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4834B1 -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기 - Google Patents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4834B1
KR101724834B1 KR1020150060266A KR20150060266A KR101724834B1 KR 101724834 B1 KR101724834 B1 KR 101724834B1 KR 1020150060266 A KR1020150060266 A KR 1020150060266A KR 20150060266 A KR20150060266 A KR 20150060266A KR 101724834 B1 KR101724834 B1 KR 101724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ocket
housing body
bracket
shu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0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8610A (ko
Inventor
박영남
Original Assignee
박영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남 filed Critical 박영남
Priority to KR1020150060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834B1/ko
Priority to PCT/KR2015/008396 priority patent/WO2016175392A1/ko
Publication of KR20160128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인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기가 개시되는 것으로, 내측 상단에 구획판(11)이 구비되고 상기 구획판(11)의 하단에 구비되는 제1연결부(12)와 하단 외측에 구비되는 제2연결부(13)를 갖는 하우징체(10)와; 상기 제1연결부(12)와 제2연결부(13)가 외면에 각각 결합고정되고 상부가 상기 하우징체(10)의 내부에 위치되며 하단은 지면에 고정되어 지면에 대해 수직 설치되고 상부(20a)가 상기 하우징체(10)의 내부에 위치되는 지지부(20)와; 상기 하우징체(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위치되고 상기 지지부(20)에 축설되는 제1스프로킷(30)과; 상기 하우징체(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연동축(41)과 상기 제1스프로킷(30)과 제1체인(42)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연동축(41) 상단에 축설되는 제2스프로킷(43)과 상기 제2스프로킷(43)이 상단에 축설되는 상기 연동축(41)의 하단에 축설되는 제3스프로킷(40)과; 상기 하우징체(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3스프로킷(40)과 제2체인(51)에 의해 연결되는 제4스프로킷(50)과; 상기 하우징체(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4스프로킷(50)이 축설되는 모터축(61)을 갖는 구동모터(60)와; 상기 구동모터(60)를 지지하는 지지부(70)와; 상기 하우징체(1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브라켓(80) 및 제2브라켓(81)과; 상기 제1브라켓(80) 및 제2브라켓(81)에 각각 끼워져 볼팅결합되어 고정되는 차단체(9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기{driving device of cutting passing equipment}
본 발명은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기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속도로 톨게이트의 도로를 보수하거나 또는 하이패스 등과 같은 장치의 수리 및 교체할 때 공사 중인 도로를 차단하여 차량이 공사 중인 도로의 옆도로를 통행하도록 유도하는 통행차단기의 구동장치를 하우징체의 회전에 의해 도로가 차단되도록 한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의 각 진입로와 진출로에는 톨게이트가 구비되어 있는 바, 톨게이트를 빠져나가는 진출로에는 차량의 도로 주행요금을 정산하는 부스들이 여러 개 설치되어 있고, 톨게이트를 진입하는 진입로에는 고속도로 통행표를 받을 수 있는 통행표 배출기가 여러 개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부스 및 통행표 배출기측으로 차량을 안내하기 위한 도로가 구획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운전자는 