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9190B1 - 대소변 처리 봉투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대소변 처리 봉투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9190B1
KR101709190B1 KR1020160074287A KR20160074287A KR101709190B1 KR 101709190 B1 KR101709190 B1 KR 101709190B1 KR 1020160074287 A KR1020160074287 A KR 1020160074287A KR 20160074287 A KR20160074287 A KR 20160074287A KR 101709190 B1 KR101709190 B1 KR 101709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jig
tape
jig block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4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승렬
Original Assignee
배승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승렬 filed Critical 배승렬
Priority to KR1020160074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1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61F5/4408Means for securing receptacles or bags to the body otherwise than by adhesives, e.g. belts, strap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소변 처리 봉투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소변 처리 봉투가 삽입되는 인체 부착용 테이프의 점착부에 대소변 처리 봉투의 상단부 테두리를 부착시키기 위한 대소변 처리 봉투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소변 처리 봉투 조립장치{Assembly unit for dealing bag of urine and feces}
본 발명은 대소변 처리 봉투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소변 처리 봉투가 삽입되는 인체 부착용 테이프의 점착부에 대소변 처리 봉투의 상단부 테두리를 부착시키기 위한 대소변 처리 봉투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경우에는 침대 또는 바닥에 누워있다가 대변 또는 소변을 보기 위해서 움직여야 하는데, 이는 거동이 불편한 사람에게는 여간 힘든 일이 아닐 수 없다.
이에, 한국등록특허 제10-1052024호의 '대소변 배출기'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499895호의 '환자용 대소변 처리 장치' 등을 비롯한 여러 장치가 제공되고 있으며, 그 중에는 비닐 재질의 봉투를 이용한 처리장치도 있다.
도 1a 내지 도 1c와 같이, 봉투를 이용한 처리장치는 인체 부착용 테이프(10)의 상면에 노출된 점착부(11a)에 대소변 처리 봉투(20)의 상단부 테두리(21)를 부착한 후, 인체 부착용 테이프(10)의 중공부(H1)에 대소변 처리 봉투(20)를 통과시켜 뒤집는다.
따라서, 위와 같이 인체 부착용 테이프(10)에 대소변 처리 봉투(20)가 부착된 제품을 공급받아 인체 부착용 테이프(10)의 상면에 부착된 박리지(12)를 제거하고, 중환자나 노약자의 특정 신체 부위에 부착하여 대소변을 볼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종래의 봉투를 이용한 처리장치는 대소변 처리 봉투(20)를 펼쳐 인체 부착용 테이프(10)의 점착부(11a)에 부착하고 이를 뒤집는 작업을 작업자가 직접 수행하므로 대량 생산에 부적합하고, 불량 발생률이 높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52024호 '대소변 배출기' 한국등록특허 제10-1499895호 '환자용 대소변 처리 장치'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체 부착용 테이프의 점착부에 대소변 처리 봉투의 상단부 테두리를 부착시키는 작업이 공장 자동화에 의해 이루어지는 대소변 처리 봉투 조립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대소변 처리 봉투 조립장치는 대소변 처리 봉투가 삽입되는 테이프 중공부 및 상기 테이프 중공부의 주변부에 점착부가 구비된 인체 부착용 테이프에 상기 대소변 처리 봉투의 상단부 테두리를 부착시키기 위해, 상기 대소변 처리 봉투가 삽입되는 지그 중공부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 중 상기 지그 중공부의 주변부에 상기 인체 부착용 테이프가 안착되는 테이프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지그 블럭; 및 하부는 상기 지그 블럭의 지그 중공부에 끼워지고, 상부는 상기 지그 블럭의 상면에 걸리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탄성 변형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탄성 변형시 상기 대소변 처리 봉투의 상단부 테두리를 가압하여 상기 점착부에 부착시키는 가압 부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그 블럭은 상기 지그 중공부를 절반으로 구획하도록 분리된 2개의 서브 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그 중공부에 노출되는 상기 지그 블럭의 내측면에는 공기 흡입공이 형성되되, 상기 공기 흡입공은 상기 지그 블럭에 형성된 공기 유로를 통해 외부의 공기 흡입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 부착구는 튜브 및 상기 튜브에 유체를 주입하여 가압 부착구를 팽창시키는 주입장치를 포함한 블래더 가압 부착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 부착구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탄성 가압 부착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지그 블럭 위에 인체 부착용 테이프를 고정한 상태에서 가압 부착구로 대소변 처리 봉투를 가압한다.
