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078B1 - 구동 모듈화 전동카트 - Google Patents

구동 모듈화 전동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078B1
KR101723078B1 KR1020160056422A KR20160056422A KR101723078B1 KR 101723078 B1 KR101723078 B1 KR 101723078B1 KR 1020160056422 A KR1020160056422 A KR 1020160056422A KR 20160056422 A KR20160056422 A KR 20160056422A KR 101723078 B1 KR101723078 B1 KR 101723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coupled
pair
uni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6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수웅
Original Assignee
(주)블루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루모션 filed Critical (주)블루모션
Priority to KR1020160056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0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쉽게 조향부와 구동부의 교체가 용이하여 탑승형 및 비탑승형으로 변경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며, 트랜스 액슬부가 직접 차륜에 결합하지 않으므로 고하중 적재의 경우에도 트랜스 액슬부의 파손과 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구동 모듈화 전동카트에 관한 것으로, 차체의 하부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되 서로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차체 프레임, 상기 한 쌍의 차체 프레임에 결합되는 조향부 및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향부는, 상기 한 쌍의 차체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조향 프레임, 상기 조향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플레이트, 상기 조향 프레임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조향륜에 결합되는 한 쌍의 스티어링 암,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스티어링 암에 결합되는 한 쌍의 타이로드 링크 및 일단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타단은 조향 핸들부에 연결되는 조향 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동 모듈화 전동카트{Driving modulized electric cart}
본 발명은 구동 모듈화 전동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향부와 구동부를 모듈화하여 필요시 위치를 바꾸어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 모듈화 전통카트에 관한 것이다.
전동카트는 구동수단, 조향수단 등을 구비하여 중량의 화물 등을 근거리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이러한 전동카트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86841호(2000.6.15.,공고)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13435호(2006.4.7.공고)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동카트 중 구동륜이 전측에 있고 조향륜이 후측에 있는 발판탑승형 카트는 주행 중 조향시 탑승자 측이 급격히 회전하게 되어 원심력에 의해 탑승자가 이탈하게 되어 매우 위험하게 되므로 조향륜이 전측에 위치하는 것이 안전성에 있어서 훨씬 유리한 조건이 된다.
또한, 비탑승형의 경우에는 전방 및 후방으로 모두 이동 가능하나 조향륜이 운전자가 위치하는 후측에 있어야 후진방향으로 주행 시 편리한 조향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한번 전동카트를 구입하면 구동부와 조향부가 차체에 고정되어 있어 탑승형과 비탑승형 간의 변경이 불가능하므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전동카트의 구동륜은 모터 트랜스 액슬부가 바로 차륜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고하중 적재시 트랜스 액슬부가 직접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회전축의 파손 등의 고장이 빈번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86841호(2000.6.15.,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13435호(2006.4.7.,공고)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쉽게 조향부와 구동부의 교체가 용이하여 탑승형 및 비탑승형으로 변경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 모듈화 전동카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랜스 액슬부가 직접 차륜에 결합하지 않으므로 고하중 적재의 경우에도 트랜스 액슬부의 파손과 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구동 모듈화 전동카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구동 모듈화 전동카트는,
차체의 하부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되 서로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차체 프레임,
상기 한 쌍의 차체 프레임에 결합되는 조향부 및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향부는,
상기 한 쌍의 차체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조향 프레임,
상기 조향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플레이트,
상기 조향 프레임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조향륜에 결합되는 한 쌍의 스티어링 암,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스티어링 암에 결합되는 한 쌍의 타이로드 링크 및
일단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타단은 조향 핸들부에 연결되는 조향 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향 링크는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것과 짧은 것으로 구비되어 상기 조향 핸들부와 거리가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차체 프레임에 상기 조향부가 설치될 때는 짧은 것을 사용하고 상기 조향 핸들부와 거리가 먼 곳에 위치하는 차체 프레임에 상기 조향부가 설치될 때는 긴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한 쌍의 차체 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구동 프레임,
상기 구동 프레임의 양단의 내외측에 서로 이격되어 상기 구동 프레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 브래킷
상기 제 1 및 제 2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설치되고 구동륜과 연결되는 한 쌍의 구동축,
각각의 구동축에 설치되되 상기 제 1 및 제 2 브래킷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스프래킷,
한 쌍의 제 2 브래킷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구동부 브래킷,
상기 한 쌍의 구동부 브래킷 사이에 결합되는 트랜스 액슬부,
구동부 브래킷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트랜스 액슬부의 회전축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제 2 스프래킷,
상기 제 1 스프래킷과 제 2 스프래킷에 결합되는 체인 및
제 2 브래킷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 브래킷과 접하도록 구성되는 장력 조절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력 조절구는,
