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7918B1 - 야채 절단기 - Google Patents

야채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7918B1
KR102207918B1 KR1020190113065A KR20190113065A KR102207918B1 KR 102207918 B1 KR102207918 B1 KR 102207918B1 KR 1020190113065 A KR1020190113065 A KR 1020190113065A KR 20190113065 A KR20190113065 A KR 20190113065A KR 102207918 B1 KR102207918 B1 KR 102207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pressing plate
guide
rotation shaft
pr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설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세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to KR1020190113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79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08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pu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2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machines
    • B26D7/225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machines for food sli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Abstract

본 발명은 야채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야채를 수용하기 위해 상부에 투입구가 형성된 투입 통부가 장착되며 상기 투입 통부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투입 통부의 하부로 야채를 누르기 위해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는 누름 유닛; 상기 투입 통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야채를 절단하는 커터 조립체; 및, 상기 커터 조립체에 연결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누름 유닛은, 상기 회전축에 상하 힌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 조립체; 상기 손잡이 조립체에 힌지 연결되는 누름 플레이트; 및, 상기 누름 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을 따라 왕복 이동하게 설치되는 이동편을 포함하며, 상기 누름 유닛은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케이스의 일부분에 걸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누름 유닛이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충격이 발생하고 손상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으며 상하 이동을 위해 윤활제를 적용할 필요가 없어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야채 절단기{Vegetable Cutter}
본 발명은 야채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작이 원활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야채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채 절단기는 양배추, 무, 오이, 등의 채소를 소정의 두께나 크기로 절단하는 장치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상기 야채 절단기는 야채를 수용하기 위해 상부에 투입구(1)가 형성된 투입 통부(2)가 장착되는 케이스(3), 상기 투입 통부(2)의 하부를 향해 야채를 누르기 위해 케이스에 설치되는 누름 유닛(4), 상기 투입 통부(2)의 하부에 배치되어 야채를 절단하는 커터(5) 및, 상기 커터에 연결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상의 야채 절단기에 따르면, 상기 누름 유닛(4)을 상기 투입 통부(2)의 투입구(1) 외측으로 분리한 상태에서 야채를 투입 통부(2)로 넣은 후, 상기 누름 유닛(4)을 상기 투입구(1)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야채를 투입 통부(2)의 바닥을 향해 누르게 되며, 모터 등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커터(5)에 의해 야채를 다양한 모양과 크기로 절단하고, 절단된 야채는 상기 케이스(3)의 배출구(6)를 통해 배출하게 되어 있다.
특히, 종래에는 상기 누름 유닛(4)을 상기 투입 통부(2)의 투입구(1)로부터 분리할 경우, 케이스(3)에 형성된 별도의 안내 구멍(9)을 통해 누름 유닛(4)을 구성하는 회전축(7)을 뽑아서 누름 유닛(4)의 누름 플레이트(8)를 투입구(1)로부터 인출시킨 후에 상기 회전축(7)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 회전축(7)이 상기 안내 구멍(9)을 통해 왕복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쉽게 뽑히거나 삽입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안내 구멍(9)에 윤활제를 공급하기도 하나, 이 경우 주변이 오염되는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하고 그 효과 또한 장시간 유지되기 어려웠다.
또한, 윤활제에 의해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게 된 경우, 상기 누름 유닛이 상승한 후 걸리는 구성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자중에 의한 낙하로 인해 부품이 손상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뻑뻑한 상기 누름 유닛을 무리한 힘을 가하여 잡아당기는 경우 상기 누름 유닛과 케이스 사이에 충격이 발생하여 내구성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도 있었다.
