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6830B1 - 오토락킹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 - Google Patents

오토락킹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6830B1
KR101736830B1 KR1020150175704A KR20150175704A KR101736830B1 KR 101736830 B1 KR101736830 B1 KR 101736830B1 KR 1020150175704 A KR1020150175704 A KR 1020150175704A KR 20150175704 A KR20150175704 A KR 20150175704A KR 101736830 B1 KR101736830 B1 KR 101736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w
striker
pawl
vehicle
lower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5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덕강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50175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8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31Movement of the la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81Activation of the latches by the control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의 2열 시트의 시트쿠션과 폴딩/언폴딩되도록 연결된 시트백; 시트백 내부의 프레임에 고정되며, 차체 측에 고정된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베이스브라켓; 베이스브라켓에서 회동되도록 연결되는 포울; 베이스브라켓에서 회동되도록 연결되되, 코일스프링을 통해 포울과의 회동이 연계되고, 일측에는 스트라이커와 체결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돌출부가 형성된 클로우; 돌출부와 연결되어 클로우를 회동시키는 하부액츄에이터; 및 돌출부와의 접촉에 의해 온/오프되어 하부액츄에이터의 구동을 결정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오토락킹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오토락킹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 {2 ROW SEAT FUNCTIONED AUTOMATINC LOCKING FOR VEHICLE}
본 발명은 2열 시트의 시트백이 후방으로 젖혀져 언폴딩되고 락킹되는 과정에서 시트백에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고도 클로우에 형성된 돌출부로 인한 스위치 및 하부액츄에이터의 연동으로 시트백을 락킹시킴이 가능한 오토락킹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2열 시트에서 시트백을 언폴딩시키는 과정에서 시트백을 후방으로 젖히면서 락킹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시트백에 강한 외력을 가해주어야 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노약자는 시트를 폴딩 및 언폴딩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시트에 강한 외력이 가해져 잦은 고장 등의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081077 B1
본 발명은 2열 시트의 시트백이 후방으로 젖혀져 언폴딩되고 락킹되는 과정에서 시트백에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고도 클로우에 형성된 돌출부로 인한 스위치 및 하부액츄에이터의 연동으로 시트백을 락킹시킴이 가능한 오토락킹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토락킹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는 차량의 2열 시트의 시트쿠션과 폴딩/언폴딩(folding/unfolding)되도록 연결된 시트백; 시트백 내부의 프레임에 고정되며, 차체 측에 고정된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베이스브라켓; 베이스브라켓에서 회동되도록 연결되는 포울; 베이스브라켓에서 회동되도록 연결되되, 코일스프링을 통해 포울과의 회동이 연계되고, 일측에는 스트라이커와 체결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돌출부가 형성된 클로우;
돌출부와 연결되어 클로우를 회동시키는 하부액츄에이터; 및 돌출부와의 접촉에 의해 온/오프(on/off)되어 하부액츄에이터의 구동을 결정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클로우와 스트라이커의 체결은 스트라이커가 삽입부 중앙부에 위치하게 되는 반체결과 스트라이커가 삽입부 종단부에 위치하게 되는 완체결로 구분하되, 스트라이커가 삽입홈으로 삽입되면서, 클로우와 스트라이커의 반체결로 인한 클로우의 정방향 회동으로 스위치를 온시킴에 따라 하부액츄에이터가 구동될 수 있다.
하부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한 클로우의 정방향 회동으로 클로우와 스트라이커는 완체결되고, 클로우의 회동과 연계되는 포울의 정방향 회동으로 시트백이 언폴딩된 락킹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락킹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
포울에 연결되어 포울을 회동시키는 상부액츄에이터; 및 객실 측에 마련되며, 상부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트백이 언폴딩된 락킹상태에서, 컨트롤러에 의한 상부액츄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포울의 역방향 회동으로 클로우가 역방향 회동될 수 있다.
