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8276B1 - 반사 필름, 및 이것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액정 표시 장치, 조명 장치, 장식용 물품 - Google Patents

반사 필름, 및 이것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액정 표시 장치, 조명 장치, 장식용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8276B1
KR101718276B1 KR1020157025668A KR20157025668A KR101718276B1 KR 101718276 B1 KR101718276 B1 KR 101718276B1 KR 1020157025668 A KR1020157025668 A KR 1020157025668A KR 20157025668 A KR20157025668 A KR 20157025668A KR 101718276 B1 KR101718276 B1 KR 101718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film
dispersed phase
reflective film
thermoplas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5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0467A (ko
Inventor
다카토시 무타
도모유키 네모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20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0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2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0816Multilayer mirrors, i.e. having two or more reflecting layers
    • G02B5/0825Multilayer mirrors, i.e. having two or more reflecting layers the reflecting layers comprising dielectric materials only
    • G02B5/0841Multilayer mirrors, i.e. having two or more reflecting layers the reflecting layers comprising dielectric materials only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halogenated polyolefins, e.g. PTF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e.g. denser near its 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5Direct backlight including specially adapted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6Bright, glossy, shiny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8Refra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광을 반사하여 금속과 같은 광택을 갖고, 우수한 표면 평활성과 정반사 특성을 갖는 반사 필름의 제공. 적어도 2종의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고, 연속상(I)과 분산상(II)에 의한 해도 구조를 갖는 층을 적어도 1층 갖는 반사 필름으로서, 상기 분산상(II)의 흐름 방향의 평균 치수(L1) 및 폭 방향의 평균 치수(L2)가 0.45μm 이상 100μm 이하이고, 상기 분산상(II)의 두께 방향의 평균 치수(L3)이 0.01μm 이상 0.45μm 미만이며, 해당 연속상(I)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A)와 해당 분산상(II)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B)의 평균 굴절률차가 0.05 이상이고, 해당필름의 측정 파장 400nm∼7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필름.

Description

반사 필름, 및 이것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액정 표시 장치, 조명 장치, 장식용 물품{REFLECTIVE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IGHTING DEVICE AND ORNAMENTAL ARTICLE, EACH OF WHICH IS PROVIDED WITH REFLECTIVE FILM}
본 발명은, 광을 반사하여 금속과 같은 광택을 갖고, 우수한 표면 평활성과 정반사 특성을 갖는 반사 필름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반사면에 금속과 같은 광택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 금속을 고도로 연마하여 반사면을 형성하는 방법이 이용되어 왔다. 이 방법은, 생산성이 낮고, 이용하는 금속에 가공상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플라스틱에 금속을 얇게 피복한 금속 피복 플라스틱이, 표시 장치나 조명 등의 반사 필름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통상, 금속층의 피복에는, 전기 도금, 진공 증착, 증착, 화학 흡착 등의 수법이 이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금속 피복에 있어서는, 시간 경과와 함께 금속이 부식되기 때문에, 금속 피복층 상에 추가로 보호층을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어, 더욱 생산성이나 비용의 면에서 불리해진다.
또한, 다른 수법으로서, 복수의 층을 갖는 다층 광학 필름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들 금속 광택의 반사 필름은 적층 계면에서의 반사 특성을 이용하여, 반사 특성을 부여하고, 각 층의 두께를 치밀히 제어하는 것에 의해, 높은 반사 특성을 발현시키는 것이다.
복수의 층을 갖는 다층 광학 필름을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제 1 및 제 2 이종(異種) 폴리머를 포함하는 반사 폴리머체가 보고되어 있다(특허문헌 1∼3). 이들 특허문헌에는, 서로 굴절률이 0.03 이상 다른 제 1 및 제 2 폴리머재에 의한 교대의 층을 충분히 포함하고 있고, 각 층의 과반량이 0.09μm 이하, 또는 0.45μm 이상의 광학적 두께를 갖는 반사 폴리머체가 보고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평03-041401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04-29580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05-193040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3에 개시되어 있는 다층 광학 필름은, 균일한 다층 적층화나 각 층 두께의 치밀한 제어가 필요하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복잡화되어, 생산성을 현저히 떨어뜨리는 우려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반사율과 정반사 특성을 갖고, 금속과 같은 광택을 가지며, 또한 높은 생산성을 갖는 반사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높은 반사율과 정반사 특성을 충분히 높이는 인자로서, 분산상의 모폴로지를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구명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적어도 2종의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고, 연속상(I)과 분산상(II)에 의한 해도(海島) 구조를 갖는 층을 적어도 1층 갖는 반사 필름으로서, 상기 분산상(II)의 흐름 방향의 평균 치수(L1) 및 폭 방향의 평균 치수(L2)가 0.45μm 이상 100μm 이하이고, 상기 분산상(II)의 두께 방향의 평균 치수(L3)이 0.01μm 이상 0.45μm 미만이며, 해당 연속상(I)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A)와 해당 분산상(II)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B)의 평균 굴절률차가 0.05 이상이고, 해당 필름의 측정 파장 400nm∼7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필름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또, 적어도 2종의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고, 연속상(I)과 분산상(II)에 의한 해도 구조를 갖는 층을 적어도 1층 갖는 반사 필름으로서, 상기 연속상(I)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A)와 상기 분산상(II)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B) 중 어느 한쪽이, 폴리에스터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이루어지고, 다른 한쪽이, 불소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이루어지며, 해당 불소계 수지의 융해 흡열 피크 온도가 130℃ 이상 2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필름을 제안한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상기 반사 필름은 어느 것이나, 종래의 복수의 층을 갖는 다층 광학 필름에 요구되는 균일한 다층 적층화나 각 층 두께의 치밀한 제어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높은 생산성을 가짐과 함께, 본 발명이 규정하는 모폴로지 제어 또는 융해 흡열 피크 온도의 제어를 달성하는 것에 의해, 의사적(疑似的)인 다층 효과를 발현시킬 수 있어, 높은 반사 특성과 정반사 특성을 갖고, 금속과 같은 광택을 갖는 반사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로서의 반사 필름(「본 반사 필름」이라고 칭한다)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주성분」이라고 표현한 경우에는,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당해 주성분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로 다른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허용하는 뜻을 포함하고, 특별히 당해 주성분의 함유 비율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주성분은 대상으로 하는 조성물의 50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100% 포함)을 차지하는 뜻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2종류 이상의 수지가 주성분을 구성하는 경우, 대상으로 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각 수지의 비율이 10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상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X∼Y」(X, Y는 임의의 숫자)로 표현하는 경우, 특별히 정하지 않는 한 「X 이상 Y 이하」의 뜻과 함께, 「바람직하게는 X보다 크다」 또는 「바람직하게는 Y보다 작다」의 뜻도 포함한다.
