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8971A - 가변차로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변차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8971A
KR20090048971A KR1020070115109A KR20070115109A KR20090048971A KR 20090048971 A KR20090048971 A KR 20090048971A KR 1020070115109 A KR1020070115109 A KR 1020070115109A KR 20070115109 A KR20070115109 A KR 20070115109A KR 20090048971 A KR20090048971 A KR 20090048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e
variable
entry
main
traff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5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상
최재진
김용균
이승진
Original Assignee
(주)지앤지컨설턴트에프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앤지컨설턴트에프디아이 filed Critical (주)지앤지컨설턴트에프디아이
Priority to KR1020070115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8971A/ko
Publication of KR20090048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97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E01C1/04Road crossings on different levels; Interconnections between roads on different leve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E01C1/002Design or lay-out of roads, e.g. street systems, cross-sections ; Design for noise abatement, e.g. sunken roa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00Ventilation of mines or tunnels; Distribution of ventilating currents
    • E21F1/003Ventilation of traffic tu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가변차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가변차로시스템은, 메인차로의 일측에 가변용 보조차로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메인차로의 일측차로에는 제1진입로 및 제1진출로가 분기되어 상기 가변용 보조차로와 연결되며, 상기 메인차로의 타측차로에는 제2진입로 및 제2진출로가 분기되어 상기 가변용 보조차로와 연결된다.
Figure P1020070115109
가변, 차량, 소통, 통행, 메인차로, 진입로, 진출로

Description

가변차로 시스템{VARIABLE ROAD SYSTEM}
본 발명은 차량의 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가변차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변차로제라 함은, 특정 시간대에 교통량이 차이가 나는 도로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차로를 주된 교통량 방향으로 통행하게 하는 제도로서, 교통 소통의 원활화와 도로 이용자들의 편의 증진 등 도로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이러한 가변차로제는 특정한 시간이나 상황에 따라 교통량이 두드러지게 차이가 나는 도로의 좌우 차로를 교통량에 맞게 늘리거나 줄여서 주 교통량 방향으로 통행하게 한다. 교통량이 가장 많을 때 주된 방향의 교통량이 한 쪽 방향 전체 교통량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양방향 통행도로에 적용된다. 교통량이 가장 많을 때 양방향 교통량의 비율이 최소한 3:2 이상인 도로, 차로 수가 원칙적으로 최소한 양방향 5개 차로 이상인 도로, 도로의 너비와 차로 수가 일정한 도로, 가변차로 구간 유출부에서 교통 처리 능력이 충분한 도로 등이 이에 해당한다. 신호방식에는 표지판식·신호등식·이동가설물식 등이 있으며, 가변차선은 황색 파선(破線)으로 나타 낸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가변차로제는 도로 이용의 효율면에서는 도움이 되지만 사고 발생률이 높고, 사고가 일어났을 때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 가변차로 구간을 폐지하는 추세이며, 이에 가변차로제가 적용되는 구간의 차선을 확장할 수도 있지만, 차선 확장공사의 경우 그 시공 및 관리 유지비용이 너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메인도로의 상행 및 하행차로의 가변을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함으로써 교통량이 많은 차로 구간에서 매우 원활한 소통효율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그 시공, 관리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가변차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변차로시스템은,
메인차로의 일측에 가변용 보조차로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메인차로의 일측차로에는 제1진입로 및 제1진출로가 분기되어 상기 가변용 보조차로와 연결되며, 상기 메인차로의 타측차로에는 제2진입로 및 제2진출로가 분기되어 상기 가변용 보조차로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메인차로의 일측에 별도의 가변용 보조차로를 시공함으로써 각종 교통상황 또는 교통량 등에 따라, 메인차로의 좌우 양차로의 통행방향 중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의 통행을 허용함으로써 메인차로의 가변 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하여 그 교통의 소통을 보다 원활하게 하며, 이에 도로의 이용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변용 보조차로에 의한 가변 통행의 원활한 소통을 위하여 상기 가변용 보조차로와 상기 메인차로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가변용 보조차로는 지상도로, 지하터널, 고가도로 중에서 어느 하나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진입로, 제1진출로, 제2진입로, 제2진출로는 지상도로, 지하터널, 고가도로 중에서 어느 하나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진입로, 제1진출로, 제2진입로, 제2진출로는 상기 가변용 보조차로 내의 차량 통행상태를 표시하는 정보표시수단, 상기 상행차로 또는 하행차로에서 가변용 보조차로로의 차량 통행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통행 차단부, 및 상기 가변용 보조차로의 차량 통행상태를 감지 내지 관리하는 관리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변용 보조차로가 지하터널인 경우 그 내부에 환기팬을 구비하고, 상기 환기팬은 그 환기방향이 조절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교통량이 많은 차로 구간에서 매우 원활한 소통효율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그 시공, 관리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차로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변차로 시스템은 메인차로(10)의 일측에는 가변용 보조차로(20)가 이격되어 시공되고, 상기 가변용 보조차로(20)에는 메인차로(10)의 상행차선(12) 및 하행차선(13)이 소통되게 연결된다.
