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5215B1 - 스티칭 머신 - Google Patents

스티칭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5215B1
KR101285215B1 KR1020120059300A KR20120059300A KR101285215B1 KR 101285215 B1 KR101285215 B1 KR 101285215B1 KR 1020120059300 A KR1020120059300 A KR 1020120059300A KR 20120059300 A KR20120059300 A KR 20120059300A KR 101285215 B1 KR101285215 B1 KR 101285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unit
pin
link
c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성
Original Assignee
김해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해성 filed Critical 김해성
Priority to KR1020120059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52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01R43/055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with contact member feeding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Abstract

본 발명은 터미널단자를 물고 커넥터 케이스에 삽입하는 스티칭 머신을 위하여, 회전축이 배치되는 본체와, 터미널단자를 물 수 있으며 적어도 어느 하나는 회동가능한 제1핀 및 제2핀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삽입부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부를 이동시키는 제1캠부와, 상기 삽입부와 상기 제1캠부을 연결하는 제1링크부와, 상기 제1핀 및 상기 제2핀이 벌어지도록 상기 제1핀 또는 상기 제2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동키며,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오픈부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오픈부의 일부를 이동시키는 제2캠부와, 상기 오픈부 및 상기 제2캠부를 연결하는 제2링크부를 포함하는 스티칭 머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티칭 머신{Stiching machine}
본 발명은 터미널단자를 커넥터 케이스에 삽입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스티칭 머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커넥터케이스에 터미널단자를 삽입함으로써 제작되어 지는데, 이와 같은 작업을 위하여 커넥터케이스에 터미널단자를 빠르게 삽입할 수 있는 커넥터 고속 스티칭 머신이 개발되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커넥터 고속 스티칭머신은 제작하려는 커넥터에 따라 두 가지방식이 통상적으로 사용되어 지는데, 터미널단자가 비교적 적게 사용되어 조밀하지 않은 커넥터 제작시에는 빠른 제작을 위해서 여러 개를 동시에 삽입시키는 방식이 사용되었으며, 터미널단자가 많이 사용되어 보다 조밀한 커넥터를 제작할 시에는 다량을 한번에 삽입시키는데에 따른 불량률을 줄이고자 터미널단자를 커넥터케이스에 하나씩 연속적으로 삽입시키는 방식이 사용되곤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티칭 머신에는 터미널단자를 커넥터 케이스에 삽입할 때, 터미널단자에 마찰이 발생하여 터미널단자가 손상되거나, 마찰에 의해 발생한 미세 가루에 때문에 스티칭 머신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미널단자를 물고 커넥터 케이스에 삽입하는 스티칭 머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회전축이 배치되는 본체와, 터미널단자를 물 수 있으며 적어도 어느 하나는 회동가능한 제1핀 및 제2핀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삽입부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부를 이동시키는 제1캠부와, 상기 삽입부와 상기 제1캠부을 연결하는 제1링크부와, 상기 제1핀 및 상기 제2핀이 벌어지도록 상기 제1핀 또는 상기 제2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동키며,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오픈부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오픈부의 일부를 이동시키는 제2캠부와, 상기 오픈부 및 상기 제2캠부를 연결하는 제2링크부를 포함하는 스티칭 머신이 제공된다.
