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6975B1 - 오토릴리즈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 - Google Patents

오토릴리즈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6975B1
KR101716975B1 KR1020150175706A KR20150175706A KR101716975B1 KR 101716975 B1 KR101716975 B1 KR 101716975B1 KR 1020150175706 A KR1020150175706 A KR 1020150175706A KR 20150175706 A KR20150175706 A KR 20150175706A KR 101716975 B1 KR101716975 B1 KR 101716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back
bracket
folding
fixed
pa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5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덕강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50175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9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31Movement of the la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81Activation of the latches by the control mechan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0Spiral springs with turns lying substantially in plane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의 2열 시트의 시트쿠션과 폴딩/언폴딩되도록 연결된 시트백; 시트백 내부의 프레임에 고정되며, 차체 측에 고정된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베이스브라켓; 베이스브라켓에서 회동되도록 연결되는 포울; 베이스브라켓에서 회동되도록 연결되되, 코일스프링을 통해 포울과의 회동이 연계되고, 일측에는 스트라이커와 체결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클로우; 포울에 연결되어 포울을 회동시키는 상부액츄에이터; 객실 측에 마련되며, 상부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는 컨트롤러; 시트백의 폴딩됨에 따라 시트백의 폴딩을 가속화시키다가 시트백의 폴딩에 반발력을 제공하는 폴딩체커;를 포함하는 오토릴리즈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오토릴리즈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 {2 ROW SEAT FUNCTIONED AUTOMATIC RELEASING FOR VEHICLE}
본 발명은 2열 시트의 시트백을 락킹상태를 해제하고 폴딩시킴에 있어 별도의 외력을 가하지 않고 폴딩시키며 시트백이 자중에 의해 폴딩되어 시트쿠션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해주는 오토릴리즈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2열 시트에서 시트백을 폴딩시키는 과정에서 수동레버를 작동시킨 채 다시 강한 외력을 가해 락킹상태를 해제하고 시트백을 전방으로 접어주어야 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노약자는 시트백을 폴딩 및 언폴딩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시트 측에 강한 외력이 가해져 잦은 고장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락킹상태가 해제되면 시트백의 자중에 의해 폴딩되어 시트쿠션 측과 충돌이 일어나게 되는 문제도 존재하였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081077 B1
본 발명은 2열 시트의 시트백을 락킹상태를 해제하고 폴딩시킴에 있어 별도의 외력을 가하지 않고 폴딩시키며 시트백이 자중에 의해 폴딩되어 시트쿠션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해주는 오토릴리즈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토릴리즈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는 차량의 2열 시트의 시트쿠션과 폴딩/언폴딩되도록 연결된 시트백; 시트백 내부의 프레임에 고정되며, 차체 측에 고정된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베이스브라켓; 베이스브라켓에서 회동되도록 연결되는 포울; 베이스브라켓에서 회동되도록 연결되되, 코일스프링을 통해 포울과의 회동이 연계되고, 일측에는 스트라이커와 체결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클로우; 포울에 연결되어 포울을 회동시키는 상부액츄에이터; 객실 측에 마련되며, 상부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는 컨트롤러; 시트백의 폴딩됨에 따라 시트백의 폴딩을 가속화시키다가 시트백의 폴딩에 반발력을 제공하는 폴딩체커;를 포함한다.
폴딩체커는 시트쿠션에서 시트백이 폴딩/언폴딩되는 회동축에 고정된 고정핀; 고정핀에 고정되며, 상단부가 절곡되어 스토퍼가 형성된 고정브라켓; 시트백에 고정되어 시트백과 일체로 고정핀을 축으로 회동되고, 고정브라켓과 대향되며, 단부가 고정브라켓 방향으로 절곡되어 댐퍼가 형성된 회동브라켓; 고정핀에 고정된 상태로 고정브라켓과 회동브라켓 사이에 배치되고, 시트백이 폴딩됨에 따라 풀림으로써 댐퍼를 밀어내어 시트백의 폴딩을 도우며, 일정각도 이상 폴딩된 상태에서는 스토퍼에 의해 풀림이 제한되는 제1스파이럴스프링; 고정핀에 고정된 상태로 회동브라켓과 제1스파이럴스프링 사이에 배치되고, 댐퍼에 의해 감김으로써 시트백측으로 반발력을 제공하는 제2스파이럴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스파이럴스프링과 제2스파이럴스프링의 감긴 방향이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시트백이 언폴딩된 락킹상태에서, 컨트롤러에 의한 상부액츄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포울의 역방향 회동으로 클로우가 역방향 회동될 수 있다.