선행문헌 1 :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12730호 (2017.12.20)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동이 원활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야채 절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야채 절단기는,
야채를 수용하기 위해 상부에 투입구가 형성된 투입 통부가 장착하며 상기 투입 통부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투입 통부의 하부로 야채를 누르기 위해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는 누름 유닛;
상기 투입 통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야채를 절단하는 커터 조립체; 및,
상기 커터 조립체에 연결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누름 유닛은,
상기 회전축에 상하 힌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 조립체;
상기 손잡이 조립체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누름 플레이트; 및,
상기 누름 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을 따라 왕복 이동하게 설치되는 이동편을 포함하며,
상기 누름 유닛은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케이스의 일부분에 걸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회전축의 둘레 외측에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게 세워지는 가이드 편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편은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도록 안내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편의 외주면은 상기 가이드 편의 내주면과 대향한 상태로 상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편에는 수직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편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홈을 중심으로 일측 가이드 편의 상단에 상기 가이드 돌부가 걸리는 제1 단차부가 형성되고, 타측 가이드 편의 상단에는 상기 이동편과 누름 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는 연장부의 하단이 걸리는 제2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가이드 편의 내주면과 상기 이동편의 외주면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 조립체는, 상기 회전축에 상하 힌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 연결편과, 상기 손잡이 연결편으로부터 양측으로 분기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 연결편과 상기 누름 플레이트는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름 플레이트에는 보조 투입부가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보조 투입부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의 선단에 상기 이동편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 플레이트와 상기 손잡이 조립체는 연결 링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누름 유닛이 투입 통부의 외측에서 케이스에 세워져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상하 힌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 조립체, 상기 손잡이 조립체에 힌지 연결되는 누름 플레이트 및, 상기 누름 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을 따라 왕복 이동하게 설치되는 이동편을 포함하며, 상기 누름 유닛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케이스의 일부분에 걸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상기 누름 유닛이 투입 통부로부터 벗어나서 회전한 후 그 자리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누름 유닛이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충격이 발생하는 것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 편에는 수직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이동편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이동편의 상하 이동시 둘레 방향 흔들림이 방지된다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홈을 중심으로 일측 가이드 편의 상단에 상기 가이드 돌부가 걸리는 제1 단차부가 형성되고, 타측 가이드 편의 상단에는 상기 이동편과 누름 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는 연장부의 하단이 걸리는 제2 단차부가 형성되어 상기 누름 유닛의 회전 후 상기 가이드 편에 걸릴 때 스스로 회전하여 흔들리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손잡이 조립체는, 상기 회전축에 상하 힌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 연결편과, 상기 손잡이 연결편으로부터 양측으로 분기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 연결편과 상기 누름 플레이트는 링크 부재 등에 의해 힌지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손잡이 조립체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누름 플레이트가 투입 통부의 안쪽으로 원활하게 이동하거나 인출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야채 절단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야채 절단기를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야채 절단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야채 절단기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야채 절단기의 누름 유닛이 해제된 구성을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야채 절단기를 나타내는 상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야채 절단기를 나타내는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야채 절단기(1000)는, 야채를 수용하기 위해 상부에 투입구(111)가 형성된 투입 통부(110)를 포함하며 상기 투입 