상기 제 2 브래킷에 설치되고 암나사부가 구비되는 고정 블록 및
상기 고정 블록의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시 전후진하며 상기 구동부 브래킷을 가압하는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인 구동 모듈화 전동카트는 간단한 구성으로 쉽게 조향부와 구동부의 교체가 용이하여 탑승형 및 비탑승형으로 변경이 가능할 수 있으며, 트랜스 액슬부가 직접 차륜에 결합하지 않으므로 고하중 적재의 경우에도 트랜스 액슬부의 파손과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모듈화 전동카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모듈화 전동카트의 조향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모듈화 전동카트의 구동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모듈화 전동카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모듈화 전동카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모듈화 전동카트의 조향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모듈화 전동카트의 구동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모듈화 전동카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하부에 좌우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되 서로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차체 프레임(1)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차체 프레임(1)에는 조향륜(4)을 포함하는 조향부와 구동륜(18)을 포함하는 구동부가 결합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향부는 상기 한 쌍의 차체 프레임(1)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조향 프레임(2)을 구비하며, 상기 조향 프레임(2)은 좌우측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가로 바와 상기 가로 바의 상부에 'ㄷ'자 형태로 결합되는 결합 브래킷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 브래킷이 실제로 상기 한 쌍의 차체 프레임(1)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볼트 등의 결합방식을 통해 탈부착하여 그 위치를 옮길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향 프레임(2)에는 회전 플레이트(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가로 바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 브래킷 하부에 위치하게 되어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향 프레임(2)의 양단에는 한 쌍의 스티어링 암(5)의 일단(내측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조향륜(4)은 상기 스티어링 암(5)의 타단(외측단)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스티어링 암(5)에는 조향륜(4)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컨넥팅부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3)와 상기 스티어링 암(5)을 연결하는 한 쌍의 타이로드 링크(6)가 구비되는데, 상기 타이로드 링크(6)는 일단이 상기 회전 플레이트(3)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스티어링 암(5)의 컨넥팅부의 단부에 결합되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회전 플레이트(3)가 회전하게 되면 타이로드 링크(6)와 스티어링 암(5)을 통해 조향륜(4)을 회전하게 되어 조향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회전 플레이트(3)와 조향 휠을 구비하는 조향 핸들부(7)의 연결을 위해 한 쌍의 조향 링크(8)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조향 링크(8)는 일단이 상기 회전 플레이트(3)에 결합되고 타단은 조향 핸들부(7)에 연결된다.
상기 조향 링크(8)는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것과 짧은 것으로 구비되어 상기 조향 핸들부(7)와 거리가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차체 프레임(1)에 상기 조향부가 설치될 때는 짧은 것을 사용하고 상기 조향 핸들부(7)와 거리가 먼 곳에 위치하는 차체 프레임(1)에 상기 조향부가 설치될 때는 긴 것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구동부는 실질적으로 동력을 발생시켜 전동카트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차체 프레임(1)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구동 프레임(9)을 구비한다.
상기 구동 프레임(9)의 양단의 내외측에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구동 프레임(9)에 하방향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 브래킷(12,1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구동 프레임(9)의 양단에는 상기 제 1 브래킷(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구동륜(18)과 연결되는 한 쌍의 구동축(10)이 구비되며, 각각의 구동축(10) 중 제 1 및 제 2 브래킷(12,12')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제 1 스프래킷(11)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 1 브래킷(12)에는 각각 구동부 브래킷(13)이 힌지 결합되며, 이렇게 구비되는 한 쌍의 구동부 브래킷(13) 사이에는 실질적으로 동력을 발생시키는 트랜스 액슬부(14)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트랜스 액슬 부의 회전축의 양단부에는 제 2 스프래킷(15)이 결합되는데,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는 구동부 브래킷(13)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 스프래킷(11)과 제 2 스프래킷(15)에는 체인(16)을 감아서 결합시키게 되는데, 이를 통해 트랜스 액슬부(14)가 구동하면 동력은 트랜스 액슬부(14) -> 제 2 스프래킷(15) -> 체인(16) -> 제 1 스프래킷(11) -> 구동축(10) -> 구동륜(18)의 순으로 전달되어 전동카드는 이동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정확한 동력전달을 위해 제 2 브래킷(12')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 브래킷(13)과 접하도록 구성되는 장력 조절구(17)를 구비한다.
상기 장력 조절구(17)는 상기 제 2 브래킷(12')에 설치되고 암나사부가 구비되는 고정 블록과 상기 고정 블록의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시 전후진하며 상기 구동부 브래킷(13)을 가압하는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볼트를 회전시켜 전진시키게 되면 상기 구동부 브래킷(13)은 상기 제 2 브래킷(12')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체인(16)의 장력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인 구동 모듈화 전동카트는 간단한 구성으로 쉽게 조향부와 구동부의 교체가 용이하여 탑승형 및 비탑승형으로 변경이 가능할 수 있으며, 트랜스 액슬부(14)가 직접 차륜에 결합하지 않으므로 고하중 적재의 경우에도 트랜스 액슬부(14)의 파손과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을 가진다.
1: 차체 프레임 2: 조향 프레임
3: 회전 플레이트 4: 조향륜
5: 스티어링 암 6: 타이로드 링크
7: 조향 핸들부 8: 조향 링크
9: 구동 프레임 10: 구동축
11: 제 1 스프래킷 12: 제 1 브래킷
12': 제 2 브래킷
13: 구동부 브래킷 14: 트랜스 액슬부
15: 제 2 스프래킷 16: 체인
17: 장력 조절구 18: 구동륜