메인차로(10)는 2차선 이상의 차선을 가지고, 중앙분리선(11)을 기준으로 상행차로(12) 및 하행차로(13)로 구분된다.
메인차로(10)의 일정구간 특히, 특정한 시간이나 상황에 따라 상행차선(12) 및 하행차로(13) 사이의 교통량의 차이가 두드러져 어느 일측 차로(12, 13)의 가변이 요구되는 구간에서 가변용 보조차로(20)가 시공될 수 있고, 특히 가변용 보조차로(20)를 통한 가변 통행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되도록이면 가변용 보조차로(20)는 메인차로(10)와 평행하게 시공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가변용 보조차로(20)는 1차선 또는 2차선 이상의 차선을 가질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본 발명의 가변용 보조차로(20)는 메인차로(10)의 상행차선(12)에 인접하여 시공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가변용 보조차로(20)는 그 주변환경, 교통량 등에 따라 메인차로(10)의 하행차로(13)측에 인접하여 시공될 수도 있다.
메인차로(10)의 일측 즉, 도 1 내지 도 4의 상행차로(12)에서 제1진입로(21a) 및 제1진출로(21b)가 분기되어 가변용 보조차로(20)측에 소통되게 연결되고, 메인차로(10)의 타측 즉, 도 1 내지 도 4의 하행차로(13)에서 제2진입로(22a) 및 제2진출로(22b)가 분기되어 가변용 보조차로(20)측에 소통되게 연결된다. 이에 의해, 상행차로(12)의 차량은 제1진입로(21a)를 통해 가변차로(20)로 통행한 후에 다시 제1진출로(21b)를 통해 상행차로(12)로 복귀하고, 하행차로(13)의 차량은 제2진입로(22a)를 통해 가변차로(20)로 통행한 후에 다시 제2진출로(22b)를 통해 하행차로(13)로 복귀할 수 있다.
이러한 가변용 보조차로(20)는 각종 교통상황 또는 교통량 등에 따라, 상행차로(12)의 통행방향 또는 하행차로(13)의 통행방향 중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의 통행을 허용함으로써 상행차로(12) 또는 하행차로(13)의 가변 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할 뿐만 아니라 그 교통량의 소통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가변용 보조차로(20)에는 메인차로(10)의 주변 도로여건에 따라 다른 메인차로측에도 소통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가변용 보조차로(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차로(10)의 일측에 지상도로 구조로 시공될 수도 있고, 또한 가변용 보조차로(20)는 도 3과 같이 메인차로(10)의 일측에 지하터널 구조로 시공될 수도 있으며, 그외에도 가변용 보조차로(20)는 도 4와 같이 메인차로(10)의 일측에 고가도로 구조로 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행차로(12)에서 분기된 제1진입로(21a) 및 제1진출로(21b)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도로 구조로 시공되어 가변용 보조차로(20)와 연결될 수 있고, 도 3과 같이 지하터널 구조의 가변용 보조차로(20)측에 연결되도록 지하터널 구조로 시공될 수도 있으며, 또한 도 4와 같이 가변용 보조차로(20)가 고가도로 구조일 경우 제1진입로(21a) 및 제1진출로(21b) 또한 고가도로 구조로 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하행차로(13)에서 분기된 제2진입로(22a) 및 제2진출로(22b)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행차로(12)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고가도로 구조로 시공될 수 있고,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행차로(12)의 하부를 가 로지르는 지하터널 구조로 시공될 수도 있다.