따라서, 인체 부착용 테이프의 점착부에 대소변 처리 봉투의 상단부 테두리를 부착하는 작업이 자동화되므로 대량 생산에 적합하면서도 불량률을 감소시킨다.
도 1a 내지 도 1c는 일반적인 대소변 처리장치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소변 처리 봉투 조립장치의 지그 블럭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소변 처리 봉투 조립장치의 가압 부착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소변 처리 봉투 조립장치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소변 처리 봉투 조립장치의 봉투 이송장치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소변 처리 봉투 조립장치의 동작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소변 처리 봉투 조립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대소변 처리장치를 조립하기 위한 것으로, 도 1a와 같은 인체 부착용 테이프에 도 1b와 같은 대소변 처리 봉투(20)(예: 비닐 봉투)를 도 1c와 같이 부착하여 거동이 불편한 중환자나 노약자 등에 제공된다.
이때 인체 부착용 테이프(10)는 점착 테이프(11) 및 상기 점착 테이프(11) 위에 부착된 박리지(12)를 포함하며, 인체 부착용 테이프(10)의 중심부에는 테이프 중공부(H1)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프 중공부(H1)의 주변부에는 점착부(11a)가 노출되어 있다.
점착부(11a)는 점착 테이프(11)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것으로 박리지(12)의 일부를 미리 절개하여 제거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고, 이러한 점착부(11a)에는 대소변 처리 봉투(20)의 상단부 테두리(21)가 부착된다.
따라서, 인체 부착용 테이프(10)의 점착부(11a)에 대소변 처리 봉투(20)를 부착하여 조립을 마친 후 중환자나 노약자에게 제공된다. 그리고, 보호자 등은 박리지(12)를 제거함에 따라 노출된 점착 테이프(11)를 중환자나 노약자의 특정 신체 부위에 부착하여 테이프 중공부(H1)를 통해 대소변을 볼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대소변 처리 봉투 조립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그 블럭(30)을 포함한다. 아울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압 부착구(40)를 포함한다.
지그 블럭(30)은 조립(부착) 공정시 상술한 인체 부착용 테이프(10)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일 예로 육면체 형상의 블럭이 사용되며, 지그 중공부(H2) 및 테이프 안착홈(31)을 포함한다.
지그 중공부(H2)는 지그 블럭(30)의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테이프 중공부(H1)에는 대소변 처리 봉투(20)가 관통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지그 블럭(30)의 상부에서 끼워진 대소변 처리 봉투(20)가 지그 중공부(H2)를 관통하여 하측까지 연장 배치된다.
이러한 지그 중공부(H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그 블럭(30) 위에 놓인 인체 부착용 테이프(10)의 테이프 중공부(H1)와 일치되며, 바람직하게는 테이프 중공부(H1)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다.
또한, 지그 중공부(H2) 및 테이프 중공부(H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혹은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외 원형이나 다각형 형상도 가능하며, 이들 형상은 대소변 처리 봉투(20)의 단면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테이프 안착홈(31)은 지그 블럭(30)의 상면 중 지그 중공부(H2)의 주변부에 형성된다. 테이프 안착홈(31)은 인체 부착용 테이프(10)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테이프 안착홈(31)에 인체 부착용 테이프(10)가 안착된 상태에서 대소변 처리 봉투(20)를 부착한다.
다만, 상술한 지그 블럭(30)은 그 전체가 하나로 구성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지그 중공부(H2)를 절반으로 구획하도록 분리된 2개의 서브 블럭(30a, 30b)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지그 블럭(30)이 길이 방향(장변 방향)으로 절개한 것처럼 2등분된 서브 블럭(30a, 30b)을 예로 들었으며, 그에 따라 지그 블럭(30)의 제작을 쉽게 한다.
