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0243B1 -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0243B1
KR101520243B1 KR1020150009020A KR20150009020A KR101520243B1 KR 101520243 B1 KR101520243 B1 KR 101520243B1 KR 1020150009020 A KR1020150009020 A KR 1020150009020A KR 20150009020 A KR20150009020 A KR 20150009020A KR 101520243 B1 KR101520243 B1 KR 101520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housing
fixing table
shut
hous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남
Original Assignee
박영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남 filed Critical 박영남
Priority to KR1020150009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02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with rotatable, swingable or adjustable signs or signals

Abstract

본 발명은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장치가 개시되는 것으로, 제1인출구멍(11)과 제2인출구멍(12)이 각각 관통되어 구비되고 내측 상단에 선반(13) 및 상기 선반(13)의 하부측에 수용부(14)가 각각 구비되는 하우징체(10)와; 상기 하우징체(10)의 수용부(14)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체(10)의 제1인출구멍(11)으로부터 인출되는 제1고정대(21)와 상기 하우징체(10)의 제2인출구멍(12)으로 인출되는 제2고정대(22)와 상기 제1고정대(21)와 제2고정대(22)가 각각 축설 고정되는 회전축(23)과 상기 회전축(23)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체(10)의 수용부(14) 바닥면(14a)에 고정되는 베어링(24)과 상기 회전축(23)의 상단에 구비되고 연동스프로킷(25)을 갖는 회전체(20)와; 상기 회전체(20)의 연동스프로킷(25)과 체인(31)에 의해 연결되는 구동스프로킷(32)과 상기 구동스프로킷(32)이 축설되는 모터축(33)이 구비되고 상기 선반(13)의 하면(13a)에 고정되는 감속모터(34)를 갖는 구동체(30)와; 상기 하우징체(10)의 제1인출구멍(11)과 제2인출구멍(12)으로부터 각각 인출되는 상기 회전체(20)의 제1고정대(21)와 제2고정대(22)에 각각 끼움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체(10)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위치되는 제1차단봉(41) 및 제2차단봉(42)과 상기 제1차단봉(41)과 제2차단봉(42)을 수직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봉(43)을 갖는 차단체(4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장치{apparatus for cutting passing}
본 발명은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속도로 톨게이트의 도로를 보수하거나 또는 하이패스 등과 같은 장치의 수리 및 교체할 때 공사중인 도로를 차단하여 차량이 공사중인 도로의 옆도로를 통행하도록 하여 차량추돌사고 등과 같은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의 각 진입로와 진출로에는 톨게이트가 구비되어 있는 바, 톨게이트를 빠져나가는 진출로에는 차량의 도로 주행요금을 정산하는 부스들이 여러 개 설치되어 있고, 톨게이트를 진입하는 진입로에는 고속도로 통행표를 받을 수 있는 통행표 배출기가 여러 개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부스 및 통행표 배출기측으로 차량을 안내하기 위한 도로가 구획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운전자는 고속도로를 주행하기 전 통행표 배출기로부터 배출되는 통행표를 받아 두었다가 이후 목적지 도착 진출로를 빠져나올 때 진출로에 설치되어 있는 톨게이트를 지나기 전에 요금 정산부스에서 받아 두었던 통행표와 함께 통행요금을 정산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고속도로 톨게이트에는 많은 차량의 진출과 진입이 이루어기 때문에, 톨게이트 도로는 이들 각각의 통행표 배출기와 요금정산부스를 구획하는 구획라인을 도색하여 많은 차량들이 구획된 각각의 통행표 배출기 또는 요금정산부스를 통과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고속도로 톨게이트에 설치된 각각의 통행표 배출기 및 요금정산소의 보수 및 교체 또는 수리작업을 하거나 또는 통행표 배출기 및 요금정산소를 구획하고 있는 구획라인의 도로면을 보수하거나 할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구획라인의 도로통행을 차단하여야 하는 바, 통상 구획라인의 차단이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고깔형 차단봉이나 드럼형 차단구 또는 양측에 지지대가 구비되는 가로형 패널을 도로면에 놓아두어 차량운전자가 공사 중인 도로측으로 통행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공사 중인 도로를 차단하는 수단인 고깔형 차단봉이나 드럼형 차단구 또는 양측에 지지대가 구비되는 가로형 패널들은, 차량의 진입을 통제하기 위해 여러 