상기 제1핀은 상기 제2핀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오픈부는 상기 제1핀을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캠부는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호 소정의 각도로 틀어진 두 개의 캠을 포함하고, 상기 제1링크부는 상기 제1캠부의 두 개의 캠의 외주면에 각각 배치되는 두 개의 캠플로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캠부는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호 소정의 각도로 틀어진 두 개의 캠을 포함하고, 상기 제2링크부는 상기 제2캠부의 두 개의 캠의 외주면에 각각 배치되는 두 개의 캠플로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단자를 절단하며 상기 본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절단부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절단부를 이동시키는 제3캠부와, 상기 절단부와 상기 제3캠부을 연결하는 제3링크부와, 상기 삽입부를 기준으로 상기 절단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절단지지부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절단지지부를 이동시키는 제4캠부와, 상기 제4캠부와 상기 절단지지부를 연결하는 제4링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캠부는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호 소정의 각도로 틀어진 두 개의 캠을 포함하고, 상기 제3링크부는 상기 제3캠부의 두 개의 캠의 외주면에 각각 배치되는 두 개의 캠플로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캠부는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호 소정의 각도로 틀어진 두 개의 캠을 포함하고, 상기 제4링크부는 상기 제4캠부의 두 개의 캠의 외주면에 각각 배치되는 두 개의 캠플로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5캠부와, 상기 본체의 측면을 지지하는 고정지지부와, 상기 고정지지부 및 상기 제5캠부를 연결하는 제5링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미널단자에 발생하는 마찰을 최소화하는 스티칭 머신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칭 머신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칭 머신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칭 머신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티칭 머신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칭 머신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칭 머신의 캠 및 캠플로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칭 머신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칭 머신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칭 머신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칭 머신은 본체(10)와 터미널단자를 삽입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스티칭 머신은 삽입부(110), 제1캠부(130), 제1링크부(150), 오픈부(210), 제2캠부(230) 및 제2링크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며,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11)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 플레이트(11)는 대략 사각형의 패널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부에는 스티칭 머신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가 구비될 수 있고, 상부에는 터미널단자를 커넥터케이스에 삽입시키기 위한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본체(10)는 베이스 플레이트(11) 상에 대략 수직하게 배치된 바디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2)는 터미널단자가 이송되는 긴 홈(30)을 구비하며, 이하에서 설명할 삽입부(110)가 출입할 수 있는 사각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2)는 삽입부(110)가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더(13)가 결합될 수 있으며, 전방에 이하에서 설명할 절단부(310) 및 절단지지부(410)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회전축은 베이스 플레이트(11) 상에 배치되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1)에 결합된 지지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대는 두 개로 이루어지며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마주보는 모서리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은 모터와 연결되는 풀리(21)가 결합되어,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때, 모터와 풀리는 벨트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축은 제1캠부(130) 등이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칭 머신 중 삽입부(110), 제1캠부(130) 및 제1링크부(15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삽입부(110)는 본체(10)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삽입부(110)는 본체(10)의 바디부(12)에 결합되는 슬라이더(13) 상에 왕복운동이 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부(110)는 터미널단자를 잡아 커넥터 케이스에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삽입부(110)는 터미널단자를 무는 제1핀(111) 및 제2핀(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핀(111) 및 제2핀(112)은 일단에 터미널단자를 물수 있도록 단부가 뾰족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삽입부(110)는 터미널단자를 커넥터 케이스에 삽입한 후 벌어져야 하므로, 제1핀(111) 또는 제2핀(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회동될 수 있다. 즉, 제1핀(111) 또는 제2핀(112)은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가 회동되거나, 모두 회동되어 벌어질 수 있다. 한편, 오픈부(210)가 제1핀(111) 또는 제2핀(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동시키나,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예컨대, 제2핀(112)은 슬라이더(13) 상에 배치되고, 제1핀(111)은 제2핀(11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핀(111) 및 제2핀(112)은 모두 왕복운동을 하며, 제1핀(111)은 회동운동을 할 수 있다. 즉, 삽입부(110)가 벌려진 상태, 즉 제1핀(111) 및 제2핀(112)의 단부가 멀어진 상태에서 터미널단자가 이송되면, 제1핀(111)이 회동되어 터미널단자를 물 수 있다. 그리고 제1핀(111) 및 제2핀(112)은 커넥터 케이스 방향으로 이동하여 터미널단자를 커넥터 케이스에 결합할 수 있다. 