뿐만 아니라 양측(혹은 일측) 서브 블럭(30a, 30b)이 서로 마주본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대소변 처리 봉투(20)가 고정된 상태에서 서브 블럭(30a, 30b)을 이동시켜 지그 중공부(H2)에 대소변 처리 봉투(20)를 배치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지그 블럭(30)은 지그 중공부(H2)에 배치된 대소변 처리 봉투(20)를 흡착 고정할 수 있도록 흡착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흡착 수단은 지그 블럭(30)이 일체로 구성된 경우나 지그 블럭(30)이 2개의 서브 블럭(30a, 30b)으로 구성된 경우 모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착 수단은 지그 중공부(H2)에 노출되는 지그 블럭(30)의 내측면에 형성된 공기 흡입공(32) 및 상기 공기 흡입공(32)에 연결된 공기 유로(33)를 포함한다.
공기 유로(33)는 지그 블럭(30)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까지 연장된 후 흡입 장치에 연결된다. 공지된 바와 같이 흡입장치는 공기 유로(33)와 결합되는 커플러(34)와, 공기 호스 및 흡입 펌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 장치가 작동하여 외부로 공기를 흡인하면, 지그 중공부(H2)에 배치된 대소변 처리 봉투(20)의 외표면에 흡인력이 작용하여 지그 블럭(30)이 대소변 처리 봉투(20)를 견고히 잡고, 그 상태에서 인체 부착용 테이프(10)의 점착부(11a)에 부착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3과 같이, 가압 부착구(40)는 하부는 지그 블럭(30)의 지그 중공부(H2)에 끼워지고, 상부는 지그 블럭(30)의 상면에 걸리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탄성 변형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즉, 가압 부착구(40)의 하부는 끼움부(41) 역할을 하고, 상부는 걸림턱의 기능 및 가압부(42)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 예로써 가압 부착구(40)는 전체적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가압 부착구(40)를 탄성 변형시 대소변 처리 봉투(20)의 상단부 테두리(21)를 가압하여 점착부(11a)에 부착시킨다. 탄성 변형은 가압 부착구(40)의 상부에 연결된 이송장치를 하강시킴에 따라 지그 블럭(30)에 걸려 지지된 상태의 가압 부착구(40)의 상부(41)가 눌리면서 이루어진다.
도 3은 가압 부착구(40)가 탄성 변형 이전의 팽창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팽창 상태에서의 가압 부착구(40)의 하부(41)는 지그 블럭(30)의 지그 중공부(H2) 및 대소변 처리 봉투(20) 내부에 끼워지는 형상을 갖는다.
반면, 가압 부착구(40)의 상부(42)는 대소변 처리 봉투(20)의 내부로 삽입시 대소변 처리 봉투(20)의 상단부 내측면에 접촉하는 것으로, 가압 부착구(40)가 하강하면 지그 블럭(30)에 고정된 대소변 처리 봉투(20)의 상단부를 눌러 인체 부착용 테이프(10)의 점착부(11a)에 가압한다.
가압 부착구(40)의 상부에는 연결 로드 등을 통해 로봇암이나 승하강 실린더 등에 연결되어 있어서 승하강이 가능하며, 로봇암이나 승하강 실린더는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선택된 작업 위치로 이송된다.
일 예로 가압 부착구(40)는 블래더(bladder) 타입의 가압 부착구(40)가 사용될 수 있다. 블래더 가압 부착구(40)는 튜브(41, 42) 및 상기 튜브(41, 42)에 유체를 주입하는 주입장치(43)를 포함한다.
이때, 튜브(41, 42)는 탄성 기밀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주입장치(43)를 통해 공기를 비롯한 각종 유체를 공급하면 도 3과 같이 가압 부착구(40)가 팽창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가압 부착구(40)가 팽창된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송장치로 가압 부착구(40)를 하강시키면 가압 부착구(40)가 탄성 변형되면서 대소변 처리 봉투(20)의 상단부 테두리(21)를 눌러 인체 부착용 테이프의 점착부(11a)에 부착될 수 있게 한다.
