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2881B1 - 자립형 포장 용기 - Google Patents

자립형 포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2881B1
KR101712881B1 KR1020150095742A KR20150095742A KR101712881B1 KR 101712881 B1 KR101712881 B1 KR 101712881B1 KR 1020150095742 A KR1020150095742 A KR 1020150095742A KR 20150095742 A KR20150095742 A KR 20150095742A KR 101712881 B1 KR101712881 B1 KR 101712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d
contents
container
rear surface
contents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5566A (ko
Inventor
송철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림
Priority to KR1020150095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881B1/ko
Publication of KR20170005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5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자립형 포장 용기가 개시된다.
자립형 포장 용기는
내용물이 저장되고, 저장에 필요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앞면과 뒷면이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두겹으로 겹쳐져 접합된 내용물저장부;
내용물이 배출되고, 상기 내용물저장부의 상기 앞면과 하나로 이어진 앞면 및 상기 내용물저장부의 상기 뒷면(210b)과 하나로 이어진 뒷면이 양측과 상단에서 두 겹으로 겹쳐져 접합된 개폐부; 및
상기 내용물저장부의 상기 앞면과 상기 뒷면의 측면에 각각 하나로 이어져 상기 내용물저장부의 안쪽으로 접혀진 접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힘부는 V자형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단부가 바깥쪽으로 접힌 후 상기 앞면 및 뒷면 사이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립형 포장 용기{Self-standing type package}
본 발명은 각종 분말이나 액상 식품 혹은 레토르트 제품 등을 담을 수 있는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접합성 및 자립성을 개선한 자립형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름이나 비닐시트로 된 포장용기는 상하측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포장용기의 좌우측 가장자리 및 하단을 접합하고, 상단에 합성수지제 지퍼를 직선상으로 열접착시킨 구조로 제조되고 있다.
합성수지제 원단은 이중으로 코팅된 것으로서 표면을 열접착이 용이하지 않은 층이 위치하고 내면은 열접착이 용이한 수지층이 위치한다. 따라서, 상하측 원단을 겹쳐놓은 상태에서 상하측을 열접착구(예를 들어, 히터)로 눌러주면, 상하측원단의 내면끼리 열접착하여 포장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자립형 포장 용기는 용기의 옆쪽을 V자형으로 이중으로 접혀진 측방 밀봉부를 구성하고, 저면에는 내용물에 의해 하방 면적이 넓어지게 함으로써 자립기능을 부여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자립형 포장 용기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입식형 비닐용기(200)는 내용물저장부(210), 개폐부(220) 및 접힘부(230)를 포함한다.
내용물저장부(210)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부위로, 저장에 필요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앞면(210a)과 뒷면(210b)이 상단부와 도시되지 않은 하단부에서 두 겹으로 겹쳐져 접합되어 있다.
개폐부(220)는 내용물이 배출되는 부위로, 내용물저장부(210)의 앞면(210a)과 하나로 이어진 앞면(220a) 및 내용물저장부(210)의 뒷면(210b)과 하나로 이어진 뒷면(220b)이 양측과 상단에서 두 겹으로 겹쳐져 접합되어 있다.
또한 개폐부(220)는 사용자가 내용물 배출을 위해 최초에 절취되게 되는 절취홈(221)이 양측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있고, 절취홈(221)의 아래쪽에는 내용물저장부(210)의 개폐를 돕기 위한 비닐지퍼(222)가 형성되어 있다.
비닐지퍼(222)는 수지퍼(222a)와 암지퍼(222b)로 구성되고, 수지퍼(222a)는 앞면(220a)의 안쪽에 접합되어있고, 암지퍼(222b)는 뒷면(220b)의 안쪽에 접합되어 있다.
접힘부(230)는 내용물저장부(210)의 앞면(210a)과 뒷면(210b)의 측면에 각각 하나로 이어져 내용물저장부(210)의 안쪽으로 접혀진 부위로, 상단부는 삼각형으로 접혀져 있고 앞면(210a) 또는 뒷면(210b)의 안쪽에 접합되지 않고 자유로운 상태가 유지된다.
접힘부(230)의 상단부는 V자형 접힘부(가제트, gazzette)를 중심선을 바깥 아래쪽으로 잡아당겨 직각 삼각형으로 접은 것으로서, 직각 삼각형의 측변은 서로 접합된다.