그 후 다시 제1핀(111)의 회동하여 터미널단자를 놓으며, 대략 동일한 시점에 제1핀(111) 및 제2핀(112)은 커넥터 케이스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처럼 제1핀(111) 및 제2핀(112)이 터미널단자를 문 상태에서 이동하므로, 종래에 터미널단자를 밀어서 커넥터 케이스에 삽입할 때보다 마찰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즉, 터미널단자를 커넥터 케이스에 결합할 때 마찰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터미널단지에 스크래치 등 손상이 가는 것을 방지하여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터미널단자에서 마찰에 의해 금속가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금속가루가 이동부위나 회동부위에 끼어 스티칭 머신이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삽입부(11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1캠부(130) 및 제1링크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캠부(130)는 회전축에 결합될 수 있고, 제1링크부(150)는 삽입부(110)와 제1캠부(130)를 연결할 수 있다. 제1캠부(130)와 제1링크부(150)는 회전축을 통해 전달된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삽입부(110)를 상술한 바와 같이 왕복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캠부(130)는 판형 캠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링크부(150)는 본체(10)의 베이스 플레이트(11) 상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링크부(150)는 베이스 플레이트(11) 상에 구비된 제1힌지부(14)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캠부(13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스티칭 머신은 고속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캠이 고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캠에 의해 캠플로어가 캠에서 이격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이로 인해 소음이 커지고, 삽입부(110)가 제대로 이동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1캠부(130)는 소정의 각도로 틀어진 두 개의 캠을 포함하고, 제1링크부(150)는 제1캠부(130)의 두 개의 캠에 각각 배치되는 두 개의 캠플로어(15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캠부(130)는 두 개의 캠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캠부(130)의 두 개의 캠은 대략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캠부(130)의 두 개의 캠은 회전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상호 인접하게 회전축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링크부(150)는 제1캠부(130)의 두 개의 캠의 외주면에 각각 배치되는 두 개의 캠플로어(15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링크부(150)의 두 개의 캠플로어(151)는 제1힌지부(14)를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 및 동일한 거리로 이동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1링크부(150)의 두 개의 캠은 각각 제1캠부(130)의 두 개의 캠에 각각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회전축을 기준으로 제1캠부(130)의 두 개의 캠이 이루는 소정의 각도와, 회전축을 기준으로 제1링크부(150)의 두 개의 캠플로어(151)가 이루는 각도가 동일할 수 있다.
이렇게 제1캠부(130) 및 제1링크부(150)를 배치하여, 어느 하나의 캠에서 캠플로어가 멀어지는 것을 다른 캠과 캠플로어가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항상 캠과 캠플로어가 닿아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삽입부(110)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소음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캠플로어 또는 캠이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칭 머신 중 오픈부(210), 제2캠부(230) 및 제2링크부(25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오픈부(210)는 삽입부(110)가 터미널단자를 물 수 있도록, 삽입부(110)를 벌릴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오픈부(210)는 삽입부(110) 중 제1핀(111) 또는 제2핀(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동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오픈부(210)가 제1핀(111)을 회동시키는 것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러나 오픈부(210)가 제1핀(111)을 회전시키는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핀(111)은 연결핀(114)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제2핀(112)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1핀(111)은 터미널단자를 무는 반대편 단부에 누름핀(113)이 결합된다. 이 누름핀(113)을 오픈부(210)가 누르면, 연결핀(114)을 기준으로 제1핀(111)이 회전하여 삽입부(110)가 벌어질 수 있다. 한편, 제1핀(111)을 제2핀(112)에 맞물리게 하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시 도 5를 참조하여 오픈부(2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오픈부(210)는 제1오픈바(211), 제2오픈바(212), 누름바(213) 및 승강바(2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오픈바(211)는 본체(10), 보다 상세히 바디부(12)에 고정될 수 있다. 제2오픈바(212)는 승강바(214)에 의해 이동가능하도록 제1오픈바(21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오픈바(211)는 고정되어 있고, 제2오픈바(212)는 이동가능할 수 있다.
승강바(214)는 제1오픈바(211) 및 제2오픈바(212)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이 제2링크부(25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승강바(214)의 회동에 의해 제2오픈바(212)는 승강바(214)의 궤적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오픈바(212)는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누름바(213)는 제2오픈바(212)에 결합되며, 제1핀(111)의 누름핀(113)을 눌러, 제1핀(111)을 회동시킬 수 있다. 즉 누름바(213)는 제2오픈바(212)와 같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하강할 때 누름핀(113)을 눌러, 삽입부(110)의 단부를 벌릴 수 있다. 이러한 누름핀(113)은 삽입부(110)가 왕복운동을 하므로 적어도 제1핀(111)의 왕복운동 거리보다 긴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누름핀(113)은 누름판과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단부에 바퀴 또는 베어링 등이 결합될 수 있다.
