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778B1 - 파이프 절단기 - Google Patents

파이프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778B1
KR101723778B1 KR1020160149723A KR20160149723A KR101723778B1 KR 101723778 B1 KR101723778 B1 KR 101723778B1 KR 1020160149723 A KR1020160149723 A KR 1020160149723A KR 20160149723 A KR20160149723 A KR 20160149723A KR 101723778 B1 KR101723778 B1 KR 101723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utting
coupling
screw
screw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이구
Original Assignee
최이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이구 filed Critical 최이구
Priority to KR1020160149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7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9/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rotary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16Cutting rods or tubes transvers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2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with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2007/013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the work being tubes, rods or lo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기계실, 작동공간부를 마련하고 외부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고정지지대를 형성한 본체; 상기 작동공간부에 일부가 노출되는 상태로 설치되며 절단할 파이프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롤러유닛;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며 상기 롤러유닛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모터와 감속기어를 구비한 동력전달수단; 및 상기 고정지지대에 설치되며 상기 롤러유닛에 지지되어 동반 회전하는 파이프를 향해 위에서 아래쪽으로 직선으로 이동하여 상기 파이프를 절단하는 커팅조작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커팅조작수단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절단날은 상기 롤러유닛에 의해 회전하는 파이프와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상대회전함으로써 상기 파이프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커팅조작수단을 하강시키는 동작을 취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신체의 일부가 상기 절단날에 닿더라도 신체가 훼손되지 않도록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절단기{pipe cutter}
본 발명은 파이프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날을 피동적으로 회전시키는 구성 및 구조로 개선하여 절단날에 의한 작업자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동력전달수단의 내구성 및 작동 안전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파이프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 절단기는 일정 길이의 파이프를 설계조건에 맞도록 절단하는 것으로, 모터의 구동력으로부터 절단날을 회전시켜 파이프를 신속하게 자르는 장치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파이프 절단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파이프 절단기는 파이프거치부(11)를 형성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절단날(21)이 설치되는 커팅조작수단(20)과, 상기 커팅조작수단(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절단날(21)을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수단(30)과, 상기 본체(10)에 설치되며 절단할 파이프를 지지하는 롤러유닛(40)으로 구성된다.
즉, 파이프(미도시)를 절단하고자 할 때, 상기 본체(10)에 설치되는 롤러유닛(40)의 상부에 파이프를 올린 후 상기 동력전달수단(30)에 전원을 공급하여 절단날(21)을 회전시키다. 이후 상기 커팅조작수단(20)이 선회하는 회전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절단날(21)이 파이프를 절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롤러유닛(40)에 놓인 파이프는 절단날(21)의 회전력으로부터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절단날(21)이 파이프의 내경을 완전히 통과하지 않더라도 파이프의 절단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파이프 절단기는 상기 파이프를 절단시키기 위한 절단날(21)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것이므로 커팅조작수단(20)이 선회 이동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부주의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수단(30)이 선회 회전하는 커팅조작수단(20)의 일측에 설치됨으로써, 이때 상기 커팅조작수단(20)의 무게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선회 회전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추가 구성품(유압장치 및 스프링 등)을 설치해야 하는 복잡한 구성 및 구조로 제작이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커팅조작수단(20)에 설치되는 동력전달수단(30)은 파이프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잦은 진동과 충격에 의해 작동오류가 빈번하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만큼 내구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268202호(2013.05.21)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명의 목적은 파이프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날을 피동적으로 회전시키는 구성 및 구조로 개선하여 절단날에 의한 작업자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동력전달수단의 내구성 및 작동 안정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파이프 절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절단기는, 내부에 기계실, 작동공간부를 마련하고 외부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고정지지대를 형성한 본체; 상기 작동공간부에 