통부(110)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회전축(170)을 포함하는 케이스(100), 상기 투입 통부(110)의 하부로 야채를 상기 회전축(170)에 연결되는 누름 유닛(200), 상기 투입 통부(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야채를 절단하는 커터 조립체(300) 및, 상기 커터 조립체(300)에 연결되는 구동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누름 유닛(200)은, 상기 투입 통부(110)의 외측에서 상기 케이스(100)에 회전 가능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회전축(170), 상기 회전축(170)에 상하 힌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 조립체(220), 상기 손잡이 조립체(220)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누름 플레이트(230) 및, 상기 누름 플레이트(230)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170)을 따라 왕복 이동하게 설치되는 이동편(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 조립체(200)를 누르거나 들어올릴 때 상기 누름 플레이트(230)가 상기 투입 통부(110)의 바닥을 향해 이동하거나 바닥으로부터 분리되어 멀어지게 되며 상기 이동편(240)이 상기 회전축(170)을 따라 상하 왕복 이동하게 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 조립체(200)가 들어올려져서 상기 이동편(240)이 상승하게 되면, 상기 누름 유닛(200)을 상기 회전축(170)을 통해 회전시킬 수 있으며, 대략 90도 정도를 회전시킨 후 상기 이동편(240)을 상기 케이스(100)의 일부분에 걸리도록 하여 그 자리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축(170)은 베어링(미도시)을 통해 상기 케이스(100)에 연결될 수 있어 별도의 윤활제 등이 적용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상기 누름 유닛(200)이 투입 통부(110)로부터 벗어나서 회전한 후 그 자리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누름 유닛(200)이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충격이 발생하는 것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편(240)이 걸리는 케이스(100)의 일부분으로서, 상기 회전축(170)의 둘레 외측에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게 세워지는 가이드 편(50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편(500)은 상기 케이스(100)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마련되어 상기 케이스(100)에 조립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편(240)은 상기 회전축(170)이 관통하도록 안내공(2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편(240)의 외주면은 상기 가이드 편(500)의 내주면과 대향한 상태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특히,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가이드 편(500)의 내주면과 상기 이동편(240)의 외주면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흔들림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상기 이동편(240)의 외주면은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 편(500)의 내주면은 원호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편(500)에는 수직방향으로 가이드 홈(510)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편(240)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510)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부(24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이동편(240)의 상하 이동시 둘레방향 흔들림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홈(510)은 하나의 가이드 편(500)에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두개의 가이드 편(500) 사이를 이격시켜서 형성되는 간격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홈(510)을 중심으로 일측 가이드 편(500)의 상단에 상기 가이드 돌부(241)가 걸리는 제1 단차부(520)가 형성되고, 타측 가이드 편(500)의 상단에는 상기 이동편(240)과 누름 플레이트(230) 사이를 연결하는 연장부(250)의 하단이 걸리는 제2 단차부(530)가 형성되어 상기 누름 유닛(200)의 회전 후 상기 가이드 편(500)에 걸릴 때 임의로 회전하여 흔들리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 조립체(220)는, 상기 회전축(170)에 마련된 제1 힌지부(211)를 통해 상하 힌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 연결편(221)과, 상기 손잡이 연결편(221)으로부터 양측으로 분기되어 형성되는 손잡이(2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 연결편(221)과 상기 누름 플레이트(230)는 제2 힌지부(221a)를 통해 힌지 연결되어 있다.
특히, 상기 손잡이 연결편(221)과 상기 누름 플레이트(230)를 링크 부재(260)를 통해 상호 연결하면 상기 누름 플레이트(230)가 상기 투입 통부(110)의 바닥을 향해 자연스럽게 하강 이동하거나 들어올려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누름 플레이트(230)에는 보조 투입부(231)가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보조 투입부(231)의 외주면에서 상기 이동편(240)과의 사이에 상기 연장부(250)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투입 통부(110)의 외주면 일부분에는 상기 연장부(250)가 자유롭게 승하강 출입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걸림홈(1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누름 플레이트(230)가 하강할 때 상기 제1 걸림홈(115)에 의해 상기 연장부(250)가 삽입되어 걸리게 되므로 실제 야채 절단시 누름 유닛(200)이 횡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250)가 이동하도록 상기 2개의 가이드 편(500) 사이는 충분히 이격될 필요가 있다.
즉, 상기 가이드 편(500)에 형성된 가이드 홈(510)과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연장부(250)가 이동하기 위한 틈(580)이 형성될 필요가 있다.
