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2806B1 - 로드 토크 락 및 로드 토크 락을 포함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로드 토크 락 및 로드 토크 락을 포함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2806B1
KR101712806B1 KR1020117018145A KR20117018145A KR101712806B1 KR 101712806 B1 KR101712806 B1 KR 101712806B1 KR 1020117018145 A KR1020117018145 A KR 1020117018145A KR 20117018145 A KR20117018145 A KR 20117018145A KR 101712806 B1 KR101712806 B1 KR 101712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load torque
torque lock
metal member
s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8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2673A (ko
Inventor
타렉 밀리
크리스티안 바우어
한스-페터 돔쉬
모하메드 밀리
페터 보르
토마스 홀쩌
홀거 퇴네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10122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2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expandable or contractable clamping ring or band
    • F16D41/2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expandable or contractable clamping ring or band having axially adjacent coils, e.g. helical wrap-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50Crank gear with clutches or retaining brakes, for operating window mechanisms
    • E05F11/505Crank gear with clutches or retaining brakes, for operating window mechanisms for vehicl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드 토크 락(1)에 관한 것으로, 토크를 차단하기 위해 브레이크 바디(13)와 마찰 결합식으로 상호 작용하는 슬링(sling) 부재(12) 및 구동 휠(14)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휠은 구동 휠(14)에 결합하고 슬링 부재(12)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 영역(25)을 포함하는 캐리어(15; 15a)에 토크 전달 방식으로 커플링되고, 상기 캐리어에 의해 차단될 토크가 슬링 부재(12) 내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캐리어(15; 15a)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영역(25)에서 휨 응력을 감소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로드 토크 락 및 로드 토크 락을 포함하는 장치{Load torque lock and apparatus having load torque lock}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특히 자동차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로드 토크 락(load torque lock) 및 청구범위 제 15 항에 따른 로드 토크 락을 포함하는 바람직하게 자동차 어플리케이션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 특히 보조 및 편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 197 53 106 C2호에는 로드 토크 락이 공지되어 있고, 상기 로드 토크 락은 구동 트레인에 장착되고, 구동기의 정지 시 자동으로 구동기로부터 도입되는 토크를 차단한다. 구동측으로부터 도입된 토크는 2개의 방향으로 전달된다. 출력측 토크를 차단하기 위해 랩(wrap) 스프링이 브레이크 바디와 마찰 결합 방식으로 상호 작용한다. 공지된 로드 토크 락은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그러나 로드 토크 락은 더 견고하게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특히 플라스틱 캐리어에 대한 랩 스프링의 접촉 영역에서 플라스틱의 변형이 나타날 수 있고, 상기 변형은 작동 시 발생하는 허용되지 않은 표면 압력 및 비교적 높은 휨 응력에 의해 야기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연장된 수명을 가진 견고한 로드 토크 락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로드 토크 락은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 경량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상응하게 최적화된 로드 토크 락을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로드 토크 락과 관련해서는 청구범위 제 1 항의 특징에 의해 해결되고, 장치와 관련해서는 청구범위 제 15 항의 특징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들은 종속 청구항에 제시된다. 본 발명의 범위에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또는 도면에 공개된 특징들의 적어도 2개 이상의 모든 조합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기본 사상은, 차단 시 슬링 부재가 접촉하거나 또는 지지하는 캐리어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영역에 휨 응력을 감소시키기는 수단을 장착하는 것이다.
슬링 부재의 하나의 자유 단부와 상호 작용하는 캐리어의 2개의 접촉 영역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으로 형성되는 실시예가 특히 바람직하다. 캐리어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으로 형성함으로써, 허용되지 않은 표면 압력 및 높은 휨 응력이 방지될 수 있고, 이로써 차단될 토크의 도입 시 캐리어의 손상이 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상에 따라 형성된 로드 토크 락은 특히 선 루프 구동기, 시트 조절기, 윈도우 리프터, 윈드실드 와이퍼 구동기, 트랜스미션 및 클러치 액추에이터와 같은 자동차 어플리케이션, 및 전기식 스티어링 시스템에 적합하며, 및 일반적으로 액추에이터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구상에 따라 형성된 로드 토크 락의 용도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고, 기본적으로 모든 모터 또는 구동기 및 엔진에서 사용될 수 있다.