일부가 노출되는 상태로 설치되며 절단할 파이프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롤러유닛;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며 상기 롤러유닛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모터와 감속기어를 구비한 동력전달수단; 및 상기 고정지지대에 설치되며 상기 롤러유닛에 지지되어 동반 회전하는 파이프를 향해 위에서 아래쪽으로 직선으로 이동하여 상기 파이프를 절단하는 커팅조작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커팅조작수단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절단날은 상기 롤러유닛에 의해 회전하는 파이프와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상대회전함으로써 상기 파이프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팅조작수단은 상기 고정지지대에 끼움 결합되며 내부에 스크류 회전축을 구비한 결합몸체와, 상기 결합몸체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절단날과, 상기 결합몸체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결합몸체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이동 가능하게 하는 조작핸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지지대는 상기 결합몸체의 길이방향 일부를 내측으로 수용하는 결합수용홈과, 상기 결합수용홈을 개폐단속하며 상기 스크류 회전축과 대면하는 일측에 나사부재를 구비한 결합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커버에는 상기 스크류 회전축과 나사부재 간의 접촉 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지시킬 수 있는 선택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택조작부는 나사부재를 결합커버에 대해 힌지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과, 길이방향의 일단이 상기 나사부재의 일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결합커버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조작부와, 상기 나사부재와 결합커버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날과 대향하는 롤러유닛의 둘레면에는 안쪽으로 오목하게 홈을 형성한 단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몸체의 하단부 양측면에는 상기 파이프를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압력을 전달하는 가압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절단날의 최하단부는 상기 가압롤러의 최하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몸체의 하단부 양측면에는 상기 가압롤러가 파이프의 단면 두께에 대응하여 승강이동할 수 있도록 장공의 가이드공과, 상기 가이드공 내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롤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커팅조작수단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절단날은 롤러유닛에 의해 회전하는 파이프에 의해 상대회전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제작이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가 커팅조작수단을 하강시키는 동작을 취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신체의 일부가 상기 절단날에 닿더라도 신체가 훼손되지 않도록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본체 내에 고정설치됨에 따라 커팅조작수단의 무게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무게 증가에 따른 추가 구성품(유압장치 및 스프링 등)을 설치해야 하는 복잡한 구성 및 구조로 제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이프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잦은 진동과 충격에 의해 작동오류 및 외부 환경(충격,습기,먼지 등)에 노출되는 것에 의한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롤러유닛의 둘레면에는 안쪽으로 오목하게 홈을 형성한 단차부를 형성함으로써, 파이프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절단면에 버(burr)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절단면의 외주둘레가 안쪽으로 오므려지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2개 이상의 파이프를 상호 연결하거나 다른 구성품에 끼우기 위한 결합의 용이성과 결합력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결합커버에는 스크류 회전축과 나사부재 간의 접촉 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지시킬 수 있는 선택조작부를 구성함으로써, 커팅조작수단의 조작핸들을 회전시키는 동작을 취하지 않고 상기 커팅조작수단을 상하방향으로 신속히 승강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파이프 절단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절단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고정지지대와 결합커버 간의 결합 구성 및 구조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절단기를 이용한 절단된 파이프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커팅조작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커팅조작수단에 설치되는 가압롤러의 구성 및 작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절단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절단기는 내부에 기계실(101), 작동공간부(102)를 마련하고 외부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고정지지대(110)를 형성한 본체(100)와, 상기 작동공간부(102)에 일부가 노출되는 상태로 설치되며 절단할 파이프(P)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롤러유닛(200)과, 상기 본체(100)의 기계실(101) 내에 설치되며 상기 롤러유닛(20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모터(310)와 감속기어(350)를 구비한 동력전달수단(300)과, 상기 고정지지대(110)에 설치되며 상기 롤러유닛(200)에 지지되어 동반 회전하는 파이프(P)를 향해 위에서 아래쪽으로 직선으로 이동하여 상기 파이프(P)를 절단하는 커팅조작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본체(100)는 일정 크기를 가지는 박스 형상의 함체로써, 내부에 후술할 동력전달수단(300)이 설치되는 기계실(101)과, 내외부가 연통되도록 개방된 구조의 작동공간부(102)를 형성하고, 외부에는 상부로 일정 높이 돌출되는 고정지지대(1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에는 기계실(101)을 구획하여 상기 동력전달수단(300)의 감속기어(320)와 모터(310)를 상호 다른 공간에 배치하도록 마련된 기어작동공간부(101a)가 형성된다.