클로우의 역방향 회동으로 삽입홈으로부터 스트라이커가 탈출되어 락킹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오토릴리즈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에 따르면, 시트백에 외력을 가하지 않고도 락킹상태를 해제하고 시트백을 폴딩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릴리즈되는 시트백이 자중에 의해 폴딩되어 시트쿠션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백이 폴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백이 폴딩되는 과정에 대한 폴딩체커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딩체커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오토릴리즈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는 차량의 2열 시트의 시트쿠션(2)과 폴딩/언폴딩되도록 연결된 시트백(1); 시트백(1) 내부의 프레임에 고정되며, 차체 측에 고정된 스트라이커(10)가 삽입되는 베이스브라켓(100); 베이스브라켓(100)에서 회동되도록 연결되는 포울(200); 베이스브라켓(100)에서 회동되도록 연결되되, 코일스프링을 통해 포울(200)과의 회동이 연계되고, 일측에는 스트라이커(10)와 체결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클로우(300); 포울(200)에 연결되어 포울(200)을 회동시키는 상부액츄에이터(400); 객실 측에 마련되며, 상부액츄에이터(400)를 구동시키는 컨트롤러; 시트백(1)의 폴딩됨에 따라 시트백(1)의 폴딩을 가속화시키다가 시트백(1)의 폴딩에 반발력을 제공하는 폴딩체커(600);를 포함한다.
종래 2열 시트에서 시트백(1)을 폴딩시키는 과정에서 수동레버를 작동시킨 채 다시 강한 외력을 가해 락킹상태를 해제하고 시트백(1)을 전방으로 접어주어야 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노약자는 시트백(1)을 폴딩 및 언폴딩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시트 측에 강한 외력이 가해져 잦은 고장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락킹상태가 해제되면 시트백(1)의 자중에 의해 폴딩되어 시트쿠션(2) 측과 충돌이 일어나게 되는 문제도 존재하였다.
기본적으로 래치구조는 베이스브라켓(100)이 마련되고 베이스브라켓(100) 상에 서로 맞물리는 형태의 클로우(300)와 포울(200)이 회동가능한 형태로 고정된다. 클로우(300)와 포울(200)은 코일스프링을 통해 연결되어 일방의 회동이 타방의 회동과 연계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브라켓(100)에는 스트라이커(10)가 삽입가능하다. 스트라이커(10)는 차체에 고정되어 2열 시트의 시트백(1)이 후방으로 젖혀지면서 스트라이커(10)가 베이스브라켓(100)에 삽입되는 것이다. 반대로 시트백(1)이 전방으로 접힐 때는 스트라이커(10)가 베이스브라켓(100)으로부터 탈출하게 된다.
상기 스트라이커(10)는 베이스브라켓(100)에서 회동되도록 연결된 클로우(300)와의 체결로써 락킹상태를 유지하는 것인데 클로우(300)의 일측에는 시트백(1)의 스트라이커(10)가 드나들 수 있는 이동경로가 마련된 삽입홈이 형성된다. 시트백(1)이 후방으로 젖혀지면서 스트라이커(10)는 삽입홈으로 삽입되어 클로우(300)와 체결되고 이 과정에서 클로우(300)는 스트라이커(10)의 삽입에 대응하여 회동된다.
기존의 포울(200)에 연결된 수동레버 대신에 상부액츄에이터(400) 및 상부액츄에이터(400)를 구동시키는 객실 측에 마련된 컨트롤러를 구비시킴으로써 시트백(1)을 릴리즈시켜 2열 시트를 폴딩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하여 시트백(1)에 별도의 외력을 가하지 않고서도 손쉽게 시트백(1)의 락킹상태를 해제하여 2열 시트를 폴딩된 상태로 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시트백(1)이 후방으로 젖혀져 언폴딩된 락킹상태의 2열 시트에서 객실 측에 마련된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상부액츄에이터(400)를 구동시킨다. 상부액츄에이터(400)의 구동으로 인해 포울(200)이 역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에 따라 클로우(300)도 역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다.