구동 휠에 바람직하게 축방향 결합에 의해 커플링된 캐리어가 바람직하게 플라스틱-베이스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바디에 적어도 하나의 접촉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금속 부재가 고정되도록 다수의 부분으로 구현되는 로드 토크 락의 실시예가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 캐리어 또는 베이스 바디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부이다. 캐리어(플라스틱- 및 금속 보호부)가 다수의 부분으로 형성됨으로써 슬링 부재에 대한 접촉 압력을, 플라스틱 베이스 바디가 부하를 견디고 전체적으로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는 시스템이 얻어지도록 분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적어도 하나의 금속 부재를 캐리어, 바람직하게는 캐리어의 베이스 바디에 고정하는 것과 관련해서 여러 방법들이 있다. 따라서 예컨대 금속 부재는 사출 성형 방법으로 부분적으로 압출될 수 있고, 이로써 고정될 수 있다. 대안 실시예에서 금속 부재는 플라스틱 섹션에 록킹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플라스틱 섹션에 클립 고정될 수 있고, 추후에 여기에 간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금속 부재의 형성과 관련해서도 여러 방법들이 있다. 따라서 예컨대, 금속 부재는 슬리브로서 또는 한 측면, 특히 2개의 측면이 폐쇄된 포트로 형성되고, 금속 부재가 플라스틱 섹션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하거나 또는 둘러싸도록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금속 부재는, 캐리어의 플라스틱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출성형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링 부재의 구체적인 형성과 관련해서도 상이한 방법들이 있다. 슬링 부재가 특히 금속 랩 스프링으로서 형성되는 실시예가 특히 바람직하고, 이 경우 바람직하게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 바람직하게 방사방향 내측으로 휘어진, 랩 스프링의 2개의 자유 단부들은 캐리어의 각각의 금속 접촉 영역과 상호 작용한다. 슬링 부재를 바람직하게 랩 링크 체인, 슬링 밴드, 슬링 케이블 등으로 형성하는 대안 실시예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슬링 부재는, 차단 동안 슬링 부재가 마찰 결합 방식으로 방사방향 내측 또는 방사방향 외측으로 브레이크 바디와 마찰 결합 되도록, 상기 슬링 부재의 자유 단부들이 원주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또는 서로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브레이크 바디의 형성과 관련하여서도 여러 방법들이 있다. 브레이크 바디가 실린더형 마찰면(내부- 또는 외부면)을 포함하는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고, 이 경우 슬링 부재가 브레이크 바디의 내주, 즉 내주에 형성된 마찰면과 상호 작용하거나 또는 브레이크 바디를 둘러싸고, 이 경우 차단 시 브레이크 바디의 외주와 마찰 결합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는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장치, 바람직하게 특히 자동차용 보조- 또는 편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예컨대 모터 및/또는 엔진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예컨대 선루프 구동기, 윈도우 구동기, 시트 조절 구동기, 윈드실드 와이퍼 구동기 또는 트랜스미션- 및/또는 클러치 액추에이터와 같은 조절 구동기이다. 또한, 전기식 차량 스티어링 등일 수 있다. 장치는, 본 발명의 구상에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로드 토크 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장점들, 특징들 및 세부사항들은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기 설명 및 도면을 참고로 제시된다.
도 1은 로드 토크 락(차동 클러치)의 가능한 실시예의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2은 플라스틱 베이스 바디와 2개의 고정 가능한 금속 부재들로 이루어진 캐리어의 분해도.
도 3은 조립이 완료된 캐리어의 측면도.
도 4는 장착된 캐리어가, 도 3과 관련해서 180°회전된 측면도.
도 5는 변형된 금속 부재를 포함하는, 로드 토크 락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금속 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변형된 캐리어의 사시도.
도 8은 추가 금속 부재를 포함하는, 도 7에 따른 캐리어의 사시도.
도 9는 보호 섹션을 포함하는 다른 변형된 금속 부재의 사시도.
