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9962B1 - 액체 검사 용구 - Google Patents

액체 검사 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9962B1
KR101709962B1 KR1020157033251A KR20157033251A KR101709962B1 KR 101709962 B1 KR101709962 B1 KR 101709962B1 KR 1020157033251 A KR1020157033251 A KR 1020157033251A KR 20157033251 A KR20157033251 A KR 20157033251A KR 101709962 B1 KR101709962 B1 KR 101709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absorbing
absorbing liquid
holding body
insp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3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015A (ko
Inventor
히데아키 하타
료조 시오노
Original Assignee
에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3/062789 external-priority patent/WO2014057701A1/ja
Application filed by 에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3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01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examining the tear fil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gastrointestinal, the endocrine or the exocrine systems
    • A61B5/4261Evaluating exocrine secretion production
    • A61B5/4277Evaluating exocrine secretion production saliva secre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2Dippers; Dredg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95Strip shaped analyte sensors for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145 or A61B5/157

Abstract

액체 검사 용구는, 흡액체(15)와, 흡액체(15)의 측 주위를 밀착하여 통형으로 에워싸는 비흡액성의 유지체(20)를 구비하고, 흡액체(15)는 소정의 두께와 폭으로 장척 밴드형으로 형성되고, 유지체(20)는, 흡액체(15)의 한쪽 면을 피복하는 유지 기부(11)와, 흡액체(15)의 다른 쪽 면을 피복하는 표면 커버부(19)와, 흡액체(15)의 양쪽을 피복하는 측방부(13)를 구비하고, 유지체(20)의 단부에는 접액부(10e)가 설치되고, 유지 기부(11) 또는 표면 커버부(19)에는 흡액체(15)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개방부(23)가 설치되고, 접액부(10e)와 개방부(23)의 사이에는 액체량을 측정하기 위한 눈금(21)이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액체 검사 용구{LIQUID-TESTING IMPLEMENT}
본 발명은, 검사 대상액에 접촉시켜 흡액함으로써 검사를 행하는 액체 검사 용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액체 검사 용구로서,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에는 피검사자의 누액량을 측정하기 위한 누액 메니스커스 검사 용구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누액 메니스커스 검사 용구는, 가늘고 긴 흡수성 부재를 가지고, 이 흡수성 부재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을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누액메니스커스 검사 용구는, 합성 수지 재료 또는 합성 고무 재료로 이루어지는 본체부에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흡수성 부재를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검사 용구에서는, 단부(端部)를 누액 메니스커스에 접촉시킴으로써, 흡수성 부재에 누액을 흡수시켜, 그 도달 위치를 측정함으로써 누액량을 검출한다. 이 검사 용구에 의하면, 종래의 시르마법 등에 의한 시험에 비하여, 검사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하기 특허문헌 3에는 피검사자의 구강 건조증 진단 키트가 제안되어 있다. 이 구강 건조증 진단 키트에서는, 요오드화 칼륨과 전분을 미리 침투시킨 여과지으로 이루어지는 검출용 시약(試藥) 조성물 편(片)을 다른 여과지 편의 구멍에 끼워 넣어 구강 건조증 진단용 여과지를 구성하고 있다. 이 구강 건조증 진단용 여과지의 일단을 입에 넣어 타액(唾液)을 흡수시키고, 일정 시간 후에 입으로부터 꺼내고, 발색 시약을 도포하여 발색의 정도에 의해 타액의 분비량을 검사한다. 그러므로, 간단한 방법으로 비교적 짧은 시간에 타액의 분비량을 검사할 수 있다.
특허문헌 4에는, 눈금부의 실리콘 튜브를 사용한 누액 테스트용 실이 제안되어 있다. 이 누액 테스트 용구에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 튜브의 0.6㎜의 내경(內徑)에, 직경 0.2㎜의 면사를 통하여, 면사의 선단을 10㎜ 내어 고정하고 있다. 사용 시에는, 면사의 선단을 결막낭에 삽입하고, 젖은 부분의 길이를 측정하고 있다.
특허문헌 5에는 생체액을 채취해 성분의 분석을 행하기 위한 생체액 채취 기구(器具)가 제안되어 있다. 이 생체액 채취 기구는, 관통공 및 관통공와 연통되어 외부에 개구된 개구 슬릿을 가지는 베이스 시트와, 베이스 시트의 양면 측에 적층된 2개의 커버 시트와, 커버 시트 사이의 개구 슬릿에 설치된 흡액체를 구비한다. 이 생체액 채취 기구는, 흡수량이 작아서 짧은 흡액체의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채취 시간을 단축하고, 또한 채취구에 흡액체를 배치함으로써 경로 길이를 적게하여, 존재량의 적은 생체액을 채취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5―253700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제2008―259590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제2009―264988호 공보 일본 공개실용신안 소63―120605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제2006―258773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 특허문헌 3의 검사 용구에서는, 흡수성 부재나 여과지의 표면이 노출된 구조이므로, 제조 시나 운반 시에 흡수성 부재나 여과지에 오일분이 부착되고, 사용 시에 손가락이 흡수성 부재나 여과지에 직접 접촉하여 손가락의 오일분 등이 부착되어, 흡수량이나 흡수 속도에 불균일이 생기는 일이 있었다. 특히 소량의 검사 대상액을 검사하는 경우에는 검사 시간이나 검사 정밀도에 크게 영향을 주고 있었다. 또한, 흡수성 부재나 여과지의 표면이 노출된 구조이므로, 흡수 시의 흡수성 부재의 팽윤(澎潤) 정도가 상이하므로, 흡수량(水量)에 불균일이 생길 가능성도 있었다.
상기 특허문헌 4의 누액 테스트 용구에서는, 면사가 실리콘 튜브에 덮혀져 있는 것으로, 실리콘 튜브에 내경의 1/3 정도의 직경을 가지는 면사가 삽통(揷通)된 구조이므로, 면사의 흡액 속도에 따른 검사 시간이 필요하다. 부가하여, 면사의 형상이 불균일, 면사와 실리콘 튜브와의 사이의 공간에 검사 대상액이 저류(貯留)되면 흡액된 검사 대상액의 액면(液面) 위치에 오차가 생기고 있었다. 상기 특허문헌 5에서는, 짧은 흡액체를 채취구 근방에 배치하여 검사 대상액을 단시간에 흡액하는 구조이므로, 미량의 검사 대상액의 액량을 양호한 정밀도로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짧은 검사 시간으로 양호한 정밀도로 검사할 수 있는 액체 검사 용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액체 검사 용구는, 흡액체와, 흡액체의 측 주위를 밀착하여 통형(筒形)으로 에워싸서 유지하는 비흡액성의 유지체를 구비하고, 흡액체는, 소정의 두께 및 폭으로 장척(長尺) 밴드형으로 형성되고, 유지체는, 흡액체의 한쪽 면을 피복하는 유지 기부(基部)와, 흡액체의 다른 쪽 면을 피복하는 표면 커버부와, 흡액체의 양쪽을 피복하는 측방부를 구비하고, 유지체의 단부에는, 흡액체의 단부를 노출시킨 접액부(接液部)가 설치되고, 유지 기부 및 표면 커버부의 한쪽 또는 양쪽에서의 접액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는, 흡액체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개방부가 설치되고, 접액부와 개방부의 사이에는, 흡액체에 흡액된 액체량을 측정하기 위한 눈금이 설치되어 있다.
