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110B1 - 권선 장치 및 권선 방법 - Google Patents

권선 장치 및 권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110B1
KR101719110B1 KR1020167000229A KR20167000229A KR101719110B1 KR 101719110 B1 KR101719110 B1 KR 101719110B1 KR 1020167000229 A KR1020167000229 A KR 1020167000229A KR 20167000229 A KR20167000229 A KR 20167000229A KR 101719110 B1 KR101719110 B1 KR 101719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nozzles
winding
rods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0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7058A (ko
Inventor
고지 곤도
료 가토
데츠야 나라
겐이치 아라마키
Original Assignee
닛또꾸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또꾸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바 filed Critical 닛또꾸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17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8Forming windings by laying conductors into or around core parts
    • H02K15/09Forming windings by laying conductors into or around core parts by laying conductors into slotted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8Forming windings by laying conductors into or around core parts
    • H02K15/085Forming windings by laying conductors into or around core parts by laying conductors into slotted st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Coiling Of Filamentary Materials In General (AREA)

Abstract

티스의 개수와 동일한 수만큼의 노즐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복수의 노즐로부터 각 티스 사이의 슬롯에 선재를 동시에 조출하고, 각 노즐에 대응하는 소정의 2개의 슬롯 사이에, 동시에 선재를 권선하는 권선 장치에 있어서, 단일의 스풀로부터 선재를 조출함과 함께, 조출된 선재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선재 조출 절단 기구와, 선재 조출 절단 기구에 의해 얻어진 소정의 길이의 선재를 방사상으로 배치하여, 복수의 노즐의 수와 동일한 수의 선재를 축적하는 선재 축적 기구와,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선재를 선재 축적 기구로부터 복수의 노즐로 운반하는 선재 운반 기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권선 장치 및 권선 방법 {WINDING DEVICE AND WINDING METHOD}
본 발명은 권선되는 티스의 개수와 동일한 수만큼의 복수의 노즐을 갖는 권선 장치 및 그 복수의 노즐에 의해 각 티스에 권선하는 권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 등에 탑재되는 모터로서는, 브러시리스 모터가 있다. 브러시리스 모터는 모터 하우징에 내부 끼움 고정되어 있는 스테이터와, 스테이터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로터를 갖고 있다. 스테이터나 로터에는 방사상으로 돌출 설치된 복수의 티스가 형성되고, 각 티스 사이에는 직경 방향 내측이나 외측으로 개방되는 슬롯이 각각 형성된다. 이들 슬롯을 통해, 복수의 티스에 집중 권취 방식이나 분포 권취 방식에 의해 선재가 권선된다.
그런데, 모터의 고효율화나 소형화 등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권선의 점적률을 향상시키는 것이 유효하다. 권선은 2개의 슬롯 사이에 행해지므로, 선재는 한쪽의 슬롯에 삽입된 후, 되접혀서 다른 쪽의 슬롯에 삽입된다. 이때, 한쪽의 슬롯으로부터 다른 쪽의 슬롯에 걸치는 걸침선이 불룩해져 버리면, 모터의 소형화가 곤란해진다.
JP2011-91885A에는 권선되는 티스의 개수와 동일한 수만큼의 복수의 노즐을 방사상으로 배치하여, 그 복수의 노즐로부터 각 티스 사이의 슬롯에 선재를 동시에 조출하고, 각 노즐에 대응하는 소정의 2개의 슬롯 사이에, 동시에 선재를 권선하는 권선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권선 장치에서는 복수의 노즐로부터 동시에 선재가 조출되므로, 걸침선을 형성할 때, 복수의 노즐이 직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하면, 각 걸침선은 직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되므로, 각 걸침선은 서로 서서히 직경 방향 내측으로 변위되면서 서로 얽힌 상태로 된다. 이 결과, 걸침선이 불룩해지는 것이 방지되어, 권선의 점적률이 향상된다.
그러나, JP2011-91885A에 개시된 권선 장치에 있어서는, 티스의 개수와 동일한 수만큼의 복수의 노즐을 설치하여, 그 복수의 노즐로부터 각 티스 사이의 슬롯에 선재를 동시에 조출하고 있으므로, 노즐에 선재를 공급하는 선재 공급원도 노즐과 동일한 수만큼 필요해진다. 일반적으로 선재는 스풀에 권회된 상태로 축적되어 있고, 권선하기 위해서는 스풀로부터 조출된 선재를 곧게 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선재 공급원은 선재가 권회된 스풀과, 선재를 곧게 펴는 신장기를 적어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선재가 권회된 스풀과 신장기가 노즐과 동일한 수만큼 노즐의 주위에 배치되므로, 장치가 대형화될 우려가 있다.
특히, 출력이 비교적 큰 모터에 사용되는 스테이터나 로터에 형성되는 티스의 수는 20개를 초과하는 것이 많다. 이와 같은 스테이터나 로터에 권선하기 위해, 20개 이상의 스풀과 신장기를 20개 이상이나 있는 노즐의 주위에 배치하면, 권선 장치 자체가 현저하게 대형화되어, 비교적 넓은 설치 장소가 필요해진다.