개의 차단장치들을 도로면에 놓아야 하고 공사가 끝난 후에는 다시 도로면에 놓아진 차단장치들을 수거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의 번거로움은 물론 차단장치를 놓거나 수거하는 과정에서 타 차량과 작업자 간의 충돌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차단장치는 단지 공사 중인 구획라인측으로 차량이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차량 운전자들에게 다른 라인으로 진입하도록 안내해야 하지만, 이와 같은 가이드 역할을 전혀 하지 못함에 따라 운전자들로 하여금 당황하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근자들어서는 일명 '하이패스'라 불리우는 무인요금 정산시스템이 각 톨게이트마다 구비되어 있는 바, 이 무인요금 정산시스템을 수리하기 위해 도로를 차단할 경우 다른 라인으로 유도하는 별도의 수단이 없어 무인요금 정산시스템을 이용하는 차량 운전자들이 어느 라인으로 가야할지의 여부를 쉽게 파악하지 못하게 되어 급브레이크를 밟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이는 후방차량으로 하여금 추돌사고를 발생시키는 또 다른 문제점을 야기시키게 된다.
뿐만 아니라, 공사중이 아닌 다른 라인으로 안내하기 위해 고깔형 차단봉을 도로면에 세워두고는 있으나, 고깔형 차단봉만으로는 운전자들이 갈 방향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여러 개의 고깔형 차단봉들을 도로면에 세워두어야 하고, 공사가 완료되면 다시 세워두었던 차단봉을 수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뒤 따르게 된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10-1268716호인 차량 통행 차단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일측면에 제1인출입구멍이 통공되고 전면에 도어가 구비되며 하단에 제1플랜지가 구비되며 내부 상단과 하단에 각각 고정브라켓이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되는 고정브라켓에 고정되는 제1베어링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되는 고정브라켓에 고정되는 제1베어링부에 끼워지는 제1회동축과, 상기 제1회동축에 축설되는 제1스프링복귀부와, 상기 제1회동축에 권취되고 상기 하우징의 제1인출입구멍으로부터 노출되는 끝단에 제1걸림부가 구비되는 제1차단막으로 이루어지는 차단체와, 상기 차단체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차단체의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제1회동축에 축설된 제1차단막의 제1걸림부가 걸어지는 걸이체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도로면에 차단체와 걸이체를 이용하여 쉽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에 따른 작업시간의 단축은 물론 작업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하나의 차단체를 이용하여 양측의 도로를 모두 차단하거나 또는 양측의 도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걸이체에 걸어지는 차단막이 시트 등과 같은 막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바람이 불거나 할 경우 걸이체에 걸어지는 차단막이 흔들거림이나 뒤틀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대개의 고속도로 톨게이트가 넓은 도로에 위치되어 있는 점을 감안할 때 강풍이 항상 불게 되는 조건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차단막의 흔들거림을 방지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바람이 심하게 부는 강원도 지역의 톨게이트의 경우에는 계절에 관계없이 항상 심하고 강한 바람이 불기 때문에 걸이체에 걸어지는 차단막이 흔들거리거나 뒤틀리거나 또는 찢어져 훼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268716호(2013.05.22. 등록)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01-0010396호(2001.02.05. 공개)
본 발명은 도로를 차단하는 차단체를 모터동력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수작업이 아닌 모터 동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도로가 차단되거나 차단이 해제되도록 하고 강풍이 심하게 불더라도 차단체가 흔들거리거나 뒤틀리거나 찢어져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사용성 및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장치는, 제1인출구멍과 제2인출구멍이 관통되어 구비되고 내측 상단에 선반 및 상기 선반의 하부측에 수용부가 구비되는 하우징체와; 상기 하우징체의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체의 제1인출구멍으로부터 인출되는 제1고정대와 상기 하우징체의 제2인출구멍으로 인출되는 제2고정대와 상기 제1고정대와 제2고정대가 각각 축설 고정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베어링과 상기 회전축의 상단에 구비되고 연동스프로킷을 갖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연동스프로킷과 체인에 의해 연결되는 구동스프로킷과 상기 구동스프로킷이 축설되는 모터축이 구비되고 상기 선반의 하면에 