고속도로를 주행하기 전 통행표 배출기로부터 배출되는 통행표를 받아 두었다가 이후 목적지 도착 진출로를 빠져나올 때 진출로에 설치되어 있는 톨게이트를 지나기 전에 요금 정산부스에서 받아 두었던 통행표와 함께 통행요금을 정산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고속도로 톨게이트에는 많은 차량의 진출과 진입이 이루어기 때문에, 톨게이트 도로는 이들 각각의 통행표 배출기와 요금정산부스를 구획하는 구획라인을 도색하여 많은 차량들이 구획된 각각의 통행표 배출기 또는 요금정산부스를 통과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고속도로 톨게이트에 설치된 각각의 통행표 배출기 및 요금정산소의 보수 및 교체 또는 수리작업을 하거나 또는 통행표 배출기 및 요금정산소를 구획하고 있는 구획라인의 도로면을 보수하거나 할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구획라인의 도로통행을 차단하여야 하는 바, 통상 구획라인의 차단이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고깔형 차단봉이나 드럼형 차단구 또는 양측에 지지대가 구비되는 가로형 패널을 도로면에 놓아두어 차량운전자가 공사 중인 도로측으로 통행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공사 중인 도로를 차단하는 수단인 고깔형 차단봉이나 드럼형 차단구 또는 양측에 지지대가 구비되는 가로형 패널들은, 차량의 진입을 통제하기 위해 여러 개의 차단장치들을 도로면에 놓아야 하고 공사가 끝난 후에는 다시 도로면에 놓아진 차단장치들을 수거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의 번거로움은 물론 차단장치를 놓거나 수거하는 과정에서 타 차량과 작업자 간의 충돌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차단장치는 단지 공사 중인 구획라인측으로 차량이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차량 운전자들에게 다른 라인으로 진입하도록 안내해야 하지만, 이와 같은 가이드 역할을 전혀 하지 못함에 따라 운전자들로 하여금 당황하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근자들어서는 일명 '하이패스'라 불리우는 무인요금 정산시스템이 각 톨게이트마다 구비되어 있는 바, 이 무인요금 정산시스템을 수리하기 위해 도로를 차단할 경우 다른 라인으로 유도하는 별도의 수단이 없어 무인요금 정산시스템을 이용하는 차량 운전자들이 어느 라인으로 가야할지의 여부를 쉽게 파악하지 못하게 되어 급브레이크를 밟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이는 후방차량으로 하여금 추돌사고를 발생시키는 또 다른 문제점을 야기시키게 된다.
뿐만 아니라, 공사중이 아닌 다른 라인으로 안내하기 위해 고깔형 차단봉을 도로면에 세워두고는 있으나, 고깔형 차단봉만으로는 운전자들이 갈 방향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여러 개의 고깔형 차단봉들을 도로면에 세워두어야 하고, 공사가 완료되면 다시 세워두었던 차단봉을 수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뒤 따르게 된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10-1402718호인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영업소로 진입하는 도로에 인접되게 배치되는 아일랜드부, 상기 아일랜드부에 구비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부, 상기 차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로로 진입하는 차량에게 상기 도로의 상황을 안내하는 안내부 및 상기 아일랜드부에 구비되어 상기 차단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차단구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구속부재는, 상기 아일랜드부에 고정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차단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부 및 상기 구속부에 의해 구속된 상기 차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로 구비되어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차단부를 지지부에 대해 회전시켜 도로를 차단하도록 하고는 있으나, 차단부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에 의해 차단부를 회전시킬 수 밖에는 없어 진입하는 차량에 의해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유발될 수 있다.