클로우의 역방향 회동으로 스위치가 오프되고, 삽입홈으로부터 스트라이커가 탈출되어 락킹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오토락킹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에 따르면, 시트백에 별도의 외력을 가하지 않고도 시트백을 언폴딩하여 락킹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외력을 가하지 않고도 락킹상태를 해제하고 시트백을 폴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와 체결된 상태의 2열 시트 래치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와 체결되지 않은 상태의 2열 시트 래치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로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열 시트가 언폴딩되는 과정의 오토락킹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열 시트가 폴딩되는 과정의 오토락킹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오토락킹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는 2열 시트의 시트쿠션(2)과 폴딩/언폴딩되도록 연결된 시트백(1); 시트백(1) 내부의 프레임에 고정되며, 차체 측에 고정된 스트라이커(10)가 삽입되는 베이스브라켓(100); 베이스브라켓(100)에서 회동되도록 연결되는 포울(200); 베이스브라켓(100)에서 회동되도록 연결되되, 코일스프링을 통해 포울(200)과의 회동이 연계되고, 일측에는 스트라이커(10)와 체결되는 삽입홈(320)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돌출부(330)가 형성된 클로우(300); 돌출부(330)와 연결되어 클로우(300)를 회동시키는 하부액츄에이터(400); 및 돌출부(330)와의 접촉에 의해 온/오프되어 하부액츄에이터(400)의 구동을 결정하는 스위치(500);를 포함한다.
종래 2열 시트를 폴딩 상태에서 언폴딩시키는 과정에서 시트백(1)을 후방으로 젖히면서 시트백(1)이 자유롭게 젖혀지고 접히게 되지 못하는 상태인 락킹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시트백(1)에 강한 외력을 가해주어야 했다. 또한, 다시 2열 시트를 폴딩시키는 과정에서 수동레버를 작동시킨 채 다시 강한 외력을 가해 락킹상태를 해제하고 시트백(1)을 전방으로 밀어주어야 했다.
기본적으로 오토락킹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에서 래치구조는 베이스브라켓(100)이 마련되고 베이스브라켓(100) 상에 서로 맞물리는 형태의 클로우(300)와 포울(200)이 회동가능한 형태로 고정된다. 클로우(300)와 포울(200)은 코일스프링을 통해 연결되어 일방의 회동이 타방의 회동과 연계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브라켓(100)에는 스트라이커(10)가 삽입가능하다. 스트라이커(10)는 차체에 고정되어 2열 시트의 시트백(1)이 후방으로 젖혀지면서 스트라이커(10)가 베이스브라켓(100)에 삽입되는 것이다. 반대로 시트백(1)이 전방으로 접힐 때는 스트라이커(10)가 베이스브라켓(100)으로부터 탈출하게 된다.
상기 스트라이커(10)는 베이스브라켓(100)에서 회동되도록 연결된 클로우(300)와의 체결로써 락킹 상태를 유지하는 것인데 클로우(300)의 일측에는 시트백(1)의 스트라이커(10)가 드나들 수 있는 이동경로가 마련된 삽입홈(320)이 형성된다. 시트백(1)이 후방으로 젖혀지면서 스트라이커(10)는 삽입홈(320)으로 삽입되어 클로우(300)와 체결되고 이 과정에서 클로우(300)는 스트라이커(10)의 삽입에 대응하여 회동된다.
기존의 경우 포울(200)만 수동레버와 연결되어 수동레버의 조작에 따른 포울(200)의 회동으로 인해 클로우(300)가 회동되는 원리였던 것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오토락킹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의 경우 클로우(300)의 타측에 돌출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330)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330)는 하부액츄에이터(400)와 연결되어 하부액츄에이터(400)의 동작에 따라 클로우(300)는 정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로 인해 종래 포울(200)의 회동에만 의존했던 클로우(300)의 회동이 하부액츄에이터(400)의 도움을 받아 원활하게 회동이 가능해짐으로써 2열 시트의 시트백(1)이 젖혀진 후 별도로 가해지는 외력 없이도 락킹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정방향이란 시계방향일 수 있고, 반시계방향일 수 있으나 시트백(1)이 언폴딩되는 과정에서 포울(200) 및 클로우(300)가 회동하는 방향을 정방향으로 명명한다. 반대로 시트백(1)이 폴딩되는 과정에서 포울(200) 및 클로우(300)가 회동하는 방향을 역방향으로 명명한다.
하부액츄에이터(400)는 바람직하게는 솔레노이드 형태로서 전류에 의해 구동되는 방식일 수 있고 실린더 형태로서 마찬가지로 전류에 의해 구동되는 방식일 수 있다.