더욱이 또한, 「X 이상」(X는 임의의 숫자) 또는 「Y 이하」(Y는 임의의 숫자)로 표현한 경우, 「X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Y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는 취지의 의도도 포함한다.
<본 반사 필름>
본 반사 필름은, 적어도 2종의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고, 연속상(I)과 분산상(II)에 의한 해도 구조를 갖는 층을, 적어도 1층 갖는 반사 필름이다.
일반적으로, 다른 수지끼리를 혼합하는 경우, 그 상 상태를 대별하면 (1) 완전 상용(단상), (2) 해도 구조(다상), (3) 공연속 구조(다상), (4) 층상 구조(다상)의 4개로 나누어진다. 여기에서, (2) 해도 구조란, 복수 성분의 한쪽이 연속하는 상 중에, 다른 한쪽이 입자상(도상)으로 분산되어 있는 구조를 말한다. 또한 (3) 공연속 구조란, 복수 성분의 각각이 연속한 상을 형성하면서 서로 섞여 있는 구조를 말한다. 또한, (4) 층상 구조란 각각의 성분이 연속상을 형성하지만, 서로의 성분이 혼합되지 않고 독립해 있는 구조를 말한다.
본 반사 필름에 있어서의 해도 구조란, 상기 (2)의 것을 말하고, 연속상이 해부(海部), 분산상이 도부(島部)이다. 통상, 분산상인 도부는 불연속이며, 또한, 미소한 대략 구상 구조를 나타낸다. 본 반사 필름에 있어서의 도부는 불연속이기는 하지만, 상기 필름이 흐름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연신되기 때문에, 도부는 편평한 타원상 구조, 또는 원반상 구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조의 유무는, 본 반사 필름의 MD 단면, 또는 TD 단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으로 관찰하는 것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본 반사 필름에 이용하는 열가소성 수지)
상기 연속상(I)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A)와 상기 분산상(II)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B)로서는, 본 발명에 있어서 규정하는 범위를 일탈하지 않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단, 상기 연속상(I)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A)와 상기 분산상(II)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B)의 평균 굴절률차가 0.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굴절률차를 0.05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연속상과 분산상의 계면에 있어서의 광의 반사가 일어나기 쉬워지기 때문에, 높은 반사 특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이유에 의해, 해당 연속상(I)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A)와 해당 분산상(II)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B)의 평균 굴절률차는 0.1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5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상기 연속상(I)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A)와 상기 분산상(II)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B) 중 어느 한쪽이, 폴리에스터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이루어지고, 다른 한쪽이, 불소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반사 필름은, 적어도 1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름의 흐름 방향(이하, MD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과 폭 방향(이하, TD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의 2축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연신 조작 등에 의해, 필름에 배향을 부여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연속상(I)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A)와 상기 분산상(II)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B)의 굴절률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A)와 상기 (B)의 굴절률차를 더욱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분산상(II)의 흐름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의 평균 치수를, 본 발명이 규정하는 범위로 조절할 수 있어, 본 발명의 필름에, 보다 높은 반사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반사 필름을 적어도 1방향으로 배향시켜, 보다 굴절률차를 크게 하는 수단으로서는, 예컨대 상기 연속상(I)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A)와 상기 분산상(II)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B)의 평균 굴절률의 차의 절대값이 0.05보다 커지도록, 상기 열가소성 수지(A)와 상기 열가소성 수지(B)를 선택함과 함께, 연신에 의해서, 상기 연속상(I)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A), 및/또는 상기 분산상(II)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B)를 배향시켜, 열가소성 수지(A)와 열가소성 수지(B)의 복굴절률의 차이를 이용하여, 바람직한 범위로 조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때의 연신법으로서는, 예컨대 자유폭 1축 연신, 일정폭 1축 연신, 인장 연신법, 롤간 연신법, 롤 압연법 등의 연신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다른 수단으로서, 상기 연속상(I)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A), 및/또는 상기 분산상(II)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B)에, 상용하는 다른 열가소성 수지나 굴절률 조정제 등을 첨가하여, 바람직한 범위로 조정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연속상(I)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A)의 고유 복굴절률과 상기 분산상(II)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B)의 고유 복굴절률은, 둘다 양이어도 되고, 둘다 음이어도 된다. 또는, 어느 한쪽이 양이고, 다른 쪽이 음이어도 된다.
고유 복굴절률이란, 고분자쇄가 완전히 1축 배향된 상태, 즉 고분자쇄가 1축 방향으로 완전히 다 신장된 상태의 복굴절률이며, 복굴절률이란, 연신 방향에 대하여 평행 방향의 굴절률로부터, 연신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굴절률을 뺀 값이다. 따라서, 고유 복굴절률이 양이란, 1축 연신한 경우에 있어서의 연신 방향에 대하여 평행 방향의 굴절률쪽이, 연신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굴절률보다도 큰 상태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고유 복굴절률이 양인 경우, 연신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의 굴절률은 평균 굴절률보다도 증대한다. 한편, 고유 복굴절률이 음인 경우, 연신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의 굴절률은 평균 굴절률보다도 감소한다.
실제로는, 고분자쇄를 완전히 1축 배향시키는 것은 곤란하기 때문에, 고유 복굴절률의 산출은 곤란하다. 그러나, 고유 복굴절률이 양인지 음인지는, 적당한 배율로 1축 연신시켰을 때의 복굴절률의 값이 양인지 음인지를 확인하는 것에 의해 판별할 수 있다. 즉, 복굴절률이 양이면, 고유 복굴절률도 양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와 상기 (B)의 평균 굴절률의 대소 관계와, 상기 (A)와 상기 (B)의 복굴절률의 대소 관계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령, 상기 (A)와 상기 (B)의 평균 굴절률의 대소 관계가 (A)>(B)로 한 경우, 상기 (A)와 상기 (B)의 복굴절률의 대소 관계는 (A)>(B)인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대소 관계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A)와 상기 (B)의 평균 굴절률의 차가 0.05 이상이면, 본 반사 필름을 연신 등에 의해 배향을 부여했을 때, 연속상(I)과 분산상(II)의 배향 방향에서의 평균 굴절률차는 더욱 증대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평균 굴절률의 차는 연신 후에도 0.05 이상이 될 것이다. 해당 대소 관계가 합치하지 않는 경우, 가령, 본 반사 필름을 연신 등에 의해 배향을 부여했을 때, 연속상(I)과 분산상(II)의 배향 방향에서의 평균 굴절률차가 생기기 어렵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적어도 1축 방향으로 배향된 본 반사 필름이, 본 발명이 규정하는 범위에 속하는 것이면, 상기 (A)와 상기 (B)의, 평균 굴절률과 복굴절률의 대소 관계의 합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연속상(I)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A)와 상기 분산상(II)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B)는, 1종류의 열가소성 수지여도 되고, 2종류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의 혼합 수지여도 된다.