도 10은 캐리어에 장착된 상태에서 도 10에 따른 금속 부재의 사시도.
도 11은 보호 섹션을 포함하는 다른 변형된 금속 부재의 사시도.
도 12는 캐리어에 장착된 상태에서 도 11에 따른 금속 부재의 사시도.
도 13은 보호 섹션을 포함하는 다른 변형된 금속 부재의 사시도.
도 14는 캐리어에 장착된 상태에서 도 13에 따른 금속 부재의 사시도.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들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재들은 동일한 도면부호로 도시된다.
도 1에는 영구적으로 커플링된, 즉 디커플링될 수 없는 로드 토크 락(load torque lock)(1)의 가능한 실시예가 도시된다. 상기 로드 토크 락은 금속 랩 스프링으로 형성된 슬링 부재(12)를 포함한다. 슬링 부재(12)는 중공 실린더형 브레이크 바디(13)에 수용되고, 차단 시 상기 슬링 부재의 외주는 브레이크 바디(13)의 내주면과 상호 작용한다. 도시되지 않은 공지된 대안 변형 실시예에서, 슬링 부재(12)의 내주는 바람직하게 브레이크 바디의 실린더형 외주와 상호 작용한다.
로드 토크 락(1)은 웜 휠로서 형성된 구동 휠(14)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휠(14)은, 도시되지 않은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기어 웜에 의해 2개의 원주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구동 휠(14)은 캐리어(15)에 커플링되고, 상기 캐리어는 축방향으로 구동 휠(14)의 수용 포켓(16)에 축방향으로 결합한다. 캐리어(15)는 구동측으로 도입된 토크를 조절 장치, 예컨대 윈도우 구동기의 케이블 장치에 전달하는데 이용된다.
슬링 부재(12)는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2개의 자유 단부들을 갖고, 상기 단부들 중 도 1에는 방사방향 내측으로 휘어진 상부 자유 단부(17)만 도시된다. 구동 휠(14)은, 구동측으로, 즉 구동 휠(14)에 의해 토크가 도입되면, 상기 토크가 캐리어(15)에 전달되도록 캐리어(15)와 상호 작용한다. 그러면 슬링 부재(12)가 작동하고, 즉 상기 슬링 부재는 구동 휠(14) 및 캐리어(15)와 함께 고정된 브레이크 바디(13)에 대해 조절된다. 출력측으로 토크가 도입되는 경우에, 즉 캐리어(15)에 의해 토크가 도입되는 경우에, 슬링 부재(12)의 자유 단부들(17)은, 슬링 부재(12)의 외주가 확장되도록 서로 멀어지게 이동되고, 이로 인해 슬링 부재(12)의 외주는 브레이크 바디(13)의 내주와 마찰 결합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여 출력측 토크를 차단하고, 즉 더 이상 구동 휠(14)로 그리고 구동 모터, 특히 전기 모터(도시되지 않음) 방향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슬링 부재(12)가 브레이크 바디(13)의 외주와 상호 작용하는 로드 토크 락(1)의 도시되지 않은 변형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자유 단부들(17)은 브레이크 작용을 하기 위해 반대 방향으로 서로 조절되어야 한다.
로드 토크 락(1)의 견고함을 높이기 위해, 캐리어(15)를 축방향으로 수용 포켓(16)에 결합시키는 (하나만 도시된) 각각의 연장부(18)에 금속 부재(20)가 제공되고, 출력측 토크를 차단하기 위해 슬링 부재(12)의 각각의 자유 단부(17)는 상기 금속 부재에 지지된다.
이어서 다수의 부분으로 형성된 캐리어(15)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4에 따른 사시도를 참고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다수의 부분으로 구성된 캐리어(15)의 사시도이다. 상기 캐리어는 사출 성형부로 형성된 플라스틱 베이스 바디(22)를 포함한다. 구동 휠(14; 도 1참조)에 의해 캐리어(15)에 전달된 토크가 계속해서, 예컨대 케이블 장치에 전달될 수 있도록 베이스 바디(22)의 상부에 외부 톱니(23)가 제공된다.