이는 모터(310)와 감속기어(320)를 서로 다른 공간에 배치함으로써, 해당 공간에 배치되는 구성품에 대한 점검 및 교체작업이 한층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고정지지대(110)는 상기 본체(100)의 외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일정 높이 돌출되며 돌출된 길이방향의 일부가 전방을 향하는 절곡된 구조로써, 후술할 커팅조작수단(400)을 승강이동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고정지지대(110)의 단부에는 상기 커팅조작수단(400)의 결합몸체(410) 일부를 내측으로 수용하는 결합수용홈(111)과, 상기 결합수용홈(111)을 개폐단속하도록 마감하는 결합커버(112)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커버(112)는 상기 고정지지대(110)의 단부에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커팅조작수단(400)의 결합몸체(410)와 대면하는 일측에는 상기 결합몸체(410) 내에 형성되는 스크류 회전축(411)과 나사체결이 이루어지는 나사부재(112a)가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지지대(110)에 설치되는 커팅조작수단(400)은 상기 스크류 회전축(411)과 나사부재(112a)의 상보적 나사체결 구조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 및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커버(112)에는 상기 스크류 회전축(411)과 나사부재(112a)를 나사 결합시켜서 상기 나사부재(112a)에 대한 상기 스크류 회전축(41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크류 회전축(411)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스크류 회전축(411)과 나사부재(112a)를 분리하여 상기 스크류 회전축(411)의 회전 없이 상하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킬 수 있는 선택조작부(113)가 설치된다.
상기 선택조작부(113)는 상기 나사부재(112a)를 결합커버(112)에 대해 힌지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113a)과, 길이방향의 일단이 상기 나사부재(112a)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결합커버(11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조작부(113b)와, 상기 나사부재(112a)와 결합커버(112)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113c)으로 구성된다.
평상시, 상기 커팅조작수단(400)의 스크류 회전축(411)과 결합커버(112)의 나사부재(112a)는 나사체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커팅조작수단(400)의 조작핸들(430)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스크류 회전축(411)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결합몸체(410)를 승강 이동시키게 된다.
반면, 상기 선택조작부(113)는 상기 조작핸들(430)을 회전시키지 않고 작업자의 편의를 위해 상기 결합몸체(410)를 빠르게 슬라이드 이용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상기 커팅조작수단(400)을 파이프(P)를 절단할 위치로 빠르게 내리거나 절단 후 초기 위치로 신속하게 올리고자 할 경우, 상기 선택조작부(113)의 조작부(113b)를 위쪽으로 밀어올리게 되면 상기 조작부(113b)에 연결된 나사부재(112a)가 상방향으로 선회 회전하게 된다. 이때, 나사부재(112a)와 스크류 회전축(411)의 나사체결 유지 상태가 해제되므로 상기 결합몸체(410)는 자유롭게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도 2참조).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외측면에는 상기 동력전달수단(3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모듈(미도시)과, 다른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손잡이부(130)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절단할 파이프(P)의 위치 선정 및 절단 길이의 치수를 정확하게 일치시키기 위한 눈금자(14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롤러유닛(200)은 본체(100)의 작동공간부(102)에 일부가 노출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2개의 롤러부재(210,220)를 나란하게 배치하여 절단할 파이프(P)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롤러유닛(200)은 상기 고정지지대(110)와 근접하게 안쪽에 배치되는 제1 롤러부재(210)와, 바깥쪽에 배치되는 제2 롤러부재(220)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롤러유닛(220)은 동일한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절단할 파이프(P)를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롤러유닛(200)의 둘레면에는 안쪽으로 오목하게 홈을 형성한 단차부(201)가 형성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차부(201)는 파이프(P)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절단면에 버(burr)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절단면의 외주둘레가 안쪽으로 오므려지는 경사면(P1)을 형성한다. 