Claims (1)

  1. 차체의 하부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되 서로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차체 프레임,
    상기 한 쌍의 차체 프레임에 결합되는 조향부 및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향부는,
    상기 한 쌍의 차체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조향 프레임,
    상기 조향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플레이트,
    상기 조향 프레임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조향륜에 결합되는 한 쌍의 스티어링 암,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스티어링 암에 결합되는 한 쌍의 타이로드 링크 및
    일단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타단은 조향 핸들부에 연결되는 조향 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향 링크는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것과 짧은 것으로 구비되어 상기 조향 핸들부와 거리가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차체 프레임에 상기 조향부가 설치될 때는 짧은 것을 사용하고 상기 조향 핸들부와 거리가 먼 곳에 위치하는 차체 프레임에 상기 조향부가 설치될 때는 긴 것을 사용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한 쌍의 차체 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구동 프레임,
    상기 구동 프레임의 양단의 내외측에 서로 이격되어 상기 구동 프레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 브래킷,
    상기 제 1 및 제 2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설치되고 구동륜과 연결되는 한 쌍의 구동축,
    각각의 구동축에 설치되되 상기 제 1 및 제 2 브래킷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스프래킷,
    한 쌍의 제 2 브래킷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구동부 브래킷,
    상기 한 쌍의 구동부 브래킷 사이에 결합되는 트랜스 액슬부,
    구동부 브래킷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트랜스 액슬부의 회전축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제 2 스프래킷,
    상기 제 1 스프래킷과 제 2 스프래킷에 결합되는 체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모듈화 전동카트
KR1020160056422A 2016-05-09 2016-05-09 구동 모듈화 전동카트 KR101723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422A KR101723078B1 (ko) 2016-05-09 2016-05-09 구동 모듈화 전동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422A KR101723078B1 (ko) 2016-05-09 2016-05-09 구동 모듈화 전동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3078B1 true KR101723078B1 (ko) 2017-04-05

Family

ID=58586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6422A KR101723078B1 (ko) 2016-05-09 2016-05-09 구동 모듈화 전동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0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686U (ja) * 1993-10-13 1995-05-02 小松メック株式会社 操向モード切換装置
KR200186841Y1 (ko) 1999-12-21 2000-06-15 이효철 리프트기능을 갖는 전동식카트
KR20040013435A (ko) 2002-08-06 200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외부입력신호의 화이트밸런스 자동조정이 가능한영상표시장치 및 그의 화이트밸런스 조정방법
JP2013169946A (ja) * 2012-02-22 2013-09-02 Ntn Corp 電気自動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686U (ja) * 1993-10-13 1995-05-02 小松メック株式会社 操向モード切換装置
KR200186841Y1 (ko) 1999-12-21 2000-06-15 이효철 리프트기능을 갖는 전동식카트
KR20040013435A (ko) 2002-08-06 200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외부입력신호의 화이트밸런스 자동조정이 가능한영상표시장치 및 그의 화이트밸런스 조정방법
JP2013169946A (ja) * 2012-02-22 2013-09-02 Ntn Corp 電気自動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7720B2 (en) Leaning vehicle
US8240686B2 (en) Self steering apparatus
US9016424B2 (en) Vehicle front structure
JP6754630B2 (ja) 車軸装置
CN100593479C (zh) 低升程卡车
CA2560433A1 (en) Motor-driven power steering unit support structure
DE102016120697B4 (de) Auflieger-Lastenfahrrad
DE102016205539B3 (de) Fahrzeugrahmen und Fahrzeug
US20080001377A1 (en) Axle Assembly
CN110116585B (zh) 轨道车辆的非驱动桥、轨道车辆和轨道交通系统
CN104401395B (zh) 一种基于蜗轮蜗杆的单驱动四轮转向机构
SE532039C2 (sv) Styrlänkage
CA2536560A1 (en) Rough-terrain traveling vehicle provided with electrically-driven power steering apparatus
KR101723078B1 (ko) 구동 모듈화 전동카트
US20160114827A1 (en) Steering column device
KR200405645Y1 (ko) 자전거용 트레일러
US5697464A (en) Ride-on vehicle for golf club bag and the like
US20200130740A1 (en) Steering system for a vehicle
KR20160106807A (ko) 차량용 조향장치
CN111348092A (zh) 转向柱装置
KR101508365B1 (ko) 차량용 유니버설 너클
ITMO990019A1 (it) Gruppo sterzante per mezzi di trasporto.
JP2011068294A (ja) 搬送台車の車輪装置
KR200446217Y1 (ko) 분리 전동운반차
US1991577A (en) Running gear f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