한편, 가변용 보조차로(20)는 메인차로(10)의 상행차로(12) 또는 하행차로(13)의 가변여부에 따라 제1진입부(21a), 제1진출부(21b), 제2진입부(22a), 제2진출부(22b)에서 병목현상이 발생되지 않을 정도의 길이로 설정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가변용 보조차로(20), 제1진입부(21a), 제1진출부(21b), 제2진입부(22a), 제2진출부(22b)가 지하터널인 경우에는, 그 환기를 위하여 내부에 환기팬(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환기팬은 그 환기방향이 차량의 통행방향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제1진입부(21a), 제1진출부(21b), 제2진입부(22a), 제2진출부(22b) 각각에는 정보표시수단(31), 통행 차단부(32), 차량 감지센서 및 관리 카메라 등과 같은 관리수단(미도시)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정보표시수단(31)은 디스플레이 또는 전광판 구조 등으로 이루어져 가변차로(20) 내의 차량 진입 또는 진출, 차량 통행방향, 통행량 등과 같은 차량 통행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통행 차단부(32)는 제1 및 제2 진입부(21a, 22a)와 제1 및 제2 진출부(21b, 22b) 각각에 지지포스트(32b) 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차단부재(32a)로 구성되고, 이에 의해 제1 및 제2 진입부(21a, 22a)와 제1 및 제2 진출부(21b, 22b)가 선택적으로 개폐됨으로써, 상행차로(12) 또는 하행차로(13)에서 가변용 보조도로(20)측으로 차량의 통행을 선택적으로 허용할 수 있다.
통행 차단부(32)의 차단부재(32a)는 교통통제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그 개폐가 이루어질 수도 있고, 교통경찰 등에 의해 수동으로 그 개폐가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관리수단(미도시)은 차량 감지센서 및 관리카메라 등과 같은 관리수단은 가변차로(20)에서의 차량 유무, 차량의 통행량 등과 같은 차량의 통행상태를 감지 내지 관리할 수 있고, 이러한 관리수단에 의해 상행차로(12) 및 하행차로(13)의 선택적인 가변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정보표시수단(31), 통행 차단부(32), 관리수단 등에 의해 본 발명의 가변용 보조차로(20)는 메인차로(10)의 상행차로(12) 또는 하행차로(13)의 가변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그 도로이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또한 그 가변시 상행차로(12) 및 하행차로(13) 각각을 통행하는 차량들의 사고발새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메인차로(10)의 상행차로(12) 및 하행차로(13)를 통행하는 차량의 교통량이 현저하게 차이가 나서 메인차로(10)의 교통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가변용 보조차로(20)의 선택적인 통행에 의해 상행차로(12) 또는 하행차로(13)의 각 차선을 선택적으로 가변함으로써 그 교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먼저, 상행차로(12)의 교통량이 하행차로(13)의 교통량 보다 클 경우, 제1진입부 및 제1진출부(21a, 21b)에서 통행 차단부(32)가 개방되어 상행차로(12)에 집중된 차량의 일부가 가변용 보조차로(20)로 통행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상행차 로(12)는 그 차선이 증대되어 상행차로(12) 방향의 소통이 매우 원활해진다. 이 때 제2진입부 및 제2진출부(22a, 22b)는 통행 차단부(32)에 의해 폐쇄되어 그 사용이 봉쇄된다.
반대로, 하행차로(13)의 교통량이 상행차로(12)의 교통량 보다 클 경우, 제2진입부 및 제2진출부(22a, 22b)에서 통행 차단막(32)이 개방되어 하행차로(13)에 집중된 차량의 일부가 가변용 보조차로(20)를 통행하고, 이에 의해 하행차로(13)는 그 차선이 증대되어 하행차로(13) 방향의 소통이 매우 원활해진다. 이 때 제1진입부 및 제1진출부(21a, 21b)는 통행 차단부(32)에 의해 폐쇄되어 그 사용이 봉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차로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변차로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변차로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가변차로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메인차로 11: 중앙분리선
12: 상행차로 13: 하행차로
20: 가변차로 21a, 21b: 제1진입로, 제1진출로
22a, 22b: 제2진입로, 제2진출로

Claims (6)

  1. 메인차로의 일측에 가변용 보조차로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메인차로의 일측차로에는 제1진입로 및 제1진출로가 분기되어 상기 가변용 보조차로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차로의 타측차로에는 제2진입로 및 제2진출로가 분기되어 상기 가변용 보조차로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차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용 보조차로는 메인차로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차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용 보조차로는 지상도로, 지하터널, 고가도로 중에서 어느 하나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차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진입로, 제1진출로, 제2진입로, 제2진출로는 지상도로, 지하터널, 고가도로 중에서 어느 하나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차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진입로, 제1진출로, 제2진입로, 제2진출로는 상기 가변용 보조차로 내의 차량 통행상태를 표시하는 정보표시수단, 상기 상행차로 또는 하행차로에서 가변용 보조차로로의 차량 통행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통행 차단부, 및 상기 가변용 보조차로의 차량 통행상태를 감지 내지 관리하는 관리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차로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용 보조차로가 지하터널인 경우 그 내부에 환기팬을 구비하고, 상기 환기팬은 그 환기방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차로 시스템.