이 액체 검사 용구에서는, 개방부는, 바람직하게는, 유지 기부 또는 표면 커버의 한쪽 또는 양쪽에서의 흡액체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절입(커트 인) 또는 개구(開口)로 이루어진다. 흡액체는 유지체의 격리부를 통하여 복수 설치되고, 복수의 흡액체가 각각 상이한 접액부로 노출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접액부가 유지체의 길이 방향 양단에 설치되고, 한쪽 및 다른 쪽의 접액부와 한쪽 및 다른 쪽의 검사 대상을 각각 대응시키기 위한 식별부가 유지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별부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개방부를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형성해도 된다.
이 액체 검사 용구는, 흡액체 및 유지체를 구비한 밴드형의 본체부와, 이 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된 접액부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접액부의 한쪽 면 또는 양면은, 유지체에 의해 유지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액체 검사 용구에 의하면, 장척 밴드형의 흡액체의 측 주위가 유지체에 의해 밀착되어 통형으로 에워싸여 있고, 유지체의 단부에는 흡액체의 단부를 노출시킨 접액부가 설치되고, 접액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의 유지 기부 및 표면 커버부의 한쪽 또는 양쪽에는 흡액체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개방부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검사 대상액을 접액부에 접촉시키면, 검사 대상액이 흡액체에 모세관 현상에 의해 흡액된다. 흡액체는 유지체에 통형으로 에워싸여 있으므로, 흡액체에 손가락 등이 직접 접촉하지 않고, 종래와 같이 흡액체에 부착된 오일분이나 먼지 등에 의해 검사 대상액의 흡액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척 밴드형의 흡액체가 유지체로 통형으로 에워싸여 있어도, 흡액체가 접액부로부터 이격된 개방부로 외부와 연통되어 있으므로, 흡액체가 접액부로부터 검사 대상액을 흡액했을 때, 흡액체 내에 존재하는 공기가 개방부로부터 배출될 수 있어,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에 의해 흡액 속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검사 대상액을 단시간에 흡인하여 액체의 측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검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흡액체는,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하게 되도록, 소정의 두께 및 폭으로 장척 밴드형으로 형성되고, 이 흡액체의 측 주위는, 유지체에 의해 밀착되어 통형으로 에워싸여 있으므로, 흡액체가 검사 대상액을 흡수했을 때, 검사 대상액이 유지체에 흡액되거나, 흡액된 검사 대상액이 흡액체의 표면 등에 여분으로 부착되거나, 흡액된 흡액체가 과잉으로 팽윤하거나 하지 않고, 흡인된 액량에 대하여 액면이 양호한 정밀도로 비례 변위할 수 있다. 또한, 흡액체가 장척 밴드형이므로, 흡액했을 때의 액면 변위도 크다. 그러므로, 소량의 검사 대상액이라도 양호한 정밀도로 단시간에 검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액체 검사 용구에서 접액부를 본체부로부터 돌출하여 설치하면, 흡액체의 검사 대상액에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검사 대상액이 접액부로부터 흡액체에 쉽게 흡액되게 되어, 검사 대상액을 더욱 짧은 시간에 흡인하여 액체의 측정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액체 검사 용구의 일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액체 검사 용구의 세로 방향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액체 검사 용구의 가로 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액체 검사 용구를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세로 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액체 검사 용구에 있어서 식별부를 사용한 변형예를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세로 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액체 검사 용구에 있어서 절입의 방향을 상이하게 한 변형예를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세로 방향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액체 검사 용구에 있어서 절입의 형상을 상이하게 한 변형예를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세로 방향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액체 검사 용구에 있어서 절입을 복수 설치한 변형예를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세로 방향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액체 검사 용구에 있어서 복수의 절입을 서로 교차시켜 설치한 변형예를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세로 방향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액체 검사 용구를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세로 방향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액체 검사 용구에 있어서 개구를 양면에 설치한 변형예를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세로 방향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액체 검사 용구를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세로 방향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액체 검사 용구의 개구를 상이하게 한 변형예를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세로 방향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액체 검사 용구의 개구를 상이하게 한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세로 방향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액체 검사 용구의 일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액체 검사 용구의 세로 방향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액체 검사 용구의 가로 방향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관한 액체 검사 용구의 일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관한 액체 검사 용구의 세로 방향 단면도이다.
도 20의 (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액체 검사 용구의 일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b)는 그 세로 방향 단면도이다.
도 21은 실시예에 있어서, 아크릴 수지 부재에 설치한 홈에 인공 누액을 저류하여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몇개의 실시형태를 참조하면서 도면을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이 실시형태는 누액 메니스커스의 측정 용구의 예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액체 검사 용구(10)는, 1축 방향을 따라 장척으로 연장된 박판(薄板) 형상을 가지고, 흡액성을 가지는 밴드형의 흡액체(15)와, 흡액체(15)를 밀착하여 통형으로 에워싸서 유지하는 비흡액성의 유지체(2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흡액성이란, 액체를 표면뿐 아니라 재료 내부까지 흡수 가능한 성질이며, 또한 비흡액성은 가능한 한 액체를 흡수하지 않는 성질을 말한다.
액체 검사 용구(10)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는, 검사 대상액과 접촉시키기 위한 접액부(10e)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접액부(10e)는, 흡액체(15)의 단부를 유지체(20)의 단부로부터 외부로 노출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접액부(10e)로부터 이격된 위치에는, 흡액체(15)를 유지체(20)로부터 노출시킴으로써 외부와 연통시킨 개방부(23)가 설치되어 있다. 접액부(10e)는 정면에서 볼 때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유지체(20)의 단부와 흡액체(15)의 단부와는 같은 형상으로 적층 배치되어 있다.
흡액체(15)는, 유지체(20)보다 폭 및 길이가 작은 장척 밴드형으로 형성되고, 유지체(20)에 길이 방향을 따라 고정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대략 전체 길이에서 소정의 일정 폭 및 두께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흡액체(15)는, 검사 대상의 액을 접액부(10e)에 접촉시켰을 때, 검사 대상의 액체를 흡수 가능한 흡액성을 가진다. 예를 들면, 흡액체(15)에 검사 대상의 액체가 접촉함으로써 얻어지는 표면 장력에 의해 흡인해도 된다. 이 흡액체(15)의 재료에는, 검사 대상의 액체에 대하여 친화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사용 시에 유지체(20)를 변형시켰을 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유연성을 가지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액체(15)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각종 수지, 레이온, 밸브 등의 섬유, 직포(織布), 부직포, 종이 등을 사용해도 된다. 액체를 흡수할 수 있도록 내부에 다수의 미세한 공극(空隙)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공극율이 50% ~ 95%의 재료를 사용해도 된다. 공극율이 과잉으로 크면 흡액체(15)의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워지고, 측정 시에 오차가 쉽게 생기게 된다. 한편, 과잉으로 작으면 흡액했을 때, 단위 길이당의 액량이 적어지게 되므로, 액체 검사 용구(10)의 길이가 길어진다. 흡액체(15)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평량(坪量)이 30g/㎡ ~ 100g/㎡와 같은 것을 사용해도 되고, 밀도가 0.05 ~ 0.3g/㎤의 것을 사용해도 된다.
