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929B1 -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 Google Patents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929B1
KR101710929B1 KR1020150035059A KR20150035059A KR101710929B1 KR 101710929 B1 KR101710929 B1 KR 101710929B1 KR 1020150035059 A KR1020150035059 A KR 1020150035059A KR 20150035059 A KR20150035059 A KR 20150035059A KR 101710929 B1 KR101710929 B1 KR 101710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ash plate
chamber
contact position
drive shaft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5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1285A (ko
Inventor
신야 야마모토
켄고 사카키바라
유스케 야마자키
히로유키 나카이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150111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0873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 F04B27/0878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54Actu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54Actuating elements
    • F04B27/1072Pivot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09Controlled pressure
    • F04B2027/1813Crankcas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86Open (not controlling) fluid pas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압축기에서는, 안내면(57a, 57b)이 러그 판(51)에 형성되고, 피안내면(59a, 59b)이 사판 아암(5e, 5f)에 형성된다. 안내면(57a, 57b)과 피안내면(59a, 59b)은 경사각이 최대일 때 제1 접촉 위치(P1)에서 각각 서로 선 접촉하고, 경사각이 최소일 때 제2 접촉 위치(P2)에서 각각 서로 선 접촉한다. 안내면(57a, 57b)은, 제1 접촉 위치(P1)와 제2 접촉 위치(P2) 사이의 부분들이 피안내면(59a, 59b)을 향하여 볼록하도록 형성된다. 본 압축기에서, 제1 접촉 위치(P1)에서의 접촉각(θ1)이 크게 될 수 있고, 제2 접촉 위치(P2)에서의 접촉각(θ2)은 작게 될 수 있다.

Description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본 발명은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종래의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이하, 압축기라고 함)가 개시되어 있다. 이 압축기에서는, 흡입실, 토출실, 사판실, 중앙 보어 및 복수의 실린더 보어가 하우징 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 내에는 구동축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사판실 내에는,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가능한 사판이 제공된다. 구동축과 사판 사이에는 링크 기구가 제공된다. 이 링크 기구에 의해 사판 경사각의 변화가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경사각은 구동축의 구동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한 사판의 각을 말한다. 각 실린더 보어 내에는 피스톤이 왕복 운동가능하게 수용된다. 각 피스톤마다 한 쌍으로 마련되는 슈우(shoe)는, 변환 기구로서, 각 피스톤이 사판의 회전에 의해 실린더 보어 내에서 상기 경사각에 대응하는 행정(stroke)으로 왕복 운동하게 한다. 액츄에이터는 경사각을 변화시킨다. 액츄에이터는 제어 기구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링크 기구는, 러그(lug) 부재, 제1 사판 아암 및 제2 사판 아암을 가진다. 러그 부재는 구동축에 고정되고, 사판실 내의 전방측에서 사판과 대면하도록 위치된다. 제1 사판 아암은 사판의 전방면에 제공되고, 사판실의 전방부로 연장된다. 제1 사판 아암은 러그 부재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며, 구동축의 회전이 러그 부재로부터 제1 사판 아암에 전달된다. 상기 제2 사판 아암은 사판의 후방면에 제공되고, 사판실의 후방부로 연장된다. 제2 사판 아암에는 피안내면이 형성된다. 피안내면은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액츄에이터는 사판으로부터 후방측에 배치된다. 그 액츄에이터는 제1 가동체, 제2 가동체 및 제어 압력실을 가진다. 제1 가동체와 제2 가동체가 축방향으로 정렬되어 구동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구동축이 그들 제1 가동체와 제2 가동체를 통과해 삽입된다. 제1 가동체는 중앙 보어 내에 위치된다. 제2 가동체에는, 사판측 쪽으로 일정한 각으로 경사져 있는 평평한 안내면이 제공된다. 이 안내면과 상기 피안내면은 서로 선 접촉(linear contact)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 압력실은 내부 압력에 의해 제1 가동체와 제2 가동체를 움직인다.
상기 압축기에서, 제어 기구는 토출실 내의 냉매를 제어 압력실 안으로 도입시키고, 이에 의해 제어 압력실 내의 압력을 증가시킨다. 이에 의해서, 제1 가동체는 중앙 보어 내에서 구동축선 방향으로 움직이고 제2 가동체는 구동축선 방향으로 사판실의 전방측으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피안내면은 구동축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안내면 상에서 슬라이딩하게 된다. 또한, 제1 사판 아암은 러그 부재에 대해 선회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압축기에서, 사판의 경사각이 증가되고, 구동축의 일 회전 당 토출 용량이 증가하게 된다.
전술한 종래의 압축기에서, 피안내면은 안내면 상에서 슬라이딩하고, 이에 의해서 사판의 경사각이 변할 수 있다. 이때, 압축 하중이 피안내면을 통해 안내면에 작용하게 된다. 이 압축 하중은, 경사각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안내면과 피안내면이 슬라이딩하도록 만드는 성분을 가진다(이하, 그 성분을 '용량 증가 성분(capacity increasing component)'이라고 한다).