그 중에서도, 상기 연속상(I)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A)와, 상기 분산상(II)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B) 중 적어도 한쪽이, 결정성의 열가소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결정성의 열가소성 수지이면, 고분자쇄가 배향되기 쉬워, 배향 방향에 대한 연속상(I)과 분산상(II)의 굴절률차를 증대시키기 쉬워, 반사 특성을 향상시키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열처리 시에, 결정성의 열가소성 수지는, 배향 결정화되기 쉬워져, 치수 안정성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한편, 결정성의 열가소성 수지란, 일반적으로 결정 융해 피크 온도(융점)가 존재한다고 하는 열가소성 수지를 가리키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JIS K7121에 준거하여 행하는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에 있어서 융점이 관측되는 열가소성 수지이고, 이른바 반결정성의 상태인 것을 포함한다. 반대로, DSC에서 융점이 관측되지 않는 열가소성 수지를 「비결정성」이라고 칭한다.
이와 같은 결정성의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특별히 그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뷰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라이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1,4-사이클로헥실렌다이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석시네이트, 폴리뷰틸렌석시네이트, 폴리락트산, 폴리-ε-카프로락탐 등의 폴리에스터계 수지, 고밀도 폴리에틸렌이나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나, 에틸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트)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 에틸렌-바이닐알코올 공중합체, 에틸렌-염화바이닐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일산화탄소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염화바이닐 공중합체, 에틸렌-α 올레핀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계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뷰텐계 수지,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폴리옥시메틸렌계 수지, 폴리메틸펜텐계 수지, 폴리바이닐알코올계 수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나, 폴리불화바이닐리덴,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수지 등의 불소계 수지, 셀룰로스계 수지, 폴리에터에터케톤이나 폴리에터케톤,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마이드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에스터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결정성의 방향족 폴리에스터계 수지를 선택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연속상(I)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A)와 상기 분산상(II)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B)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폴리에스터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터계 수지)
상기의 폴리에스터계 수지는, 결정성의 열가소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결정성의 폴리에스터계 수지는, 연신을 행하면, 고분자쇄가 배향되기 쉬워, 배향 방향에 대한 연속상(I)과 분산상(II)의 굴절률차를 증대시키기 쉬워, 반사 특성을 향상시키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열처리 시에, 배향 결정화되기 쉬워져, 치수 안정성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터계 수지는, 고유 복굴절률이 양이 되는 경우가 많고, 그 중에서도 방향족 폴리에스터계 수지는 높은 복굴절률을 갖기 때문에, 배향 방향에 대한 연속상(I)과 분산상(II)의 굴절률차를 증대시키기 쉬워, 반사 특성을 향상시키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속상(I)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A)와 상기 분산상(II)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B) 중 어느 한쪽이, 폴리에스터계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고, 다른 한쪽이, 불소계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터계 수지, 특히 방향족 폴리에스터계 수지는 평균 굴절률이 높고, 불소계 수지는 평균 굴절률이 낮기 때문에, 연속상(I)과 분산상(II)의 굴절률차를 증대시키기 쉬워, 반사 특성을 향상시키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터계 수지로서는, 특별히 그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뷰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라이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1,4-사이클로헥실렌다이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석시네이트, 폴리뷰틸렌석시네이트, 폴리락트산, 폴리-ε-카프로락탐 등의 폴리에스터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결정성의 방향족 폴리에스터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계 수지인 것이, 높은 평균 굴절률과 높은 복굴절률을 갖는다고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유리전이온도(Tg)나 굴절률을 조정하는 관점에서, 상기 수지를 조합시켜 이용해도 된다.
또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의 혼합 수지도 바람직한 일례이다. PEN과 PET는 상용하기 때문에, PEN에 PET를 섞는 것에 의해, Tg나 굴절률을 조정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계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해당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내충격성이나 제막성의 관점에서, 3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만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터계 수지의 고유 점도는, 제막성의 관점에서, 0.5dl/g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터계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는, 70℃∼12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80℃∼120℃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리전이온도가 70℃ 이상이면, 필름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고, 120℃ 이하이면 연신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터계 수지의 융점(Tm)은, 240℃∼27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250℃∼270℃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융점이 240℃ 이상이면, 충분한 내열성을 부여할 수 있고, 270℃ 이하이면 용융 압출 시에,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계 수지 이외의 공존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열분해를 억제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터계 수지로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계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YI값이 -10∼10의 범위 내, 특히 -3∼3의 범위 내인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계 수지가 각각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각 수지 모두 YI값이 -10∼1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YI값이 -10∼10의 범위 내이면,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 등에 짜 넣는 것에 의해, 화상의 정채성(精彩性)을 한층 더 양호하게 할 수 있어, 휘도 향상률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계 수지로서는, 시판품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테오넥스 TN8065S(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의 호모폴리머, 데이진카세이(주)제, 고유 점도 0.71dl/g), 테오넥스 TN8065SC(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의 호모폴리머, 데이진카세이(주)제, 고유 점도 0.55dl/g), 테오넥스 TN8756C(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코폴리머, 데이진카세이(주)제, 고유 점도 0.65dl/g) 등을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다.
(불소계 수지)
한편, 상기 불소계 수지는, 융해 흡열 피크 온도가 130℃ 이상 2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불소계 수지의 융해 흡열 피크 온도가 130℃ 미만인 경우, 폴리에스터계 수지와의 혼련·압출 시에 표면 거칠함이 생기거나, 반사 필름의 내열성이 저하되거나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반사 필름은, 그 성질상, 광원 주변에 배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내열성이 요구된다. 그 때문에, 상기 불소계 수지의 융해 흡열 피크 온도가 1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80℃ 이상이다.
또한, 불소계 수지의 융해 흡열 피크 온도가 300℃를 초과하는 경우, 폴리에스터계 수지와의 혼련·압출 시에, 폴리에스터계 수지의 분해가 촉진되기 쉬워져, 성형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불소계 수지의 융해 흡열 피크 온도가 250℃보다 크고 300℃ 미만인 경우, 표면 거칠함이 생기거나, 분산상(II)의 모폴로지가 조잡해지기 쉬워지거나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이유에 의해, 불소계 수지의 융해 흡열 피크 온도는, 24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4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35℃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불소계 수지는, 낮은 평균 굴절률을 갖는 점, 폴리에스터계 수지에 가까운 유리전이온도(50℃∼100℃ 부근)를 갖는 점, 및 우수한 연신성을 갖는 점 등에서,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해당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는, 연신성 부여의 이유에서, 50℃∼1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60℃ 이상 또는 80℃ 이하의 범위가 더 바람직하다.