흡액체(15)는, 검사 대상액을 흡액시켰을 때, 원하는 양을 원하는 범위로 흡인할 수 있는 폭, 두께, 길이로 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흡액체(15)가 길이 방향의 대략 전체 길이에서 두께 및 폭이 대략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검사 대상액을 흡인했을 때, 흡액체(15)의 액면 위치를 흡인액량에 대하여 양호한 정밀도로 비례하여 변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흡액체(15)의 두께, 폭 및 길이는, 흡액체(15)의 재질이나 흡인시키는 액량 등에 따라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각각의 검사에 있어서 흡인시키는 검사 대상 액량이 0.2μL ~ 5μL일 때, 단면적(斷面績)을 0.1 ~ 0.5㎟으로 하고, 길이를 20 ~ 60㎜로 하고, 두께를 0.15 ~ 0.5㎜로 할 수 있다.
흡액체(15)는, 측 주위면 전체가 유지체(20)에 간극없이 밀착되어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액체(15)와 유지체(20)의 사이에 간극이 있으면, 흡인된 액이 그 간극(間隙)에 배치됨으로써, 흡인한 액량에 대한 액면 위치의 오차가 쉽게 생기게 된다.
흡액체(15)를 구성하는 재료는 흡액 속도가 빠른 것을 사용한다. 흡수 속도는, 흡액체(15)를 구성하는 재료로부터 흡액체(15)와 동일한 두께로 단책형(短冊形)의 시험편을 형성하고, 이 시험편을 단체(單體)로 연직(沿直) 방향으로 배치하고, 저류된 충분한 양의 검사 대상액에 시험편의 하단(下端) 측 0.1㎜ ~ 3㎜를 5초간 담그었을 때, 흡수된 검사 대상액의 가장 높은 위치와 검사 대상액의 액면과의 사이의 거리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흡수 속도는 적어도 1㎜/sec 이상, 바람직하게는 3㎜/sec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잉으로 크면, 얻어지는 액체 검사 용구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므로, 예를 들면, 30㎜/sec 이하, 바람직하게는 20㎜/sec 이하의 범위로 한다.
흡액체(15)의 표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을 단수 또는 복수 설치함으로써, 흡인력을 향상시켜도 된다. 슬릿은 단순한 절입(cut in), V자형 홈, 반원형 홈 등으로 해도 되고, 슬릿의 수가 많을수록, 표면 장력에 의한 액체의 흡인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흡액체(15) 또는 흡액체(15)와 접촉하는 유지체(20)에는, 검사 대상의 액체에 접촉함으로써 흡액체(15)의 색을 변화시키는 등, 흡액체(15)에 흡인된 액체나 액체계면을 육안 관찰하기 쉽게 하는 착색 표시부(12)가 설치되어 있다.
착색 표시부(12)는 검사 대상액에 의해 용해 또는 분산 가능한 염료 등에 의해 형성된다. 드라이 마우스(dry mouth), 안구 건조증(dry eyes) 등 인체에 접촉시켜 사용하는 액체 검사 용구(10)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청색 1호(브릴리언트 블루 FCF)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착색 표시부(12)는 접액부(10e)에 배치된 흡액체(15)의 단부에 부착 침투된다. 착색 표시부(12)를 일부에 부착시키는 방법은 임의이지만, 예를 들면, 인쇄 등에 의해 흡액체(15)를 횡단하는 라인으로서 형성해도 되고, 도트로서 형성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른 착색 표시부(12)로서, 흡액체(15) 전체에 pH 지시약을 함침(含浸)시키고 있다. 흡액체(15)에 pH 지시약을 함침시키면, 검사 대상액의 양의 검사를 행하면서, pH도 측정할 수 있다. pH 지시약은, 검사 대상액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누액의 경우, 페놀 레드(phenol red)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흡액체(15)에 pH 지시약을 함침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미리 흡액체(15)에 pH 지시약을 함유한 용액을 함침시켜, 건조시켜 두어도 된다.
유지체(20)는, 얇은 밴드형으로 형성되어 흡액체(15)의 배면을 피복하는 비흡액성의 유지 기부(11)와, 유지 기부(11)의 표면측에 고정되어 흡액체(15)의 양쪽을 피복하는 비흡액성의 측방부(13)와, 유지 기부(11) 및 측방부(13)의 표면측에 고정되어 흡액체(15)의 표면을 피복하는 표면 커버부(19)를 구비하고 있다.
유지 기부(11)는, 수액체(15)보다 큰 사이즈로 형성되고, 흡액체(15)의 배면측을 고정시키는 것이다. 검사 대상액을 내부에 흡액하지 않는 비흡액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시트, 필름, 테이프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점착제(粘着劑)가 한쪽 면에 부착된 재료라도 된다. 유지 기부(11)에 비흡액성의 재료를 사용하면, 유지 기부(11)에 검사 대상액이 흡수되는 양을 가능한 한 작게 억제할 수 있고, 측정 오차를 적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술하는 표면 커버부(19)와 같은 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측방부(13)는, 흡액체(15)의 좌우측 에지에 전체 길이로 접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고, 배면측으로 유지 기부(11)의 표면에 대략 전체 길이로 밀착하여 고정되어 있다. 측방부(13)는 유지 기부(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측방부(13)는, 유지 기부(11) 및 흡액체(15)를 보강하고, 또한 흡액체(15)에 흡액된 액체가 흡액체(15)의 측방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측방부(13)는 유지 기재(11)와 마찬가지로 비흡액성의 재료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우레탄 필름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액체(15)에 흡액된 액체량을 측정하기 위해, 접액부(10e)와 개방부(23)와의 사이의 측방부(13)에 각종 눈금(21)이 인쇄되어 있다. 눈금(21)은, 접액부(10e)와 개방부(23)와의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실시형태에서는 접액부(10e)와 개방부(23)의 사이의 전체에 눈금(21)을 설치하고 있다.
표면 커버부(19)는, 흡액체(15) 및 측방부(13)에 접착하여 양자의 표면측을 피복하여 보호하는 것이다. 표면 커버부(19)는 대략 전체가 흡액체(15) 및 측방부(13)의 표면에 밀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흡액체(15)를 유지 기부(11)와 표면 커버부(19)와의 사이에 끼워넣음으로써, 흡액체(15)의 두께가 압축되어 고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축된 흡액체(15)는 측방부(13)와 동등한 두께로 된다.
표면 커버부(19)는, 검사 대상액을 내부에 흡액하지 않는 비흡액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시트, 필름, 테이프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점착제가 한쪽 면에 부착된 재료라도 된다. 표면 커버부(19)에 비흡액성의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표면 커버부(19)에 검사 대상액이 흡수되는 양을 가능한 한 작게 억제하여 측정 오차를 적게 할 수 있다. 이 표면 커버부(19)는, 눈금(21), 착색 표시부(12), pH 지시약 등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정도의 투명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액체(15)나 흡액체(15)에 흡인된 검사 대상액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을 정도로 투명한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액체 검사 용구(10)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 기부(11), 한 쌍의 측방부(13) 및 표면 커버부(19)에 의해 밀착되어 통형으로 에워싸여 흡액체(15)가 배치되어 있고, 흡액체(15)가 일단부에서 접액부(10e)에 배치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한편, 흡액체(15)의 타단부는, 유지 기부(11), 한 쌍의 측방부(13) 및 표면 커버부(19)의 길이 방향 중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흡액체(15)의 타단부 측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표면 커버부(19)에는 개방부(23)가 형성되어 있고, 개방부(23)에 의해 흡액체(15)를 외부와 연통시키고 있다. 이 실시형태의 개방부(23)는, 흡액체(15)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절입으로 이루어진다. 절입을 표면 커버부(19)만을 관통하도록 설치하고 있어도 되지만, 이 실시형태에서는, 표면 커버부(19)를 관통하는 동시에, 흡액체(15) 내부에 도달하도록 절입의 깊이를 설정하고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은 구성의 액체 검사 용구(10)를 사용하여 검사 대상액의 측정을 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검사 대상액의 양을 측정한다. 검사 대상의 액체는, 흡액체(15)에 의해 흡인 가능한 액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누액이나 타액 등의 체액, 각종 수용액, 수성 분산액, 비수(非水)성액 등이라도 된다. 본 실시형태는 누액 메니스커스의 검사를 행한다.
