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085Y1 - 클램프 타입 고속절단장비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클램프 타입 고속절단장비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085Y1
KR200472085Y1 KR2020130001202U KR20130001202U KR200472085Y1 KR 200472085 Y1 KR200472085 Y1 KR 200472085Y1 KR 2020130001202 U KR2020130001202 U KR 2020130001202U KR 20130001202 U KR20130001202 U KR 20130001202U KR 200472085 Y1 KR200472085 Y1 KR 2004720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xing
pipe
cutter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2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석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12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0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0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0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7/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47/04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evices for feeding, positioning, clamping, or rotat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 B23D45/04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with a circular saw blade or the stock carried by a pivoted lever
    • B23D45/042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with a circular saw blade or the stock carried by a pivoted lever with the saw blade carried by a pivoted le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 B23D45/12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with a circular saw blade for cutting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wing (AREA)

Abstract

클램프 타입 고속절단장비 고정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타입 고속절단장비 고정장치는 파이프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잇는 프레임 크기조절부; 상기 프레임 상측에 형성되어 파이프의 상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제 1고정부; 상기 제 1고정부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유압장치; 및 상기 프레임 하측에 형성되어 파이프의 하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제 2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클램프 타입 고속절단장비 고정장치{CLAMP TYPE ABRASIVE CUT-OFF MACHINE HOLDING ASSEMBLEY}
본 고안은 클램프타입 고속절단장비 고정장치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측에 파이프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제 1고정부 및 제 2고정부를 구비하여 고속절단장비를 파이프에 고정시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클램프 타입 고속절단장비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의 교체 또는 신설 배관 용접시 작업자는 절단기등을 사용하여 배관을 절단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하지만, 작업자가 직접 배관을 절단하는 방법은, 배관을 직접 손으로 잡고 진행한다는 점에서 안전사고가 초래될 수 있으며, 특히 니켈, 크롬계열의 배관 절단시에는 인력과 시간의 소요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해 한국공개특허(제2012-0137731호)는 롤러를 구비하여 파이프를 거치하고, 작업자가 절단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별도의 손잡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 방법은 본체의 부피로 인해 보관의 용이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롤러를 통해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방법은 상기 파이프가 단단히 고정되어있지 않아, 배관을 절단하는 작업에 있어서 정확한 수행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2012-0137731호(2012.12.24 공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배관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과 제 1고정부 및 제 2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과 고속절단기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절단기고정부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배관을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클램프 타입 고속절단장비 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클램프 타입 고속절단장비 고정장치는, 파이프를 수용할 수 있도록 프레임을 형성한다.
이때,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프레임 크기조절부, 상기 프레임 상측에 형성되어 파이프의 상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1고정부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유압장치, 및 상기 프레임 하측에 형성되어 파이프의 하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제 2고정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유압장치는, 상기 프레임 상부에 형성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를 구동시킬 수 있는 펌프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 1고정부는 상기 유압장치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고속절단기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일면에 절단기고정부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절단기고정부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 일측에 절단기고정부 블록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절단기 고정부는, 상기 고속절단기를 고정하기 위해 일측에 연결핀 및 연결핀 관통홀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프레임에 파이프를 인입시키고 상기 파이프를 고정시키기 위해 제 1고정부 및 제 2고정부를 구비하여 파이프가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의 상측 일면에 절단기고정부를 구비하고, 고속절단기를 상기 절단기고정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있는 파이프를 절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타입 고속절단장비 고정장치의 결합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타입 고속절단장비 고정장치의 분해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타입 고속절단장비 고정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타입 고속절단장비 고정장치의 파이프 결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타입 고속절단장비 고정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타입 고속절단장비 고정장치의 결합 상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클램프 타입 고속절단장비 고정장치는 후술할 제 1고정부(250, 도 2 참조)의 상하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유압장치(100), 파이프를 수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프레임(200), 및 상기 파이프를 절단할 수 있는 고속절단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압장치(100)는 제 1고정부(250)와 연결되어, 제 1고정부(250)를 상하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유압장치(100)는 제 1고정부(250)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되고, 특정 구성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유압장치(100)는 제 1고정부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도록 압력을 발생시키는 펌프(110)와, 상기 펌프(110)로부터 발생된 압력을 받아 제 1고정부(250)를 이동시키는 실린더(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펌프(110)와 실린더(120)는 별도의 연결호스(130)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연결호스(130)는 펌프(110)로부터 발생되는 유압(예컨데, 공기압)을 실린더(120)로 전달한다.