또한, 해당 불소계 수지의 융점(Tm)은, 내열성 부여의 이유에서, 130℃∼25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180℃ 이상 또는 240℃ 이하의 범위가 더 바람직하다.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수지로서는, 시판품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Fluon ETFE, Fluon LM-ETFE, Fluon LM-ETFE AH 시리즈(아사히글라스사제), 네오플론 ETFE EP 시리즈(다이킨공업사제) 등을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다.
(본 반사 필름의 조성)
본 반사 필름을 구성하는, 상기 연속상(I)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A)와 상기 분산상(II)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B)의 혼합 질량비는, (A)/(B)=90질량%/10질량%∼50질량%/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80질량%/20질량%∼55질량%/45질량%, 그 중에서도 75질량%/25질량%∼60질량%/40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혼합 질량비로 하는 것에 의해, 분산상이 지나치게 적어지지 않아, 연속상과 분산상의 계면에 있어서의 산란이 작아져 반사 특성이 저하되는 등의 우려가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반사 필름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A)와 상기 열가소성 수지(B)를 적어도 1종씩 함유하고 있으면, 추가로 다른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해도 상관없고, 예컨대 상기 열가소성 수지(B)에 해당하는 열가소성 수지를 2종 이상 포함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기타 성분)
본 반사 필름에는, 상기 분산상(II)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필요에 따라 상용화제(C) 등의 첨가제를 첨가해도 된다.
상용화제(C)로서는, 연속상 및 분산상의 종류에 따라 관용되는 상용화제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에스터계 수지, 에폭시기를 가지는 수지, 옥사졸린환을 가지는 수지, 아즈락톤기를 가지는 수지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수지와, 스타이렌계 수지,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아마이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블록 코폴리머, 또는 그래프트 코폴리머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분산성 향상의 점에서, 에폭시기나 옥사졸린기를 가지는 수지 등이 특히 바람직하고, 특히 에폭시 변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용화제(C)를 첨가하는 경우의 배합 비율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A) 및 상기 열가소성 수지(B)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0.1∼2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2∼15질량부, 특히 0.2∼10질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1∼10질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용화제(C) 이외의 첨가제로서, 산화 방지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가수분해 방지제, 충격 개량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본 발명의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할 수 있다.
(분산상(II)의 분산경)
본 반사 필름은, 상기 분산상(II)의 흐름 방향의 평균 치수(L1) 및 폭 방향의 평균 치수(L2)가 0.45μm 이상 100μm 이하이고, 상기 분산상(II)의 두께 방향의 평균 치수(L3)이 0.01μm 이상 0.45μ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경은,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본 반사 필름은, 분산상(II)이, 편평한 타원상, 또는 원반상이 된다. 상기 분산상(II)의 흐름 방향의 평균 치수(L1) 및 폭 방향의 평균 치수(L2)가 0.45μm 이상이면, 광의 파장 오더보다도 충분히 크기 때문에, 필름면 내에 입사된 광을 연속상(I)과 분산상(II)의 계면에서 충분히 반사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높은 반사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L1 및 L2의 하한값은 0.80μ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0μm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L1 및 L2의 상한값은, 분산성 향상의 이유에서, 8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μ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μm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산상(II)의 두께 방향의 평균 치수(L3)가 0.01μm 이상 0.45μ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L3)이 0.01μm 이상인 것에 의해, 본 반사 필름의 두께 방향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분산상(II)에서 형성되는 매우 얇은 단면이 몇층이나 겹친 상태로 된다. 즉, 연속상(I)과 분산상(II)에 의한 해도 구조를 갖는, 적어도 2종의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물로, 의사적인 초다층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L3)의 하한값은, 0.02μ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3μm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L3)이 0.45μm 미만이면, 분산상의 두께가 충분히 얇기 때문에, 필름표면의 표면 거칠기를 억제하여, 금속과 같은 광택을 가진, 높은 반사율과 정반사 특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L3)의 상한값은 0.35μ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25μm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상(II)의 흐름 방향의 평균 치수(L1) 및 폭 방향의 평균 치수(L2)가 0.45μm 이상 100μm 이하이고, 상기 분산상(II)의 두께 방향의 평균 치수(L3)이 0.01μm 이상 0.45μm 미만으로 하는 수법으로서는, 상기 연속상(I)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A)와 상기 분산상(II)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B)를, 단축 압출기 또는 2축 압출기 등을 이용하여 상용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혼련하는 수법, 1축 연신에 의해 상기 분산상(II)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B)를 충분히 신장시키는 방법, 동시 2축 연신에 의해 상기 분산상(II)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B)를 충분히 신장시키는 방법, 축차 2축 연신에 의해 상기 분산상(II)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B)를 충분히 신장시키는 방법, T 다이 캐스팅법에 있어서 제막할 때에, 인취 속도(캐스팅 롤의 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에 의해 상기 분산상(II)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B)를 충분히 신장시키는 방법, 캐스팅법으로 인취 속도를 빠르게 하여, 상기 분산상(II)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B)를 신장시킨 후, 추가로 폭 방향으로 1축 연신하여, 분산상(II)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B)를 신장시키는 방법, 인플레이션법에 의해서 제막할 때에, 인취 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에 의해 상기 분산상(II)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B)를 충분히 신장시키는 방법, 압연이나 프레스에 의해 상기 분산상(II)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B)를 충분히 신장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평균 투과율)
본 반사 필름은, 측정 파장 400nm∼700nm의 평균 투과율이 2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균 투과율이 20% 미만인 것에 의해, 필름의 반사 특성을 담보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에 의해, 18% 미만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16% 미만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평균 투과율을 20% 미만으로 하기 위해서는, 상기 연속상(I)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A)의 평균 굴절률과 상기 분산상(II)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B)의 평균 굴절률의 차의 절대값이나, 상기 분산상(II)의 분산경의 제어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평균 반사율)
본 반사 필름은, 측정 파장 400nm∼700nm의 평균 반사율이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균 반사율이 80% 이상인 것에 의해, 필름의 반사 특성을 담보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에 의해, 82%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84%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평균 반사율을 80%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상기 연속상(I)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A)의 평균 굴절률과 상기 분산상(II)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B)의 평균 굴절률의 차의 절대값이나, 상기 분산상(II)의 분산경의 제어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제막 방법)
본 반사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우선, 적어도 2종의 열가소성 수지(A), (B) 및 그 밖의 원료를 함유하는 혼합 수지 조성물을 용융하여 시트 형상으로 제막하면 된다. 이 때, 제막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T 다이 캐스팅법, 캘린더법, 인플레이션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제막 안정성이나 생산 효율화의 관점에서, T 다이 캐스팅법이 바람직하다.