캐리어(15), 정확히는 베이스 바디(22)는 원주 방향으로, 180°서로 이격된 페그 형태의 2개의 축방향 연장부들(18)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들은 토크 전달을 위해, 즉 한편으로는 출력측 토크를 도 1에 따라 슬링 부재(12) 내로 도입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구동 휠(14; 도 1참조)을 통해 구동측으로 도입된 토크를 수용하기 위해 이용된다.
또한, 다수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캐리어(15)의 견고함을 높이기 위해 캐리어(15)는 연장부(18)에 고정하기 위한 클립 고정 가능한 2개의 금속 부재들(20)을 포함한다. 선행기술과 달리, 슬링 부재(12)의 자유 단부들(17)은 연장부(18)에 직접 지지되는 것이 아니라, 금속 부재들(9)에 의해 상기 연장부에 간접적으로만 지지되고, 즉 상기 금속 부재들은 슬링 부재(12)의 자유 단부와 직접 상호 작용한다.
도 3 및 도 4에는 조립이 완료된 상태의 캐리어(15)가 도시된다. 금속 부재들(20)이 축방향으로 오프셋 되어 배치된 것이 도시된다. 이것은 랩 스프링으로서 형성된 슬링 부재(12)의 자유 단부들(17)이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것에 기인한다.
금속 부재들(20)은 각각 연장 센션에 의해 형성된, 베이스 바디(22)의 플라스틱 섹션(12)을 둘러싼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부재들(20)은 하나의 공통 측면에 슬링 부재(12)의 하나의 자유 단부(17)의 직접적인 접촉을 위한 각각의 접촉 영역(25)을 형성한다. 이로 인해 차단 시 순수 플라스틱 연장부(18)에서 나타날 수 있는 것과 같은 허용되지 않은 표면 압력이 확실히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금속 부재(20)에 의해 연장부(18) 내의 휨 응력이 감소되고, 자유 단부(17)에 의해 야기된 힘은 연장부(18) 내의 더 넓은 영역으로 도입된다.
도 5 및 도 6에는 변형된 금속 부재들(20a)이 도시된다. 금속 부재(20a)는 개구(28)를 가진 플레이트형 중앙 영역(27)을 포함한다. 개구(28)에 의해 금속 부재(20a)는 캐리어(15)의 구동 패그(30)에 지지된다. 중앙 영역(27)은 캐리어(15) 또는 상기 캐리어의 연장부(18) 하부에 있는 평면에 배치된다. 180°서로 오프셋되어 배치된 2개의 접촉 섹션들(31)은 중앙 영역(27)의 외부 영역으로부터 연장부(18)의 방향으로 돌출하고, 2개의 접촉 섹션들(31)은 슬링 부재(12)의 2개의 자유 단부들(17)의 상이한 축방향 배치에 따라 상이한 길이로 형성된다. 이 경우 접촉 섹션들(31)은 2개의 자유 단부들(17)과 연장부들(18) 사이에, 캐리어의 수용 포켓(16) 내에 배치된다.
도 7에는 변형된 캐리어(15a)가 도시된다. 캐리어(15a)는 상기 캐리어(15a) 내로 슬링 부재(12)의 자유 단부들(17)의 힘 도입으로 인한 휨 응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수단은 캐리어(15a)의 특수한 구조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캐리어(15a)는 변형된 연장부(18a)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캐리어(15a)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볼 때, 적어도 대략 10°, 특히 30°내지 120°, 대략 180°까지의 각도 범위를 갖는다. 상기 각도 범위는 부하에 따라 또는 전달될 힘에 따라 그리고 특히 사용된 재료에 따라서 주어진다. 연장부(18a)를 제한하는 2개의 단부면들(33, 34)이 슬링 부재(12)의 2개의 자유 단부들(17)을 위한 대응면 또는 접촉면으로서 이용되는 것이 캐리어(15a)에서 중요하다. 연장부(18a)가 연장부(18)에 비해 일반적으로 확장되어 형성됨으로써, 특히 캐리어(15a)의 베이스(35)에서 연장부(18a)의 휨 응력이 감소된다. 또한, 이를 위해 적어도 단부면(33, 34)에 대한 베이스(35)의 이행 영역에 각각 휨 응력 또는 노치 효과를 더 감소시키는 반경(2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8에는 실질적으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금속 부재(20)에 상응하는 금속 부재(20b)와 상호 작용하는 캐리어(15a)가 도시된다.