따라서 접힘부(230)의 상단부와 내용물저장부(210)의 앞면(210a)과 뒷면(210b) 사이에 틈구석이 전혀 형성되지 않는다
도 2는 종래의 자립형 지퍼 용기의 저면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접힘부(230)의 하단부는 V자형 접힘부의 양측 하변(232)을 삼각형 모양으로 앞뒷면에 접착하고, 다시 앞뒷면의 하단(234)을 접착시킨 것을 알 수 있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의 자립형 용기에 내용믈을 담을 때는 용기의 상단부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위쪽에서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용기의 저면이 펼쳐진 상태가 되게 한 후에 내용물을 충진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삼각형으로 접힌 접힙부(230)의 상단부(231)가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터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즉, 압축공기를 불어넣을 때 접힘부(230)의 삼각형으로 접힌 상단부(231)가 깔때기 모양으로 되면서 삼각형으로 접힌 상단부(231)의 측변 즉, 열접합에 의해 접합된 부분이 압력에 의해 터져나가는 경우가 발생하기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의 자립형 용기에 내용물을 충진하여 세우더라도, 용기가 한쪽으로 쏠려 쓰러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부(230)의 밑변 양측 모두가 V자형으로 갈라져 있고, 용기를 세웠을 때 V자형으로 분기된 부분들이 어느 쪽으로 쏠리게 될지는 임의적이며, 밑변 양측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쏠리게 될 경우 용기가 제대로 서있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단부를 개봉하여 압축공기를 불어넣을 때에도 접힘부의 상단부가 터지지 않는 자립형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기에 내용물을 채운후 세웠을 때 어느쪽으로도 쏠리지 않고 제대로 설 수 있는 자립형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다른 자립형 용기의 제1실시예는
내용물이 저장되고, 저장에 필요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앞면과 뒷면이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두겹으로 겹쳐져 접합된 내용물저장부;
내용물이 배출되고, 상기 내용물저장부의 상기 앞면과 하나로 이어진 앞면 및 상기 내용물저장부의 상기 뒷면(210b)과 하나로 이어진 뒷면이 양측과 상단에서 두 겹으로 겹쳐져 접합된 개폐부; 및
상기 내용물저장부의 상기 앞면과 상기 뒷면의 측면에 각각 하나로 이어져 상기 내용물저장부의 안쪽으로 접혀진 접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힘부는 V자형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단부가 바깥쪽으로 접힌 후 상기 앞면 및 뒷면 사이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립형 용기의 제2실시예는
내용물이 저장되고, 저장에 필요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앞면과 뒷면이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두겹으로 겹쳐져 접합된 내용물저장부;
내용물이 배출되고, 상기 내용물저장부의 상기 앞면과 하나로 이어진 앞면 및 상기 내용물저장부의 상기 뒷면과 하나로 이어진 뒷면이 양측과 상단에서 두 겹으로 겹쳐져 접합된 개폐부; 및
상기 내용물저장부의 상기 앞면과 상기 뒷면의 측면에 각각 하나로 이어져 상기 내용물저장부의 안쪽으로 접혀진 접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힘부의 하단과 상기 앞면 및 뒷면의 하단이 서로 이격되도록 여유구간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접힘부가 V자형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접힘부의 하단부를 삼각형 모양으로 각각 상기 앞면 및 뒷면에 접함하고 이어서 상기 앞면 및 뒷면의 여유 구간을 접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립형 포장 용기는 접힘부 상단부를 바깥쪽으로 접어서 용기의 앞면과 뒷면 사이에 붙이도록 함으로써 접착력이 우수한 용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자립형 포장 용기는 접힘부 하단부에 여유 구간을 둠으로써 내용물 충진시 용기가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제대로 서게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자립형 포장 용기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 2는 종래의 자립형 지퍼 용기의 저면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형 용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는 관통공을 사이에 두고 용기의 앞면 및 뒷면이 접합되는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관통공의 위치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형 용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형 용기의 제2실시예의 변형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힘부 접합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9는 제1절곡구 및 제2절곡구에 의해 접힘부를 바깥쪽으로 접게 되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형 용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립형 용기의 제1실시예는 접힙부(330)를 구성하는 가제트(gazzet, 312)의 상측 일부(이하, 상단부라 함)를 바깥쪽으로 접은 후에 가제트(312)를 앞면(310a) 및 뒷면(310b)와 접합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접합할 경우, 가제트(312)의 삼각형으로 접혀진 상단부의 앞쪽 및 뒤쪽이 각각 용기의 앞면(310a) 및 뒷면(310b)에 접착된다.
용기의 상면부를 개봉시켰을 때, 단지 접힘부(330)의 상단부에서 접혀진 부위만이 드러나게 되어, 압축공기를 불어넣더라도 접힘부(330)와 앞면(310a) 및 뒷면(310b)의 접착부위가 터지게 되는 일이 없게 된다. 즉, 용기의 상면부에서 보았을 때 접힘부(330)의 접혀진 면만이 드러나게 된다.