여기서, 구동축선과 직교하는 가상의 평면과 상기 안내면에 의해 형성되는 각, 즉 안내면과 피안내면의 접촉각이 크게 되면, 상기 용량 증가 성분이 크게 될 수 있고, 그래서 최대 토출 용량이 쉽게 유지된다. 반대로, 안내면과 피안내면의 접촉각이 작게 되면, 상기 용량 증가 성분은 작게 될 수 있고, 그래서 최소 토출 용량이 쉽게 유지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압축기에서는, 안내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피안내면은 항상 일정한 접촉각을 유지하면서 안내면 상에서 슬라이딩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종래의 압축기에서는, 최대 토출 용량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고, 또한 최소 토출 용량을 유지하는 것도 어렵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105384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츄에이터에 의해 토출 용량이 변하는 압축기에서 최대 토출 용량과 최소 토출 용량을 유리하게 유지할 수 있는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는, 흡입실, 토출실, 사판실 및 실린더 보어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축; 상기 사판실 내에서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가능한 사판; 상기 구동축과 상기 사판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구동축의 구동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한 상기 사판의 경사각을 변화시키는 링크 기구; 상기 실린더 보어 내에 수용되어 왕복 운동할 수 있는 피스톤; 상기 사판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상기 실린더 보어 내에서 상기 경사각에 대응하는 행정으로 왕복 운동하게 하는 변환 기구; 상기 경사각을 변화시킬 수 있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기구는, 상기 사판실 내에서 상기 구동축 상에 제공되어 상기 사판과 대면하는 러그(lug) 부재, 및 상기 러그 부재로부터 상기 구동축의 회전이 전달되는 사판 아암을 가지며,
상기 러그 부재에는, 상기 사판 아암과 대면하는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사판 아암에는, 상기 안내면에 접촉하여 상기 안내면에 의해 안내되는 피안내면이 형성되며,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러그 부재, 상기 러그 부재와 상기 사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체, 및 상기 러그 부재와 상기 가동체 사이에 제공되고 내부 압력에 의해 상기 가동체를 이동시키는 제어 압력실을 가지며,
상기 안내면은, 상기 경사각이 최대일 때 상기 피안내면이 상기 안내면에 접촉하는 제1 접촉 위치와 상기 경사각이 최소일 때 상기 피안내면이 상기 안내면에 접촉하는 제2 접촉 위치 사이에 있는 부분이 피안내면을 향하여 볼록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 및 이점들은, 이하의 설명과 첨부 도면에 개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 도면에 예시되어 있는 도시 및 전체 설명과 도면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실시 형태 1 의 압축기에서 최대 용량인 때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실시 형태 1 의 압축기에 따른 제어 기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 은 실시 형태 1 의 압축기에 따른 링크 기구 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 는 실시 형태 1 의 압축기에 따른 러그 판, 가동체 등을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는 실시 형태 1 의 압축기에서 최소 용량인 때의 단면도이다.
도 6 은 실시 형태 1 의 압축기에 따른, 피안내면이 안내면에 접촉하여 안내되면서 제1 접촉 위치에서 제2 접촉 위치로 슬라이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a 는 실시 형태 1 의 압축기에 따른, 안내면과 피안내면의 제1 접촉 위치에서의 접촉각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b 는 실시 형태 1 의 압축기에 따른, 안내면과 피안내면의 제2 접촉 위치에서의 접촉각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 은 접촉각의 변화 및 가변 압력차의 변화에 근거한 용량 증가 성분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 는 실시 형태 2 의 압축기에 따른, 피안내면이 안내면에 접촉하여 안내되면서 제1 접촉 위치에서 제2 접촉 위치로 슬라이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 은 비교예의 압축기에 따른 안내면과 피안내면의 접촉각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실시 형태 1 및 2 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 형태 1 및 2 의 압축기는 용량 가변형 편두 사판식 압축기이다. 이들 압축기 둘 다는 차량에 장착되며, 차량의 공기 조화 장치의 냉매 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실시 형태 1)
도 1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시 형태 1 의 압축기는 하우징(1), 구동축(3), 사판(swash plate; 5), 링크 기구(7), 복수의 피스톤(9), 한 쌍의 슈우(shoe; 11a, 11b), 액츄에이터(13), 및 도 2 에 나타나 있는 제어 기구(15)를 포함한다.
도 1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은, 압축기의 전방부에 위치되는 전방 하우징(17), 그 압축기의 후방부에 위치되는 후방 하우징(19), 상기 전방 하우징(17)과 후방 하우징(19) 사이에 위치되는 실린더 블럭(21), 및 밸브 형성 판(23)을 포함한다.
상기 전방 하우징(17)은, 전방부에서 압축기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전방 벽(17a), 및 이 전방 벽(17a)과 일체화되어 있고 압축기의 전방부로부터 후방부 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둘레 벽(17b)을 가진다. 상기 전방 벽(17a) 및 둘레 벽(17b)에 의해, 전방 하우징(17)은 바닥을 갖는 실질적인 원통형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전방 벽(17a) 및 둘레 벽(17b)에 의해 사판실(swash plate chamber; 25)이 전방 하우징(17) 내에 형성된다.
전방 벽(17a)에는,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보스(boss; 17c)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스(17c) 내에는 축 시일 장치(shaft seal device; 27)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보스(17c) 내에는, 압축기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축 구멍(17d)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축 구멍(17d) 내에는 제1 미끄럼 베어링(sliding bearing; 29a)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둘레 벽(17b)에는, 상기 사판실(25)과 연통하는 입구 포트(25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입구 포트(250)를 통해 사판실(25)은 증발기(미도시)에 연결된다. 그리하여, 증발기를 통과한 저압의 냉매 가스가 입구 포트(250)를 통과해 사판실(25) 안으로 유입하게 된다. 그러므로, 사판실(25) 내의 압력은 후술할 토출실(35) 내의 압력 보다 낮게 된다.