이는 2개 이상의 파이프(P)를 상호 연결하거나 다른 구성품에 끼우기 위한 결합의 용이성과 결합력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상기 단차부(201)의 모서리 단부가 절단된 파이프(P)의 취약한 외주면을 가압하여 변형을 발생시킴으로써, 절단시 발생하는 버를 제거함과 동시에 가압하는 그 압력으로부터 경사면(P1)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동력전달수단(300)은 상기 본체(100)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롤러유닛(20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모터(310)와, 모터(310)의 회전수를 줄임과 동시에 큰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감속기어(320)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터(310)는 기계실(101)에 설치되고, 상기 감속기어(320)는 상기 기계실(101)과 구획된 기어작동공간부(101a)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감속기어(320)는 모터(310)의 구동기어(310a)와 맞물리는 제1 감속기어(321)와, 상기 제1 감속기어(321)와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롤러유닛(200) 중 안쪽에 위치하는 제1 롤러부재(210)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2 감속기어(322)와, 상기 제2 감속기어(322)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3 감속기어(323)와, 상기 제3 감속기어(323)와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롤러유닛(200)의 바깥쪽에 위치한 제2 롤러부재(220)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4 감속기어(324)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동력전달수단(300)은 상기 본체(100) 내에 고정설치 됨에 따라 종래의 커팅조작수단에 동력전달수단이 설치되는 것과 비교하여 상기 커팅조작수단의 무게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무게 증가에 따른 추가 구성품(유압장치 및 스프링 등)을 설치해야 하는 복잡한 구성 및 구조로 제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이프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잦은 진동과 충격에 의한 작동오류 및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것에 따른 내구성 저하현상(외부충격, 습기, 먼지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커팅조작수단(400)은 상기 본체(100)의 고정지지대(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롤러유닛(200)에 지지되어 동반 회전하는 파이프(P)를 향해 위에서 아래쪽으로 직선으로 이동하여 상기 파이프(P)를 절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커팅조작수단(400)은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 하는 작동구조에 따른 파이프(P)의 절단 위치에 대한 정확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팅조작수단(400)은 상기 고정지지대(110)에 끼움 결합되며 내부에 스크류 회전축(411)을 구비한 결합몸체(410)와, 상기 결합몸체(41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절단날(420)과, 상기 결합몸체(410)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결합몸체(410)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이동 가능하게 하는 조작핸들(430)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커팅조작수단(40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절단날(420)은 상기 롤러유닛(200)에 의해 회전하는 파이프(P)와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상대회전함으로써 상기 파이프(P)를 절단한다.
즉, 상기 절단날(420)은 회전하는 파이프(P)와 접촉하기 전까지 전혀 회전하지 않는 정지된 상태이므로 작업자가 커팅조작수단(400)을 하강시키는 동작을 취하는 과정에서 작업자 부주의로 인해 신체의 일부가 상기 절단날(420)에 닿더라도 신체가 훼손되지 않는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결합몸체(410)의 하단부 양측면에는 상기 파이프(P)를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압력을 전달하는 가압롤러(440)가 설치된다.
상기 가압롤러(440)는 상기 절단날(420)에 의해 파이프(P)가 절단되는 과정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절단면에 대한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절단날(420)의 최하단부는 상기 가압롤러(440)의 최하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있도록 하향 배치한다.