T 다이 캐스팅법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적어도 2종의 열가소성 수지를 건조시켜, 압출기에 공급하고, 수지의 융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용융한다. 그리고, 용융된 조성물을 T 다이의 슬릿상의 토출구로부터 압출하고, 냉각 롤에 밀착 고화시켜 캐스트 시트를 형성하면 된다.
시트의 압출 온도는, 각 수지의 유동 특성에도 따르지만,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계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대략 270℃∼340℃가 바람직하고, 280℃∼32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압출 온도가 270℃ 이상이면, 용융 수지가 유동하기에 충분하여 시트 성형이 가능하고, 한편, 340℃ 이하이면, 수지의 열분해 등에 의한 시트의 특성 저하가 생기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반사 필름은, 적어도 1축 방향으로 연신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방향으로서는, MD와 TD 중 어느 하나여도, 양축이어도 된다. 단, 본 반사 필름이 갖는 특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MD, TD 양 방향으로 연신하여, 필름을 배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MD, TD 양 방향으로 필름을 배향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상기한 연신에 의한 방법 이외에도, 예컨대, T 다이 캐스팅법에 있어서 제막할 때에, 인취 속도(캐스팅 롤의 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에 의해 MD에 드래프트를 건 후에 TD로 연신하는 방법, 인플레이션법에 의해서 제막할 때에, 인취 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에 의해 MD에 드래프트를 건 후에 TD로 연신하는 방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제막 안정성이나 생산 효율화를 고려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T 다이 캐스팅법에 의해서 제막한 시트를, MD, TD로 2축 연신하는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2축 연신하는 것에 의해, 연속상(I) 중에 분산상(II)를 거의 일정방향으로 배열시켜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연속상(I)과 분산상(II)의 굴절률차는 연신 방향으로 커짐과 함께, 분산상(II)가 연신 방향으로 신장되어, 분산상의 분산경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범위 내에 포함되어 온다. 그 때문에, 분산상(II)가 의사적인 초다층 구조를 갖게 되어, 금속과 같은 광택을 갖는 반사 필름을 제작할 수 있다.
연신 방법은, 인장 연신법, 롤간 연신법, 롤 압연법, 그 밖의 방법의 어느 것을 채용해도 된다.
연신 온도는,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 정도로부터 (Tg+50℃)의 범위 내의 온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온도가 이 범위이면, 연신 시에 파단되지 않고 안정되게 연신을 행할 수 있다.
연신 배율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MD 및/또는 TD로 2∼9배, 바람직하게는 MD 및/또는 TD로 3∼9배, 특히 MD 및/또는 TD로 4∼7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배율이 MD 및/또는 TD로 2배 이상이면, 분산상(II)가 신장되어, 본 발명이 규정하는 범위로 조정하기 쉬워져 바람직하다. 또한, 배향이 부여되어, 연속상(I)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A)와 분산상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B)의 굴절률차가 증대하여, 반사율 향상의 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9배 이하이면, 필름의 파단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연신한 시트는, 내열성 및 치수 안정성을 부여하도록,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계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열처리 온도는 180∼23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80∼200℃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열처리에 요하는 처리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초∼5분이다.
(두께)
본 반사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 등에 짜 넣는 경우에는, 50μm∼250μm, 특히 50μm∼200μ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반사 필름은, 두께를 증대시킨 경우, 산란 횟수가 증대하기 때문에, 반사 특성이 향상된다.
(인장 강신도)
본 반사 필름의 인장 강도는, 150M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150MPa 이상이면, 필름의 강성을 담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반사 필름의 인장 신도는,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30% 이상이면, 필름의 균열을 억제할 수 있다.
(수축률)
후술하는 수법에 의한 본 반사 필름의 수축률은,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5% 이하이면, 내열성 및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여, 실용상 불량을 일으키는 경우가 없다. 수축률을 상기한 범위로 하는 수단으로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신 시에 열처리하는 수법을 들 수 있다.
(정반사 특성)
본 반사 필름의 반사 특성으로서, 정반사성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 특성의 평가 방법으로서는, 변각 광도 측정이 있고, 예컨대, 필름의 면에 대하여 법선 방향을 0°로 하고, 입사각을 -X°로 하여, 샘플에 광을 입사했을 때, 샘플이 확산 반사성을 나타내는 경우에 있어서는, 그 반사광은 다양한 각도로 퍼짐을 갖고 반사된다. 한편, 샘플이 정반사성을 나타내는 경우, 반사광의 분포는, 반사각 X°를 피크로 한 반사광 분포를 나타낸다. 이 때, 정반사성이 높을수록, 피크가 날카롭게 나타난다. 이 때, 반사된 광의 피크의 최대 강도를 100%로 규격화하여, 횡축 수광각, 종축 수광 상대 피크 강도로 했을 때의 수광 상대 피크 강도가 1%, 10%가 되는 수광각폭이 정반사 특성의 지표가 된다.
이 수광 상대 피크 강도 10%의 수광각폭은,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5° 이하이면, 입사각에 대하여, 지향성이 강한 반사광을 얻을 수 있어, 우수한 정반사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수광 상대 피크 강도 1%의 수광각폭은,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40° 이하이면, 입사각에 대하여, 입사된 광의 손실을 막을 수 있고, 지향성이 강한 반사광을 얻을 수 있어, 우수한 정반사 특성을 나타낸다.
(표면 거칠기)
본 반사 필름의 표면 거칠기는, 적어도 한쪽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 Ra로서, 0.1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9μ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산술 평균 거칠기 Ra를 상기 범위로 하는 수단으로서는, 예컨대, 분산상(II)에 불소계 수지인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수지를 이용한 경우, 그 융점이 소정의 범위에 있는 것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해당 수지의 융점이 130℃ 이상 250℃ 이하인 것에 의해, 신장 변형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표면 거칠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막 시에 있어서, 용융된 수지 조성물을 T 다이의 슬릿상의 토출구로부터 압출하고, 냉각 롤에 밀착 고화시킬 때에, 용융된 수지 조성물의 양면을 평활성이 우수한 필름에 의해 끼우거나, 또는 용융된 수지 조성물의 편면을 평활성이 우수한 필름에 의해 접합하는 것이나, 평활성이 우수한 금속막이나 금속벨트를 밀어 부치는 것 등에 의해서도 표면 거칠함을 방지할 수 있다.
