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190Y1 - 바닥재 철거장치 - Google Patents

바닥재 철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190Y1
KR200490190Y1 KR2020170002145U KR20170002145U KR200490190Y1 KR 200490190 Y1 KR200490190 Y1 KR 200490190Y1 KR 2020170002145 U KR2020170002145 U KR 2020170002145U KR 20170002145 U KR20170002145 U KR 20170002145U KR 200490190 Y1 KR200490190 Y1 KR 2004901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platform
sliding member
moto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1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3161U (ko
Inventor
김수영
Original Assignee
김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영 filed Critical 김수영
Priority to KR20201700021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190Y1/ko
Publication of KR201800031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1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1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1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of previously fixed floor cov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바닥재 철거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평 연장되는 플랫폼; 상기 플랫폼 상에 안착되는 슬라이딩부재; 상기 플랫폼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직선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플랫폼의 전단 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커터 어셈블리; 상기 플랫폼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바퀴; 상기 플랫폼의 후단에 직립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이동바퀴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 모터; 상기 플랫폼에 종 방향의 누운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종 방향으로 왕복 직선 운동시키는 제2 모터; 및 상기 플랫폼에 결합되고, 상기 플랫폼의 상측에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를 수용하는 격리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철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바닥재 철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FLOOR MATERIAL}
본 고안은 바닥재 철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내의 바닥면에 시공된 마감용 바닥재를 철거하는데 사용되는 바닥재 철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 내의 바닥면에는 원목, 합성수지 등 다양한 소재의 마감용 바닥재가 시공될 수 있다.
마감용 바닥재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바닥면에 접착하는 방식으로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시공된 바닥재는 건물의 유지보수, 인테리어 등을 이유로 철거, 즉 바닥면으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있을 수 있는데, 이때 바닥재 철거장치가 사용된다.
바닥재 철거장치는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커터를 왕복 직선 운동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왕복 직선 운동하는 커터는 바닥재를 연속적으로 타격하면서 절단함으로써 바닥면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종래 바닥재 철거장치는 바퀴 및 커터를 각각 구동하는 2개의 모터가 탑재되고 커터의 타격력을 높이기 위해 커터에 고 하중의 중량체를 결합하는 등의 이유로 그 하중이 상당한 반면, 그 면적을 최대한 줄여 장치 이동 및 그에 따른 작업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설계가 이루어졌다. 이와 같이 설계되는 바닥재 철거장치에서 대부분의 모터는 직립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고 하중의 모터가 직립 상태로 설치되는 경우에 장치가 차지하는 면적이 줄어들어 설계상 목적은 달성할 수 있지만, 장치의 무게중심을 높이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어 바닥재 철거작업 중 장치가 전복되는 등 작업 안정성을 해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바닥재 철거작업 중 발생하는 분진은 모터 등 전기기계 장치의 고장을 빈번하게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9592호(2013.03.05, 클러치 기구를 구비한 바닥재 철거장치)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무게중심을 낮춰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킨 바닥재 철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평 연장되는 플랫폼; 상기 플랫폼 상에 안착되는 슬라이딩부재; 상기 플랫폼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직선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플랫폼의 전단 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커터 어셈블리; 상기 플랫폼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바퀴; 상기 플랫폼의 후단에 직립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이동바퀴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 모터; 상기 플랫폼에 종 방향의 누운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종 방향으로 왕복 직선 운동시키는 제2 모터; 및 상기 플랫폼에 결합되고, 상기 플랫폼의 상측에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를 수용하는 격리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철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플랫폼 및 상기 가이드부재와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롤러 베어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터의 회전력이 상기 이동바퀴에 전달되는 것을 단속하는 전자 클러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터의 종 방향 회전력을 횡 방향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하이포이드 기어; 및 상기 하이포이드 기어의 종동 축에 결합되고, 상기 종동 축의 횡 방향 회전력을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종 방향 왕복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터 어셈블리는, 커터 날; 상호간에 결합되어 전단에 상기 커터 날이 삽입되는 고정 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지그; 및 상호간에 결합된 상기 한 쌍의 지그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결합되는 결합 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결합 축을 연결하고, 상기 커터 날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를 조절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횡 방향으로 연장되고, 외주면에 상기 결합 축이 삽입되는 결합 홀이 형성되는 원통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원통부재의 양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 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 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통부재는 양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칼라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칼라의 일면에 면상 접촉하고, 상기 고정 브래킷에 볼트를 통해 결합되어 상기 칼라를 상기 고정 브래킷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원통부재의 회전 운동을 구속하는 한 쌍의 