상기 후방 하우징(19) 내에는 제어 기구(15)의 일 부분이 제공되어 있다. 또한, 후방 하우징(19) 내에는 제1 압력 조절실(31a), 흡입실(33) 및 토출실(35)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압력 조절실(31a)은 후방 하우징(19)의 중심부에 위치된다. 토출실(35)은 후방 하우징(19)의 외주측에 환형으로 위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흡입실(33)은 후방 하우징(19) 내에서 제1 압력 조절실(31a)과 토출실(35) 사이에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토출실(35)은 출구 포트(미도시)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 블럭(21)에는, 실린더 보어(21a)(이 보어의 개수는 피스톤(9)의 개수와 동일함)가 원주 방향으로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실린더 보어(21a)의 전방단 측은 사판실(25)과 연통한다. 또한, 실린더 블럭(21)에는, 후술할 흡입 리드(reed) 밸브(41a)의 최대 각을 규제하는 리테이너 홈(2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 블럭(21)에는, 사판실(25)과 연통하면서 압축기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축 구멍(21c)이 실린더 블럭(21)을 통과해 제공되어 있다. 이 제2 축 구멍(21c) 내에는 제2 미끄럼 베어링(29b)이 제공되어 있다. 전술한 제1 미끄럼 베어링(29a) 및 제2 미끄럼 베어링(29b) 대신에, 구름 베어링(rolling bearing)이 각각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린더 블럭(21)에는 스프링실(21d)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프링실(21d)은 사판실(25)과 제2 축 구멍(21c)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스프링실(21d) 내에는 복귀 스프링(37)이 배치되어 있다. 이 복귀 스프링(37)은 경사각이 최소인 사판(5)을 사판실(25)의 전방부 쪽으로 가압하게 된다. 또한, 실린더 블럭(21)에는 사판실(25)과 연통하는 흡입 통로(3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 형성 판(23)은 후방 하우징(19)과 실린더 블럭(21) 사이에 제공된다. 그 밸브 형성 판(23)은 밸브 판(40), 흡입 밸브 판(41), 토출 밸브 판(43) 및 리테이너 판(45)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밸브 판(40), 토출 밸브 판(43) 및 리테이너 판(45)에는 흡입 포트(40a)들이 형성되어 있고, 이 흡입 포트의 개수는 실린더 보어(21a)의 개수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밸브 판(40) 및 흡입 밸브 판(41)에는 토출 포트(40b)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 토출 포트의 개수는 실린더 보어(21a)의 개수와 동일하다. 각 실린더 보어(21a)는 각 흡입 포트(40a)를 통해 흡입실(33)과 연통하며 또한 각 토출 포트(40b)를 통해 토출실(35)과 연통한다. 또한, 밸브 판(40), 흡입 밸브 판(41), 토출 밸브 판(43) 및 리테이너 판(45)에는 제1 연통 구멍(40c)과 제2 연통 구멍(40d)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연통 구멍(40c)에 의해 흡입실(33)과 흡입 통로(39)가 서로 연통한다. 그리하여, 사판실(25)과 흡입실(33)이 서로 연통하게 된다.
상기 흡입 밸브 판(41)은 밸브 판(40)의 전방면 상에 제공된다. 흡입 밸브 판(41)에는, 탄성 변형에 의해 각 흡입 포트(40a)를 개폐할 수 있는 복수의 흡입 리드 밸브(4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토출 밸브 판(43)은 밸브 판(40)의 후방면 상에 제공된다. 토출 밸브 판(43)에는, 탄성 변형에 의해 각 토출 포트(40b)를 개폐할 수 있는 복수의 토출 리드 밸브(4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테이너 판(45)은 토출 밸브 판(43)의 후방면 상에 제공된다. 그 리테이너 판(45)은 토출 리드 밸브(43a)의 최대 개도를 제한한다.
상기 구동축(3)은 보스(17c) 측으로부터 하우징(1)의 후방측 쪽으로 삽입된다. 구동축(3)은 보스(17c) 내에 있는 축 시일 장치(27)를 통과해 삽입되는 전방단측을 가지며, 이 전방단측은 제1 축 구멍(17d) 내에 있는 제1 미끄럼 베어링(29a)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구동축(3)의 후방단측은 제2 축 구멍(21c) 내에 있는 제2 미끄럼 베어링(29b)에 의해 지지된다. 이렇게 해서, 구동축(3)은 하우징(1)에 대하여 구동축선(O)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제2 축 구멍(21c) 내에는, 제2 압력 조절실(31b)이 구동축(3)의 후방단으로부터 떨어져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압력 조절실(31b)은 제2 연통 구멍(40d)을 통해 제1 압력 조절실(31a)과 연통한다. 이들 제1 및 2 압력 조절실(31a, 31b)에 의해 압력 조절실(31)이 형성된다.
구동축(3)의 후방단에는 O-링(49a, 49b)이 제공되어 있다. 그리하여, 구동축(3)과 제2 축 구멍(21c) 사이에 각 O-링(49a, 49b)이 위치되어 사판실(25)과 압력 조절실(31)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링크 기구(7), 사판(5) 및 액츄에이터(13)는 구동축(3)에 설치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링크 기구(7)는 러그(lug) 판(51), 러그 판(51)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러그 아암(53a, 53b), 및 사판(5)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사판 아암(5e, 5f)을 가진다. 러그 판(51)은 본 발명에서 러그 부재에 상당하다. 도 3 에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러그 판(51), 사판(5) 등의 형상은 단순화되어 도시되어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러그 판(51)은 실질적으로 환형인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 구멍(510)이 그 러그 판을 관통해 제공되어 있다. 러그 판(51)은 사판실(25) 내에서 사판(5)의 앞에 배치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구동축(3)은 상기 삽입 구멍(510) 내에 압입 끼워맞춤되고 러그 판(51)은 구동축(3)과 일체적으로 회전가능하다. 또한, 러그 판(51)과 전방 벽(17a) 사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 55)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러그 판(51)에는, 이 러그 판(5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원통형 실린더실(51a)이 구동축선(O)과 동축으로(coaxially) 오목하게 제공되어 있다. 그 실린더실(51a)은 러그 판(51)의 후방단 표면에서 사판실(25)에 열려 있고, 러그 판(51)의 그 후방단 표면에서부터, 러그 판(51)에 있는 스러스트 베어링(55)의 내측이 되는 지점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러그 아암(53a, 53b)은 러그 판(51)으로부터 각각 뒤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러그 판(51)에는, 한 쌍의 안내면(57a, 57b)이 각 러그 아암(53a, 53b) 사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러그 아암(53a, 53b) 및 안내면(57a, 57b)은, 상사점 표면(X)(사판(5)의 상사점 위치(T)와 구동축선(O)에 의해 규정되는 가상의 표면임)이 그들 사이에 있도록 러그 판(51)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에서, 상사점 표면(X)과 직교하면서 구동축선(O)과 교차하는 제1 가상 평면(Y1)을 가정한다.