본 발명은 복수의 노즐을 갖음에도, 스풀이나 신장기의 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한 권선 장치 및 권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어느 형태에 따르면, 티스의 개수와 동일한 수만큼의 노즐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복수의 상기 노즐로부터 각 티스 사이의 슬롯에 선재를 동시에 조출하고, 각 노즐에 대응하는 소정의 2개의 슬롯 사이에, 동시에 상기 선재를 권선하는 권선 장치에 있어서, 단일의 스풀로부터 선재를 조출함과 함께, 조출된 선재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선재 조출 절단 기구와, 상기 선재 조출 절단 기구에 의해 얻어진 소정의 길이의 선재를 방사상으로 배치하여, 상기 복수의 노즐의 수와 동일한 수의 선재를 축적하는 선재 축적 기구와,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선재를 상기 선재 축적 기구로부터 상기 복수의 노즐로 운반하는 선재 운반 기구를 구비한 권선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티스의 개수와 동일한 수만큼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노즐로부터 각 티스 사이의 슬롯에 선재를 동시에 조출하고, 각 노즐에 대응하는 소정의 2개의 슬롯 사이에 동시에 상기 선재를 권선하는 권선 방법이며, 상기 선재를 권선하고 있는 동안에, 권선에 필요한 소정 길이의 선재를 방사상으로 배치하여, 복수의 상기 노즐의 수와 동일한 수의 선재를 축적하는 선재 축적 공정이 행해지고, 상기 선재의 권선 후에, 상기 선재 축적 공정에 있어서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상기 선재를 상기 복수의 노즐로 운반하는 선재 운반 공정이 행해지는 권선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권선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선재 축적 기구를 도시하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선재 운반 기구를 도시하는 도 1의 Ⅲ-Ⅲ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선재 축적 기구와 선재 운반 기구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 1의 Ⅳ-Ⅳ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복수의 노즐의 배치 상태를 도시하는 도 1의 V-V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권선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VⅡ-VⅡ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선재 운반 기구에 의해 선재가 복수의 노즐의 상방까지 운반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 7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선재 운반 기구에 의해 선재가 복수의 노즐의 연장선 상까지 운반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 7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선재 운반 기구에 의해 선재가 복수의 노즐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 7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선재가 복수의 노즐에 삽입된 후의 선재 운반 기구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 7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권선 장치에 의해 슬롯에 선재가 삽입된 로터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권선 장치에 의해 슬롯에 삽입된 선재를 되접어서 다른 슬롯에 선재를 삽입하여 권선이 완료된 로터의 도 12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권선 장치에 의해 권선이 완료된 로터의 걸침선의 상태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권선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1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권선 장치(20)를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권선 장치(20)는 권선의 대상이 모터에 사용되는 로터인 경우를 도시한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10)는 방사상으로 돌출 설치된 복수의 티스(11)를 갖고 있고, 각 티스(11) 사이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개방되는 슬롯(12)이 각각 형성된다. 권선 장치(20)는 슬롯(12)을 통해 복수의 티스(11)에 선재(16)를 권선하는 권선 기구(21)와, 선재(16)의 공급원으로부터 선재(16)를 조출함과 함께 조출된 선재(16)를 절단하는 선재 조출 절단 기구(61)와, 선재 조출 절단 기구(61)에 의해 얻어진 소정의 길이의 선재(16)를 축적하는 선재 축적 기구(71)와, 선재 축적 기구(71)에서 축적된 선재(16)를 권선 기구(21)로 운반하는 선재 운반 기구(81)를 갖는다.
도 1,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선 장치(20)의 권선 기구(21)는 권선 대상으로 하는 로터(10)의 티스(11)의 개수와 동일한 수만큼의 노즐(22)을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권선 대상으로 하는 로터(10)는 20개 이상의 티스(11)가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권선 기구(21)는 방사상으로 배치된 20개 이상의 노즐(22)을 구비한다.
권선 기구(21)는 복수의 노즐(22)이 배치되는 수평한 수평 기판(23)을 구비한다. 수평 기판(23)은 4개의 지주(24)에 의해 지지된다. 4개의 지주(24)는 대판(26)에 세워 설치되고, 대판(26)에는 권선 기구(21)를 이동시키기 위한 캐스터(27)와 권선 기구(21)를 설치하기 위한 고정 다리(28)가 설치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기판(23)의 대략 중앙에는 권선되는 로터(10)가 통과 가능한 중앙 구멍(23a)이 형성된다. 수평 기판(23) 상에는 중앙 구멍(23a)을 포위하는 링 부재(29)가 설치된다. 링 부재(29) 상에는 수평 기판(23)과 평행한 원환상의 설치 원판(31)이 설치된다. 설치 원판(31)의 중앙에는 수평 기판(23)의 중앙 구멍(23a)과 동축의 둥근 구멍(31a)이 형성된다. 복수의 노즐(22)은 둥근 구멍(31a)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설치 원판(31) 상에 배치된다.
설치 원판(31)에는 복수의 레일(32)이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레일(32)에는 이동대(33)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동대(33)는 레일(32)을 따른 가늘고 긴 형상을 갖고 있고, 설치 원판(31)의 중심측에 형성된 내측 단부(33a)와, 설치 원판(31)의 외주측에 형성된 지지부(33b)를 갖는다. 내측 단부(33a)에는 노즐(22)이 설치된다. 지지부(33b)는 노즐(22)에 선단이 삽입 관통된 선재(16)의 중간 부분 또는 기단부 부분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링 부재(29)의 외주에는 캠판(34)이 끼워 넣어진다. 캠판(34)은 설치 원판(31)의 둥근 구멍(31a)을 중심으로 수평면 내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다. 이동대(33)의 지지부(33b)에는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캠 팔로워(33c)가 설치된다. 캠판(34)에는 캠 팔로워(33c)가 삽입 관통하는 캠 홈(34a)이 형성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판(34)에 형성되는 캠 홈(34a)은 노즐(22)의 수와 동일한 수만큼 형성되어 있고, 둥근 구멍(31a)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 방향으로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판(34)에는 둥근 구멍(31a)을 중심으로 하는 평 기어(34b)가 설치된다. 수평 기판(23)에는 평 기어(34b)에 치합하여, 평 기어(34b)와 함께 캠판(34)을 회전시키는 노즐 구동 모터(36)가 설치된다. 노즐 구동 모터(36)에 의해 캠판(34)이 회전하면, 캠 홈(34a)에 삽입 관통하는 캠 팔로워(33c)가 캠 홈(34a)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로 인해, 방사상으로 설치된 복수의 이동대(33)는 동시에 내주측 또는 외주측을 향해 이동한다.
도 5 및 도 7에 있어서 부호 37로 나타나는 것은, 선재(16)의 유무를 검출하는 센서(37)이고, 각 이동대(33)에 대응하여 수평 기판(23)에 설치된다. 도 7에 있어서 부호 38로 나타나는 것은, 선재(16)가 권선된 로터(10)의 단자 장착부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38)이고, 수평 기판(23)의 하면에 설치된다. 도 7에 있어서 부호 39로 나타나는 것은 고정 부재(38)를 가동시키는 고정용 모터(39)이다.
도 1,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선 기구(21)는 권선되는 로터(10)를 설치 원판(31)의 둥근 구멍(31a)의 하방으로 반송하는 로터 반송 기구(40)와, 반송된 로터(10)를 승강시키는 로터 승강 기구(45)와, 상승한 로터(10)의 상방을 지지함과 함께, 선재(16)의 권취 개시 단부(16a)(도 12 및 도 13)를 물림 지지하는 로터 지지 기구(50)를 갖는다.