가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칼라를 상기 고정 브래킷 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칼라의 타면은 상기 고정 브래킷에 면상 접촉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칼라는 원형에서 서로 대칭인 한 쌍의 활꼴 영역이 제거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볼트는 상기 고정 브래킷을 관통하여 상기 활꼴 영역을 통해 상기 가압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칼라 및 상기 볼트는 상호간에 협력하여 상기 원통부재의 회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결합 홀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 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볼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결합 홀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 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테이퍼 롤러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커터 어셈블리를 왕복 직선 운동시키는 제2 모터를 누운 상태로 배치함으로써 장치의 무게중심을 낮춰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 모터를 슬라이딩부재가 왕복 직선 운동하는 방향과 동일하게 종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이미 슬라이딩부재의 이동 길이만큼 충분하게 확보된 장치의 종 방향 길이를 제2 모터를 설치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늘릴 필요도 없고 장치의 횡 방향 길이도 종래의 바닥재 철거장치와 거의 동일하게 유지되게 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플랫폼에 결합되는 케이스에 의해 각종 전기기계 장치가 수용되는 격리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바닥재 철거작업 중 발생하는 분진으로 인해 전기기계 장치에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철거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철거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철거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은 커터 어셈블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연결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커터 어셈블리의 회전 상태의 일 예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커터 어셈블리의 회전 상태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연결부와 커터 어셈블리 사이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가 각 구성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요소에 각 구성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고안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닥재 철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철거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철거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철거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다른 바닥재 철거장치(10)는 플랫폼(100), 케이스(200), 슬라이딩부재(300), 연결부(400), 커터 어셈블리(500), 이동바퀴(600), 제1 모터(700), 제2 모터(800), 하이포이드 기어(810) 및 크랭크 기구(82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100)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랫폼(100) 상에는 바닥재 철거장치(10)를 구성하는 각종 전기기계 장치들이 탑재될 수 있다.
케이스(200)는 플랫폼(100)에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200)는 플랫폼(100)과 협력하여 바닥재 철거장치(10)를 구성하는 각종 전기기계 장치, 예를 들어 제1 모터(700) 및 제2 모터(800)가 수용되는 격리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바닥재 철거작업 중 발생하는 분진이 격리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케이스(200)에서 플랫폼(100)의 전단 측에는 연결부(400) 또는 커터 어셈블리(500)가 격리공간에 배치되는 슬라이딩부재(300)와 연결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출입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200)에서 플랫폼(100)의 후단 측 상부에는 작업 손잡이(210)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300)는 플랫폼(100) 상에 안착될 수 있고, 제2 모터(80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종 방향으로 왕복 직선 운동할 수 있다. 플랫폼(100)에는 슬라이딩부재(300)의 직선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110)가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110)는 플랫폼(100)의 상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재(300)는 플랫폼(100) 및 가이드부재(110)와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복수의 롤러 베어링(310)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슬라이딩부재(300)는 복수의 롤러 베어링(310)을 통해 플랫폼(100) 및 가이드부재(110)에 간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종 방향이란 도면에서 플랫폼(100)의 전단과 후단을 연결하는 방향과 평행한 수평 방향을 의미하고, 횡 방향이란 종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서 도면에서는 이동바퀴(600)의 축 방향과 평행한 수평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30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300)는 슬라이딩부재(300)에 결합되어 함께 왕복 직선 운동하는 커터 어셈블리(500)가 바닥재를 타격하고 절단하는 힘, 즉 타격력을 최대한 높일 수 있도록 고 하중을 가질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충분히 큰 부피를 가지도록 종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연결부(400)는 슬라이딩부재(300)와 커터 어셈블리(500)를 상호간에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400)는 커터 어셈블리(500)의 커터 날(510, 도 4 참조)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400)의 구체적인 구조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커터 날(510, 도 4 참조)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는 바닥면의 경사 등 작업 환경에 따라 조절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커터 어셈블리(500)는 슬라이딩부재(300)의 전단에 직접 또는 연결부(400)를 통해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플랫폼(100)의 전단 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커터 어셈블리(500)는 케이스(200)의 출입 홀을 통해 케이스(200)의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동바퀴(600)는 플랫폼(100)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바퀴(600)의 축은 종 방향에 수직인 횡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모터(700)는 이동바퀴(60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모터(700)의 회전력이 이동바퀴(600)에 전달되는 것은 전자 클러치(710)에 의해 단속될 수 있다. 제1 모터(700) 및 전자 클러치(710)의 구동 스위치는 케이스(200) 또는 작업 손잡이(210)에 설치될 수 있다. 작업자는 바닥재 철거작업 중 구동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간단하게 전자 클러치(710)를 구동할 수 있다. 작업자는 전자 클러치(710)에 의해 제1 모터(700)의 회전력이 이동바퀴(60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 후에 바닥재 철거장치(10)의 이동 방향을 전환할 수 있고, 전자 클러치(710)에 의해 제1 모터(700)의 회전력이 이동바퀴(600)에 전달되게 함으로써 바닥재 철거작업을 재개할 수 있다.