상기 역방향이란 시계방향일 수 있고, 반시계방향일 수 있으나 시트백(1)이 폴딩되는 과정에서 포울(200) 및 클로우(300)가 회동하는 방향을 역방향으로 명명한다. 반대로 시트백(1)이 언폴딩되는 과정에서 포울(200) 및 클로우(300)가 회동하는 방향을 정방향으로 명명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액츄에이터(400)는 솔레노이드 형태로서 전류에 의해 구동되는 방식일 수 있고 실린더 형태로서 전류에 의해 구동되는 방식일 수 있다.
폴딩체커(600)는 시트백(1)의 폴딩됨에 따라 시트백(1)의 폴딩을 가속화시키다가 시트백(1)의 폴딩에 반발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에 따라 종래의 문제였던 2열 시트의 시트백(1)이 락킹상태 해제 후 자중에 의해 폴딩되어 시트쿠션(2)과의 충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일정각도 이상 폴딩될 시 폴딩체커(600)가 시트백(1) 측에 반발력을 제공하여 시트백(1)이 자연스럽게 폴딩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딩체커(600)는 시트쿠션(2)에서 시트백(1)이 폴딩/언폴딩되는 회동축에 고정된 고정핀(610); 고정핀(610)에 고정되며, 상단부가 절곡되어 스토퍼(621)가 형성된 고정브라켓(620); 시트백(1)에 고정되어 시트백(1)과 일체로 고정핀(610)을 축으로 회동되고, 고정브라켓(620)과 대향되며, 단부가 고정브라켓(620) 방향으로 절곡되어 댐퍼(631)가 형성된 회동브라켓(630); 고정핀(610)에 고정된 상태로 고정브라켓(620)과 회동브라켓(630) 사이에 배치되고, 시트백(1)이 폴딩됨에 따라 풀림으로써 댐퍼(631)를 밀어내어 시트백(1)의 폴딩을 도우며, 일정각도 이상 폴딩된 상태에서는 스토퍼(621)에 의해 풀림이 제한되는 제1스파이럴스프링(640); 고정핀(610)에 고정된 상태로 회동브라켓(630)과 제1스파이럴스프링(640) 사이에 배치되고, 댐퍼(631)에 의해 감김으로써 시트백(1)측으로 반발력을 제공하는 제2스파이럴스프링(6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핀(610)은 시트쿠션(2)과 시트백(1)의 회동축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시트백(1)의 회동에 영향을 미친다. 고정브라켓(620)은 고정핀(610)에 고정되며 고정핀(610) 가장 외측에 연결되는 구성요소이다. 고정브라켓(620)의 상단부에는 회동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된 스토퍼(621)가 형성된다.
한편, 회동브라켓(630)은 시트백(1)에 고정되어 시트백(1)과 일체로 회동되는데 고정핀(610)을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된다. 단부에는 회동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된 댐퍼(631)가 존재하는데 상기 스토퍼(621)와 댐퍼(631)는 서로를 향해 연장된 형태이다.
다만, 고정브라켓(620)과 회동브라켓(630)이 이격된 거리보다 서로를 향해 연장된 길이가 짧으며 댐퍼(631)가 형성된 높이가 스토퍼(621)가 형성된 높이보다 낮기 때문에 회동브라켓(630)의 회동에도 댐퍼(631)는 스토퍼(621)의 간섭을 받지 않는다.
고정브라켓(620)과 회동브라켓(630) 사이에서 회동브라켓(630)에 가까운 측에는 고정핀(610)을 중심으로 감겨 있는 제1스파이럴스프링(640)이 배치된다. 제1스파이럴스프링(640)은 시트백(1)을 폴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감겨있으며 단부는 댐퍼(631)를 밀어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동브라켓(630)과 연결된 시트백(1)이 폴딩됨에 따라 단부가 댐퍼(631)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풀릴 수 있는 것이다. 시트백(1)의 폴딩과 함께 풀리다가 일정각도 이상 폴딩되면 단부가 스토퍼(621)에 걸리게 되어 더 이상의 풀림은 제한된다.