먼저, 액체 검사 용구(10)를 파지하고, 일단의 접액부(10e)를 수검자의 한쪽의 눈 아래 눈꺼풀에 접촉시킨다. 누액이 액체 검사 용구(10)의 단부에 노출되고 있는 흡액체(15)에 접촉함으로써, 모세관 현상에 의해 흡액된다.
흡액된 누액이 착색 표시부(12)에 접촉함으로써, 착색 표시부의 착색 재료가 용해되어, 누액과 함께 흡액체(15)에 흡액되어 액계면이 타단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하 눈꺼풀의 누액량에 따른 양이 흡액체(15)에 흡인됨으로써 종료하고, 이 때의 흡액체(15)의 액계면의 도달 위치를 표면 커버부(19)를 투과하여 표면측으로부터 육안 관찰하고, 눈금(21)을 확인함으로써 누액량을 측정한다. 또한, pH 지시약이 함침되어 있으므로, 흡액체(15)의 색에 의해 누액의 pH도 확인한다. 이로써, 수검자의 누액 메니스커스의 검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은 액체 검사 용구(10)에 의하면, 장척 밴드형의 흡액체(15)의 측 주위가 유지체(20)에 의해 밀착되어 통형으로 에워싸여 있어, 유지체(20)의 단부에는 흡액체(15)의 단부를 노출시킨 접액부(10e)가 설치되고, 접액부(10e)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의 표면 커버부(19)에는 흡액체(15)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개방부(23)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검사 대상액을 접액부(10e)에 접촉시키면, 검사 대상액이 흡액체(15)에 흡액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액의 양에 따른 길이로 흡액체(15)를 따라 상승한다. 흡액체(15)는 유지체(20)로 통형으로 에워싸여 있으므로, 흡액체(15)에 손가락 등이 직접 접촉하지 않고, 종래와 같이 흡액체(15)에 오일분 등이 부착되어 검사 대상액의 흡액이 저해되지 않는다.
또한, 장척 밴드형의 흡액체(15)가 유지체(20)로 통형으로 에워싸여 있어도, 흡액체(15)가 접액부(10e)로부터 이격된 개방부(23)로 외부에 연통되어 있으므로, 흡액체(15) 내에 존재하는 공기가 개방부(23)로부터 배출될 수 있어,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에 의해 흡액 속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검사 대상액을 짧은 시간에 흡액체(15)에 의해 흡액하여 액체의 측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검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가는 폭(細幅)으로 형성된 흡액성의 흡액체(15)는, 비흡액성의 유지체(20)로 통형으로 에워싸인 구조이므로, 접액부(10e)에 접촉시킨 검사 대상액이 흡액체(15)에만 흡액되어, 소량의 검사 대상액이라도 액면이 액체 검사 용구(10)의 내부측까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흡액체(15)는, 소정의 두께 및 폭으로 길이 방향에,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가지도록 장척 밴드형으로 형성되고, 흡액체(15)의 측 주위가, 유지체(20)에 의해 밀착되어 통형으로 에워싸여 있으므로, 흡액체(15)가 검사 대상액을 흡수했을 때, 흡액된 검사 대상액이 흡액체(15)의 표면 등에 여분으로 부착되거나, 흡액된 흡액체(15)가 과잉으로 팽윤하거나 하지 않고, 흡인한 액량에 대하여 액면이 양호한 정밀도로 비례 변위할 수 있다. 또한, 흡액체(15)가 장척 밴드형이므로, 흡액했을 때의 액면 변위도 크다. 그러므로, 소량의 검사 대상액이라도 짧은 시간에 양호한 정밀도로 액체량을 검사할 수 있다.
이 액체 검사 용구(10)에는, 흡액체(15)에 부착된 착색 표시부(1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검사 대상의 액체가 흡액체(15)에 흡인되어 착색 표시부(12)에 접촉함으로써, 흡액체(15)에 흡인된 액체를 쉽게 육안 관찰할 수 있다.
이 액체 검사 용구(10)에서는, 개방부(23)가 표면 커버부(19)에서의 흡액체(15)에 대응하는 위치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입으로 이루어지므로, 흡액체(15)를 최단 거리로 외부와 연통할 수 있다. 또한, 가공량을 적고 억제하여 흡액체(15)의 개구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액체 검사 용구(10)의 강도가 과잉으로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액체 검사 용구(10)의 폭을 좁게 해도, 액체 검사 용구(10)가 사용 시에 개방부(23) 부근에서 굴곡 변형되는 것과 같은 일은 없다. 또한, 절입이므로, 가공 시에 절제(切除) 부분이 생기지 않고, 제조가 용이하다.
이 액체 검사 용구(10)에서는, 유지체(20)가 흡액체(15)의 양측 에지를 피복하는 한 쌍의 측방부(13)를 가지고, 이 한 쌍의 측방부(13)가 유지 기부(11)와 표면 커버부(19)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므로, 유지 기부(11)와 표면 커버부(19)를 직접 접합한 경우와 비교하여, 흡액체(15)의 두께를 안정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검사 대상액의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유지체(20) 및 흡액체(15)는, 1축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일 필요는 없고, 곡선형으로 또는 굴곡되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개방부(23)로서 표면 커버부(19)에 절입을 형성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유지 기부(11)에 설치하고 있어도 된다.