제2캠부(230)는 회전축에 결합되며, 오픈부(210)의 일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링크부(250)는 오픈부(210)와 제2캡부를 연결할 수 있다. 제2캠부(230)와 제2링크부(250)는 회전축을 통해 전달된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오픈부(210) 특히 제2오픈바(212)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캠부(230)는 판형 캠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링크부(250)는 본체(10)의 베이스 플레이트(11) 상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2링크부(250)는 베이스 플레이트(11) 상에 구비된 제2힌지부(1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캠부(23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오픈부(210)의 승강바(214)는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여 제2오픈바(212)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스티칭 머신은 고속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캠이 고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캠에 의해 캠플로어가 캠에서 이격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이로 인해 소음이 커지고, 삽입부(110)가 제대로 이동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1캠부(130)는 소정의 각도로 틀어진 두 개의 캠을 포함하고, 제2링크부(250)는 제2캠부(230)의 두 개의 캠에 각각 배치되는 두 개의 캠플로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2캠부(230)는 두 개의 캠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캠부(230)의 두 개의 캠은 대략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캠부(230)의 두 개의 캠은 회전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상호 인접하게 회전축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링크부(250)는 제2캠부(230)의 두 개의 캠의 외주면에 각각 배치되는 두 개의 캠플로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링크부(250)의 두 개의 캠플로어(251)는 제2힌지부(15)를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 및 동일한 거리로 이동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2링크부(250)의 두 개의 캠은 각각 제2캠부(230)의 두 개의 캠에 각각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회전축을 기준으로 제2캠부(230)의 두 개의 캠이 이루는 소정의 각도와, 회전축을 기준으로 제2링크부(250)의 두 개의 캠플로어(251)가 이루는 각도가 동일할 수 있다.
이렇게 제2캠부(230) 및 제2링크부(250)를 배치하여, 어느 하나의 캠에서 캠플로어가 멀어지는 것을 다른 캠과 캠플로어가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항상 캠과 캠플로어가 닿아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삽입부(110)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소음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캠플로어 또는 캠이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칭 머신 중 절단부(310), 제3캠부(330), 제3링크부(35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절단부(310)는 연속적으로 이어진 터미널단자를 낱개로 절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절단부(310)는 단부에 커팅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절단부(310)는 본체(10)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절단부(310)는 본체(10)의 바디부(12)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3캠부(330)는 회전축에 결합되며, 절단부(31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3링크부(350)는 절단부(310)와 제3캡부를 연결할 수 있다. 제3캠부(330)와 제3링크부(350)는 회전축을 통해 전달된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절단부(31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캠부(230)는 판형 캠을 포함할 수 있다.
제3링크부(350)는 본체(10)의 베이스 플레이트(11) 상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3링크부(350)는 베이스 플레이트(11) 상에 구비된 제3a힌지부(16)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제3캠부(33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제3링크부(350)는 바디부(12)의 상부를 거쳐 절단부(310)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바디부(12)의 상부에 제3b힌지부(17)에 의해 직선운동방향을 전환하여 절단부(31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스티칭 머신은 고속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캠이 고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캠에 의해 캠플로어가 캠에서 이격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이로 인해 소음이 커지고, 삽입부(110)가 제대로 이동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3캠부(330)는 소정의 각도로 틀어진 두 개의 캠을 포함하고, 제3링크부(350)는 제3캠부(330)의 두 개의 캠에 각각 배치되는 두 개의 캠플로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3캠부(330)는 두 개의 캠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캠부(330)의 두 개의 캠은 대략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3캠부(330)의 두 개의 캠은 회전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상호 인접하게 회전축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3링크부(350)는 제3캠부(330)의 두 개의 캠의 외주면에 각각 배치되는 두 개의 캠플로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3링크부(350)의 두 개의 캠플로어(351)는 제3a힌지부(16)를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 및 동일한 거리로 이동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3링크부(350)의 두 개의 캠은 각각 제3캠부(330)의 두 개의 캠에 각각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회전축을 기준으로 제3캠부(330)의 두 개의 캠이 이루는 소정의 각도와, 회전축을 기준으로 제3링크부(350)의 두 개의 캠플로어(351)가 이루는 각도가 동일할 수 있다.
