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6982B1 - 임시 체결 구조를 갖는 시트 프레임 - Google Patents

임시 체결 구조를 갖는 시트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6982B1
KR101716982B1 KR1020150185852A KR20150185852A KR101716982B1 KR 101716982 B1 KR101716982 B1 KR 101716982B1 KR 1020150185852 A KR1020150185852 A KR 1020150185852A KR 20150185852 A KR20150185852 A KR 20150185852A KR 101716982 B1 KR101716982 B1 KR 101716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upper region
seating hole
frame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희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50185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9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 B60N2/01508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 B60N2/01516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with locking mechanisms
    • B60N2/0152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with locking mechanisms with locking elements expanding inside or under the vehicle floor or rail
    • B60N2/01541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with locking mechanisms with locking elements expanding inside or under the vehicle floor or rail using moving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2Jo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시트 제작 시 백 프레임과 쿠션 프레임을 상호 조립하는 공정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해 백 프레임과 쿠션 프레임을 견고하게 임시적으로 체결할 수 있는 임시 체결 구조를 갖는 시트 프레임이 개시된다. 상기 임시 체결 구조를 갖는 시트 프레임은, 일 방향으로 돌출된 후크부가 형성된 측면을 갖는 백 프레임; 및 상기 후크부를 안착시키는 안착홀을 포함하는 쿠션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안착홀은 상부영역과 측면영역을 갖도록 상기 쿠션 프레임의 일 모서리부에 형성되며, 상기 안착홀의 상기 상부영역 또는 상기 측면영역은 단차를 갖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임시 체결 구조를 갖는 시트 프레임{SEAT FRAME HAVING TEMPORARY JOINING STRUCTURE}
본 발명은 임시 체결 구조를 갖는 시트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시트 제작 시 백 프레임과 쿠션 프레임을 상호 조립하는 공정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해 백 프레임과 쿠션 프레임을 견고하게 임시적으로 체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시트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시트를 구성하는 시트 프레임은 크게 등받이 부분에 해당하는 백 프레임과 엉덩이를 지지하는 쿠션에 해당하는 쿠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시트의 시트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프레임은 백 프레임(10)과 쿠션 프레임(20)으로 구성되며, 두 프레임(10, 20)을 상호 결합하여 최종적인 시트 프레임 구조가 완성된다.
시트의 제조 공정에서 백 프레임(10)과 쿠션 프레임(20)을 상호 연결시키는 조립을 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여러 가지 부속품들을 여러 위치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백 프레임(10)과 쿠션 프레임(20)을 임시로 체결하게 된다.
이러한 백 프레임(10)과 쿠션 프레임(20)의 조립 고정 상의 임시 체결을 위해 백 프레임(10)과 쿠션 프레임(20)에는 임시 체결을 위한 구조가 형성된다.
종래에는 백 프레임(10)의 측면부 일 영역에 일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후크부를 형성하고, 쿠션 프레임(20)의 측면부 일 영역에 후크부를 안착하기 위한 안착 홀을 마련하여 후크부를 안착 홀에 삽입하여 걸리도록 함으로써 임시 체결을 형성하였다. 도 1에서 참조 부호 'A'는 이러한 임시 체결 구조가 형성되는 영역을 도시한다.