[제2 실시형태]
도 4의 (a), (b)는, 제2 실시형태의 액체 검사 용구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의 액체 검사 용구(10)에서는,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양단에 접액부(10e)가 설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흡액체(15)가 2개 형성되어 있고, 2개의 흡액체(15)가각각 상이한 접액부(10e)로 노출되어 있다. 일단측의 흡액체(15)와 타단측의 흡액체(15)는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양단의 접액부(10e) 사이의 중간 위치에는 일단측의 흡액체(15)와 타단측의 흡액체(15)를격리하기 위한 격리부(17)가 설치되어 있다. 격리부(17)는 일단측의 흡액체(15)와 타단측의 흡액체(15)와의 사이를 불연속으로 하고, 이 격리부(17)에는 흡액체(15)가 배치되지 않는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한쪽의 접액부(10e) 측과 다른 쪽의 접액부(10e) 측과 한쪽 및 다른 쪽의 검사 대상을 각각 대응시키기 위해 서로 다른 형상의 식별부(18a, 18b)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식별부(18a, 18b)는, 인쇄, 절입, 펀칭 등, 각종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고, 그 형상도 임의이며, 「R」, 「L」의 문자 등이라도 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식별부(18a, 18b)가 유지체(18)를 관통하는 관통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쪽의 식별부(18a)보다 다른 쪽의 식별부(18b)의 직경이 육안에 의해 구별 가능한 정도로 크게 형성되어 있다. 각 식별부(18a, 18b)는 격리부(17)에서의 길이 방향의 중심보다 각각의 단부 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2 실시형태의 액체 검사 용구(10)를 사용하여 검사 대상액의 측정을 행하는 것에는, 한쪽의 접액부(10e) 및 흡액체(15)를 사용하여,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하여 검사를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액체 검사 용구(10)를 반전시켜 파지하고, 다른 쪽의 접액부(10e) 및 흡액체(15)를 사용하여 검사를 행한다. 타단의 접액부(10e)를 다른 쪽의 눈 아래 눈꺼풀에 접촉시켜, 누액을 다른 쪽의 흡액체(15)에 접촉함으로써, 모세관 현상에 의해 흡인한다. 흡인된 누액은 착색 표시부(12)에 접촉하고, 착색 표시부의 착색 재료와 함께 액계면이 격리부(17) 측으로 이동하고, 누액량에 따른 양이 흡액체(15)에 흡인되어 액체의 계면의 도달 위치를 눈금(21)에 의해 확인하여 누액량을 측정한다. 이로써, 같은 액체 검사 용구(10)를 사용하여 일단측과 타단측으로, 2회의 검사를 행할 수 있어, 1개의 액체 검사 용구(10)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피검사자의 양 눈의 액체 메니스커스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액체 검사 용구(10)라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제2 실시형태의 액체 검사 용구(10)에서는, 2개의 흡액체(15)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각각 상이한 개방부(23a, 23b) 및 접액부(10e)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1개의 액체 검사 용구로 액체의 측정을 복수 회 실시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 흡액 속도가 빠른 흡액체(15)를 사용하고 있어도, 일단측의 흡액체(15)와 흡액된 검사 대상액이 타단측에 도달하도록 한 것이 없고, 복수 회의 검사를 검사 시간을 단축하여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이 우수하다.
또한, 2개의 관통공으로 이루어지는 식별부(18a, 18b)를 가지고, 각각 상이한 형상으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2개의 식별부(18a, 18b)의 배치 관계를 관찰함으로써, 액체 검사 용구(10)의 방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양단의 접액부(10e)를 육안에 의해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양단의 접액부(10e)를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액체의 양의 검사를 행할 때, 액체 검사 용구(10)의 각각의 접액부(10e)와 각 눈(眼)을 순간적으로 대응지어 사용할 수 있어, 검사 시의 액체 검사 용구(10)의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변형예]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는, 개방부(23a, 23b)로서 절입을 표면 커버부(19) 측에 설치하였으나, 도 5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 커버부(19)와 흡액체(15)와 유지 기부(11)를 관통하여 설치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는, 식별부(18a, 18b)로서 직경이 상이한 2개의 원형의 관통공을 형성함으로써, 형상의 상위에 따라 좌우를 쉽게 판별하도록 하였으나, 도 5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별부(18a, 18b)의 한쪽을 사각형 등의 이형(異形) 형상으로 하고, 다른 쪽을 원형 형상으로 해도 되고, 서로 다른 형상을 조합시켜 식별부(18a, 18b)를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접액부(10e)와 개방부(23)의 사이의 전체에 눈금(21)을 설치하였으나, 눈금(21)을 접액부(10e)와 개방부(23)와의 사이보다 길게 설치해도 된다.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는, 식별부(18a, 18b)를 관통공에 의해 형성하였으나, 측방부(13), 유지 기부(11), 표면 커버부(19)의 외부로부터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위치에, 식별부(18a, 18b)를 인쇄에 의해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형상이나 수도 임의이며, 도 6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형상이 상이한 도형과 「R」, 「L」의 문자를 인쇄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는, 개방부(23a, 23b)를 흡액체(1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하였으나, 도 6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는, 개방부(23a, 23b)를 선형의 절입에 의해 형성하였으나,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각형 형상의 개방부(23a')나 둥근 형상의 개방부(23b)'의 절입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개방부(23a', 23b')의 형상을 육안 관찰 가능하게 함으로써 식별부(18a, 18b)의 대신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부(23a', 23b')와 함께 선형의 절입으로 이루어지는 개방부(23a, 23b)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 9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액체(15)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형의 절입과 흡액체(15)의 폭보다 짧은 직선형의 절입을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하여, 개방부(23a, 23b)를 설치해도 된다.
[제3 실시형태]
도 10의 (a), (b)는 제3 실시형태의 액체 검사 용구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의 액체 검사 용구(10)에서는, 개방부(23a', 23b')가 개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개방부(23a')를 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으로 하고, 개방부(23b')를 둥근 형상으로서, 표면 커버부(19)에 형성하고 있다. 그 외에는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액체 검사 용구(10)라도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이 액체 검사 용구(10)에서는, 개방부(23a', 23b')가 개구에 의해 형성되고, 또한 그 형상이 서로 상이하므로. 식별부(18a, 18b)와 마찬가지로 액체 검사 용구(10)의 방향을 판별하는 것이 용이하다.
[변형예]
상기 제3 실시형태에서는, 표면 커버부(19)에 개방부(23a', 23b')를 설치하였으나, 유지 기체(基體)(11)에 개방부(23a', 23b')를 설치해도 되고, 도 11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 커버부(19) 및 유지 기체(11)의 양쪽에 개방부(23a', 23b')를 설치해도 된다.
[제4 실시형태]
도 12의 (a), (b)는 제4 실시형태의 액체 검사 용구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의 액체 검사 용구(10)에서는, 표면 커버부(19) 및 유지 기체(11)의 양쪽에 개방부(23a, 23b)가 개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양쪽의 개방부(23a, 23b)를 한 번에 형성하고 있다. 또한, 식별부(18a, 18b)가 인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 외에는 제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액체 검사 용구(10)라도 제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표면 커버부(19) 및 유지 기체(11)의 개방부(23a, 23b)를 동시에 구멍뚫기하여 형성할 수 있으므로, 액체 검사 용구(10)의 제조가 용이하다.
[변형예]
제4 실시형태에서는, 개방부(23a, 23b)를 흡액체(15)의 폭보다 작게 형성하였으나,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방에도 걸리도록 크게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개방부(23a', 23b')의 형상을 상이하게 하여 식별부(18a, 18b)를 생략할 수도 있다. 흡액체(15)를 액체 검사 용구(10)의 양 단부 사이에 연속하여 배치하지 않고,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단부 측에 각각 흡액체(15)를 분할하여 배치해도 된다.
상기 제1 실시형태 내지 제4 실시형태에서는, 유지체(20)는, 길이 방향 중간부로부터 접액부(10e) 측을 향해 서서히 폭이 좁아지는 끝이 가는 형상으로 형성하여, 접액부(10e)를 누액 메니스커스 등의 검사 대상액이 저류되는 위치에 접촉시키기 용이하게 하고 있지만, 전체 길이로 대략 일정 폭으로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도시하지 않음).
상기 제1 실시형태 내지 제4 실시형태에서는 착색 표시부(12)를 접액부(10e)의 단부에 설치하였으나, 각각의 접액부(10e)로부터 이격된 근방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착색 표시부(12)의 성분이 접액부(10e)로부터 검사 대상액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해도 된다.