고정되는 감속모터를 갖는 구동체와; 상기 하우징체의 제1인출구멍과 제2인출구멍으로부터 각각 인출되는 상기 회전체의 제1고정대와 제2고정대에 각각 끼움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체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위치되는 제1차단봉 및 제2차단봉과 상기 제1차단봉과 제2차단봉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봉을 갖는 차단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인출구멍 및 제2인출구멍은, 상기 하우징체의 가장자리로부터 양측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절개 관통되는 'ㄱ' 형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나아가, 상기 제1차단봉과 제2차단봉에는 이들 제1차단봉과 제2차단봉을 덮어 포설하고 상기 제1차단봉과 제2차단봉에 후면이 각각 용접작업에 의해 용착되는 차단판이 더 구비되고, 상기 차단판의 전면에는 차단도로의 진입방향을 우회하여 옆차로로 안내하는 안내문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차단판의 전면에는 이 차단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LED램프점등체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체의 선반에 올려지고 상기 구동체의 감속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속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수신부와 유선 또는 무선 중 어느 하나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구동체의 작동에 의해 차단체가 회전되어 공사중이거나 공사진행예정인 도로를 차단하여 줌에 따라 도로의 차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강풍이 불더라도 차단체가 강풍에 날리거나 휘둘리거나 찢어지거나 뒤틀어지거나 흔들거리거나 하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로 도로를 차단하여 줄 뿐만 아니라, 공사중인 도로를 우회하여 옆차로로 유도할 수 있어 하이패스 등과 같이 빠르게 지나가는 차량의 추돌사고 등을 방지하며 LED램프점등체에 의해 야간작업이나 또는 어두운 장소에서의 식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장치의 하우징체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장치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장치의 구성요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장치의 구성요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장치는, 하우징체(10)와, 회전체(20), 구동체(30) 및 차단체(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체(10)는, 제1인출구멍(11)과 제2인출구멍(12)이 각각 관통되어 구비되고 내측 상단에 선반(13) 및 상기 선반(13)의 하부측에 수용부(14)가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체(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빈 함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내측 상단에는 선반(13)이 위치되고 상기 선반(13)의 하부측 즉 선반(13)을 제외한 나머지 내부 공간에 수용부(14)가 구비된다.
또한 하우징체(10)의 수용부(14)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덮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하우징체(10)는 고속도로 톨게이트에 요금정산소 또는 통행표 배출기를 구획하는 도로의 일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체(20)에 의해 차단체(40)가 회전되었을 때 상기 구획된 도로를 차단할 수 있는 정도이면 족하다.
상기 회전체(20)는, 상기 하우징체(10)의 수용부(14)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체(10)의 제1인출구멍(11)으로부터 인출되는 제1고정대(21)와 상기 하우징체(10)의 제2인출구멍(12)으로 인출되는 제2고정대(22)와 상기 제1고정대(21)와 제2고정대(22)가 각각 축설 고정되는 회전축(23)과 상기 회전축(23)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체(10)의 수용부(14) 바닥면(14a)에 고정되는 베어링(24)과 상기 회전축(23)의 상단에 구비되고 연동스프로킷(25)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체(20)는 하우징체(10)의 내부 일측에 위치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축(23)이 하우징체(10)의 내부 일측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수직으로 세워져 구비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23)에 끼워져 축설되는 상기 제1고정대(21)와 제2고정대(22)는 일측이 각각 상기 회전축(23)에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것으로, 이 때 상기 제1고정대(21)와 제2고정대(22)는 상기 하우징체(10)의 제1인출구멍(11)과 제2인출구멍(12)에 각각 관통되도록 하는 위치에 구비된다.