이렇게 제3캠부(330) 및 제3링크부(350)를 배치하여, 어느 하나의 캠에서 캠플로어가 멀어지는 것을 다른 캠과 캠플로어가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항상 캠과 캠플로어가 닿아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삽입부(110)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소음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캠플로어 또는 캠이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칭 머신 중 절단지지부(410), 제4캠부(430), 제4링크부(45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절단지지부(410)는 절단부(310)가 터미널단자를 낱개로 절단할 때, 터미널단자를 받힐 수 있다. 따라서 절단지지부(410)는 삽입부(110)를 기준으로 절단부(310)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터미널단자는 절단지지부(410) 상에 놓이고 이때, 절단부(310)가 터미널단자를 절단할 수 있다. 이러한 절단지지부(410)는 고정될 수 있으나, 삽입부(110)의 이동시 상호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10)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절단지지부(410)는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물론 절단지지부(410)의 이동은 상하로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절단지지부(410)는 터미널단자에서 절단된 연결부위가 배출되는 홀을 가질 수 있다.
제4캠부(430)는 회전축에 결합되며, 절단지지부(41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4링크부(450)는 절단지지부(410)와 제4캡부를 연결할 수 있다. 제4캠부(430)와 제4링크부(450)는 회전축을 통해 전달된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절단지지부(41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4캠부(430)는 판형 캠을 포함할 수 있다.
제4링크부(450)는 본체(10)의 바디부(12)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4링크부(450)는 바디부(12)에 구비된 제4힌지부(18)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제4캠부(43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스티칭 머신은 고속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캠이 고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캠에 의해 캠플로어가 캠에서 이격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이로 인해 소음이 커지고, 삽입부(110)가 제대로 이동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4캠부(430)는 소정의 각도로 틀어진 두 개의 캠을 포함하고, 제4링크부(450)는 제4캠부(430)의 두 개의 캠에 각각 배치되는 두 개의 캠플로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4캠부(430)는 두 개의 캠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4캠부(430)의 두 개의 캠은 대략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4캠부(430)의 두 개의 캠은 회전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상호 인접하게 회전축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4링크부(450)는 제4캠부(430)의 두 개의 캠의 외주면에 각각 배치되는 두 개의 캠플로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4링크부(450)의 두 개의 캠플로어(451)는 제4힌지부(18)를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 및 동일한 거리로 이동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4링크부(450)의 두 개의 캠은 각각 제4캠부(430)의 두 개의 캠에 각각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회전축을 기준으로 제4캠부(430)의 두 개의 캠이 이루는 소정의 각도와, 회전축을 기준으로 제3링크부(350)의 두 개의 캠플로어(351)가 이루는 각도가 동일할 수 있다.
이렇게 제4캠부(430) 및 제4링크부(450)를 배치하여, 어느 하나의 캠에서 캠플로어가 멀어지는 것을 다른 캠과 캠플로어가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항상 캠과 캠플로어가 닿아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삽입부(110)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소음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캠플로어 또는 캠이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칭 머신의 고정지지부(510), 제5캠부(530), 제5링크부(55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스티칭 머신은 고정지지부(510), 제5캠 및 제5링크부(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지지부(510)는 절단부(310)가 터미널단자를 절단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절단시 발생할 수 있는 흔들림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고정지지부(510)는 본체(10) 특히 바디부(12)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고정지지부(510)는 바디부(12)에 고정되어 충격을 흡수하거나 흔들림을 감소시킬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시에 바디부(12)를 지지할 수 있다.