도 1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사판(5)은 환형의 평평한 판 형상을 형성하며, 전방면(5a) 및 후방면(5b)을 가진다. 전방면(5a)에는, 사판(5)의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중량부(5c)가 형성되어 있다. 사판(5)의 경사각이 최대가 될 때 상기 중량부(5c)는 러그 판(51)에 접촉하게 된다. 또한, 사판(5)의 중심부에는 삽입 구멍(5d)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축(3)은 그 삽입 구멍(5d)을 통과해 삽입된다.
도 3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사판 아암(5e, 5f)은 상기 상사점 표면(X)을 그들 사이에 두고 사판(5)의 전방면(5a)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사판 아암(5e, 5f)은 전방면(5a)으로부터 앞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각 사판 아암(5e, 5f)의 선단에는, 피안내면(59a, 59b)이 형성되어 있다. 도 4 에서 이점 쇄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피안내면(59a)은, 상사점 표면(X)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모선(generating line)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피안내면(59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또한, 도 1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사판(5)에는, 실질적으로 반구형인 볼록부(5g)가 전방면(5a)에 돌출하여 제공되어 있고, 그 전방면(5a)과 일체화되어 있다. 상기 볼록부(5g)는 사판 아암(5e)과 사판 아암(5f)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압축기에서, 각 사판 아암(5e, 5f)은 각 러그 아암(53a, 53b) 사이에 삽입되며, 이렇게 해서 러그 판(51)과 사판(5)이 서로 연결된다. 그리하여, 러그 판(51)의 회전 구동력이 각 러그 아암(53a, 53b)으로부터 각 사판 아암(5e, 5f)에 전달된다. 이리하여, 사판(5)은 사판실(25) 내에서 러그 판(51)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러그 판(51)과 사판(5)은 서로 연결되며, 그래서 사판 아암(5e)의 피안내면(59a)이 안내면(57a)에 접촉하게 되고, 사판 아암(5f)의 피안내면(59b)은 안내면(57b)에 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각 사판 아암(5e, 5f)의 각 피안내면(59a, 59b)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래서, 각 안내면(57a, 57b)과 각 피안내면(59a, 59b)은 각각 서로 선 접촉하게 된다. 이어서, 각 피안내면(59a, 59b)은 안내면(57a, 57b)에 의해 각각 안내되면서 그들 안내면(57a, 57b)상에서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사판(5)은 상사점 위치(T)를 실질적으로 유지하면서, 구동축선(O)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한 그 자체의 경사각을 도 1 에 나타나 있는 최대 경사각에서 도 5 에 나타나 있는 최소 경사각까지 변화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피안내면(59a, 59b)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래서 이들 각 피안내면(59a, 59b)의 곡률은 일정하다. 그러므로, 도 6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접촉 위치(P1) 및 제2 접촉 위치(P2) 모두에서, 피안내면(59a, 59b)의 각 중심(C1)에서 안내면(57a, 57b)까지의 거리는 일정하다.
도 3 및 4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안내면(57a)은 구동축선(O) 측으로부터 러그 판(51)의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안내면(57a)은, 상기 상사점 표면(X)과 직교하는 모선을 갖는 실질적인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가상 평면(Y1)에 대해 뒤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볼록한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도 6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안내면(57a)은, 제1 접촉 위치(P1)(사판(5)의 경사각이 최대일 때 안내면(57a)과 피안내면(59a)이 서로 선 접촉하게 되는 위치임)와 제2 접촉 위치(P2)(상기 경사각이 최소일 때 안내면(57a)과 피안내면(59a)이 서로 선 접촉하게 되는 위치임) 사이에 있는 부분이 피안내면(59a) 쪽으로 볼록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내면(57a)에는, 제1 접촉 위치(P1)와 제2 접촉 위치(P2) 사이의 중간으로부터 제1 접촉 위치(P1) 쪽으로 편위되어 있는 정상부(P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정상부(P3)는, 안내면(57a) 상의 상기 모선에서, 제1 가상 평면(Y1)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에 존재한다. 도 3 에 나타나 있는 안내면(57b)은 전술한 바와 유사하고, 피안내면(59b) 쪽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액츄에이터(13)는 러그 판(51), 가동체(13a) 및 제어 압력실(13b)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동체(13a)에는 구동축(3)이 관통해 삽입되어 있고, 그 가동체는 구동축(3)과 접촉한 상태에서 슬라이딩하면서 구동축선(O)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가동체(13a)는 구동축(3)과 동축인 원통형을 형성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가동체(13a)는 제1 원통부(131), 제2 원통부(132), 및 연결부(133)를 가진다. 제1 원통부(131)는 가동체(13a)에서 사판(5) 측에 위치되며, 구동축(3)과 미끄럼 접촉한다. 제1 원통부(131)의 내주면에는 O-링(49c)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제2 원통부(132)는 가동체(13a)의 전방부에 위치되어 있다. 제2 원통부(132)는 제1 원통부(131) 보다 큰 직경을 갖고 형성되어 있다. 제2 원통부(132)의 외주면에는 O-링(49d)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133)는 제1 원통부(131)와 제2 원통부(132) 사이에 위치되며, 가동체(13a)의 후방부로부터 전방부 쪽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커지는 직경을 가지면서 연장되어 있다. 연결부(133)에서, 후방단은 제1 원통부(131)에 연결되어 있고 전방단은 제2 원통부(132)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작용부(134)가 제1 원통부(131)의 후방단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작용부(134)는 구동축선(O) 측으로부터 사판(5)의 상사점 위치(T) 측 쪽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볼록부(5g)에 접촉한다. 그리하여, 가동체(13a)는 러그 판(51) 및 사판(5)과 일체적으로 회전가능하다.