이외에, 차단부를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으로 회전시켜 도로를 차단하도록 하는 차단장치가 제안되고는 있으나, 이러한 차단장치들은 구동수단이 구비되는 하우징체가 회전되지 않고 구동수단에 의해 작동되는 회전봉이 회전되어 차단부가 회전되도록 하고 또한, 차단부가 바람이 불거나 할 경우 흔들거림이나 뒤틀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대개의 고속도로 톨게이트가 넓은 도로에 위치되어 있는 점을 감안할 때 강풍이 항상 불게 되는 조건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차단부의 흔들거림을 방지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바람이 심하게 부는 강원도 지역의 톨게이트의 경우에는 계절에 관계없이 항상 심하고 강한 바람이 불기 때문에 걸이체에 걸어지는 차단부가 흔들거리거나 뒤틀리거나 또는 찢어져 훼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402718호(2014.05.27. 등록)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01-0010396호(2001.02.05. 공개)
본 발명은 도로를 차단하는 차단기의 차단체가 결합되는 하우징체가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회전되는 것에 의해 도로를 차단하여 옆차로 통행을 유도하도록 하고 하우징체의 회전에 따라 차단체의 견고성 및 지지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기는, 내측 상단에 구획판이 구비되고 상기 구획판의 하단에 구비되는 제1연결부와 하단 외측에 구비되는 제2연결부를 갖는 하우징체와;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외면에 각각 결합고정되고 상부가 상기 하우징체의 내부에 위치되며 하단은 지면에 고정되어 지면에 대해 수직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하우징체의 내부에 위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하우징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위치되고 상기 지지부에 축설되는 제1스프로킷과; 상기 하우징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연동축과 상기 제1스프로킷과 제1체인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연동축 상단에 축설되는 제2스프로킷과 상기 제2스프로킷이 상단에 축설되는 연동축의 하단에 축설되는 제3스프로킷과; 상기 하우징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3스프로킷과 제2체인에 의해 연결되는 제4스프로킷과; 상기 하우징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4스프로킷이 축설되는 모터축을 갖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하우징체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브라켓 및 제2브라켓과; 상기 제1브라켓 및 제2브라켓에 각각 끼워져 볼팅결합되어 고정되는 차단체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차단체는, 상기 제1브라켓에 끼워지고 가로방향으로 위치되는 제1차단봉과; 상기 제2브라켓에 끼워지고 상기 제1차단봉과 대응되는 가로방향으로 위치되는 제2차단봉과; 상기 제1차단봉과 제2차단봉을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제1차단봉과 제2차단봉을 수직연결하여 제1차단봉과 제2차단봉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차단체의 제1차단봉과 제2차단봉에는, 차량을 옆차로로 유도하는 유도판이 더 구비되고 상기 유도판의 상부와 하부에는 야간에 식별이 가능하도록 LED점등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지면에 대해 수직 설치되는 지지부가 고정되고 지지부의 상부가 내부에 구비되는 하우징체 및 이 하우징체에 연결되는 차단체가 회전되어 도로를 차단하도록 함에 따라 하우징체의 무거운 중량에 의해 차단체가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여 강풍에 의해 차단체가 흔들거리거나 쓰러짐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기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일부생략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기의 구성요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일부생략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기는, 내측 상단에 구획판(11)이 구비되고 상기 구획판(11)의 하단에 구비되는 제1연결부(12)와 하단 외측에 구비되는 제2연결부(13)를 갖는 하우징체(10)와, 상기 제1연결부(12)와 제2연결부(13)가 외면에 각각 결합고정되고 상부가 상기 하우징체(10)의 내부에 위치되며 하단은 지면에 고정되어 지면에 대해 수직 설치되고 상부(20a)가 상기 하우징체(10)의 내부에 위치되는 지지부(20)와, 상기 하우징체(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체(10)의 내부에 위치되는 지지부(20) 상부(20a)에 축설되는 제1스프로킷(30)과, 상기 하우징체(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연동축(41)과, 상기 제1스프로킷(30)과 제1체인(42)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연동축(41) 상단에 축설되는 제2스프로킷(43)과 상기 제2스프로킷(43)이 상단에 축설되는 상기 연동축(41)의 하단에 축설되는 제3스프로킷(40)과, 상기 하우징체(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3스프로킷(40)과 제2체인(51)에 의해 연결되는 제4스프로킷(50)과, 상기 하우징체(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4스프로킷(50)이 축설되는 모터축(61)을 갖는 구동모터(60)와, 상기 구동모터(60)를 지지하는 지지부(70)와, 상기 하우징체(1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브라켓(80) 및 제2브라켓(81)과, 상기 제1브라켓(80) 및 제2브라켓(81)에 각각 끼워져 볼팅결합되어 고정되는 차단체(9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체(10)는, 내부가 비어 있는 함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또는 호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20)에 의해 지면에 대해 떠 있는 상태로 위치된다.
상기 제1연결부(12)와 제2연결부(13)는 상기 구획판(11)의 하단과 하우징체(10)의 하단 외측에 각각 볼트 결합되는 것으로, 이 때 상기 제1연결부(12)와 제2연결부(13)는 수직선상으로 동일하게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당연하다.