[제5 실시형태]
도 15 내지 도 17은, 제5 실시형태의 액체용 검사 용구를 나타내고, 특히 드라이 마우스의 검사에 사용하는 액체 검사 용구의 예이다. 각 도면에 있어서 다른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액체 검사 용구(10)는, 1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박판 형상을 가진다. 이 액체 검사 용구(10)에는, 밴드형의 본체부(30)와 본체부(30)의 길이 방향에서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된 접액부(10e)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액체 검사 용구(10)에는, 흡액체(15)가 접액부(10e)로부터 본체부(30)까지 연속하여 배치되고, 이 흡액체(15)가 소정의 폭과 두께로 비흡액성의 유지체(20)에 유지되어 있다. 흡액체(15)는 본체부(30)에서는 대략 일정 폭 및 두께의 밴드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액부(10e)에서는 본체부(30)에 배치된 밴드형 부분보다 광폭(廣幅)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지체(20)는 비흡액성을 가지고, 본체부(30)에서는 흡액체(15)를 통형으로 에워싸서 유지하여, 본체부(30)의 윤곽을 구성하고 있다. 본체부(30)의 유지체(20)는, 한쪽의 표면에 흡액체(15)가 고정된 유지 기부(11)와, 흡액체(15)의 좌우측 에지에 전체 길이로 접하도록 배치되어 유지 기부(11)의 표면에 고정된 측방부(13)와, 유지 기부(11) 및 측방부(13)의 표면을 피복하는 표면 커버부(19)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30)에 배치된 흡액체(15)에 대하여, 유지 기부(11), 표면 커버부(19) 및 한 쌍의 측방부(13)는 각각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밀착되어 있다.
유지 기부(11), 측방부(13) 및 표면 커버부(19)는, 비흡액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시트, 필름, 점착제가 한쪽 면에 부착된 테이프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서로 동일 재료 또는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측방부(13)에는 각종 눈금이나 색 견본 등, 액체를 흡인시켰을 때 사용하는 각종 측정 기준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표면 커버부(19)는 흡액체(15)에 흡인된 액체나 측정 기준이 외부로부터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정도의 투명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액부(10e)는, 대략 원형 내지 대략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선단측의 에지부는 곡선형으로 되어 있다. 접액부(10e)를 선단에 가지는 흡액체(15)는, 본체부(30)로부터 연속된 유지체(20)의 유지 기부(11)에 한쪽 면에서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고, 사이드 에지(側緣) 전체 길이와 다른 쪽의 표면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본체부(30)의 접액부(10e)로부터 이격된 위치에는, 흡액체(15)를 외부와 연통시킨 개방부(23)가 설치되어 있다. 개방부(23)는, 흡액체(15)의 타단부 측에 형성된 절입으로 이루어진다.
흡액체(15) 또는 흡액체(15)와 접촉하는 유지체(20)에는, 검사 대상액에 접촉함으로써 흡액체(15)의 색을 변화시키는 지시약이나 용해되는 착색료 등, 흡액체(15)에 흡인된 액체나 액체 계면을 쉽게 육안 관찰하도록 하고, 성질을 측정할 수 있는 착색 표시부(12)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본체부(30)의 단부 근방의 접액부(10e)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 청색 1호(브릴리언트 블루 FCF) 등을 흡액체(15) 표면에 부착 침투시키고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액체 검사 용구(10)를 사용하여 검사 대상액의 측정을 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구강 내의 혀 아래에서의 타액량을 검사한다. 먼저 액체 검사 용구(10)의 본체부(20)를 파지하고, 접액부(10e)를 타액과 접촉하도록 피검사자의 구강 내의 혀 아래에 배치하고, 타액을 접액부(10e)의 흡액체(15)에 접촉시킨다. 이로써, 타액을 모세관 현상에 의해 흡액체(15)에 흡액된다.
흡액된 타액이 착색 표시부(12)에 접촉하면, 착색 표시부의 착색 재료가 용해되어 타액과 함께 이동한다. 그리고, 소정 시간 경과한 시점에서 종료하고, 이 때의 흡액체(15)의 액체 계면의 도달 위치를 표면 커버부(19)를 투과하여 표면측으로부터 육안 관찰하고, 눈금(21)을 확인함으로써 타액량을 측정한다. 또 색 견본을 사용하여 흡액체(15)의 색변화를 확인하고, 타액의 검사를 행한다.
상기한 액체 검사 용구(10)라도,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예를 들면, 접액부(10e)가 유지체(20)로부터 노출되고, 본체부(30)에서는 흡액체(15)가 유지체(20)로 통형으로 에워싸여 있으므로, 흡액체(15)에 손가락 등이 직접 접촉하지 않고, 흡액체(15)에 오일분이나 먼지 등이 부착되어 검사 대상액의 흡액이 저해되는 일이 없다. 또한, 흡액체(15)가 비흡액성의 유지체(20)로 통형으로 에워싸여 있으므로, 흡액된 검사 대상액이 흡액체(15)의 표면 등에 여분으로 부착되거나, 흡액된 흡액체(15)가 과잉으로 팽윤하거나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양호한 정밀도로 검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흡액체(15)가 비흡액성의 유지체(20)로 통형으로 에워싸여 있고, 또한 흡액체(15)의 두께 및 폭이 길이 방향으로 대략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흡인한 액량에 대하여 액면이 양호한 정밀도로 비례 변위할 수 있고 검사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부(30)의 접액부(10e)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개방부(23)에 의해 외부와 연통되어 있으므로, 흡액체(15)를 흡액했을 때,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용이하게 개방부(23)로부터 배출될 수 있어, 흡액체(15) 내에 존재하는 공기에 의해 흡인 속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검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특히, 제5 실시형태의 액체 검사 용구(10)에 의하면, 접액부(10e)가 본체부(30)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므로, 검사 대상액과 접촉되기 쉽고, 본체부(30)의 단부에 비해 흡액체(15)를 넓은 범위에서 노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검사 대상액과의 접촉 면적을 넓게 할 수 있어, 검사 대상액을 흡수할 때의 저항을 작게 할 수 있고, 점성(粘性)이 높은 액(液) 등이라도 흡인 속도를 확보할 수 있어, 검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 액체 검사 용구(10)에서는, 흡액체(15)의 한쪽 면이 접액부(10e)로서 노출되고, 다른 쪽 면이 유지체(20)의 유지 기부(11)에 의해 유지되어 있으므로, 검사 대상액에 대한 넓은 접촉 면적을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흡액체(15)가 액체를 흡수하여 습윤했을 때도 유지체(20)에 의해 유지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흡액체(15)가 액체를 흡수함으로써 탄성이나 강도 등이 저하되었다고 해도, 접액부(10e)의 파손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접액부(10e)의 접액(接液) 면적을 유지할 수 있다.
[제6 실시형태]
도 18 및 도 19는 제6 실시형태의 액체 검사 용구를 나타낸다. 이 액체 검사 용구는 드라이 마우스의 검사에 사용하는 것이다. 제6 실시형태에서는, 접액부(10e)의 구조와 본체부(30)에 설치된 개방부(23)가 상이한 것 외에는, 제5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6 실시형태의 접액부(10e)는, 유지체(20)없이 흡액체(15)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그 표면, 에지부 및 이면(裏面)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 접액부(10e)는 본체부(30)에 배치된 흡액체(15)와 같은 폭으로 돌출되어 있고, 선단부가 대략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30)의 전체 길이에 걸쳐, 흡액체(15)가 유지체(20)에 의해 통형으로 에워싸여 있고, 접액부(10e)와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흡액체(15)의 끝 에지(端緣)가 유지체(20)의 끝 에지에 에워싸인 상태로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개방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액체 검사 용구(10)에 의하면, 제5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제6 실시형태에서는, 접액부(10e)의 표리면(表裏面) 및 에지부의 모두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검사 시에 검사 대상액을 접액부(10e)에 용이하게 흡액시킬 수 있고, 또한 접액부(10e)를 연질(軟質)로 형성할 수 있어, 구강 내에 접촉시켜도 위화감을 적게 할 수 있다.