또한, 제2 원통부(132)와 연결부(133)가 내부로 전진되면 상기 실린더실(51a)은 이들 제2 원통부(132)와 연결부(133)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압력실(13b)은 제2 원통부(132), 연결부(133), 실린더실(51a) 및 구동축(3) 사이에 형성된다. 제어 압력실(13b)과 사판실(25) 사이의 공간은 O-링(49c, 49d)에 의해 밀폐된다.
또한, 구동축(3)에는, 구동축(3)의 후방단으로부터 구동축선(O)의 방향으로 전방단 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축방향 경로(3a), 및 이 축방향 경로(3a)의 전방단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구동축(3)의 외주면에 열려 있는 반경 방향 경로(3b)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축방향 경로(3a)의 후방단은 상기 압력 조절실(31)에 열려 있다. 한편, 상기 반경 방향 경로(3b)는 제어 압력실(13b)에 열려 있다. 상기 축방향 경로(3a)와 반경 방향 경로(3b)에 의해, 압력 조절실(31)과 제어 압력실(13b)이 서로 연통한다.
구동축(3)은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3c)에 의해 풀리 또는 전자기 클러치(미도시)에 연결된다.
각 피스톤(9)은 각 실린더 보어(21a) 내에 각각 수용되며 각 실린더 보어(21a) 내에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각 피스톤(9) 및 밸브 형성 판(23)에 의해, 압축실(61)이 각 실린더 보어(21a) 내에 형성된다.
또한, 각 피스톤(9)에는, 결합부(9a)가 각각 오목하게 제공되어 있다. 이 결합부(9a)에는 반구형 슈우(11a, 11b)가 각각 제공된다. 각 슈우(11a, 11b)는 사판(5)의 회전을 각 피스톤(9)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키게 된다. 각 슈우(11a, 11b)는 본 발명에서 변환 기구에 상당하다. 이렇게 해서, 각 피스톤(9)은 사판(5)의 경사각에 대응하는 행정으로 실린더 보어(21a) 내에서 각각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도 2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 기구(15)는 저압 통로(15a), 고압 통로(15b), 제어 밸브(15c)와 오리피스(15d) 및 축방향 경로(3a)와 반경 방향 경로(3b)를 가진다.
상기 저압 통로(15a)는 압력 조절실(31)과 흡입실(33)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하여, 저압 통로(15a), 축방향 경로(3a) 및 반경 방향 경로(3b)에 의해, 제어 압력실(13b), 압력 조절실(31) 및 흡입실(33)이 서로 연통하는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 고압 통로(15a)는 압력 조절실(31)과 토출실(35)에 연결되어 있다. 고압 통로(15b), 축방향 경로(3a) 및 반경 방향 경로(3b)에 의해, 제어 압력실(13b), 압력 조절실(31) 및 토출실(35)이 서로 연통하게 된다. 또한, 오리피스(15d)는 고압 통로(15b)에 제공된다.
제어 밸브(15c)는 저압 통로(15a)에 제공된다. 그 제어 밸브(15c)는 흡입실(33) 내의 압력에 근거하여 저압 통로(15a)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에서, 증발기에 연결되는 배관이 도 1 에 나타나 있는 입구 포트(250)에 연결되고, 응축기에 연결되는 배관이 출구 포트에 연결된다. 응축기는 배관 및 팽창 밸브를 통해 증발기에 연결된다. 압축기, 증발기, 팽창 밸브, 응축기 등에 의해, 차량용 공기 조화 장치의 냉매 회로가 구성된다. 증발기, 팽창 밸브, 응축기 및 각 배관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압축기에서, 구동축(3)이 회전하면, 사판(5)이 회전하고 또한 각 피스톤(9)이 각 실린더 보어(21a) 내에서 왕복 운동하게 된다. 그래서, 압축실(61)의 용량이 피스톤 행정에 따라 변하게 된다. 그러므로, 증발기로부터 입구 포트(250)에 의해 사판실(25) 안으로 들어오는 냉매 가스는 흡입 통로(39)로부터 흡입실(33)을 통과하고 압축실(61) 내에서 압축된다. 이어서, 압축실(61) 내에서 압축된 냉매 가스는 토출실(35) 안으로 토출되고 또한 출구 포트로부터 응축기 안으로 토출된다. 또한, 상기 중량부(5c)에 의해, 사판(5)의 회전 중에 생기는 관성력이 조절된다.
전술한 과정 중에, 상기 압축기에서, 사판(5)의 경사각을 작게 만드는 피스톤 압축력이 사판(5), 러그 판(51) 등에 작용하게 된다. 압축기에서, 사판(5)의 경사각이 변하여 피스톤(9)의 행정이 증가 또는 감소하게 되고, 이렇게 해서 용량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 기구(15)에서, 도 2 에 나타나 있는 제어 밸브(15c)가 저압 통로(15a)의 개도를 크게 만들면, 압력 조절실(31) 내의 압력이 낮게 되고, 또한 나아가, 제어 압력실(13b) 내의 압력은 흡입실(33) 내의 압력과 실질적으로 같게 된다. 그래서, 제어 압력실(13b)과 사판실(25) 사이의 압력차(이하, 가변 압력차라고 함)가 작게 된다. 그리하여, 사판(5)에 작용하는 상기 피스톤 압축력에 의해, 도 1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3)에서 가동체(13a)가 실린더실(51a) 내에서 사판(5) 측으로부터 구동축선(O) 방향으로 러그 판(51) 측 쪽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또한, 동시에, 상기 압축기에서는, 상기 피스톤 압축력 및 사판(5) 자체에 작용하는 복귀 스프링(37)의 가압력에 의해, 사판 아암(5e)의 피안내면(59a)이 구동축선(O)으로부터 멀어지게 안내면(57a) 상에서 슬라이딩하게 된다. 유사하게, 사판 아암(5f)의 피안내면(59b)도 안내면(57b) 상에서 슬라이딩하게 된다.