즉, 상기 제1고정대(21)는 상기 제1인출구멍(11)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하우징체(10)의 외측에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제2고정대(22)는 상기 제2인출구멍(12)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하우징체(10)의 외측에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축(23)의 하단에 구비되는 베어링(24)은, 회전축(23)의 하단을 상기 하우징체(10)의 수용부(14) 바닥면(14a)에 고정하도록 하는 수단과 아울러, 상기 회전축(23)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구동체(30)는, 상기 회전체(20)의 연동스프로킷(25)과 체인(31)에 의해 연결되는 구동스프로킷(32)과 상기 구동스프로킷(32)이 축설되는 모터축(33)이 구비되고 상기 선반(13)의 하면(13a)에 고정되는 감속모터(34)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체인(32)은 상기 회전체(20)의 연동스프로킷(25)과 상기 구동체(30)의 구동스프로킷(32)을 연결하는 수단으로 상기 구동스프로킷(3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체인(32)이 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연동스프로킷(25)이 회전되면서 상기 연동스프로킷(25)이 상단에 결합되는 상기 회전체(20)의 회전축(23)이 회전된다.
상기 감속모터(34)는 상기 선반(13)의 하면(13a)에 볼트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감속모터(34)의 위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체(10)의 수용부(14) 내부에서 상기 회전축(23)의 일측에 위치된다.
상기 감속모터(34)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정역회전이 가능한 것으로, 이는 도로 공사 중일 때 상기 차단체(4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도로를 차단하고 공사가 종료되면 상기 회전된 차단체(4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차단된 도로를 해제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차단체(40)는, 상기 하우징체(10)의 제1인출구멍(11)과 제2인출구멍(12)으로부터 각각 인출되는 상기 회전체(20)의 제1고정대(21)와 제2고정대(22)에 각각 끼움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체(10)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위치되는 제1차단봉(41) 및 제2차단봉(42)과 상기 제1차단봉(41)과 제2차단봉(42)을 수직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봉(43)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하우징체(10)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위치되는 제1차단봉(41)은 상기 제1고정대(21)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제2차단봉(42)은 상기 제2고정대(22)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으로 제1차단봉(41)과 제2차단봉(42)의 끝단부를 연결하여 제1차단봉(41)과 제2차단봉(42)의 흔들거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지지봉(43)은 상기 제1고정대(21)와 제2고정대(22)에 각각 끼워진 제1차단봉(41)과 제2차단봉(42)을 수직방향으로 연결하여 제1차단봉(41)과 제2차단봉(42)을 견고하게 지지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로를 보수하거나 또는 하이패스 무인요금정산장치를 교체 및 수리하거나 또는 통행표 배출기를 수리하고자 할 경우 상기 구동체(30)의 감속모터(34)를 정방향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감속모터(34)가 정방향 작동되면 감속모터(34)의 모터축(33)에 연결되는 상기 구동스프로킷(32)이 회전되고 구동스프로킷(3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체인(31)이 회전된다.
또한, 상기 체인(31)이 회전되는 것에 의해 상기 체인(31)과 연결되는 상기 회전체(20)의 연동스프로킷(25)이 회전되고 이에 따라 연동스프로킷(25)과 연결되는 회전축(23)이 회전되면서 상기 제1고정대(21)와 제2고정대(22)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제1고정대(21)와 제2고정대(22)에 각각 연결되는 제1차단봉(41)과 제2차단봉(42)이 회전되어 도로를 차단한다.