제1 모터(700)는 플랫폼(100)의 후단에 직립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모터(700)는 제1 모터(700)의 회전축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플랫폼(100)의 후단에서 케이스(200)는 작업 손잡이(210)를 설치하기 위하여 충분한 높이로 형성되므로, 격리공간에는 제1 모터(700)가 설치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제2 모터(800)는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고, 제2 모터(800)의 회전력은 하이포이드 기어(810) 및 크랭크 기구(820)를 차례로 거쳐 변환됨으로써 슬라이딩부재(300)를 종 방향으로 왕복 직선 운동시킬 수 있다. 제2 모터(800)의 구동 스위치는 케이스(200) 또는 작업 손잡이(210)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모터(800)는 플랫폼(100)에 종 방향의 누운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모터(800)는 제2 모터(800)의 회전축이 종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모터(800)는 누운 상태로 배치됨으로써 바닥재 철거장치(10)의 무게중심을 낮춰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모터(800)는 슬라이딩부재(300)가 왕복 직선 운동하는 방향과 동일하게 종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이미 슬라이딩부재(300)의 이동 길이만큼 충분하게 확보된 바닥재 철거장치(10)의 종 방향 길이를 제2 모터(800)를 설치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늘릴 필요가 없고, 바닥재 철거장치(10)의 횡 방향 길이도 종래의 바닥재 철거장치와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되게 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하이포이드 기어(hypoid gear)(810)는 제2 모터(800)의 종 방향 회전력을 횡 방향 회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고, 회전 속도도 감속시킬 수 있다.
크랭크 기구(820)는 하이포이드 기어(810)의 종동 축(811)에 결합될 수 있고, 종동 축(811)의 횡 방향 회전력을 슬라이딩부재(300)의 종 방향 왕복 직선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크랭크 기구(820)는 크랭크 축(821), 크랭크 암(823) 및 크랭크 핀(825)을 포함할 수 있다. 크랭크 축(821)은 종동 축(811)에 형성될 수 있고, 크랭크 암(823) 및 크랭크 핀(825)은 크랭크 축(821)을 슬라이딩부재(300), 구체적으로 슬라이딩부재(300)에서 돌출되어 가이드부재(110)의 상측까지 연장되는 연결체(320)에 연결할 수 있다. 그 결과, 슬라이딩부재(300)는 가이드부재(110)에 의해 상하 이동이 구속된 상태에서 왕복 직선 운동할 수 있다. 종동 축(811)의 회전력은 연결체(320)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한 쌍의 크랭크 암(823)에 의해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재(110)에는 슬라이딩부재(300)에서 돌출된 연결체(320)가 가이드부재(110)의 상측까지 연장될 수 있고 나아가 왕복 직선 운동할 수 있도록 종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은 커터 어셈블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커터 어셈블리(500)는 커터 날(510), 한 쌍의 지그(520, 530) 및 결합 축(55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지그(520, 530)는 볼트(B)에 의해 상호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호간에 결합된 한 쌍의 지그(520, 530)의 전단에는 커터 날(51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 홈(54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호간에 결합된 한 쌍의 지그(520, 530)의 후단에는 슬라이딩부재(300) 또는 연결부(400)에 결합되는 결합 축(55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결합 축(550)은 커터 어셈블리(500)가 회전 가능하게 회전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연결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연결부(400)는 연결부재(410), 한 쌍의 고정 브래킷(420, 430), 원통부재(440), 한 쌍의 가압부재(450, 460) 및 보호커버(47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410)는 슬라이딩부재(300)의 전단에 결합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고정 브래킷(420, 430)은 연결부재(410)의 전면 중 횡 방향의 양단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브래킷(420, 430)에는 원형의 삽입 홀(421, 431)이 형성될 수 있다.
원통부재(440)는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원통부재(440)의 외주면에는 커터 어셈블리(500)의 결합 축(550)이 삽입되는 결합 홀(441)이 형성될 수 있다.
원통부재(440)는 원통부재(440)의 양단이 삽입 홀(421, 431)에 삽입되어 한 쌍의 고정 브래킷(420, 4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 결과, 원통부재(440)가 회전함에 따라 커터 어셈블리(500)의 커터 날(510)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원통부재(440)는 양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칼라(443, 445)를 구비할 수 있다.