(층 구성)
본 반사 필름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주지를 넘어서지 않는 범위로, 역학 특성이나 그 밖의 개량 등, 필요에 따라 다른 층을 적절히 도입해도 된다. 예컨대, 확산 반사성을 나타내는 반사 필름 등과 중첩시킬 수 있다. 또한, 적층 구성으로 함에 있어서, 각 층의 수지 조성이나 두께비에 관해서는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용어의 설명>
본 반사 필름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판 형상, 시트 형상, 필름 형상 그 밖의 형태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필름」이란, 길이 및 폭에 비하여 두께가 극히 작고, 최대 두께가 임의로 한정되어 있는 얇은 평평한 제품으로, 통상, 롤의 형태로 공급되는 것을 말하고(일본공업규격 JISK6900), 일반적으로 「시트」란, JIS에서의 정의상, 얇고, 일반적으로 그 두께가 길이와 폭에 비해서는 작고 평평한 제품을 말한다. 그러나, 시트와 필름의 경계는 정확하지 않고, 본 발명에 있어서 문언상 양자를 구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필름」이라고 칭하는 경우라도 「시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시트」라고 칭하는 경우라도 「필름」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반사 필름은, 높은 반사 특성과 정반사 특성을 갖고, 금속과 같은 광택을 갖기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 조명 장치, 장식용 물품 등의 용도에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응용이 가능하다.
<측정 및 평가 방법>
우선은, 실시예·비교예에서 얻은 샘플의 각종 물성값의 측정 방법 및 평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열가소성 수지(A)와 열가소성 수지(B)의 평균 굴절률차
아타고제 압베 굴절률계를 이용하고, 나트륨 D선(589nm)을 광원으로 하여, JIS K7124에 의해,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이용한 각각의 원료의 평균 굴절률을 측정한 후, 평균 굴절률차를 산출했다.
(2) 두께
얻어진 반사 필름을 1/1000mm의 다이얼 게이지로, 면내를 불특정하게 5개소 측정하여 그의 평균을 두께로 했다.
(3) 투과율, 반사율의 평가 방법
투과율은, 분광 광도계((주)히타치제작소제: U-4000)에 적분구를 부착하고, 표준 백색판으로서 알루미나 백판(히타치계측기서비스사제, 210-0740)을 이용하여, 측정을 행했다. 측정 파장 범위는, 300nm 내지 800nm에서 행하여, 측정 파장 400nm 내지 700nm에서의 투과율의 평균값을 산출했다. 또한, 반사율에 관해서도 상기 장치에 의해, 알루미나 백판(히타치계측기서비스사제, 210-0740)의 반사율이 100%가 되도록, 베이스라인 보정을 행한 후, 측정을 행하여, 측정 파장 400nm 내지 700nm에서의 반사율의 평균값을 산출했다.
(4) 분산상(II)의 흐름 방향의 평균 치수(L1)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으로 얻어진 필름의 MD 단면을 관찰하고, 얻어진 사진으로부터 분산상(II)의 분산경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하기 기준으로 판단했다.
○: 평균 치수(L1)이 0.45μm 이상 100μm 이하이다.
×: 평균 치수(L1)이 0.45μm 미만, 또는 100μm보다 크다.
(5) 분산상(II)의 폭 방향의 평균 치수(L2)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으로 얻어진 필름의 TD 단면을 관찰하고, 얻어진 사진으로부터 분산상(II)의 분산경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하기 기준으로 판단했다.
○: 평균 치수(L2)가 0.45μm 이상 100μm 이하이다.
×: 평균 치수(L2)가 0.45μm 미만, 또는 100μm보다 크다.
(6) 분산상(II)의 두께 방향의 평균 치수(L3)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으로 얻어진 필름의 MD 단면, TD 단면을 관찰하고, 얻어진 사진으로부터 분산상(II)의 분산경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하기 기준으로 판단했다.
○: 평균 치수(L3)이 0.01μm 이상 0.45μm 이하이다.
×: 평균 치수(L3)이 0.01μm 미만, 또는 0.45μm보다 크다.
(7) 변각 광도 측정
고니오포토미터 GR200(무라카미색채연구소제, 자동 변각 광도 측정기)을 이용하여, 필름의 면에 대하여 법선 방향 0°로 하고, 입사각을 -45°로 하여, 샘플에 광을 입사하여, -60°로부터 90°의 범위에서 필름에 반사된 광을 수광했다. 이 때, 얻어지는 피크의 최대 강도를 100%로 규격화하여, 횡축 수광각, 종축 수광 상대 피크 강도의 그래프를 작성했다. 얻어진 그래프로부터, 수광 상대 피크 강도가 1%, 10%가 되는 수광각폭을 산출했다. 이 수광각폭이 좁은 쪽이 보다 정반사성이 강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얻어진 결과로부터, 하기 기준으로 판단했다.
=수광 상대 피크 강도 10%=
○; 수광 상대 피크 강도 10%의 수광각폭이 5° 이하이다.
×; 수광 상대 피크 강도 10%의 수광각폭이 5°보다 크다.
=수광 상대 피크 강도 1%=
○; 수광 상대 피크 강도 1%의 수광각폭이 40° 이하이다.
×; 수광 상대 피크 강도 1%의 수광각폭이 40°보다 크다.
(8) 산술 평균 거칠기 Ra
JIS B0601-2001에 준거한다.
우선, 반사 필름을 9mm 폭×6mm 길이로 잘라낸다. 잘라낸 반사 필름을, 관찰용 홀더에 카본 양면 테이프(닛신 EM 주식회사제)로 부착한다. 그 후, 관찰 시의 시료 표면에서의 대전(차지업)을 방지하기 위해, 시료의 주위 6개소에 도전 페이스트를 놓고, 표면에 Pt-Pd를 10mA로 100초 증착한다. 상기 샘플을 ESA-2000(에리오닉스사제, 비접촉식 삼차원 조도계)으로, 측정 배율 250배(측정 범위: 480μm×360μm)로 관찰하여, 산술 평균 거칠기 Ra를 산출했다.
(9) 인장 파단 강신도
얻어진 반사 필름에 대하여, JIS K7161(1994년)에 준거하여 샘플을 제작하여, 인장 파단 강도(MPa) 및 인장 파단 신도(%)를 MD, TD 양 방향에서 측정했다.
=인장 파단 강도=
○; 인장 파단 강도가 150MPa 이상
×; 인장 파단 강도가 150MPa 미만
=인장 파단 신도=
○; 인장 파단 신도가 30% 이상
×; 인장 파단 신도가 30% 미만
(10) 열수축률
얻어진 반사 필름에 대하여, 측정 방향을 따라 100mm의 간격의 표선을 긋고, 미리 130℃로 예열한 오븐 속에 매달았다. 30분 후 샘플을 꺼내어, 실온까지 방냉한 후, 샘플의 표선 사이의 길이를 금속 스케일로 측정하여, 가열 전후의 변화를 수축률로 했다. 측정 방향은 MD, TD 양 방향에서 측정했다.