상기 구획판(11)은 하우징체(10)의 내부를 구획하는 것으로, 구획판(11)의 상단에 예를 들어 상기 구동모터(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모터(60)를 제어하는 제어부 또는 이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에서 리모콘에 의해 신호를 수신받는 무선통신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0)는, 봉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체(10)가 회전할 때 상기 지지부(20)를 회전중심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체(10)의 회전작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구획판(11)의 하단과 하우징체(10)의 하단 외측에 각각 결합고정되는 상기 제1연결부(12)와 제2연결부(13)가 상기 지지부(20)의 외면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제1스프로킷(30)은 상기 지지부(20)와 베어링(미도시)에 의해 축설되는 것으로, 상기 제1체인(42)에 의해 연결되는 제2스프로킷(43) 및 이 제2스프로킷(43)이 축설된 연동축(41)에 축설되는 제3스프로킷(40)과 제2체인(51)에 의해 연결되는 제4스프로킷(50)이 회전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스프로킷(30)이 회전되는 바, 이와 같이 제1스프로킷(30)이 회전될 때 이 제1스프로킷(30)이 축설된 지지부(20)가 지면에 대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체(10)가 회전된다.
즉, 상기 구동모터(60)의 회전력이 모터축(61)에 전달되면 상기 모터축(61)에 축설된 제4스프로킷(50)이 회전되고 이 제4스프로킷(50)과 제2체인(51)에 의해 연결되는 제3스프로킷(40)이 회전된다.
또한, 제3스프로킷(40)이 회전되면 상기 제3스프로킷(40)이 축설된 연동축(41)이 회전되고 연동축(41)에 축설되는 상기 제2스프로킷(43)이 회전되며, 이 제2스프로킷(43)과 제1체인(42)에 의해 연결되는 제1스프로킷(30)이 회전된다.
이와 같은 작동에 의해 제1스프로킷(30)이 회전될 때 상기 제1스프로킷(30)이 축설되어 있는 지지부(20)가 지면에 대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지지부(20)를 축으로 하여 상기 하우징체(10)가 회전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체(10)가 회전되면, 상기 하우징체(1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브라켓(80) 및 제2브라켓(81)이 회전되고 이 제1브라켓(80) 및 제2브라켓(81)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차단체(90)가 회전되어 도로를 차단하면서 주행 중인 차량을 옆차로로 유도한다.
이와 같이 구동모터(60)의 동력에 의해 하우징체(10)가 회전되면서 차단체(90)가 회전되기 때문에 하우징체(10)의 중량에 의해 차단체(90)의 흔들거림이 최소화되고 차단체(90)의 내구성 및 견고성이 향상될 수 있어 차단체(90)가 강풍에 의해 쓰러지거나 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상기 차단체(90)는, 상기 제1브라켓(80)에 끼워지고 가로방향으로 위치되는 제1차단봉(91)과, 상기 제2브라켓(81)에 끼워지고 상기 제1차단봉(91)과 대응되는 가로방향으로 위치되는 제2차단봉(92)과, 상기 제1차단봉(91)과 제2차단봉(92)을 연결하는 연결부(93)와, 상기 제1차단봉(91)과 제2차단봉(92)을 수직연결하여 제1차단봉(91)과 제2차단봉(92)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봉(9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차단봉(91)과 제2차단봉(92)을 수직연결하는 복수개의 지지봉(94)이 더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차단체(90)를 이루고 있는 제1차단봉(91)과 제2차단봉(92)에 대한 견고성 및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차단봉(91)과 제2차단봉(92)을 각각 하우징체(1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브라켓(80)과 제2브라켓(81)에 끼운 다음 볼팅결합에 의해 결합고정하기 때문에 연결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어 현장에서의 설치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