KR1020070115109A 2007-11-12 2007-11-12 가변차로 시스템 Ceased KR200900489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109A KR20090048971A (ko) 2007-11-12 2007-11-12 가변차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109A KR20090048971A (ko) 2007-11-12 2007-11-12 가변차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971A true KR20090048971A (ko) 2009-05-15

Family

ID=40857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5109A Ceased KR20090048971A (ko) 2007-11-12 2007-11-12 가변차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897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31791A (zh) * 2011-10-07 2013-04-10 徐元 一种能使城市十字道上车辆畅行的道路设施
CN104361753A (zh) * 2014-11-26 2015-02-18 浙江宇视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未交替行驶的违章取证方法及装置
KR20190048074A (ko)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스마트 차선정보 표시 시스템
KR20210155789A (ko) * 2020-02-07 2021-12-23 주식회사 바우컨설탄트 선회 및 연결부를 갖는 교량용 자전거 통행시스템
CN114969880A (zh) * 2021-02-26 2022-08-3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道路模型构建方法和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31791A (zh) * 2011-10-07 2013-04-10 徐元 一种能使城市十字道上车辆畅行的道路设施
CN104361753A (zh) * 2014-11-26 2015-02-18 浙江宇视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未交替行驶的违章取证方法及装置
KR20190048074A (ko)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스마트 차선정보 표시 시스템
KR20210155789A (ko) * 2020-02-07 2021-12-23 주식회사 바우컨설탄트 선회 및 연결부를 갖는 교량용 자전거 통행시스템
KR20210155788A (ko) * 2020-02-07 2021-12-23 주식회사 바우컨설탄트 상행도로부와 하행도로부가 상하 적층형성되는 교량용 자전거 통행시스템
KR20210156241A (ko) * 2020-02-07 2021-12-24 주식회사 바우컨설탄트 충돌사고 방지를 위한 교량용 자전거 통행시스템
CN114969880A (zh) * 2021-02-26 2022-08-3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道路模型构建方法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51655B (zh) 一种基于出口剩余容量约束的交叉口信号控制方法
CN103452020B (zh) 城市道路十字路口
CN206133931U (zh) 一种隧道交通拥堵快速疏散控制系统
KR20090048971A (ko) 가변차로 시스템
EP2918724A1 (en) Municipal crossroads structure
AU2007247787A1 (en) System for maximising and controlling tidal flow of traffic in road tunnels and on freeways
CN107386144B (zh) 一种用于城市快速路事故救援的可变车道线设计方法
KR100996931B1 (ko) 교차로 시스템
CN115223362A (zh) 城市道路动态自动驾驶专用车道及其使用方法
Steyn et al. Displaced left turn intersection: informational guide.
Gan et al. 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 for metropolitan expressways in Shanghai, China
KR101441661B1 (ko) 지상도로의 차선 감소가 없는 지하 유출입 시설
KR101054018B1 (ko) 자전거 고속도로
Nikolett et al. Integrated smart system for the coordination of traffic light traffic management and intelligent public lighting in Hungary
Martin et al. Evaluation of advance warning signals on high speed signalized intersections
KR102246680B1 (ko) 교차로 통행 체계
CN103927885A (zh) 一种公交专用道线圈检测器布设方法
KR101184093B1 (ko) 1차로 전용 차량의 차로 변경 시스템
US20060216111A1 (en) Two-level continuous flow crossroad and construction method and prefabricated parts thereof
JP2010009561A (ja) 高速道路の交通渋滞を防止するための構造物とグラフィック
CN106952488A (zh) 一种平面交叉路口交通指挥系统
CN106149582A (zh) 一种交通路口智能减速系统及其应用方法
DE102019001899A1 (de) Einrichtung zur Bildung einer sog. Rettungsgasse auf einer durch Fahrzeuge o.ä. verstopften Autobahn oder Straße mit baulich getrennten Verkehrsspuren je Fahrtrichtung und Einrichtung zur variablen Geschwindigkeitsregelung auf diesen Straßen
KR102831954B1 (ko) 스마트 반사경 제공 시스템
CN101979768B (zh) 城市道路井型立交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03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9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