상기에서 말하는 일정각도란 스토퍼(621)가 형성되어 시트백(1)이 폴딩되는 과정에서 제1스파이럴스프링(640)이 스토퍼(621)에 의해 풀림이 제한되기 시작하는 각도를 의미하며 이는 설계에 따라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다.
회동브라켓(630)과 제1스파이럴스프링(640) 사이에는 고정핀(610)을 중심으로 제1스파이럴스프링(640)과는 반대로 감겨 있는 제2스파이럴스프링(650)이 배치된다. 시트백(1)이 일정각도 이상 폴딩되어 제1스파이럴스프링(640)의 풀림이 제한되어도 댐퍼(631)는 계속하여 시트백(1)의 폴딩과 함께 회동되다가 제2스파이럴스프링(650)의 단부와 만나게 되고 제2스파이럴스프링(650)을 감기면서 회동된다.
즉, 제2스파이럴스프링(650)이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반발력이 작용하여 이후의 폴딩부터는 댐퍼(631)의 움직임에 제한이 생기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일정각도 이후부터는 제2스파이럴스프링(650)이 시트백(1)측에 반발력을 제공하여 시트백(1)이 자중에 의해 폴딩되어 시트쿠션(2)과 충돌하게 되는 현상을 방지해 준다.
이렇게 제1스파이럴스프링(640)은 시트백(1)을 폴딩시키는 방향으로, 제2스파이럴스프링(650)은 시트백(1)을 언폴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각각 작용하는 것이므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겨있는 것이 타당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오토릴리즈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는 시트백(1)이 락킹된 상태로 언폴딩된 상태에서, 컨트롤러에 의한 상부액츄에이터(400)의 구동에 따라 포울(200)의 역방향 회동으로 클로우(300)가 역방향 회동된다. 클로우(300)의 역방향 회동으로 삽입홈으로부터 스트라이커(10)가 탈출됨으로써 시트백(1)의 락킹상태가 해제되고 자유롭게 젖혀지고 접힐 수 있는 릴리즈상태로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시트백 2 : 시트쿠션
10 : 스트라이커 100 : 베이스브라켓
200 : 포울 300 : 클로우
400 : 상부액츄에이터 600 : 폴딩체커
610 : 고정핀 620 : 고정브라켓
621 :스토퍼 630 : 회동브라켓
631 : 댐퍼 640 : 제1스파이럴스프링
650 : 제2스파이럴스프링

Claims (5)

  1. 차량의 2열 시트의 시트쿠션과 폴딩/언폴딩(folding/unfolding)되도록 연결된 시트백;
    시트백 내부의 프레임에 고정되며, 차체 측에 고정된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베이스브라켓;
    베이스브라켓에서 회동되도록 연결되는 포울;
    베이스브라켓에서 회동되도록 연결되되, 코일스프링을 통해 포울과의 회동이 연계되고, 일측에는 스트라이커와 체결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클로우;
    포울에 연결되어 포울을 회동시키는 상부액츄에이터;
    객실 측에 마련되며, 상부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는 컨트롤러;
    시트백의 폴딩됨에 따라 시트백의 폴딩을 가속화시키다가 시트백의 폴딩에 반발력을 제공하는 폴딩체커를 포함하고;
    폴딩체커는,
    시트쿠션에서 시트백이 폴딩/언폴딩되는 회동축에 고정된 고정핀;
    고정핀에 고정되며, 상단부가 절곡되어 스토퍼가 형성된 고정브라켓;
    시트백에 고정되어 시트백과 일체로 고정핀을 축으로 회동되고, 고정브라켓과 대향되며, 단부가 고정브라켓 방향으로 절곡되어 댐퍼가 형성된 회동브라켓;
    고정핀에 고정된 상태로 고정브라켓과 회동브라켓 사이에 배치되고, 시트백이 폴딩됨에 따라 풀림으로써 댐퍼를 밀어내어 시트백의 폴딩을 도우며, 일정각도 이상 폴딩된 상태에서는 스토퍼에 의해 풀림이 제한되는 제1스파이럴스프링;
    고정핀에 고정된 상태로 회동브라켓과 제1스파이럴스프링 사이에 배치되고, 댐퍼에 의해 감김으로써 시트백측으로 반발력을 제공하는 제2스파이럴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릴리즈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스파이럴스프링과 제2스파이럴스프링의 감긴 방향이 반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릴리즈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시트백이 언폴딩된 락킹상태에서, 컨트롤러에 의한 상부액츄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포울의 역방향 회동으로 클로우가 역방향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릴리즈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클로우의 역방향 회동으로 삽입홈으로부터 스트라이커가 탈출되어 락킹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릴리즈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