이와 같이 도로를 차단한 상태에서 공사를 진행하면 되는 것으로 공사가 종료되면 다시 상기 구동체(30)의 감속모터(34)를 역방향으로 작동시켜 도로를 차단하고 있는 차단체(40)의 제1차단봉(41)과 제2차단봉(42)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도로의 차단을 해제한다.
본 발명에서의 정방향이라 함은 상기 차단체(40)가 도로를 차단하기 위해 도로측으로 회전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역방향이라함은 도로를 차단한 차단체(40)가 차단된 도로로부터 벗어나도록 회전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간단한 구동체(30)의 감속모터(34)의 작동에 의해 상기 차단체(40)의 제1차단봉(41)과 제2차단봉(42)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도로를 차단하거나 차단된 도로를 해제할 수 있어 도로의 차단 및 해제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바람이 강하게 불더라도 상기 제1차단봉(41)과 제2차단봉(42)의 흔들거림이나 뒤틀어짐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넓은 평지 공간을 차지하는 고속도로의 도로를 차단함이 용이하다.
상기 제1인출구멍(11) 및 제2인출구멍(12)은, 상기 하우징체(10)의 가장자리(10a)로부터 양측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절개 관통되는 'ㄱ' 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인출구멍(11) 및 제2인출구멍(12)은, 상기 하우징체(10)의 가장자리(10a)로부터 양측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절개 관통되는 'ㄱ' 형으로 이루어진 이유는, 상기 차단체(40)의 제1차단봉(41)과 제2차단봉(42)이 각각 끼움 고정되는 상기 제1고정대(21)와 제2고정대(22)가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제1고정대(21)와 제2고정대(22)가 'ㄱ' 형으로 이루어진 제1인출구멍(11) 및 제2인출구멍(12)에 의해 가이드되어 회전되기 때문에 제1고정대(21)와 제2고정대(22)의 회전에 따른 회전간섭이 발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제1차단봉(41)과 제2차단봉(42)에는 이들 제1차단봉(41)과 제2차단봉(42)을 덮어 포설하고 상기 제1차단봉(41)과 제2차단봉(42)에 후면이 각각 용접작업에 의해 용착되는 차단판(50)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판(50)의 전면에는 차단도로의 진입방향을 우회하여 옆차로로 안내하는 안내문구(51)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단판(50)이 더 구비되면 멀리서부터 톨게이트측으로 주행하는 차량 운전자가 차단판(50)에 의해 도로의 차단을 더욱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차단판(50)은 강풍에 견딤이 용이하도록 철판과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당연하다.
또한, 안내문구(51)가 차단판(50)의 전면에 더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 운전자로 하여금 옆차로로 진입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어 차량 운전자로 하여금 도로가 차단되더라도 신속하게 옆차로로 주행할 수 있기 때문에 급브레이크를 밟거나 하여 야기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차단판(50)의 전면에 야광띠 또는 형광띠를 더 구비하여 차량 운전자로 하여금 도로의 차단여부를 더욱 쉽게 확인하도록 하고 야간 주행이나 새벽 주행 또는 안개지역에서의 차단판(50)을 쉽게 식별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차단판(50)의 전면에는 이 차단판(50)의 길이방향을 따라 LED램프점등체(6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LED램프점등체(60)가 더 구비됨으로써 차량 운전자로 하여금 점등되는 LED램프점등체(60)를 통해 멀리서도 차단판(50)을 더욱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도로의 차단여부를 멀리서 미리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차량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체(10)의 선반(13)에 올려지고 상기 구동체(30)의 감속모터(3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속모터(3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0)와, 