그러나, 종래의 임시 체결 구조는 단순한 형상의 안착 홀에 후크부를 안착시키는 데 불과하여 조립 공정 시 후크부가 안착 홀을 이탈하여 백 프레임이 후퇴하거나 백 프레임이 자중에 의해 후방으로 넘어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시트 프레임 조립 공정을 수행하는 작업자는 부속품들을 조립할 때 백 프레임을 한 손으로 잡고 지탱하면서 작업해야 하는 등 작업에 불편함이 발생하고 그에 따라 작업 능률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3-0060642 A JP 2013-067238 A KR 10-2012-0092205 A
이에 본 발명은, 시트의 백 프레임과 쿠션 프레임을 상호 조립하는 공정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해 백 프레임과 쿠션 프레임을 견고하게 임시적으로 체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시트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일 방향으로 돌출된 후크부가 형성된 측면을 갖는 백 프레임; 및
상기 후크부를 안착시키는 안착홀을 포함하는 쿠션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안착홀은 상부영역과 측면영역을 갖도록 상기 쿠션 프레임의 일 모서리부에 형성되며, 상기 안착홀의 상기 상부영역 또는 상기 측면영역은 단차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체결 구조를 갖는 시트 프레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안착홀의 상기 상부영역은, 상기 모서리부에서 상대적으로 더 멀리 형성된 제1 상부영역과 상기 제1 상부영역의 전방 또는 후방에 형성되며 상기 모서리부에 상대적으로 더 가까이 형성되는 제2 상부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안착홀의 상기 측면영역은 상기 모서리부에 상대적으로 더 가까이 형성된 제1 측면영역과 상기 제1 측면영역의 전방 또는 후방에 형성되며 상기 모서리부에 상대적으로 더 멀리 형성된 제2 측면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안착홀의 상기 측면영역은 상기 제1 상부영역과 시트 가로 방향으로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모서리부에 상대적으로 더 가까이 형성된 제1 측면영역과 상기 제2 상부영역과 시트 가로 방향으로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모서리부에 상대적으로 더 멀리 형성된 제2 측면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안착홀의 상기 상부영역은 상기 제1 측면영역과 시트 가로 방향으로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모서리부에 상대적으로 더 멀리 형성된 제1 상부영역과 상기 제2 측면영역과 시트 가로 방향으로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모서리부에 상대적으로 더 가까이 형성된 제2 상부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안착홀의 상기 상부영역은, 상기 모서리부에서 상대적으로 더 멀리 형성된 제1 상부영역과 상기 제1 상부영역의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모서리부에 상대적으로 더 가까이 형성되는 제2 상부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안착홀의 상기 측면영역은 상기 제1 상부영역과 시트 가로 방향으로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모서리부에 상대적으로 더 가까이 형성된 제1 측면영역과 상기 제2 상부영역과 시트 가로 방향으로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모서리부에 상대적으로 더 멀리 형성된 제2 측면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안착홀의 상기 상부영역은, 상기 모서리부에서 상대적으로 더 멀리 형성된 제1 상부영역과 상기 제1 상부영역의 후방에 형성되며 상기 모서리부에 상대적으로 더 가까이 형성되는 제2 상부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안착홀의 상기 측면영역은 상기 제1 상부영역과 시트 가로 방향으로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모서리부에 상대적으로 더 가까이 형성된 제1 측면영역과 상기 제2 상부영역과 시트 가로 방향으로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모서리부에 상대적으로 더 멀리 형성된 제2 측면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제1 상부영역을 통해 상기 쿠션 프레임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안착홀로 삽입된 후, 상기 제2 측면영역으로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하여 안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갖는 임시 체결 구조를 갖는 시트 프레임에 따르면, 백 프레임의 후크부가 안착되는 안착홀의 구조를 상부 및 측면에서 단차를 갖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후크부가 안착홀 내에 안착된 이후 후크부가 의해 후방으로의 수평 방향 이동 또는 후방 회전 이동 되는 것을 단차 구조가 걸림턱의 역할을 하여 차단하여 견고한 임시 체결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임시 체결 구조를 갖는 시트 프레임에 따르면 시트 제조 공정 중 백 프레임과 쿠션 프레임을 상호 결합되도록 조립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통상의 시트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임시 체결 구조를 갖는 시트 프레임의 임시 체결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임시 체결 구조를 갖는 시트 프레임의 쿠션 프레임에 형성된 안착홀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안착홀에 백 프레임의 후크부가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임시 체결 구조를 갖는 시트 프레임의 쿠션 프레임에 형성된 안착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안착홀에 백 프레임의 후크부가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임시 체결 구조를 갖는 시트 프레임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른 임시 체결 구조를 갖는 시트 프레임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임시 체결 구조를 갖는 시트 프레임의 임시 체결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른 임시 체결 구조를 갖는 시트 프레임은 백 프레임(10)과 쿠션 프레임(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백 프레임(10)의 그 측면부에 일 방향으로 돌출된 후크부(11)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 후크부(11)가 형성된 백 프레임(10)의 측면부에 대면하는 쿠션 프레임(20)의 일 영역에는 안착홀(21)이 마련될 수 있다.