또 다른 예로, 가압 부착구(40)는 탄성 재질 타입의 가압 부착구(40)가 사용될 수 있다. 탄성 가압 부착구(40)는 실리콘이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 역시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누르면 탄성 변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탄성 재질 타입의 가압 부착구(40)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가압 부착구(40)가 탄성 변형되면서 대소변 처리 봉투(20)의 상단부 테두리(21)를 눌러 인체 부착용 테이프의 점착부(11a)에 부착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4a 내지 도 4c에는 위에서 설명한 지그 블럭(30) 및 가압 부착구(40)를 이용하여 대소변 처리 봉투(20)를 인체 부착용 테이프(10)의 점착부(11a)에 부착하는 공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4a는 가압 부착구(40)가 탄성 변형되기 이전의 상태로써, 지그 블럭(30)의 지그 중공부(H2)에 대소변 처리 봉투(20)가 배치되고, 가압 부착구(40)의 하부(41)는 대소변 처리 봉투(20)의 내부에 끼워진다.
위와 같이 블래더 가압 부착구(40)에 대소변 처리 봉투(20)가 장착된 이후에는 도 4b와 같이 이송장치에 의해 블래더 가압 부착구(40)가 추가로 하강하므로, 가압 부착구(40)의 상부(42)의 폭이 넓어지는 탄성 변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대소변 처리 봉투(20)의 상단부 테두리(21)가 약간 외측으로 벌어지기 시작한다.
이때, 블래더 가압 부착구(40)의 하부에는 지그 블럭(30)이 위치하고, 지그 블럭(30)의 테이프 안착홈(31)에는 인체 부착용 테이프(10)가 안착되어 있다. 그와 동시에 지그 블럭(30)은 흡인 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대소변 처리 봉투(20)를 흡착하여 잡아주고 있다.
따라서, 도 4c와 같이 이송장치에 의해 블래더 가압 부착구(40)를 더욱더 하강시키면 탄성 변형이 더욱 진행되고, 대소변 처리 봉투(20)의 상단부가 인체 부착용 테이프(10)의 점착부(11a)에 자동으로 가압 부착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소변 처리 봉투 조립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위에서는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가압 부착구(40)에 미리 대소변 처리 봉투(20)를 끼운 후 지그 블럭(30) 위에 놓인 인체 부착용 테이프(10)에 부착하는 방식을 예로 들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먼저 지그 블럭(30)의 지그 중공부(H2)에 대소변 처리 봉투(20)를 장착한 후 가압 부착구(40)를 하강시킴으로써, 가압 부착구(40)가 대소변 처리 봉투(20) 내부로 삽입되면서 대소변 처리 봉투(20)가 인체 부착용 테이프(10)의 점착부(11a)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대소변 처리 봉투(20)는 지그 블럭(30)으로 이송된다. 이송은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봉투 이송장치(50)가 사용될 수도 있다. 봉투 이송장치(50)는 클립 형식으로 대소변 처리 봉투(20) 상단부를 집어들어 이송하는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 5에는 흡인식 봉투 이송장치(50)가 예시되어 있다. 흡인식 봉투 이송장치(50)는 대소변 처리 봉투(20)의 상단부에 끼워지는 노즐부(51, 52) 및 상기 노즐부(51, 52)의 상부에 설치된 이송부를 포함한다.
또한 노즐부(51, 52)에는 내측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이송용 흡입공(51)이 형성되어 있어서 대소변 처리 봉투(20)의 상단부 내측면을 강한 흡입력으로 잡아당기고, 그에 따라 노즐부(51, 52)에 대소변 처리 봉투(20)가 장착 및 고정된다.
다만, 필요에 따라서는 노즐부의 저면을 통해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공(62)을 더 구비하면, 대소변 처리 봉투(20)를 이송시 배출된 공기에 의해 대소변 처리 봉투(20)를 미리 팽창시켜 작업을 쉽게 할 수도 있다.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이송용 흡입공(51)과 배출공(52)에 각각 연결된 공기 유로는 서로 분리되며, 각각에 별도의 공기 펌프로 공기를 주입 및 흡인한다.
다음, 도 6a와 같이 대소변 처리 봉투(20)는 봉투 이송장치(50)에 의해 지그 블럭(30)이 설치된 위치로 이송된다. 만약 봉투 이송장치(5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작업자에 의해 대소변 처리 봉투(20)를 직접 투입한다.
이와 같이 대소변 처리 봉투(20)가 이송 및 공급되면, 대소변 처리 봉투(20)의 양측에서 지그 블럭(30)이 서로 접근하여 지그 중공부(H2)에 대소변 처리 봉투(20)를 위치시킨다.