○; 열수축률이 5% 이하
×; 열수축률이 5%를 초과한다.
<실시예 1, 2, 3>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평균 굴절률: 1.646, Tg: 118℃, Tm: 261℃, 고유 점도 0.71dl/g, 중량 평균 분자량 5만, 고유 복굴절률: 양, 이하, A-1로 표기)와,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수지(아사히글라스사제, Fluon LM-720AP; 평균 굴절률: 1.3795, Tg: 67℃, Tm: 227℃, 고유 복굴절률: 양, 이하, B-1로 표기)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내는 질량 혼합비로 배합하여, 충분히 혼합한 후, 정질량 피더로 공급하면서, φ25mm 2축 압출기로 290℃에서 압출 혼련하고, 롤 온도 110℃의 캐스팅 롤로 냉각 고화하여 두께 950μm의 캐스트 시트를 제작했다.
얻어진 캐스트 시트를, 예열 롤, 연신 롤, 냉각 롤로 이루어지는 종연신기로, 예열 온도 120℃, 연신 온도 130℃, 냉각 온도 70℃로, 연신 롤 사이에서의 롤 속도차에 의해 MD로 3배 연신했다.
그 후, 얻어진 종연신 필름을, 예열 존, 연신 존, 열처리 존으로 이루어지는 텐터로, 예열 130℃, 연신 130℃, 열처리 180℃로 TD로 4배 연신했다. 예열 존, 연신 존, 열처리 존의 통과 시간은 각각 32초였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실시예 2에서 이용한 B-1을,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수지(아사히글라스사제, Fluon LM-730AP; 평균 굴절률: 1.3812, Tg: 59℃, Tm: 228℃, 고유 복굴절률: 양, 이하, B-2로 표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반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실시예 2에서 이용한 B-1을,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수지(아사히글라스사제, Fluon LM-740AP; 평균 굴절률: 1.3819, Tg: 62℃, Tm: 228℃, 고유 복굴절률: 양, 이하, B-3으로 표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반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실시예 2에서 이용한 B-1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바이닐리덴플루오라이드계 수지(3M사제, THV221GZ; 평균 굴절률: 1.363, Tm: 113℃, 고유 복굴절률: 양, 이하, B-4로 표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반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15090683286-pct00001
상기 결과로부터 분명하듯이, 실시예의 반사 필름은, 높은 반사 특성과 높은 정반사 특성을 갖고, 우수한 표면 평활성을 가져, 금속과 같은 광택을 갖는 바람직한 반사 필름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비교예의 시트는, 두께 방향의 평균 치수(L3)가 규정값 이상인 것에 의해, 반사 특성, 정반사 특성, 표면 평활성이 함께 불충분했다.
상기 실시예·비교예의 결과, 및 지금까지 발명자가 행하여 온 시험 결과 등으로부터, 연속상(I)과 분산상(II)에 의한 해도 구조를 갖는 층을 적어도 1층 갖는 반사 필름에 있어서, 상기 분산상(II)의 흐름 방향의 평균 치수(L1) 및 폭 방향의 평균 치수(L2)가 0.45μm∼100μm이고, 상기 분산상(II)의 두께 방향의 평균 치수(L3)이 0.01μm∼0.45μm이며, 해당 연속상(I)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A)와 해당 분산상(II)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B)의 평균 굴절률차가 0.05 이상이고, 해당 필름의 측정 파장 400nm∼7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80% 이상이면, 의사적인 다층 효과를 발현시킬 수 있어, 높은 반사 특성과 정반사 특성을 갖고, 금속과 같은 광택을 부여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비교예 2>
실시예 2에서 이용한 B-1을,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수지(아사히글라스사제, Fluon ETFE C88AXP; 평균 굴절률: 1.3894, Tg: 81℃, Tm: 256℃, 고유 복굴절률: 양, 이하, B-5로 표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반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실시예 2의 TD의 연신 배율을 4배로부터 5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반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실시예 2의 TD의 연신 배율을 4배로부터 6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반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8>
실시예 2의 TD의 연신 배율을 4배로부터 7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반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3>
비교예 1의 TD의 연신 배율을 4배로부터 5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반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4>
비교예 1의 TD의 연신 배율을 4배로부터 6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반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5>
비교예 1의 TD의 연신 배율을 4배로부터 7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반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6>
비교예 2의 TD의 연신 배율을 4배로부터 5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2와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반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7>
비교예 2의 TD의 연신 배율을 4배로부터 6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2와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반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8>
비교예 2의 TD의 연신 배율을 4배로부터 7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2와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반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15090683286-pct00002
Figure 112015090683286-pct00003
상기 결과로부터 분명하듯이,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불소계 수지의 융해 흡열 피크 온도가 원하는 범위에 있기 때문에, 분산상이 매우 얇은 판상 구조가 몇 층으로도 겹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높은 반사 특성과 높은 정반사 특성을 갖고, 우수한 표면 평활성을 가져, 금속과 같은 광택을 갖는 적합한 반사 필름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비교예 1, 비교예 3∼5의 시트는, 불소계 수지의 융해 흡열 피크 온도가 원하는 범위보다 낮기 때문에, 폴리에스터계 수지와의 혼련·압출 시에 표면 거칠함이 생기고, 결과로서, 반사 특성, 정반사 특성이 함께 불충분했다.
또한, 비교예 2, 비교예 6∼8의 시트는, 불소계 수지의 융해 흡열 피크 온도가 희망보다 높고, 분산상이 큰 타원체에 의해 형성되어, 입사한 광이 산란되기 때문에, 반사 특성은 양호한 값을 나타내지만, 정반사 특성, 표면 평활성이 함께 불충분했다.
상기 실시예·비교예의 결과, 및 지금까지 발명자가 행하여 온 시험 결과 등으로부터, 연속상(I)과 분산상(II)에 의한 해도 구조를 갖는 층을 적어도 1층 갖는 반사 필름에 있어서, 상기 연속상(I)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A)와 상기 분산상(II)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B) 중 어느 한쪽이, 폴리에스터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이루어지고, 다른 한쪽이, 불소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이루어지며, 해당 불소계 수지의 융해 흡열 피크 온도가 130∼250℃이면, 의사적인 다층 효과를 발현시킬 수 있어, 높은 반사 특성과 정반사 특성을 갖고, 금속과 같은 광택을 부여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Claims (14)

  1. 적어도 2종의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고, 연속상(I)과 분산상(II)에 의한 해도 구조를 갖는 층을 적어도 1층 갖는 반사 필름으로서, 상기 분산상(II)의 흐름 방향의 평균 치수(L1) 및 폭 방향의 평균 치수(L2)가 0.45μm 이상 100μm 이하이고, 상기 분산상(II)의 두께 방향의 평균 치수(L3)이 0.01μm 이상 0.45μm 미만이며, 해당 연속상(I)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A)와 해당 분산상(II)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B)의 평균 굴절률차가 0.05 이상이고, 해당 필름의 측정 파장 400nm∼7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상(I)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A)와 상기 분산상(II)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B)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폴리에스터계 수지를 50질량%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상(I)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A)와 상기 분산상(II)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B) 중 어느 한쪽이, 폴리에스터계 수지를 50질량%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다른 한쪽이, 불소계 수지를 50질량%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필름.