후크부(11)는 백 프레임(10)의 측면부에서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체결되는 쿠션 프레임(20)의 방향으로 돌출되되 그 형상은 소정 면적을 갖는 평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안착홀(21)은 후크부(11)가 삽입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부영역(211, 213)과 측면영역을 갖도록, 쿠션 프레임(20) 중 상부에서 측면으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 일 모서리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개략적인 체결 구조만 시각적으로 제시하기 위해 쿠션 프레임(20)을 반 투명하게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으므로 안착홀(21)의 구조가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다만 안착홀(21)의 상부영역의 단차 구조(211, 213)만 비교적 명확하게 나타난다. 하지만, 이하의 설명 및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을 통해 그 구조 및 작용 효과가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임시 체결 구조를 갖는 시트 프레임의 쿠션 프레임에 형성된 안착홀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안착홀(21)은, 상부영역과 측면영역을 갖도록 쿠션 프레임(20)의 모서리부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이 모서리부는 상부에서 측면으로 절곡됨으로써 형성된 모서리로서, 모서리를 구성하는 상부 및 측면부에 걸쳐 안착홀(2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안착홀(21)은 그 상부영역 또는 측면영역이 단차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 3의 예에서는 안착홀(21)의 상부영역은 안착홀(21)이 형성된 모서리부에서 상대적으로 더 멀리 형성된 제1 상부영역(211)과 제1 상부영역(211)의 전방에 형성되며 모서리부에 상대적으로 더 가까이 형성되는 제2 상부영역(213)을 포함한다.
또한, 도 3의 예에서 안착홀(21)의 측면 영역은 모서리부에 상대적으로 더 가까이 형성된 제1 측면영역(215)과 제1 측면영역(215)의 전방에 형성되며 모서리부에서 상대적으로 더 멀리 형성된 제2 측면영역(217)을 포함한다. 즉, 제1 측면영역(215)은 제1 상부영역(211)과 시트의 가로 방향으로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며 제2 측면영역(215)은 제2 상부영역(213)과 시트의 가로 방향으로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안착홀에 백 프레임의 후크부가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 프레임(10)에 마련된 후크부(11)는 도 3에서 지면으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돌출된 것으로, 후크부(11)는 제1 상부영역(211)을 통해 쿠션 프레임(2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안착홀(21)로 삽입된 후, 제2 측면 영역(217)으로 전진 이동하여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 구조는 백 프레임(10)과 쿠션 프레임(20)의 견고한 임시 체결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임시 체결 구조를 갖는 시트 프레임의 쿠션 프레임에 형성된 안착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안착홀을 다른 예는 안착홀(21)의 상부영역 및 측면영역의 단차 구조가 도 3에 도시된 예와 반대로 형성된 것이다.
즉,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안착홀(21')의 다른 예는, 상부영역과 측면영역을 갖도록 쿠션 프레임(20)의 모서리부에 형성되되, 안착홀(21')의 상부영역은 안착홀(21')이 형성된 모서리부에서 상대적으로 더 멀리 형성된 제1 상부영역(211')과 제1 상부영역(211)의 후방에 형성되며 모서리부에 상대적으로 더 가까이 형성되는 제2 상부영역(213')을 포함한다.