[변형예]
도 20의 (a), (b)는 제6 실시형태의 변형예이며, 접액부(10e)의 표리면에 유지 기부(11) 및 표면 커버부(19)가 밀착되어 피복되어 있지만, 좌우 양 측부는 측방부(13)로 덮히지 않고 노출되어 있다. 흡액체(15)의 노출된 면적은, 흡액체(15)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적의 2배 이상으로 해도 된다. 그 외에는 제6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이 액체 검사 용구(10)라도, 제5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접액부(10e)에서의 흡액체(15)의 표리면이 유지 기부(11) 및 표면 커버부(19)에 의해 유지되어 있으므로, 검사 시에 흡액체(15)가 흡액했을 때도,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어, 접액부(10e)의 파손이나 변형을 방지하여 예를 들면, 검사 시의 조작이 용이하다.
이상과 같은 제1 실시형태 내지 제6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며, 각각의 실시형태나 그 변형예를 다른 실시형태에 적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추가로 설명한다.
각각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수액체(15)와, 유지 기부(11), 측방부(13) 및 표면 커버부(19)를 가지는 유지체(20)를 구비하여 수액체(15)의 양단이 접액부(10e)와 절입으로 이루어지는 개방부(23)로 노출되어 외부와 연통된 액체 검사 용구(10)를 복수 개 제작하였다. 유지 기부(11)로서, 플라스틱 필름 테이프/아크릴계 점착제, 측방부(13)로서 우레탄 시트, 표면 커버부(19)로서는 우레탄 필름 테이프/아크릴계 점착제를 각각 사용하였다. 흡액체(15)로서, 폭이 0.9㎜, 두께가 0.4㎜, 길이가 27㎜로, 평량 40g/㎡, 밀도가 0.1g/㎤의 레이온/밸브 복합 부직포를 사용하였다.
아크릴 수지 부재에 단면(斷面)이 대략 V자형으로 원호형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저류부(貯留部)를 형성하고, 각각의 저류부에 검사 대상액으로서 인공 누액 0.16μL 내지 2μL 저장하였다. 액체 검사 용구(10)의 접액부(10e)를 저류부에 저장한 검사 대상액에 접촉시켜, 5초 후의 액면 위치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21의 그래프에 나타낸다.
도 21의 그래프로부터 명백하게, 접액부(10e)에 검사 대상액을 접촉시킴으로써, 액면 위치를 5초간으로 충분히 비교 가능한 정도까지 상승시킬 수 있었다. 또한, 5초간 접촉시킨 직후의 액면 위치는, 검사 대상액의 양에 대하여 높은 상관이 얻어지는 것이 확인할 수 있었다.
10: 액체 검사 용구
10e: 접액부
11: 유지 기부
12: 착색 표시부
13: 측방부
15: 흡액체
17: 격리부
18a, 18b, 18a', 18b': 식별부
19: 표면 커버부
20: 유지체
21: 눈금
23, 23a, 23b, 23a', 23b': 개방부
30: 본체부

Claims (7)

  1. 흡액체와, 상기 흡액체의 측 주위를 밀착하여 통형(筒形)으로 에워싸서 유지하는 비흡액성의 유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흡액체는, 소정의 두께 및 폭으로 장척(長尺) 밴드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지체는, 상기 흡액체의 한쪽 면을 피복하는 유지 기부(基部)와, 상기 흡액체의 다른 쪽 면을 피복하는 표면 커버부와, 상기 흡액체의 양쪽을 피복하는 측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체의 단부(端部)에는, 상기 흡액체의 단부를 노출시킨 접액부(接液部)가 설치되고,
    상기 유지 기부 및 표면 커버부의 한쪽 또는 양쪽에서의 상기 접액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는, 상기 흡액체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개방부가 설치되고,
    상기 접액부와 상기 개방부 사이에는, 상기 흡액체에 흡액된 액체량을 측정하기 위한 눈금(scale)이 설치되어 있는,
    액체 검사 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상기 유지 기부 또는 상기 표면 커버부의 한쪽 또는 양쪽에서의 상기 흡액체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절입(cut in)으로 이루어지는, 액체 검사 용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상기 유지 기부 또는 상기 표면 커버부의 한쪽 또는 양쪽에서의 상기 흡액체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개구(開口)로 이루어지는, 액체 검사 용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액체가 상기 유지체의 격리부를 통하여 복수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흡액체가 각각 상이한 상기 접액부로 노출되어 있는, 액체 검사 용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액부가 상기 유지체의 길이 방향 양단에 설치되고, 한쪽 및 다른 쪽의 접액부와 한쪽 및 다른 쪽의 검사 대상을 각각 대응시키기 위한 식별부가 상기 유지체에 설치되어 있는, 액체 검사 용구.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액체 및 상기 유지체를 구비한 밴드형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접액부로 이루어지는, 액체 검사 용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액부의 한쪽 면 또는 양면이 상기 유지체의 상기 유지 기부 또는 상기 표면 커버부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액체 검사 용구.