상기 차단체(90)에는, 차량을 옆차로로 유도하는 유도판(95)이 더 구비되고 상기 유도판(95)의 상부와 하부에는 야간에 식별이 가능하도록 LED점등부(96)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유도판(95)의 전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중인 차량을 옆차로로 유도하는 화살표나 또는 '옆차로 이용'과 같은 문구를 표기하여 줌에 따라 차량운전자로 하여금 주행 중인 차량의 유도방향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LED점등부(96)에 의해 유도판(95)에 대한 점등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야간이나 또는 시야 확보가 비교적 용이하지 못한 날씨에 주행 중인 차량을 옆차로로 유도함이 용이하고 차량 운전자로 하여금 멀리서도 쉽게 식별하도록 하여 차단체(90)와 차량과의 추돌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하우징체 11 : 구획판
12 : 제1연결부 13 : 제2연결부
20 : 지지부 20a : 지지부 상부
30 : 제1스프로킷 40 : 제3스프로킷
41 : 연동축 42 : 제1체인
43 : 제2스프로킷 50 : 제4스프로킷
51 : 제2체인 60 : 구동모터
61 : 모터축 70 : 지지부
80 : 제1브라켓 81 : 제2브라켓
90 : 차단체 91 : 제1차단봉
92 : 제2차단봉 93 : 연결부
94 : 지지봉 95 : 유도판
96 : LED점등부

Claims (3)

  1. 내측 상단에 구획판(11)이 구비되고 상기 구획판(11)의 하단에 구비되는 제1연결부(12)와 하단 외측에 구비되는 제2연결부(13)를 갖는 하우징체(10)와;
    상기 제1연결부(12)와 제2연결부(13)가 외면에 각각 결합고정되고 상부가 상기 하우징체(10)의 내부에 위치되며 하단은 지면에 고정되어 지면에 대해 수직 설치되고 상부(20a)가 상기 하우징체(10)의 내부에 위치되는 지지부(20)와;
    상기 하우징체(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체(10)의 내부에 위치되는 지지부(20) 상부(20a)에 축설되는 제1스프로킷(30)과;
    상기 하우징체(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연동축(41)과 상기 제1스프로킷(30)과 제1체인(42)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연동축(41) 상단에 축설되는 제2스프로킷(43)과 상기 제2스프로킷(43)이 상단에 축설되는 상기 연동축(41)의 하단에 축설되는 제3스프로킷(40)과;
    상기 하우징체(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3스프로킷(40)과 제2체인(51)에 의해 연결되는 제4스프로킷(50)과;
    상기 하우징체(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4스프로킷(50)이 축설되는 모터축(61)을 갖는 구동모터(60)와;
    상기 구동모터(60)를 지지하는 지지부(70)와;
    상기 하우징체(1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브라켓(80) 및 제2브라켓(81)과;
    상기 제1브라켓(80) 및 제2브라켓(81)에 각각 끼워져 볼팅결합되어 고정되는 차단체(90)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체(90)는,
    상기 제1브라켓(80)에 끼워지고 가로방향으로 위치되는 제1차단봉(91)과;
    상기 제2브라켓(81)에 끼워지고 상기 제1차단봉(91)과 대응되는 가로방향으로 위치되는 제2차단봉(92)과;
    상기 제1차단봉(91)과 제2차단봉(92)을 연결하는 연결부(93)와;
    상기 제1차단봉(91)과 제2차단봉(92)을 수직연결하여 제1차단봉(91)과 제2차단봉(92)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봉(9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체(90)의 제1차단봉(91)과 제2차단봉(92)에는,
    차량을 옆차로로 유도하는 유도판(95)이 더 구비되고 상기 유도판(95)의 상부와 하부에는 야간에 식별이 가능하도록 LED점등부(96)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기.