로터 승강 기구(45)는 설치 원판(31)의 둥근 구멍(31a)의 하방에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승강 로드(46)와, 승강 로드(46)의 하부를 피봇하여 4개의 지주(24)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피봇 승강판(47)과, 피봇 승강판(47)보다도 하방에 있어서 4개의 지주(24)에 승강 불가능하게 설치된 고정판(44)과, 고정판(44)에 설치되어 피봇 승강판(47)을 승강 로드(46)와 함께 승강시키는 로드 승강 모터(48)와, 피봇 승강판(47)에 설치되어 승강 로드(46)를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49)를 구비한다.
로터 반송 기구(40)는 로터(10)를 지지 가능한 지지대(41)와, 지지대(41)가 일단부에 제거 가능하게 설치되는 3개의 아암(42)을 구비한다. 아암(42)은 막대 형상의 부재이고, 일단부가 외측을 향하도록 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판(44)에는 각각의 아암(42)의 일단부에 탑재된 로터(10)를 둘레 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 모터(43)가 설치된다. 반송 모터(43)의 회전축(43a) 상에는 3개의 아암(42)의 타단부가 설치된다.
로터 반송 기구(40)는 반송 모터(43)에 의해 3개의 아암(42)을 수평 기판(23)보다 하방의 수평면 내에 있어서 회전시킴으로써, 지지대(41)에 탑재된 로터(10)를, 설치 원판(31)의 둥근 구멍(31a)의 하방으로 반송한다. 로터 승강 기구(45)는 승강 로드(46)를 상승시켜, 승강 로드(46)의 상단부에서 둥근 구멍(31a)의 하방으로 반송된 로터(10)를 지지대(41)와 함께 지지한다. 승강 로드(46)가 더욱 상승하면, 지지대(41)와 함께 상승하는 로터(10)는 둥근 구멍(31a)을 통과한다.
로터 지지 기구(50)는 지주(24)의 상단부에 설치된 고정대(51)와, 고정대(51)와 수평 기판(23) 사이의 지주(24)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대(52)와, 승강대(52)에 피봇되어 둥근 구멍(31a)을 통과하여 상승한 로터(10)의 상부를 상방으로부터 누르는 누름 부재(53)와, 고정대(51)에 설치되어 승강대(52)를 승강시키는 승강 모터(54)와, 승강대(52)에 설치되어 누름 부재(53)를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55)를 구비한다.
누름 부재(53)에는 복수의 노즐(22)로부터 조출되는 모든 선재(16)의 권취 개시 단부(16a)(도 12 및 도 13)를 물림 지지하는 물림 지지 기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선 장치(20)는 단일의 스풀(17)로부터 조출된 선재(16)를 소정의 길이로 조출하여 절단하는 선재 조출 절단 기구(61)를 구비한다. 선재(16)의 공급원인 스풀(17)에는 선재(16)가 권회되어 저장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선재(16)는 피복 도선이며, 단면이 원형을 이루는, 소위 둥근 선이 사용된다. 선재(16)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면이 사각형을 이루는, 소위 각진 선이어도 된다.
선재 조출 절단 기구(61)는 선재(16)를 저장하는 스풀(17)과, 스풀(17)로부터 인출된 선재(16)를 곧게 하는 신장기(62)를 구비한다.
권선 기구(21)의 대판(26)에 인접하여 상자대(60)가 설치된다. 대판(26)과 반대측에 있어서의 상자대(60)의 근방에는 스풀(17)이 설치된다.
신장기(62)는 상자대(60)의 상면으로부터 스풀(17)의 상방을 향해 설치된 연직판(62a)과, 연직판(62a)에 설치되어 스풀(17)로부터 상방으로 조출된 선재(16)를 권선 기구(21)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전향시키는 전향 풀리(62b)와, 수평 방향으로 전향한 선재(16)를 상하 방향으로부터 끼우고, 상하 방향의 구부러짐을 바로잡는 연직 방향 교정 풀리(62c)와, 수평 방향으로 전향한 선재(16)를 수평 방향 양측으로부터 끼우고, 수평 방향의 구부러짐을 바로잡는 수평 방향 교정 풀리(62d)를 구비한다. 상자대(60)에는 이것을 이동시키기 위한 캐스터(27)와, 상자대(60)를 설치하기 위한 고정 다리(28)가 설치된다.
선재 조출 절단 기구(61)는 신장기(62)에 의해 권선 기구(21) 방향으로 전향하여 곧게 된 선재(16)를 파지하는 척 기구(63)와, 척 기구(63)를 신장기(62)측으로부터 권선 기구(21)측으로 이동시키는 선재 이동 액추에이터(64)와, 선재 이동 액추에이터(64)의 권선 기구(21)측 단부 모서리에 설치되어 선재(16)를 절단하는 니퍼 장치(65)를 구비한다.
선재 이동 액추에이터(64)는 신장기(62)측으로부터 권선 기구(21)측으로 연장되는 하우징(64a)과, 하우징(64a)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나사축(64b)과, 나사축(64b)에 나사 결합하여 하우징(64a)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대(64c)와, 나사축(64b)을 회전시키는 서보 모터(64d)를 갖는다. 가동대(64c)에는 척 기구(63)가 설치된다.
척 기구(63)는 가동대(64c)에 설치된 본체부(63a)와, 본체부(63a)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선재(16)를 파지하는 한 쌍의 파지편(63b, 63b)(도 2)을 갖는다. 선재 이동 액추에이터(64)의 서보 모터(64d)가 구동하여 나사축(64b)이 회전하면, 나사축(64b)에 나사 결합하는 가동대(64c)가 나사축(64b)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가동대(64c)와 함께 이동하는 척 기구(63)가 선재(16)를 파지함으로써, 가동대(64c)의 이동량에 따라서, 스풀(17)로부터 선재(16)가 조출된다.
선재 이동 액추에이터(64)의 권선 기구(21)측 단부 모서리에 설치된 니퍼 장치(65)는 에어압에 의해 닫히는 상시 개방의 절단 날(65a, 65a)(도 2)을 갖는다. 척 기구(63)의 이동에 의해, 소정의 길이 조출된 선재(16)는 한 쌍의 절단 날(65a, 65a)에 의해 절단된다.