그러므로, 사판(5)에서, 상사점 위치(T)가 실질적으로 유지되면서 하사점 측이 시계 방향으로 선회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상기 압축기에서, 구동축(3)의 구동축선(O)에 대한 사판(5)의 경사각이 증가된다. 그리하여, 상기 압축기에서, 피스톤(9)의 행정이 증가되고 또한 구동축(3)의 일 회전 당 토출 용량이 커지게 된다. 도 1 에 나타나 있는 사판(5)의 경사각은 압축기에서 최대 경사각임에 유의해야 한다. 이때, 피안내면(59a)과 안내면(57a)은 도 6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위치(P1)에서 서로 선 접촉하게 된다. 이는 피안내면(59b)과 안내면(57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한편, 도 2 에 나타나 있는 제어 밸브(15c)가 저압 통로(15a)의 개도를 작게 만들면, 압력 조절실(31) 내의 압력이 높게 되고 또한 제어 압력실(13b) 내의 압력도 높게 된다. 그래서, 상기 가변 압력차가 커지게 된다. 이리하여, 도 5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동체(13a)가 러그 판(51)으로부터 멀어지게 움직이면서 실린더실(51a) 내에서 구동축선(O) 방향으로 사판(5) 쪽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압축기에서, 상기 작용부(134)가 볼록부(5g)를 사판실(25)의 후방부 쪽으로 누르게 된다. 그래서, 사판 아암(5e)의 피안내면(59a)이 구동축선(O)에 가까워지도록 안내면(57a) 상에서 슬라이딩하게 된다. 유사하게, 사판 아암(5f)의 피안내면(59b)도 안내면(57b) 상에서 슬라이딩하게 된다.
그러므로, 사판(5)에서, 상사점 위치(T)가 실질적으로 유지되면서 하사점 측은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상기 압축기에서, 구동축(3)의 구동축선(O)에 대한 사판(5)의 경사각이 감소된다. 이리하여, 상기 압축기에서, 피스톤(9)의 행정이 감소되고 또한 구동축(3)의 일 회전 당 토출 용량이 작게 된다. 또한, 사판(5)은 경사각의 감소로 복귀 스프링(37)에 접촉하게 된다. 도 5 에 나타나 있는 사판(5)의 경사각은 압축기에서 최소 경사각임에 유의해야 한다. 이때, 도 6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피안내면(59a)과 안내면(57a)은 제2 위치(P2)에서 서로 선 접촉하게 된다. 이는 피안내면(59b)과 안내면(57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기에서, 각 사판 아암(5e, 5f)의 각 피안내면(59a, 59b)이 러그 판(51)의 각 안내면(57a, 57b) 상에서 각각 슬라이딩하고, 이리하여 사판(5)의 경사각이 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축기에서, 상기 안내면(57a, 57b)은, 제1 접촉 위치(P1)와 제2 접촉 위치(P2) 사이의 부분들이 피안내면(59a, 59b) 쪽으로 각각 볼록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압축기에서, 접촉각은 제1 접촉 위치(P1) 측과 제2 접촉 위치(P2) 측에서 변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곡률 반경이 제1 접촉 위치(P1) 측에서 크고, 제2 접촉 위치(P2) 측에서의 곡률 반경은 작게 되어 있다.
곡률 반경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변하며, 그래서, 이 압축기에서는, 도 7a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경사각이 최대일 때 안내면(57a, 57b)과 피안내면(59a, 59b)에 의해 형성되는 각인 접촉각(θ1)은, 도 7b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경사각이 최소일 때 안내면(57a, 57b)과 피안내면(59a, 59b)에 의해 형성되는 각인 접촉각(θ2)과 다르다. 이하, 안내면(57a)과 피안내면(59a)에 근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접촉각(θ1)은, 사판(5)의 경사각이 최대일 때, 즉 도 7a 에 나타나 있는 제1 접촉 위치(P1)에서, 접촉면(S1)(안내면(57a)과 피안내면(59a)에 의해 형성됨)과 제2 가상 평면(Y2)(구동축선(O)과 직교하는 평면임)에 의해 형성되는 각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접촉각(θ2)은, 사판(5)의 경사각이 최소일 때, 즉 도 7b 에 나타나 있는 제2 접촉 위치(P2)에서, 접촉면(S2)(안내면(57a)과 피안내면(59a)에 의해 형성됨)과 제2 가상 평면(Y2)(구동축선(O)과 직교하는 평면임)에 의해 형성되는 각이다.
도 10 은 비교예의 압축기를 나타낸다. 이 비교예의 압축기에서는, 한 쌍의 안내면(63)이 러그 판(51)에 형성되어 있다. 각 안내면(63)은 러그 판(51)의 외주측으로부터 제1 가상 평면(Y1)을 따라 중심측 쪽으로 평평하게 하향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그 압축기에서는, 제1 접촉 위치(P1)에서 제2 접촉 위치(P2)까지 곡률 반경이 일정하다. 그러므로, 제1 접촉 위치(P1) 또는 제2 접촉 위치(P2)에서, 각 피안내면(59a, 59b)과 각 안내면(63)의 접촉각(θX)은 변함 없이 일정하다.