다음, 도 6b와 같이 지그 블럭(30)에 연결된 흡인 장치가 작동하면 지그 블럭(30)의 내측면에 형성된 공기 흡입공(32) 및 그에 연결된 공기 유로(33)를 통해 대소변 처리 봉투(20)를 잡아준다.
다만, 지그 블럭(30)이 일체로 구성된 경우라면 고정된 상태에 있는 지그 블럭(30)의 지그 중공부(H2)에 대소변 처리 봉투(20)가 끼워지고, 그 후 흡인 장치가 작동하여 대소변 처리 봉투(20)를 고정시킨다.
다음, 지그 블럭(30)의 지그 중공부(H2)에 대소변 처리 봉투(20)가 고정되면 봉투 이송장치(50)는 흡인 작동을 중단하고 대소변 처리 봉투(20)에서 분리된 후 원위치로 복귀한다. 물론 작업자가 직접 대소변 처리 봉투(20)를 지그 블럭(30)에 끼운 경우에는 이러한 복귀 동작은 불필요하다.
다음, 지그 블럭(30)에 대소변 처리 봉투(20)가 고정되면 작업자는 지그 블럭(30)의 테이프 안착홈(31)에 인체 부착용 테이프(10)를 장착한다. 즉, 작업자는 인체 부착용 테이프(10)의 테이프 중공부(H1)에 대소변 처리 봉투(20)를 끼워 인체 부착용 테이프(10)를 지그 블럭(30) 위에 안착시킨다.
다만, 인체 부착용 테이프(10) 역시 2등분된 경우라면, 대소변 처리 봉투(20)에 인체 부착용 테이프(10)를 끼워 장착하는 방식 대신, 인체 부착용 테이프(10)의 각 부분을 2등분된 지그 블럭(30)의 서브 블럭(30a, 30b) 위에 미리 올려놓을 수도 있다.
다음, 봉투 이송장치(50)가 원위치로 복귀하여 대소변 처리 봉투(20)의 상단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 3과 같은 가압 부착구(40)가 하강하여 대소변 처리 봉투(20)의 내부로 삽입된다.
따라서, 위에서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가압 부착구(40)가 대소변 처리 봉투(20)의 상단부 테두리(21)를 눌러, 인체 부착용 테이프(10)의 점착부(11a)에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인체 부착용 테이프
11: 점착 테이프
11a: 점착부
20: 대소변 처리 봉투
21: 테두리
30: 지그 블럭
31: 테이프 안착홈
32: 공기 흡입공
33: 공기 유로
40: 가압 부착구
50: 봉투 이송장치
H1: 테이프 중공부
H2: 지그 중공부

Claims (5)

  1. 대소변 처리 봉투(20)가 삽입되는 테이프 중공부(H1) 및 상기 테이프 중공부(H1)의 주변부에 점착부(11a)가 구비된 인체 부착용 테이프(10)에 상기 대소변 처리 봉투(20)의 상단부 테두리(21)를 부착시키기 위한 대소변 처리 봉투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소변 처리 봉투(20)가 삽입되는 지그 중공부(H2)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 중 상기 지그 중공부(H2)의 주변부에 상기 인체 부착용 테이프(10)가 안착되는 테이프 안착홈(31)이 형성되어 있는 지그 블럭(30); 및
    하부는 상기 지그 블럭(30)의 지그 중공부(H2)에 끼워지고, 상부는 상기 지그 블럭(30)의 상면에 걸리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탄성 변형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탄성 변형시 상기 대소변 처리 봉투(20)의 상단부 테두리(21)를 가압하여 상기 점착부(11a)에 부착시키는 가압 부착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처리 봉투 조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블럭(30)은 상기 지그 중공부(H2)를 절반으로 구획하도록 분리된 2개의 서브 블럭(30a, 30b)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처리 봉투 조립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중공부(H2)에 노출되는 상기 지그 블럭(30)의 내측면에는 공기 흡입공(32)이 형성되되, 상기 공기 흡입공(32)은 상기 지그 블럭(30)에 형성된 공기 유로(33)를 통해 외부의 공기 흡입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처리 봉투 조립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착구(40)는 튜브(41, 42) 및 상기 튜브(41, 42)에 유체를 주입하여 가압 부착구(40)를 팽창시키는 주입장치(43)를 포함한 블래더 가압 부착구(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처리 봉투 조립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착구(40)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탄성 가압 부착구(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처리 봉투 조립장치.