도 9 및 도 10에는 캐리어(15a;대안으로서 캐리어(15)도 사용 가능)에서 사용하기 위한 변형된 금속 부재(20c)가 도시된다. 이 경우 금속 부재(20c)는 추가 지지 섹션(38)을 갖고, 상기 지지 섹션은 캐리어(15a)에 형성된 개구(39)를 관통하고, 캐리어(15a)의 하측면(40)에 접촉한다. 이로써 슬링 부재(12)의 자유 단부(17)에 의해 전달된 휨 토크는 지지 섹션(38)을 통해 캐리어(15a)에 전달됨으로써, 연장부(18a)의 적어도 부분적인 하중 경감이 야기된다.
도 11 및 도 12에는 캐리어(15)에서 사용하기 위한 변형된 금속 부재(20d)가 도시된다. 이 경우 금속 부재(20d)는 브래킷 형태로 형성되고, 캐리어(15)의 연장부(18)를 포함한다. 또한, 금속 부재(20)는 접촉 영역(25)에 대해 대향 배치된 측면에 지지 섹션(38d)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섹션은 캐리어(15)의 상측면(41)에 배치된다.
캐리어(15)를 위한,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변형된 금속 부재(20e)는 금속 부재들(20c, 20d)의 조합이다. 이를 위해 금속 부재(20e)는 대향 배치된 측면에 배치된 2개의 지지 영역들(43, 44)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영역들은 캐리어(15)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과 상호 작용한다.
보완적으로, 금속 부재들(20, 20a 내지 20e)은 특히 박판 스탬핑 휨 부품으로서 형성된다. 또한, 금속 부재들(20c, 20d, 20e)에서 지지 섹션들(38, 38d, 43, 44)은 캐리어(15, 15a)의 플라스틱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이로써 금속 부재들(20c, 20d, 20e)은 추가로 캐리어(15, 15a) 내에 고정되므로, 캐리어(15, 15a)에서 추가의 지지 조치가 경우에 따라서 생략될 수 있다.
1 로드 토크 락
12 슬링 부재
13 브레이크 바디
15, 15a 캐리어

Claims (15)

  1. 토크를 차단하기 위해 브레이크 바디(13)와 마찰 결합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는 슬링(sling) 부재(12) 및 캐리어(15; 15a)에 토크 전달 방식으로 커플링되는 구동 휠(14)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15; 15a)는 상기 구동 휠(14)에 축방향으로 결합하고 상기 슬링 부재(12)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 영역(25)을 갖고, 상기 캐리어(15; 15a)에 의해, 차단될 토크가 상기 슬링 부재(12) 내로 도입될 수 있는 로드 토크 락(load torque lock)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15; 15a)의 접촉 영역(25)은 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촉 영역(25)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 영역(25)에서의 휨 응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캐리어(15; 15a)의 플라스틱 섹션(24) 상에 배치된 금속 부재(20, 20a 내지 20e)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토크 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15; 15a)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영역(25)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부재(20, 20a 내지 20e)를 제외하고, 완전히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토크 락.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재(20, 20a 내지 20e)는 플라스틱 섹션(24)에 클립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토크 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재(20, 20a 내지 20e)는 상기 플라스틱 섹션(24)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슬리브 또는 포트(pot)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토크 락.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재(20c; 20d; 20e)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섹션(38; 38d; 43, 44)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섹션은 상기 캐리어(15; 15a) 내에 매립되거나 또는 상기 캐리어(15; 15a)의 표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토크 락.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재(20a)는 상기 캐리어(15)를 위한 베어링 패그(30)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금속 부재(20a)는 상기 베어링 패그(30)의 축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섹션(31)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섹션은 상기 캐리어(15)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영역(25)과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토크 락.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재(20a)는 중앙 영역(27)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영역의 외부 영역 각각에는 접촉 섹션(31)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토크 락.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영역(27)은 상기 캐리어(15) 하부에 평면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토크 락.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재(20;20a 내지 20e)는 스탬핑 휨 부품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토크 락.