KR1020157033251A 2013-05-02 2014-04-11 액체 검사 용구 KR1017099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PCT/JP2013/062789 2013-05-02
PCT/JP2013/062789 WO2014057701A1 (ja) 2012-10-12 2013-05-02 液体検査用具
PCT/JP2014/060502 WO2014178274A1 (ja) 2013-05-02 2014-04-11 液体検査用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015A KR20160003015A (ko) 2016-01-08
KR101709962B1 true KR101709962B1 (ko) 2017-03-08

Family

ID=51844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3251A KR101709962B1 (ko) 2013-05-02 2014-04-11 액체 검사 용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58404B2 (ko)
EP (1) EP2992813B1 (ko)
JP (1) JP5757371B2 (ko)
KR (1) KR101709962B1 (ko)
CN (1) CN105263395B (ko)
CA (1) CA2911090C (ko)
WO (1) WO20141782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71820B (zh) * 2016-04-01 2021-09-07 杭州赛凯生物技术有限公司 液体样本采集器
KR102010137B1 (ko) 2017-09-04 2019-08-12 송인창 액체 분비량 측정 키트
JP7042140B2 (ja) * 2018-03-30 2022-03-25 株式会社Provigate センサチップ
US20210007720A1 (en) * 2018-03-30 2021-01-14 Provigate Inc. Trace amount liquid sample collector
JP6920563B2 (ja) 2019-07-10 2021-08-18 藤倉コンポジット株式会社 液検知センサ
KR102631862B1 (ko) * 2021-12-21 2024-01-30 주식회사 미리메딕스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검사의 감도 향상을 위한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1437A (ja) 2000-01-21 2001-07-27 Brother Ind Ltd 非侵襲的血糖値測定のためのキャピラリー装置、試験装置、測定方法及びモニター方法
JP2006258773A (ja) 2005-03-18 2006-09-28 Suzuken Co Ltd 生体液採取器具
JP2008259590A (ja) 2007-04-10 2008-10-30 Maruishi Kasei Kk 涙液メニスカス検査用具及び涙液メニスカス検査用具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1840A (en) * 1969-04-01 1974-05-21 Miles Lab Test device for detecting low concentrations of substances in fluids
US4635488A (en) * 1984-12-03 1987-01-13 Schleicher & Schuell, Inc. Nonintrusive body fluid samplers and methods of using same
JPS63120605A (ja) 1986-11-10 1988-05-25 有限会社 文晶堂 タイル連結機におけるタイル組合わせ方法及び装置
JPS63120605U (ko) 1987-01-29 1988-08-04
US4857453A (en) * 1987-04-07 1989-08-15 Syntex (U.S.A.) Inc. Immunoassay device
JPH0746107B2 (ja) * 1987-04-27 1995-05-17 ユニリーバー・ナームローゼ・ベンノートシヤープ 検定法
US5170799A (en) * 1988-02-20 1992-12-15 Showa Yakuhin Kako Co., Ltd. Test strip for measuring tear production
JPH0710252B2 (ja) * 1988-02-20 1995-02-08 昭和薬品化工株式会社 涙の分泌量測定紙
JPH0714891Y2 (ja) * 1989-03-20 1995-04-10 昭和薬品化工株式会社 涙の分泌量測定紙及びその包装体
US5006310A (en) * 1989-11-03 1991-04-09 Visionex Schirmer tear test
US5135873A (en) * 1989-11-27 1992-08-04 Syntex (U.S.A.) Inc. Device and method for completing a fluidic circuit which employs a liquid expandable piece of bibulous material
US5376337A (en) * 1990-12-18 1994-12-27 Seymour; Eugene H. Saliva sampling device and sample adequacy system
US5283038A (en) * 1990-12-18 1994-02-01 Saliva Diagnostic Systems, Inc. Fluid sampling and testing device
US5380492A (en) * 1990-12-18 1995-01-10 Seymour; Eugene H. Sampling device and sample adequacy system
US5494646A (en) * 1993-04-14 1996-02-27 Seymour; Eugene H. Sampling device and sample adequacy system
US6653066B1 (en) * 1994-06-17 2003-11-25 Trinity Biotech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polyvalent substances
DE69840997D1 (ko) * 1997-03-12 2009-09-03 Kyoto Daiichi Kagaku Kk
US6267722B1 (en) * 1998-02-03 2001-07-31 Adeza Biomedical Corporation Point of care diagnostic systems
US6303081B1 (en) * 1998-03-30 2001-10-16 Orasure Technologies, Inc. Device for collection and assay of oral fluids
US6316205B1 (en) * 2000-01-28 2001-11-13 Genelabs Diagnostics Pte Ltd. Assay devices and methods of analyte detection
US6967105B2 (en) * 2000-12-02 2005-11-22 Queststar Medical, Inc. Surface-modified wick for diagnostic test strip
US6440087B1 (en) * 2001-05-25 2002-08-27 Choicepoint Asset Co. Oral fluid collection device and collection method
US7133712B2 (en) * 2002-04-05 2006-11-07 Eyelab Group,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non-invasive monitoring of blood substances using self-sampled tears
US8071030B2 (en) * 2003-06-20 2011-12-06 Roche Diagnostics Operations, Inc. Test strip with flared sample receiving chamber
CA2529378C (en) * 2003-06-20 2014-04-15 F.Hoffmann-La Roche Ag Method and reagent for producing narrow, homogenous reagent strips
US8679853B2 (en) * 2003-06-20 2014-03-25 Roche Diagnostics Operations, Inc. Biosensor with laser-sealed capillary space and method of making
CN100483134C (zh) * 2003-06-30 2009-04-29 希森美康株式会社 免疫层析装置
US7723124B2 (en) * 2004-02-09 2010-05-25 Rapid Pathogen Screening, Inc. Method for the rapid diagnosis of targets in human body fluids
JP2005253700A (ja) 2004-03-12 2005-09-22 Maruishi Kasei Kk 涙液メニスカス検査用具
US7378054B2 (en) * 2004-04-16 2008-05-27 Savvipharm Inc Specimen collecting, processing and analytical assembly
US8734341B2 (en) * 2004-12-20 2014-05-27 Ipventure, Inc. Method and apparatus to sense hydration level of a person
US9101927B2 (en) * 2005-01-31 2015-08-11 Realbio Technologies Ltd. Multistep reaction lateral flow capillary device
JP4586130B2 (ja) * 2005-02-22 2010-11-24 丸石化成株式会社 検体液採取器具
CN2845716Y (zh) * 2005-09-12 2006-12-13 张琳 新型泪液检测滤纸条
CN200960117Y (zh) * 2006-10-17 2007-10-17 天津晶明新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定形带封装泪液检测酚红棉线
JP2009264988A (ja) 2008-04-27 2009-11-12 Wataru Sakamoto 簡易型口腔乾燥症診断キット
EP2555871B1 (en) * 2010-04-07 2021-01-13 Biosensia Patents Limited Flow control device for assays
US20130253294A1 (en) * 2010-12-17 2013-09-26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Bodily fluid analysis device
ES2568787T3 (es) * 2011-10-17 2016-05-04 Opia Technologi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tomar muestras de fluido lagrim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1437A (ja) 2000-01-21 2001-07-27 Brother Ind Ltd 非侵襲的血糖値測定のためのキャピラリー装置、試験装置、測定方法及びモニター方法
JP2006258773A (ja) 2005-03-18 2006-09-28 Suzuken Co Ltd 生体液採取器具
JP2008259590A (ja) 2007-04-10 2008-10-30 Maruishi Kasei Kk 涙液メニスカス検査用具及び涙液メニスカス検査用具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92813A4 (en) 2016-11-30
WO2014178274A1 (ja) 2014-11-06
US11058404B2 (en) 2021-07-13
EP2992813A1 (en) 2016-03-09
CA2911090C (en) 2019-07-09
CA2911090A1 (en) 2014-11-06
EP2992813B1 (en) 2018-10-31
CN105263395A (zh) 2016-01-20
KR20160003015A (ko) 2016-01-08
JPWO2014178274A1 (ja) 2017-02-23
CN105263395B (zh) 2017-09-22
US20160074019A1 (en) 2016-03-17
JP5757371B2 (ja) 2015-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962B1 (ko) 액체 검사 용구
DK1928315T3 (en) DEVICES TO EASY FLUID TRANSPORT
JPH04232855A (ja) 自己計測式流体分析器具
CN101551383A (zh) 体液检验装置
EP2788755B1 (en)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emolysis
JPH10221221A (ja) 液体採取装置
US20040023399A1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ement of hematocrit
CN113466443A (zh) 一种用于存放检测试纸的试纸盒和样本检测装置
ES2856259T3 (es) Dispositivo de ensayo de flujo vertical para detectar concentración de glucosa en una muestra de fluido
WO2014057701A1 (ja) 液体検査用具
KR102009116B1 (ko) 검사 스트립
US20200275868A1 (en) Glucose test arrangement and method
JP2009115609A (ja) 検査器具
KR20210127180A (ko) 측방 유동 장치
KR102288223B1 (ko) 체액 검사용 챔버 및 이를 이용하는 체액 검사장치
KR101915727B1 (ko) 시료 채취 기구
JP2009125130A (ja) カテーテル位置確認用部材
KR20170027751A (ko) 눈물 분비량 측정 시험지
SE2050749A1 (en) Collection device for bodily fluid samples
KR20180000113A (ko) 검사 스트립
WO2014057590A1 (ja) 涙液メニスカス検査用具
KR20190026112A (ko) 액체 분비량 측정 키트
JPH0943154A (ja) 試験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