즉, 절단날(420)이 파이프(P)의 표면에 대한 절단작업을 선행한 이후에 파이프의 절단면 안쪽으로 깊게 파고들어가는 직진도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절단날(420)에 의해 절단된 2개로 파이프(P)는 상기 가압롤러(440)에 의해 상호 간의 거리가 멀어지거나 좁아지는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결합몸체(410)의 하단부 양측면에는 상기 가압롤러(440)가 파이프(P)의 단면 두께에 대응하여 승강이동할 수 있도록 장공의 가이드공(415)과, 상기 가이드공(415) 내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롤러(44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스프링(416)을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본체 110 : 고정지지대
112 : 결합커버 200 : 롤러유닛
201 : 단차부 300 : 동력전달수단
310 : 모터 320 : 감속기어
400 : 커팅조작수단 410 : 결합몸체
411 : 스크류 회전축 420 : 절단날
430 : 조작핸들 440 : 가압롤러

Claims (7)

  1. 내부에 기계실과 작동공간부를 마련하고 외부에는 고정지지대를 형성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유닛, 동력전달수단 및 절단날을 구비한 커팅조작수단을 포함하는 파이프 절단기에 있어서,
    상기 커팅조작수단은 상기 고정지지대에 끼움 결합되며 내부에 스크류 회전축을 구비한 결합몸체와, 상기 결합몸체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절단날과, 상기 결합몸체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결합몸체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이동 가능하게 하는 조작핸들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지지대는 상기 결합몸체의 길이방향 일부를 내측으로 수용하는 결합수용홈과, 상기 결합수용홈을 개폐단속하며 상기 스크류 회전축과 대면하는 일측에 나사부재를 구비한 결합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커버에는 상기 스크류 회전축과 나사부재를 나사 결합시켜서 상기 나사부재에 대한 상기 스크류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크류 회전축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스크류 회전축과 나사부재를 분리하여 상기 스크류 회전축의 회전 없이 상하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킬 수 있는 선택조작부가 설치되며,
    상기 선택조작부는 상기 나사부재를 결합커버에 대해 힌지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과, 길이방향의 일단이 상기 나사부재의 일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결합커버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조작부와, 상기 나사부재와 결합커버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절단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과 대향하는 롤러유닛의 둘레면에는 안쪽으로 오목하게 홈을 형성한 단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절단기.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몸체의 하단부 양측면에는 상기 파이프를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압력을 전달하는 가압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절단날의 최하단부는 상기 가압롤러의 최하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절단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몸체의 하단부 양측면에는 상기 가압롤러가 파이프의 단면 두께에 대응하여 승강이동할 수 있도록 장공의 가이드공과, 상기 가이드공 내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롤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절단기.
KR1020160149723A 2016-11-10 2016-11-10 파이프 절단기 KR101723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723A KR101723778B1 (ko) 2016-11-10 2016-11-10 파이프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723A KR101723778B1 (ko) 2016-11-10 2016-11-10 파이프 절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3778B1 true KR101723778B1 (ko) 2017-04-05

Family

ID=58586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723A KR101723778B1 (ko) 2016-11-10 2016-11-10 파이프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77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75112A (zh) * 2017-11-29 2018-03-09 周云龙 一种板类材料的无尘切割装置