  10.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의 캐리어(15a)의 연장부(18a)에 접촉면으로서 작용하는 단부면(33, 34)이 배치되고, 상기 단부면(33, 34)으로부터 상기 캐리어(15a)의 베이스(35)로의 이행 영역에서 적어도 상기 단부면(33, 34)의 측면에 반경(3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토크 락.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8a)는 상기 캐리어(15a)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볼 때, 적어도 10°의 각도 범위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토크 락.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링 부재(12)는 랩 링크 스프링, 슬링 체인, 슬링 밴드 또는 슬링 케이블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토크 락.
  13. 제 1 항에 따른 로드 토크 락(1)을 갖는 자동차 어플리케이션용 조절 구동기.
  1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섹션(38; 38d; 43, 44)은 상기 접촉 영역(25)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토크 락.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구동기는 윈도우 리프터 구동기 또는 선루프 구동기인, 조절 구동기.
KR1020117018145A 2009-02-03 2010-01-27 로드 토크 락 및 로드 토크 락을 포함하는 장치 KR1017128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00563 2009-02-03
DE102009000563.3 2009-02-03
DE102010001245A DE102010001245A1 (de) 2009-02-03 2010-01-27 Lastdrehmomentsperre sowie Aggregat mit Lastdrehmomentsperre
PCT/EP2010/050885 WO2010089232A1 (de) 2009-02-03 2010-01-27 Lastdrehmomentsperre sowie aggregat mit lastdrehmomentsperre
DE102010001245.9 2010-0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673A KR20110122673A (ko) 2011-11-10
KR101712806B1 true KR101712806B1 (ko) 2017-03-07

Family

ID=42077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8145A KR101712806B1 (ko) 2009-02-03 2010-01-27 로드 토크 락 및 로드 토크 락을 포함하는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857595B2 (ko)
EP (1) EP2394070B1 (ko)
KR (1) KR101712806B1 (ko)
CN (1) CN102301150B (ko)
BR (1) BRPI1007898A2 (ko)
DE (1) DE102010001245A1 (ko)
WO (1) WO20100892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27809A1 (en) 2012-02-24 2013-09-05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DE102010003657A1 (de) * 2010-04-06 2011-10-06 Robert Bosch Gmbh Lastdrehmomentsperre und Aggregat mit einer Lastdrehmomentsperre
US9457768B2 (en) 2011-04-21 2016-10-04 Pylon Manufacturing Corp. Vortex damping wiper blade
CA2843527C (en) 2011-07-28 2018-11-27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adapter, connector and assembly
US9108595B2 (en) 2011-07-29 2015-08-18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20130219649A1 (en) 2012-02-24 2013-08-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US10829092B2 (en) 2012-09-24 2020-11-10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modular mounting base
US10166951B2 (en) 2013-03-15 2019-01-01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WO2014175972A2 (en) * 2013-03-15 2014-10-30 Eaton Corporation Improved constructions for load-bearing structures; advantageous metal-plastic composite constructions; methods of preparation and assembly; systems and methods
US9505380B2 (en) 2014-03-07 2016-11-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and assembly
DE102015205870A1 (de) * 2015-04-01 2016-10-06 Robert Bosch Gmbh Wischerarmanbindung
US10363905B2 (en) 2015-10-26 2019-07-30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O2017201485A1 (en) 2016-05-19 2017-11-23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11040705B2 (en) 2016-05-19 2021-06-22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AU2017267978A1 (en) 2016-05-19 2018-11-22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AU2017268008A1 (en) 2016-05-19 2018-11-22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WO2017201473A1 (en) 2016-05-19 2017-11-23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blade