니퍼 장치(65)의 권선 기구(21)측에는 니퍼 장치(65)에 의해 절단된 선재(16)를 파지하고, 니퍼 장치(65)로부터 분리되는 선재 파지 이동 장치(66)가 설치된다. 선재 파지 이동 장치(66)는 척 기구(63)가 이동함으로써 니퍼 장치(65)를 넘어 조출된 선재(16)를 파지한다. 니퍼 장치(65)는 선재 파지 이동 장치(66)와 척 기구(63) 사이에 있어서 선재(16)를 절단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재 파지 이동 장치(66)는 절단 시에 니퍼 장치(65)로부터 권선 기구(21)측으로 돌출된 선재(16), 즉 소정의 길이로 조출된 선재(16)를 파지하는 한 쌍의 끼움 지지편(66a, 66a)을 갖는다. 선재 파지 이동 장치(66)는, 또한, 니퍼 장치(65)에 의해 선재(16)가 절단된 후에, 선재(16)를 파지하는 한 쌍의 끼움 지지편(66a, 66a)을 니퍼 장치(65)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작동하는 유체압 실린더(66c)를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재(16)가 피복 도선이므로, 조출되는 선재(16)의 피복을 제거하는 피복 제거 장치(67)가 선재 조출 절단 기구(61)에 설치된다. 피복 제거 장치(67)는 회전하는 날에 의해 피복을 제거하는 시판의 피복 제거기(67a)와, 피복 제거기(67a)를 이동시키는 피복 제거용 액추에이터(67b)를 구비한다.
피복 제거용 액추에이터(67b)는 척 기구(63)를 이동시키는 선재 이동 액추에이터(64)와 동일 구조이다. 피복 제거기(67a)는 피복 제거용 액추에이터(67b)에 의해 선재(16)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피복 제거용 액추에이터(67b)는 선재 이동 액추에이터(64)와 신장기(62) 사이에 설치된다. 피복 제거기(67a)는 피복 제거용 액추에이터(67b)에 의해 이동한 양만큼 피복을 제거한다.
권선 장치(20)는 선재 조출 절단 기구(61)에 의해 얻어진 소정 길이의 선재(16)를 권선 기구(21)의 노즐(22)의 수와 동일한 수만큼 모아서 방사상으로 배치하는 선재 축적 기구(71)와, 선재 축적 기구(71)에 있어서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선재(16)를, 선재 축적 기구(71)로부터 권선 기구(21)의 복수의 노즐(22)로 운반하는 선재 운반 기구(81)를 더 구비한다.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재 축적 기구(71)는 원판(72)과, 원판(72)을 회전시키는 인덱스 모터(73)를 구비한다. 인덱스 모터(73)는 선재 조출 절단 기구(61)와 권선 기구(21) 사이의 상자대(60) 상에 설치된다. 인덱스 모터(73)는 회전축(73a)을 상방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상자대(60)에 설치되고, 회전축(73a)에 원판(72)이 동축으로 설치된다. 원판(72)의 중앙에는 원기둥 부재(74)가 설치된다. 노즐(22)의 수에 동등한 복수의 선재(16)를 파지하는 파지 기구(77, 78)가 원기둥 부재(74)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지 기구(77, 78)는 원기둥 부재(74)측에 설치된 내측 지지 부재(77)와, 원판(72)의 외주측에 설치된 외측 지지 부재(78)를 구비한다. 내측 지지 부재(77) 및 외측 지지 부재(78)는 원기둥 부재(74)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내측 지지 부재(77)와 외측 지지 부재(78)의 2개소에 의해, 선단이 원기둥 부재(74)의 외주면에 접촉한 선재(16)를 보유 지지한다.
내측 지지 부재(77)와 외측 지지 부재(78)는 동일 구조이고, 내측 지지 부재(77) 및 외측 지지 부재(78)에는 선재(16)를 보유 지지하는 홈이 형성된다. 각 홈의 원판(72)의 외주측에는 외주측을 향해 홈의 폭이 확대되는 테이퍼부가 형성된다. 선재(16)는 이 테이퍼부에 의해 내측 지지 부재(77) 및 외측 지지 부재(78)의 홈 내로 유도된다.
외측 지지 부재(78) 근방의 원판(72) 상에는 내측 지지 부재(77)와 외측 지지 부재(78) 사이의 선재(16)에 수평 방향으로부터 탄성 접촉하는 판 스프링(79)이 설치된다. 판 스프링(79)은 선재(16)에 탄성 접촉하여 내측 지지 부재(77)와 외측 지지 부재(78) 사이에 걸쳐진 선재(16)의 길이 방향의 이동을 방지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재 조출 절단 기구(61)가 2개 설치된다. 선재 축적 기구(71)는 2개의 선재 조출 절단 기구(61)에 의해 얻어진 소정 길이의 선재(16)를 노즐(22)의 수와 동일 수만큼 방사상으로 배치한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선재 조출 절단 기구(61)는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파지 기구(77, 78)에 대해 소정의 길이의 선재(16)를 조출한다.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파지 기구(77, 78)에 선재(16)가 파지된 후, 인덱스 모터(73)(도 1)는 원판(72)을 회전시켜, 선재(16)를 파지하고 있지 않은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파지 기구(77, 78)를 새롭게 2개의 선재 조출 절단 기구(61)에 대향시킨다. 그리고, 2개의 선재 조출 절단 기구(61)는 새롭게 대향한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파지 기구(77, 78)에 대해 소정의 길이의 선재(16)를 조출한다.
이 반복에 의해, 선재 축적 기구(71)는 2개의 선재 조출 절단 기구(61)에 의해 얻어진 소정 길이의 선재(16)를 노즐(22)의 수와 동일 수만큼 방사상으로 배치한다.
도 1, 도 3, 도 4,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재 운반 기구(81)는 선재 축적 기구(71)의 원판(72) 상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선재(16)를, 선재 축적 기구(71)로부터 권선 기구(21)로 운반한다. 선재 운반 기구(81)는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선재(16)를 동시에 파지하는 파지 장치(82)와, 파지 장치(82)에 의해 파지된 복수의 선재(16)를 권선 기구(21)로 이동하는 이동 장치(83)를 갖는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장치(83)는 원판(72)을 둘러싸도록 상자대(60) 상에 설치된 4개의 연직 지지 막대(84)에 의해 원판(72) 상에 수평으로 설치된 연장판(85)을 구비한다. 연장판(85)은 원판(72)의 상방으로부터 권선 기구(21)의 수평 기판(23) 상까지 연장되어 설치된다. 연장판(85)의 하면에는 원판(72)의 상방으로부터 권선 기구(21)의 수평 기판(23) 상까지 연장되는 레일(86)이 설치된다. 레일(86)에는 가동판(87)이 설치되고, 가동판(87)에 나사 결합하는 볼 나사(88)가 연장판(85)의 하면에 설치된다.