칼라(443, 445)는 원형에서 서로 대칭인 한 쌍의 활꼴 영역(444, 446)이 제거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칼라(443, 445)에서 서로 마주보는 두 변은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서로 마주보는 나머지 두 변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재(450, 460)는 한 쌍의 칼라(443, 445) 사이에서 원형부재(44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원형 고리에서 일 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재(450, 460)는 볼트(B)를 통해 고정 브래킷(420, 430)에 결합됨으로써 칼라(443, 445)를 고정 브래킷(420, 430)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그 결과, 원통부재(440)의 회전 운동은 칼라(443, 445)와 가압부재(450, 460) 간의 정지 마찰력에 의해 구속될 수 있다.
가압부재(450, 460)는 칼라(443, 445)에 면상 접촉함으로써 마찰 면적 및 그에 따른 정지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가압부재(450, 460)가 칼라(443, 445)를 고정 브래킷(420, 430) 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칼라(443, 445)가 일부 변형하는 등의 이유로 칼라(443, 445)의 타면은 고정 브래킷(420, 430)에 면상 접촉하게 될 수 있다. 그 결과, 원통부재(440)의 회전 운동은 칼라(443, 445)와 고정 브래킷(420, 430) 간의 정지 마찰력에 의해 더욱 강력하게 구속될 수 있다.
보호커버(470)는 한 쌍의 고정 브래킷(420, 430)에 동시에 결합될 수 있다.
보호커버(470)는 플랫폼(100)의 후단 측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보호커버(470)는 커터 어셈블리(500)에 의해 절단된 바닥재를 출입 홀로부터 떨어진 곳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할 수 있고, 바닥재 철거작업 중 발생하는 분진이 케이스(200)의 출입 홀을 통해 격리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은 커터 어셈블리의 회전 상태의 일 예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커터 어셈블리의 회전 상태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가압부재(450, 460)를 고정 브래킷(420, 430)에 결합시키는데 사용되는 한 쌍의 볼트(B)는 칼라(443, 445)의 제거된 활꼴 영역(444, 446)을 통해 고정 브래킷(420, 430) 및 가압부재(450, 460)에 결합될 수 있다. 그 결과, 원통부재(440)의 회전 범위는 칼라(443, 445)와 볼트(B)의 간섭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도 9는 연결부와 커터 어셈블리 사이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결합 홀(441)의 내주면에는 결합 홀(441)의 입구에서부터 차례로 볼 베어링(447) 및 테이퍼 롤러 베어링(449)이 결합될 수 있고, 볼 베어링(447) 및 테이퍼 롤러 베어링(449)은 커터 어셈블리(500)의 결합 축(55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볼 베어링(447)은 레이디얼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커터 어셈블리(500)의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커터 날(510)이 지속적인 타격으로 상향 변형됨으로써 절단 효율이 떨어진 경우에 커터 어셈블리(500)를 180° 회전시킴으로써 커터 날(510)이 다시 바닥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게 할 수 있다. 특히, 볼 베어링(447)에는 볼 베어링(447)의 내부에 분진이 유입되지 않도록 고무 캡(448)을 구비할 수 있다.
테이퍼 롤러 베어링(449)은 레이디얼 하중뿐만 아니라 스러스트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커터 어셈블리(500)의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닥면 타격에 의해 커터 어셈블리(500)를 통해 전달되는 외력으로부터 결합 구조, 예를 들어 볼 베어링(447)을 보호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바닥재 철거장치 100: 플랫폼
110: 가이드부재 111: 가이드 홀
200: 케이스 210: 손잡이
300: 슬라이딩부재 310: 롤러 베어링
320: 연결체 400: 연결부
410: 연결부재 420, 430: 고정 브래킷
421, 431: 삽입 홀 440: 원통부재
441: 결합 홀 443, 445: 칼라
444, 446: 활꼴 영역 447: 볼 베어링
448: 고무 캡 449: 테이퍼 롤러 베어링
450, 460: 가압부재 470: 보호커버
500: 커터 어셈블리 510: 커터 날
520, 530: 지그 540: 고정 홈
550: 결합 축 600: 이동바퀴
700: 제1 모터 710: 전자 클러치
800: 제2 모터 810: 하이포이드 기어
811: 종동 축 820: 크랭크 기구
821: 크랭크 축 823: 크랭크 암
825: 크랭크 핀

Claims (13)

  1. 수평 연장되는 플랫폼;
    상기 플랫폼 상에 안착되는 슬라이딩부재;
    상기 플랫폼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직선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플랫폼의 전단 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커터 어셈블리;
    상기 플랫폼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바퀴;
    상기 플랫폼의 후단에 직립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이동바퀴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 모터;
    상기 플랫폼에 종 방향의 누운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종 방향으로 왕복 직선 운동시키는 제2 모터; 및