상기 보조 투입부(231)는 상기 누름 플레이트(230)가 투입 통부(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야채 등을 별도로 투입할 수 있도록 세워져 설치되는 중공형의 기둥 구조물로서 야채를 넣고 누르기 위한 밀대(231a)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 플레이트(230)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걸림홈(235)이 형성되고 상기 투입 통부(110)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 걸림홈(235)에 삽입되도록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 돌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누름 플레이트(230)가 하강할 때 상기 제2 걸림홈(235)에 의해 상기 걸림 돌부(150)가 삽입되어 걸리게 되므로 실제 야채 절단시 누름 유닛(200)이 횡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 연결편(221)은 상기 보조 투입부(231)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서 감싸는 구조를 가지며, 일단은 제1 힌지부(211)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 힌지부(221a)에 각각 힌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러한 구조로 구성할 필요는 없으며 구조가 견고하다면 상기 손잡이 연결편(221)은 어느 한쪽만 있어도 무방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야채 절단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야채의 절단이 완료되면 누름 플레이트(230)는 투입 통부(110)의 바닥에 대향한 상태로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222)를 파지하고 상부로 들어올리면 상기 회전축(170)의 상부에 마련된 제1 힌지부(211)를 통해 손잡이 연결편(221)이 상부로 힌지 회전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1 힌지부(211)로부터 먼 쪽에 배치된 상기 손잡이 연결편(221)의 제2 힌지부(221a)와 링크 부재(260)를 통해 힌지 연결된 누름 플레이트(230)가 상기 투입 통부(110)의 바닥으로부터 상승하게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상기 이동편(240)은 상기 회전축(170)의 외주면과 가이드 편(500)의 내주면을 따라 상승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누름 플레이트(230)가 상기 투입 통부(110)의 상단으로부터 벗어나서 분리되면서 상기 이동편(240) 역시 상기 가이드 편(500)의 상단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222)를 파지한 채 상기 회전축(170)을 통해 대략 90도(정확할 필요는 없음) 회전하도록 할 수 있으며, 회전 후 상기 손잡이(222)를 다소 하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이동편(240)의 가이드 돌부(241)와 상기 연장부(250)는 상기 제1 단차부(520)와 제2 단차부(530)에 각각 걸리게 되어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도 6 참조).
반대로, 상기 누름 플레이트(230)를 사용하기 위해 상기 투입 통부(110)로 다시 삽입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손잡이(222)를 잡고 약간 들어올려서 제1 단차부(520)와 제2 단차부(530)로부터 상기 가이드 돌부(241)와 연장부(250)의 걸림을 해제한다.
그 다음, 상기 손잡이(222)를 그대로 잡은 상태에서 상기 투입 통부(110)의 투입구(111) 쪽으로 회전시킨 후 상기 손잡이(222)를 하강시키면 상기 누름 플레이트(230)가 상기 투입 통부(110)로 삽입되어 상기 투입 통부(110)에 이미 수용되어 있는 야채를 누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커터 조립체(300)는 투입 통부(1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칼판(310)과, 상기 칼판(3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커터(3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터(320)는 모터 등의 구동 수단(400)에 연결되어 칼판(310)을 통해 공급되는 야채를 절단하게 되며, 절단된 야채는 케이스(100)의 배출구(180)를 통해 배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케이스
110... 투입 통부
200... 누름 유닛
170... 회전축
220... 손잡이 조립체
221... 손잡이 연결편
222... 손잡이
230... 누름 플레이트
231... 보조 투입부
240... 이동편
241... 가이드 돌부
250... 연장부
260... 링크 부재
300... 커터 조립체
400... 구동 수단
500... 가이드 편
510... 가이드 홈
520... 제1 단차부
530... 제2 단차부
1000... 야채 절단기

Claims (7)

  1. 야채를 수용하기 위해 상부에 투입구가 형성된 투입 통부가 장착되며 상기 투입 통부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투입 통부의 하부로 야채를 누르기 위해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는 누름 유닛;
    상기 투입 통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야채를 절단하는 커터 조립체; 및,
    상기 커터 조립체에 연결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누름 유닛은,
    상기 회전축에 상하 힌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 조립체;
    상기 손잡이 조립체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누름 플레이트; 및,
    상기 누름 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을 따라 왕복 이동하게 설치되는 이동편을 포함하되,
    상기 누름 유닛은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케이스의 일부분에 걸리도록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 조립체는, 상기 회전축에 상하 힌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 연결편과, 상기 손잡이 연결편으로부터 양측으로 분기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 연결편과 상기 누름 플레이트는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 절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회전축의 둘레 외측에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게 세워지는 가이드 편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편은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도록 안내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편의 외주면은 상기 가이드 편의 내주면과 대향한 상태로 상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 절단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편에는 수직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편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 절단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을 중심으로 일측 가이드 편의 상단에 상기 가이드 돌부가 걸리는 제1 단차부가 형성되고, 타측 가이드 편의 상단에는 상기 이동편과 누름 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는 연장부의 하단이 걸리는 제2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 절단기.