KR1020150175706A 2015-12-10 2015-12-10 오토릴리즈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 KR101716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706A KR101716975B1 (ko) 2015-12-10 2015-12-10 오토릴리즈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706A KR101716975B1 (ko) 2015-12-10 2015-12-10 오토릴리즈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6975B1 true KR101716975B1 (ko) 2017-03-15

Family

ID=58403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5706A KR101716975B1 (ko) 2015-12-10 2015-12-10 오토릴리즈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69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7425B (en) * 2017-10-06 2020-08-19 Jaguar Land Rover Ltd A moveable vehicle seat assembly
KR102351256B1 (ko) * 2020-08-21 2022-01-14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백 폴딩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9962A (ja) * 2002-12-26 2004-09-09 Honda Motor Co Ltd 車両用自動回転収納シートシステム
KR20060030157A (ko) * 2004-10-05 2006-04-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폴딩 시트용 리클라이너장치
JP2007283945A (ja) * 2006-04-19 2007-11-01 Delta Kogyo Co Ltd 車両用シートバックのロック構造
KR101081077B1 (ko) 2010-05-12 2011-11-07 주식회사 오스템 차량 시트용 래치 어셈블리
KR101576383B1 (ko) * 2014-07-25 2015-12-11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백 폴딩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9962A (ja) * 2002-12-26 2004-09-09 Honda Motor Co Ltd 車両用自動回転収納シートシステム
KR20060030157A (ko) * 2004-10-05 2006-04-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폴딩 시트용 리클라이너장치
JP2007283945A (ja) * 2006-04-19 2007-11-01 Delta Kogyo Co Ltd 車両用シートバックのロック構造
KR101081077B1 (ko) 2010-05-12 2011-11-07 주식회사 오스템 차량 시트용 래치 어셈블리
KR101576383B1 (ko) * 2014-07-25 2015-12-11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백 폴딩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7425B (en) * 2017-10-06 2020-08-19 Jaguar Land Rover Ltd A moveable vehicle seat assembly
KR102351256B1 (ko) * 2020-08-21 2022-01-14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백 폴딩 장치
WO2022039464A1 (ko) * 2020-08-21 2022-02-24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백 폴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8237B2 (ja) 折り畳み要素を車両シート用に位置決めロックするデバイス
KR101716975B1 (ko) 오토릴리즈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
JP2014515335A (ja) 車両シート
KR101575499B1 (ko) 차량용 시트의 폴딩 풀림 방지 장치
KR101816681B1 (ko) 폴딩형 구조물 록킹장치
JP4605456B2 (ja) ロック装置および車両用シート
JP4525407B2 (ja) 支持構造および格納シート
JP4586672B2 (ja) 車両用シートのロック解除操作機構
JP2007284020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2009143533A (ja) 車両用ルーフキャリアクロスバー
JP5200560B2 (ja) 車両用シート
JP2007050765A (ja) 車両シート用ダンパーの取り付け構造
JP2003054297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2018043540A (ja) シート操作システム及び線状部材作動装置
KR20220069494A (ko) 차량용 시트의 레그레스트
KR102048974B1 (ko)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JP2010089682A (ja) アームレスト装置
JP2008126742A (ja) 車両用シート
KR101869057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스트라이커 회동장치
JP3667467B2 (ja) 車両用巻取式荷崩れ防止装置
KR100717484B1 (ko) 차량의 더블 폴딩 시트
KR101736830B1 (ko) 오토락킹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
JP4525408B2 (ja) 車両用シート
JP4145574B2 (ja) 車両用手動格納式補助ステップ
JP2010006211A (ja) 車両用ロッ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