상기 제어부(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신부(71)와, 상기 수신부(7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부(72)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스위치부(72)는 상기 수신부(71)와 유선 또는 무선 중 어느 하나로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스위치부(72)가 더 구비되면, 하우징체(10)측으로 작업자가 접근하지 않고서도 멀리서 스위치부(72)를 동작시켜 차단체(40)를 회전시켜 도로를 차단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도로의 차단 및 해제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하우징체 11 : 제1인출구멍
12 : 제2인출구멍 13 : 선반
14 : 수용부 20 : 회전체
21 : 제1고정대 22 : 제2고정대
23 : 회전축 24 : 베어링
25 : 연동스프로킷 30 : 구동체
31 : 체인 32 : 구동스프로킷
33 : 모터축 34 : 감속모터
40 : 차단체 41 : 제1차단봉
42 : 제2차단봉 43 : 지지봉
50 : 차단판 51 : 안내문구
60 : LED램프점등체 70 : 제어부
71 : 수신부 72 : 스위치부

Claims (5)

  1. 제1인출구멍(11)과 제2인출구멍(12)이 각각 관통되어 구비되고 내측 상단에 선반(13) 및 상기 선반(13)의 하부측에 수용부(14)가 각각 구비되는 하우징체(10)와;
    상기 하우징체(10)의 수용부(14)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체(10)의 제1인출구멍(11)으로부터 인출되는 제1고정대(21)와 상기 하우징체(10)의 제2인출구멍(12)으로 인출되는 제2고정대(22)와 상기 제1고정대(21)와 제2고정대(22)가 각각 축설 고정되는 회전축(23)과 상기 회전축(23)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체(10)의 수용부(14) 바닥면(14a)에 고정되는 베어링(24)과 상기 회전축(23)의 상단에 구비되고 연동스프로킷(25)을 갖는 회전체(20)와;
    상기 회전체(20)의 연동스프로킷(25)과 체인(31)에 의해 연결되는 구동스프로킷(32)과 상기 구동스프로킷(32)이 축설되는 모터축(33)이 구비되고 상기 선반(13)의 하면(13a)에 고정되는 감속모터(34)를 갖는 구동체(30)와;
    상기 하우징체(10)의 제1인출구멍(11)과 제2인출구멍(12)으로부터 각각 인출되는 상기 회전체(20)의 제1고정대(21)와 제2고정대(22)에 각각 끼움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체(10)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위치되는 제1차단봉(41) 및 제2차단봉(42)과 상기 제1차단봉(41)과 제2차단봉(42)을 수직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봉(43)을 갖는 차단체(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인출구멍(11) 및 제2인출구멍(12)은,
    상기 하우징체(10)의 가장자리(10a)로부터 양측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절개 관통되는 'ㄱ' 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봉(41)과 제2차단봉(42)에는 이들 제1차단봉(41)과 제2차단봉(42)을 덮어 포설하고 상기 제1차단봉(41)과 제2차단봉(42)에 후면이 각각 용접작업에 의해 용착되는 차단판(5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차단판(50)의 전면에는 차단도로의 진입방향을 우회하여 옆차로로 안내하는 안내문구(51)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50)의 전면에는 이 차단판(50)의 길이방향을 따라 LED램프점등체(6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체(10)의 선반(13)에 올려지고 상기 구동체(30)의 감속모터(3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속모터(3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0)와;
    상기 제어부(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신부(71)와;
    상기 수신부(7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부(72)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부(72)는 상기 수신부(71)와 유선 또는 무선 중 어느 하나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장치.