한편, 가제트(312)에 소정의 크기로 관통공을 천공한 후, 관통공이 가려지도록 바깥쪽으로 접고, 그리고 나서 가제트(312)를 앞면(310a) 및 뒷면(310b)에 접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제트(312)에 천공을 한 후에 앞면(310a) 및 뒷면(310b)와 접합시키게 되면, 가제트(312)의 접힌 부분 중에서 관통공에 의해 노출되는 부분이 뒷면(310b)에 접합된다. 그 결과 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도 4는 관통공을 사이에 두고 용기의 앞면 및 뒷면이 접합되는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4(a)는 가제트(312)와 앞면(310a) 및 뒷면(310b)이 접합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다. 가제트(312)는 V자형으로 접혀져 있는 것이므로 두 겹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하였다. 또한, 가제트(312)의 상단부(312a)가 접혀져 있고 일측에 관통공(80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된다.
도 4(b)는 4(a)에 도시된 상태에서 열접합을 수행한 것을 도시한다.
가제트(312)와 앞면(310a) 및 뒷면(310b)은 모두 열접착이 가능한 층(안쪽 면)과 열접착이 가능하지 않은 층(바깥쪽 면)의 2층 구조를 가진다. 열접착이 가능한 층(안쪽면)들끼리 맞대어 놓고 열을 가하면 이들은 서로 열접합된다.
가제트(312)가 V형으로 접혀질 때 안쪽면이 겉으로 드러나도록 접혀진다. 따라서, 도 4(a)에 도시되는 바에서 가제트(312)의 왼쪽과 오른쪽 그리고 상단부(312a)의 왼쪽과 오른쪽 모두 열접합이 가능한 층(안쪽 면)이 된다.
또한, 앞면(310a)의 오른쪽 및 뒷면(310b)의 왼쪽이 열접착이 가능한 층(안쪽면)이다.
관통공(802)를 통해 가제트(312)의 상단부(312a)가 뒷면(302b)에 접하므로 상단부(312a)의 일측은 앞면(302a)의 오른쪽에 열접착되고 타측은 뒷면(302b)의 왼쪽면에 열접착된다. 즉, 구관통공(802)이 있어서 가제트(312)의 상단부(312a)가 뒷면(302b)에 접하므로 열접착 결과 가제트(312)와 상단부(312a)가 서로 벌어지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관통공(802)이 해칭되어 있는 것은 관통공(802)을 통하여 열접착되어 있음을 보이기 위한 것이다. 실제에 있어서 가제트(312), 앞면(302a) 그리고 뒷면(302b)은 매우 얇은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관통공(802)을 통하여 상단부(312a)의 오른쪽면과 뒷면(302b)의 오른쪽면이 서로 열접착된다.
도 4(c)는 관통공(802)이 없을 경우의 열접합 상태를 도시한다. 4(b)와 비교할 때 접합 상태가 서로 다름을 알 수 있다. 즉, 관통공(802)이 없어서 가제트(312)의 상단부(312a)가 뒷면(302b)에 접하지 않으므로 열접착 결과 가제트(312)와 상단부(312a)가 서로 벌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관통공의 위치를 도시한다.
도 5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관통공(80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a)는 관통공(802)의 중심과 용기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가 관통공(802)의 반경보다 큰 경우를 도시하고 도 5(b) 및 5(c)는 관통공(802)의 중심과 용기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가 관통공(802)의 반경보다 작은 경우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형 용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립형 용기의 제2실시예는 접힘부(330)의 하단과 용기의 앞면 및 뒷면의 하단(338)이 소정 폭(w)의 여유 구간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상태에서 중앙선을 중심으로 V자형으로 접혀진 접힘부(330)의 각변 하단부(336)를 삼각형 모양으로 용기의 앞면 및 뒷면에 접착한다. 이어서 여유구간의 용기의 앞면 및 뒷면의 여유구간(338)을 접착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도의 제2실시예의 변형실시예로서 여유구간이 접힘부(330)의 하단부의 일부와 겹쳐지도록 더 넓은 폭(w1>w)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자립형 용기를 세울 때 접힘부(330)의 하단이 벌어지더라도 용기저면 양쪽에서 여유구간이 동일한 방향으로 접혀지게 되므로, 용기가 어느 한쪽으로 쓰러지지 않고 안정되게 세워지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힘부 접합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가제트(312) 및 원단이 이송되는 기대(400)에 수평하게 베이스가 설치되고, 베이스(100) 상에 열접착 지지판(200)이 설치된다.