연장판(85)에는 볼 나사(88)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89)가 설치된다. 구동 모터(89)에 의해 볼 나사(88)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킴으로써, 가동판(87)은 원판(72)의 상방으로부터 수평 기판(23)의 상방까지의 사이를 왕복 이동한다.
가동판(87)의 하면에는 유체압 실린더(91)를 통해 승강판(92)이 설치된다. 승강판(92)에는 파지 장치(82)가 설치된다. 승강판(92)은 유체압 실린더(91)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지 장치(82)는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선재(16)를 동시에 파지하는 복수의 척 실린더(82a)와, 척 실린더(82a)를 직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사상 실린더(82b)를 구비한다. 방사상 실린더(82b)는 로드(82c)가 내주측을 향하도록 하여 승강판(92)의 하면에 설치된다. 방사상 실린더(82b)의 로드(82c)에 척 실린더(82a)가 설치된다.
승강판(92)을 하강시키면, 선재 축적 기구(71)의 내측 지지 부재(77)와 외측 지지 부재(78) 사이에 척 실린더(82a)가 진입한다. 척 실린더(82a)에 의해 선재(16)를 파지한 상태에서 승강판(92)을 상승시키면, 선재 축적 기구(71)의 판 스프링(79)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선재(16)는 들어 올려진다.
계속해서, 구동 모터(89)에 의해 볼 나사(88)를 회전시킴으로써, 승강판(92)과 함께 가동판(87)을 원판(72)의 상방으로부터 권선 기구(21)의 수평 기판(23)의 상방까지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선재 축적 기구(71)에 있어서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선재(16)는 복수의 노즐(22)로 운반된다.
다음에, 권선 장치(20)를 사용한 권선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권선 장치(20)에 있어서의 동작은 상자대(60)의 내부에 탑재된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러에 의해 자동 제어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권선 방법은 티스(11)의 개수와 동일한 수만큼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노즐(22)로부터 각 티스(11) 사이의 슬롯(12)에 선재(16)를 동시에 조출하고, 각 노즐(22)에 대응하는 소정의 2개의 슬롯(12) 사이에 동시에 선재(16)를 권선하는 권선 방법의 개량이다.
그 특징은 선재(16)를 권선하고 있는 동안에 권선에 필요한 소정 길이의 선재(16)를 방사상으로 배치하고, 복수의 노즐(22)의 수와 동일 수까지 축적하는 선재 축적 공정과, 선재(16)의 권선이 종료된 후에, 선재 축적 공정에 있어서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선재(16)를 복수의 노즐(22)로 운반하는 선재 운반 공정이 행해지는 데 있다. 선재(16)로서 피복 도선을 사용하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재 축적 공정에 있어서, 피복 도선으로 이루어지는 선재(16)의 피복을 제거하는 피복 제거가 행해진다. 이하에 각 공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선재 축적 공정>
선재 축적 공정에서는 소정 길이의 선재(16)를 방사상으로 배치하여, 노즐(22)의 수와 동일 수로 될 때까지 축적한다. 선재(16)의 소정의 길이라 함은, 단일의 노즐(22)이 권선 대상인 로터(10)에 선재(16)를 권선시킨 경우에 필요한 길이이다. 소정의 길이의 선재(16)는 선재 조출 절단 기구(61)에 의해 얻을 수 있고, 소정의 길이의 선재(16)는 선재 축적 기구(71)에 의해 축적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선재 조출 절단 기구(61)는 선재 축적 기구(71)의 원판(72) 상에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파지 기구(77, 78)에 대해 소정의 길이의 선재(16)를 조출한다. 조출된 선재(16)는 원판(72) 상에 설치된 외측 지지 부재(78)의 홈과 내측 지지 부재(77)의 홈을 통과하여, 원기둥 부재(74)의 외주면에 접촉한다.
외측 지지 부재(78)와 내측 지지 부재(77) 사이에 걸쳐진 선재(16)에는 수평 방향으로부터 판 스프링(79)이 탄성 접촉하여 선재(16)의 길이 방향의 이동은 방지된다.
선재(16)를 조출하는 데 있어서, 조출과 동시에 피복 도선으로 이루어지는 선재(16)의 일부의 피복을 제거하는 피복 제거가 행해진다. 피복의 제거는 소정 길이의 선재(16)가 로터(10)에 권선된 상태에서 전기적인 접속이 필요해지는 부위에 대해 행해진다. 피복의 제거는 피복 제거기(67a)를 피복 제거용 액추에이터(67b)에 의해 소정의 범위를 이동시키는 동안, 피복 제거기(67a)를 가동함으로써 행해진다.
소정의 길이의 선재(16)를 조출한 선재 조출 절단 기구(61)는 조출된 선재(16)를 니퍼 장치(65)에 의해 절단한다. 선재 조출 절단 기구(61)의 선재 파지 이동 장치(66)는 니퍼 장치(65)에 의해 절단된 선재(16)를 파지하여 니퍼 장치(65)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분리한다. 선재 파지 이동 장치(66)에 의해, 선재(16)는 판 스프링(79)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그 선단이 원기둥 부재(74)의 외주면에 접촉할 때까지 이동된다. 이 결과, 소정의 길이의 선재(16)는 선재 축적 기구(71)의 원판(72)의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파지 기구(77, 78)에 파지된다.
원판(72)의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파지 기구(77, 78)에 소정의 길이의 선재(16)가 파지된 후, 인덱스 모터(73)는 원판(72)을 회전시켜,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파지 기구(77, 78)를 새롭게 2개의 선재 조출 절단 기구(61)에 대향시킨다.
2개의 선재 조출 절단 기구(61)는 새롭게 대향한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파지 기구(77, 78)에 대해 소정의 길이의 선재(16)를 조출하여 절단한다. 선재 파지 이동 장치(66)는 절단된 소정의 길이의 선재(16)를 파지하여 니퍼 장치(65)로부터 분리하고, 선재(16)의 선단을 원기둥 부재(74)에 접촉시킨다.