  4. 삭제
  5.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터계 수지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필름.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수지가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필름.
  7. 삭제
  8. 제 5 항에 있어서,
    측정 파장 400nm∼7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필름.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1축 방향으로 연신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필름.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름의 흐름 방향, 필름의 폭 방향, 또는 이들 양 방향으로 2∼9배 연신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필름.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 Ra가 0.1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필름.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사 필름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액정 표시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사 필름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조명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사 필름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장식용 물품.
KR1020157025668A 2013-02-19 2014-02-13 반사 필름, 및 이것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액정 표시 장치, 조명 장치, 장식용 물품 KR1017182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29709 2013-02-19
JP2013029709 2013-02-19
JP2013029707 2013-02-19
JPJP-P-2013-029707 2013-02-19
PCT/JP2014/053285 WO2014129372A1 (ja) 2013-02-19 2014-02-13 反射フィルム、及びこれを備えてなる液晶表示装置、照明装置、装飾用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467A KR20150120467A (ko) 2015-10-27
KR101718276B1 true KR101718276B1 (ko) 2017-03-20

Family

ID=51391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5668A KR101718276B1 (ko) 2013-02-19 2014-02-13 반사 필름, 및 이것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액정 표시 장치, 조명 장치, 장식용 물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718276B1 (ko)
CN (1) CN105008968B (ko)
TW (1) TWI622812B (ko)
WO (1) WO20141293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3976A1 (ja) * 2015-07-21 2017-01-26 東レ株式会社 白色反射フィルム
JP6577586B2 (ja) * 2015-07-24 2019-09-18 帝人フィルム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白色反射フィルム
JPWO2018025663A1 (ja) * 2016-08-02 2019-05-30 東レ株式会社 成形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白色樹脂成形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6990A (ja) * 1996-02-29 2000-06-06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光学フィルム
JP2006137146A (ja) 2004-11-15 2006-06-01 Mitsubishi Plastics Ind Ltd 脂肪族ポリエステル系樹脂反射フィルム及び反射板
JP2008537168A (ja) 2005-04-06 2008-09-11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可剥性粗面境界層を備えた光学体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2905A (en) 1989-06-20 1992-06-16 The Dow Chemical Company Relective polymeric body
US5278694A (en) 1990-01-11 1994-01-11 The Dow Chemical Company Optically dissimilar composition for polymeric reflective bodies
US5126880A (en) 1990-12-18 1992-06-30 The Dow Chemical Company Polymeric reflective bodies with multiple layer types
CN1121622C (zh) * 1996-02-29 2003-09-17 美国3M公司 使用漫反射偏振器的显示器
JPWO2007069473A1 (ja) * 2005-12-12 2009-05-21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偏光板保護フィルム、フィルム製造方法、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4548430B2 (ja) * 2006-03-02 2010-09-22 東レ株式会社 反射板用白色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TW201000962A (en) * 2008-03-26 2010-01-01 Asahi Chemical Ind Reflection sheet
CN102159974B (zh) * 2008-08-07 2013-04-17 东洋纺织株式会社 各向异性光扩散膜、各向异性光扩散层叠体、各向异性光反射层叠体及其用途
US8981212B2 (en) * 2009-06-05 2015-03-17 Toray Industries, Inc. Polyester film, laminated film, solar battery backsheet and solar battery
JP2011069989A (ja) * 2009-09-25 2011-04-07 Asahi Kasei Corp 反射シート
JP2011237572A (ja) * 2010-05-10 2011-11-24 Mitsubishi Plastics Inc シクロオレフィン系樹脂反射フィルム
JP5883236B2 (ja) * 2011-06-10 2016-03-09 日東電工株式会社 薄層基材用キャリア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6990A (ja) * 1996-02-29 2000-06-06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光学フィルム
JP2006137146A (ja) 2004-11-15 2006-06-01 Mitsubishi Plastics Ind Ltd 脂肪族ポリエステル系樹脂反射フィルム及び反射板
JP2008537168A (ja) 2005-04-06 2008-09-11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可剥性粗面境界層を備えた光学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467A (ko) 2015-10-27
CN105008968A (zh) 2015-10-28
TWI622812B (zh) 2018-05-01
WO2014129372A1 (ja) 2014-08-28
CN105008968B (zh) 2018-06-19
TW201439602A (zh) 2014-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14426B (zh) 光擴散性薄膜
JP6424474B2 (ja) 反射フィルム、及びこれを備えてなる液晶表示装置、照明装置、装飾用物品
KR101718276B1 (ko) 반사 필름, 및 이것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액정 표시 장치, 조명 장치, 장식용 물품
WO2016167149A1 (ja) 反射フィルム、及びこれを備えてなる液晶表示装置、照明装置、装飾用物品
JP5643452B2 (ja) 反射フィルム、及びこれを備えてなる液晶表示装置、照明装置、装飾用物品
JP5270409B2 (ja) 光反射体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及び照明装置
JP5643451B2 (ja) 反射フィルム、及びこれを備えてなる液晶表示装置、照明装置、装飾用物品
JP6459951B2 (ja) 反射フィルム、及びこれを備えてなる液晶表示装置、照明装置、装飾用物品
KR20130083736A (ko) 백색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백색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이를 이용한 반사시트
TW201030385A (en) Light reflector and planar light source device using the same
KR101574190B1 (ko) 백색 폴리에스테르 반사필름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사시트
JP2006195453A (ja) 光反射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
KR102644128B1 (ko) 다층 적층 필름
JP4173074B2 (ja) 二軸延伸多層積層フィルム、装飾用糸および装飾用粉末
KR101671817B1 (ko) 저광택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반사 시트
KR102231849B1 (ko)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반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
WO2004113969A1 (ja) 光反射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
KR102067896B1 (ko)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반사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JP6014415B2 (ja) 散乱型偏光子、及びこれを備えてなる液晶表示装置
JP2010191112A (ja) 反射シート
JP2018176679A (ja) 延伸フィルム
JP2018192737A (ja) 延伸フィルム
KR102001118B1 (ko)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적층형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19014085A (ja) 延伸フィルム
KR102096671B1 (ko) 고강성 백색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반사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