  5. 제4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가이드 편의 내주면과 상기 이동편의 외주면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 절단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플레이트에는 보조 투입부가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보조 투입부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의 선단에 상기 이동편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 플레이트와 상기 손잡이 조립체는 연결 링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 절단기.
KR1020190113065A 2019-09-11 2019-09-11 야채 절단기 KR102207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065A KR102207918B1 (ko) 2019-09-11 2019-09-11 야채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065A KR102207918B1 (ko) 2019-09-11 2019-09-11 야채 절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7918B1 true KR102207918B1 (ko) 2021-01-26

Family

ID=74310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065A KR102207918B1 (ko) 2019-09-11 2019-09-11 야채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79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4876A (ja) * 1986-07-16 1988-02-02 ロボ−ク−プ(ソシエテ アノニム) 食物加工装置内への食料品挿入用ホッパ−
KR20100101880A (ko) * 2009-03-10 2010-09-20 한국후지공업주식회사 수직형 식품 슬라이서
CN204183605U (zh) * 2014-08-12 2015-03-04 陈民付 一种自动切肉机
KR101812730B1 (ko) 2016-03-23 2017-12-27 김순문 야채 절단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4876A (ja) * 1986-07-16 1988-02-02 ロボ−ク−プ(ソシエテ アノニム) 食物加工装置内への食料品挿入用ホッパ−
KR20100101880A (ko) * 2009-03-10 2010-09-20 한국후지공업주식회사 수직형 식품 슬라이서
CN204183605U (zh) * 2014-08-12 2015-03-04 陈民付 一种自动切肉机
KR101812730B1 (ko) 2016-03-23 2017-12-27 김순문 야채 절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821012T2 (de)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aufreisslinien in einer zylindrischen wand eines kunststoffbechers, insbesondere einer kunststoffkappe zum verschliessen eines behälters und mit dieser vorrichtung ausgerüstete maschine
KR101723778B1 (ko) 파이프 절단기
US8657306B2 (en) Lifting machine base assembly for a machine tool
US20180257193A1 (en) Double disc surface grinding machine and grinding method
KR101462073B1 (ko) 원목 절단 장치
FR2591997A1 (fr) Dispositif de retrait des cerclages des balles de cellulose, de papier ou analogue
CN101638193B (zh) 页张折页机
WO2008114875A1 (en) Bench cutter
KR102207918B1 (ko) 야채 절단기
EP0447281B1 (fr) Dispositif d'extraction de pâte d'un pétrin à cuve cylindrique
KR101963114B1 (ko) 원심력을 이용한 약재절단기
KR100984543B1 (ko) 식육 슬라이서
JP6378800B2 (ja) ワークの加工装置
KR101927753B1 (ko) 파렛트 클램핑 장치
JP6047695B2 (ja) パイプ切断機
JP2010184301A (ja) 栗切り機
IT202000016570A1 (it) Apparato di taglio
EP3440967A1 (en) Extraction device with a suitable collector chamber
FR3077514A1 (fr) Dispositif de manutention de pieces stockees sur palettes positionnable au voisinage d'un centre d'usinage
KR102141618B1 (ko) 약재절단기
CN210436302U (zh) 一种多功能木材切割机
KR20170119115A (ko) 견과류 절단 장치
CN108943056A (zh) 全自动食品切环机械手
US10638660B2 (en) Mowing or grinding device
KR101285215B1 (ko) 스티칭 머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