제5캠부(530)은 회전축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5링크부(550)는 고정지지부(510)와 제5캠부(530)를 연결할 수 있다.
제5캠부(53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5캠부(530)는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원통 캠일 수 있다. 즉 제5링크부(550)는 제5캠부(530)에 형성된 홈을 따라 이동하여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술한 개개의 구성의 동작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터미널단자가 바디부(12)에 따라 형성된 홈(30)으로 삽입되면 삽입부(110)는 터미널단자를 물 수 있다. 이때, 삽입부(110)는 터미널 단자를 물기 전에 벌려진 상태일 것이다. 즉, 오픈부(210)가 삽입부(110)의 제1핀(111)을 누르고 있는 상태일 것이다.
그리고 오픈부(210)가 상승하면 제1핀(111)은 회동하여 끝단에 터미널단자를 물 수 있다. 삽입부(110)가 터미널단자를 견고히 고정하면, 절단지지부(410)와 절단부(310)가 터미널단자 방향으로 이송하여 터미널단자의 연결부를 절단 및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절단지지부(410)와 절단부(310)는 터미널단지의 연결부를 절단한 후 터미널단자에서 멀어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
삽입부(110)는 전방 즉 커넥터 케이스 방향으로 이동하여 절단된 낱개의 터미널단지를 커넥터 케이스에 삽입할 수 있다. 터미널단자를 커넥터 케이스에 삽입하면, 오픈부(210)는 삽입부(110)가 터미널단자를 놓도록 제1핀(111)을 누를 수 있다. 오픈부(210)가 터미널단자를 누른 상태로, 삽입부(110)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전술한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칭 머신은 터미널단자를 밀어서 커넥터 케이스에 결합하는 대신 물고 이동하여, 터미널단자의 외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찰에 의해 터미널단자에서 금속가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금속가루에 의해 스티칭머신이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캠과 두 개의 캠플로어를 구비하여, 빠르고 안정적으로 터미널단자를 커넥터 케이스에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본체 11: 베이스 플레이트
12: 바디부 13: 슬라이더
14: 제1힌지부 15: 제2힌지부
16: 제3a힌지부 17: 제3b힌지부
18: 제4힌지부 110: 삽입부
111: 제1핀 112: 제2핀
113: 누름핀 114: 연결핀
130: 제1캠부 150: 제1링크부
210: 오픈부 211: 제1오픈바
212: 제2오픈바 213: 누름바
214: 승강바 230: 제2캠부
250: 제2링크부 310: 절단부
330: 제3캠부 350: 제3링크부
410: 절단지지부 430: 제4캠부
450: 제4링크부 510: 고정지지부
530: 제5캠부 550: 제5링크부

Claims (8)

  1. 회전축이 배치되는 본체;
    터미널단자를 물 수 있으며 적어도 어느 하나는 회동가능한 제1핀 및 제2핀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삽입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부를 이동시키는 제1캠부;
    상기 삽입부와 상기 제1캠부을 연결하는 제1링크부;
    상기 제1핀 및 상기 제2핀이 벌어지도록 상기 제1핀 또는 상기 제2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동키며,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오픈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오픈부의 일부를 이동시키는 제2캠부; 및
    상기 오픈부 및 상기 제2캠부를 연결하는 제2링크부;
    를 포함하는, 스티칭 머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핀은 상기 제2핀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오픈부는 상기 제1핀을 회동시키는, 스티칭 머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캠부는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호 소정의 각도로 틀어진 두 개의 캠을 포함하고,
    상기 제1링크부는 상기 제1캠부의 두 개의 캠의 외주면에 각각 배치되는 두 개의 캠플로어를 포함하는, 스티칭 머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캠부는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호 소정의 각도로 틀어진 두 개의 캠을 포함하고,
    상기 제2링크부는 상기 제2캠부의 두 개의 캠의 외주면에 각각 배치되는 두 개의 캠플로어를 포함하는, 스티칭 머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단자를 절단하며, 상기 본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절단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절단부를 이동시키는 제3캠부;
    상기 절단부와 상기 제3캠부을 연결하는 제3링크부;
    상기 삽입부를 기준으로 상기 절단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절단지지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절단지지부를 이동시키는 제4캠부; 및
    상기 제4캠부와 상기 절단지지부를 연결하는 제4링크부;
    를 더 포함하는, 스티칭 머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캠부는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호 소정의 각도로 틀어진 두 개의 캠을 포함하고,
    상기 제3링크부는 상기 제3캠부의 두 개의 캠의 외주면에 각각 배치되는 두 개의 캠플로어를 포함하는, 스티칭 머신.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4캠부는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호 소정의 각도로 틀어진 두 개의 캠을 포함하고,
    상기 제4링크부는 상기 제4캠부의 두 개의 캠의 외주면에 각각 배치되는 두 개의 캠플로어를 포함하는, 스티칭 머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5캠부;
    상기 본체의 측면을 지지하는 고정지지부; 및
    상기 고정지지부 및 상기 제5캠부를 연결하는 제5링크부;를 더 포함하는, 스티칭 머신.