유압장치(100)에 따른 고정부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3을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프레임(200)은 파이프가 프레임(200) 내부로 수용될 수 있도록 프레임(200)의 둘레가 상기 파이프의 외경보다 소정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프레임(200) 내측에는 상기 파이프를 고정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고정부(251, 252, 도 2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고속절단기(300)는 파이프를 고정시킬 수 있는 프레임(200) 측부에 결합하는 것으로, 프레임(200)에 수용된 파이프를 절단할 수 있다. 이때, 고속절단기(300)의 일측은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 형성되어, 작업자는 고속절단기(300)를 회동시키는 동작만으로 파이프의 절단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타입 고속절단장비 고정장치의 분해 상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클램프 타입 고속절단장비 고정장치는 상기 펌프(110, 도 1참조)로부터 유압을 받는 실린더(120)와, 실린더(120) 하부에 파이프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측이 빈 공간으로 형성되는 프레임(200), 및 고속절단기(30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절단기고정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120)는 연결호스(130)를 통해 펌프(110, 도 1참조)로부터 유압을 받아 후술할 제 1고정부(250)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린더(120)는 상부프레임(210) 상측에 고정 형성되어있는 블록(240)과 결합된다. 이때, 블록(240)의 내측은 실린더(120)의 상하 이동이 원할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실린더(120)의 둘레에 알맞게 관통홀(242)이 형성되고, 실린더(120)의 하측은 나선형태의 홈(미도시)을 구비하여 관통홀(242) 내부에 형성된 나사선(미도시)과 상호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할 수 있다.
프레임(200)은 블록(240)이 고정 형성되어있는 상부프레임(210)과, 상부프레임(210)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프레임(220)과, 상부프레임(210) 및 하부프레임(220)을 고정시킬 수 있는 프레임크기조절부(230)와, 프레임(200) 내측에 인입된 파이프를 고정할 수 있는 제 1고정부(250) 및 제 2고정부(2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200)은 다양한 크기의 파이프를 수용하기 위해 복수개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200)은 상부프레임(210) 및 하부프레임(220)으로 분할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이때, 상부프레임(210)의 하측에는 하부프레임(220)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판(231)을 구비하고, 하부프레임(220)의 상측에는 고정판(231)과 체결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프레임조절홀(232)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200)의 둘레를 크게 형성하는 경우, 하부프레임(220)의 상측 끝단에 형성되는 프레임조절홀(232)을 고정판(231)과 체결할 수 있으며, 반대로 프레임(200)의 둘레를 작게 형성하는 경우, 하부프레임(220)에 형성되어있는 프레임조절홀(232)중 가장 하측에 구비되는 프레임조절홀(232)과 고정판(231)을 체결함으로써 프레임(200)의 둘레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레임(200)의 내측에는 상하이동이 가능한 제 1고정부(250), 및 하부프레임(220) 일단에 고정형성 되는 제 2고정부(2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고정부(251)는 파이프가 프레임으로 인입되는 경우, 상기 파이프를 지지해 수 있는 받침대 역할을 수행하며, 제 1고정부(250)는, 제 2고정부(251)에 의해 하부가 고정되어있는 상기 파이프를 상측에서 가압함으로써 상기 파이프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절단기고정부(260)는 블록(240) 일측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블록홈(241)과 대응하여 절단기연결홈(26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절단기연결홈(261) 및 블록홈(241)은 나사(미도시)등의 연결부재에 의해 결합 할 수 있다.