또한, 도 5의 예에서 안착홀(21')의 측면 영역은 모서리부에 상대적으로 더 가까이 형성된 제1 측면영역(215')과 제1 측면영역(215')의 후방에 형성되며 모서리부에서 상대적으로 더 멀리 형성된 제2 측면영역(217')을 포함한다. 즉, 제1 측면영역(215')은 제1 상부영역(211')과 시트의 가로 방향으로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며 제2 측면영역(215')은 제2 상부영역(213')과 시트의 가로 방향으로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다.
도 6는 도 4에 도시된 안착홀에 백 프레임의 후크부가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안착홀(21')의 예는 도 3에 도시된 안착홀(21)의 예와 비교할 때 단차 구조가 반대로 형성되므로, 후크부와의 결합 구조도 반대가 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 프레임(10)에 마련된 후크부(11)는 도 5에서 지면으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돌출된 것으로, 후크부(11)는 제1 상부영역(211')을 통해 쿠션 프레임(2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안착홀(21')로 삽입된 후, 제2 측면 영역(217')으로 후퇴 이동하여 안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임시 체결 구조를 갖는 시트 프레임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히, 도 7은 도 3 및 도 4를 통해 설명된 안착홀의 예를 적용한 실시형태에 관한 것이다.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쿠션 프레임(20)과 백 프레임(10)의 임시 체결이 형성되는 경우, 백 프레임(10)이 후방으로 소정 기울기를 갖고 기울어져 있으므로 자중에 의한 힘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힘에 의해 백 프레임(10) 자체는 후방으로 수평 이동할 수도 있으며 회전하여 쓰러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임시 체결 구조, 즉 쿠션 프레임(20)의 안착홀(21) 구조를 채용하여 후크부(11)를 안착시키는 경우, 안착홀(21)의 측면영역의 단차 구조(즉, 제1 측면영역(215))에 의해 후크부(11)가 후방 수평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안착홀(21)의 상부영역의 단차 구조(즉, 제2 상부영역(213)에 의해 후크부(11)가 회전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임시 체결 구조를 형성한 이후 백 프레임 자체가 후방 수평 이동하거나 자중에 의해 뒤로 쓰러지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5 및 도 6을 통해 설명된 실시형태 역시 도 7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거나 개선된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안착홀(21')은 후크부(11)를 시트 전방에서 하부로 삽입하여 후방으로 이송시켜 안착시키는 구조이다. 시트 프레임의 임시 체결 시 백 프레임이 주로 후방으로 향하는 힘을 받는다는 점을 고려할 때, 도 5 및 도 6의 예는 후크부(11)가 안착홀(21') 내로 안착 후 더 이상 후방으로 이동될 가능성이 없다는 점에서 도 3 및 도 4의 예에 비해 체결의 견고함이 더 높은 구조라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임시 체결 구조를 갖는 시트 프레임은, 백 프레임의 후크부가 안착되는 안착홀의 구조를 상부 및 측면에서 단차를 갖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후크부가 안착홀 내에 안착된 이후 후크부가 의해 후방으로의 수평 방향 이동 또는 후방 회전 이동 되는 것을 단차 구조가 걸림턱의 역할을 하여 차단함으로써 견고한 임시 체결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임시 체결 구조를 갖는 시트 프레임은 시트 제조 공정 중 백 프레임과 쿠션 프레임을 상호 결합되도록 조립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백 프레임 11: 후크부
21, 21': 안착홀 211, 211': 제1 상부영역
213, 213': 제2 상부영역 215, 215': 제1 측면영역
217, 217': 제2 측면영역

Claims (8)

  1. 삭제
  2. 일 방향으로 돌출된 후크부가 형성된 측면을 갖는 백 프레임; 및
    상기 후크부를 안착시키는 안착홀을 포함하는 쿠션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안착홀은 상부영역과 측면영역을 갖도록 상기 쿠션 프레임의 일 모서리부에 형성되며, 상기 안착홀의 상기 상부영역 또는 상기 측면영역은 단차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안착홀의 상기 상부영역은, 상기 모서리부에서 상대적으로 더 멀리 형성된 제1 상부영역과 상기 제1 상부영역의 전방 또는 후방에 형성되며 상기 모서리부에 상대적으로 더 가까이 형성되는 제2 상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체결 구조를 갖는 시트 프레임.