KR1020150060266A 2015-04-29 2015-04-29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기 KR101724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266A KR101724834B1 (ko) 2015-04-29 2015-04-29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기
PCT/KR2015/008396 WO2016175392A1 (ko) 2015-04-29 2015-08-11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266A KR101724834B1 (ko) 2015-04-29 2015-04-29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610A KR20160128610A (ko) 2016-11-08
KR101724834B1 true KR101724834B1 (ko) 2017-04-10

Family

ID=57198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0266A KR101724834B1 (ko) 2015-04-29 2015-04-29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24834B1 (ko)
WO (1) WO20161753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75647A (zh) * 2017-02-24 2018-02-09 上海享泊信息科技有限公司 道闸控制方法及系统
US11629465B2 (en) 2017-05-16 2023-04-18 Systemes Versilis Inc. Gate for controlling oncoming traffic on a roadway
CN108999560A (zh) * 2018-10-08 2018-12-14 丰和营造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免人工控制的车辆进出门
CN110761220A (zh) * 2019-10-10 2020-02-07 邓诗琼 一种可对车身洒水的车辆限高设备
KR102131336B1 (ko) * 2020-04-10 2020-07-07 한국정보기술 주식회사 고속도로 통행료수납시스템에서 사고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는 통합 차로 제어기
KR102319138B1 (ko) * 2021-04-07 2021-10-29 (주)세은테크 차량 통행 차단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0396A (ko) 1999-07-20 2001-02-05 이영재 차량 통행 차단장치
KR100638328B1 (ko) * 2004-03-09 2006-10-25 차충식 보행자 안내용 입출차 차단기를 구비한 주차관리시스템
KR20110016179A (ko) * 2009-08-11 2011-02-17 주식회사 코마피엔지 이륜차 보관소용 출입차단 게이트
US8667736B2 (en) * 2010-12-03 2014-03-11 The Chamberlain Group, Inc. Tandem drive for barrier
FR2972467B1 (fr) * 2011-03-11 2013-05-03 Jean Bernard Lucien Jules Lafont Dispositif de controle d'acces comportant un obstacle escamotable
KR101199651B1 (ko) * 2012-07-05 2012-11-08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선별적 차량 통행제한을 위한 차단기
KR101402718B1 (ko) 2012-09-28 2014-06-11 안춘희 도로 진입부 차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610A (ko) 2016-11-08
WO2016175392A1 (ko) 2016-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4834B1 (ko)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기
KR101520243B1 (ko)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장치
KR102176518B1 (ko) 스쿨존의 횡단보도를 어린이가 안전하게 건너가도록 횡단보도와 차도에 게이트를 설치하는 방법
JP3208674U (ja) 工事規制標識装置
KR101268716B1 (ko) 차량 통행 차단장치
CN111691326A (zh) 一种高度可调的市政道路限高杆
CN112647734A (zh) 一种公交优先港湾式公交站
KR100673306B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KR101184093B1 (ko) 1차로 전용 차량의 차로 변경 시스템
DE102013102636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Detektion und Warnung von oder vor Falschfahrern
CN213538761U (zh) 一种可提高交通管理效率的人行横道装置
KR100536475B1 (ko) 일방통행로 역진입 통제장치
CN211340280U (zh) 一种货车etc车道系统
DE4121298A1 (de) Verkehrswarneinrichtung
CN103280115A (zh) 一种安装在机动车道上的道路交通辅助信号灯
CN201526018U (zh) 一种路口防机动车闯红灯辅助设施
CN217758479U (zh) 一种集成显示功能的etc道闸栏杆
KR200449557Y1 (ko) 충돌방지 경고기능을 가지는 교통신호 제어기 구조물
CN205917550U (zh) 智能型廊道式城市公交系统
CN212506013U (zh) 一种农村公路防撞护栏
CN218412943U (zh) 一种高速公路车道限高检测装置
CN219908689U (zh) 一种智慧园区的栅栏道闸
KR200320547Y1 (ko) 일방통행로 역진입 통제장치
CN216517280U (zh) 一种市政道路防护栏
CN213896844U (zh) 市区道路施工交通避让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