KR1020160074287A 2016-06-15 2016-06-15 대소변 처리 봉투 조립장치 KR101709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287A KR101709190B1 (ko) 2016-06-15 2016-06-15 대소변 처리 봉투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287A KR101709190B1 (ko) 2016-06-15 2016-06-15 대소변 처리 봉투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9190B1 true KR101709190B1 (ko) 2017-02-22

Family

ID=58314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287A KR101709190B1 (ko) 2016-06-15 2016-06-15 대소변 처리 봉투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1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7865A (zh) * 2019-08-16 2019-10-25 吉林省远航农业机械有限公司 一种蹲坐一体式智能无害化旱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0550A (ja) * 1992-03-27 1993-10-19 Honshu Paper Co Ltd 注出口を備えた液体収納袋およびその製造法ならびに前記収納袋に液体を充填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2008253584A (ja) * 2007-04-06 2008-10-23 Chest M I Inc 排便袋
KR20110031061A (ko) * 2009-09-18 2011-03-24 한메딕스 주식회사 인체용 대변 수집기
KR101052024B1 (ko) 2010-06-21 2011-07-27 육근용 대소변 배출기
JP5544612B2 (ja) * 2011-06-13 2014-07-09 国立大学法人名古屋大学 摘便バッグ
KR101499895B1 (ko) 2013-06-04 2015-03-11 주식회사 루멘월드 환자용 대소변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0550A (ja) * 1992-03-27 1993-10-19 Honshu Paper Co Ltd 注出口を備えた液体収納袋およびその製造法ならびに前記収納袋に液体を充填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2008253584A (ja) * 2007-04-06 2008-10-23 Chest M I Inc 排便袋
KR20110031061A (ko) * 2009-09-18 2011-03-24 한메딕스 주식회사 인체용 대변 수집기
KR101052024B1 (ko) 2010-06-21 2011-07-27 육근용 대소변 배출기
JP5544612B2 (ja) * 2011-06-13 2014-07-09 国立大学法人名古屋大学 摘便バッグ
KR101499895B1 (ko) 2013-06-04 2015-03-11 주식회사 루멘월드 환자용 대소변 처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7865A (zh) * 2019-08-16 2019-10-25 吉林省远航农业机械有限公司 一种蹲坐一体式智能无害化旱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104637A (ja) ワーク吸着方法及び装置
CN105856264A (zh) 软体驱动径向开合式气动夹持装置
KR101709190B1 (ko) 대소변 처리 봉투 조립장치
KR20190090238A (ko) 일회용 장갑 착탈 장치
US5456510A (en) Vacuum nozzle with a push-off device
CN113871228A (zh) 按键模组的组装设备
KR100655981B1 (ko) 구부러진 기판을 편평하게 인장시키고 유지시키기 위한 흡입 장치를 포함하는 다이 본더 및/또는 와이어 본더
CN116828381A (zh) 一种扬声器组装设备
JP2006206169A (ja) 流体注入装置
JP4839417B2 (ja) 吸引装置用の栓
WO2003013348A1 (en) Endoscope device
CN213249419U (zh) 一种心内科用止血装置
CN210913116U (zh) 一种应用了软体夹持机器人的自动包装机
CN109172879A (zh) 一种儿童用吸痰器
WO2012108353A1 (ja) ラベル装着装置
CN213886219U (zh) 一种适用于实验室污染区使用的外层pe手套穿脱设备
KR20070071550A (ko) 휴대용 필름 핸들링 장치
CN218585957U (zh) 一种芯片用吸持笔
CN216091725U (zh) 输血器助推装置
JPH01133705A (ja) 管状体の引き抜き装置
KR102430969B1 (ko) 흡착식 귀이개
TWI272173B (en) Device for releasing and removing flexible synthetic material elements from a molding surface
CN220663168U (zh) 培养皿灌装线用空平皿外包装拆除装置
JP2000263484A (ja) 真空吸着方法及び真空吸着装置
JP2834404B2 (ja) 筒状フィルムの口具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4