WO2018081791A1 (en) 2016-10-31 2018-05-0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cov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0533A (ja) 2004-09-27 2006-04-06 Gkn ドライブライン トルク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トルク伝達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77288A (en) * 1929-02-01 1932-09-13 Ternstedt Mfg Co Antirattling device for alpha window regulator clutch
JPS58191327A (ja) * 1982-05-04 1983-11-08 Aisin Seiki Co Ltd スプリングカツプラ装置
JPS5929822A (ja) 1982-08-10 1984-02-17 Toshiba Corp スプリングクラツチ装置
JPS60245841A (ja) * 1984-05-16 1985-12-05 Nippon Denso Co Ltd 逆転防止装置
DE3633337A1 (de) * 1986-10-01 1988-04-07 Teves Gmbh Alfred Bolzen- bzw. daempfungselement fuer schwimmsattel-teilbelagscheibenbremsen,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US4926987A (en) * 1987-01-13 1990-05-22 Ohi Seisakusho Co., Ltd. One-way transmission device
JP2803933B2 (ja) * 1991-12-05 1998-09-24 三田工業株式会社 バネクラッチ構造
JP2547620Y2 (ja) * 1991-12-17 1997-09-10 株式会社ミツバ 逆転防止装置
US5177662A (en) * 1992-02-05 1993-01-05 Johnson Service Company Capacitance humidity sensor
DE19753106C2 (de) 1996-12-09 2000-05-04 Guido Schneider Lastdrehmomentsperre
CN1107819C (zh) * 1999-07-13 2003-05-07 王跃 自动离合器
DE102010003657A1 (de) * 2010-04-06 2011-10-06 Robert Bosch Gmbh Lastdrehmomentsperre und Aggregat mit einer Lastdrehmomentsper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0533A (ja) 2004-09-27 2006-04-06 Gkn ドライブライン トルク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トルク伝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94070B1 (de) 2014-10-01
EP2394070A1 (de) 2011-12-14
CN102301150A (zh) 2011-12-28
WO2010089232A1 (de) 2010-08-12
US20120152690A1 (en) 2012-06-21
US8857595B2 (en) 2014-10-14
BRPI1007898A2 (pt) 2015-09-01
KR20110122673A (ko) 2011-11-10
CN102301150B (zh) 2014-06-04
DE102010001245A1 (de) 201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2806B1 (ko) 로드 토크 락 및 로드 토크 락을 포함하는 장치
EP1243804B1 (de) Selbsteinstellendes Kupplungsausrücklager
CN108350999B (zh) 在脱耦张紧器上的无间隙的摆动支承装置
CZ291293B6 (cs) Elektromotorický servopohon pro pouľití v technických zařízeních, zejména ve vozidlech
KR101122934B1 (ko) 차량 시트용 디텐트 피팅
CN105593571B (zh) 用于机动车的调节单元
EP3260724B1 (en) Actuator for brake, and brake device
KR102591482B1 (ko) 마찰 저항을 발생시키기 위한 다이어프램 스프링을 가진 원심력 진자, 클러치 플레이트, 및 파워 트레인
CN108349520A (zh) 用于机动车辆的转向柱和用于制造转向柱的方法
EP1338819B1 (en) Dynamic damper and propeller shaft
US10452094B2 (en) Tensioning device having a transport securing concept
US6713917B2 (en) Drive device
EP1338820B1 (en) Dynamic damper and propeller shaft
KR19980018197A (ko) 자동차의 기어변환 클러치 동작용 릴리스 베어링
EP1338822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dynamic damper
EP1338821B1 (en) Dynamic damper and propeller shaft
CN101949435B (zh) 用于汽车的牵引工具传动装置的张紧装置
US4613028A (en) Clutch release bearing suitable for automotive vehicle
KR20030006630A (ko) 자동차용 엔진 마운트
KR100448782B1 (ko) 자동변속기의 주차기구
EP3812608B1 (en) Mount and method for assembling a mount
US11454275B2 (en) Bearing arrangement for a vehicle
US20230099834A1 (en) Bearing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bearing
KR20050033620A (ko) 와이퍼 아암의 고정 부품용 보강 부재
KR101062355B1 (ko)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피스톤 링 완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