절단기고정부(260)는 고속절단기(300)를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시키기 위해 연결핀관통홀(262) 및 연결핀(26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단기고정부(260)의 일측에는 연결핀(263)이 삽입 가능하도록 연결핀관통홀(262)을 형성하고, 고속절단기(300)의 일측에는 제 절단기홈(310)을 구비하여 연결핀관통홀(262) 및 제 절단기홈(310)에 연결핀(263)이 관통하게 되어 고속절단기(300)는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고속절단기(300)는 상부에 형성되는 덮개(320) 및 상술한 절단기홈(310) 타측에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330)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320)는 파이프를 절단하는 절삭날의 상부를 덮어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덮개(320)는 절삭날을 통한 파이프의 절단 작업시 발생하는 파편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파편에 의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재질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덮개(320)는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작업의 편의성을 위해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손잡이(330)는 작업자가 고속절단기(300)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고속절단기(300)의 크기보다 소정정도 길게 형성되어 작업자가 고속절단기(300)를 회동시킬 때,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타입 고속절단장비 고정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타입 고속절단장비 고정장치의 파이프 결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펌프(110)의 동작에 의한 제 1고정부(250)의 이동은 다음과 같이 진행될 수 있다.
파이프(400)를 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 펌프(110)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111)를 아래로 하강하게 되면, 손잡이(111) 일측에 구비되는 벨브(112)가 오픈되어 펌프(110)에서 실린더(120)로 유압이 전달됨에 따라, 실린더(120) 내부를 가압하게 되고, 실린더(120) 하측에 구비되는 제 1고정부(250)의 위치 또한 하강하게 되어 도 4(b)와 같이 제 2고정부(251)에 지지되어있는 파이프(400)의 상측을 제 1고정부(250)가 가압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손잡이(111)를 위로 상승시키게 되면 벨브(112)가 닫히게 됨과 동시에 실린더(120)에 가해지던 압력이 다시 낮아지게 되어, 하강되었던 제 1고정부(250)의 위치가 다시 상승하여 도 4(a)와 같이 파이프(400)가 제 1고정부(250) 및 제 2고정부(251)로부터 이격 가능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타입 고속절단장비 고정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 형성된 고속절단기(300)는 제 1고정부(250) 및 제 2고정부(251)에 의해 고정된 파이프(400)를 절단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5(a)를 참조하면, 파이프(400)를 프레임(200)에 인입시킬 때, 고속절단기(300)에 의해 상기 파이프(400)의 인입에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속절단기(300)를 절단기고정부(260)의 상측까지 이동시킨다.
이후, 인입 되어있는 파이프(400)의 절단위치를 파악한 뒤, 상기 파이프(40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제 1고정부(250)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후, 제 1고정부(250)에 의해 고정된 파이프(400)를 도 5(b)처럼 절단하는 절단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절단기홈(310) 타측에 형성되는 손잡이(330)를 하측으로 회동시키는 방법만으로 상기 파이프(400)를 절단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유압장치
200 : 프레임
300 : 고속절단기
110 : 펌프
120 : 실린더
210 : 상부프레임
220 : 하부프레임
230 : 프레임크기조절부
231 : 고정판
232 : 프레임조절홀
231 : 제 2고정부
240 : 블록
250 : 제 1고정부
251 : 제 2고정부
260 : 절단기고정부
310 : 절단기홈

Claims (6)

  1. 파이프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프레임 크기조절부와,
    상기 프레임 상측에 형성되어 파이프의 상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제 1고정부와,
    상기 제 1고정부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유압장치, 및
    상기 프레임 하측에 형성되어 파이프의 하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제 2고정부를 포함하는 클램프 타입 고속절단장비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장치는,
    상기 프레임 상부에 형성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를 구동시킬 수 있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타입 고속절단장비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고정부는,
    상기 유압장치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타입 고속절단장비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고속절단기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일면에 절단기고정부가 형성되는 클램프 타입 고속절단장비 고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절단기고정부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 일측에 블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타입 고속절단장비 고정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기고정부는,
    상기 고속절단기를 고정하기 위해 일측에 연결핀 및 연결핀 관통홀을 구비하는 클램프 타입 고속절단장비 고정장치.