한편, 하부액츄에이터(400)의 경우 클로우(300)와 포울(200) 사이에 배치되는 스위치(500)에 의해 구동된다. 스위치(500)는 클로우(300)의 돌출부(330)와의 접촉에 따라 온/오프되는 것인데 구체적으로는 클로우(300)가 정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 클로우(300)의 돌출부(330)가 스위치(500)와의 접촉이 떨어지면서 스위치(500)를 온시키게 된다. 스위치(500)가 온상태로 됨에 따라 하부액츄에이터(400)로 전류가 흐르게 되어 하부액츄에이터(400)의 구동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반대로 클로우(300)가 역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 클로우(300)의 돌출부(330)가 스위치(500)와 접촉되면서 스위치(500)를 오프시킨다. 스위치(500)가 오프상태로 됨에 따라 하부액츄에이터(400)로 흐르던 전류가 차단되고 하부액츄에이터(400)의 구동이 멈추는 것이다.
이로써 2열 시트의 시트백(1)이 후방으로 젖혀져 언폴딩되고 락킹되는 과정에서 시트백(1)에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고도 클로우(300)에 형성된 돌출부(330)로 인한 스위치(500) 및 하부액츄에이터(400)의 연동으로 시트백(1)을 락킹시킴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오토락킹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는 포울(200)에 연결되어 포울(200)을 회동시키는 상부액츄에이터(600); 및 객실 측에 마련되며, 상부액츄에이터(600)를 구동시키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기존의 포울(200)에 연결된 수동레버 대신에 상부액츄에이터(600) 및 상부액츄에이터(600)를 구동시키는 시트 측의 컨트롤러를 마련함으로써 시트백(1)을 릴리즈시켜 2열 시트의 시트백(1)을 폴딩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하여 시트백(1)에 별도의 외력을 가하지 않고서도 손쉽게 시트백(1)의 락킹상태를 해제하여 2열 시트를 폴딩된 상태로 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시트백(1)이 후방으로 젖혀져 언폴딩된 2열 시트에서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상부액츄에이터(600)를 구동시킨다. 상부액츄에이터(600)의 구동으로 인해 포울(200)이 역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에 따라 클로우(300)도 역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부액츄에이터(600)는 솔레노이드 형태로서 전류에 의해 구동되는 방식일 수 있고 실린더 형태로서 마찬가지로 전류에 의해 구동되는 방식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토락킹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편의에 따라 클로우(300)와 스트라이커(10)의 체결은 스트라이커(10)가 삽입부 중앙부에 위치하게 되는 반체결과 스트라이커(10)가 삽입부 종단부에 위치하게 되는 완체결로 구분한다.
2열 시트에서 시트백(1)이 폴딩된 상태에서 시트백(1)이 후방으로 젖혀지는 과정에서 스트라이커(10)가 삽입홈(320)으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 클로우(300)와 스트라이커(10)의 반체결로 인해 클로우(300)가 정방향 회동된다. 이로써, 스위치(500)가 온상태에 있게 되고 하부액츄에이터(400)가 구동되는 것이다.