열접착 지지판(200)의 일측 옆에는 접힘부(330)가 V자형으로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가이드(402)가 상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가이드(402)를 사이에 두고 V자형으로 접혀진 가제트(312)의 상면 및 하면이 겹쳐진채 이송되게 된다.
또한, 가이드(402)의 앞쪽에는 가제트(312)의 절곡시 접힘면을 잡아주기 위해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는 경사면이 형성된 제1절곡구(404)가 상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제1절곡부(404)의 앞쪽에는 제1절곡부(404)의 경사면과 대향되는 경사면을 가지는 제2절곡구(406)가 인접되어 설치된다.
가이드(402)에 의해 V자형으로 접혀진 상태로 이송되는 가제트(312)는 제1절곡구(404) 및 제2절곡구(406)에 의해 상단부(330a)가 바깥쪽으로 접혀지게 된다.
도 9는 제1절곡구 및 제2절곡구에 의해 접힘부를 바깥쪽으로 접게 되는 동작을 도시한다.
가이드(402)에 의해, V자형으로 접혀진 가제트(312)는 제2절곡구(406)가 상방으로 이송될 때 위쪽으로 꺽여진다.
이어서 제2절곡구(406)가 바깥쪽으로 이송되면, 위쪽으로 꺽여졌던 가제트(312)가 다시 바깥쪽으로 꺽여져서 삼각형으로 접혀진 부분(330a)를 형성한다.
이 상태에서 열접합구(700)에 의해 가제트(312)의 바깥쪽으로 접혀진 상단부(330a)와 용기의 윗면(310a) 및 아랫면(310b)을 서로 접합하게 된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500는 스톱퍼이고, 600은 커터이다.
스톱퍼(500)는 하부 지지대와 상부 지지대를 구비하며, 상부 지지대를 액튜에이터에 의해 하강시키면, 가제트(312)가 상부지지대와 하부지지대 사이에 물려서 정지된다.
스톱퍼에 의해 가제트(312)가 물려진 상태에서, 커터(600)를 바깥쪽으로 당겨주면, 가제트(312)의 상단이 절단된다.
커터(600)는 갈고리형으로 된 칼날(602)을 가지고 있어서, V자형으로 접혀진 가제트(312)를 효과적으로 절당하게 된다. 커터(600)의 구동을 위해 액튜에이터(미도시)가 제공된다.
커터(600)에 의해 가제트(312)의 선단이 절단되면, 제2절곡구(406)를 상방으로 이송시켜 가제트(312)의 상단부를 위쪽으로 접고 다시 제2절곡구(406)를 바깥쪽으로 이송시켜 가제트(312)의 상단부를 바깥쪽으로 접어서 접힌 부분(331)을 형성한다.
바깥쪽으로 이송된 제2절곡구(406)는 하방 이송 및 안쪽으로 이송하여 다음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제2절곡구(406)의 상방 이송 및 바깥쪽으로의 이송에 의해 가제트(312)의 상단부(331)가 바깥쪽으로 접혀지면 열접합구(700)를 작동시켜 용기의 윗면(310a) 및 아래면(310b)과 가제트(312)의 접힌 부분(331)을 서로 접합시키게 된다.
한편, 가이드(402)의 전단에 펀치(800)를 배치할 수 있다. 펀치(800)는 접힘부(330)를 관통하는 관통공(802)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V자형으로 접혀진 가제트(312)의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802)을 ?돗諍罐?, 열접합부(700)에 의해 접합시 구멍을 사이에 두고 접힘부(330)의 상단부에서 접혀진 부위(312a)의 안쪽면과 용기의 앞면(310a) 혹은 뒷면(310b)이 서로 접합되게 되어 더욱 접착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자립형 용기에 있어서,
    내용물이 저장되고, 저장에 필요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앞면(310a)과 뒷면(310b)이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두겹으로 겹쳐져 접합된 내용물저장부(310);
    내용물이 배출되고, 상기 내용물저장부(310)의 상기 앞면(310a)과 하나로 이어진 앞면(320a) 및 상기 내용물저장부(310)의 상기 뒷면(310b)과 하나로 이어진 뒷면(320b)이 양측과 상단에서 두 겹으로 겹쳐져 접합된 개폐부(320); 및
    상기 내용물저장부(310)의 상기 앞면(310a)과 상기 뒷면(310b)의 측면에 각각 하나로 이어져 상기 내용물저장부(310)의 안쪽으로 접혀진 접힘부(330)를 포함하고,
    상기 접힘부(330)의 하단과 상기 앞면(310a) 및 뒷면(310b)의 하단이 서로 이격되도록 여유구간(338)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접힘부(330)가 V자형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접힘부(330)의 하단부(336)를 삼각형 모양으로 각각 상기 앞면(310a) 및 뒷면(310b)에 접함하고 이어서 상기 앞면(310a) 및 뒷면(310b)의 여유 구간(338)을 접합하여 형성되어 있어서, 내용물을 넣어서 세워놓을 때 상기 하단부(336)가 한쪽 방향으로만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형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330)는 V자형으로 절반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단 일부가 바깥쪽으로 접힌 후 상기 앞면(310a) 및 뒷면(310b) 사이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형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330)에서 접혀진 상기 상단 일부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에 관통공(802)이 형성되어 있어서 접착시 상기 상단부의 일측이 상기 관통공(802)을 통하여 상기 뒷면(310b)에 접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형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802)의 중심과 상기 용기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는 상기 관통공(802)의 반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형 용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802)의 중심과 상기 용기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는 상기 관통공(802)의 반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형 용기.