이 동작의 반복에 의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선재 조출 절단 기구(61)에 의해 얻어진 소정 길이의 선재(16)를 방사상으로 배치하여 노즐(22)의 수와 동일 수로 될 때까지 축적한다.
특히, 선재 파지 이동 장치(66)에 의해, 원기둥 부재(74)의 외주면에 복수의 선재(16)의 선단을 접촉시키므로, 복수의 선재(16)는 중심으로부터의 위치가 어긋나는 일 없이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선재 운반 공정>
이 공정에서는 선재 축적 공정에 있어서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선재(16)를, 선재 운반 기구(81)에 의해 복수의 노즐(22)로 운반한다.
우선, 가동판(87)을 원판(72)의 상방에 위치시키고, 유체압 실린더(91)에 의해 승강판(92)을 하강시킨다.
선재 축적 기구(71)의 내측 지지 부재(77)와 외측 지지 부재(78) 사이에 척 실린더(82a)를 진입시켜, 척 실린더(82a)에 선재(16)를 파지시킨다. 그 후, 척 실린더(82a)가 선재(16)를 파지한 상태에서 승강판(92)을 상승시키고, 선재 축적 기구(71)의 판 스프링(79)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선재(16)를 들어올린다.
그 후, 구동 모터(89)에 의해 볼 나사(88)를 회전시켜, 승강판(92)과 함께 가동판(87)을 원판(72)의 상방으로부터 권선 기구(21)의 수평 기판(23)의 상방까지 이동시킨다.
승강판(92)에 설치된 복수의 척 실린더(82a)는 복수의 선재(16)가 방사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파지한다. 이로 인해, 복수의 선재(16)는 방사상으로 배치된 상태 그대로 복수의 노즐(22)의 상방까지 안내된다. 여기서, 척 실린더(82a)는 방사상 실린더(82b)에 의해 원판(72)의 외주측에 위치하고 있고, 이 상태에서 선재(16)를 파지한다.
권선 기구(21)측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 구동 모터(36)에 의해 캠판(34)을 회전시키고, 방사상으로 설치된 복수의 이동대(33)를 중앙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복수의 노즐(22)의 외측 단부, 즉 복수의 노즐(22)의 선재(16) 입구부가 그리는 외측 단부 원보다도,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선재(16)의 내측 단부가 그리는 내측 단부 원의 쪽이 커지도록 해 둔다.
이 상태에서, 선재 운반 기구(81)의 유체압 실린더(91)에 의해 승강판(92)을 선재(16)와 함께 하강시키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노즐(22)의 연장선 상에 각 선재(16)를 위치시킨다.
그 후,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 구동 모터(36)에 의해 캠판(34)을 회전시키고, 방사상으로 설치된 복수의 이동대(33)를 외주측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선재(16)를 파지하는 척 실린더(82a)를, 방사상 실린더(82b)에 의해 중앙측에 모이게 함으로써, 방사상으로 배치된 선재(16)를 각 노즐(22)에 삽입 관통시킨다.
그 후, 척 실린더(82a)에 의한 선재(16)의 파지를 해소시키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재 운반 기구(81)에 있어서의 유체압 실린더(91)에 의해 승강판(92)을 상승시키고, 승강판(92)을 가동판(87)과 함께 선재 축적 기구(71)의 원판(72)의 상방으로 복귀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권선 기구(21)에 있어서의 권선 공정에 있어서, 가동판(87) 및 승강판(92)이 방해되는 것을 회피한다.
<권선 공정>
이 공정에서는, 권선 대상인 티스(11)의 개수와 동일한 수만큼 방사상으로 설치된 복수의 노즐(22)로부터 각 티스(11) 사이의 슬롯(12)에 선재(16)를 동시에 조출하고, 각 노즐(22)에 대응하는 소정의 2개의 슬롯(12) 사이에 동시에 선재(16)를 권선한다.
권선 대상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에 사용되는 로터(10)이며, 회전축의 주위로 방사상으로 돌출 설치된 20개 이상의 티스(11)를 갖는다. 로터(10)에는 선재(16)의 권취 개시 및 권취 종료를 수용하는 보유 지지부(13)가 형성된다.
권선 대상이 되는 로터(10)는 보유 지지부(13)를 상측으로 하여 로터 반송 기구(40)에 있어서의 지지대(41)에 탑재된다. 반송 모터(43)가 아암(42)을 회전함으로써 로터(10)는 지지대(41)에 지지된 상태에서 설치 원판(31)의 둥근 구멍(31a)의 하방으로 반송된다.
그 후, 로터 승강 기구(45)의 승강 로드(46)를 상승시켜, 승강 로드(46)의 상단부에 지지대(41) 및 로터(10)를 탑재한다. 또한 승강 로드(46)를 상승시킴으로써,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10)는 둥근 구멍(31a)을 통과하여, 복수의 노즐(22)에 의해 포위되는 위치로 이동한다.
한편, 로터 지지 기구(50)는 상승한 로터(10)의 상부를 상방으로부터 누름 부재(53)에 의해 눌러, 로터(10)의 연직 방향의 위치를 정하고, 또한 그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한다. 동시에, 누름 부재(53)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노즐(22)로부터 조출되는 선재(16)의 권취 개시 단부를 물림 지지하여, 권취 개시 선재(16a)의 위치를 확정시킨다.
그 후, 누름 부재(53)와 함께 로터(10)를 승강시킴과 함께, 노즐 구동 모터(36)에 의해 캠판(34)을 회전시키고, 방사상으로 설치된 복수의 노즐(22)의 선단부가 그리는 원을 축소 또는 확대시키고, 복수의 노즐(22)로부터 각 티스(11) 사이의 슬롯(12)에 선재(16)를 동시에 조출하고, 각 노즐(22)에 대응하는 소정의 2개의 슬롯(12) 사이에 동시에 선재(16)를 권선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방사상으로 설치된 복수의 노즐(22)을 레일(32)을 따라서 적절히 이동시키면서 로터(10)를 상승시킴으로써,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유 지지부(13)의 주위에 권취 개시 선재(16a)를 삽입 관통시킨 후에, 각 티스(11) 사이의 슬롯(12)에 선재(16)를 동시에 조출한다.