하부액츄에이터(400)의 구동에 의한 클로우(300)의 정방향 회동으로 클로우(300)와 스트라이커(10)는 완체결되고, 클로우(300)의 회동과 연계되는 포울(200)의 정방향 회동으로 2열 시트는 언폴딩된 락킹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반면, 2열 시트에서 시트백(1)이 언폴딩된 락킹상태에서, 컨트롤러에 의한 상부액츄에이터(600)의 구동에 따라 포울(200)의 역방향 회동으로 클로우(300)가 역방향 회동된다. 클로우(300)의 역방향 회동으로 스위치(500)가 오프되어 하부액츄에이터(400)로 흐르는 전류는 차단되고, 삽입홈(320)으로부터 스트라이커(10)가 탈출됨으로써 시트백(1)의 락킹상태가 해제되고 자유롭게 젖혀지고 접힐 수 있는 릴리즈상태로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시트백 2 : 시트쿠션
10 : 스트라이커 100 : 베이스브라켓
200 : 포울 300 : 클로우
320 : 삽입홈 330 : 돌출부
400 : 하부액츄에이터 500 : 스위치
600 : 상부액츄에이터

Claims (6)

  1. 차량의 2열 시트의 시트쿠션과 폴딩/언폴딩(folding/unfolding)되도록 연결된 시트백;
    시트백 내부의 프레임에 고정되며, 차체 측에 고정된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베이스브라켓;
    베이스브라켓에서 회동되도록 연결되는 포울;
    베이스브라켓에서 회동되도록 연결되되, 코일스프링을 통해 포울과의 회동이 연계되고, 일측에는 스트라이커와 체결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돌출부가 형성된 클로우;
    클로우의 돌출부와 연결되어 클로우를 회동시키는 하부액츄에이터; 및
    돌출부와의 접촉에 의해 온/오프(on/off)되어 하부액츄에이터의 구동을 결정하는 스위치;를 포함함으로써,
    스트라이커가 삽입홈으로 삽입시 스위치가 온됨에 따라 하부액츄에이터가 구동되고, 하부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클로우가 회동됨에 따라 포올이 연계되어 회동됨으로써 락킹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락킹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클로우와 스트라이커의 체결은 스트라이커가 삽입부 중앙부에 위치하게 되는 반체결과 스트라이커가 삽입부 종단부에 위치하게 되는 완체결로 구분하되,
    스트라이커가 삽입홈으로 삽입되면서, 클로우와 스트라이커의 반체결로 인한 클로우의 정방향 회동으로 스위치를 온시킴에 따라 하부액츄에이터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락킹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하부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한 클로우의 정방향 회동으로 클로우와 스트라이커는 완체결되고, 클로우의 회동과 연계되는 포울의 정방향 회동으로 시트백이 언폴딩된 락킹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락킹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포울에 연결되어 포울을 회동시키는 상부액츄에이터; 및
    객실 측에 마련되며, 상부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락킹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시트백이 언폴딩된 락킹상태에서, 컨트롤러에 의한 상부액츄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포울의 역방향 회동으로 클로우가 역방향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락킹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클로우의 역방향 회동으로 스위치가 오프되고, 삽입홈으로부터 스트라이커가 탈출되어 락킹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락킹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
KR1020150175704A 2015-12-10 2015-12-10 오토락킹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 KR101736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704A KR101736830B1 (ko) 2015-12-10 2015-12-10 오토락킹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704A KR101736830B1 (ko) 2015-12-10 2015-12-10 오토락킹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6830B1 true KR101736830B1 (ko) 2017-05-17

Family

ID=59048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5704A KR101736830B1 (ko) 2015-12-10 2015-12-10 오토락킹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683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9962A (ja) * 2002-12-26 2004-09-09 Honda Motor Co Ltd 車両用自動回転収納シートシステム
JP2007283945A (ja) * 2006-04-19 2007-11-01 Delta Kogyo Co Ltd 車両用シートバックのロック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9962A (ja) * 2002-12-26 2004-09-09 Honda Motor Co Ltd 車両用自動回転収納シートシステム
JP2007283945A (ja) * 2006-04-19 2007-11-01 Delta Kogyo Co Ltd 車両用シートバックのロック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6119B2 (en) Folding scooter frame
JP5558110B2 (ja) 車両シート
US8201667B2 (en) Braking system with single actuation for a stroller
JP5181866B2 (ja) 車両用シートの切換機構
JP2007320548A (ja) 車両のフォールディングシート固定装置
US20140327285A1 (en) Seat Assembly Having a Foldable Seat Back
JP5795397B2 (ja) 電気的手動解除シート
KR101736830B1 (ko) 오토락킹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
JP2008279979A (ja) ロック装置
KR101716975B1 (ko) 오토릴리즈 기능을 갖는 차량의 2열 시트
KR101640684B1 (ko) 리어시트의 시트백 록킹장치
KR20050110265A (ko)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JP2007210499A (ja) 車両用シートのロック操作機構
CN201587439U (zh) 童车的座杆翻板连接机构
JP2008279182A (ja) ロック装置
JP4412210B2 (ja) 車両用シート
JP6711143B2 (ja) シート装置
JP2007190198A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009214573A (ja) 車両用シート
JP2001287577A (ja) 車両用収納式座席
JP2004105543A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009232965A (ja) 車両用シート
US20240174138A1 (en) Manual Seatback Folding Apparatus of Electric Seat for Vehicle
JP2010006211A (ja) 車両用ロック構造
JP5488263B2 (ja) 車両用シートの切換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