KR1020150009020A 2015-01-20 2015-01-20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장치 KR101520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020A KR101520243B1 (ko) 2015-01-20 2015-01-20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020A KR101520243B1 (ko) 2015-01-20 2015-01-20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0243B1 true KR101520243B1 (ko) 2015-05-13

Family

ID=53394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020A KR101520243B1 (ko) 2015-01-20 2015-01-20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02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610B1 (ko) * 2017-06-29 2018-01-18 (주)에스알디코리아 회차로 스마트 차단장치
JP2019094747A (ja) * 2017-11-21 2019-06-20 株式会社アドビック 遮断装置
KR102355534B1 (ko) * 2021-08-23 2022-02-08 주식회사 비엔에스테크 진출입로 차단장치
US11566389B2 (en) 2017-05-16 2023-01-31 Systemes Versilis Inc. Gate for controlling oncoming traffic on a roadwa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0759A (ko) * 2010-06-22 2010-07-12 최문석 차량통행 차단기
KR20110016179A (ko) * 2009-08-11 2011-02-17 주식회사 코마피엔지 이륜차 보관소용 출입차단 게이트
US20120137590A1 (en) * 2010-12-03 2012-06-07 The Chamberlain Group, Inc. Tandem Drive for Barrier
KR101199651B1 (ko) * 2012-07-05 2012-11-08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선별적 차량 통행제한을 위한 차단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6179A (ko) * 2009-08-11 2011-02-17 주식회사 코마피엔지 이륜차 보관소용 출입차단 게이트
KR20100080759A (ko) * 2010-06-22 2010-07-12 최문석 차량통행 차단기
US20120137590A1 (en) * 2010-12-03 2012-06-07 The Chamberlain Group, Inc. Tandem Drive for Barrier
KR101199651B1 (ko) * 2012-07-05 2012-11-08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선별적 차량 통행제한을 위한 차단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66389B2 (en) 2017-05-16 2023-01-31 Systemes Versilis Inc. Gate for controlling oncoming traffic on a roadway
US11629465B2 (en) * 2017-05-16 2023-04-18 Systemes Versilis Inc. Gate for controlling oncoming traffic on a roadway
US11913181B2 (en) 2017-05-16 2024-02-27 Systemes Versilis Inc. Gate for controlling oncoming traffic on a roadway
KR101819610B1 (ko) * 2017-06-29 2018-01-18 (주)에스알디코리아 회차로 스마트 차단장치
JP2019094747A (ja) * 2017-11-21 2019-06-20 株式会社アドビック 遮断装置
KR102355534B1 (ko) * 2021-08-23 2022-02-08 주식회사 비엔에스테크 진출입로 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4834B1 (ko)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기
KR101520243B1 (ko)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장치
KR102176518B1 (ko) 스쿨존의 횡단보도를 어린이가 안전하게 건너가도록 횡단보도와 차도에 게이트를 설치하는 방법
JP3208674U (ja) 工事規制標識装置
CN211124148U (zh) 一种高速公路收费站智能引导系统
KR101268716B1 (ko) 차량 통행 차단장치
CN114049778A (zh) 通勤效率提升的高速公路通行保障系统
KR101669771B1 (ko) 교통신호등 연계 인도 및 자전거도로 겸용 횡단차단장치
CN112647734A (zh) 一种公交优先港湾式公交站
CN214123155U (zh) 一种十字路口定时定向导向设备
KR20090048971A (ko) 가변차로 시스템
DE4121298C2 (ko)
KR100647522B1 (ko) 철도건널목의 자동차 차단장치
JPH08246424A (ja) 車両の走行規制指示装置
RU9709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граничения движения автомобильного транспорта
KR200299918Y1 (ko) 보행자 보호용 차량 진입 차단봉의 은폐 구조
KR200449557Y1 (ko) 충돌방지 경고기능을 가지는 교통신호 제어기 구조물
KR101184093B1 (ko) 1차로 전용 차량의 차로 변경 시스템
CN205917550U (zh) 智能型廊道式城市公交系统
KR101218039B1 (ko) 베리어가 구비된 매립형 차량용 방벽
CN220709731U (zh) 高速收费站标准化etc车道安全预警装置
CN212506013U (zh) 一种农村公路防撞护栏
CN218952034U (zh) 邻近隧道的立交合流区车道行车安全诱导主动管控系统
CN213683361U (zh) 一种公交优先港湾式公交站
DE102016103737A1 (de) System zum Verhindern einer Falschfahrt eines Fahrzeuges auf einer Straße mit höhenfreien Knotenpunkt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