그 후, 로터(10)를 축 중심으로 회전시켜 노즐(22)이 대향하는 슬롯(12)을 바꾸고, 복수의 노즐(22)을 레일(32)을 따라서 적절히 이동시키면서 로터(10)를 하강시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의 각 티스(11) 사이의 슬롯(12)에 선재(16)를 동시에 조출한다. 그 후, 보유 지지부(13)의 주위에 권취 종료 선재(16b)를 삽입 관통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슬롯(12)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선재(16)는 되접혀서 다른 슬롯(12)에 삽입된다. 되접혀진 선재(16)가 걸침선(16c)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노즐(22)로부터 동시에 선재(16)를 조출하고 권선하여, 걸침선(16c)을 형성하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노즐(22)이 직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각 걸침선(16c)은 직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되므로, 각 걸침선(16c)은 서로 서서히 직경 방향 내측으로 변위되면서 서로 얽힌 상태로 된다. 따라서, 걸침선(16c)이 불룩해지는 것이 방지되어, 권선의 점적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후, 보유 지지부(13)에 수용된 권취 개시 선재(16a) 및 권취 종료 선재(16b)는 고정 부재(38)에 의해 보유 지지부(13)에 고정된다. 이 결과, 권취 개시 및 권취 종료 선재(16a, 16b)의 이탈은 방지된다.
권취 개시 선재(16a) 및 권취 종료 선재(16b)가 보유 지지부(13)에 고정된 후, 로터 지지 기구(50)의 누름 부재(53)에 의한 권취 개시 선재(16a)의 물림 지지를 해소하고, 누름 부재(53)를 상승시켜 로터(10) 상부의 누름을 해소한다. 그리고, 승강 로드(46)를 하강시켜 로터(10)를 지지대(41)와 함께 하강시킨다. 그 후, 지지대(41)가 선단에 탑재된 아암(42)을 회전시켜 권선된 로터(10)를 제거하고, 일련의 권선 작업을 종료한다. 이때, 다른 아암(42)의 선단의 지지대(41)에, 다음의 권선을 위한 로터(10)를 탑재시켜 두면, 권선이 완료된 로터(10)를 제거하는 것과 동시에, 권선을 행하는 로터(10)를 승강 로드(46)에 지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권선 방법에 있어서는, 권선 공정과 동시에 선재 축적 공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선재(16)를 권선하고 있는 동안에, 권선에 필요한 소정 길이의 선재(16)를 방사상으로 배치하여, 복수의 노즐(22)의 수와 동일한 수로 될 때까지 축적해 두는 것이다. 그리고, 선재(16)의 권선 후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노즐(22)의 개수와 동일한 수의 선재(16)를 복수의 노즐(22)까지 운반함으로써, 비교적 신속하게 권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권선 장치(20) 및 권선 방법에 있어서는, 단일의 스풀(17)로부터 선재를 조출함과 함께, 조출된 선재(16)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선재 조출 절단 기구(61)를 구비하고, 그것에 의해 얻어진 복수의 선재(16)를 선재 운반 기구(81)에 의해 복수의 노즐(22)까지 운반하므로, 노즐(22)의 수와 동등한 수의 스풀(17)이나 신장기(62)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노즐(22)의 수에 동등한 수의 스풀(17)이나 신장기(62)를 필요로 하고 있던 종래에 비교하여 장치는 소형으로 되어, 넓은 설치 장소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여기서, 권선 공정에 관한 시간이 짧고, 그 시간 내에 있어서, 단일의 선재 조출 절단 기구(61)에 의해 준비되는 소정 길이의 선재(16)의 수가 노즐(22)의 수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에는, 선재 조출 절단 기구(61)를 복수 설치한다. 선재 축적 기구(71)는 복수의 선재 조출 절단 기구(61)로부터 공급되는 소정 길이의 선재(16)를 방사상으로 배치하여, 노즐(22)의 수와 동일한 수로 될 때까지 축적하도록 하면, 권선 공정에 관한 시간 내에 있어서, 노즐(22)의 수에 동등한 수의 선재(16)를 확실하게 준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경우라도, 선재 조출 절단 기구(61)의 수를 노즐(22)의 수보다도 적게 할 수 있으므로, 장치는 소형으로 되어, 넓은 설치 장소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로터(10)에 권선된 피복 도선으로 이루어지는 선재(16)는 도시하지 않은 버스 바에 접속되게 된다. 선재 조출 절단 기구(61)에 의해 선재(16)를 조출할 때에, 버스 바에 접속되게 되는 부위의 피복을 피복 제거 장치(67)에 의해 제거함으로써, 버스 바로의 접속 작업을 비교적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선재 조출 절단 기구(61)에 의해 얻어진 선재(16)를 선재 축적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선재 조출 절단 기구(61)의 수는 2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권선 공정에 관한 시간이 비교적 길고, 그 시간 내에 있어서, 단일의 선재 조출 절단 기구(61)에 의해 준비되는 선재(16)의 수가 노즐(22)의 수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선재 조출 절단 기구(61)는 1개여도 된다. 또한, 권선 공정에 관한 시간이 극히 짧은 경우에는, 선재 조출 절단 기구(61)를 3개 또는 4개 설치하여, 그들에 의해 얻어진 선재(16)를 선재 축적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상기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적용예의 일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상기 실시 형태의 구체적 구성으로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본원은 2013년 7월 28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3-156209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Claims (5)

  1. 티스의 개수와 동일한 수만큼의 노즐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복수의 상기 노즐로부터 각 티스 사이의 슬롯에 선재를 동시에 조출하고, 각 노즐에 대응하는 소정의 2개의 슬롯 사이에, 동시에 상기 선재를 권선하는 권선 장치에 있어서,
    단일의 스풀로부터 선재를 조출함과 함께, 조출된 선재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선재 조출 절단 기구와,
    상기 선재 조출 절단 기구에 의해 얻어진 소정의 길이의 선재를 방사상으로 배치하여, 상기 복수의 노즐의 수와 동일한 수의 선재를 축적하는 선재 축적 기구와,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선재를 상기 선재 축적 기구로부터 상기 복수의 노즐로 운반하는 선재 운반 기구를 구비하는, 권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선재 조출 절단 기구가 복수 설치되고,
    선재 축적 기구는 복수의 상기 선재 조출 절단 기구에 의해 얻어진 소정의 길이의 선재를 방사상으로 배치하여, 상기 복수의 노즐의 수와 동일한 수의 선재를 축적하는, 권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선재는 피복 도선이고,
    상기 선재 조출 절단 기구는 조출되는 선재의 피복을 제거하는 피복 제거 장치를 갖는, 권선 장치.