이와 관련하여, 본 압축기에서는, 곡를 반경은 제1 접촉 위치(P1) 측에서 크고 제2 접촉 위치(P2) 측에서는 곡률 반경이 작다. 그러므로, 본 압축기에서는, 경사각이 최대에서 최소로 될 때 접촉각은 접촉각(θ1)에서 접촉각(θ2)으로 변하게 된다.
도 8 의 그래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압축기에서, 곡률 반경이 더 커지고 또한 안내면(57a, 57b)과 피안내면(59a, 59b)의 접촉각이 더 커짐에 따라, 용량 증가 성분이 더 크게 된다. 한편, 곡률 반경이 더 작아지고 또한 안내면(57a, 57b)과 피안내면(59a, 59b)의 접촉각이 더 작아짐에 따라, 상기 용량 증가 성분은 더 작게 된다.
여기서, 본 압축기에서, 제1 접촉 위치(P1)에서의 접촉각(θ1)은 비교예의 압축기에서의 접촉각(θX) 보다 큰 각이다. 한편, 제2 접촉 위치(P2)에서의 접촉각(θ2)은 비교예의 압축기에서의 접촉각(θX) 보다 작은 각이다.
그래서, 본 압축기에서는, 비교예의 압축기와 비교할 때, 사판(5)의 경사각이 최대일 때 용량 증가 성분이 크게 될 수 있고 또한 최대 토출 용량이 쉽게 유지된다. 반대로, 본 압축기에서는, 사판(5)의 경사각이 최소일 때 용량 증가 성분은 작게 될 수 있고 또한 최소 토출 용량이 쉽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비교예의 압축기에서는, 곡률 반경이 일정하고, 그래서 사판(5)의 경사각이 최대일 때와 그 경사각이 최소일 때 용량 증가 성분은 일정하다. 그러므로, 최대 토출 용량과 최소 토출 용량을 유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실시 형태 1 의 압축기에 따르면, 액츄에이터(13)에 의해 토출 용량이 변하는 상기 압축기에서, 최대 토출 용량이 유리하게 유지될 수 있고 또한 최소 토출 용량도 유리하게 유지될 수 있다.
특히, 본 압축기에서, 안내면(57a, 57b)의 정상부(P3)는 제1 접촉 위치(P1)와 제2 접촉 위치(P2) 사이의 중간으로부터 제1 접촉 위치(P1) 쪽으로 편위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압축기에서, 사판(5)의 경사각이 변할 때, 각 피안내면(59a, 59b)은 각 안내면(57a, 57b) 상에서 유리하게 슬라이딩할 수 있고, 토출 용량은 최대 토출 용량에서 최소 토출 용량으로 유리하게 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2 의 압축기에는, 실시 형태 1 의 압축기에 있는 사판 아암(5e, 5f) 대신에, 도 9 에 나타나 있는 한 쌍의 사판 아암(67)이 제공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각 사판 아암(67)도 상사점 표면(X)을 사이에 두고 사판(5)의 전방면(5a)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전방면(5a)으로부터 앞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피안내면(67a)이 각 사판 아암(67)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다. 도 9 에서 이점 쇄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피안내면(67a)은 상사점 표면(X)과 직교하는 모선을 갖는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상기 압축기에서는, 제1 접촉 위치(P1)에서의 피안내면(67a)의 곡률 반경(R1)은 제2 접촉 위치(P2)에서의 피안내면(67a)의 곡률 반경(R2)과 다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접촉 위치(P1)에서의 피안내면(67a)의 곡률 반경(R1)은 제2 접촉 위치(P2)에서의 피안내면(67a)의 곡률 반경(R2) 보다 작다. 피안내면(67a)은, 이 피안내면(67a)의 곡률 반경이 제1 접촉 위치(P1)와 제2 접촉 위치(P2)에서 다르도록, 포물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압축기의 다른 구성 요소들은 실시 형태 1 의 압축기의 것들과 유사하며,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여 생략하도록 한다.
이 압축기에서, 제1 접촉 위치(P1)에서 안내면(57a)과 피안내면(67a)의 접촉면(S3)과 제2 가상 평면(Y2)에 의해 형성되는 각, 즉 사판(5)의 경사각이 최대일 때 안내면(57a)과 피안내면(67a)은 접촉각(θ3)으로 서로 선 접촉하게 된다. 한편, 제2 접촉 위치(P2)에서 안내면(57a)과 피안내면(67a)의 접촉면(S4)과 제2 가상 평면(Y2)에 의해 형성되는 각, 즉 사판(5)의 경사각이 최소일 때 안내면(57a) 과 피안내면(67a)은 접촉각(θ4)으로 서로 선 접촉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안내면(57a, 57b)에서, 곡률 반경은 제1 접촉 위치(P1) 측에서 크고, 제2 접촉 위치(P2) 측에서는 곡률 반경이 작다. 그러므로, 이 압축기에서는, 접촉각(θ3)이 접촉각(θ4) 보다 크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접촉 위치(P1)에서의 피안내면(67a)의 곡률 반경(R1)은 제2 접촉 위치(P2)에서의 곡률 반경(R2) 보다 작다. 그래서, 이 압축기에서는, 제1 접촉 위치(P1)에서, 피안내면(67a)의 중심(C2)에서 안내면(57a) 까지의 거리는 짧고, 반대로, 제2 접촉 위치(P2)에서는, 피안내면(67a)의 중심(C2)에서 안내면(57a) 까지의 거리는 길다.
따라서, 사판(5)의 경사각이 최대일 때와 그 경사각이 최소일 때 접촉각(θ3, θ4)이 서로 다르더라도, 이 압축기에서 피스톤(9)의 상사점 위치의 변화는 작게 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에서의 다른 작동들은 실시 형태 1 의 압축기의 작동들과 유사하다.