KR1020150095742A 2015-07-06 2015-07-06 자립형 포장 용기 KR101712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742A KR101712881B1 (ko) 2015-07-06 2015-07-06 자립형 포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742A KR101712881B1 (ko) 2015-07-06 2015-07-06 자립형 포장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566A KR20170005566A (ko) 2017-01-16
KR101712881B1 true KR101712881B1 (ko) 2017-03-07

Family

ID=57993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742A KR101712881B1 (ko) 2015-07-06 2015-07-06 자립형 포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28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54257A1 (en) * 2017-04-11 2018-10-18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Stand-up packaging
CN114953597B (zh) * 2022-05-05 2024-04-23 上海洲泰轻工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侧风琴三角结构的制备设备、方法、包装袋及制袋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4232A (ja) 2000-10-06 2002-04-16 Bischoff & Klein Gmbh & Co Kg 可とう性の溶接可能な材料から成る側縁折り込みひだ付き袋
US20100247001A1 (en) 2009-03-24 2010-09-30 Sargin Gary F Bag and zipper assembly with secured side gussets
EP1855875B1 (fr) 2005-03-02 2012-01-11 Autobar Flexible Packaging Procede de fabrication d'un sac a soufflets a partir d'un film en matiere plastique et le sac obtenu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56260C (zh) * 2002-07-24 2006-05-17 户谷技研工业株式会社 塑料袋和塑料袋制造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4232A (ja) 2000-10-06 2002-04-16 Bischoff & Klein Gmbh & Co Kg 可とう性の溶接可能な材料から成る側縁折り込みひだ付き袋
EP1855875B1 (fr) 2005-03-02 2012-01-11 Autobar Flexible Packaging Procede de fabrication d'un sac a soufflets a partir d'un film en matiere plastique et le sac obtenu
US20100247001A1 (en) 2009-03-24 2010-09-30 Sargin Gary F Bag and zipper assembly with secured side gusse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566A (ko) 2017-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44935B2 (ja) 電子レンジ用包装袋及び製袋方法
CN103415445A (zh) 可重复密封的开口装置以及包括该开口装置的包装袋
JP6497730B2 (ja) 包装袋
KR101712881B1 (ko) 자립형 포장 용기
JP2009208836A (ja) 自立包装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6496114B2 (ja) 底面付き袋体
JP6046520B2 (ja) 充填方法
JP6373122B2 (ja) 包装体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包装袋
JP2018034903A (ja) スパウト付きガゼット袋
KR101712883B1 (ko) 자립형 포장 용기의 접힘부 접합 장치
JP2006335420A (ja) 合掌部付き袋体とその製造方法
JP2015160614A (ja) 使い捨ておむつ等の包装袋
JP2006213368A (ja) ピロー包装体
CN106715106B (zh) 制袋装置及制袋方法
JP6864215B2 (ja) テープ挿入型易開封ガゼット袋
JP2008056345A (ja) ファスナ付き袋とその製造方法
JP2017088238A (ja) スパウト付きガゼット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143581A (ja) 物品収容袋
JP4104515B2 (ja) ヒートシーラ
JP2017214140A (ja) ブリスタパックとブリスタパックの製造方法
JP7339648B2 (ja) リップ付包装袋
JP4760159B2 (ja) プラスチックパウチの製造方法
JP6372838B2 (ja) 包装袋
JP2017052152A (ja) 注出口栓付き自立包装袋の製造方法
JP2008137721A (ja) 花卉搬送用容器、花卉搬送用ガゼット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