  4. 티스의 개수와 동일한 수만큼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노즐로부터 각 티스 사이의 슬롯에 선재를 동시에 조출하고, 각 노즐에 대응하는 소정의 2개의 슬롯 사이에 동시에 상기 선재를 권선하는 권선 방법이며,
    상기 선재를 권선하고 있는 동안에, 단일의 스풀로부터 조출되고 권선에 필요한 소정 길이로 절단된 선재를 방사상으로 배치하여, 복수의 상기 노즐의 수와 동일한 수의 선재를 축적하는 선재 축적 공정이 행해지고,
    상기 선재의 권선 후에, 상기 선재 축적 공정에 있어서 축적된 복수의 상기 선재를 상기 복수의 노즐로 운반하는 선재 운반 공정이 행해지는, 권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 축적 공정에 있어서, 피복 도선으로 이루어지는 선재의 피복을 제거하는 피복 제거가 행해지는, 권선 방법.
KR1020167000229A 2013-07-28 2014-06-20 권선 장치 및 권선 방법 KR1017191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56209A JP6173093B2 (ja) 2013-07-28 2013-07-28 巻線装置及び巻線方法
JPJP-P-2013-156209 2013-07-28
PCT/JP2014/066466 WO2015015948A1 (ja) 2013-07-28 2014-06-20 巻線装置及び巻線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058A KR20160017058A (ko) 2016-02-15
KR101719110B1 true KR101719110B1 (ko) 2017-03-22

Family

ID=52431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0229A KR101719110B1 (ko) 2013-07-28 2014-06-20 권선 장치 및 권선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64506B2 (ko)
EP (1) EP3029816B1 (ko)
JP (1) JP6173093B2 (ko)
KR (1) KR101719110B1 (ko)
CN (1) CN105379081B (ko)
WO (1) WO20150159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90528B (zh) * 2016-03-28 2017-12-05 河北工业大学 嵌线机
JP6785528B2 (ja) * 2016-10-14 2020-11-18 Nittoku株式会社 巻線装置及び巻線方法
KR102513516B1 (ko) * 2021-02-05 2023-03-23 동성이엔지 주식회사 전기차량 구동모터용 다층헤어핀 정렬지그
KR102513514B1 (ko) * 2021-02-05 2023-03-23 동성이엔지 주식회사 전기차량 구동모터용 다층헤어핀 정렬기
KR102513515B1 (ko) * 2021-02-05 2023-03-23 동성이엔지 주식회사 전기차량 구동모터용 다층헤어핀 확간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2022A (ja) 1999-03-09 2000-09-22 Mitsuba Corp 電気子の巻線方法
JP2011091885A (ja) 2009-10-20 2011-05-06 Mitsuba Corp ブラシレスモータの巻線方法、およびブラシレスモータのバスバー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5455A (ja) * 1982-05-10 1983-11-14 Mitsuba Denki Seisakusho:Kk 電機子の巻線装置
JPS5917851A (ja) * 1982-07-16 1984-01-30 Shukichi Sakuma 多極コアの巻線方法
SE508544C2 (sv) * 1997-02-03 1998-10-12 Asea Brown Boveri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montering av en stator -lindning bestående av en kabel.
JP2003088064A (ja) * 2001-09-07 2003-03-20 Moric Co Ltd 回転電気機器の電機子の巻線方法及び装置
DE10158267A1 (de) * 2001-11-28 2003-06-18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mehrphasigen Wicklung für eine elektrische Maschine
JP4619057B2 (ja) * 2004-08-04 2011-01-26 株式会社ミツバ 電機子用巻線装置
JP4778389B2 (ja) * 2006-10-03 2011-09-21 日特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コイル巻線方法および装置
JP2013258822A (ja) 2012-06-12 2013-12-26 Daikin Ind Ltd ステータの製造方法およびステータ
JP5681249B1 (ja) * 2013-08-26 2015-03-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導線片供給方法及び導線片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2022A (ja) 1999-03-09 2000-09-22 Mitsuba Corp 電気子の巻線方法
JP2011091885A (ja) 2009-10-20 2011-05-06 Mitsuba Corp ブラシレスモータの巻線方法、およびブラシレスモータのバスバー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73093B2 (ja) 2017-08-02
EP3029816A1 (en) 2016-06-08
US20160172945A1 (en) 2016-06-16
US10164506B2 (en) 2018-12-25
EP3029816B1 (en) 2019-01-30
CN105379081B (zh) 2018-07-10
CN105379081A (zh) 2016-03-02
KR20160017058A (ko) 2016-02-15
WO2015015948A1 (ja) 2015-02-05
EP3029816A4 (en) 2017-05-03
JP2015027209A (ja) 2015-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110B1 (ko) 권선 장치 및 권선 방법
JP5400981B1 (ja) 電線撚り合わせ装置、撚り合わせ電線製造装置、撚り合わせ電線製造方法
JP5814135B2 (ja) 束線装置及び束線方法
AU2003260450B2 (en) Method for removing wires or tapes from pressed bales of raw material, and wire coiling device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CN111834862B (zh) 拉线构件以及线材裁剥装置
JP6211467B2 (ja) 巻線装置及び巻線方法
JP2007043801A (ja) コイル巻落とし方法及び装置
US6701765B2 (en) Spring manufacturing apparatus
CN114203365A (zh) 一种电缆绞线机
CN212010528U (zh) 一种线材前处理自动机
JP2008073707A (ja) 棒材自動供給装置
CN210380595U (zh) 电机绕线组拉线装置
JP6457804B2 (ja) 端子圧着治具セット補助装置および端子圧着システム
JP2007252019A (ja) アマチュア巻線方法及びアマチュア巻線装置
JP6026929B2 (ja) 電線処理装置
KR20080070285A (ko) 자동 커넥터 압접장치
CN117116657B (zh) 一种磁环电感挂脚装置
CN218109201U (zh) 一种裁剪辅助夹持机构
JP2017131100A (ja) 導体バーの引きはがしツールおよび方法
CN215070807U (zh) 一种电阻漆包线自动打线机
CN216216434U (zh) 一种绕线机的绕线机构
JP2002033235A (ja) 巻線装置
CN213507461U (zh) 一种自动化包边机
CN210366314U (zh) 一种线缆放置用气动放线架
CN215681194U (zh) 一种端子穿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