KR102022907B1 (ko) * 2019-05-09 2019-09-19 주식회사 지스 고정밀 튜브절단장치
CN110270708A (zh) * 2019-04-29 2019-09-24 镇江市永益工具有限公司 一种超高硬度钻头制备用切割机
KR102065039B1 (ko) 2019-03-18 2020-01-10 한국후지공업주식회사 윗 누름부의 누름부재 가압 무게 조절이 가능한 식품 슬라이서
CN112088077A (zh) * 2018-06-15 2020-12-15 巴顿菲尔-辛辛那提德国有限公司 用于定长剪切挤出的管的设备和方法
CN113714426A (zh) * 2021-08-02 2021-11-30 河南省第一建筑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钢筋切断装置
KR102342096B1 (ko) 2021-09-06 2021-12-21 김두기 관체 절단 장치
CN114474189A (zh) * 2022-02-18 2022-05-13 承德石油高等专科学校 一种用于电力施工电力管切割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9275A (ja) * 2002-06-11 2004-01-15 Mcc Corp 管材切断装置
KR101268202B1 (ko) 2011-06-13 2013-05-27 차영준 파이프 절단기
KR101474885B1 (ko) * 2014-10-22 2014-12-19 (주)한양세미텍 튜브에서의 이동 구간 제한이 해소된 튜브커터
KR20150064493A (ko) * 2013-12-03 2015-06-11 이진택 파이프 절단 면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9275A (ja) * 2002-06-11 2004-01-15 Mcc Corp 管材切断装置
KR101268202B1 (ko) 2011-06-13 2013-05-27 차영준 파이프 절단기
KR20150064493A (ko) * 2013-12-03 2015-06-11 이진택 파이프 절단 면취장치
KR101474885B1 (ko) * 2014-10-22 2014-12-19 (주)한양세미텍 튜브에서의 이동 구간 제한이 해소된 튜브커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75112A (zh) * 2017-11-29 2018-03-09 周云龙 一种板类材料的无尘切割装置
CN112088077A (zh) * 2018-06-15 2020-12-15 巴顿菲尔-辛辛那提德国有限公司 用于定长剪切挤出的管的设备和方法
CN112088077B (zh) * 2018-06-15 2022-08-23 巴顿菲尔-辛辛那提德国有限公司 用于定长剪切挤出的管的设备和方法
KR102065039B1 (ko) 2019-03-18 2020-01-10 한국후지공업주식회사 윗 누름부의 누름부재 가압 무게 조절이 가능한 식품 슬라이서
CN110270708A (zh) * 2019-04-29 2019-09-24 镇江市永益工具有限公司 一种超高硬度钻头制备用切割机
KR102022907B1 (ko) * 2019-05-09 2019-09-19 주식회사 지스 고정밀 튜브절단장치
CN113714426A (zh) * 2021-08-02 2021-11-30 河南省第一建筑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钢筋切断装置
KR102342096B1 (ko) 2021-09-06 2021-12-21 김두기 관체 절단 장치
CN114474189A (zh) * 2022-02-18 2022-05-13 承德石油高等专科学校 一种用于电力施工电力管切割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778B1 (ko) 파이프 절단기
RU2631569C9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бивки отверстий
RU2689042C9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бивки отверстий
JP2014061572A (ja) デファレンシャルギヤの組立装置および方法
US20170313015A1 (en) Press machine
US10099328B2 (en) Workpiece auto-centering apparatus and auto-centering method
TW201815515A (zh) 換刀方法及應用其之工具機
KR101927753B1 (ko) 파렛트 클램핑 장치
KR101999366B1 (ko) 포장박스 재단용 오시판 커팅 장치
KR101281092B1 (ko) 탭핑머신용 탭핑헤드 승강장치
JP2014083635A (ja) パイプ切断機
KR101269066B1 (ko) 목재 절단기
EP2977180A1 (en) Link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die and positioning bottom die by single shaft
JP2017148911A (ja) 段ボール用加工装置及び段ボールの加工方法
KR20140035679A (ko) 자동공구교환장치
KR101619765B1 (ko) 균일한 가공 깊이로 드릴링 작업을 하는 드릴장치 및 이를 포함한 다축 가공장치
TWI640392B (zh) 換刀機構
JP5188246B2 (ja) ブローチ盤
KR20160073529A (ko) 기어 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직 선반
KR20200046251A (ko) 공작기계의 칩 비산 방지 장치
KR101630079B1 (ko) 터릿형 자동 공구교환장치
KR102207918B1 (ko) 야채 절단기
KR200490190Y1 (ko) 바닥재 철거장치
KR200472085Y1 (ko) 클램프 타입 고속절단장비 고정장치
JP6897963B2 (ja) 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