    상기 플랫폼에 결합되고, 상기 플랫폼의 상측에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를 수용하는 격리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커터 어셈블리는, 커터 날, 상호간에 결합되어 전단에 상기 커터 날이 삽입되는 고정 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지그 및 상호간에 결합된 상기 한 쌍의 지그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결합되는 결합 축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결합 축을 연결하고, 상기 커터 날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를 조절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횡 방향으로 연장되고, 외주면에 상기 결합 축이 삽입되는 결합 홀이 형성되는 원통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원통부재의 양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 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원통부재는 양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칼라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칼라의 일면에 면상 접촉하고, 상기 고정 브래킷에 볼트를 통해 결합되어 상기 칼라를 상기 고정 브래킷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원통부재의 회전 운동을 구속하는 한 쌍의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철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플랫폼 및 상기 가이드부재와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롤러 베어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철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터의 회전력이 상기 이동바퀴에 전달되는 것을 단속하는 전자 클러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철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터의 종 방향 회전력을 횡 방향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하이포이드 기어; 및
    상기 하이포이드 기어의 종동 축에 결합되고, 상기 종동 축의 횡 방향 회전력을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종 방향 왕복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철거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칼라를 상기 고정 브래킷 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칼라의 타면은 상기 고정 브래킷에 면상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철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는 원형에서 서로 대칭인 한 쌍의 활꼴 영역이 제거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볼트는 상기 고정 브래킷을 관통하여 상기 활꼴 영역을 통해 상기 가압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철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및 상기 볼트는 상호간에 협력하여 상기 원통부재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철거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결합 홀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 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볼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철거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결합 홀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 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테이퍼 롤러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철거장치.
KR2020170002145U 2017-04-27 2017-04-27 바닥재 철거장치 KR2004901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145U KR200490190Y1 (ko) 2017-04-27 2017-04-27 바닥재 철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145U KR200490190Y1 (ko) 2017-04-27 2017-04-27 바닥재 철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161U KR20180003161U (ko) 2018-11-06
KR200490190Y1 true KR200490190Y1 (ko) 2019-10-08

Family

ID=64327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145U KR200490190Y1 (ko) 2017-04-27 2017-04-27 바닥재 철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190Y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505B1 (ko) * 2010-07-28 2013-09-04 이병창 바닥재 철거장치
KR101314182B1 (ko) * 2011-03-15 2013-10-02 전인택 바닥재 탈거 장치.
KR101239592B1 (ko) 2011-05-11 2013-03-05 박성일 클러치 기구를 구비한 바닥재 철거장치
KR101489925B1 (ko) * 2013-07-01 2015-02-06 이중호 개선된 바닥재 철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161U (ko) 2018-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223386A1 (zh) 切削打磨头、打磨执行端及打磨设备
CN1820903A (zh) 手持式工具机
KR101723778B1 (ko) 파이프 절단기
US9988774B2 (en) Attachment for clearance of worksites
KR200385536Y1 (ko) 석재 수직 절단용 와이어톱 장착장치
KR200490190Y1 (ko) 바닥재 철거장치
KR20100024110A (ko) 굴삭기용 진동 파쇄기
KR20110136209A (ko) 커팅장치
US6253878B1 (en) Ergonomically adjustable machine operator platform
KR102055100B1 (ko) 병렬 로봇
KR101288597B1 (ko) 차량 부품의 자동 공급장치
KR102587470B1 (ko) 승강 가능한 정반장치
EP4186622A1 (en) Four-hole core drilling machine
KR101301778B1 (ko) 다엽식 석재절삭기
CN104440463A (zh) 多磨头板材弧面槽开槽装置
KR102206342B1 (ko) 굴삭기용 진동장치
JP2010228027A (ja) ねじ締め機
CN101102948A (zh) 机动的辊筒
CN109249547B (zh) 一种框架锯锯框双向复合导向支承机构
KR102540507B1 (ko) 마사지모듈 이송용 이중롤러 가이드장치
KR100632439B1 (ko) 전방향 이동식 셀터장치
KR101067284B1 (ko) 절삭각도 조절이 용이한 석재 절단장치
CN210794824U (zh) 一种竖式180度翻转输送装置
KR101999831B1 (ko) 자이로 모듈이 구비된 드릴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기계 가공 시스템
CN206016694U (zh) 一种具有钻杆跟随扶持功能的桩工机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