본 발명을 실시 형태 1 및 2 에 근거하여 전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 1 및 2 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적절히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제어 기구(15)와 관련하여, 상기 제어 밸브(15c)는 고압 통로(15b)에 제공될 수 있고, 오리피스(15d)는 저압 통로(15a)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압 통로(15b)의 개도는 제어 밸브(15c)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어 압력실(13b) 내의 압력은 제1 토출실(29a)에 있는 냉매 가스의 압력으로 인해 신속하게 높아질 수 있고 또한 토출 용량도 신속하게 증가될 수 있다.

Claims (3)

  1.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로서,
    흡입실, 토출실, 사판실 및 실린더 보어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축;
    상기 사판실 내에서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가능한 사판;
    상기 구동축과 상기 사판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구동축의 구동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한 상기 사판의 경사각을 변화시키는 링크 기구;
    상기 실린더 보어 내에 수용되어 왕복 운동할 수 있는 피스톤;
    상기 사판의 외주부와 상기 피스톤을 연결하여, 상기 사판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상기 실린더 보어 내에서 상기 경사각에 대응하는 행정으로 왕복 운동하게 하는 변환 기구(11a, 11b);
    상기 경사각을 변화시킬 수 있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기구는, 상기 사판실 내에서 상기 구동축 상에 제공되어 상기 사판과 대면하는 러그(lug) 부재, 및 상기 러그 부재로부터 상기 구동축의 회전이 전달되는 사판 아암을 가지며,
    상기 러그 부재에는, 상기 사판 아암과 대면하는 안내면이 형성되고,
    상기 사판 아암에는, 상기 안내면에 접촉하여 상기 안내면에 의해 안내되는 피안내면이 형성되며,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러그 부재, 상기 러그 부재와 상기 사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체, 및 상기 러그 부재와 상기 가동체 사이에 제공되고 내부 압력에 의해 상기 가동체를 이동시키는 제어 압력실을 가지며,
    상기 안내면은, 상기 경사각이 최대일 때 상기 피안내면이 상기 안내면에 접촉하는 제1 접촉 위치와, 상기 경사각이 최소일 때 상기 피안내면이 상기 안내면에 접촉하는 제2 접촉 위치 사이에 있는 부분이 상기 피안내면을 향하여 볼록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면의 정상부는, 상기 제1 접촉 위치와 상기 제2 접촉 위치의 중간으로부터 상기 제1 접촉 위치 쪽으로 편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안내면의 곡률 반경이 상기 제1 접촉 위치와 상기 제2 접촉 위치 사이에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1020150035059A 2014-03-25 2015-03-13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1017109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61850 2014-03-25
JP2014061850A JP6201852B2 (ja) 2014-03-25 2014-03-25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285A KR20150111285A (ko) 2015-10-05
KR101710929B1 true KR101710929B1 (ko) 2017-02-28

Family

ID=52577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5059A KR101710929B1 (ko) 2014-03-25 2015-03-13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275871A1 (ko)
EP (1) EP2927492A3 (ko)
JP (1) JP6201852B2 (ko)
KR (1) KR101710929B1 (ko)
CN (1) CN1049484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94456B2 (ja) * 2013-10-31 2017-03-1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DE102019112245A1 (de) * 2019-04-12 2020-10-15 OET GmbH Hubkolbenkompresso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7993A (en) * 1976-04-23 1977-07-26 Borg-Warner Corporation Control system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US4061443A (en) * 1976-12-02 1977-12-06 General Motors Corporation Variable stroke compressor
US4553905A (en) * 1984-05-09 1985-11-19 Diesel Kiki Co., Ltd. Variable capacity wobble plate compressor with high stability of capacity control
JPH0814159A (ja) * 1994-06-27 1996-01-16 Sanden Corp 斜板式可変容量圧縮機
JPH08105384A (ja) 1994-10-05 1996-04-23 Sanden Corp 可変容量斜板式圧縮機
JP2001032768A (ja) * 1999-07-19 2001-02-06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
JP2003254231A (ja) * 2001-12-25 2003-09-10 Toyota Industries Corp 容量可変型圧縮機
JP4062265B2 (ja) * 2004-02-24 2008-03-1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圧縮機
JP2006009626A (ja) * 2004-06-23 2006-01-12 Toyota Industries Corp 可変容量圧縮機
JP4150982B2 (ja) * 2006-10-31 2008-09-17 東洋紡績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及びそれを得るための接着性改質基材フィルム
JP2009209910A (ja) * 2008-03-06 2009-09-17 Toyota Industries Corp 斜板式圧縮機
JP5519193B2 (ja) * 2009-06-05 2014-06-11 サンデン株式会社 可変容量圧縮機
KR101193399B1 (ko) * 2012-06-22 2012-10-26 주식회사 두원전자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20140004367A (ko) * 2012-07-02 2014-01-13 학교법인 두원학원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27492A3 (en) 2015-12-02
US20150275871A1 (en) 2015-10-01
JP2015183616A (ja) 2015-10-22
EP2927492A2 (en) 2015-10-07
JP6201852B2 (ja) 2017-09-27
CN104948414A (zh) 2015-09-30
KR20150111285A (ko) 2015-10-05
CN104948414B (zh) 201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9812B1 (ko)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101603439B1 (ko)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101710929B1 (ko)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101710930B1 (ko)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101788935B1 (ko)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101796406B1 (ko)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US9915252B2 (en)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compressor having a fulcrum and an action point located on opposite sides of a drive shaft
US20160237994A1 (en) Variable displacement swash-plate compressor
KR101798298B1 (ko)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101798297B1 (ko)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101793356B1 (ko)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JP2015063966A (ja)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JP6179439B2 (ja)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JP2017180095A (ja)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