・フリープレイ・システムおよび精密打ち抜きギアハブ
DE102009052512A1 (de) * 2009-11-11 2011-05-12 Johnson Controls Gmbh Neigungsversteller für Fahrzeuge
FR2955061B1 (fr) * 2010-01-11 2012-08-03 Faurecia Sieges Automobile Dispositif d'articulation a collet renforce
KR101206803B1 (ko) * 2011-03-09 2012-11-30 주식회사 오스템 다이얼 리클라이너
JP5770601B2 (ja) * 2011-10-31 2015-08-26 富士機工株式会社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5692819B2 (ja) * 2012-10-24 2015-04-01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リクライニング装置
FR3006637B1 (fr) 2013-06-10 2015-07-17 Faurecia Sieges Automobile Mecanisme d'articulation et siege de vehicule comportant un tel mecanisme
CN104507744B (zh) * 2013-06-27 2017-02-22 达世株式会社 车座调角器
JP5913242B2 (ja) * 2013-09-13 2016-04-27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リクライニング装置及びシート
FR3018051B1 (fr) * 2014-03-03 2017-07-21 Faurecia Sieges D'automobile Mecanisme d'articulation et siege de vehicule comportant un tel mecanisme
KR101565578B1 (ko) * 2014-06-20 2015-11-04 현대다이모스(주)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CN207826016U (zh) * 2018-02-05 2018-09-07 重庆瑞丰精密模具有限公司 具有较强稳定性的调角器手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7101A (ja) * 1999-08-14 2003-02-25 カイペル・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ウント・コンパニ− 傾斜調節可能な寄掛り部を有する座席のための、とくに自動車座席のための調節金具
JP2010284217A (ja) * 2009-06-09 2010-12-24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231787B (zh) 2022-05-06
CN111231787A (zh) 2020-06-05
US20200164775A1 (en) 2020-05-28
US11142102B2 (en) 2021-10-12
DE102019131522A1 (de) 2020-05-28
KR20200064261A (ko) 2020-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6459B1 (ko)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KR101569625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US7484806B2 (en) Seat reclining apparatus for vehicle
JP5770601B2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CN101920667B (zh) 车辆用座椅倾角调整装置
KR20060123620A (ko) 차량 시트용 피팅
US7513573B2 (en) Continuous recliner
KR960006838A (ko) 개량된 회전식 리클라이너
KR101427567B1 (ko) 웨지를 갖는 차량용 리클라이너
KR20070061758A (ko) 차량 좌석용 장착부
KR20140058605A (ko) 연속적으로 맞물린 리클라이너의 신속 조정
KR101417523B1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JPH056448B2 (ko)
US10836282B2 (en) Reclining device for vehicle seat
KR970004003B1 (ko) 씨트 등받이 조절장치
KR102070023B1 (ko) 차량의 시트 리클라이너
KR101058472B1 (ko) 차량용 리클라이닝 장치
JP2015146874A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4773141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7046206B2 (ja) 電動シート及びその角度調節装置
KR100896412B1 (ko)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KR102498526B1 (ko) 시트 리클라이너
JP2018019830A (ja) リクライナ
JP2004196130A (ja) 座席シート
KR100998335B1 (ko) 차량 시트용 사이클로이드 타입 리클라이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