  3. 일 방향으로 돌출된 후크부가 형성된 측면을 갖는 백 프레임; 및
    상기 후크부를 안착시키는 안착홀을 포함하는 쿠션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안착홀은 상부영역과 측면영역을 갖도록 상기 쿠션 프레임의 일 모서리부에 형성되며, 상기 안착홀의 상기 상부영역 또는 상기 측면영역은 단차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안착홀의 상기 측면영역은 상기 모서리부에 상대적으로 더 가까이 형성된 제1 측면영역과 상기 제1 측면영역의 전방 또는 후방에 형성되며 상기 모서리부에 상대적으로 더 멀리 형성된 제2 측면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체결 구조를 갖는 시트 프레임.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착홀의 상기 측면영역은 상기 제1 상부영역과 시트 가로 방향으로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모서리부에 상대적으로 더 가까이 형성된 제1 측면영역과 상기 제2 상부영역과 시트 가로 방향으로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모서리부에 상대적으로 더 멀리 형성된 제2 측면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체결 구조를 갖는 시트 프레임.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안착홀의 상기 상부영역은 상기 제1 측면영역과 시트 가로 방향으로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모서리부에 상대적으로 더 멀리 형성된 제1 상부영역과 상기 제2 측면영역과 시트 가로 방향으로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모서리부에 상대적으로 더 가까이 형성된 제2 상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체결 구조를 갖는 시트 프레임.
  6. 일 방향으로 돌출된 후크부가 형성된 측면을 갖는 백 프레임; 및
    상기 후크부를 안착시키는 안착홀을 포함하는 쿠션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안착홀은 상부영역과 측면영역을 갖도록 상기 쿠션 프레임의 일 모서리부에 형성되며, 상기 안착홀의 상기 상부영역 또는 상기 측면영역은 단차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안착홀의 상기 상부영역은, 상기 모서리부에서 상대적으로 더 멀리 형성된 제1 상부영역과 상기 제1 상부영역의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모서리부에 상대적으로 더 가까이 형성되는 제2 상부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안착홀의 상기 측면영역은 상기 제1 상부영역과 시트 가로 방향으로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모서리부에 상대적으로 더 가까이 형성된 제1 측면영역과 상기 제2 상부영역과 시트 가로 방향으로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모서리부에 상대적으로 더 멀리 형성된 제2 측면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체결 구조를 갖는 시트 프레임.
  7. 일 방향으로 돌출된 후크부가 형성된 측면을 갖는 백 프레임; 및
    상기 후크부를 안착시키는 안착홀을 포함하는 쿠션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안착홀은 상부영역과 측면영역을 갖도록 상기 쿠션 프레임의 일 모서리부에 형성되며, 상기 안착홀의 상기 상부영역 또는 상기 측면영역은 단차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안착홀의 상기 상부영역은, 상기 모서리부에서 상대적으로 더 멀리 형성된 제1 상부영역과 상기 제1 상부영역의 후방에 형성되며 상기 모서리부에 상대적으로 더 가까이 형성되는 제2 상부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안착홀의 상기 측면영역은 상기 제1 상부영역과 시트 가로 방향으로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모서리부에 상대적으로 더 가까이 형성된 제1 측면영역과 상기 제2 상부영역과 시트 가로 방향으로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모서리부에 상대적으로 더 멀리 형성된 제2 측면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체결 구조를 갖는 시트 프레임.
  8.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제1 상부영역을 통해 상기 쿠션 프레임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안착홀로 삽입된 후, 상기 제2 측면영역으로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하여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체결 구조를 갖는 시트 프레임.