KR1020120059300A 2012-06-01 2012-06-01 스티칭 머신 KR101285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300A KR101285215B1 (ko) 2012-06-01 2012-06-01 스티칭 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300A KR101285215B1 (ko) 2012-06-01 2012-06-01 스티칭 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5215B1 true KR101285215B1 (ko) 2013-07-11

Family

ID=48997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300A KR101285215B1 (ko) 2012-06-01 2012-06-01 스티칭 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52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489A (ko) 2015-02-09 2016-08-18 조항일 커넥터 조립시 단자핀간 피치조정이 가능한 스티칭 머신
KR101846248B1 (ko) * 2016-08-05 2018-04-06 (주)아세아에프에이 커넥터 핀 푸싱장치용 푸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093B1 (ko) 2008-06-16 2008-09-03 주식회사 시너스 커넥터 고속 스티칭머신의 구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093B1 (ko) 2008-06-16 2008-09-03 주식회사 시너스 커넥터 고속 스티칭머신의 구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제작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489A (ko) 2015-02-09 2016-08-18 조항일 커넥터 조립시 단자핀간 피치조정이 가능한 스티칭 머신
KR101671098B1 (ko) 2015-02-09 2016-10-31 조항일 커넥터 조립시 단자핀간 피치조정이 가능한 스티칭 머신
KR101846248B1 (ko) * 2016-08-05 2018-04-06 (주)아세아에프에이 커넥터 핀 푸싱장치용 푸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9001B1 (ko) 커넥터용 터미널 핀 커팅 및 삽입 장치
EP2977175A1 (en) Bottle blowing machine having bottom die lifting clamping mechanism
JP6030677B2 (ja) 圧着ツール
KR101285215B1 (ko) 스티칭 머신
EP2977176A1 (en) Linkage mechanism between uniaxial die opening and closing and bottom die positioning
CN111805349A (zh) 一种机械手式全自动水钻磨抛机
CN107394276B (zh) 一种电芯固定治具与焊接设备
JP5947228B2 (ja) 防護管挿入機
KR101527397B1 (ko) 스티칭 머신
JP5555152B2 (ja) 部品圧入装置
CN105977764B (zh) 一种用于双射频同轴连接器中内导体上开槽装置
CN106346177A (zh) 夹持治具
KR101150729B1 (ko) 회전 척 및 그를 이용한 단조품 가공 장치
KR102450404B1 (ko) 전선단부 처리장치
CN107814172B (zh) 一种实现翻转时防离心机构
CN211701786U (zh) 一种插入机自动压线装置及插入机
CN219144005U (zh) 一种按键传导结构及电子设备
CN115101445B (zh) 用于半导体装片机的改良压模头
KR101092911B1 (ko) 스티칭머신의 구동장치
JPS6144388B2 (ko)
CN218958240U (zh) 一种用于排针连接器的加工装置
CN209948914U (zh) 一种绕线机的紧固结构及绕线机
CN217071403U (zh) 夹取装置
CN106917195B (zh) 缝纫机的推升装置
CN220272300U (zh) 一种绕线机的紧固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