KR2020130001202U 2013-02-18 2013-02-18 클램프 타입 고속절단장비 고정장치 KR2004720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202U KR200472085Y1 (ko) 2013-02-18 2013-02-18 클램프 타입 고속절단장비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202U KR200472085Y1 (ko) 2013-02-18 2013-02-18 클램프 타입 고속절단장비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085Y1 true KR200472085Y1 (ko) 2014-04-04

Family

ID=51485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202U KR200472085Y1 (ko) 2013-02-18 2013-02-18 클램프 타입 고속절단장비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08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3586A (ko) * 2018-10-17 2020-04-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파이프 고정 지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6661A (ko) * 1998-05-29 1999-12-15 김형국 파이프 정렬용 지그
KR20000009758U (ko) * 1998-11-11 2000-06-05 김형국 절단장치의 고정구
JP2006528916A (ja) * 2003-05-22 2006-12-28 エクサクト トールス オサケ ユキチュア 管状及び円形断面体を機械加工する、特に切断するための装置
KR101001283B1 (ko) * 2010-06-22 2010-12-14 장종덕 강관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6661A (ko) * 1998-05-29 1999-12-15 김형국 파이프 정렬용 지그
KR20000009758U (ko) * 1998-11-11 2000-06-05 김형국 절단장치의 고정구
JP2006528916A (ja) * 2003-05-22 2006-12-28 エクサクト トールス オサケ ユキチュア 管状及び円形断面体を機械加工する、特に切断するための装置
KR101001283B1 (ko) * 2010-06-22 2010-12-14 장종덕 강관 절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3586A (ko) * 2018-10-17 2020-04-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파이프 고정 지그
KR102632939B1 (ko) * 2018-10-17 2024-0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파이프 고정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073B1 (ko) 외장재 보호필름 커팅장치
JP2016132094A (ja) 移動式溶接改善用パイプ外径面取器
FR3024136B1 (fr) Procede de rompage d'une feuille de verre
CN105499688A (zh) 一种管件切割装置
MX2012008948A (es) Dispositivo de ajuste de cantidad de biselado de un solo toque para una maquina biseladora.
CN104322292A (zh) 接穗切苗器
CN205519930U (zh) 一种五金件切割夹紧机构
KR200472085Y1 (ko) 클램프 타입 고속절단장비 고정장치
CN204398016U (zh) 密封圈制作专用切刀
KR101544134B1 (ko) 다기능 파이프 가공장치
WO2016095150A1 (zh) 一种黄腊管冲裁设备
CN205166004U (zh) 焊管焊缝刨平装置
CN104308432B (zh) 焊接定位工装
EP3142836B1 (fr) Appareil de coupe electroportatif a fil chauffé
KR20150064493A (ko) 파이프 절단 면취장치
KR20150017226A (ko) 커팅기가 장착된 테이프 홀더
KR101607679B1 (ko) 각도절단기용 보호커버
KR200475571Y1 (ko) 커팅 장치
KR102004590B1 (ko) 보조 절단칼이 구비된 파이프 절단기
JP6524393B2 (ja) 穿孔機
CN205600308U (zh) 旋转切管装置
CN204171601U (zh) 新型焊接定位工装
CN204194667U (zh) 一种新型钢筋切断机
US2472570A (en) Work-supporting adjustable mandrel for band saws
CN207887962U (zh) 一种全自动下料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