KR1020150185852A 2015-12-24 2015-12-24 임시 체결 구조를 갖는 시트 프레임 KR101716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852A KR101716982B1 (ko) 2015-12-24 2015-12-24 임시 체결 구조를 갖는 시트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852A KR101716982B1 (ko) 2015-12-24 2015-12-24 임시 체결 구조를 갖는 시트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6982B1 true KR101716982B1 (ko) 2017-03-16

Family

ID=58497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852A KR101716982B1 (ko) 2015-12-24 2015-12-24 임시 체결 구조를 갖는 시트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69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98357B2 (ja) 2020-10-27 2023-12-14 株式会社タチエス 車両用シート及び車両用シートのフレーム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5039U (ko) * 1988-09-24 1990-03-28
JP2000050993A (ja) * 1998-08-11 2000-02-22 Nanba Press Kogyo Kk リクライニング式の座席
JP2003508181A (ja) * 1999-09-09 2003-03-04 カイペル ゲーエムベーハー アンド カンパニー 迅速組み立て用接合部を有する車両用シート
KR20030060642A (ko) 2002-01-10 2003-07-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시트백 프레임과 시트쿠션 프레임의 조립구조
JP2011157027A (ja) * 2010-02-03 2011-08-18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KR20120092205A (ko) 2010-12-29 2012-08-21 주식회사다스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
JP2013067238A (ja) 2011-09-21 2013-04-18 Nhk Spring Co Ltd 車両用シー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5039U (ko) * 1988-09-24 1990-03-28
JP2000050993A (ja) * 1998-08-11 2000-02-22 Nanba Press Kogyo Kk リクライニング式の座席
JP2003508181A (ja) * 1999-09-09 2003-03-04 カイペル ゲーエムベーハー アンド カンパニー 迅速組み立て用接合部を有する車両用シート
KR20030060642A (ko) 2002-01-10 2003-07-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시트백 프레임과 시트쿠션 프레임의 조립구조
JP2011157027A (ja) * 2010-02-03 2011-08-18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KR20120092205A (ko) 2010-12-29 2012-08-21 주식회사다스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
JP2013067238A (ja) 2011-09-21 2013-04-18 Nhk Spring Co Ltd 車両用シー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98357B2 (ja) 2020-10-27 2023-12-14 株式会社タチエス 車両用シート及び車両用シートのフレー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289794T3 (da) Sæde til köretöj med ryglæn, som kan vippes
JP2014080058A (ja) 車両用シート
KR101716982B1 (ko) 임시 체결 구조를 갖는 시트 프레임
CA2863093A1 (en) Method of welding an upper rail and an adapter bracket in a seat track for a vehicle seat
JP2009280146A (ja) 車体構造
JP2011085168A (ja) 取り付け構造、及び取り付け具
JP2011102071A (ja) 車両用シートのバックフレーム
JP6450975B2 (ja) 乗物用シート
KR101517723B1 (ko) 자동차용 리어 범퍼 어셈블리 결합 브라켓
US9242586B2 (en) Seat riser
JP2534003Y2 (ja) 机等のセンターレール取付構造
JP6335108B2 (ja) 座席装置
CN104512307A (zh) 用于交通工具座椅的座椅框架
KR20170058654A (ko) 등받이 시트 탈거가 가능한 자동차 시트
JP2016133137A (ja) クリップ
JP2020023326A5 (ko)
JP2015198901A5 (ja) イス、支持フレーム及び座体支持機構
EP3787959B1 (fr) Structure de vehicule automobile avec support de rallonge de plancher arriere pour choc frontal
JP7087714B2 (ja) 車両用エンブレム組付構造
JP5972338B2 (ja)
JP2012030634A (ja) 車両用シート
WO2016063826A1 (ja) 椅子
JP5394898B2 (ja) ワークステーション装置
JP3208409U (ja) 車両シート用クッション固定ベルト及び車両シート用クッション
JP2017077778A (ja) 車両後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